KR20160037772A - 연료 펌프 - Google Patents

연료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772A
KR20160037772A KR1020150133968A KR20150133968A KR20160037772A KR 20160037772 A KR20160037772 A KR 20160037772A KR 1020150133968 A KR1020150133968 A KR 1020150133968A KR 20150133968 A KR20150133968 A KR 20150133968A KR 20160037772 A KR20160037772 A KR 20160037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ump
inlet
fuel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2934B1 (ko
Inventor
데니스 코파레프
볼프강 바그너
마르쿠스 마익스너
토마스 하만
Original Assignee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filed Critical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60037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42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means preventing fuel leakage around pump plunger, e.g. fluid b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3/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heating, cooling or thermally-insu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02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 F02M59/1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characterised by the piston-drive
    • F02M59/102Mechanical drive, e.g. tappets or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01Fuel-injection apparatus with specially arranged lubricating system, e.g. by fuel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04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in star- or fan-arrangement
    • F04B1/0404Details or component parts
    • F04B1/0421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08Cooling; Heating;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18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maintaining safety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펌프(10), 특히 커먼 레일 연료 시스템의 고압 연료 펌프로서, 펌프 실린더(11) 내에 안내되는 펌프 피스톤(13)을 포함하고, 펌프 피스톤(13)이 안내되는, 상기 펌프 실린더(11)의 리세스(12)의 영역에서 윤활 및 경우에 따라서 냉각을 위해 이용되는 연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입 보어(20)를 통해 제 1 압력 레벨에 연결되는 상부 유입 그루우브(17) 및 적어도 하나의 배출 보어(22)를 통해 제 2 압력 레벨에 연결되는 하부 배출 그루우브(19)가 형성되는 연료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펌프 실린더(11)의 상기 리세스(12)의 영역 내에서 상부 유입 그루우브(17)와 하부 배출 그루우브(19) 사이에 추가적인 중앙 유입 그루우브(18)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 보어(21)를 통해 제 1 압력 레벨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배출 그루우브(19)의 상부 에지(23)와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하부 에지(24) 사이에 상기 펌프 피스톤(13)을 위한 제 1 가이드 웨브(25)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상부 에지(26)와 상기 상부 유입 그루우브(17)의 하부 에지(27) 사이에 펌프 피스톤(13)을 위한 제 2 가이드 웨브(28)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연료 펌프{FUEL PUMP}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연료 펌프, 특히 커먼 레일 연료 시스템의 고압 연료 펌프에 관한 것이다.
연료 펌프는 펌프 실린더를 포함하고, 이 경우 펌프 실린더 내에서 펌프 피스톤이 이동 가능하게 지지 또는 안내된다. 펌프 피스톤은 하나 이상의 캠에 의해 펌프 실린더 내에서 상하로 운동하고, 이로써 연료가 흡인되고, 연료 펌프로부터 컨슈머(consumer)에, 예를 들어 연료 펌프의 분사 밸브에 공급된다.
실제로 공개된 연료 펌프는 펌프 피스톤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펌프 실린더의 영역에 하나 이상의 누설 그루우브(leakage groove)를 포함함으로써, 펌프 실린더와 펌프 피스톤 사이에서 발생하는 누설 연료가 배출될 수 있다. 연료로서 중유가 사용되는 연료 시스템에서 연료로 윤활되고 경우에 따라서 냉각되는 연료 펌프들이 사용되면, 특히 연료 펌프의 윤활 및 경우에 따라서 냉각에 이용되는 중유가 캠 영역에서 사용된 윤활제와 반응함으로써 펌프 피스톤 및/또는 펌프 실린더에 레이크화(laking)라고 하는 침전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침전은 펌프 피스톤과 펌프 실린더 사이의 가이드 영역에서 펌프 피스톤과 펌프 실린더 사이의 가이드 유격을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결국 연료 펌프에 대한 피스톤의 고착이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연료 펌프는 더 이상 작동될 수 없다. 따라서, 펌프 피스톤과 펌프 실린더 사이의 가이드 유격을 감소시키는 이러한 레이크화는 가능한 한 방지되어야 한다.
DE 10 2007 019 909 A1호에는 펌프 실린더의 영역에 형성된 2개의 누설 그루우브를 가진 연료 펌프가 공개되어 있고, 상기 누설 그루우브를 통해, 펌프 실린더와 펌프 피스톤 사이에서 발생하는 연료 누설은, 연료 시스템 내로 및/또는 무압으로 누설 리턴부 내로 배출될 수 있고, 이 경우 펌프 피스톤 및/또는 펌프 실린더에서의 레이크화의 감소를 위해 2개의 누설 그루우브는 펌프 피스톤을 수용하는 펌프 실린더의 리세스(recess)의 하부 1/3에 위치 설정된다.
DE 10 2006 049 759 A1호에는 펌프 실린더 및 펌프 실린더의 리세스 내에 안내되는 펌프 피스톤을 포함하는 연료 펌프가 공개되어 있고, 이 경우 펌프 피스톤을 안내하는 펌프 실린더의 리세스의 영역에, 연료 펌프의 윤활 및 경우에 따라서 냉각에 이용되는 연료를 위해 한편으로 상부 유입 그루우브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하부 배출 그루우브가 형성되고, 이 경우 펌프 피스톤의 윤활 및 냉각을 위해 상부 유입 그루우브를 통해 연료가 공급되고, 윤활 및 냉각을 위해 사용된 연료는 하부 배출 그루우브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DE 10 2006 049 759 A1호에 따르면, 펌프 피스톤은 레이크화를 감소시키기 위해 펌프 피스톤 내에 제공된 중공 챔버에 의해 유입 그루우브를 통해 안내되어 배출 그루우브를 통해 배출되는 연료를 이용해서 내부에서부터 냉각될 수 있다.
선행기술에 공개된 연료 펌프에 의해 펌프 피스톤 및/또는 펌프 실린더에서의 레이크화가 어느 정도 감소하게 될 수 있더라도, 한편으로 펌프 피스톤 및/또는 펌프 실린더의 레이크화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다른 한편으로 펌프 실린더의 리세스 내에서 펌프 피스톤의 최적의 안내가 보장되는 연료 펌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레이크화의 형성 위험이 감소한 신규한 연료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범위 제 1 항에 따른 연료 펌프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펌프 실린더의 리세스의 영역 내에 상부 유입 그루우브와 하부 배출 그루우브 사이에 추가적인 중앙 유입 그루우브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 보어를 통해 제 1 압력 레벨에 연결되고, 이 경우 하부 배출 그루우브의 상부 에지와 중앙 유입 그루우브의 하부 에지 사이에 펌프 피스톤을 위한 제 1 가이드 웨브가 형성되고, 중앙 유입 그루우브의 상부 에지와 상부 유입 그루우브의 하부 에지 사이에 펌프 피스톤을 위한 제 2 가이드 웨브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펌프에서 한편으로 펌프 피스톤 및 펌프 실린더의 영역 내에서의 레이크화의 위험이 감소하고, 다른 한편으로 펌프 실린더 내에서의 펌프 피스톤의 최적의 안내가 보장된다.
바람직하게 중앙 유입 그루우브는 펌프 피스톤의 피스톤 행정(A)보다 큰 축방향 그루우브 높이(B)를 갖고, 이 경우 중앙 유입 그루우브의 축방향 그루우브 높이(B)에 대해 특히 B > A-C1이 성립하고, 이 경우 A는 펌프 피스톤의 피스톤 행정이고, C1은 하부 배출 그루우브의 상부 에지와 중앙 유입 그루우브의 하부 에지 사이의 축방향 간격이다. 중앙 유입 그루우브의 그루우브 높이의 이러한 형성은 레이크화 위험의 감소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 펌프 실린더의 리세스의 영역에서 하부 배출 그루우브 아래에, 펌프 실린더의 그루우브 내에 스트리핑(stripping) 부재가 배치되고, 이 경우 중앙 유입 그루우브의 축방향 그루우브 높이(B)에 대해 특히 B > A-C1-D가 성립하고, 이 경우 A는 펌프 피스톤의 피스톤 행정이고, C1은 하부 배출 그루우브의 상부 에지와 중앙 유입 그루우브의 하부 에지 사이의 축방향 간격이고, D는 하부 배출 그루우브의 상부 에지와 스트리핑 부재의 접촉점 사이의 축방향 간격이다. 중앙 유입 그루우브의 이러한 그루우브 높이는 특히 바람직하게 레이크화 위험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중앙 유입 그루우브로 안내되는 각각의 유입 보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부 유입 그루우브로 안내되는 각각의 유입 보어보다 작은 횡단면을 가지므로, 상부 유입 그루우브 내에 중앙 유입 그루우브 내부보다 높은 유입 압력이 존재한다. 이는 레이크화 위험의 추가 감소를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는 종속 청구항 및 하기 설명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연료 펌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
본 발명은 연료 펌프, 특히 중유로 작동되는 내연기관, 예를 들어 선박 디젤 내연기관을 위한 커먼 레일 연료 시스템의 고압 연료 펌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펌프(10)의 횡단면을 도시하고, 이 경우 연료 펌프(10)는 펌프 실린더(11) 및 펌프 실린더(11)의 리세스(12)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펌프 피스톤(13)을 포함한다. 펌프 피스톤(13)은 펌프 실린더(11)의 리세스(12) 내에서 상하로 또는 전후로 이동 가능하고, 즉 캠(14)에 의해 제어된다. 캠(14)은 구동 캠이라고도 한다. 캠(14)에 의해 야기되는 펌프 피스톤(13)의 운동은 구동 스프링이라고도 하는 복귀 스프링(15)에 의해 제공되는 복귀력을 저지한다. 이러한 구동 스프링(15)은 한편으로 펌프 실린더(11)에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 펌프 피스톤(13)에 연결된 지지 부재(16)에 지지된다.
도 1에 도시된 연료 펌프(10)는 커먼 레일 연료 시스템의 고압 연료 펌프이고, 이 경우 이러한 고압 연료 펌프는 커먼 레일 연료 시스템의 저압 영역으로부터 연료를 흡인하고, 압축하여 커먼 레일 연료 시스템의 고압 영역에 제공한다. 펌프 피스톤(13)은 이 경우 펌프 실린더(11)의 리세스(12) 내의 연료를 압축하는 데 이용되고, 이 경우 펌프 실린더(11)의 리세스(12) 내에서 펌프 피스톤(13)에 의해 압축된 연료는 펌프 실린더(11) 내의 고압 보어(32)를 통해 커먼 레일 연료 시스템의 고압 영역의 방향으로 송출될 수 있다.
이러한 연료 펌프(10)는 연료에 의해 윤활되고 경우에 따라서 냉각되고, 따라서 펌프 실린더(11)의 리세스(12) 내에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펌프 피스톤(13)의 윤활 및 경우에 따라서 냉각을 위해 연료가 이용된다. 연료 펌프(10)가 연료로서 중유를 흡인하여 압축하는 경우에, 특히 펌프 피스톤(13)의 윤활에도 이용되는 중유는 캠(14)의 영역에서 캠의 윤활을 위해 사용되고 구동 스프링(15) 주변의 영역과 펌프 실린더(11)로부터 돌출하는 펌프 피스톤(13)의 섹션의 영역으로 확산되는 윤활제와 반응하고, 이때 캠(14)의 영역에서 사용된 윤활제와 연료의 반응 생성물은 소위 레이크화로서 펌프 피스톤(13)의 영역에 및/또는 펌프 피스톤(13)의 행정 운동으로 인해 펌프 실린더(11)의 리세스(12)의 영역에 침전될 수 있고, 이는 펌프 피스톤(13)과 펌프 실린더(11) 사이의 가이드 유격을 감소시킨다. 감소된 가이드 유격은 펌프 피스톤(13)의 피스톤 고착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펌프 피스톤(13) 및/또는 펌프 실린더(11)에서의 레이크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고 펌프 실린더(11)의 리세스(12)의 영역에서 펌프 피스톤(13)의 최적의 안내를 보장하는 것인 연료 펌프(10)의 세부 사항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 실린더(11)의 리세스(12) 내에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펌프 피스톤(13)의 윤활 및 경우에 따라서 냉각을 위해 연료가 이용된다. 펌프 실린더(11)의 리세스(12)의 영역에 펌프 피스톤(13)의 윤활 및 경우에 따라서 냉각에 이용되는 연료를 위한 다수의 유입 그루우브(17, 18)와 배출 그루우브(19)가 형성되고, 즉 상부 유입 그루우브(17), 하부 배출 그루우브(19) 및 상부 유입 그루우브(17)와 하부 배출 그루우브(19) 사이에 위치 설정된 중앙 유입 그루우브(18)가 형성된다. 따라서, 펌프 피스톤(13)의 축방향으로 그리고 이동 방향으로 볼 때, 중앙 유입 그루우브(18)는 상부 유입 그루우브(17)와 하부 배출 그루우브(19) 사이에 배치된다.
상부 유입 그루우브(17)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유입 보어(20)를 통해 그리고 중앙 유입 그루우브(18)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유입 보어(21)를 통해 제 1 압력 레벨에, 특히 커먼 레일 연료 시스템의 저압 영역에 연결되는 한편, 하부 배출 그루우브(19)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 보어(22)를 통해 제 2 압력 레벨에, 특히 주위 압력 레벨에 연결된다. 따라서 유입 보어(20, 21) 및 2개의 유입 그루우브(17, 18)를 통해 윤활 및 냉각에 이용되는 연료는 실린더 피스톤(13)의 방향으로 송출될 수 있고, 이 경우 배출 그루우브(19) 및 배출 그루우브(19)와 함께 작용하는 각각의 배출 보어(22)를 통해 윤활 및 경우에 따라서 냉각에 사용된 연료가 펌프 피스톤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하부 배출 그루우브(19)의 상부 에지(23)와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하부 에지(24) 사이에 펌프 피스톤(13)을 위한 제 1 가이드 웨브(25)가 형성되고, 이 경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상부 에지(26)와 상부 유입 그루우브(17)의 하부 에지(27) 사이에 펌프 피스톤(13)을 위한 다른 가이드 웨브(28)가 형성된다.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그루우브 높이(B)에 의해 2개의 가이드 웨브(26, 28) 사이의 축방향 간격이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중앙 유입 그루우브(18)는 펌프 피스톤(13)의 피스톤 행정(A)보다 큰 축방향 그루우브 높이(B)를 특징으로 한다.
특히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축방향 그루우브 높이(B)에 대해 관계식 B > A-C1이 성립하고, 이 경우 A는 구동 캠(14)에 의해 결정된 펌프 피스톤(13)의 피스톤 행정이고, C1은 하부 배출 그루우브(19)의 상부 에지(23)와 중앙 유입 그루우브의 하부 에지(24) 사이의 축방향 간격이자, 하부 가이드 웨브(25)의 축방향 높이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펌프 실린더(11)의 리세스(12)의 영역에 있는 하부 배출 그루우브(22)의 아래에 그루우브(29)가 형성되고, 상기 그루우브 내에 스트리핑 부재(30)가 배치된다. 펌프 실린더(11)의 그루우브(29) 내에 배치된 스트리핑 부재(30)는 바람직하게 스트리핑 링이고, 상기 스트리핑 링은 펌프 피스톤(13)의 규정된 접촉점(31)과 접촉한다.
특히 중앙 그루우브(18)의 축방향 그루우브 높이(B)에 대해 관계식 B > A-C1-D가 성립하고, 이 경우 A는 펌프 피스톤(13)의 피스톤 행정이고, C1은 하부 배출 그루우브(19)의 상부 에지(23)와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하부 에지(24) 사이의 축방향 간격이고, D는 하부 배출 그루우브(19)의 상부 에지(23)와 스트리핑 부재(30)의 접촉점(31) 사이의 축방향 간격이다.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축방향 그루우브 높이(B)의 전술한 바와 같은 형성에 의해, 상부 유입 그루우브(17)를 중앙 유입 그루우브(18)로부터 분리하는 상부 가이드 웨브(28)의 상부 영역에서, 펌프 피스톤(13)을 위한 가이드 유격을 감소시키는 레이크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커먼 레일 연료 시스템의 고압 연료 펌프로서 형성된 연료 펌프의 2개의 유입 그루우브(17, 18)는 유입 보어(20, 21)를 통해 하나의 동일한 압력 레벨에 연결되고, 특히 커먼 레일 연료 시스템의 저압 영역의 압력 레벨에 연결되고, 이 경우 저압 영역의 압력 레벨은 주위 압력보다 높고, 저압 연료 펌프에 의해 조절된다. 펌프 피스톤(13)에 의해 연료가 압축되는, 펌프 실린더(11)의 리세스(12)의 섹션과 상부 유입 그루우브(17) 사이에서 연료 펌프 내부의 누설 연료로 인해 그리고 이러한 누설로 인해 확산되는 압력파로 인해 상부 유입 그루우브(17) 내에는 전체적으로 중앙 유입 그루우브(18) 내부보다 높은 압력이 존재하므로, 상부 유입 그루우브(17)로부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 내로 가이드 웨브(28)를 통해 연료가 송출되고, 상기 가이드 웨브에 의해 상부 유입 그루우브(17)는 중앙 유입 그루우브(18)로부터 분리된다.
상부 유입 그루우브(17)와 중앙 유입 그루우브(18) 사이의 이러한 압력차는, 중앙 유입 그루우브(18)로 안내되는 유입 보어(2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부 유입 그루우브(17)로 안내되는 유입 보어(20)보다 작은 횡단면을 가짐으로써, 즉 중앙 유입 보어(18)로 안내되는 유입 보어(21)가 언스로틀(unthrottle)됨으로써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 유입 그루우브(17)와 중앙 유입 그루우브(18) 사이의 압력차가 증가할 수 있고 따라서 상부 유입 그루우브(17)로부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 내로, 윤활을 위해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냉각을 위해 이용되는 연료의 이송은, 중앙 유입 그루우브(18)를 상부 유입 그루우브(17)로부터 분리하는 상부 가이드 웨브(28)에 의해 증가할 수 있다.
하부 배출 그루우브(19)의 영역 내에는 항상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영역 내부보다 작은 압력 레벨이 존재하기 때문에, 중앙 유입 그루우브(18)를 하부 배출 그루우브(19)로부터 분리하는 하부 가이드 웨브(25)의 영역에 의해 항상 충분한 연료 흐름이 설정될 수 있다.
중앙 유입 그루우브(18)로부터 하부 배출 그루우브(19) 내로의 연료의 이송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유입 그루우브(18)로 안내되는 유입 보어(21)가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하부 영역 내로, 즉 직접 인접하게 또는 중앙 유입 그루우브(18)를 하부 배출 그루우브(19)로부터 분리하는 하부 가이드 웨브(25)에 대해 같은 높이로 통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펌프(10)의 전술한 바와 같은 형성에 의해 펌프 피스톤(13) 및 펌프 실린더(11)의 영역 내에서의 레이크화의 위험이 감소한다. 형성되는 압력차로 인해 윤활 및 경우에 따라서 냉각을 위해 사용된 충분한 연료의 연료 이송이 가이드 웨브(25, 28)에 의해 항상 보장된다.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축방향 그루우브 높이(B)의 치수 설계에 의해, 펌프 피스톤(13)의 행정 운동에도 불구하고 캠(14)의 영역에서 사용된 윤활제가, 상부 유입 그루우브(17)를 중앙 유입 그루우브(18)로부터 분리하는 상부 가이드 웨브(28)의 영역에 도달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상부 가이드 웨브(28)의 상기 영역에서의 레이크화의 위험이 없다. 중앙 가이드 웨브(18)를 하부 배출 그루우브(19)로부터 분리하는 하부 가이드 웨브(25)의 영역에 펌프 피스톤(13)의 행정 운동으로 인해 캠(14)의 영역에서 사용된 연료가 도달할 수 없고,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와 하부 배출 그루우브(19) 사이의 높은 압력차로 인해 하부 가이드 웨브(25)에 의해 하부 가이드 웨브(25)의 영역 내에서 레이크화의 형성을 저지하는 높은 연료 흐름이 제공된다.
2개의 가이드 웨브(25, 28)에 의해, 펌프 피스톤(13)을 위해 그 행정 운동을 따라 피스톤 고착의 위험을 더 감소시키는 가이드 길이가 보장된다. 행정 운동 시 펌프 피스톤(13)을 위한 가이드 길이는 2개의 가이드 웨브(25, 28)의 간격 및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축방향 그루우브 깊이(B)에 의존한다.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방사방향 그루우브 깊이는, 필요에 따라 상반되는 과정들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즉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비교적 작은 방사방향 그루우브 깊이가 설정되면, 연료 유량이 증가하여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영역 내에서의 레이크화의 위험이 감소할 수 있다.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방사방향 그루우브 깊이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상기 유입 그루우브의 영역 내에서의 레이크화의 위험이 증가하지만, 레이크화 층은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영역 내 가이드 유격의 임계적 감소가 예상되기 전에, 더 두꺼워지지 않을 수 있다.
2개의 가이드 웨브(25, 28)는 이들 영역 내에서의 레이크화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비교적 짧은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2개의 가이드 웨브(25, 28)가 비교적 짧은 축방향 길이를 가짐으로써, 펌프 피스톤(13) 및/또는 가이드 웨브(25, 28)에서 레이크화가 이루어지더라도 연료 펌프(10)의 작동은 유지되는데, 그 이유는 표면이이 작은 가이드 웨브(25, 28)에 대한 펌프 피스톤(13)의 부착력이 구동 스프링(25)의 복귀력에 비해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이드 웨브(25, 28)의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레이크화 시 형성되는 가이드 웨브(25, 28)의 표면에 의존하는, 가이드 웨브에 대한 펌프 피스톤(13)의 부착력이 구동 스프링(15)의 복귀력보다 작게 되도록 치수 설정된다. 서로 축방향 간격을 갖는 다수의 가이드 웨브(25, 28)가 제공됨으로써, 펌프 피스톤(13)을 위해 비교적 큰 축방향 가이드 길이 및 펌프 피스톤의 최적의 가이드가 특히 연료의 압축 또는 이송 동안에 보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연료로 윤활되는 연료 펌프, 특히 중유로 작동되는 선박 디젤 내연기관의 커먼 레일 연료 시스템의 고압 연료 펌프로서 이용되는 연료 펌프에서 레이크화의 위험과 피스톤 고착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펌프는 선행기술에 공개된 연료 펌프에 비해 긴 수명을 갖는다.
10 연료 펌프
11 펌프 실린더
12 리세스
13 펌프 피스톤
14 구동 캠
15 구동 스프링
16 지지 부재
17 유입 그루우브
18 유입 그루우브
19 배출 그루우브
20 유입 보어
21 유입 보어
22 배출 보어
23 에지
24 에지
25 가이드 웨브
26 에지
27 에지
28 가이드 웨브
29 그루우브
30 스트리핑 부재
31 접촉점
32 고압 보어

Claims (11)

  1. 연료 펌프(10), 특히 커먼 레일 연료 시스템의 고압 연료 펌프로서, 펌프 실린더(11) 내에 안내되는 펌프 피스톤(13)을 포함하고, 펌프 피스톤(13)이 안내되는, 상기 펌프 실린더(11)의 리세스(12)의 영역에서 윤활 및 경우에 따라서 냉각을 위해 이용되는 연료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유입 보어(20)를 통해 제 1 압력 레벨에 연결되는 상부 유입 그루우브(17) 및 적어도 하나의 배출 보어(22)를 통해 제 2 압력 레벨에 연결되는 하부 배출 그루우브(19)가 형성되는 것인 연료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 실린더(11)의 상기 리세스(12)의 영역 내에서 상기 상부 유입 그루우브(17)와 상기 하부 배출 그루우브(19) 사이에 추가적인 중앙 유입 그루우브(18)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 보어(21)를 통해 제 1 압력 레벨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배출 그루우브(19)의 상부 에지(23)와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하부 에지(24) 사이에 상기 펌프 피스톤(13)을 위한 제 1 가이드 웨브(25)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상부 에지(26)와 상기 상부 유입 그루우브(17)의 하부 에지(27) 사이에 상기 펌프 피스톤(13)을 위한 제 2 가이드 웨브(2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는 상기 펌프 피스톤(13)의 피스톤 행정(A)보다 큰 축방향 그루우브 높이(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축방향 그루우브 높이(B)에 대해 B > A-C1이 성립하고, 이 경우 A는 상기 펌프 피스톤(13)의 피스톤 행정이고, C1은 상기 하부 배출 그루우브(19)의 상기 상부 에지(23)와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상기 하부 에지(24) 사이의 축방향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실린더(11)의 상기 리세스(12)의 영역에서 상기 하부 배출 그루우브(19) 아래에, 상기 펌프 실린더(11)의 그루우브(29) 내에 스트리핑 부재(3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축방향 그루우브 높이(B)에 대해 B > A-C1-D가 성립하고, 이 경우 A는 상기 펌프 피스톤(13)의 피스톤 행정이고, C1은 상기 하부 배출 그루우브(19)의 상부 에지(23)와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상기 하부 에지(24) 사이의 축방향 간격이고, D는 상기 하부 배출 그루우브(19)의 상기 상부 에지(23)와 상기 스트리핑 부재(30)의 접촉점(31) 사이의 축방향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로 안내되는 각각의 유입 보어(2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상부 유입 그루우브(17)로 안내되는 각각의 유입 보어(20)보다 작은 횡단면을 가져, 상기 상부 유입 그루우브(17) 내에는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 내부보다 높은 유입 압력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로 안내되는 각각의 유입 보어(21)는,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상기 하부 에지(24)에 인접하게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 내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로 안내되는 각각의 유입 보어(21)는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18)의 상기 하부 에지(24)에 대해 같은 높이로 상기 중앙 유입 그루우브 내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그루우브(17, 18)는 상기 유입 보어(20, 21)를 통해 상기 커먼 레일 연료 시스템의 저압 영역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그루우브(19)는 각각의 배출 보어(22)를 통해 주위 압력이 존재하는 상기 커먼 레일 연료 시스템의 영역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웨브(25, 28)는, 레이크화 시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 웨브(25, 28)의 표면에 의존하는, 상기 가이드 웨브(25, 28)에 대한 펌프 피스톤(13)의 부착력이 구동 스프링(15)의 복귀력보다 작게 되도록 치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KR1020150133968A 2014-09-27 2015-09-22 연료 펌프 KR102252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14475.5A DE102014014475A1 (de) 2014-09-27 2014-09-27 Kraftstoffpumpe
DE102014014475.5 2014-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772A true KR20160037772A (ko) 2016-04-06
KR102252934B1 KR102252934B1 (ko) 2021-05-18

Family

ID=5423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968A KR102252934B1 (ko) 2014-09-27 2015-09-22 연료 펌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001026B1 (ko)
JP (1) JP6605274B2 (ko)
KR (1) KR102252934B1 (ko)
CN (1) CN105464869B (ko)
DE (1) DE102014014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4731B (en) * 2016-10-07 2019-04-03 Caterpillar Motoren Gmbh & Co Piston pump having push rod assembly and stopping assembly
DE102019116353B4 (de) * 2019-06-17 2020-12-24 Man Energy Solutions Se Kraftstoffpump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1934A (ja) * 2001-12-28 2003-07-18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燃料加圧ポンプ
EP1355059A2 (en) * 2002-04-19 2003-10-22 Nissan Motor Co., Ltd. Fuel pump
KR20080096369A (ko) * 2007-04-27 2008-10-30 만 디젤 에스이 연료 펌프
KR20120112620A (ko) * 2009-12-23 2012-10-11 캐터필라 모토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연료 펌프의 내부에 침전물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레이퍼 또는 와이퍼 링을 갖는 퍼지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29883B (en) * 1982-11-05 1985-10-09 Lucas Ind Plc Liquid fuel injection pump
DE10106095A1 (de) * 2001-02-08 2002-08-29 Bosch Gmbh Robert Kraftstoffsystem, Verfahren zum Betreiben des Kraftstoffsystems, Computerprogramm sowie Steuer- und/oder Regelgerät zur Steuerung des Kraftstoffsystems
DE102006049759B4 (de) 2006-10-21 2018-08-09 Man Diesel & Turbo Se Kraftstoffpump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1934A (ja) * 2001-12-28 2003-07-18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燃料加圧ポンプ
EP1355059A2 (en) * 2002-04-19 2003-10-22 Nissan Motor Co., Ltd. Fuel pump
JP2003314408A (ja) * 2002-04-19 2003-11-06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燃料ポンプ
KR20080096369A (ko) * 2007-04-27 2008-10-30 만 디젤 에스이 연료 펌프
KR20120112620A (ko) * 2009-12-23 2012-10-11 캐터필라 모토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연료 펌프의 내부에 침전물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레이퍼 또는 와이퍼 링을 갖는 퍼지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934B1 (ko) 2021-05-18
JP6605274B2 (ja) 2019-11-13
EP3001026A1 (de) 2016-03-30
CN105464869A (zh) 2016-04-06
DE102014014475A1 (de) 2016-03-31
CN105464869B (zh) 2019-11-05
JP2016070277A (ja) 2016-05-09
EP3001026B1 (de)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09347B (zh) 高压燃料泵
CN101137837B (zh) 高压泵和减少高压泵内的流体混合的方法
EP3292298B1 (en) Fuel pump assembly
KR20070100632A (ko) 연료 소기식 피스톤 펌프
JP4013199B2 (ja) 燃料噴射ポンプ
KR101589741B1 (ko) 연료 펌프
KR20160037772A (ko) 연료 펌프
KR102244311B1 (ko) 연료 펌프
JP3788373B2 (ja) 高圧燃料ポンプの給油装置
JP2010112304A (ja) 燃料供給ポンプ
CN101135285A (zh) 具有防沉积功能的活塞泵
JP2007177704A (ja) 高圧ポンプ
JP6948891B2 (ja) 燃料ポンプ装置
KR101375200B1 (ko) 연료 펌프
JP5288267B2 (ja) 燃料噴射ポンプ
US6837218B2 (en) Radial piston pump
JP2023175312A (ja) 燃料噴射ポンプ
US11352995B2 (en) Piston pump
CN117616195A (zh) 泵、尤其是燃料喷射泵
KR20180079524A (ko) 오일펌프용 릴리프 밸브의 편마모 방지 구조
CN111594366A (zh) 燃料喷射泵
KR20130054583A (ko) 연료분사펌프용 플런저
JP2018096331A (ja) ピストン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