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267A - 기능성 목재 판넬 및 이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목재 판넬 및 이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267A
KR20160037267A KR1020140128866A KR20140128866A KR20160037267A KR 20160037267 A KR20160037267 A KR 20160037267A KR 1020140128866 A KR1020140128866 A KR 1020140128866A KR 20140128866 A KR20140128866 A KR 20140128866A KR 20160037267 A KR20160037267 A KR 20160037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aterial
plate
panel
wood
pv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숙
Original Assignee
(주)삼현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현케미칼 filed Critical (주)삼현케미칼
Priority to KR1020140128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7267A/ko
Publication of KR2016003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4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wooden panels or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0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8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35Vinyl halide,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처럼 썩거나 비틀림 현상이 없고, 외관에 자연소재의 목재 무늬가 연출되고 경량으로 강성과 흡읍 및 방음성이 뛰어나도록 한 기능성 목재 판넬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기능성 목재 판넬은, 목재 판넬의 내측에 직육면체 형태의 볼륨으로 배치되는 코어재와; 강성 압축 발포체로 일정 범위의 충격 강도와 밀도로 이루어져 상기 코어재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바 형태의 PVC 발포심재와; ABS 판재와 베니어 박판이 열접합으로 일체화되어 상기 코어재의 전,후면에 각각 부착된 전,후면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목재 판넬 및 이의 제작 방법{Functional wood pan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 목재 판넬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재처럼 썩거나 비틀림 현상이 없고, 외관에 자연소재의 목재 무늬가 연출되고 경량으로 강성과 흡읍 및 방음성이 뛰어나고, 방염처리 등의 코팅이 가능하도록 한 기능성 목재 판넬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싱크대, 가구 등을 목재(원목)로 제작하게 되면, 자연적인 목재의 질감을 얻을 수 있는데 반해 무겁고 오랫동안 사용하면 썩거나 비틀림이 발생하고, 제작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목재와 합성수지를 합체시킨 합판, MDF 등의 합성 목재가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 목재도 수명이 짧으며, 장기간 사용에 따라 뒤틀리는 등 변형이 발생되며 특히 환경보호를 이유로 목제 공급이 점차 제한적이라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단점을 갖게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플라스틱재로 된 패널이 제안되어 다양한 형태의 플라스틱 패널이 생산 시판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보통 플라스틱 패널은 PVC나 ABS 등의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사각 형틀을 만들며, 또한 상기 재료를 이용하여 금형에 의해 판재형상으로 만든 플라스틱 판재로 전면판 및 후면판을 조성하며, 전면판과 후면판의 가운데 즉, 도어의 내측에 중간충진재로 합성수지를 발포충진하거나, 벌집모양의 종이보강재를 충진하여 보드를 생산하게 되며, 패널의 크기별로 테두리를 재단하여 패널을 최종 제작하게 된다.
또한 종래 플라스틱 패널에 있어, 합성목재 또는 목재와의 복합형태로는 테두리 보강심재와 하니콤 중간층을 플라스틱 판재로 된 전면판과 후면판으로 부착하는 대신에 전면판 및 후면판 재질을 MDF나 합판등의 가공복재를 부착하고 그 표면에 PVC필름이나 무늬목등의 마감재를 부착하여 실내용 패널을 조성한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 패널은 나무 패널에 비해 내구성과 치수 안정성을 가지며, 수분 저항성이 뛰어난 장점을 볼 수 있으나, 전면판 및 후면판을 MDF나 합판등으로 조성한 도어에 있어서는 수분 흡수율이 높아 내구성이 떨어진다.
또한 PVC 필름의 마감재인 경우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아 방염처리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576493호(실내용 플라스틱 도어)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내측에 하니콤(honey comb)이나 발포층등의 내측 중앙충진재층을 가지며, 그 외측 테두리를 사각 보강테두리로 감싸며, 그 양면에 사각 전면판 및 후면판을 부착하여서 형성되는 실내용 플라스틱 도어에 있어서, 전면판과 후면판은 목분과 올레핀계의 폴리프로필렌수지(PP수지)를 혼합한 복합 판재로 이를 구성하며, 내측의 하니콤의 테두리를 감싸는 사각보강테두리는 합성수지바와 집성목으로 이를 조성하며, 상기 하니콤과 사각보강테두리 전후방에 부착되는 전면판 및 후면판은 1∼3㎜ 두께를 갖는 발포성 우레판 접착제로 이를 부착토록하며, 전면판 및 후면판 표면에 마감표면지를 부착하며, 상기 마감표면지는 방염처리되며 핫멜트타입의 접착제로 열 압착하여 접착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핫멜트 타입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력이 우수하고 유해화합물 방출이 없는 친환경적인 실내용 플라스틱 도어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전자의 배경기술은 전면판과 후면판이 목분과 PP수지 복합물로 제조되고 마감표면지가 방염 처리된 종이 또는 아크릴 수지를 함침한 접착제로 이루어져 있어 원목의 질감을 연출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다른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104925(가구용 합성목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이 있다. 이는 합성목재패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합성목재패널의 표면에 적용할 원목무늬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합성목재패널의 표면에 적용할 디자인무늬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상기 원목무늬와 디자인무늬를 합성하는 단계와; 합성된 상기 원목무늬 및 디자인 무늬를 상기 합성목재패널의 상부에 인쇄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에 의해, 합성목재패널의 표면에 각각 선택된 원목무늬와 디자인무늬를 합성하여 인쇄함으로써 디자인의 자유도 및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쇄층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동일한 가구에 대한 디자인의 일관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후자의 배경기술은 합성목재패널이 패널의 몸체로 구성되어져 무게가 많이 나갈 뿐만 아니라 원재료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576493호(실내용 플라스틱 도어)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104925(가구용 합성목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목재처럼 썩거나 비틀림 현상이 없고, 외관에 자연소재의 목재 무늬가 연출되고 경량으로 강성과 흡읍 및 방음성이 뛰어나고, 방염처리 등의 코팅이 가능하도록 한 기능성 목재 판넬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기능성 목재 판넬은,
목재 판넬의 내측에 직육면체 형태의 볼륨으로 배치되는 코어재와;
강성 압축 발포체로 일정 범위의 충격 강도와 밀도로 이루어져 상기 코어재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바 형태의 PVC 발포심재와;
ABS 판재와 베니어 박판이 열접합으로 일체화되어 상기 코어재의 전,후면에 각각 부착된 전,후면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판과 코어재 그리고 후면판과 코어재의 사이에는 각기 보강을 위한 MDF 판재가 더 개재되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MDF 판재에 대체하여 목재흡음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재는 섬유 또는 종이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허니컴(honey comb)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재 관통된 흡음공을 갖는 장구형 블록이 상호 접합되어 격자 배열을 이루되, 상기 장구형 블록은 PVC로 압축 발포되거나 멜라민 수지 경화 발포로 제작되어져 압축강도는 1.2kgf/cm2 ~ 5.0kgf/cm2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VC 발포심재는 충격 강도 3~8kgf/cm2, 밀도 0.55~0.9g/cm3를 갖고, ABS 판재와 베니어 박판은 가열온도 140~200℃, 가압압력 50~120kg/m2 으로 열접합되어져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목재 판넬의 제작 방법은,
2~4mm 두께의 ABS 판재와 0.1~0.2mm의 두께를 갖는 베니어 박판을 면접촉시켜 놓고, 50~120kgf/m2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140~200℃의 고온으로 열접합시켜서 전면판 및 후면판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사이로 내측에 섬유 또는 종이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허니컴(honey comb) 구조를 갖는 코어재를 배치하고;
상기 코어재의 둘레로 강성 압축 발포체로 충격 강도 3~8kg/cm2, 밀도 0.55~0.9g/cm3로 이루어져 상기 코어재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바 형태의 PVC 발포심재를 배치하고;
베니아 박판을 모두 판넬의 외측 방향으로 놓이도록 한 후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을 상기 코어재와 PVC 발포심재에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하여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판과 코어재 그리고 후면판과 코어재의 사이에는 각기 보강을 위한 MDF 판재가 더 개재되어 부착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재는 관통된 흡음공을 갖는 장구형 블록이 상호 접합되어 격자 배열을 이루어 대체되고, 상기 장구형 블록은 PVC로 압축 발포되거나 멜라민 수지 경화 발포로 제작되어져 압축강도는 1.2kgf/cm2 ~ 5.0kgf/cm2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목재 판넬 및 이의 제작 방법에 따르면, 베니어 박판을 제외한 코어재, 발포심재 및 전,후면판이 모두 합성수지 계열로 제작되어져 목재처럼 썩거나 비틀림 현상이 없다. 또한 베니어 박판에 의해 외관에 자연소재의 목재 무늬가 연출된다. 또한 코어재는 경량으로 제작되고 허니컴 또는 정사각 격자 구조를 갖아 판넬의 강성이 높아지고, 코어재가 관통 장구형 격자 배열구조를 갖는 경우 판넬의 흡읍 및 방음성이 뛰어난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베니아 박판은 자연소재 그 자체로서 코팅이 가능해져 방염처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목재 판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일부 절취된 목재 판넬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목재바가 설치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어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목재 판넬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C-C선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9에서 일부 절취된 목재 판넬의 사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목재 판넬(10)은 도어, 가구, 씽크대 등의 다양한 곳에 적용되는 것으로, 방음, 흡음 기능 이외에 외관이 원목 무늬가 나타나 외장의 기능이 뛰어나다.
목재 판넬(10)의 일 실시 예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판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일부 절취된 목재 판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일 실시 예의 목재 판넬(10)은 코어재(11), PVC 발포심재(12) 및 전,후면판(15a,15b)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어재(11)는 목재 판넬(10)의 내측에 직육면체 형태의 볼륨으로 배치된다.
코어재(11)는 섬유 또는 종이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허니컴(honey comb) 구조를 갖는 형태가 될 수 있다. 허니컴 구조의 경우 코어재(11)는 육각 형태의 벌집 구조가 동일 평면상에 접하여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갖게 되어 경량으로 압축 강도 및 비틀림에 저항한다.
다른 형태로 코어재(11)는 도 6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코어재의 다른 형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코어재(11)는 관통된 흡음공(110a)을 갖는 장구형 블록(110)이 상호 접합되어 격자 배열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이다. 장구형 블록(110)은 타악기의 장구 형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장구형 블록(110)은 단부에 넓은 원형의 접합 면적을 갖게 되고 서로간에 접합되어져 코어재(11)를 비틈림과 압축에 저항하도록 한다. 또한 장구형 블록(110)은 흡음공(110a)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웃한 상호 간에 도 7 및 도 8과 같이 마름모꼴의 흡음공간(110b)을 가지고 있어 도어나 방음판에 적용하는 경우 흡음(방음)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이때 장구형 블록(110)으로 이루어진 코어재(11)는 PVC로 압축 발포되거나 멜라민 수지 경화 발포로 제작되어져 압축강도는 1.2kgf/cm2 ~ 5.0kgf/cm2 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코어재(11)는 염화 처리된다.
이같이 코어재(11)는 경량으로 압축강도가 증가되어 목재 판넬(10)의 무게를줄이며 강도를 높이게 된다.
PVC 발포심재(12)는 강성 압축 발포체로 이루어져 충격 강도 3~8kgf/cm2, 밀도 0.55~0.9g/cm3를 갖는다. PVC 발포심재(12)는 상기 코어재(11)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바 형태로 제작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5와 같이 4개의 PVC 발포심재(12)가 모두 사각단면을 갖고 코어재(11)의 둘레를 에워싸도록 구성된다.
전면판(15a)과 후면판(15b)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전,후면판(15a,15b)은 ABS 판재(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판재)(13)와 베니어 박판(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ABS 판재(13)와 베니어 박판(14)은 고온 가열과 가압을 이용하여 접합되어 있다. 베니어 박판(14)은 원목을 박판으로 제작한 것으로 두께는 0.1~0.3mm를 갖는다.
따라서 전,후면판(15a,15b)은 베니어 박판(14)에 의해 천연의 원목 무늬를 연출하게 된다. 즉, 목재 판넬(10)은 베니어 박판(14)에 의해 원목 질감을 갖게 된다.
베니어 박판(14)은 노출 표면에 칼라 도장을 하거나 보호 코팅을 하여 마무리층을 더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목재 판넬(10)은 코어재(11)의 흡음성으로 도어에 적용하는 경우 방음이 뛰어나게 된다. 또한 가구나 싱크대 등에 적용하는 경우 무게를 줄일 수 있어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PVC 발포심재(12)에 의해 강성이 보강되면서 목재 판넬(10)의 뒤틀림이 방지된다.
또한 전,후면판(15a,15b)을 구성하는 베니어 박판(14)에 의해 천연의 원목 무늬와 원목 질감의 표현이 가능해져, 목재 판넬(10)이 원목 분위기를 연출하게 된다.
한편, 본 기능성 목재 판넬(10)의 다른 실시 예로, 도 9 내지 도 12와 같이 전면판(15a)과 코어재(11) 그리고 후면판(15b)과 코어재(11)의 사이에는 각기 보강을 위한 MDF 판재(16,16)가 더 개재되어 부착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목재 판넬(10)의 다른 실시 예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9의 목재 판넬의 일부를 부분 절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때 MDF 판재(16,16)에 대체하여 목재흡음판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목재 판넬(10)을 도어에 적용하는 경우 PVC 발포심재(12)의 내측으로 목재바(17)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목재바(17)는 도어 핸들 및 잠금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목재 판넬(1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2~4mm 두께의 ABS 판재(13)와 0.1~0.2mm의 두께를 갖는 베니어 박판(14)을 면접촉시켜 놓고, 50~120kgf/m2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140~200℃의 고온으로 열접합시켜 전면판(15a) 및 후면판(15b)을 제작하여 둔다.
이때 ABS 판재(13)와 베니어 박판(14)의 열접합은 유전가열이 될 수 있다.
그 다음, 전면판(15a)과 후면판(15b)의 사이로 내측에 섬유 또는 종이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허니컴(honey comb) 구조를 갖는 코어재(11)를 배치한다.
그 다음, 코어재(11)의 둘레로 강성 압축 발포체로 충격 강도 3~8kgf/cm2, 밀도: 0.55~0.9g/cm3로 이루어져 상기 코어재(11)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바 형태의 PVC 발포심재(12)를 배치한다.
그 다음, 베니아 박판(14)을 모두 판넬(10)의 외측 방향으로 놓이도록 한 후 상기 전면판(15a) 및 후면판(15b)을 상기 코어재(11)와 PVC 발포심재(12)에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한다. 여기서 접착제는 주지의 핫멜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제조 과정에서 전면판(15a)과 코어재(11) 그리고 후면판(15b)과 코어재(11)의 사이에는 각기 보강을 위한 MDF 판재(16,16)가 더 개재되어 부착되는 공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코어재(11)는 상기한 바와같이 관통된 흡음공(110a)을 갖는 장구형 블록(110)이 상호 접합되어 격자 배열을 이루는 도 6의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장구형 블록(110)은 PVC로 압축 발포되거나 멜라민 수지 경화 발포로 제작되어져 압축강도는 1.2kgf/cm2 ~ 5.0kgf/cm2 인 것이 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목재 판넬
11: 코어재
12: PVC 발포심재
13: ABS 판재
14: 베니아 박판
15a: 전면판
15b: 후면판
16: MDF 판재
110: 장구형 블록
110a: 흡음공

Claims (9)

  1. 목재 판넬(10)의 내측에 직육면체 형태의 볼륨으로 배치되는 코어재(11)와;
    강성 압축 발포체로 일정 범위의 충격 강도와 밀도로 이루어져 상기 코어재(11)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바 형태의 PVC 발포심재(12)와;
    ABS 판재(13)와 베니어 박판(14)이 열접합으로 일체화되어 상기 코어재의 전,후면에 각각 부착된 전,후면판(15a,15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재 판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5a)과 코어재(11) 그리고 후면판(15b)과 코어재(11)의 사이에는 각기 보강을 위한 MDF 판재(16,16)가 더 개재되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재 판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MDF 판재(16,16)에 대체하여 목재흡음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재 판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11)는 섬유 또는 종이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허니컴(honey comb)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재 판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11)는 관통된 흡음공(110a)을 갖는 장구형 블록(110)이 상호 접합되어 격자 배열을 이루되, 상기 장구형 블록(110)은 PVC로 압축 발포되거나 멜라민 수지 경화 발포로 제작되어져 압축강도는 1.2kgf/cm2 ~ 5.0kgf/c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재 판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VC 발포심재(12)는 충격 강도 3~8kgf/cm2, 밀도 0.55~0.9g/cm3를 갖고,
    ABS 판재(13)와 베니어 박판(14)은 가열온도 140~200℃, 가압압력 50~120kg/m2 으로 열접합되어져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재 판넬.
  7. 2~4mm 두께의 ABS 판재(13)와 0.1~0.2mm의 두께를 갖는 베니어 박판(14)을 면접촉시켜 놓고, 50~120kgf/m2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140~200℃의 고온으로 열접합시켜서 전면판(15a) 및 후면판(15b)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전면판(15a)과 후면판(15b)의 사이로 내측에 섬유 또는 종이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허니컴(honey comb) 구조를 갖는 코어재(11)를 배치하고;
    상기 코어재(11)의 둘레로 강성 압축 발포체로 충격 강도 3~8kg/cm2, 밀도 0.55~0.9g/cm3로 이루어져 상기 코어재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바 형태의 PVC 발포심재(12)를 배치하고;
    베니아 박판(14)을 모두 판넬(10)의 외측 방향으로 놓이도록 한 후 상기 전면판(15a) 및 후면판(15b)을 상기 코어재(11)와 PVC 발포심재(12)에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하여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재 판넬의 제작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5a)과 코어재(11) 그리고 후면판(15b)과 코어재(11)의 사이에는 각기 보강을 위한 MDF 판재(16,16)가 더 개재되어 부착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재 판넬의 제작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11)는 관통된 흡음공(110a)을 갖는 장구형 블록(110)이 상호 접합되어 격자 배열을 이루어 대체되고, 상기 장구형 블록(110)은 PVC로 압축 발포되거나 멜라민 수지 경화 발포로 제작되어져 압축강도는 1.2kgf/cm2 ~ 5.0kgf/c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재 판넬의 제작 방법.
KR1020140128866A 2014-09-26 2014-09-26 기능성 목재 판넬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160037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866A KR20160037267A (ko) 2014-09-26 2014-09-26 기능성 목재 판넬 및 이의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866A KR20160037267A (ko) 2014-09-26 2014-09-26 기능성 목재 판넬 및 이의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267A true KR20160037267A (ko) 2016-04-06

Family

ID=5579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866A KR20160037267A (ko) 2014-09-26 2014-09-26 기능성 목재 판넬 및 이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726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5671A (zh) * 2016-11-10 2018-05-15 徐州乐泰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吸音门
CN110952888A (zh) * 2019-10-31 2020-04-03 管延杰 一种3d浮雕金属质感橱柜门板
KR20230008980A (ko) * 2021-07-08 2023-01-17 이기봉 기능성 건축 내장용 마감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24212A (ko) 2022-02-17 2023-08-25 이태수 메탈 샌드위치판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5671A (zh) * 2016-11-10 2018-05-15 徐州乐泰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吸音门
CN110952888A (zh) * 2019-10-31 2020-04-03 管延杰 一种3d浮雕金属质感橱柜门板
KR20230008980A (ko) * 2021-07-08 2023-01-17 이기봉 기능성 건축 내장용 마감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24212A (ko) 2022-02-17 2023-08-25 이태수 메탈 샌드위치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30840B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EP0144340B1 (en) Acoustica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US4641726A (en) Composit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WO2009058107A2 (en) Polymer-based composite structural sheathing board and wall and/or ceiling system
KR20160037267A (ko) 기능성 목재 판넬 및 이의 제작 방법
CN1148501C (zh) 隔声夹层元件
RU2529687C2 (ru) Композитный слоистый материал (варианты)
KR101979065B1 (ko) 실내 내장재용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
KR100576493B1 (ko) 실내용 플라스틱 도어
KR101700173B1 (ko) 기능성 안전 건축 내외장재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97710Y1 (ko) 실내 벽면마감용 판넬구조
DE10229984A1 (de) Saunaelemente mit einer Kernschicht aus Polypropylen-Schaumstoff
JPWO2017164199A1 (ja) 表面化粧パネル及びこれを備えた化粧パネル
CN110944833A (zh) 由层压层覆盖的聚碳酸酯多壁片材制成的复合面板
KR102266935B1 (ko)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
JPH10115024A (ja) 複合断熱板
JP3173218U (ja) 間仕切りパネル
CN218323602U (zh) 一种室内保温装饰墙板
CN218804400U (zh) 一种用于建材产品的双饰面板
JPH0813943A (ja) 木製内装用扉
JP2008248679A (ja) 壁下地材および塗壁
JP3843358B2 (ja) 遮音断熱ドア
US20050224164A1 (en) Method for making a composite board and the composite board made thereby
KR200381038Y1 (ko) 화장실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
JPH05280140A (ja) 吸音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