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407A -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407A
KR20160036407A KR1020140128644A KR20140128644A KR20160036407A KR 20160036407 A KR20160036407 A KR 20160036407A KR 1020140128644 A KR1020140128644 A KR 1020140128644A KR 20140128644 A KR20140128644 A KR 20140128644A KR 20160036407 A KR20160036407 A KR 20160036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data
worker
construction
messag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2181B1 (ko
Inventor
이기관
박유태
최경래
Original Assignee
(주) 마이크로발전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마이크로발전소 filed Critical (주) 마이크로발전소
Priority to KR1020140128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1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9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achine readable codes or marks, e.g. bar codes or glyph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시설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작업 지시서를 작성, 배포하지 않고 작업자의 스마트폰이나 전용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작업 위치와 설치 장비 내역을 간편, 명확하게 전달하고 확인가능하며 작업 진척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시공위치, 설치장비 등 시공상의 오류나 휴먼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고품질의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현장의 작업 진척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며, 도착 시간 및 작업 종류시간을 작업원별로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도로 시설물 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 {Road Facilitie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도로 시설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작업 지시서를 작성, 배포하지 않고 작업자의 스마트폰이나 전용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작업 위치와 설치 장비 내역을 간편, 명확하게 전달하고 확인가능하며 작업 진척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도로 시설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관리요원이 설치위치를 표시하는 시공위치주소 등 위치 데이터 및 시공되어야 할 설치장비나 부품의 종류, 수량, 시공방법, 주의사항 등을 기재하여서 된 작업 지시서를 작성하여 미리 배정된 작업원에게 전달하고,
시공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원은 도로 시설물 시공 위치로 출발하기 전에 작업지시서의 기재 내용을 확인하고, 출발하여 지시된 시공위치로 이동하여 시공 현장을 확인한 다음 작업지시서의 기재 내용에 따라 시설물의 종류, 수량, 시공방법, 주의사항 등을 확인하고, 시설물의 시공 관련 주의 사항, 시공방법 등을 숙지한 후 현장의 시공 전 사진을 촬영하고 본격적인 시공에 착수하여 시공완료 후 시가동 및 테스트를 마치고 시공 후 촬영을 실시하며 일련을 작업을 마무리한 후 복귀하여 서면으로 작업보고서를 작성하여 대기중인 관리 요원에게 전달함으로써 현장 시공을 완료하고 관리 요원은 작업 보고서에 기초하여 시공 완료를 보고하는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도로 시설물 작업 지시서를 기준으로 실시되는 시공 공정은 관리 요원에 의하여 작성되고 작업원에게 전달된 후 일련의 시공 과정이 작업원에게 일임되어 수행되는 것이므로 정확한 시공을 위하여 작업원의 집중력이 반드시 필요하며, 작업 지시서의 기재 내용을 숙지하여야 하는 것인바, 작업원이 여러 사정으로 인하여 설치위치를 오인하거나 시공되어야 할 물품 관련 사항을 오인하여 오시공함에 따라 도로 시설물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되거나 재시공하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종래의 작업 지시서에 기반을 둔 일련의 시공 작업은 작업자의 집중력과 숙련도에 따라 시공 품질이 결정되며 불가피한 휴먼에러(Human Error)의 감수가 불가피한 실정이어서 시공 효율과 정확도를 제고하여야 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는 것이며,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복귀한 작업원의 보고가 있기 전까지 시공 작업의 진척도를 알 수 없어서 효율적인 인력 관리 및 배치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두리계전주식회사 2013.03.01. 문서관리규정서식 제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시공위치 데이터와 시공물 종류, 수량, 시공방법, 주의사항 등 시공에 관련한 일체의 데이터를 작업자가 휴대한 단말기에 전달하여 줌으로써, 서면으로 된 작업지시서가 불필요하게 됨은 물론 작업자가 도착한 시공현장 위치와 작업자가 차량에 탑재하여 운반한 시공 관련 장비나 부품 등이 정확한 것인지의 여부를 인증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시공위치에 지정된 설치장비가 정확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지시서의 기재 사항 인지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휴먼 에러를 최소화하며 시공 전, 후의 사진 촬영, 시공 완료의 보고 등 시공 진척 상황 보고가 실시간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 작업의 진척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도로 시설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작업원에게 별도로 시설물 시공을 위한 인쇄물인 작업 지시서를 제공하지 않고 시공위치데이터, 시공하여야 할 시공 시설물 데이터, 시공시 유의, 특이 사항 등을 작업원의 스마트폰이나 전용통신기 등 단말기로 전달하고 작업원으로부터 현장 시공 위치 확인, 시공 전 시설물 시공을 위한 준비 부품 등을 온라인상으로 인증 받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시공 전, 후 사진촬영데이터 및 시공 착수 및 시공 완료 상황 데이터 등을 현장으로부터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공 작업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시공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시공 상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고품질의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현장의 작업원이 복귀 후 별도의 보고서 작성 및 관리 업무 수행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시공 작업 전, 후의 관리 업무를 크게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의 작업 진척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도착 시간 및 작업 종류시간을 작업원별로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도로 시설물 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도로 시설물 시공을 위한 작업 지시서
도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4는 도3에 의한 시공 방법에 의하여 추가 작업을 시행하는 시공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5는 도4에 의한 시공 방법에 의하여 최종 작업을 시행하는 시공 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실시예를 도2 내지 도5로 도시하였다.
도2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먼저 작업원들에게는 스마트폰이나 전용 통신을 위한 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통칭함)가 준비되어야 한다.
아울러, 작업자 및 관리자의 ID, 작업자의 수행 가능한 기능, 인적사항, 이동전화번호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여서 된 인증 서버와,
공사 명칭, 공사 시공 위치, 설치장비, 작업 인원수, 공사 기간, 공사 유의 사항 등 공사 관련 각종 데이터를 입력시키고,
공사 현장으로부터 전송되는 공사전, 후의 사진촬영데이터 및 현장 도착시각, 공사 완료 시각 등의 공사 진척 상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로 각종 그림, 사진 등의 각종 오디오, 비디오 애니메이션 등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서버와,
상기 서버들과 무선, 유선 인터넷, 인트라넷(이하 "네트워크"로 통칭함)으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들에게 전달하고 상기 서버들을 제어하여 작업원들의 단말기와 인터넷으로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웹서버와,
상기 단말기와 웹서버 사이를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로 연결하기 위한 라우터 및 CSU(CHANNEL SERVICE UNIT)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을 단말기로 사용하는 경우 웹서버와의 접속으로 본 발명에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에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하여 작업자 ID 입력, 사진 촬영 데이터 전송, 설치 장비에 부착된 바코드나 QR코드의 전송 등 후술되는 기능이 실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장치에 기반하여 본 발명은 먼저 현장 관리자 단독 또는 현장 관리팀에서 어느 위치의 어떤 도로 시설물 시공을 어떤 작업원에게 할당할 것인지에 대하여 기본적인 의사 결정을 실시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입력시킨다.
이어서, 공사 수주 내용에 기반하여 산출된 설치위치를 좌표로 데이터화한 설치위치데이터와 공사 수주 내용에 기반하여 지정된 설치장비 데이터를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구축하는 설치위치데이터, 설치장비데이터 데이터베이스 저장단계(100)와,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설치위치데이터 및 설치장비데이터 입력 완료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설치위치데이터, 설치장비데이터 입력 완료 판정 단계(101)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설치위치데이터, 설치장비데이터를 수신할 특정 작업원을 입력하는 특정 설치위치데이터, 설치장비데이터 작업원 ID입력 단계(102)와, 상기 웹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특정 작업원의 단말기로 설치위치데이터 및 설치장비데이터를 전송하여 설치위치데이터, 설치장비데이터를 수신한 작업원의 단말기에서 고유의 ID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였는지를 판정하는 작업원 ID 무선망 수신 판정 단계(103)와,
작업원이 현장에 도착한 후 단말기에서 송신한 현장 도착 및 도착시간 데이터와 도착 현장 위치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작업원 현장 도착 데이터 수신 판정 단계(104)와,
단말기에서 송신한 도착 현장 위치 데이터 및 작업원 ID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설치위치데이터 및 작업원 ID와 동일한 것인지를 판정하는 설치위치데이터 및 작업원 ID 인증 단계(105)와,
판정 결과 도착 현장 위치 데이터 및 ID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설치 위치 데이터 및 ID와 불일치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하여 작업원 단말기에 "설치 위치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설치 위치 오류 메시지 전송 단계(1051)와, 위치 이동 지시 메시지 전송 단계(1052)와, 위치 이동 지시가 제한 횟수를 초과하였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위치 이동 지시 제한 횟수 초과 판정 단계(1053)와,
판정 결과 도착 현장 위치 데이터 및 작업자 ID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설치위치데이터 및 작업자 ID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즉시 작업원의 단말기에 설치 위치 도착 및 스캔 작업을 지시하는 설치 위치 도착 및 시공 전 사진 촬영 데이터 전송과 설치장비 스캔 메시지 전송 단계(106)와,
작업원에 의한 시공 전 사진 촬영 데이터 수신 및 단말기에서 설치장비 스캔하여 얻은 바코드나 QR코드 데이터 수신을 실시하는 시공전 촬영 설치 장비 스캔 데이터 수신 단계(107) 와,
작업원의 단말기에서 송신된 설치장비데이터 및 작업자 ID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입력된 설치장비데이터 및 작업자 ID와 일치하는 지를 판정하는 수신된 설치 장비 스캔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일치 판정단계(108)를 실시하며, 일치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작업원의 단말기로 설치작업의 승인과 설치완료시 설치완료 데이터 입력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설치작업 승인 및 설치 상태 입력 지시 단계(109)와,
상기한 설치작업 승인 및 설치 상태 입력 지시 단계에서 설치 상태 입력을 지시하는 문구가 예를 들면 "설치 완료시 지정버튼을 누르시오. "등과 같은 메시지 전송을 실시하여 작업원의 단말기에 표시하며, 작업원이 설치장비를 설치 완료하고 설치완료 표시 데이터와 함께 시공 완료 후 촬영된 사진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작업원의 설치완료 데이터 및 시공 후 촬영 사진 데이터 입력 판정단계(110)와, 상기한 단계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된 설치완료 데이터 및 시공 완료 사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업데이트를 실시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업데이트 단계(111)와, 다른 등록 작업 존재 여부 판정 단계(112)와, 다른 등록 작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실시되는 종료(113)단계가 실시된다.
또한, 설치 장비 데이터와 메모리 해당 번지에 기 저장된 설치 장비 데이터가 불일치하는 경우 웹서버에서 작업원의 단말기에 설치장비선택오류가 표시되도록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설치 장비 오류 메시지 전송 단계(1081)와, 장비 재스캔 및 재입력 지시 메시지 전송 단계(1082)와,
재스캔 제한 횟수가 설정 횟수를 초과하는 지를 판정하는 재스캔 제한 횟수 초과 판정 단계(1083)와, 재스캔 제한 횟수 초과의 경우 단말기에 에러를 표시하도록 하는 단말기로 에러 메시지 전송 단계(1058)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동작 후 종료하는 종료 단계(113)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원이 현재 종료한 도로시설물시공 작업 외에 동일한 위치에서 다른 도로시설물 설치작업을 계속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고,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다른 도로 시설물 설치공사를 계속하여야 할 경우가 있다. 먼저, 작업원이 동일한 위치에서 다른 도로시설물 설치작업을 계속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도4로 보인 바와 같이 현재 위치 추가 시공 판단 단계(1121)를 실시하여 현 위치에서 추가 시공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웹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작업원 단말기에 시공 전 사진을 촬영하고 준비하여 가져온 아직 설치되지 않은 설치 장비를 스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시공 전 촬영 및 스캔 지시 메시지 송신 단계(1122)를 실시하는 것이다.
아울러, 작업원에 의한 시공 전 사진 촬영 데이터 수신 및 단말기에서 설치장비 스캔하여 얻은 바코드나 QR코드 데이터 수신을 실시하는 시공전 촬영 설치 장비 스캔 데이터 수신 단계(1123)와,
작업원의 단말기에서 송신된 설치 장비데이터 및 작업자 ID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입력되어 미리 입력된 설치 장비데이터 및 작업자 ID와 일치하는 지를 판정하는 수신된 설치 장비 스캔 데이터와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 일치 판정단계(1124)를 실시하며, 일치하는 경우에는 설치작업 승인 및 설치 상태 입력 지시 단계(1125)와,
작업원의 설치완료 데이터 및 시공후 촬영 사진 데이터 입력 판정단계(1126)와, 데이버 베이스 서버 업데이트 단계(1127)와,
또 다른 등록작업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다른 등록작업 존재 판정 단계(1128)를 거쳐서 없으면 종료 단계(1129)를 실시하고 다른 등록작업이 존재하는 경우 현재 위치에 추가시공하는 것인지를 판정하는 현재 위치 추가 시공 여부 판정 단계(1121)를 수행하여 현재 위치에 추가 시공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도4로 보인 상기한 과정을 반복한다.
또한, 상기한 단계에서 설치 장비 데이터와 메모리 해당 번지에 기 저장된 설치 장비 데이터가 불일치하는 경우 설치 장비 오류 메시지 전송 단계(1130)와, 장비 재스캔 및 재입력 지시 메시지 전송 단계(1131)와,
재스캔 제한 횟수가 설정 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정하는 재스캔 제한 횟수 초과 판단 단계(1132)와, 재스캔 제한 횟수가 설정 횟수를 초과한 경우 단말기에 에러를 표시하도록 하는 단말기로 에러 메시지 전송 단계(1133)와, 에러메시지 전송 단계(1133) 실시 후 종료 단계(1129)를 실시한다.
아울러, 상기한 과정에서 현재 위치에 추가 시공 여부 판정 결과 다른 위치에 추가 시공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도5로 보인 바와 같은 위치 이동을 지시하고 웹서버와 단말기가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아래의 단계를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 상기 웹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특정 작업원의 단말기로 설치위치데이터 및 설치장비데이터를 전송하며, 이동을 촉구하는 설치위치 데이터 및 이동 메시지 송신 단계(1140)와, 설치위치데이터, 설치장비데이터를 수신한 작업원의 단말기에서 고유의 ID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 전송하였는지를 판정하는
무선망에 작업원 ID 수신 판정 단계(1141)와,
작업원 현장 도착 데이터 수신 판정 단계(1142)와,
설치 위치 데이터 및 작업원 ID 인증 판정 단계(1143)와,
판정 결과 도착 현장 위치 데이터 및 ID가 데이터 베이스 서버의 설치 위치 데이터 및 ID와 불일치하는 경우 설치 위치 오류 메시지 전송 단계(1145)와, 위치 이동 지시 메시지 전송 단계(1146)와, 위치 이동 지시가 제한 횟수를 초과하였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위치 이동 지시 제한 횟수 초과 판정 단계(1147)와,
판정 결과 도착 현장 위치 데이터 및 작업자 ID가 데이터 베이스 서버의 설치 위치 데이터 및 작업자 ID와 일치하는 경우에 설치위치도착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1144)와, 상기한 시공전 촬영 및 스캔지시메세지 송신 단계(1122)를 수행한 후 도4로 보인 바와 같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한다.
즉, 시공전 촬영 설치 장비 스캔 데이터 수신 단계(1123) 와,
설치 장비 스캔 데이터와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 일치 판정단계(1124)를 실시하며, 일치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서 작업원의 단말기로 설치작업의 승인과 설치완료시 설치완료 데이터 입력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설치작업 승인 및 설치 상태 입력 지시 단계(1125)와,
작업원의 설치완료 데이터 및 시공후 촬영 사진 데이터 입력 판정단계(1126)와, 상기한 단계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 전송된 설치완료 데이터 및 시공 완료 사진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업데이트를 실시하는 데이버 베이스 서버 업데이트 단계(1127)와, 다른 등록 작업 존재 여부 판정 단계(1128)를 거쳐 다른 등록 작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종료단계(1129)를 거쳐 종료된다.
또한, 설치 장비 데이터와 메모리 해당 번지에 기 저장된 설치 장비 데이터가 불일치하는 경우 설치 장비 오류 메시지 전송 단계(1130)와, 장비 재스캔 및 재입력 지시 메시지 전송 단계(1131)와,
재스캔 제한 횟수가 설정 횟수를 초과하는 지를 판정하는 재스캔 제한 횟수 초과 판정 단계(1132)에서 제한 횟수를 초과한 경우 단말기에 에러를 표시하도록 하는 단말기로 에러 메시지 전송 단계(1133)를 실시하고,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동작후 종료하는 종료 단계(1129)를 실시하게 되며, 제한 횟수에 미달한 경우에는 사진촬영 데이터 및 설치 장비 스캔 데이터 수신(1123)를 반복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업데이트 시킨 후에는 다른 등록 작업이 존재하는 지를 판정하고 현재 위치에 추가 시공하는 경우 도4로 보인 실시예의 과정을 반복하고 다른 위치에 추가 시공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도5로 보인 실시예의 과정을 반복하며, 다른 등록작업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련의 과정을 종료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작업원이 정확한 시공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보조적으로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하기 위한 주위 인식가능한 인식물이나 건물명칭, 기타 사항을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등록하여 웹서버, 네트워크를 통하여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에 내장된 GPS 데이터를 활용하거나 MGRS(Military Grid Reference System) 데이터를 미리 제공하여 해당 시공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설치 위치 오류로 인한 재시공이나 공기 지연, 공사비용 증가 등 여러 가지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웹서버에서 전송되는 각종 메시지 중에 시공 방법과 관련된 여러 주의 사항들을 필요한 횟수만큼 반복, 강조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오시공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여러대의 장비를 하나의 장소에 한 대 또는 복수 대 설치할 수도 있고 여러대의 장비를 여러 장소에 한 대 또는 복수개 설치하는 여러 경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여러 시공 작업 시작시부터 종료하는 시점까지 매 시공 작업 마다 웹서버로부터 그때 그때 필요한 사항을 전달받아 시공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러 작업 지시서들이나 각종 문건들을 보관하여야 할 필요가 없게 되어 미지급, 분실, 훼손으로 인한 시공 작업 차질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서 시공될 설치 장비에 바코드나 QR코드를 부착하여 해당 위치에 시공될 정확한 설치 장비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였으나, 기타 다양한 기호나 문자 등으로 표시하고 이를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인식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수단으로 설치 장비의 식별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더욱이 이러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장착된 GPS 데이터에 의하여 시공 위치 도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작업원의 현장 도착 시간을 파악할 수 있고 작업원의 설치 완료 데이터 송신이 웹서버에 수신되는 시간에 의하여 현장을 이탈하는 시간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작업원의 근태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인력 조정, 수급 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작업원에 의한 시공 위치 좌표 데이터와 설치 장비 확인 수단을 이용하여 작업원에 의한 구체적인 도로시설물 시공 방법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여러 요소들을 결합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설치위치데이터, 설치장비 데이터 데이터 베이스 저장단계
101: 설치위치데이터, 설치장비 데이터 입력 완료 판정 단계
102: 특정 설치위치데이터, 설치장비 데이터 작업원 ID입력 단계
103: 작업원 ID 무선망 수신 판정 단계
104: 작업원 현장 도착 데이터 수신 판정 단계
105: 설치 위치 데이터 및 작업원 ID 인증 단계
1051: 설치 위치 오류 메시지 전송 단계
1052: 위치 이동 지시 메시지 전송 단계
1053: 위치 이동 지시 제한 횟수 초과 판정 단계
106: 설치위치도착 및 시공전 사진 촬영 데이터 전송과 설치장비 스캔 메시지 전송 단계
107: 시공전 촬영 설치 장비 스캔 데이터 수신 단계
108: 설치 장비 스캔 데이터와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 일치 판정단계
109: 설치작업 승인 및 설치 상태 입력 지시 단계
110: 작업원의 설치완료 데이터 및 시공후 촬영 사진 데이터 수신 판정단계
111: 데이버 베이스 서버 업데이트 단계
1081: 설치 장비 오류 메시지 전송 단계
1082: 장비 재스캔 및 재입력 지시 메시지 전송 단계
1083: 재스캔 제한 횟수 초과 판정 단계
1058: 단말기로 에러 메시지 전송 단계
112: 다른 등록 작업 존재 여부 판정 단계
113: 종료 단계
1121:위치 추가 시공 판정 단계
1122: 시공전 촬영 및 스캔 지시 메시지 송신 단계
1123: 시공전 촬영 데이터 및 설치 장비 스캔 데이터 수신 단계
1124: 작업원 ID, 설치장비 스캔 데이터와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 일치 판정 단계
1125: 설치작업 승인 및 설치 상태 데이터 입력 지시 단계
1126: 작업원의 설치 완료 데이터, 시공후 사진 데이터 수신 판정 단계
1127: 데이터 베이스 업데이트 단계
1128: 다른 등록 작업 존재 여부 판정 단계
1129: 종료 단계
1130: 설치장비 오류 메시지 전송 단계
1131: 장비 재스캔 및 재입력 지시 단계
1132: 재스캔 제한 횟수 초과 여부 판정 단계
1133: 단말기로 에러 데이터 송신 단계
1140: 설치위치데이터 및 이동메세지 송신 단계
1141: 무선망에 작업원 ID 수신 판정 단계
1142: 작업 현장 도착 데이터 수신 판정 단계
1143: 설치 위치 데이터 및 작업원 ID 인증 판정 단계
1144: 설치 위치 도착 메시지 송신 단계
1145: 작업원 단말기에 설치 위치 오류 메시지 전송 단계
1146: 위치 이동 지시 메시지 전송 단계
1147: 위치이동지시 제한횟수 초과 판정 단계

Claims (6)

  1. 설치위치데이터, 설치장비데이터 데이터베이스 저장단계와,
    설치위치데이터, 설치장비데이터 입력 완료 판정 단계와,
    특정 설치위치데이터, 설치장비 데이터 작업원 ID입력 단계와, 작업원 ID 무선망 수신 판정 단계와,
    작업원 현장 도착 데이터 수신 판정 단계와,
    설치 위치 데이터 및 작업원 ID 인증 단계와,
    설치 위치 오류 메시지 전송 단계와, 위치 이동 지시 메시지 전송 단계와, 위치 이동 지시 제한 횟수 초과 판정 단계와,
    설치위치도착 및 시공전 사진 촬영 데이터 전송과 설치장비 스캔 메시지 전송 단계와,
    시공 전 촬영 설치 장비 스캔 데이터 수신 단계 와,
    설치 장비 스캔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일치 판정단계와,
    설치작업 승인 및 설치 상태 입력 지시 단계와,
    작업원의 설치완료 데이터 및 시공 후 촬영 사진 데이터 입력 판정단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 업데이트 단계와, 설치 장비 오류 메시지 전송 단계와, 장비 재스캔 및 재입력 지시 메시지 전송 단계와,
    재스캔 제한 횟수 초과 판정 단계와,
    단말기로 에러 메시지 전송 단계와,
    다른 등록 작업 존재 여부 판정 단계와, 다른 등록 작업이 존재하지 않으면 실시되는 종료 단계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른 등록 작업 존재 여부 판정 단계에서 아직 실시되지 않은 다른 등록 작업이 존재하고 현재 위치에 추가 시공 단계를 실시하는 현 위치 추가 시공 판단 단계 경우,
    시공 전 촬영 및 스캔 지시 메시지 송신 단계와,
    시공 전 촬영 설치 장비 스캔 데이터 수신 단계와,
    설치 장비 스캔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일치 판정단계와,
    설치작업 승인 및 설치 상태 입력 지시 단계와,
    작업원의 설치완료 데이터 및 시공 후 촬영 사진 데이터 입력 판정단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 업데이트 단계와, 다른 등록 작업 존재 여부 판정 단계와,
    다른 등록 작업이 존재하지 않으면 종료하는 단계와, 다른 등록 작업이 존재하면 현재 위치에 추가 시공 여부 판정 단계로 복귀함과 아울러,
    상기한 설치 장비 데이터와 메모리 해당 번지에 기 저장된 설치 장비 데이터가 불일치하는 경우 설치 장비 오류 메시지 전송 단계와, 장비 재스캔 및 재입력 지시 메시지 전송 단계와,
    재스캔 제한 횟수가 설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단말기에 에러를 표시하도록 하는 단말기로 에러 메시지 전송 단계를 수행한 후 종료 단계를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른 등록 작업 존재 여부 판정 단계에서 아직 실시되지 않은 다른 등록 작업이 존재하고 현재 위치에 추가 시공 판단 결과 다른 위치에 추가 시공 단계를 실시하여야 하는 경우 작업원의 단말기로 설치위치데이터 및 설치장비데이터를 전송하는 설치위치 데이터 및 이동 메시지 송신 단계와, 작업원 ID 무선망 수신 판정 단계와,
    작업원 현장 도착 데이터 수신 판정 단계와,
    설치 위치 데이터 및 작업원 ID 인증 단계와,
    판정 결과 도착 현장 위치 데이터 및 ID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설치 위치 데이터 및 ID와 불일치하는 경우 설치 위치 오류 메시지 전송 단계와, 위치 이동 지시 메시지 전송 단계와, 위치 이동 지시가 제한 횟수를 초과하였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위치 이동 지시 제한 횟수 초과 판정 단계와,
    판정 결과 도착 현장 위치 데이터 및 작업자 ID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설치 위치 데이터 및 작업자 ID와 일치하는 경우에 설치위치 도착 메세 송신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한 시공 전 촬영 및 스캔 지시 메시지 송신 단계 이하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설치 장비의 일측에 바코드 및 QR코드 등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인식가능한 스캔 가능 표식을 부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는 GPS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는 MGRS가 내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
KR1020140128644A 2014-09-25 2014-09-25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 KR101702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644A KR101702181B1 (ko) 2014-09-25 2014-09-25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644A KR101702181B1 (ko) 2014-09-25 2014-09-25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407A true KR20160036407A (ko) 2016-04-04
KR101702181B1 KR101702181B1 (ko) 2017-02-02

Family

ID=5579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644A KR101702181B1 (ko) 2014-09-25 2014-09-25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1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3705A (zh) * 2016-12-27 2017-06-09 武汉微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对高速公路设备的巡检方法及系统
KR102269793B1 (ko) * 2020-11-27 2021-06-28 주식회사 노바시스템 Iot를 이용한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444A (ko) * 2007-01-19 2008-07-23 대한민국(국방부 장관) 통합 정비 관리 시스템
KR20090121981A (ko) * 2008-05-23 2009-11-26 이동률 전력설비 건설 및 유지 관리를 위한 it시스템, 장치 및그 방법
KR20110139378A (ko) * 2010-06-23 2011-12-29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지능형 rfid 설비 검침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444A (ko) * 2007-01-19 2008-07-23 대한민국(국방부 장관) 통합 정비 관리 시스템
KR20090121981A (ko) * 2008-05-23 2009-11-26 이동률 전력설비 건설 및 유지 관리를 위한 it시스템, 장치 및그 방법
KR20110139378A (ko) * 2010-06-23 2011-12-29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지능형 rfid 설비 검침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두리계전주식회사 2013.03.01. 문서관리규정서식 제3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3705A (zh) * 2016-12-27 2017-06-09 武汉微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对高速公路设备的巡检方法及系统
KR102269793B1 (ko) * 2020-11-27 2021-06-28 주식회사 노바시스템 Iot를 이용한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181B1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401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блокирования установки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и сервер
US7966384B2 (en) Real-time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nd updating changes to infrastructure data
KR20130094465A (ko) 무선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설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10041524A (ko) 원격 관리 장치 및 원격 관리 시스템
CN105259875A (zh) 智能家居设备的绑定方法、装置及系统
CN106373351B (zh) 升降机的维护系统
CN110895606A (zh) 适用于新建账户的内部系统管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KR101702181B1 (ko)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
JP6262609B2 (ja) 工事進捗管理システム
KR101183898B1 (ko)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
JP2015095017A (ja) 携帯情報機器による出欠管理システム
TW201710811A (zh) 設備維護管理系統、設備維護裝置及電腦程式產品
JP2017079019A (ja) 建築分野用システム
JP2017182208A (ja) 生コンクリートの納入および打設管理システムと納入および打設管理方法
JP2017188013A (ja) 生コンクリートの出荷および納入管理方法と出荷および納入管理システム
CN104601734A (zh) 一种智能储物柜的在线激活方法
CN109271210A (zh) 一种配置文件的核查方法及装置
CN106168794B (zh) 一种搅拌站的远程控制方法及装置
JP4998296B2 (ja) 通信端末位置画像作成装置、通信端末位置画像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935962B (zh) 与网络连接的显示装置、显示系统
KR101557693B1 (ko)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및 방법
CN110414062B (zh) 一种获取设计图纸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4741981B2 (ja) 設備情報管理側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を備えた設備情報管理支援システム。
JP6005023B2 (ja) 通信機器設置支援装置、通信機器設置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721914B2 (ja) 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