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793B1 - Iot를 이용한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를 이용한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793B1
KR102269793B1 KR1020200162092A KR20200162092A KR102269793B1 KR 102269793 B1 KR102269793 B1 KR 102269793B1 KR 1020200162092 A KR1020200162092 A KR 1020200162092A KR 20200162092 A KR20200162092 A KR 20200162092A KR 102269793 B1 KR102269793 B1 KR 102269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information
equipment
construction site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바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바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162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30Constru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설 장비 작업자 계정으로 접속하는 작업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 정보를 수신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관제 서버는, 상기 작업자 단말의 GPS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에 매칭된 건설 장비의 작업 상태를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OT를 이용한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HEAVY EQUIPMENT IN CONSTRUCTION SITE USING IOT}
본 발명은 IOT를 이용한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 현장에서 이동하는 장비를 쉽게 관제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이 대형화되고 고층화되면서 이러한 건설 현장에는 다수의 건설 장비가 투입되어 동작하고 있지만, 실시간으로 현장의 건설 장비들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건설 현장의 경우, 관리자가 확인하기에는 물리적으로 공간이 크고 먼지 등이 많이 발생하며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진동 등으로 인해서 관리자가 직접 확인하기에는 위험의 요소가 크기 때문에 모니터링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또한, 이동 중인 건설 장비의 경우에는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포크레인, 덤프트럭, 레미콘과 같은 중장비의 경우, 건설 현장 내외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주택가 주변이나 좁은 길을 지나가야 하는 경우가 많이 존재하여 주변으로부터 많은 민원이 접수되고 있는 현실이다.
공사 현장에서는 이러한 민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현장, 이동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며 작업을 하고 있지만, 해당 공사 현장 관련 장비가 아닌 민원을 받는 등의 불명확한 민원도 존재하기 때문에 관리에 많은 한계를 느끼고 있다.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10-1678027호와 같이, 관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IOT를 이용한 건설 현장 장비의 관제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기로 한다.
특허등록번호 제10-1678072호(2016.11.2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을 통하여 다양한 장비의 실시간 작업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때 건설 장비를 운영하는 작업자에게도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건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때, 건설 현장에서 누적되는 빅데이터를 학습하여 새로운 건설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건설 현장 간의 장비, 자재 현황을 상호 공유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건설 현장 장비, 자재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건설 현장에서 받는 민원을 건설 장비 작업자에게도 실시간 공유할 수 있어 민원에 대한 빠른 조치를 통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현장 작업량을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어, 다양한 통계 자료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설 장비 작업자 계정으로 접속하는 작업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 정보를 수신하는 관제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작업자 단말의 GPS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에 매칭된 건설 장비의 작업 상태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 서버는, 건설 장비의 이동 경로에 대한 속도 제한 정보를 상기 작업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작업자 단말에서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촬영된 장소에 대한 건설 작업 진행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작업자 단말과 매칭된 건설 장비의 장비 정보, 소속 정보, 운행 내역 정보 및 고장 진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설 현장의 잔여 작업 일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 서버는, 건설 현장의 계획고, 지반고 및 절성고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작업량 정보를 상기 작업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관제 서버에서 건설 현장 장비 관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설 장비 작업자 계정으로 접속하는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작업자 단말의 GP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에 매칭된 건설 장비의 작업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건설 장비의 작업 상태를 상기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건설 장비의 이동 경로에 대한 속도 제한 정보를 상기 작업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 단말에서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장소에 대한 건설 작업 진행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 단말과 매칭된 건설 장비의 장비 정보, 소속 정보, 운행 내역 정보 및 고장 진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설 현장의 잔여 작업 일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설 현장의 계획고, 지반고 및 절성고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작업량 정보를 상기 작업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을 통하여 다양한 장비의 실시간 작업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때 건설 장비를 운영하는 작업자에게도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건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때, 건설 현장에서 누적되는 빅데이터를 학습하여 새로운 건설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건설 현장 간의 장비, 자재 현황을 상호 공유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건설 현장 장비, 자재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건설 현장에서 받는 민원을 건설 장비 작업자에게도 실시간 공유할 수 있어 민원에 대한 빠른 조치를 통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현장 작업량을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어, 다양한 통계 자료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IOT를 이용한 건설 현장 장비를 관제하는 관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관제 서버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르는 건설 현장 장비 관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예에 따르는 건설 현장 장비 관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의 관제 서버의 일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에서 실시간 건설 현장 상황을 나타내는 일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에서 건설 현장 지도를 나타내는 일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에서 건설 현장의 성토고 지형변화를 나타내는 일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에서 건설 현장의 구간별 성토량를 나타내는 일 화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에서 건설 현장의 장비 등록 현황을 나타내는 일 화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에서 건설 현장의 장비 투입 현황을 나타내는 일 화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에서 건설 현장의 지오펜싱에 따른 과속 단속 구간 및 단속 현황을 나타내는 일 화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에서 건설 현장의 건설 장비의 운행 현황을 나타내는 일 화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IOT를 이용한 건설 현장 장비를 관제하는 관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Internet of Things)를 이용한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은 작업자 단말(100a, 100b, 100c, 통칭하여 100) 및 서버(200)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작업자 단말(100a, 100b, 100c)은 건설 현장에서 건설 장비를 이용하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데스크탑, PDA, 네비게이션, PDA 등 디지털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작업자’는 건설 현장의 작업을 담당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작업자는 현장에서의 건설 인부, 건설 장비를 운전하는 운전기사, 건설 장비의 작업을 지원하는 작업자, 건설 현장을 관리하는 관리자 등 건설 현장과 관련되어 업무를 처리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것으로 넓게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건설 현장’은 건물을 짓거나 구조물을 짓거나 간척을 하는 등의 일반적인 건설 현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건설 장비’는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장비, 건설 현장까지 건설 자재를 운송하는 장비, 건설 현장을 관리하는 장비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의 건설 장비의 예로, 덤프트럭, 포크레인(굴삭기), 레미콘(트럭믹서), 크레인, 로라(롤러), 불도저 등이 건설 장비에 해당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언급한 건설 장비 이외에도 건설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비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건설 장비의 경우, 건설 장비 자체에 내장되거나 거치하는 형태의 디지털 기기가 있다. 대표적인 예로 내비게이션, 블랙박스, GPS와 같은 기기들이 작업자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건설 장비에 내장되거나 거치하는 형태가 아니라, 작업자가 휴대하는 기기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가 작업자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건설 장비의 위치를 파악함에 있어 건설 장비의 작업자(운행자)의 단말 또한 동일하게 이동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건설 장비와 작업자 간에는 매칭 정보가 관제 서버에 등록될 수 있다. 관제 서버는 건설 장비별 또는 기간별, 시간별, 장소별 등 다양한 기준으로 건설 장비와 작업자를 매칭한 매칭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건설 장비와 작업자의 매칭은 반드시 일대일일 필요는 없다. 건설 장비의 종류, 특성, 작업 환경 등에 따라서 일대다, 다대일 또는 다대다 매칭이 가능하다. 다만, 건설 장비의 이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작업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일대일 매칭인 경우가 위치 파악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관제 서버(200)는 건설 현장의 작업을 관리하고, 건설 장비의 관리, 투입 현황, 건설 인부 현황 등 현장을 총괄하는 관제 기기이다. 따라서, 관제 서버는 물리적인 공간, 건설 현장의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관제 서버가 하나의 현장을 관리하거나, 하나의 관제 서버가 다수의 건설 현장을 관리할 수 있다.
관제 서버가 복수 개인 경우에 관제 서버 간에도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 상호 간에도 정보의 공유 및 송수신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관제 서버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 서버(200)는 장비 정보 데이터베이스(210), 투입 현황 데이터베이스(220), 현장 관리부(230), 작업량 결정부(240),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도2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전원부, 저장부, 입출력부, 통신부 등 서버 동작을 위해 필요한 다수의 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장비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건설 장비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건설 장비에 관련된 정보는 건설 장비 정보, 건설 장비의 소속 정보, 운행 내역 정보, 고장 진단 정보를 포함한다.
건설 장비 정보는 해당 건설 장비의 모델명, 연식, 동작에 필요한 매뉴얼 등 장비 자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해당 건설 장비를 운행하는데 필요한 면허 정보, 자격 정보, 작업 가능 작업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건설 장비의 경우에는 해당 건설사 소유의 장비일 수 있으나, 건설 현장에 따라 임대하는 장비일 수 있으며, 또는 지입 등으로 소유 관계가 다양할 수 있으며, 해당 건설 장비가 임대인 경우에는 임대 비용, 해당 건설 장비를 임대하기 위한 임대 조건 등의 정보가 소속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장비 정보 DB(210)는 건설 장비의 운행 내역 정보를 포함한다. 기간별, 시간별, 현장별 등 다양한 기준에 따른 운행 내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동작하는 장비의 작업자 단말을 통해서 운행 내역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덤프트럭의 운송에 있어서 상하차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투입 현황 데이터베이스(220)는 건설 현장에 투입된, 투입되고 있는, 투입될 장비, 인력, 시설 등의 정보를 관리한다. 건설 현장이 개시된 이후로부터 어떠한 건설 장비들이 투입되었으며, 건설 인부가 어느 규모로 투입되었는지에 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투입 현황 DB(220)는 이전의 투입 현황 정보에 따라 작업 규모, 작업 대상에 대한 투입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입 현황 DB(210)는 맨먼스(Man/Month)와 같은 방식으로, 특정 길이의 도로를 건설하는 경우, 몇 종의 건설 장비, 몇 대의 건설 장비, 몇 명의 건설 인부, 소요 기간을 통계로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투입 현황 DB(220)는 계획 일정과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차이가 발생한 이유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마철과 같은 날씨 이슈로 공사가 중단된 경우, 정책 또는 규제 등과 같은 사회적인 이유로 투입 현황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현장 관리부(230)는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이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이슈로는 건설 스케쥴, 건설 인력 관리, 건설 장비 관리, 건설 관련 법령에 대한 준수 여부, 민원 발생에 관한 정보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현장 관리부(230)는 건설 현장이 완공되는 기간까지의 작업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현장 관리부(230)는 건설 현장에서의 사고 유무, 사고 예방 교육, 민원 접수 상황 등을 타임라인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작업량 결정부(240)는 전체 작업에서 작업 진행된 정도, 작업된 작업량을 계산하여, 앞으로 작업해야 할 작업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앞으로 작업해야 할 작업량으로서, 건설 장비별 작업량, 건설 인력별 작업량, 영역별 작업량 등 다양한 기준에 따른 작업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작업량 결정부(240)는 해당 건설 현장에서의 작업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량을 결정할 수 있다. 건설 현장마다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건설 현장 특유의 작업 조건에 따라 작업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설 현장이 기존 도로에서 상당히 먼 경우, 건설 현장의 지대의 편평도가 상당히 낮은 경우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작업량 결정부(240)는 다른 건설 현장에서의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량을 결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다르게 건설 현장별 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짧은 도로를 건설하는 경우 등과 같은 경우, 유사 건설 현장의 기작업 정보를 토대로 하여 작업량을 결정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건설 현장의 경우, 작업자의 경력, 노하우 등에 따라서 정성적인 작업량 예측만 가능한 한계가 존재하였다. 동일한 작업을 많이 수행한 작업자의 경험을 토대로 작업량, 건설 자재량을 예측함에서 부정확한 요소가 상당히 많이 존재하였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르는 작업량 결정부(240)는 작업자의 경험이 아닌, 유사 작업의 작업 내역 등의 기존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작업량을 결정하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판단이 가능하다.
따라서,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인력의 경험이 적거나, 경험이 없어도 참고할 수 있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작업량 등을 작업량 결정부(240)로부터 안내받을 수 있어, 효율적인 건설 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작업량 결정부(240)는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를 학습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유사도에 따라 신규 건설 현장의 작업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세부적인 작업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량 결정부(240)는 요구되는 건설 자재의 량을 계산할 수 있어, 건설 자재의 조달 등에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량 결정부(240)는 5층 건물을 짓는 데 필요한 시멘트의 양에 따라 레미콘의 운행 일정을 계획할 수 있으며, 도로 건설에 필요한 아스팔트의 양 등을 계산하여 오차 범위를 줄이는데 유리할 수 있다.
기존의 건설 관제 시스템의 경우에는 유능한 관리자가 작업량을 결정하고, 건설 자재를 주문하는 등의 방식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은, 타 건설 현장과의 데이터베이스 공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한 건설 장비, 건설 인력, 건설 자재에 관한 조달 정보를 구체적인 수치로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부(250)는 장비 정보 DB(210), 투입 현황 DB(220), 현장 관리부(230) 및 작업량 결정부(240)가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250)는 그 밖에 관제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며, 작업자 단말 및 다른 관제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정상적으로 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관제 서버(200)는 현장 비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현장 비교부는 다수의 건설 현장 간에 차이점이 될 수 있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건설 현장 간에는 그 지형적 특징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토질이 다를 수 있으며, 또는 주변 도로 사정이 달라 건설 장비의 이동에 서로 다른 조건이 부여될 수 있다.
건설 현장 간에는 또한 그 건설 기간에 따라 서로 다른 작업 환경일 수 있다. 건설이 2-3년씩 장기간 진행되는 대규모 건설 현장일 수 있으며 반대로 1개월 이내로 완료할 수 있는 건설 현장일 수 있다. 단기간의 건설 현장인 경우에는 그 계절적 특성이 건설의 진행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현장 비교부는 시기적인 특성 정보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건설 현장 간에는 투입되는 건설 장비가 상이할 수 있다. 단순히 건설 장비의 양적인 비교뿐만 아니라, 건설 장비의 종류가 상이할 수 있으며, 또는 같은 종류의 장비라도 연식이나 관리 정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현장 비교부는 건설 현장 간에 투입되는 건설 장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건설 현장 간에는 투입되는 건설 인부가 상이할 수 있다. 유사 규모의 건설 현장이더라도 투입되는 건설 인부의 수, 경력 정도, 자격 정도에 따라서 건설의 진행 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 비교부는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건설 인부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건설 현장 간에는 투입되는 건설 자재 및 공법이 상이할 수 있다. 어떠한 자재와 어떤 공법으로 건설을 하느냐에 따라서, 건설의 진행 속도, 구조물의 안전성 등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 비교부는 이러한 건설 자재, 공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건설 현장 간에 독특한 특성이 다르지만, 이를 총괄하는 건설사 입장에서는 건설 현장의 상황을 정성적인 비교만 가능할 뿐, 정량적인 분석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를 때, 건설 현장 간의 효율적인 정보 공유 및 건설 계획 수립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200)는 건설 현장 A에 투입된 건설 장비, 건설 인부의 전문성 등의 차이를 지표로 분석하여 건설 현장 B에 적용할 건설 장비, 건설 인부, 건설 자재, 공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200)는 앞서 언급한 건설 장비 DB(210), 투입 현황 DB(220), 현장 관리부(230), 작업량 결정부(240) 및 제어부(250)의 동작으로 건설 시뮬레이션 및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국적으로 여러 건설 현장이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매일 매일 건설 장비, 건설 인부, 건설 자재의 공급 및 수요가 집중되거나 불균형하게 배분될 수 있다. 따라서, 관제 서버(200)는 복수의 건설 현장 간의 배분에 대한 스케쥴링을 수행하여 효율적인 관제를 수행할 수 있다.상기의 관제 시스템을 위해서 관제 서버(200)는 수집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빅데이터로 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존에 진행하지 않았던 건설에 대하여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에 진행한 이력이 없는 해저 철도 또는 해안가 공항에 대하여도 예상 건설 일정 및 투입량을 정량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르는 건설 현장 장비 관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관제 서버는 건설 장비 작업자 계정으로 접속하는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자 단말의 GPS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10). 건설 장비에 작업자 단말이 내장, 거치 또는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해당 건설 장비를 운행하는 작업자의 단말(예, 스마트폰)이 작업자 단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기술로서 GPS 기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위치 측위 기술이 GPS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Wi-Fi, 블루투스, 비콘, NFC 등과 같은 기존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서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GPS와 함께 위치를 결정하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관제 서버는 건설 장비와 작업자의 매칭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어느 작업자가 건설 장비를 운행 중인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매칭 정보는 작업자 단말에 접속(login)하는 작업자 계정에 따라 특정될 수 있다.
관제 서버가 건설 장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작업자 단말의 GPS 정보를 수신하며, 관제 서버는 건설 장비의 이동 여부, 이동 경로, 이동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덤프트럭의 경우 상차지에서 하차지인 건설 현장까지의 이동 경로를 작업자 단말의 GPS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종의 건설 장비(예, 포크레인)이 현장 내에 다수 존재하는 경우, 관제 서버는 번호판과 같은 식별 정보 외에도 현재의 위치에 따라 건설 장비를 특정할 수 있다.
관제 서버는 수신된 GPS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 단말에 매칭된 건설 장비의 작업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S320). 관제 서버는 건설 장비가 운행 중인지 여부, 운행을 하고 있는 경우, 운행의 횟수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미콘의 경우, 실을 수 있는 시멘트의 양이 계산 가능하기 때문에, 관제 서버는 레미콘의 운행 횟수에 따라 시멘트의 양을 계산할 수 있으며, 레미콘의 운행이 종료된 경우, 해당 시멘트 자재의 운송이 완료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관제 서버는 작업 상태를 결정할 수 있으며, 현재 건설 장비가 어떤 상태로 운행 중인지 등의 작업 상태를 작업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330). 건설 현장의 경우, 아직 도로가 정식으로 개통되지 않거나, 도로 표지판이 없는 등, 또는 몇 대의 레미콘이 운행을 하고 있는지 등 작업자가 작업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관제 서버는 건설 장비의 작업 상태를 계산된 수치 또는 정해진 항목으로 결정하여 작업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는 도로 건설을 위해 흙을 쌓는 경우에도 해당 구간에 성토고 정보를 통해서 흙을 실은 덤프트럭이 해당 구간에 어느 정도의 흙을 더 실어야 하는지를 작업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예에 따르는 건설 현장 장비 관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관제 서버는 작업자 계정으로 접속하는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자 단말의 GPS 정보 및 촬영 이미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10).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을 통해서 건설 현장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이미지는 촬영된 장소에 관한 GPS 정보와 함께 관제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관제 서버는 수신된 GPS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 단말에 매칭된 건설 장비의 작업 상태를 결정할 수 있으며(S420), 수신된 촬영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된 장소에 대한 건설 작업 진행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S430).
관제 서버는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건물의 높이, 도로의 폭, 성토고(흙을 쌓은 높이) 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측 기술은 기존의 기술을 적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관제 서버는 건설 현장의 위치에 따라 작업 진행된 정도 및, 작업해야 할 작업량 등의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작업량 정보를 작업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440). 예를 들어, 10km 길이의 도로를 건설하는 경우, 관제 서버는 작업자 단말에서 1km 단위로 촬영된 이미지 정보에 따라, 도로의 건설 진행 정도를 결정할 수 있고, 성토고 정보 등에 따라 어느 구간에 흙을 더 쌓아야 하는지 등을 작업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을 통해 요구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의 관제 서버의 일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 서버는 건설 현장에 대한 지도, 지도 상의 투입 현황, 현재까지의 작업량 정보를 관제할 수 있으며, 건설 현장의 작업자와의 통신을 통해서 건설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관제 서버는 건설 장비의 투입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는 덤프트럭이 전일 몇 대 투입되었는지, 오늘 현재 몇 대가 투입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고, 누적된 투입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는 현재 어느 위치에 어떠한 건설 장비가 작업 중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건설 장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건설장비의 운행 여부, 이동 경로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는 작업자 계정의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건설 장비별 매칭된 작업자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는 작업 위치별 작업 진행 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계획고, 지반고, 절성고와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구간별 작업 진행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는 작업량 이외에도 현장 관리와 관련하여, 민원이 발생하였는지와 같은 외부 정보를 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또는 건설 장비가 속도 제한과 같은 규제를 위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기존의 도로 등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관련 법령에 따라 소음, 진동, 속도 등을 규제할 수 있으나, 신규로 간척되거나 도로가 건설되는 경우에는 관련 법령이 적용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관제 서버는 규제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규제에 관한 정보를 작업자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작업자 단말에서 규제가 되는 부분을 준수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 건설되는 도로가 농촌 지역의 이동하는 경우, 이동 경로 상의 도로 속도 제한이 60km/h이더라도 관제 서버는 30km/h의 속도 제한을 설정할 수 있으며, 과속 여부를 이동 중인 건설 장비에 알림으로써 속도를 제어하는 데에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에서 실시간 건설 현장 상황을 나타내는 일 화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 서버의 화면을 통해 현재 건설 현장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관제 서버의 관리자는 관제 대상 건설 현장의 상황을 지도 상에 표시된 정보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관제 서버의 관리자는 신규 건설되는 도로 상의 어느 위치에 어떠한 작업자가 위치하는지, 어떠한 건설 장비가 투입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에서 건설 현장 지도를 나타내는 일 화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 서버에 저장되는 건설 현장 정보에는 건설 현장별 작업 조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량 1의 길이는 45m이고, 교량 2의 길이는 35m와 같이, 작업 구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됨으로써 건설 장비가 해당 경로로 이동할 수 있는지, 또는 어떠한 방식으로 이동을 해야하는지 등의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농촌 지역의 노인보호지역의 경우, 30km/h의 속도 제한 구역일 수 있으나, 이 구역을 이동하는 덤프트럭과 같은 중장비가 단속 카메라 근접에서만 제한 속도를 준수하고 다른 구역에서는 이를 준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현재 덤프트럭의 이동 속도 또한 위치 정보에 따라 관리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한 속도인 30km/h 보다도 더 느린 20km/h의 속도로 제한 속도를 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에서 건설 현장의 성토고 지형변화를 나타내는 일 화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 현장의 사업장의 성토고 지형 정보가 그래픽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관제 서버는 건설 현장의 구간 별 성토고 정보를 관리자가 이해하기 쉬운 그래픽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계획보, 지반고, 성토고 등의 작업량 정보에 기초하여 건설 계획 변경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의 예와 같이, 성토고 지형 정보는 기간별 정보로 변화 과정을 누적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조회하려는 기간에 따라 작업 진행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관제 서버는 기간별 작업 진행 정도를 누적 학습함으로써, 앞으로 작업해야 할 작업량을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신규 건설 현장에서의 스케쥴링에 적용될 수 있는 정보로 가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에서 건설 현장의 구간별 성토량를 나타내는 일 화면이다.
앞서 도 8에서는 그래픽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테이블의 형식으로 관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작업량을 결정해야하는 경우와 같이 정확한 수치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테이블을 통해서 작업량을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까지의 성토량 및 앞으로 추가 작업해야 할 작업량이 수치로 계산될 수 있으며, 관제 서버는 이러한 작업량 정보에 따라 건설 장비, 건설 인력, 건설 자재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에서 건설 현장의 장비 등록 현황을 나타내는 일 화면이다.
건설 장비는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같은 덤프트럭이어도 25톤 트럭과 더 큰 덤프트럭이 존재할 수 있다. 포크레인(굴삭기)의 경우에도 포크레인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운행할 수 있는 작업자의 면허가 상이할 수 있다. 법령에 따르면, 3톤 미만의 포크레인은 교육 이수만으로 운행이 가능하지만 3톤 이상의 포크레인을 운행하기 위해서는 굴삭기 기능사 자격이 요구된다.
관제 서버는 다양한 건설 장비의 장비 정보, 소속 정보, 운행 내역 정보, 고장 진단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관제 서버는 건설 장비별 제조사, 모델명 등의 정보와 해당 건설 장비의 소유 관계, 임대 조건 정보 등의 소속 정보, 현재까지 어느 작업자가 운행하였는지 또는 어떤 건설 현장에 투입되었는지를 포함하는 운행 내역 정보, 고장 여부, 평균 수명, 수리 내역과 같은 고장 진단 정보를 관제 서버 상의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관제 서버의 관리자가 특정 건설 장비의 작업자와 통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돌발 상황 대응이나 작업 지시에 대하여 빠르고 정확한 공유가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에서 건설 현장의 장비 투입 현황을 나타내는 일 화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 서버는 해당 건설 현장에 투입된 장비별 투입 대수 현황이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다. 건설 현장에 투입된 현황 정보는 누적 관리되어, 다른 건설 현장이나 신규 건설 현장의 작업 스케쥴링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투입 현황 정보는 건설 장비를 유치하거나 임대하는 데에 내역을 확인할 수 있어 유의미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에서 건설 현장의 지오펜싱에 따른 과속 단속 구간 및 단속 현황을 나타내는 일 화면들이다.
관제 서버의 관리자는 지오 펜싱(Geofencing) 기술을 이용하여 작업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지오 펜싱 기술은 일정 반경을 설정하는 기술로서, 디스플레이되는 건설 현장 정보 상에 제한 속도 규정이나 소음 진동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관제 시스템은 건설 장비 각각의 이동 여부, 이동 경로, 이동 속도를 결정할 수 있고, 지오 펜싱 기술로 설정된 구역에서의 과속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 서버는 각 건설 장비별 위반 여부를 관리할 수 있으며, 건설 장비의 작업자 단말에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등으로 규제를 준수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 현장의 과속 단속 지도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 때 표시되는 과속 단속 구간은 실제 법령에 근거한 과속 단속 구간이거나, 또는 관리자에 의해서 설정된 구간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제 시스템에서 건설 현장의 건설 장비의 운행 현황을 나타내는 일 화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 서버는 각 건설 장비의 운행 정보를 누적 관리할 수 있으며, 추후 상하차에 대한 정산, 대금 지급 등에 이용할 수 있다. 관제 서버의 관리자는 필요한 경우에 운행 이력 정보를 원하는 조건으로 통계자료로서 확인할 수 있으며, 민원 발생이나, 규제 위반의 경우에도 참고 자료로 이러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작업자 단말
200 : 관제 서버

Claims (10)

  1.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건설 장비 작업자 계정으로 접속하는 작업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 정보를 수신하는 관제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작업자 단말의 GPS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에 매칭된 건설 장비의 작업 상태를 결정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작업자 단말과 매칭된 건설 장비의 장비 정보, 소속 정보, 운행 내역 정보 및 고장 진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설 현장의 잔여 작업 일정을 결정하고,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건설 인부의 수, 경력, 자격의 건설 인부 정보, 건설 공법 정보, 건설 현장의 지형적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설 현장의 잔여 작업 일정을 결정하며,
    건설 현장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하여, 복수의 건설 현장이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되는 경우, 복수의 건설 현장 간의 건설 장비, 건설 인부, 건설 자재의 공급을 배분하는 스케쥴링을 건설 장비 유치 및 임대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수행하고,
    건설 현장에 대한 민원 접수 상황을 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작업자 단말에 공유하고, 민원에 따라 새롭게 설정된 현장 소음, 현장 진동 및 건설 장비 속도에 대한 기준 정보를 작업자 단말 각각에 공유하여, 상기 새롭게 설정된 기준을 준수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건설 장비의 이동 경로에 대한 속도 제한 정보를 상기 작업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작업자 단말에서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촬영된 장소에 대한 건설 작업 진행 정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건설 현장의 계획고, 지반고 및 절성고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작업량 정보를 상기 작업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
  6. 관제 서버에서 건설 현장 장비 관제 방법에 있어서,
    건설 장비 작업자 계정으로 접속하는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작업자 단말의 GP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에 매칭된 건설 장비의 작업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건설 장비의 작업 상태를 상기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작업자 단말과 매칭된 건설 장비의 장비 정보, 소속 정보, 운행 내역 정보 및 고장 진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설 현장의 잔여 작업 일정을 결정하고,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건설 인부의 수, 경력, 자격의 건설 인부 정보, 건설 공법 정보, 건설 현장의 지형적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설 현장의 잔여 작업 일정을 결정하며,
    건설 현장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하여, 복수의 건설 현장이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되는 경우, 복수의 건설 현장 간의 건설 장비, 건설 인부, 건설 자재의 공급을 배분하는 스케쥴링을 건설 장비 유치 및 임대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수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건설 장비의 작업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건설 현장에 대한 민원 접수 상황을 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작업자 단말에 공유하고, 민원에 따라 새롭게 설정된 현장 소음, 현장 진동 및 건설 장비 속도에 대한 기준 정보를 작업자 단말 각각에 공유하여, 상기 새롭게 설정된 기준을 준수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 장비 관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건설 장비의 이동 경로에 대한 속도 제한 정보를 상기 작업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 장비 관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에서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장소에 대한 건설 작업 진행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 장비 관제 방법.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건설 현장의 계획고, 지반고 및 절성고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작업량 정보를 상기 작업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 장비 관제 방법.
KR1020200162092A 2020-11-27 2020-11-27 Iot를 이용한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 KR102269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092A KR102269793B1 (ko) 2020-11-27 2020-11-27 Iot를 이용한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092A KR102269793B1 (ko) 2020-11-27 2020-11-27 Iot를 이용한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793B1 true KR102269793B1 (ko) 2021-06-28

Family

ID=7660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092A KR102269793B1 (ko) 2020-11-27 2020-11-27 Iot를 이용한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7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413B1 (ko) * 2021-08-20 2022-05-17 엄태성 건설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41264B1 (ko) * 2022-06-10 2023-06-13 주식회사 아이티로 지역 내 공사 현장 주변의 주민 참여형 환경 관리 시스템
KR102546088B1 (ko) * 2022-11-09 2023-06-22 예주산업(주) 메타버스 및 위치탐지 기술을 활용한 중장비 임대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255B1 (ko) * 2008-08-27 2009-10-27 선주토건(주) 잔토 운반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잔토 운반 관리 방법
KR20160036407A (ko) * 2014-09-25 2016-04-04 (주) 마이크로발전소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
KR101678072B1 (ko) 2014-12-04 2016-11-21 주식회사 이엔에프테크놀로지 세정제 조성물
KR20180060078A (ko) * 2016-11-28 2018-06-07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건설장비에서의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55444A (ko) * 2018-11-13 2020-05-21 (주)에이스개발 건설 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255B1 (ko) * 2008-08-27 2009-10-27 선주토건(주) 잔토 운반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잔토 운반 관리 방법
KR20160036407A (ko) * 2014-09-25 2016-04-04 (주) 마이크로발전소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
KR101678072B1 (ko) 2014-12-04 2016-11-21 주식회사 이엔에프테크놀로지 세정제 조성물
KR20180060078A (ko) * 2016-11-28 2018-06-07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건설장비에서의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55444A (ko) * 2018-11-13 2020-05-21 (주)에이스개발 건설 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413B1 (ko) * 2021-08-20 2022-05-17 엄태성 건설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41264B1 (ko) * 2022-06-10 2023-06-13 주식회사 아이티로 지역 내 공사 현장 주변의 주민 참여형 환경 관리 시스템
KR102546088B1 (ko) * 2022-11-09 2023-06-22 예주산업(주) 메타버스 및 위치탐지 기술을 활용한 중장비 임대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793B1 (ko) Iot를 이용한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
Chen et al. A collaborative GIS framework to support equipment distribution for civil engineering disaster response operations
US83067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productivity
KR102089013B1 (ko)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5303306B (zh) 电力物资调度平台系统
US10628805B2 (en) Calculating and reducing carbon footprint in a waste management plan
US2018006824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risk management in the field
US20170289760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ccurately tracking workers and assets
CN111008810B (zh) 用于监控铺路系统部件的系统和方法
US8527550B1 (en) Bridge inspection diagnostic system
DE102012220343A1 (de) Telematische, mikrofluidische Analyse mit einem Handgerät
Mahmud Internet of things (IoT) for manufacturing logistics on SAP ERP applications
Embacher Use of material delivery management system (MDMS) for asphalt paving applications
US20160110834A1 (en) Emergency Respon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1870823B2 (en) Call sharing system and call sharing method for construction work
EP39165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sign and engineering led fiber rollout
Delfino et al. Logistics in a Connected World: Industry 4.0 and Open Source Technologies
Wang et al. Improving business processes with mobile workforce solutions
US20200380462A1 (en) Method for monitoring bituminous material
AU2017100943A4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Risk Management in the Field
KR20130140511A (ko) 중소형 발전소 관리 시스템
Bledsoe et al. Asset Management for Mobility and ITS
Ângelo et al. Pay-Per-Sustainable-Use: A Case of Product Service System Innovation
Montaser et al. Automated site data acquisition technologies for construction progress reporting
Abbas et al. Ohio’s Research Initiative for Locals (ORIL) Research On-Call 2021-ORIL6 (Task 3)–Asset Management Practices by Ohio Local Public Agen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