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693B1 -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693B1
KR101557693B1 KR1020140161449A KR20140161449A KR101557693B1 KR 101557693 B1 KR101557693 B1 KR 101557693B1 KR 1020140161449 A KR1020140161449 A KR 1020140161449A KR 20140161449 A KR20140161449 A KR 20140161449A KR 101557693 B1 KR101557693 B1 KR 101557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reinforcing bars
information
tag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오
김용희
Original Assignee
(주) 더부엔지니어링
김상오
김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더부엔지니어링, 김상오, 김용희 filed Critical (주) 더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161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 실시간으로 최종 설계도의 제공이 가능하고, 대량의 도면 출력물 없이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철근의 배근을 검수, 감리 할 수 있도록 하는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철근이 배근될 부분의 일측에 세워지며, 철근의 배근 정보가 저장된 태그가 부착되어 태그와 배근된 철근의 배경이 되는 기초판부와, 상기 태그를 읽는 리더기 및 철근이 배근된 상태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 위에 배근 정보를 표시하는 배근관리 프로그램이 구성된다.

Description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및 방법{Inspection systems of the reinforcement progress, method}
본 발명은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설 현장에서 철근이 배근된 후,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관리자나 검수자가 대량의 도면 출력물 없이 설계대로 배근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건물의 대형화, 복잡화, 초고층화 됨에 따라 대량의 철근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철근의 종류, 형태, 치수, 간격 등이 다양해짐에 따라 설계의 복잡도 및 설계의 양도 증가되고, 이와 함께 도면의 양도 증가되었으며, 건설 현장에서 기둥에 대한 철근의 배근을 예를 들어 볼 때, 같은 위치의 기둥이라고 하더라도 층이 올라감에 따라 배근되는 철근의 직경, 철근 양, 철근 조합 및 간격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사항들이 설계대로 이루어졌는지를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관리자가 수많은 도면에 찾아 비교하여 확인하고, 이상이 없으면 감리자에게 감리를 받아 통과된 후에야 다음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관리자가 배근을 검수할 때나 감리자가 감리할 때 배근된 상태를 도면과 비교하여 확인 및 감리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도면 출력물을 소지하고, 수많은 도면 출력물 중에서 해당하는 부분을 찾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검수 및 감리 시간이 증대될 수 있어서 시공 기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고, 설계가 중간에 변경되어 변경된 내용으로 배근시공이 이루어져도 관리자나 감리자가 확인하는 도면이 변경전 도면인 경우 확인 및 감리에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인터넷을 통해 건설공사의 감리 업무를 지원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7410호(발명의 명칭 :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 업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감리 제어방법 ;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가 공개된 바 있으며, 상기 인용발명은 도 1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사 시스템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신규 현장 인사이동 명령에 의거하여 현장 웹페이지를 개설하고, 감리업무 실무사례와 법령 및 기술자료 등을 DB로 구축하여 두고, 감리 업무 절차에 대한 자동 안내와 메뉴별로 자동으로 매칭시킨 감리업무 실무사례를 화면으로 제공함과 아울러 업무서식을 제공하며, 작성된 업무 자료에 대해 전자결재를 거쳐 저장 관리하고, 보고서와 감리일지의 생성을 제어하는 감리업무 시스템을 구비하여 현장에서 온라인 처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 시스템을 이용한 감리업무 제어방법은, 그 시스템을 이용해 현장 아이디를 부여해 현장을 개설하는 제1과정과, 실무 사례에 대한 정보를 자동 제공함과 아울러 해당 업무 처리를 위한 서식을 제공하는 제2과정과, 현장에 적용되는 법령에 따라 감리업무 처리 절차를 자동 안내하는 제3과정과, 서식을 직접 작성하여 입력하면, 전자결재에 의해 결재를 하고, DB로 저장 관리하는 제4과정과, 미리 정해진 형태로 자동 보고서를 자동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5과정 및 감리업무시스템 DB를 CD로 작성하여 제공하는 제6과정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감리업무 중 보고업무, 결재업무 등과 같은 서류업무 자체를 전산화 한 것이지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배근된 철근의 직격, 간격, 개수 등이 설계와의 일치 여부 확인, 철근과 철근 간의 연결에 이상 유무 확인 등과 같은 감리업무를 전산화 한 것이 아니며, 인용발명 역시 배근 상태의 검수 및 감리를 위해서는 대량의 도면 출력물을 직접 소지하고, 감리를 위한 해방 부분을 직접 찾아야하기 때문에 도면의 휴대성이 떨어지고, 감리 오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시공 기간이 연장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7410호(발명의 명칭 :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 업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감리 제어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 현장에 실시간으로 최종 설계도의 제공이 가능하고, 대량의 도면 출력물 없이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철근의 배근을 검수, 감리 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배근 상태 영상에서 세로 철근과 가로 철근을 인식하고, 리더기가 읽은 배근 정보와 비교하여 배근된 철근의 개수, 형상을 검수하며, 상기 배근 상태 영상에서 철근의 직경을 기준으로 철근 간격이 배근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검수하고, 철근 간격을 기준으로 철근의 직경이 배근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검수하는 프로세서가 구성되어 자동으로 현장 검수가 가능한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철근이 배근될 부분의 일측에 세워지며, 철근의 배근 정보가 저장된 태그가 부착되어 태그와 배근된 철근의 배경이 되는 기초판부와, 상기 태그를 읽는 리더기 및 철근이 배근된 상태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 위에 배근 정보를 표시하는 배근관리 프로그램이 구성된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을 제공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철근이 배근될 부분의 일측에 배근의 배경이 되는 기초판부가 세워지는 a단계와, 배근될 철근을 향하는 기초판부의 일면에 철근의 배근 정보가 저장된 태그가 부착되는 b단계와,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기초판부를 배경으로 철근의 배근 상태와 기초판부의 태그를 함께 촬영하는 c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촬영되는 배근 상태 영상 중 태그를 인식하여 태그에 저장된 배근 정보를 읽는 d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배근 상태 영상 위에 태그의 배근 정보를 표시하여 현장 검수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e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인식한 태그의 배근 정보에 해당하는 도면을 서비스서버에서 찾아 수신하는 f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인식한 태그의 배근 정보에 해당하는 도면을 표시하는 g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성된 프로세서가 상기 배근 상태 영상으로부터 세로 철근과 가로 철근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배근 상태 영상에서 인식된 철근의 개수, 형상을 상기 태그의 배근 정보에 해당하는 도면과 비교하여 일치성을 자동으로 검수하는 단계, 상기 배근 상태 영상에서 인식된 철근의 직경을 기준으로 철근 간격이 배근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자동으로 검수하는 단계, 상기 배근 상태 영상에서 인식된 철근 간격을 기준으로 철근의 직경이 배근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자동으로 검수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가 실시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일치성 여부를 표시하는 h단계로 구성된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현장에 실제 배근된 배근 상태 영상 위에 설계된 배근 정보를 표시하여 직관적으로 배근 시공을 검수 및 감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량의 도면 출력물들을 관리자나 감리자가 소지하고 건설 현장을 다녀야 하는 문제점과 대량의 도면 출력물 중 검수 및 감리하고자 하는 부분을 찾아야 하는 문제점을 모두 해소하여 도면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검수, 감리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배근 시공에 사용된 설계도면의 최종 버전을 수신하여 검수 및 감리할 수 있어서 중간에 설계가 변경되어도 시공, 검수, 감리의 업무 진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원활한 시공, 검수, 감리의 진행으로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대량의 도면 출력물과 설계 변경에 따라 반복적으로 출력되는 도면 출력물을 출력하지 않고도 배근시공의 검수 및 감리가 가능하므로 건설 현장에서의 종이 절감으로 인한 자원 절약, 환경오염 절감 및 쓰레기 배출 절감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인용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예시한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의 기초판부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의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배근 상태 영상 및 배근 정보 표시를 예시하는 설명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2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근이 배근될 부분의 일측에 세워지며, 철근의 배근 정보가 저장된 태그(210)가 부착되고, 배근된 철근의 배경이 되는 기초판부(200)와,
상기 태그(210)를 읽는 리더기(310) 및 철근이 배근된 상태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320)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300)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320)가 촬영하는 영상 위에 배근 정보를 표시하는 배근관리 프로그램(331)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와 통신하여 도면을 휴대용 단말기(300)에 실시간 서비스하는 서비스서버(40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태그(210)가 기초판부(200)에 부착된다는 의미는 접착제 등에 의한 부착뿐만 아니라 설치, 인쇄, 고정 등 기초판부(200)에 태그(210)가 구비되는 모든 수단, 방법을 의미하는 것이고, 상기 태그(210)는 전자태그(210), 바코드, 2차원 바코드, 마커, 꼬리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태그(210)에 저장되는 배근 정보는 철근의 직경, 간격, 종류, 개수, 부분 길이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구조의 원도, 부재 일람, 최신 작성 및 수정된 철근의 배근 설계도면, 설계도면 수정 리스트 등과 연결되는 링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을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기초판부(200)는 도 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이 배근될 부분의 일측에 미리 세워지며, 배근되는 철근을 향하는 기초판부(200)의 일면에 배근 정보가 저장된 태그(210)가 부착되고, 이러한 기초판부(200)의 일면에 철근의 배근 위치, 간격 등을 표시하여 배근 공정을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배근 공정에 기초가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기초판부(200)는 태그(210)가 부착된 면의 전방으로 철근이 배근되기 때문에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가 배근 시공 부분의 정면에서 촬영 시 철근의 배근 상태 영상과 태그(210)가 하나의 화면으로 촬영될 수 있어서 별도로 태그(210)를 읽는 과정 없이, 배근 상태 영상에서 태그(210)의 인식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배근의 감리까지 이상 없이 끝나면 콘크리트가 타설되면서 상기 태그(210)는 자동으로 처리되어 별도로 태그(210)를 제거하는 과정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는 도 4로 예시한 바와 같이, 기초판부(200)에 구비된 태그(210)를 읽는 리더기(310)와,
상기 태그(210)와 함께 철근의 배근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320)와,
도면을 실시간 서비스하는 서비스서버(400)와 통신하는 통신부(340)와,
상기 카메라(320)가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50), 명령어 입력을 위한 입력부(360) 및 상기 통신부(340)가 연결되며, 배근관리 프로그램(331)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카메라(320)가 촬영한 영상에서 철근을 인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상기 영상의 철근 위에 배근 정보가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프로세서(330)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리더기(310)는 별도로 전용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카메라(320)가 촬영한 영상에서 태그(210)를 인식하여 태그(210)정보를 읽는 프로세서(33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프로세서(330)는 카메라(320)가 촬영하는 배근 상태 영상에서 세로 철근(110)과 가로 철근(120)을 인식하고, 리더기(310)가 읽은 배근 정보와 비교하여 배근된 철근의 개수, 형상 등을 검수할 수 있으며, 배근 상태 영상에서 철근의 직경을 기준으로 철근 간격이 배근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검수하고, 철근 간격을 기준으로 철근의 직경이 배근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검수할 수 있어서, 검수하는 관리자나 감리자는 철근의 직격, 간격 중 어느 하나만을 확인하면 검수가 완료될 수 있기 때문에 검수 및 감리의 편의성 향상 및 검수, 감리의 시간을 단축하여 보다 적은 인원으로 많은 량의 배근 상태 검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을 이용한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관리 방법은 철근이 배근될 부분의 일측에 기초판부(200)가 세워지는 a단계와,
상기 기초판부(200)에 철근의 배근 정보가 저장된 태그(210)가 부착되는 b단계와,
휴대용 단말기(300)가 철근의 배근 상태와 기초판부(200)의 태그(210)를 함께 촬영하는 c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가 촬영되는 배근 상태 영상 중 태그(210)를 인식하여 태그(210)에 저장된 배근 정보를 읽는 d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배근 상태 영상 위에 태그(210)의 배근 정보를 표시하여 현장 검수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e단계가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서버(400)와 통신하여 상기 인식한 태그(210)의 배근 정보에 해당하는 도면을 서비스서버(400)에서 찾아 수신하는 f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가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상기 인식한 태그(210)의 배근 정보에 해당하는 도면을 표시하는 g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가 배근 상태 영상으로부터 세로 철근(110)과 가로 철근(120)을 인식하여 상기 배근 상태 영상에서의 철근 직경과 철근 간격이 태그(210)에 저장된 배근 정보와 같은지 비교하여 일치성 여부를 표시하는 h단계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현장에 실제 배근된 배근 상태 영상 위에 설계된 배근 정보를 표시하여 직관적으로 배근 시공을 검수 및 감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량의 도면 출력물들을 관리자나 감리자가 소지하고 건설 현장을 이동하거나 대량의 도면 출력물 중 검수 및 감리하고자 하는 부분을 찾아야 하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검수 및 감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휴대용 단말기(300)가 서비스서버(400)로부터 실시간으로 배근 시공에 사용된 설계도면의 최종 버전을 수신하여 검수 및 감리할 수 있어서 중간에 설계가 변경되어도 시공, 검수, 감리의 업무 진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원활한 시공, 검수, 감리의 진행으로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대량의 도면 출력물과 설계 변경에 따라 반복적으로 출력되는 도면 출력물을 출력하지 않고도 배근시공의 검수 및 감리가 가능하므로 건설 현장에서의 종이 절감으로 인한 자원 절약, 환경오염 절감 및 쓰레기 배출 절감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10:세로 철근 120:가로 철근
200:기초판부 210:태그
300:휴대용 단말기 310:리더기
320:카메라 330:프로세서
331:배근관리 프로그램 340:통신부
350:디스플레이부 360:입력부
400:서비스서버

Claims (7)

  1. 철근이 배근될 부분의 일측에 세워지며, 철근의 배근 정보가 저장된 태그가 부착되고, 배근된 철근의 배경이 되는 기초판부와,
    상기 태그를 읽는 리더기 및 철근이 배근된 상태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 위에 배근 정보를 표시하는 배근관리 프로그램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여 도면을 휴대용 단말기에 실시간 서비스하는 서비스서버가 구성되되,
    상기 태그는 배근된 철근을 향하는 기초판부의 일면에 부착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철근을 인식하여 태그에서 읽은 배근 정보에 의해 자동 검수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영상의 철근 위에 배근 정보가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프로세서가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배근 상태 영상에서 세로 철근과 가로 철근을 인식하고, 상기 리더기가 읽은 배근 정보와 비교하여 배근된 철근의 개수, 형상을 검수하며, 상기 배근 상태 영상에서 철근의 직경을 기준으로 철근 간격이 배근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검수하고, 철근 간격을 기준으로 철근의 직경이 배근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검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철근이 배근될 부분의 일측에 배근의 배경이 되는 기초판부가 세워지는 a단계와,
    배근될 철근을 향하는 기초판부의 일면에 철근의 배근 정보가 저장된 태그가 부착되는 b단계와,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기초판부를 배경으로 철근의 배근 상태와 기초판부의 태그를 함께 촬영하는 c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촬영되는 배근 상태 영상 중 태그를 인식하여 태그에 저장된 배근 정보를 읽는 d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배근 상태 영상 위에 태그의 배근 정보를 표시하여 현장 검수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e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인식한 태그의 배근 정보에 해당하는 도면을 서비스서버에서 찾아 수신하는 f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인식한 태그의 배근 정보에 해당하는 도면을 표시하는 g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성된 프로세서가 상기 배근 상태 영상으로부터 세로 철근과 가로 철근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배근 상태 영상에서 인식된 철근의 개수, 형상을 상기 태그의 배근 정보에 해당하는 도면과 비교하여 일치성을 자동으로 검수하는 단계, 상기 배근 상태 영상에서 인식된 철근의 직경을 기준으로 철근 간격이 배근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자동으로 검수하는 단계, 상기 배근 상태 영상에서 인식된 철근 간격을 기준으로 철근의 직경이 배근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자동으로 검수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가 실시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일치성 여부를 표시하는 h단계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관리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161449A 2014-11-19 2014-11-19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557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449A KR101557693B1 (ko) 2014-11-19 2014-11-19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449A KR101557693B1 (ko) 2014-11-19 2014-11-19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693B1 true KR101557693B1 (ko) 2015-10-06

Family

ID=54345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449A KR101557693B1 (ko) 2014-11-19 2014-11-19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6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635B1 (ko) * 2018-09-13 2019-04-04 반석기초이앤씨(주) 철근 커플러를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시공의 관리, 감독 및 감리 방법
KR102513608B1 (ko) * 2022-11-24 2023-03-22 방재웅 건설공사의 품질 관리를 위한 스마트 검측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8674A (ja) 2009-08-27 2011-03-10 Fujifilm Corp 検査支援システム、助言者端末、検査支援方法および検査支援プログラム
KR101044990B1 (ko) 2010-11-18 2011-06-29 주식회사 차후 증강 현실을 이용한 상하수도 관거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8674A (ja) 2009-08-27 2011-03-10 Fujifilm Corp 検査支援システム、助言者端末、検査支援方法および検査支援プログラム
KR101044990B1 (ko) 2010-11-18 2011-06-29 주식회사 차후 증강 현실을 이용한 상하수도 관거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635B1 (ko) * 2018-09-13 2019-04-04 반석기초이앤씨(주) 철근 커플러를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시공의 관리, 감독 및 감리 방법
KR102513608B1 (ko) * 2022-11-24 2023-03-22 방재웅 건설공사의 품질 관리를 위한 스마트 검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021190A (ja) 施工支援方法、および、施工支援システム
KR101422352B1 (ko)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
CN104567985A (zh) 桥梁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2202085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运维工单处理方法及装置
JP2018180662A (ja) 資材の検収システム
KR101557693B1 (ko) 철근 배근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및 방법
CN105069590A (zh) 一种工厂订单货物跟踪监控方法
WO2015119450A1 (ko) 공정지연 및 시험과 검사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신뢰성이 향상된 모바일 토탈 품질관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및, 이의 방법
US20200293535A1 (en) Servicing, diagnosing, logging, and surveying building equipment assets
JP6099989B2 (ja) 点検支援用処理サーバ及び点検支援システム
CN111311176B (zh) 车辆维修审核方法、装置、维修端设备、服务器及介质
CN107730142A (zh) 应用二维码于bim的工程管理系统
KR102028558B1 (ko) 건설 인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9271210A (zh) 一种配置文件的核查方法及装置
JP2017207835A (ja) 点検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点検情報管理方法
JP2016035622A (ja) 報告書作成システム
KR101702181B1 (ko)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
JP2017146866A (ja) 機器監視システム
Huang et al. Development of an RFID system for tracking construction residual soil in Taiwan
JP3169715U (ja) 建ち精度管理システム
CN113298271B (zh) 一种光纤网络资源数字化巡检方法及系统
Zhu et al. Vision-based precast concrete management plan in off-site construction site: Using PC member quality grades
KR20160131192A (ko)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
JP2005190463A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て各種建築構造物の竣工検査の表示システム
JP654006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