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898B1 -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898B1
KR101183898B1 KR1020110031417A KR20110031417A KR101183898B1 KR 101183898 B1 KR101183898 B1 KR 101183898B1 KR 1020110031417 A KR1020110031417 A KR 1020110031417A KR 20110031417 A KR20110031417 A KR 20110031417A KR 101183898 B1 KR101183898 B1 KR 101183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phon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mobile offic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원길
김동욱
김병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서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서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서웨이
Priority to KR1020110031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 애드혹(Ad-Hoc)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중계기를 통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에 접속하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로부터 작업지시 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작업지시 정보를 현장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하며, 입력되는 작업 보고서 정보를 상기 무선 중계기를 통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애드혹 기반의 스마트 폰; 상기 스마트 폰과 무선으로 접속되고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중계기; 및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상기 무선 중계기를 통해 상기 스마트 폰이 접속되면 기 저장된 작업지시 정보를 상기 스마트 폰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작업 보고서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작업 보고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으로, 작업현장에서 현장점검, 작업지시 등을 스마트 폰을 통해 문서화하고, 작업자에게 지시내용을 통보할 수 있는 것입니다.

Description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Automatizing a work-reporting system based on smart phones for construction managements}
본 발명은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현장에서 수동으로 작성되는 작업보고서가 첨단센서의 적용과 스마트폰의 활용에 의해 자동 그리고 실시간으로 작성되며, 이 작성된 문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원격지의 현장사무소에 전달된다. 아울러, 현장사무소의 인터넷 연결 유무에 따라 지역의 범위를 떠나 원격의 컴퓨터 및 기타 스마트폰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작업 현황을 파악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및 스마트폰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원격으로부터 작업현장에 일하는 사람들을 원격으로 감시 하거나 감독 또는 작업지시등도 명확하게 할 수 있는 기능들을 내포한다.
일반적으로 현장 관리자는 현장사무소에서의 문서작업을 한 후 작업 현장으로 이동하여 작업지시를 수행한다.
그런데, 보통 작업현장과 현장사무소는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현장 관리자는 작업현장에 가서 현장점검 및 작업지시를 한 후 다시 현장사무소로 이동하여 문서작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로 인해, 현장 관리자는 많은 시간을 현장사무소에서 문서작업에 할애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현장에서 작업을 지시하기 위한 시간이 부족하게 된다.
이에, 현장 관리자는 일정 거리에서 무전기를 통해 작업을 지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장 관리자가 작업현장에서 무전기를 통해 작업을 지시할 경우, 현장 관리자와 작업자 간에 의사전달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공 오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현장 관리자가 무전기를 통해 작업지시를 할 경우, 작업자에게 그 작업지시가 명확하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시공 오류에 대한 책임소재가 불분명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 뿐만 아니라, 작업현장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설계자, 시공자, 작업자 등의 공조 및 협업에 의한 실시간 문제해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서작업을 현장사무소에서 하지 않고 작업현장에서 수행함으로써 문서작업을 위해 작업현장에서 현장사무소로 이동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의 일 측면은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중계기를 통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에 접속하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로부터 작업지시 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작업지시 정보를 현장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하며, 현장 관리자가 입력한 작업 보고서 정보를 무선 중계기를 통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에 스마트 폰; 상기 스마트 폰과 무선으로 접속되고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중계기; 및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상기 무선 중계기를 통해 상기 스마트 폰이 접속되면 기 저장된 작업지시 정보를 상기 스마트 폰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작업 보고서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작업 보고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스마트 폰은,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상기 무선 중계기에 접속한 상태에서 다른 스마트 폰과 IP 기반의 음성 통신 서비스, IP 기반의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문자 송수신 서비스 및 스케치 이미지의 송수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는, 각 스마트 폰별 접속 권한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무선 중계기를 통해 접속되는 상기 스마트 폰의 접속 권한을 판단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로그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로그 정보를 통해 해당 스마트 폰의 접속 권한을 확인한 후 그에 해당하는 작업지시 정보를 구분하여 해당 스마트 폰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에서의 스마트 폰의 일 측면은 무선 중계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로부터 작업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업지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지시정보 제공부; 작업 보고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문서 작성창을 제공하는 결과정보 입력부; 및 상기 결과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 보고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폰은,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상기 무선 중계기에 접속한 상태에서 다른 스마트 폰과 IP 기반의 음성 통신 서비스, IP 기반의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문자 송수신 서비스 및 스케치 이미지의 송수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의 일 측면은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중계기를 통해 스마트 폰이 접속되면 기 저장된 작업지시 정보를 스마트 폰에 전송하는 지시정보 제공부; 상기 스마트 폰으로 작업지시에 대한 결과를 입력할 수 있도록 문서 작성창 정보를 전송하는 문서 정보 입력 처리부; 및 상기 스마트 폰의 문서 작성창을 통해 입력된 작업 보고서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작업 보고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문서 정보 업데이트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는, 각 스마트 폰별 접속 권한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무선 중계기를 통해 접속되는 상기 스마트 폰의 접속 권한을 판단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로그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로그 정보를 통해 해당 스마트 폰의 접속 권한을 확인한 후 그에 해당하는 작업지시 정보를 구분하여 해당 스마트 폰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은 현장점검 및 작업지시에 대해 작업현장에서 스마트 폰을 통해 문서화하고, 작업자에게 지시내용을 통보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장 관리자와 현장 작업자, 원격지의 설계자 간에 음성, 화상통화를 수행하고, SMS, 파일 및 이미지 등을 송수신하여 원격지에서도 원활한 의사소통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또 다른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3a 내지 도 3e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에서 스마트 폰의 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에서 스마트 폰 간의 음성 및 영상 통화, 파일 전송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은 스마트 폰(100), 하나 이상의 무선 중계기(200) 및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스마트 폰(100)에는 모바일 오피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무선 중계기(200)를 통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에 접속하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로부터 작업지시 정보를 수신 받고, 수신된 작업지시 정보를 현장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하며, 현장 관리자가 입력한 작업 보고서 정보를 무선 중계기(200)를 통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에 전송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스마트 폰(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중계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0)와, 통신부(110)를 통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에 접속한 후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로부터 작업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업지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지시정보 제공부(120)와, 작업 보고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문서 작성 창을 제공하는 결과정보 입력부(130)와, 상기 결과정보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 보고서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정보 처리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결과정보 제공부(12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 기 저장된 파일 데이터 들을 무선 중계기(200)를 통해 접속된 다른 스마트 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폰(100)은 모바일 오피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에 접속하기 위해 로그인 입력을 위한 창을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로그인에 필요한 정보는 사용자 ID(User ID), 비밀번호(Password)가 필요하며,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의 IP 주소와 포트번호를 입력해야 한다.
이와 같은 로그인 과정을 통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에 접속한 스마트 폰(10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관리자가 메뉴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이후, 현장 관리자가 스마트 폰(100)의 메뉴를 선택하면, 스마트 폰(100)은 도 3c 또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일 작업 일보나 자재 투입 현황과 같은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중, 일일 작업 일보의 경우 스마트 폰(100)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관리자가 작업지시 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입력창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스마트 폰(100)은 WiFi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으로 불리는 저사양의 이동통신 단말기이거나, WiFi 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블릿 PC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중계기(200)에 접속한 상태에서 다른 스마트 폰(100)과 IP 기반의 음성 통신 서비스, IP 기반의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문자 송수신 서비스 및 스케치 이미지의 송수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무선 중계기(200)는 다른 무선 중계기(200)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스마트 폰(100)과 무선으로 접속되고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때, 임의의 무선 중계기(200)는 인터넷과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는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중계기(200)를 통해 스마트 폰(100)이 접속되면 기 저장된 작업지시 정보를 스마트 폰(100)에 전송하고, 스마트 폰(100)로부터 작업 보고서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작업 보고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는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중계기(200)를 통해 스마트 폰(100)이 접속되면 기 저장된 작업지시 정보를 스마트 폰(100)에 전송하는 지시정보 제공부(310)와 스마트 폰(100)로 작업지시에 대한 결과를 입력할 수 있도록 문서 작성창 정보를 전송하는 문서 정보 입력 처리부(320)와, 스마트 폰(100)의 문서 작성창을 통해 입력된 작업 보고서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작업 보고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문서 정보 업데이트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는 무선 중계기(200)를 통해 접속된 스마트 폰(100)에게 IP 기반의 음성 통신 서비스, IP 기반의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문자 송수신 서비스 및 스케치 이미지의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서버(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는 각 스마트 폰(100)별 접속 권한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무선 중계기(200)를 통해 접속되는 스마트 폰(100)의 접속 권한을 판단하기 위해 스마트 폰(100)로부터 로그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로그 정보를 통해 해당 스마트 폰(100)의 접속 권한을 확인한 후 그에 해당하는 작업지시 정보를 구분하여 해당 스마트 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100)과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가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중계기(200)에 연결되며,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위해 스마트 폰(100)과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에는 각각의 모바일 오피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스마트 폰(100)의 모바일 오피스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면, 스마트 폰(100)은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중계기(200)를 통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에 접속한다.
그러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는 기 저장된 작업지시 정보를 무선 중계기(200)를 통해 접속된 스마트 폰(100)에 전송한다. 이때, 스마트 폰(100)은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로그인과 같은 사용자 인증 작업을 수행하여 해당 로그 정보를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로 전송하고, 로그 정보를 수신한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는 수신된 로그 정보를 확인하여 접속 권한에 해당하는 작업지시 정보를 해당 스마트 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현장 관리자는 스마트 폰(100)에 디스플레이된 작업지시 정보를 확인하여 작업현장에서 작업지시를 내릴 수 있다.
한편, 현장 관리자가 작업지시를 마친 후에는 스마트 폰(100)을 통해 작업지시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현장 관리자는 스마트 폰(100)을 통해 작업 보고서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작업 보고서 정보는 스마트 폰(100)에 의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로 전송된다.
그러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300)는 수신된 작업 보고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그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100)은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중계기(200)에 접속된 다른 스마트 폰(100)과 IP 기반 음성 통신서비스, IP 기반의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문자 송수신 서비스 및 스케치 이미지의 송수신 기능을 통해 현장사무실의 관리자, 원격지의 설계자, 현장의 작업자와의 협동 업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상세한 설명이 여러 실시예에 적용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신규한 특징들을 도시하고 기술하고 언급하였지만, 예시된 시스템의 형태 및 상세 사항에 대해 본 발명의 의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 생략, 교체 및 변경이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스마트 폰 200 : 무선 중계기
300 :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

Claims (7)

  1. 애드혹(Ad-Hoc)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중계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로부터 작업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업지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지시정보 제공부;
    작업 보고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문서 작성창을 제공하는 결과정보 입력부; 및
    상기 결과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작업 보고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은,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상기 무선 중계기에 접속한 상태에서 다른 스마트 폰과 IP 기반의 음성 통신 서비스, IP 기반의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문자 송수신 서비스 및 스케치 이미지의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폰.
  3. 애드혹(Ad-Hoc)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중계기를 통해 스마트 폰이 접속되면 기 저장된 작업지시 정보를 스마트 폰에 전송하는 지시정보 제공부;
    상기 스마트 폰으로 작업지시에 대한 결과를 입력할 수 있도록 문서 작성창 정보를 전송하는 문서 정보 입력 처리부; 및
    상기 스마트 폰의 문서 작성창을 통해 입력된 작업 보고서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작업 보고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문서 정보 업데이트부를 포함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는,
    각 스마트 폰별 접속 권한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무선 중계기를 통해 접속되는 상기 스마트 폰의 접속 권한을 판단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로그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로그 정보를 통해 해당 스마트 폰의 접속 권한을 확인한 후 그에 해당하는 작업지시 정보를 구분하여 해당 스마트 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
  5. 애드혹(Ad-Hoc)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중계기를 통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에 접속하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로부터 작업지시 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작업지시 정보를 현장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하며, 입력되는 작업 보고서 정보를 상기 무선 중계기를 통해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애드혹 기반의 스마트 폰;
    상기 스마트 폰과 무선으로 접속되고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중계기; 및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상기 무선 중계기를 통해 상기 스마트 폰이 접속되면 기 저장된 작업지시 정보를 상기 스마트 폰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작업 보고서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작업 보고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은,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상기 무선 중계기에 접속한 상태에서 다른 스마트 폰과 IP 기반의 음성 통신 서비스, IP 기반의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문자 송수신 서비스 및 스케치 이미지의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오피스 통합 관리서버는,
    각 스마트 폰별 접속 권한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무선 중계기를 통해 접속되는 상기 스마트 폰의 접속 권한을 판단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로그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로그 정보를 통해 해당 스마트 폰의 접속 권한을 확인한 후 그에 해당하는 작업지시 정보를 구분하여 해당 스마트 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
KR1020110031417A 2011-04-05 2011-04-05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 KR101183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417A KR101183898B1 (ko) 2011-04-05 2011-04-05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417A KR101183898B1 (ko) 2011-04-05 2011-04-05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3898B1 true KR101183898B1 (ko) 2012-09-19

Family

ID=4711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417A KR101183898B1 (ko) 2011-04-05 2011-04-05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8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935B1 (ko) 2014-02-17 2016-05-12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모바일단말과 연동 기반의 마리나 관제 시스템
KR20160061271A (ko) * 2014-11-21 2016-05-31 삼성물산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82861B1 (ko) 2016-07-21 2016-12-06 김대진 조선해양플랜트 현장 시공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41347B1 (ko) * 2016-06-22 2018-05-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 유지보수를 위한 모바일단말기 및 유지보수 방법
KR102037713B1 (ko) 2019-04-29 2019-11-26 주식회사 에코베이스 현장 정보의 자동 정렬을 통한 모바일 야장 생성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024A (ja) 2001-06-07 2002-12-18 Ohbayashi Corp 土工事における施工管理支援システム
KR100701009B1 (ko) 2005-12-01 2007-03-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애드혹 기반의 단거리전용통신을 이용한 무선중계 시스템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024A (ja) 2001-06-07 2002-12-18 Ohbayashi Corp 土工事における施工管理支援システム
KR100701009B1 (ko) 2005-12-01 2007-03-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애드혹 기반의 단거리전용통신을 이용한 무선중계 시스템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935B1 (ko) 2014-02-17 2016-05-12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모바일단말과 연동 기반의 마리나 관제 시스템
KR20160061271A (ko) * 2014-11-21 2016-05-31 삼성물산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13874B1 (ko) * 2014-11-21 2017-03-09 삼성물산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41347B1 (ko) * 2016-06-22 2018-05-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 유지보수를 위한 모바일단말기 및 유지보수 방법
KR101682861B1 (ko) 2016-07-21 2016-12-06 김대진 조선해양플랜트 현장 시공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37713B1 (ko) 2019-04-29 2019-11-26 주식회사 에코베이스 현장 정보의 자동 정렬을 통한 모바일 야장 생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44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rocess plant with location aware mobile control devices
KR101183898B1 (ko)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
US11108867B2 (en) Remote operation system and measurement system
CN104049597A (zh) 用于管理过程工厂中的工作流程的方法和设备
CN104049585A (zh) 过程工厂中环境敏感的移动控制
CN104049594A (zh) 用于移动控制室内的用户接口设备之间的无缝状态转移的方法和装置
CN104049582A (zh) 在过程控制环境中生成检查列表
CN104049586A (zh) 具有实时环境感知的移动控制室
CN104049587A (zh) 用于使用位置感知移动控制设备控制过程工厂的方法与装置
CN104049592A (zh) 用于移动控制室内的用户接口设备之间的无缝状态转移的方法和装置
CN104049589A (zh) 用于移动控制室内的用户接口设备之间的无缝状态转移的方法和装置
CN104049593A (zh) 过程工厂中的物理现象的移动分析
KR20130094465A (ko) 무선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설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04049268A (zh) 用于确定过程工厂中移动控制设备位置的方法和装置
US10089096B2 (en) Progress tracking system and method
CN104049583A (zh) 用于发起或继续过程工厂中的移动控制会话的方法
US20190146637A1 (en) Mobile data snapshots
KR20140039808A (ko) 선박의 Wifi 환경의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179359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의 관리 업무 시스템 및 방법
JP6418629B2 (ja) 遠隔会議システム、遠隔会議装置、遠隔会議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79946B1 (ja) 遠隔品質管理システム
CN103268655B (zh) 一种手机虚拟化智能队列导向与意见反馈咨询系统
EP3550814B1 (en) Mobile terminal, event information display method, event information display program, and intercom system
US9274737B2 (en) Information sharing system, information sharing management device, and information sharing method
JP2008234122A (ja) 画面表示情報の連携方式、および連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