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347B1 - 풍력발전기 유지보수를 위한 모바일단말기 및 유지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 유지보수를 위한 모바일단말기 및 유지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347B1
KR101841347B1 KR1020160078026A KR20160078026A KR101841347B1 KR 101841347 B1 KR101841347 B1 KR 101841347B1 KR 1020160078026 A KR1020160078026 A KR 1020160078026A KR 20160078026 A KR20160078026 A KR 20160078026A KR 101841347 B1 KR101841347 B1 KR 101841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work
mobile terminal
job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182A (ko
Inventor
손종덕
이정훈
엄승만
이강주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8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347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41Virtual LANs, VLANs, e.g. virtual private networks [VP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Wind Motor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 유지보수 정비작업을 위한 작업지시서를 발행받고 그에 따라 정비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인 정비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바일단말기 및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유지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모바일단말기를 활용한 정비작업 방법은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관리서버로부터 정비작업을 위한 작업지시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상기 작업지시 정보를 기초로 작업지시서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작업지시서에 작업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상기 작업지시서의 모든 작업 수행 완료 시 상기 정비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풍력발전기의 유지보수 정비작업을 실행하기 위하여 ICT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단말기를 사용함으로써 정비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정비작업의 진행 관리 또한 자동으로 효율적으로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풍력발전기 유지보수를 위한 모바일단말기 및 유지보수 방법{Mobile Terminal for Maintaining Wind Power Generator and Maintaining Method}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 유지보수를 위한 모바일단말기 및 유지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풍력발전기 유지보수 정비작업을 위한 작업지시서를 발행받고 그에 따라 정비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인 정비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바일단말기 및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유지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 에너지의 고갈과 기후 변화 및 온실가스 감축 등 환경문제로 인해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고, 풍력 발전기에 대한 수요도 전 세계적으로 늘고 있다.
이와 같이 에너지의 보급 확산에 따라 2014년 세계 전력 소비량의 3.4%가 풍력 발전기에 의해 생산되었으며, 2019년에는 5.3%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풍력 발전기는 다른 화력이나 원자력 발전 설비와는 달리 발전용량 대비 다수의 설비가 넓게 분포되어 있고, 유지보수 작업수행 시 기상 상태에 따른 접근성, 부품 및 장비 수급, 작업인원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관리가 쉽지 않은 설비이다.
특히, 해상 풍력발전은 고장 발생 시 풍속과 파고에 따른 풍력 발전기 접근 제약이 있어 조기에 부품 고장을 감지하고, 중대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정비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이 유지보수 비용 절감을 위해 필수적이다. 특히나 여러 사이트에 산재되어 있는 풍력발전기의 유지보수를 실행함에 있어서는 1인 또는 1 팀의 정비자가 사이트로 가서 정비를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업무지시와 업무 관리가 필요하다.
최근에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은 협업으로 문제 해결과, 빅데이터(Big Data) 분석을 통한 경향 분석, 디지털 상호 작용과 융합, 사용하기 쉬운 것 선호 등의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ICT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풍력 발전기를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수립된 정비 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3898호(등록일: 2012년09월12일)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서버에 의해 수립된 정비 계획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모바일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를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모바일단말기를 활용한 정비작업 방법은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관리서버로부터 정비작업을 위한 작업지시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상기 작업지시 정보를 기초로 작업지시서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작업지시서에 작업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상기 작업지시서의 모든 작업 수행 완료 시 상기 정비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지시서는 작업정보, 유지보수 엔지니어 정보, 작업시나리오 정보, 및 작업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작업지시서에 작업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시나리오상의 작업별 완료 시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자동으로 상기 작업지시서에 작업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센서 또는 GPS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작업지시서에 작업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모바일단말기를 활용한 정비작업 방법은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상기 정비작업을 위하여 상기 작업시나리오상의 작업 이외의 추가적인 작업을 입력 받는 단계 및/또는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상기 작업 수행 결과를 표시할 때마다 상기 작업지시서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상기 작업지시서의 모든 작업 수행 완료 시 상기 정비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는 모든 작업 수행 완료가 표시된 상기 작업지시서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유지보수용 모바일단말기는 관리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정비작업에 대한 작업지시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수행 하여야 할 작업을 순서대로 표시한 작업시나리오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지시서를 생성하는 작업지시서생성부, 상기 작업지시서를 표시하는 화면부, 센서 또는 GPS로부터 오는 신호를 바탕으로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인식부, 및 인식된 상기 위치를 기초로 또는 유지보수 엔지니어의 입력을 받아 상기 복수의 수행 하여야 할 작업의 작업 수행 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수행 하여야 할 작업을 모두 완료시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정비작업의 완료 정보를 전달하는 작업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지시서는 작업정보, 유지보수 엔지니어 정보, 및 작업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작업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수행하여야 할 작업 각각에 대하여 작업의 내용, 작업 완료 시각, 및 완료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풍력발전기 유지보수용 모바일단말기는 상기 정비작업을 위하여 상기 복수의 수행 하여야 할 작업 이외의 추가적인 작업을 입력받는 작업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수행 하여야 할 작업의 작업 수행 결과를 표시할 때마다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작업지시서 또는 표시한 상기 작업 수행 결과를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정비작업의 완료 정보로서 모든 작업 수행 완료가 표시된 상기 작업지시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풍력발전기의 유지보수 정비작업을 실행하기 위하여 ICT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단말기를 사용함으로써 정비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정비작업의 진행 관리 또한 자동으로 효율적으로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는 풍력단지 통합 제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풍력 사이트의 기본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유지보수를 위한 모바일단말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기(200)에서 보이는 작업지시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유지보수를 위하여 모바일단말기를 활용한 정비작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더욱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는 풍력단지 통합 제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풍력 사이트의 기본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단지 통합 제어 모니터링 시스템은, 하나의 사이트(Site)에 복수의 풍력단지(Wind Farm A, B)가 위치하고, 각 풍력단지에는 하나 이상의 풍력발전기(Wind Turbine)와, 기상탑(Met. Mast), 하나 이상의 풍력 발전기로부터 관리 제어를 통해 데이터를 획득(SCADA)하여 각 발전기의 상태를 감시(CMS)하는 사이트 서버(Site Server)가 구비되어 있다.
각 풍력단지를 감시하는 사이트 서버들은 VPN(Virtual Private Network)의 공중 인터넷(Public Internet)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PC) 및 데스크탑(Desktop) PC 등과 연결되어 있다.
클라우드 서버에는 다중 모니터(Multiple Monitor)가 연결되어 있어, 유지보수 관리자(O&M Manager)가 다중 모니터(Multiple Monitor)를 통해 각 풍력 발전기(Wind Turbine)의 운전 상태를 감시하고, 프로젝트/생산관리자(Project/Product Manager)와 기술적 전문가(Technical Expert)들은 데스크톱 PC를 통해 풍력 발전기의 운전을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는 풍력단지 통합 제어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수의 풍력단지에서 풍력 발전기, 기상탑, 및 유지보수 엔지니어(O&M Engineer)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여 사이트 서버와 클라우드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유지보수 엔지니어, 유지보수 관리자, 프로젝트/생산 관리자, 기술 전문가는 사이트 서버의 SCADA, CMS를 통해 풍력발전기 운전 현황, 정비 계획 및 실적, 고객의 요구사항 등을 웹으로 공유하여 협업을 통해 발전기의 이상 상태를 해결하고 정비 계획을 수립하게 되는 것이다.
풍력단지 통합 제어 모니터링 시스템 내의 관리서버(도 1의 Cloud Server일 수 있으며 미도시된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다)에서 계획된 특정 풍력발전기에 대한 정비를 실행하기 위하여 관리서버는 복수 개의 작업 목록을 포함하는 작업지시서를 발행하여 정비작업을 수행할 유지보수 엔지니어의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고, 유지보수 엔지니어는 모바일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 개의 작업을 포함하는 작업지시서에 따라 정비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지보수 엔지니어의 정비작업 수행에 있어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모바일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유지보수를 위한 모바일단말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유지보수를 위한 모바일단말기(200)는 무선통신부(210), 작업지시서생성부(220), 화면부(230), 위치인식부(240), 작업관리부(250)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로 작업입력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10)는 관리서버(27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단말기를 최대한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관리서버(270)와의 데이터 통신을 무선랜, LTE, WCDMA와 같은 무선통신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유선으로 인터넷이 연결될 수 있는 경우에는 유선통신에 의하여 관리서버(27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부(210)는 관리서버(27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관리서버(270)로부터 정비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목록을 전달받을 수 있고, 관리서버(270)로 작업 수행 결과를 전달할 수도 있다.
작업지시서생성부(220)는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관리서버(270)로부터 특정 정비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업지시서를 생성하여 화면부(23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기(200)에서 보이는 작업지시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단말기(200)는 작업지시서를 화면에 표시하여 유지보수 엔지니어에게 작업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작업지시서는 작업 정보(310), 유지보수 엔지니어 정보(320), 작업시나리오 정보(330), 및/또는 작업지시 정보(34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단말기(200)의 화면 크기의 제약을 고려하여 처음에는 제목만을 표시하고 제목을 누르면 좀 더 자세한 정보가 제목 하단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 정보(310)는 수행하여야 할 작업 관련 정보로서 유지보수형태 정보, O&M형태 정보, 위치정보, 부품정보, 작업 제목 정보, 사이트 관리자 정보, 및/또는 즉시 수행 여부 정보 등을 보여줄 수 있다. 여기서 유지보수형태 정보는 작업이 상태기반정비인지, 주기정비인지, 또는 사후정비인지를 나타내고, O&M형태 정보는 작업이 보증항목인지 유지보수항목인지를 표시한다. 유지보수 엔지니어 정보(320)는 작업을 실행하는 유지보수 엔지니어에 대한 정보 및 유지보수 받을 풍력발전기가 소재한 사이트의 관리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작업시나리오 정보(330)는 정비작업을 완료하기 위하여 수행하여야 할 작업들을 수행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작업시나리오 정보(330)는 수행하여야 할 작업을 수행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하는데, 이때 수행하여야 할 작업 각각에 대하여 작업의 내용, 작업 완료 시각, 및 완료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완료된 작업의 경우에는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체크 표시를 하여 작업의 완료 표시를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작업자 도착과 같은 작업(332)은 풍력발전기가 설치되어 있는 사이트에 구비된 센서 또는 모바일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GPS를 이용하여 모바일단말기의 위치가 인식되면 자동으로 완료 표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검사 또는 수리 완료(333)는 유지보수 엔지니어가 검사 또는 수리 완료 후에 수동으로 체크 표시를 함으로써 작업이 수행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시나리오에는 없지만 작업을 완료하기 위하여 필요한 작업을 추가할 수 있는 아이콘(331)이 있어 작업자가 작업 중에 필요 작업을 추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행 결과 및 추가된 작업 정보는 관리서버(270)로 전달되어 작업 진행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작업지시 정보(340)는 관리서버(270)로부터 수신한 구체적인 작업지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작업지시 내용은 글과 그림 등을 이용하여 기재될 수 있다.
위치인식부(240)는 센서 또는 GPS로부터 오는 신호를 바탕으로 모바일단말기(2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위치인식부(240)에 의한 위치인식을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 시나리오상의 특정 작업에 대한 자동 완료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작업관리부(250)는 위치인식부(240)에서 인식한 위치를 바탕으로 작업지시서에 작업 수행 중 또는 수행 완료 표시를 할 수 있고, 작업지시서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작업을 완료한 후, 무선통신부(210)를 통하여 관리서버(270)로 완료된 작업지시서를 전달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정비작업을 완료하였음을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작업지시서 내의 하나의 작업에 대하여 작업 현황을 표시할 때마다(완료 든 진행중이든 상관없이) 무선통신부(210)를 통하여 관리서버(270)로 현재까지의 작업 현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때 작업지시서를 그대로 전송할 수도 있고, 방금 상태가 변화된 작업에 관한 정보만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관리서버(270)는 실행되고 있는 정비작업의 진행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작업관리부(250)는 작업 시나리오상의 각 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의 완료 시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작업관리부(250)는 모바일단말기(200) 내부에 존재하는 시각을 바탕으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완료 표시가 되는 시점을 작업 완료 시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입력부(260)는 정비작업을 위하여 관리서버(270)로부터 받은 복수 개의 작업 목록 이외에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할 때에 유지보수 엔지니어가 작업입력부(260)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작업을 작업지시서에 추가할 수 있다. 이는 도 3의 작업 추가 아이콘(331)이 눌려졌을 때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유지보수를 위하여 모바일단말기를 활용한 정비작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풍력발전기 유지보수를 위하여 모바일단말기를 활용한 정비작업 방법은 모바일단말기가 정비작업을 위한 작업지시 정보를 관리서버로부터 전달 받고(S410), 전달받은 작업지시 정보를 기초로 작업지시서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S420)할 수 있다. 이때 작업지시서는 작업 정보(310), 유지보수 엔지니어 정보(320), 작업시나리오 정보(330), 및/또는 작업지시 정보(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진행 현황을 작업지시서에 표시(S430)할 수 있다. 이때 유지보수 엔지니어에 의하여 수동으로 표시될 수도 있지만, 센서 또는 GPS를 이용하여 모바일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위치를 바탕으로 작업지시서에 자동으로 작업 수행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정비작업을 하기 위하여 풍력발전기가 소재하고 있는 사이트에 작업자가 도착하는 것을 작업 시나리오상의 하나의 작업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센서나 GPS를 이용하여 모바일단말기의 현 위치가 전술한 사이트임을 확인하면 상기 사이트에 작업자 도착으로 설정된 작업(332)을 완료하였음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지시서 내의 특정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는 완료된 작업의 완료 시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이 입력됨으로써 추후 유사한 정비작업 시에 특정 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반영하여 좀 더 효율적인 정비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유지보수 엔지니어는 작업지시서에 따른 정비작업을 수행 중에 추가로 작업지시서에 없는 작업이 필요함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지보수 엔지니어는 추가적으로 필요한 작업 목록을 입력할 수 있고 모바일단말기(200)는 입력된 작업 목록을 반영하여 작업지시서를 수정(S440)할 수 있다. 추가로 수정된 작업지시서를 관리서버(270)로 전달하여 추가된 작업을 수행해도 되는지에 대한 확인을 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모바일단말기는 작업지시서에 포함되어 있는 작업의 진행 현황이 수정될 때마다 작업 진행 현황이 표시된 작업지시서를 관리서버(270)로 전달(S450)할 수 있다. 모바일단말기(200)가 상기한 것처럼 작업 진행 현황을 관리서버(270)로 전달함으로써 관리서버(270)가 실행되고 있는 정비작업의 진행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작업지시서에 있는 모든 작업을 완료 시에 작업지시서를 관리서버(270)로 전달(S460)하여 정비작업을 완료하였음을 관리서버(270)에 알릴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원거리에 산재해 있는 풍력발전기에 대한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모바일단말기를 사용함으로써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추후 유사한 작업을 수행 시에 좀 더 효과적인 시간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풍력발전기 유지보수용 모바일단말기 유지보수 장치
210: 무선통신부
220: 작업지시서생성부
230: 화면부
240: 위치인식부
250: 작업관리부
260: 작업입력부

Claims (13)

  1. 복수의 사이트에 산재되어 있는 풍력발전기들을를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모바일단말기를 활용한 정비작업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관리서버로부터 정비작업을 위한 작업지시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상기 작업지시 정보를 기초로 유지보수 엔지니어 정보, 상기 작업지시 정보 및 상기 정비작업을 완료하기 위하여 수행하여야 할 복수의 작업들을 수행 순서대로 표시한 작업시나리오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지시서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상기 수행하여야 할 복수의 작업들 각각에 대하여 작업 완료 시 마다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작업지시서에 작업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상기 작업시나리오 정보의 수행하여야 할 복수의 작업들 모두를 수행 완료 시 상기 정비작업의 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지시서에 작업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시나리오 정보의 상기 수행하여야 할 작업들 각각에 대하여 완료 시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단말기를 활용한 정비작업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상기 작업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정비작업을 완료하기 위하여 수행하여야 할 복수의 작업들 이외의 추가적인 작업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단말기를 활용한 정비작업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자동으로 상기 작업지시서에 작업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센서 또는 GPS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작업지시서에 작업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단말기를 활용한 정비작업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상기 작업지시서에 작업 수행 결과를 표시할 때마다 상기 작업지시서 또는 표시한 상기 작업 수행 결과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단말기를 활용한 정비작업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상기 작업지시서의 모든 작업 수행 완료 시 상기 정비작업의 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는 모든 작업 수행 완료가 표시된 상기 작업지시서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인,
    모바일단말기를 활용한 정비작업 방법.
  8. 복수의 사이트에 산재되어 있는 풍력발전기들을 유지보수하는데 활용되는 유지보수용 모바일단말기로서,
    관리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정비작업에 대한 작업지시 정보를 기초로 유지보수 엔지니어 정보, 상기 작업지시 정보 및 수행하여야 할 복수의 작업들을 수행 순서대로 표시한 작업시나리오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지시서를 생성하는 작업지시서생성부;
    상기 작업지시서를 표시하는 화면부;
    센서 또는 GPS로부터 오는 신호를 바탕으로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인식부; 및
    인식된 상기 위치를 기초로 또는 유지보수 엔지니어의 입력을 받아 상기 수행하여야 할 복수의 작업들 각각에 대하여 작업 수행 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수행 하여야 할 복수의 작업들을 모두 완료시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정비작업의 완료 정보를 전달하는 작업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수행하여야 할 복수의 작업 각각에 대하여 작업의 내용, 작업 완료 시각, 및 완료 상태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유지보수용 모바일단말기.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작업을 위하여 상기 수행하여야 할 복수의 작업 이외의 추가적인 작업을 입력받는 작업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유지보수용 모바일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관리부는 상기 수행하여야 할 복수의 작업들 각각에 대하여 작업 수행 결과를 표시할 때마다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작업지시서 또는 표시한 상기 작업 수행 결과를 전달하는,
    풍력발전기 유지보수용 모바일단말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관리부는 정비작업 완료 정보로서 모든 작업 수행 완료가 표시된 상기 작업지시서를 사용하는,
    풍력발전기 유지보수용 모바일단말기.
KR1020160078026A 2016-06-22 2016-06-22 풍력발전기 유지보수를 위한 모바일단말기 및 유지보수 방법 KR101841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026A KR101841347B1 (ko) 2016-06-22 2016-06-22 풍력발전기 유지보수를 위한 모바일단말기 및 유지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026A KR101841347B1 (ko) 2016-06-22 2016-06-22 풍력발전기 유지보수를 위한 모바일단말기 및 유지보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82A KR20180000182A (ko) 2018-01-02
KR101841347B1 true KR101841347B1 (ko) 2018-05-04

Family

ID=6100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026A KR101841347B1 (ko) 2016-06-22 2016-06-22 풍력발전기 유지보수를 위한 모바일단말기 및 유지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5019B (zh) * 2019-01-25 2022-04-29 湖南大唐先一科技有限公司 一种风机状态自动判断方法
KR102634956B1 (ko) * 2021-12-16 2024-02-16 주식회사 다솔 Ai 기반 빅 데이터 분석에 의한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주기 사후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898B1 (ko) * 2011-04-05 2012-09-19 주식회사 센서웨이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898B1 (ko) * 2011-04-05 2012-09-19 주식회사 센서웨이 스마트 폰 기반의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보고서 자동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82A (ko) 201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923B1 (ko) 풍력단지 통합제어 모니터링 방법
KR101768810B1 (ko) 풍력단지 통합 제어 모니터링 시스템
AU20192010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ition monitoring of a group of plants
US11635742B2 (en) Technologies for fault related visual content
CN103837796B (zh) 一种基于Web和GIS的输电线路故障可视化通报方法及系统
DE212016000186U1 (de) Simulationssystem
KR101764541B1 (ko) 풍력발전기 유지보수 장치 및 방법
CN106022730A (zh) 一种基于风力发电运行检修的移动协同工作平台系统及其运行方法
KR101841347B1 (ko) 풍력발전기 유지보수를 위한 모바일단말기 및 유지보수 방법
KR101757117B1 (ko) 풍력발전기 유지보수 장치 및 방법
CN103544561A (zh) 实现输电线路信息动态展示、运维方法及管理系统
Chandra et al. Cloud based real-time monitoring and control of diesel generator using the IoT technology
WO202209386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methane emissions within a mesh sensor network
CN103226792A (zh) 结合运动轨迹的电力作业管控方法
JP5270963B2 (ja) 風力発電設備遠隔監視装置、風力発電遠隔管理方法及び風力発電遠隔管理プログラム
Petersen et al. Offshore wind power at rough sea: The need for new maintenance models
CN103246955A (zh) 可视化生产计划排程信息系统
CN102495898A (zh) 电网设备状态在线检测数据模板生成关联方法及装置
CN104333139B (zh) 一种变电站过程层设备监测方法及系统
CN104833882A (zh) 采用分布式远程自动变频器故障诊断方法
Krome et al. Revealing the benefits of the intelligent well pad program for onshore shale assets
Pattison et al. The windy domain—a challenging real-world application of integrated planning and scheduling
Hui Latest trends in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s
THOMAS et al. Elements and Enablers of the Digital Power Plant
Toida et al. Plant Maintenance Services and Application of I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