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988A -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단말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단말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988A
KR20160034988A KR1020167004404A KR20167004404A KR20160034988A KR 20160034988 A KR20160034988 A KR 20160034988A KR 1020167004404 A KR1020167004404 A KR 1020167004404A KR 20167004404 A KR20167004404 A KR 20167004404A KR 20160034988 A KR20160034988 A KR 20160034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area
control unit
information
energ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8188B1 (ko
Inventor
카오리 사토
히로토시 야노
마사아키 야베
유키 오가와
사토시 미네자와
이치로 마루야마
사토시 엔도
마사유키 코마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4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4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power network being locally controll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4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an electric power substation
    • H02J13/00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8Network protocols supporting networked applications, e.g. includ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취득부(1801)는, 댁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표시부(1802)는, 제1의 표시 영역에, 취득부(1801)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표시하고, 제2의 표시 영역에, 댁내에서의 기기의 설치 장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배치한 레이아웃도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802)는,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 중에, 복수의 기기 중의 특정한 기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고 판별한 경우, 제2의 표시 영역에서 특정한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여 표시한다.

Description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단말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ENERGY MANAGEMENT SYSTEM, TERMINA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단말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가전 기기를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HEMS(Home Energy Management System)라고 불리는 시스템이 있다. 근래, 유저가 댁내(집안)에 있지 않아도 댁외(집밖)로부터 인터넷 등을 경유하여 댁내의 가전 기기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HEMS가 알려져 있다. HEMS는, 유저가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소비 전력량을 감시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의하면, 전기 기기가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그룹마다 전력 관리 오브젝트가 준비되고, 각 그룹에 속하는 전기 기기의 소비 전력에 관한 정보가 전력 관리 오브젝트 내에 표시되는 전력 관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각 전력 관리 오브젝트가, 복수의 카드를 클립으로 통합하도록, 클립 형상의 오브젝트로 통합하여 보이도록 표시된다.
한편으로, 다양한 정보 중에서 몇 몇가지의 정보를 추출하여 컴퓨터 화면상에 간이 표시시키는, 이른바 가젯이라는 것이 있다. 가젯은, 많은 정보를 컴팩트하게 통합하여 유저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13-106414호 공보
그런데, 근래의 HEMS는 다기능을 갖고 있고,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정보량이 많다. 그 때문에, 모든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모두 표시할 수 없는 일이 많다. 또한, 하나의 화면에서 제공하는 정보량이 많아지기 쉬워서 유저를 오히려 혼란시켜 버린다. 라는 것이 있어서, 유저에게 제공한 정보를 단순하게 좁히면, 정보끼리가 연결되거나 전체 상(像)이 보이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정보 사이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쉬운 관리 화면을 유저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은,
댁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제1의 표시 영역에,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표시하고, 제2의 표시 영역에, 상기 댁내에서의 상기 기기의 설치 장소에 상기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배치한 레이아웃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 중에, 상기 복수의 기기 중의 특정한 기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서 상기 특정한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여 표시한다.
정보끼리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쉬운 관리 화면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댁내의 방의 배치와 가전 기기 등의 배치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레이아웃 정의 테이블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B는 기본 정보 입력 화면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기기-방 대응시킴 테이블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B는 방과 기기와의 대응시킴을 입력하는 화면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는 방-유저 대응시킴 테이블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B는 방과 유저와의 대응시킴을 입력하는 화면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스케줄표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관리 화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알림 가젯과 방배치 가젯을 연휴시킨 표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 차트.
도 11은 관리 화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스케줄 가젯과 방배치 가젯을 연휴시킨 표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 차트.
도 13은 관리 화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일괄 가젯과 방배치 가젯을 연휴시킨 표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 차트.
도 15는 관리 화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그래프 가젯과 방배치 가젯을 연휴시킨 표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 차트.
도 17은 갱신 타이밍을 연휴시킨 표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 차트.
도 18은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실시 형태 1)
도 1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다.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은, 댁내(수요가 내)에 설치되는 다양한 기기 및 시스템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을 감시하고, 또한, 각 기기 및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댁내 네트워크(10)에는, 자립(自立) 전환반(101), 공조기(102), 환기 시스템(103), 텔레비전 수상기나 조명기구 등 그 밖의 가전 기기(104), 바닥 난방 시스템(105), IH(Induction Heating) 쿠킹 히터(106), 급탕(給湯) 시스템(107)이 포함된다.
또한, 댁내 네트워크(10)에는, 태양광 등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108), 축전지를 구비하는 축전 시스템(109), 수시로 분리 가능하고 축전지를 구비하는 전기 자동차(110), 컨트롤러(120)가 포함된다.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의 댁내 전력선(도시 생략)은, 자립 전환반(101)을 통하여, 전력 회사의 상용 전원과 접속된다.
댁내 네트워크(10)에 포함되는 상기 각 장치 및 시스템은, 댁내 전력선에 접속되고, 상용 전원과 발전 시스템(108)과 축전 시스템(109)과 전기 자동차(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는다.
또한, 이들의 각 기기 또는 시스템은, 각각, 도시하지 않은 무선 통신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무선에 의해 컨트롤러(120)와 통신이 가능하다. 단, 통신의 일부 또는 전부는 유선에 의해 행하여져도 좋다.
또한,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 내의 댁내 전력선의 복수 개소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력계측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전력계측 장치는, 공조기(102), 환기 시스템(103), 가전 기기(104), 바닥 난방 시스템(105), IH 쿠킹 히터(106), 급탕 시스템(107), 발전 시스템(108), 축전 시스템(109), 전기 자동차(1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 등을 순서대로 검출한다. 계측 결과는 컨트롤러(120)에 송신된다.
댁내 네트워크(10)는, 서버(30)와 단말 장치(40)와 통신 네트워크(50)로 구성되는 댁외(宅外) 네트워크(20)에 연결되어 있다. 통신 네트워크(50)는, 전형적으로는 인터넷이다. 유저는, 댁내 네트워크(10) 내에 있는 각 기기 및 시스템을, 댁외 네트워크(20)에 있는 단말 장치(40)를 이용한 원격 조작에 의해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버(30)는, 단말 장치(40)와 컨트롤러(12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단말 장치(40)는, 서버(30)에 커맨드 등을 송신하고, 서버(30)는 컨트롤러(120)에 수신한 커맨드 등을 송신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간략화를 위해, 단말 장치(40)가 컨트롤러(120)에 커맨드를 송신한다, 와 같이, 서버(30)에 관한 기재를 생략하여 설명한다.
단말 장치(40)는, 댁내 네트워크(10)와 댁외 네트워크(20)에 무선 통신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40)는, 휴대 전화기, 퍼스널 컴퓨터(PC), 태블릿형 PC 등이다. 유저는, 댁내는 물론, 댁외에도 단말 장치(40)를 들고 다니고, 단말 장치(40)를 사용하고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 내의 각 기기 및 시스템을 원격 조작할 수 있다.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의 동작 모드에는, 크게 나누어 2종류의 운전 모드가 있다. 하나는, 자립 전환반(101)에 의해 댁내 전력선이 상용 전원과 연결되고,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는 연휴 모드이다. 연휴(連携) 모드에서는, 발전 시스템(108)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상용 전원에 공급하는(매전(賣電)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나는, 자립 전환반(101)에 의해 댁내 전력선이 상용 전원으로부터 분리되고,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지 않고서, 발전 시스템(108)에 의해 발전된 전력, 및/또는, 축전 시스템(109)에 축적된 전력, 및/또는, 전기 자동차(110)에 축적된 전력을 댁내에 공급하는 자립(自立) 모드이다.
운전 모드의 전환은, 자립 전환반(101)에 의해 검지된다,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의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자립 전환반(101)에 의해 행하여진다. 전형적으로는, 상용 전원이 정전되면 자립 모드로 설정되고, 상용 전원이 정전되지 않으면 연휴 모드로 설정된다.
도 1에 도시하는 각 기기 및 시스템은, 댁내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 가능하다. 도 2에, 댁내의 방의 배치와, 댁내에 설치되는 가전 기기(104)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레이아웃도의 한 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댁내에는, 7개의 공간, 즉, 옷장방(A), 서재(B), 키친 및 거실(이하, 「거실」이라고 약칭한다.)(C), 아동방(D), 일본식 방(E), 침실(F), 욕실(G)이 있다. 각각의 공간에는, 컨트롤러(120)에 의해 제어 가능한 다양한 기기 또는 시스템이 설치된다.
옷장방(A)에는, 예를 들면, 환기 시스템(103A)이 설치된다.
서재(B)에는, 예를 들면, 공조기(102B), 가전 기기(104B)(텔레비전 수상기), 바닥 난방 시스템(105B)이 설치된다.
거실(C)에는, 예를 들면, 공조기(102C), 가전 기기(104C-1)(냉장고), 가전 기기(104C-2)(텔레비전 수상기), 바닥 난방 시스템(105C), IH 쿠킹 히터(IHCH)(106C)가 설치된다.
아동방(D)에는, 예를 들면, 공조기(102D), 가전 기기(104D)(텔레비전 수상기), 바닥 난방 시스템(105D)이 설치된다.
일본식 방(E)에는, 예를 들면, 공조기(102E)가 설치된다.
침실(F)에는, 예를 들면, 공조기(102F)가 설치된다.
욕실(G)에는, 예를 들면, 환기 시스템(103G), 급탕 시스템(107G)이 설치된다.
각 방(A∼G) 중에 기재한 각 기기 및 시스템은, 각각, 컨트롤러(120)와의 사이에서 통신하고, 컨트롤러(120)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방배치, 각 방에 설치되는 기기 및 시스템의 종류, 기기 및 시스템의 수, 기기 및 시스템의 설치 장소는 한 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컨트롤러(120)의 구성에 관해,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컨트롤러(120)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의 전체를 감시하고, 제어한다.
입력부(301)는, 버튼, 키보드, 터치 패널 등의 입력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입력부(301)는, 유저로부터의 지시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부(302)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유저가 다양한 지시를 입력하거나 하는 화면(이하, 「관리 화면」이라고 한다.)을 표시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상세는 후술한다.
기억부(303)는, 불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한다. 기억부(303)는, 제어부(305)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외에, 도 4A에 도시하는 댁내의 방의 레이아웃을 정의(定義)하는 레이아웃 정의 테이블(400)과, 도 5A에 도시하는 컨트롤러(120)에 의한 제어 대상의 각 기기 또는 시스템의 댁내에서의 설치 장소를 정의하는 기기-방 대응시킴 테이블(500)과, 도 6A에 도시하는 각 기기 또는 시스템과 유저와의 대응시킴을 정의하는 방-유저 대응시킴 테이블(600)과, 도 7에 도시하는 스케줄표(700)를 기억한다. 상세는 후술한다.
통신부304는, NIC(Network Interface Card)를 구비하고,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 내의 각 장치 또는 시스템과 무선으로 통신한다.
제어부(305)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 워크 에어리어가 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구비한다. 제어부(305)는, 기억부(303)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컨트롤러(120)의 전체를 제어한다.
컨트롤러(120)로서, 일반적인 서버, 메인 프레임, 퍼스널 컴퓨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4A에, 2층 건물의 단독 주택 주택에서의 레이아웃 정의 테이블(400)의 구성례를 도시한다. 레이아웃 정의 테이블(400)에는, 방의 식별 번호와, 방이 있는 층수와, 방의 명칭과, 방의 넓이가 대응시켜서 기억된다. 제어부(305)는, 유저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레이아웃 정의 테이블(400)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도 4B에,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에서의 기본 정보 입력 화면의 구성례를 도시한다. 기본 정보 입력 화면은, 예를 들면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의 셋업시에 액정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유저는, 이 기본 정보 입력 화면을 이용하여, 집의 방배치나 가족 구성 등의 기본 정보를 입력한다. 제어부(305)는, 유저로부터의 입력 내용에 의거하여, 레이아웃 정의 테이블(400)을 작성하고, 또는 갱신한다.
도 5A에, 기기-방 대응시킴 테이블(500)의 구성례를 도시한다. 기기-방 대응시킴 테이블(500)에는, 방의 식별 번호 외 대응시켜서, 그 방 중에 설치되는 기기의 식별 번호와, 그 기기의 명칭이 기억된다. 기기의 정격전력 등의 특성치가 또한 기억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유저는, 새롭게 기기를 구입하여 방 중에 설치하면, 컨트롤러(120)를 조작하여 기기-방 대응시킴 테이블(500)의 편집 화면을 표시시켜서, 기기를 설치한 방이나 기기의 명칭 등을 입력한다. 제어부(305)는, 유저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기기-방 대응시킴 테이블(500)을 적절히 변경한다.
도 5B에, 방과 기기와의 대응시킴을 유저가 입력하는 편집 화면의 구성례를 도시한다. 유저는,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501)(본 도면 중에서는 501A, 501B, 501C의 3개)을, 설치한 방을 나타내는 테두리 내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킨다. 제어부(305)는, 이 편집 화면을 이용한 유저로부터의 입력 내용에 의거하여, 기기-방 대응시킴 테이블(500)을 생성하고, 또는 갱신한다.
컨트롤러(120)는, 댁외 네트워크(20)상에 있는 서버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여 기기-방 대응시킴 테이블(500)을 갱신하여도 좋다. 컨트롤러(120)가 기기의 형번이나 일련 번호의 입력을 유저로부터 접수하여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가 형번이나 일련 번호에 대응하는 기기의 정격전력 등의 특성치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여 컨트롤러(120)에 송신하고, 컨트롤러(120)가 서버로부터 취득한 특성치를 이용하여 기기-방 대응시킴 테이블(500)을 갱신하여도 좋다.
제어부(305)는, 레이아웃 정의 테이블(400)과, 기기-방 대응시킴 테이블(500)과, 건물의 외견(外見)이나 기기 등을 나타내는 템플릿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건물 전체의 개략 도면을 작성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개략 도면은 현실을 충실하게 재현하는 엄밀한 것이 아니어도 좋고, 기기 또는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방을 유저가 시인(視認)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예를 들면, 도 5B의 편집 화면에서, 유저가 공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501A)을 거실의 표시 영역 중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305)는, 거실의 표시 영역 중에, 공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배치한다.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은, 유저가 실제로 설치한 기기 또는 시스템의 외견을 충실하게 재현하는 것이 아니어도 좋다. 또한, 화상을 배치한 위치는, 유저가 실제로 설치한 장소를 충실하게 재현하는 것이 아니어도 좋다. 또한, 제어부(305)가 개략 도면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수법은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 6A에, 방-유저 대응시킴 테이블(600)의 구성례를 도시한다. 방-유저 대응시킴 테이블(600)에는, 방의 식별 번호 외 대응시켜서, 그 방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 예를 들면, 식별 번호 "103"의 거실에는, 「부」 「모」 「아들」 「딸」의 4명이 대응시켜진다.
도 6B에, 방과 유저와의 대응시킴을 입력하는 화면의 구성례를 도시한다. 유저는, 유저를 나타내는 아이콘(601)(본 도면 중에서는 601A, 601B, 601C의 3개)을, 설치한 방을 나타내는 테두리 내로 드래그하여 이동시켜서, 방을 주로 사용하는 유저를 지정한다. 제어부(305)는, 이 화면을 이용한 입력 내용에 의거하여, 방-유저 대응시킴 테이블(600)을 생성하고, 또는 갱신한다.
기기-방 대응시킴 테이블(500)과 방-유저 대응시킴 테이블(600)을 조합시키면, 방의 식별 번호가 공통 키이기 때문에, 기기와 유저와의 대응 관계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A의 기기-방 대응시킴 테이블(500)에 의하면, 식별 번호 "102"의 서재(B)에는, 식별 번호 "0001"의 공조기(102B)와, 식별 번호 "0002"의 가전 기기(104B)(텔레비전 수상기 ; TV)와, 식별 번호 "0003"의 바닥 난방 시스템(105B)이 대응시켜져 있다. 또한, 도 6A의 방-유저 대응시킴 테이블(600)에 의하면, 식별 번호 "102"의 서재에는 "부"가 대응시켜져 있다. 따라서, 제어부(305)는, 식별 번호 "0001"의 공조기(102B)와, 식별 번호 "0002"의 가전 기기(104B)와, 식별 번호 "0003"의 바닥 난방 시스템(105B)의 3개가 "부"에 대응시켜진다고 판별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제어부(305)는, 모든 기기 또는 시스템에 관해, 대응시켜지는 유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7에, 스케줄표(700)의 구성례를 도시한다. 스케줄표(700)는, 컨트롤러(120)의 입력부(301) 또는 단말 장치(40)를 이용하여 유저에 의해 입력되고, 기억부(303)에 기억된다. 하나의 스케줄에는, 유저와, 예정의 내용과, 예정 시작일시와, 예정 종료일시와, 그 예정을 반복하여 설정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대응시켜진다. 예정의 반복 설정의 방법은, 매일, 평일만, 휴일만 등, 임의이다.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는, 스케줄표(700)에 격납되어 있는 스케줄에 의거하여, 각 기기 및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스케줄표(700)에 의하면, 2013년 4월 23일 7시 30분부터 2013년 4월 23일 19시 30분까지의 동안, "부"에는 업무로 집을 비우는 예정이 들어가고 있다. 그래서, 제어부(305)는, 이 예정 시작일시에, "부"에만 대응시켜지는 방 "서재(식별 번호 102)" 중에 설치되어 있는 공조기(102B)의 냉방이 켜 놓은 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조기(102B)의 냉방을 끄도록 제어한다.
다음에, 단말 장치(40)의 구성에 관해,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단말 장치(40)는, 무선 통신 기능이 붙은 태블릿형 PC이다.
무선 통신부(801)는, NIC와 안테나를 구비하고, 컨트롤러(120)와 통신한다.
음성 처리부(802)는, 유저의 발성음 등을 마이크로폰(822)에 의해 모으고, A/D 컨버터에 의해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802)는, D/A 컨버터에 의해 음성 데이터를 복조하여 음성을 스피커(821)로부터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803)는, 화상 연산 프로세서(도시 생략)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가공 처리한 후, 프레임 버퍼에 기록한다. 프레임 버퍼에 기록된 화상 정보는, 수직 동기 등의 미리 결정된 동기 타이밍에서 화상 신호로 변환되어, LCD(823)에 출력된다.
외부 I/F(Interface)(804)는, 착탈 가능한 외부 메모리와 접속하여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한다. 외부 I/F(804)는, USB(Universal Serial Bus) 등에 의해 단말 장치(40)와 외부 기기를 접속하여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할 수가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입력부(805)는, 터치 패널(824)로부터 조작 신호를 접수하고, 제어부(807)에 입력한다. 제어부(807)는, 입력된 조작 신호에 의거하여 조작 내용을 결정한다. 유저는, 터치 패널(824)을 이용하여, 임의의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컨트롤러(120)에의 커맨드를 입력하거나 할 수 있다.
기억부(806)는, 하드 디스크 또는 불휘발성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하고, 단말 장치(40) 전체의 제어에 필요한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이나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제어부(807)는, CPU, RAM, ROM을 구비하고, 단말 장치(40) 전체를 제어한다.
유저는, 단말 장치(40)를 댁내에서 자유롭게 들고 다니고,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을 원격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단말 장치(40)를 댁외로 들고나가,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을 원격으로부터 조작할 수도 있다.
다음에,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에서의 관리 화면에 관해, 도 9 등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관리 화면은, 컨트롤러(120)가 구비하는 표시 디바이스, 또는, 단말 장치(40)가 구비하는 LCD에 표시된다. 유저는, 관리 화면에 의해,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의 현재의 상태를 열람하거나, 각 기기 또는 시스템에의 원격 조작의 지시를 입력하거나 할 수 있다.
관리 화면에는, 기능마다 나뉘어진 복수의 표시 영역이 있다. 이들의 표시 영역은 각각, 가젯(또는 위젯)이라고 불린다.
본 실시 형태의 관리 화면에는, 유저에게의 알림이 표시되는 알림 가젯(910)과,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 내의 복수의 기기 또는 시스템에 일괄하여 동작을 지시하는 버튼을 갖는 일괄 가젯(920)과, 소비 전력과 발전량과 매전량을 그래프로 표시하는 그래프 가젯(930)과, 캘린더를 표시하는 캘린더 가젯(940)과, 유저에 의해 등록된 스케줄을 표시하는 스케줄 가젯(950)과, 기기 또는 시스템의 설치 장소를 댁내의 방배치와 함께 표시하는 방배치 가젯(960)이 있다.
알림 가젯(910)에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에 발생한 이벤트, 기기 또는 시스템의 동작 이력, 유저에게의 알림 등이 시계열 순서로 표시된다.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는, 이벤트의 발생 등에 응하여 알림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기억부(303)에 기억한다.
제어부(305)는,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취지의 요구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면, 생성한 알림을 시계열 순서로 나열하여 알림 가젯(910) 내에 표시한다.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취지의 요구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면, 컨트롤러(120)에 의해 생성된 알림을 컨트롤러(120)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알림을 시계열 순서로 나열하여 알림 가젯(910) 내에 표시한다.
제어부(305)는, 생성한 알림마다 확인 버튼(911)을 표시하고, 유저에게 알림을 읽을 것을 촉구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제어부(305)는, 확인 버튼(911)이 눌러지지 않은 미독(未讀)의 알림을 제1의 색으로 표시하고, 확인 버튼(911)이 눌리면, 확인 버튼을 소거함과 함께, 읽혀진 알림을 제1의 색과는 다른 제2의 색으로 표시하여도 좋다.
알림 가젯(910) 내에 표시하는 알림의 건수는 임의이다. 알림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어부(305)는, 시계열 순서로 가장 새로운 미리 결정된 건수분의 알림만 표시하거나, 스크롤 바를 배치하여 복수의 알림을 스크롤 표시시키거나 하여도 좋다.
컨트롤러(120)에 의해 생성된 알림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그들 복수의 알림 중에서, 생성된 일시가 시계열 순서로 가장 새로운 미리 결정된 건수분(또는 미리 결정된 건수 이하)의 알림을 추출하여, 알림 가젯(910) 내에 표시한다.
알림 가젯(910)의 표시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단 확인 버튼(911)의 표시 영역을 제외한다)가 유저에 의해 터치되면,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그때까지 생성된 알림의 일람을 표시하는 상세 화면으로 천이시킨다.
일괄 가젯(920)에는, 복수의 기기 또는 시스템에 일괄하여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일괄 조작 버튼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외출」 버튼(921)에는, 댁내에 있는 모든 조명, 모든 공조기, 모든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원을 OFF로 하는 커맨드가 미리 대응시켜져 있고, 이 「외출」 버튼(921)이 유저에 의해 눌리면, 제어부(305)는, 댁내에 있는 모든 조명, 모든 공조기, 모든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원을 OFF로 시킨다.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외출」 버튼(921)이 유저에 의해 눌리면, 댁내에 있는 모든 조명, 모든 공조기, 모든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원을 OFF로 시키는 커맨드를 컨트롤러(120)에 송신한다. 커맨드를 수신한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는, 댁내에 있는 모든 조명, 모든 공조기, 모든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원을 OFF로 시킨다.
일괄 조작 버튼에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한 「외출」 버튼(921) 외에, 유저가 귀가한 때에 복수의 기기 또는 시스템에 일괄하여 동작시키는 커맨드가 대응시켜진 버튼이나, 유저가 취침할 때에 복수의 기기 또는 시스템에 일괄하여 동작시키는 커맨드가 대응시켜진 버튼, 유저가 기상할 때에 복수의 기기 또는 시스템에 일괄하여 동작시키는 커맨드가 대응시켜진 버튼, 휴일에 복수의 기기 또는 시스템에 일괄하여 동작시키는 커맨드가 대응시켜진 버튼, 방문객이 있는 때에 복수의 기기 또는 시스템에 일괄하여 동작시키는 커맨드가 대응시켜진 버튼, 유저가 여행할 때에 복수의 기기 또는 시스템에 일괄하여 동작시키는 커맨드가 대응시켜진 버튼 등이 있다.
또한, 일괄 조작 버튼에 대응시켜지는 처리 내용을 유저가 자유롭게 정의할 수 있어도 좋다. 제어부(807)는, 일괄 조작 버튼에 대응시켜지는 명칭, 일괄 조작 버튼에 대응시켜지는 기기 또는 시스템, 일괄 조작 버튼에 대응시켜지는 처리 내용 등의 입력을 유저로부터 접수하고, 유저에 의해 정의된 이들의 정보를 기억부(806)에 기억할 수 있다. 제어부(807)는, 기억부(806)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일괄 가젯(920)을 표시한다.
일괄 가젯(920) 내에 배치되는 일괄 조작 버튼에 대응시켜지는 커맨드는 임의이다. 유저는, 일괄 조작 버튼에 대응시켜지는 커맨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유저는, 방배치, 기기 또는 시스템의 배치, 자신의 사정 등에 응하여, 임의로, 일괄 조작 버튼에 대응시켜지는 커맨드를 변경, 삭제, 추가할 수 있다.
일괄 조작이 가능한 패턴 수가 일괄 가젯(920) 내에 표시 가능한 버튼 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일괄 조작의 패턴 수를 일괄 가젯(920) 내에 표시 가능한 수 이하로 좁혀서, 일괄 조작 버튼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설정된 일괄 조작의 패턴 수가 10개이지만, 일괄 가젯(920) 내에 표시 가능한 버튼 수가 6여서 전부를 모두 표시할 수가 없는 경우,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유저에 의한 사용 빈도가 높은 상위 6개의 일괄 조작 버튼을 표시한다.
그래프 가젯(930)에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 전체에 의한 발전량과 소비 전력량과 매전량이 그래프화하여 표시된다. 제어부(305)는, 발전 시스템(108)에 의한 발전량과, 축전 시스템(109)에 의한 축전량과, 전기 자동차(110)에 의한 축전량과, 전력계측 장치에 의해 계측된 소비 전력량을 리얼타임으로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부(305)는,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취지의 요구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면, 취득한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 전체에 의한 발전량과 소비 전력량과 매전량을 그래프화하여 그래프 가젯(930)에 표시한다.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취지의 요구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면,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 전체에 의한 발전량과 소비 전력량과 매전량을 컨트롤러(120)로부터 취득하고, 그래프 가젯(930)에 표시한다.
그래프 가젯(930)의 표시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가 유저에 의해 터치되면,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보다 상세한, 예를 들면 최근 수일간에 있어서의 발전량과 소비 전력량과 매전량의 추이 등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천이시킨다.
제어부(305)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 전체에 의한 발전량과 소비 전력량과 매전량을 정기적으로 또는 리얼타임으로 취득하고, 기억부(303)에 이력으로서 기억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05)는, 최근의 과거 3개월분이라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하여진 기간의 이력을 기억부(303)에 기억한다.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그들의 모든 이력 중에서, 보존 일시가 현재 일시에 가장 가까운 최신의 이력을 추출하여, 그래프 가젯(930)에 표시한다.
캘린더 가젯(940)에는, 컨트롤러(120)에 의해 계시(計時)된 일자와 시각(시스템 일시)이 표시된다. 제어부(305)는,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취지의 요구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면, 계시한 일시를 캘린더 가젯(940)에 표시한다.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취지의 요구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면, 컨트롤러(120)에 의해 계시된 일시를 취득하고, 취득한 일시를 캘린더 가젯(940)에 표시한다.
캘린더 가젯(940)의 표시 영역이 유저에 의해 터치되면,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시스템 일시를 유저가 변경할 수 있는 화면으로 천이시킨다.
또한,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캘린더 가젯(940) 내에, 유저가 임의로 설정한 일시에 알람 소리를 울리는 설정을 행하는 버튼(941)을 배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버튼(941)이 ON으로 되어 있고 또한 일시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는, 그 설정된 일시가 되면 알람 소리를 출력하여 유저에게 통보하여도 좋다.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재신에,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가, 그 설정된 일시가 되면 알람 소리를 출력하여 단말 장치(40)의 유저에게 통보하여도 좋다.
스케줄 가젯(950)에는, 도 7에 도시하는 스케줄표(700)에 등록된 스케줄이 표시된다. 제어부(305)는,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취지의 요구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면, 스케줄표(700)에 등록된 스케줄 중, 스케줄로 설정된 일시가 현재 일시에 가까운 순서로 미리 결정된 개수분의 스케줄을, 스케줄 가젯(950)에 표시한다.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취지의 요구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면, 스케줄표(700)에 등록된 스케줄 중, 스케줄로 설정된 일시가 현재 일시에 가까운 순서로 미리 결정된 개수분의 스케줄을 컨트롤러(120)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스케줄을 스케줄 가젯(950)에 표시한다.
스케줄표(700)에 등록된 스케줄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그들 복수의 스케줄 중에서, 스케줄 일시가 시계열 순서로 가장 새로운 미리 결정된 건수분(또는 미리 결정된 건수 이하)의 스케줄을 추출하고, 스케줄 가젯(950) 내에 표시한다.
방배치 가젯(960)에는, 컨트롤러(120)에 의해 제어 가능한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이 대강의 설치 장소에 배치된 방배치도(레이아웃도)가 표시된다.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취지의 요구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면, 댁내의 방배치도 에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배치하고, 방배치 가젯(960) 내에 표시한다.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은, 그 기기 또는 시스템에 원격 조정 커맨드를 송신하는 버튼으로 되어 있고, 유저에 의해 터치되면,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는, 원격 조정의 내용(예를 들면 공조기라면, 전원의 온·오프, 설정 온도의 변경 등)을 입력하는 화면으로 천이시켜서, 원격 조정 커맨드를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는, 입력된 원격 조정 커맨드에 따라, 터치된 화상에 대응하는 기기 또는 시스템을 제어한다.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원격 조정 커맨드를 유저로부터 접수하고, 접수한 원격 조정 커맨드를 컨트롤러(120)에 송신한다. 원격 조정 커맨드를 수신한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는, 수신한 원격 조정 커맨드에 따라, 기기 또는 시스템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기기 또는 시스템의 동작 상태, 기기 또는 시스템에 발생한 이벤트, 유저에게의 알림 등의 부속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그 기기 또는 시스템에 대응시켜서 부속 정보를 방배치 가젯(960) 내에 표시하여도 좋다.
방수가 많고 방배치 전체를 방배치 가젯(960)에 모두 표시할 수 없는 경우, 또는, 방배치 전체를 표시하려고 하면 방배치도가 작아져서 유저가 보기 어렵다고 상정되는 경우,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댁내의 모든 방 중에서 일부분의 방을 추출하고, 방배치 전체 중의 일부분을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에 포함되는 기기 또는 시스템의 총수가 많아서 방배치 가젯(960)에 전부를 모두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모든 기기 또는 시스템 중에서 일부분을 추출하고, 모든 기기 또는 시스템 중의 일부분의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방배치 가젯(960)에 표시하여도 좋다.
방배치 가젯(960)의 표시 영역 내로서, 어느 장치 또는 시스템의 화상도 표시되지 않은 영역이 유저에 의해 터치되면,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보다 상세한 방배치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천이시킨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방을 확대하거나, 댁내를 바라보는 가상 시점(視點)의 위치와 가상 시선(視線) 방향을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변경할 수 있거나 하는 화면으로 천이시킨다.
각 가젯 내에는, 각각의 표시 내용을 최신의 것으로 갱신시키는 갱신 버튼(912, 922, 932, 942, 952, 962)이 배치된다. 갱신 버튼이 눌리면,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는, 대응하는 가젯의 표시 내용을 곧바로 갱신하여 표시한다.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갱신 버튼이 눌리면, 대응하는 가젯의 표시 내용을 컨트롤러(120)로부터 재 취득하여 표시한다.
모든 가젯 내의 표시 내용을 최신의 것으로 갱신시키는 갱신 버튼(982)이 눌리면,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는, 모든 가젯의 표시 내용을 곧바로 갱신하여 표시한다.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갱신 버튼(982)이 눌리면, 모든 가젯의 표시 내용을 컨트롤러(120)로부터 재 취득하여 표시한다.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는, 어느 하나의 갱신 버튼이 눌렸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미리 결정된 시간마다 각 가젯 내의 표시 내용을 최신의 것으로 자동적으로 갱신하여 표시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어느 하나의 갱신 버튼이 눌렸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미리 결정된 시간마다 각 가젯의 표시 내용을 컨트롤러(120)로부터 재 취득하여 표시하여도 좋다.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각 가젯 내의 표시를 마지막으로 갱신한 일시를, 각 가젯 내 또는 각 가젯의 부근에 표시하여도 좋다.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각 가젯 내의 표시를 다음에 갱신할 때까지의 잔여 시간을 각 가젯 내 또는 각 가젯의 부근에 표시하여도 좋다. 즉, 다음에 갱신될 때까지 "카운트다운"되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관리 화면에 의하면, 유저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이 갖는 다양한 기능의 개요나 동작 상태 등의 정보를 한번에 열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 소비 전력량과 방배치가 완전히 다른 화면에 표시되고, 양쪽 동시에 열람할 수 없다고 하면, 유저는, 소비 전력량과 방배치를 동시에 비교하여 볼 수가 없어서, 소비 전력량을 나타내는 화면과 방배치를 나타내는 화면을 빈번하게 왕래하지 않으면 안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저는, 그래프 가젯(930)에 표시되는 소비 전력량과, 방배치 가젯(960)에 표시되는 방배치를 비교하여 보면서, 예를 들면 소비 전력량이 많기 때문에 공조기의 전원을 오프에 한다는 조작을, 하나의 관리 화면 중에서 행할 수 있다.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은, 보다 조작하기 쉬운 관리 화면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각 가젯의 표시는, 서로 완전히 독립하여 행하여져도 좋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가젯 사이의 표시가 연동하는 것이 있다. 이하, 가젯 사이의 표시의 연동례를 나타낸다.
(1) 알림 가젯(910)과 방배치 가젯(960)과의 연동례
알림 가젯(910)에, 어느 특정한 기기 또는 시스템에 관한 알림이 표시되는 경우,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방배치 가젯(960)에서, 그 알림에 대응하는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강조하여 표시한다.
도 10에, 알림 가젯(910)과 방배치 가젯(960)을 연동시켜서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단말 장치(40)에 의해 관리 화면이 표시되는 케이스를 설명한다.
또한, 도 18에, 본 실시 형태에서의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우선, 제어부(807)는, 컨트롤러(120)로부터, 유저에게의 알림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S1001). 제어부(807)와 무선 통신부(801)가 협동하여, 유저에게의 알림을 나타내는 알림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1801)로서 기능한다.
제어부(807)는, 취득한 알림 데이터를 알림 가젯(910) 내에 표시한다(스텝 S1002).
제어부(807)는, 취득한 알림 데이터가, 특정한 일부의 기기 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003).
취득한 알림 데이터가, 특정한 일부의 기기 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 아닌 경우(스텝 S1003 ; NO), 제어부(807)는, 방배치 가젯(960) 내의 모든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통상의 양태로 표시한다(스텝 S1004). 예를 들면, 취득한 알림이, 「○○씨가 로그인했습니다」와 같이 댁내의 기기 또는 시스템이란 직접 관계 없는 경우나, 「현재의 총 소비 전력량은 ○○킬로와트입니다」와 같이 모든 기기 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인 경우, 모든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은 강조되지 않고 통상의 양태로 표시된다.
한편, 취득한 알림 데이터가, 특정한 일부의 기기 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인 경우(스텝 S1003 ; YES), 제어부(807)는, 알림에 대응하는 기기 또는 시스템을 판별하고(스텝 S1005), 방배치 가젯(960)에서, 판별한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강조 표시한다(스텝 S1006). 제어부(807)는, 알림에 대응하는 기기 또는 시스템이 아닌 다른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통상의 양태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알림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다른 화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한다.
제어부(807)는, 알림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점멸하여 표시하여도 좋다.
제어부(807)는, 알림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에 대응시켜서, 알림 가젯(910) 내에 표시하는 메시지와 같은 내용 또는 개략 내용, 또는 알림이 있다는 취지의 고지를 방배치 가젯(960) 내에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알림 데이터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807)는, 가장 새롭게 생성된 알림 데이터 또는 가장 새롭게 취득된 알림 데이터가 특정한 일부의 기기 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807)와 화상 처리부(803)가 협동하여, 알림 가젯(910) 내(제1의 표시 영역 내)에 알림 데이터나 특정한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고, 방배치 가젯(960) 내(제2의 표시 영역 내)에 레이아웃도를 표시하고, 판별한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여 표시하는 표시부(1802)로서 기능한다.
제어부(807)는, 알림 가젯(910)의 갱신 버튼(912), 또는, 관리 화면 전체를 갱신하는 갱신 버튼(982)이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007). 입력부(805)와 제어부(807)가 협동하여 표시를 갱신시키는 지시를 접수하는 입력 접수부(1803)로서 기능한다.
갱신 버튼(912) 또는 갱신 버튼(982)이 눌러진 경우(스텝 S1007 ; YES), 스텝 S1001로 되돌아와, 제어부(807)는, 알림 가젯(910) 또는 관리 화면 전체의 표시를 갱신한다.
갱신 버튼(910) 또는 갱신 버튼(982)이 눌리지 않은 경우(스텝 S1007 ; NO), 제어부(807)는, 알림 가젯(910)을 전회 갱신하고 나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008).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스텝 S1008 ; YES), 스텝 S1001로 되돌아와, 제어부(807)는, 알림 가젯(910)의 표시를 갱신한다.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스텝 S1008 ; NO), 스텝 S1007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알림 가젯(910)의 표시와 방배치 가젯(960)의 표시가 연동함에 의해, 유저에게의 소구(訴求)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유저는, 어느 기기 또는 시스템에 관한 알림인지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실의 에어컨의 설정치가 이상합니다」라는 메시지가 있는 경우, 알림 가젯(910)에 이 메시지가 표시됨과 함께, 방배치 가젯(960) 내의 공조기(102C)를 나타내는 화상이 강조하여 표시된다. 관리 화면을 열람한 유저는, 메시지의 대상 기기가 거실의 공조기(102C)인 것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저는, 관리 화면의 방배치 가젯(960) 내의 공조기(102C)를 나타내는 화상을 터치함에 의해, 공조기(102C)의 현재의 동작 상태나 설정치를 확인할 수 있고, 공조기(102C)를 적절하게 원격 조작할 수 있다.
(2) 스케줄 가젯(950)과 방배치 가젯(960)과의 연동례
스케줄표(700)에, 스케줄과 대응시켜서 기기 또는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지시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배치 가젯(960)에서, 그 스케줄의 대상 유저에게 대응시켜져 있는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강조하여 표시한다.
도 12에, 스케줄 가젯(950)과 방배치 가젯(960)을 연동시켜서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단말 장치(40)에 의해 관리 화면이 표시되는 케이스를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807)는, 컨트롤러(120)로부터, 스케줄표(700)에 등록된 스케줄을 나타내는 스케줄 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S1201). 제어부(807)와 무선 통신부(801)가 협동하여, 스케줄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1801)로서 기능한다.
제어부(807)는, 취득한 스케줄 데이터를 스케줄 가젯(950) 내에 표시한다(스텝 S1202).
제어부(807)는, 스케줄표(700)에 의거하여, 스케줄의 대상 유저를 판별한다(스텝 S1203).
제어부(807)는, 방-유저 대응시킴 테이블(600)에 의거하여, 판별한 대상 유저에게 대응시켜져 있는 방을 판별하고, 또한, 기기-방 대응시킴 테이블(500)에 의거하여, 판별한 방에 대응시켜져 있는 기기 또는 시스템을 판별한다. 즉, 제어부(807)는, 스케줄의 대상 유저에게 대응하는 기기 또는 시스템을 판별한다(스텝 S1204).
그리고, 제어부(807)는, 방배치 가젯(960)에서, 판별한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강조 표시한다(스텝 S1205). 제어부(807)는, 다른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통상의 양태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807)는, 스케줄에 대응하는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다른 화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한다.
제어부(807)는, 스케줄의 대상 유저에게 대응하는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점멸하여 표시하여도 좋다.
제어부(807)는, 스케줄의 대상 유저에게 대응하는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에 대응시켜서, 스케줄 가젯(950) 내에 표시하는 스케줄과 같은 내용 또는 개략 내용, 또는 스케줄이 설정되어 있는 취지의 고지(告知)를 표시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제어부(807)와 화상 처리부(803)가 협동하여, 스케줄 가젯(950) 내(제1의 표시 영역 내)에 알림 데이터를 표시하고, 방배치 가젯(960) 내(제2의 표시 영역 내)에 레이아웃도를 표시하고, 판별한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여 표시하는 표시부(1802)로서 기능한다.
제어부(807)는, 스케줄 가젯(950)의 갱신 버튼(952), 또는, 관리 화면 전체를 갱신하는 갱신 버튼(982)이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206).
갱신 버튼(952) 또는 갱신 버튼(982)이 눌러진 경우(스텝 S1206 ; YES), 스텝 S1201로 되돌아와, 제어부(807)는, 스케줄 가젯(950) 또는 관리 화면 전체의 표시를 갱신한다.
갱신 버튼(952) 또는 갱신 버튼(982)이 눌리지 않은 경우(스텝 S1206 ; NO), 제어부(807)는, 스케줄 가젯(950)을 전회 갱신하고 나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207).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스텝 S1207 ; YES), 스텝 S1201로 되돌아와, 제어부(807)는, 스케줄 가젯(950)의 표시를 갱신한다.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스텝 S1207 ; NO), 스텝 S1206으로 되돌아온다.
스케줄 가젯(950)의 표시와 방배치 가젯(960)의 표시가 연동함에 의해, 유저에게의 소구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유저는, 어느 스케줄에 어느 기기 또는 시스템이 대응시키지는 것인지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케줄표(700)에 「9시에 아버지가 출장에 나간다」는 스케줄(1100)이 구성되어 있고, 방-유저 대응시킴 테이블(600)에 의해 아버지에 「서재」가 대응시켜져 있는 경우,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또한 기기-방 대응시킴 테이블(500)을 참조하여, 「서재」에 대응시켜져 있는 기기 또는 시스템(도 11에서는 공조기(102B)와 텔레비전 수상기(104B)와 바닥 난방 시스템(105B))을 특정하고, 특정한 기기 또는 시스템(102B, 104B, 105B)을 나타내는 각 화상을 강조하여 표시한다. 이에 의해, 관리 화면을 열람한 유저는, 「9시에 스케줄이 구성되어 있고, 또한, 9시가 되었을 때에 특정한 기기 또는 시스템에 의해 미리 결정된 동작이 행하여지는(예를 들면 전원이 오프가 되는)」것을, 스케줄 일시가 오기 전에 용이하게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3) 일괄 가젯(920)과 방배치 가젯(960)과의 연동례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일괄 조작을 지시하는 버튼이 눌리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배치 가젯(960)에서, 눌러진 버튼에 대응시켜져 있는 일괄 조작 대상의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강조하여 표시한다.
도 14에, 일괄 가젯(920)과 방배치 가젯(960)을 연동시켜서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단말 장치(40)에 의해 관리 화면이 표시되는 케이스를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807)는, 일괄 조작 버튼이 유저에 의해 1회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401).
일괄 조작 버튼이 유저에 의해 1회도 눌리지 않은 경우(스텝 S1401 ; NO), 제어부(807)는, 스텝 S1406의 처리로 이동한다.
일괄 조작 버튼이 유저에 의해 1회 눌러진 경우(스텝 S1401 ; YES), 제어부(807)는, 눌러진 일괄 조작 버튼에 대응시켜져 있는 기기 또는 시스템을 판별한다(스텝 S1402). 제어부(807)와 무선 통신부(801)가 협동하여, 복수의 기기 또는 시스템에 일괄하여 미리 결정된 동작을 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일괄 동작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1801)로서 기능한다.
제어부(807)는, 방배치 가젯(960)에서, 스텝 S1402에서 판별한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강조 표시한다(스텝 S1403). 제어부(807)는, 다른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통상의 양태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807)는, 일괄 조작을 지시하는 버튼에 대응시켜져 있는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다른 화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한다.
제어부(807)는, 일괄 조작을 지시하는 버튼에 대응시켜져 있는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점멸하여 표시하여도 좋다.
제어부(807)는, 일괄 조작을 지시하는 버튼에 대응시켜져 있는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에 대응시켜서, 일괄 조작에 의한 지시 내용 또는 일괄 조작의 설정 대상인 취지의 고지를 표시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제어부(807)와 화상 처리부(803)가 협동하여, 일괄 가젯(920) 내(제1의 표시 영역 내)에 일괄 제어의 지시를 지시하는 버튼을 표시하고, 방배치 가젯(960) 내(제2의 표시 영역 내)에 레이아웃도를 표시하고, 판별한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여 표시하는 표시부(1802)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어부(807)는, 일괄 조작 버튼이 유저에 의해 재차 1회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404).
일괄 조작 버튼이 유저에 의해 재차 1회 눌러진 경우(스텝 S1404 ; YES), 제어부(807)는, 눌러진 일괄 조작 버튼에 대응시켜져 있는 커맨드를 컨트롤러(120)에 송신하고, 컨트롤러(120)에 일괄 조작을 실행시켜서(스텝 S1405), 스텝 S1401로 되돌아온다.
제어부(807)는, 일괄 가젯(920)의 갱신 버튼(922), 또는, 관리 화면 전체를 갱신하는 갱신 버튼(982)이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406).
갱신 버튼(922) 또는 갱신 버튼(982)이 눌러진 경우(스텝 S1406 ; YES), 스텝 S1401로 되돌아와, 제어부(807)는, 일괄 가젯(920) 또는 관리 화면 전체의 표시를 갱신한다.
갱신 버튼(922) 또는 갱신 버튼(982)이 눌리지 않은 경우(스텝 S1406 ; NO), 제어부(807)는, 일괄 가젯(920)을 전회 갱신하고 나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407).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스텝 S1407 ; YES), 스텝 S1401로 되돌아와, 제어부(807)는, 일괄 가젯(920)의 표시를 갱신한다.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스텝 S1407 ; NO), 스텝 S1406으로 되돌아온다.
일괄 가젯(920)의 표시와 방배치 가젯(960)의 표시가 연동함에 의해, 유저에게의 소구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유저는, 일괄 조작을 지시하는 버튼에 어느 기기 또는 시스템이 대응시켜져 있는 것인지, 어느 기기 또는 시스템을 일괄 조작하는 것인지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괄 조작 버튼(1300)에 「욕실의 급탕 시스템(107G)에 욕조에의 급탕을 시작시키고, 거실의 공조기(102C)의 냉방을 켠다」는 커맨드가 대응시켜져 있는 경우,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일괄 조작 버튼(1300)이 눌리면, 일괄 조작 버튼(1300)에 의한 지시 대상의 기기 또는 시스템(도 13에서는 급탕 시스템(107G)과 공조기(102C))를 특정하고, 특정한 기기 또는 시스템(107G, 102C)을 나타내는 각 화상을 강조하여 표시한다. 이에 의해, 관리 화면을 열람한 유저는, 일괄 조작 버튼(1300)에는 급탕 시스템(107G)과 공조기(102C)에 일괄하여 지시한 커맨드가 대응시켜져 있는 것을, 일괄 조작 버튼(1300)을 누르기 전에 용이하게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일괄 조작 버튼(1300)이 1회 눌러진(싱글 탭 된) 경우에는, 일괄 가젯(920)과 방배치 가젯(960)을 상기한 바와 같이 연휴하여 표시하고, 일괄 조작 버튼(1300)이 2회 계속해서 눌러진(더블 탭 된) 경우에는, 일괄 조작 버튼(1300)에 대응시켜져 있는 커맨드를 실행한다.
(4) 그래프 가젯(930)과 방배치 가젯(960)과의 연동례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 전체의 소비 전력량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도 많아진 경우,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배치 가젯(960)에서, 개개의 소비 전력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강조하여 표시한다.
도 16에, 그래프 가젯(930)과 방배치 가젯(960)을 연동시켜서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단말 장치(40)에 의해 관리 화면이 표시되는 케이스를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807)는, 발전 시스템(108)에 의한 발전량과,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 전체의 총 소비 전력량, 발전량, 매전량을 취득한다(스텝 S1601). 제어부(807)와 무선 통신부(801)가 협동하여, 총 소비 전력량, 발전량, 매전량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1801)로서 기능한다.
제어부(807)는, 취득한 총 소비 전력량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602).
취득한 총 소비 전력량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스텝 S1602 ; NO), 제어부(807)는 스텝 S1605의 처리로 이동한다. 한편, 취득한 총 소비 전력량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스텝 S1602 ; YES), 제어부(807)는, 컨트롤러(120)에 의해 제어되는 모든 기기 또는 시스템 중, 소비 전력량이 많은 기기 또는 시스템을 미리 결정된 개수 판별한다(스텝 S1603). 즉, 총 소비 전력량에의 기여가 많은 순서로 미리 결정된 개수의 기기 또는 시스템이 판별된다.
제어부(807)는, 판별한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강조 표시한다(스텝 S1604). 제어부(807)는, 다른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통상의 양태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807)는, 소비 전력량이 많은 순서로 미리 결정된 개수의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다른 화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한다.
제어부(807)는, 소비 전력량이 많은 순서로 미리 결정된 개수의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점멸하여 표시하여도 좋다.
제어부(807)는, 총 소비 전력량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도 많아진 경우가 아니라, 소비 전력량이 발전량 중 미리 결정된 비율 이상에 달하고 있는 경우나, 단위 시간당의 총 소비 전력량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도 많은 경우에, 개개의 소비 전력량이 많은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강조하여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제어부(807)는, 소비 전력량이 많은 순서로 미리 결정된 개수의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강조하여 표시하는 대신에, 소비 전력량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이상의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강조하여 표시하여도 좋다.
상기한 미리 결정된 개수, 즉 강조하여 표시되는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의 수는, 임의이다. 미리 결정되는 개수는, 유저 또는 제어부(305)에 의해 설정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807)와 화상 처리부(803)가 협동하여, 그래프 제트(930) 내(제1의 표시 영역 내)에 총 소비 전력량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고, 방배치 가젯(960) 내(제2의 표시 영역 내)에 레이아웃도를 표시하고, 판별한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여 표시하는 표시부(1802)로서 기능한다.
제어부(807)는, 그래프 가젯(930)의 갱신 버튼(932), 또는, 관리 화면 전체를 갱신하는 갱신 버튼(982)이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605).
갱신 버튼(932) 또는 갱신 버튼(982)이 눌러진 경우(스텝 S1605 ; YES), 스텝 S1601로 되돌아와, 제어부(807)는, 그래프 가젯(930) 또는 관리 화면 전체의 표시를 갱신한다.
갱신 버튼(932) 또는 갱신 버튼(982)이 눌리지 않은 경우(스텝 S1605 ; NO), 제어부(807)는, 그래프 가젯(930)을 전회 갱신하고 나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606).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스텝 S1606 ; YES), 스텝 S1601로 되돌아와, 제어부(807)는, 그래프 가젯(930)의 표시를 갱신한다.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스텝 S1606 ; NO), 스텝 S1605로 되돌아온다.
그래프 가젯(930)의 표시와 방배치 가젯(960)의 표시가 연동함에 의해, 유저에게의 소구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유저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 전체의 소비 전력량이 많음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기기 또는 시스템의 소비 전력량이 많은지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총 소비 전력량이 발전 시스템(108)에 의한 발전량의 90% 이상에 달하고 있는 때에 유저에게 전기가 지나치게 사용됨을 경고하고 싶은 경우,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총 소비 전력량이 발전량의 90% 이상에 달하면, 소비 전력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도 15에서는 공조기(102B, 102C, 102D, 102E)의 4개)를, 다른 화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한다. 이에 의해, 관리 화면을 열람한 유저는, 전기를 지나치게 사용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총 소비 전력량을 내리려면 어느 기기 또는 시스템의 사용을 삼가하면 효과적인 것인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20)의 제어부(305) 또는 단말 장치(40)의 제어부(807)는, 총 소비 전력량에 관계없이, 항상, 총 소비 전력량에의 기여가 큰 미리 결정된 개수의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상을 강조하여 표시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은, 각 가젯 내의 표시를 연동시킴에 의해, 정보끼리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쉬운 관리 화면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유저는, 하나의 관리 화면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고, 하나의 관리 화면으로부터 다양한 지시를 입력할 수 있고, 게다가 정보끼리의 연결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한 관리 처리의 각각에서, 단말 장치(40)에 의해 관리 화면이 표시되는 케이스를 설명하였지만, 컨트롤러(120)에 의해 관리 화면이 표시되는 케이스도 동일한 처리가 행하여진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실시 형태 2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젯의 자동 갱신 타이밍이 연동한다.
도 17에, 각 가젯의 갱신 타이밍을 연동시켜서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단말 장치(40)에 의해 관리 화면이 표시되는 케이스를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807)는, 가젯(910, 920, 930, 940, 950, 960)을 포함하는 관리 화면을 표시한다(스텝 S1701).
제어부(807)는, 현재 일시가, 스케줄표(700)에 등록되어 있는 스케줄 기간의 전후로 설정된 대상 기간 내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702).
대상 기간은, 스케줄의 실행 일시보다도 제1의 시간만큼 전부터, 스케줄의 실행 일시로부터 제2의 시간만큼 후까지로 미리 결정된다. 제1의 시간의 길이와 제2의 시간의 길이는 임의이다. 예를 들면, 제1의 시간을 「5분」, 제2의 시간을 「10분」으로 정의하고, 어느 스케줄의 실행 일시가 「12시 00분」이였다고 하면, 대상 기간은, 「11시 55분부터 12시 10분까지」가 된다.
현재 일시가 상기한 대상 기간 내가 아닌 경우(스텝 S1702 ; NO), 제어부(807)는, 갱신 주기를 제1의 주기로 설정하고(스텝 S1703), 타이머의 계시를 시작한다. 이 타이머는, 관리 화면의 갱신 타이밍이 도래하였는지의 여부의 판별에 사용된다.
현재 일시가 상기한 대상 기간 내인 경우(스텝 S1702 ; YES), 제어부(807)는, 갱신 주기를 제2의 주기로 설정하고(스텝 S1704), 타이머의 계시를 시작한다.
제2의 주기는, 제1의 주기보다도 짧다. 즉, 현재 일시가 스케줄의 실행 일시 가까이가 되면, 관리 화면의 갱신 빈도가 높아진다.
제어부(807)는, 각 가젯의 갱신 버튼(912, 922, 932, 942, 952, 962), 또는, 관리 화면 전체를 갱신하는 갱신 버튼(982)이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705).
갱신 버튼(912, 922, 932, 942, 952, 962)과 갱신 버튼(982)의 어느 하나가 눌러진 경우(스텝 S1705 ; YES), 스텝 S1701로 되돌아와, 제어부(807)는 대응하는 가젯 또는 관리 화면 전체의 표시를 갱신한다.
갱신 버튼(912, 922, 932, 942, 952, 962)과 갱신 버튼(982)의 모두가 눌리지 않은 경우(스텝 S1705 ; NO), 제어부(807)는, 관리 화면 전체를 전회 갱신하고 나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706).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스텝 S1706 ; YES), 스텝 S1701로 되돌아와, 제어부(807)는, 관리 화면의 표시를 갱신한다.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스텝 S1706 ; NO), 스텝 S1705로 되돌아온다.
또한, 제어부(807)는, 각 가젯의 갱신 주기를 다르게 하여도 좋고, 통일하여도 좋다.
또한, 제어부(807)는, 등록된 스케줄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 영향을 주지기 쉬운 가젯, 예를 들면 알림 가젯(910)과 그래프 가젯(930)과 방배치 가젯(960)의 갱신 주기만,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스케줄에 맞추어서 갱신 타이밍이 변화하기 때문에, 스케줄링된 처리에 의한 영향이나 처리의 결과를 유저가 곧바로 아는 것이 용이해지고, 관리 화면의 표시의 리얼타임성이 늘어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각 구성 요소를 자유롭게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1)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메모리 카드, CD-ROM, DVD, MO(Magneto Optical disk) 등의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격납하여 배포하고, 이것을 다른 컴퓨터에 인스톨하여, 상술한 수단으로서 동작시켜서, 또는, 상술한 공정을 실행시켜도 좋다.
또한, 인터넷상의 서버 장치가 갖는 디스크 장치 등에 프로그램을 격납하녀 두고, 예를 들면, 반송파에 중첩시켜서, 컴퓨터에 다운로드 등 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의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다양한 실시 형태 및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 형태가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다. 그리고, 청구의 범위 내 및 그것과 동등한 발명의 의의의 범위 내에서 행하여지는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로 간주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정보 사이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쉬운 관리 화면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관해서는, 일본 특허출원 2013-164231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해당 기초 출원의 내용을 전부 본원에 받아들이는 것으로 한다.
1 :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10 : 댁내 네트워크
20 : 댁외 네트워크 30 : 서버
40 : 단말 장치 50 : 통신 네트워크
101 : 자립 전환반 102 : 공조기
103 : 환기 시스템 104 : 가전 기기
105 : 바닥 난방 시스템 106 : IH 쿠킹 히터
107 : 급탕 시스템 108 : 발전 시스템
109 : 축전 시스템 110 : 전기 자동차
120 : 컨트롤러 301 : 입력부
302 : 표시부 303 : 기억부
304 : 통신부 305 : 제어부
400 : 레이아웃 정의 테이블 500 : 기기-방 대응시킴 테이블
600 : 방-유저 대응시킴 테이블 700 : 스케줄표
801 : 무선 통신부 802 : 음성 처리부
803 : 화상 처리부 804 : 외부 I/F
805 : 입력부 806 : 기억부
807 : 제어부 821 : 스피커
822 : 마이크로폰 823 : LCD
824 : 터치 패널 910 : 알림 가젯
920 : 일괄 가젯 930 : 그래프 가젯
940 : 캘린더 가젯 950 : 스케줄 가젯
960 : 방배치 가젯 1801 : 취득부
1802 : 표시부 1803 : 입력 접수부

Claims (10)

  1. 댁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제1의 표시 영역에,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표시하고, 제2의 표시 영역에, 상기 댁내에서의 상기 기기의 설치 장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배치한 레이아웃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 중에, 상기 복수의 기기 중의 특정한 기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서 상기 특정한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 특정한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상기 특정한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 상기 특정한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강조한 상기 레이아웃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관한 정보에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일시에 상기 특정한 기기에 미리 결정된 동작을 시키는 스케줄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상기 스케줄을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 상기 스케줄에 의해 설정된 동작이 행하여지는 상기 특정한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강조한 상기 레이아웃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 복수의 기기에 일괄하여 미리 결정된 동작을 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일괄 동작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상기 복수의 기기에 일괄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동작을 시키는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 상기 미리 결정된 동작을 시키는 상기 복수의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강조한 상기 레이아웃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전체에 의한 총 소비 전력량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상기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전체에 의한 상기 총 소비 전력량을 표시하고,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 상기 총 소비 전력량에의 기여가 많은 순서로 미리 결정된 개수의 상기 특정한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강조한 상기 레이아웃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설정된 일시의 전후로 설정되는 대상 기간에 포함되지 않는 일시에는, 제1의 주기로 상기 제1의 표시 영역과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의 표시를 갱신하고, 상기 유저에 의해 설정된 일시의 전후로 설정된 대상 기간에 포함되는 일시에는, 상기 제1의 주기보다도 짧은 제2의 주기로 상기 제1의 표시 영역과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의 표시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의 표시를 갱신시키는 지시를 접수하고,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의 표시를 갱신시키는 지시를 접수하는 입력 접수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입력 접수부에 의해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의 표시를 갱신시키는 지시가 접수되면,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의 표시를 갱신하고, 상기 입력 접수부에 의해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의 표시를 갱신시키는 지시가 접수되면,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의 표시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8. 댁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제1의 표시 영역에,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표시하고, 제2의 표시 영역에, 상기 댁내에서의 상기 기기의 설치 장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배치한 레이아웃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 중에, 상기 복수의 기기 중의 특정한 기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서 상기 특정한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댁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제1의 표시 영역에, 상기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정보를 표시하고, 제2의 표시 영역에, 상기 댁내에서의 상기 기기의 설치 장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배치한 레이아웃도를 표시하는 표시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스텝에서는,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 중에, 상기 복수의 기기 중의 특정한 기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서 상기 특정한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10. 컴퓨터를,
    댁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
    제1의 표시 영역에,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표시하고, 제2의 표시 영역에, 상기 댁내에서의 상기 기기의 설치 장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배치한 레이아웃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 중에, 상기 복수의 기기 중의 특정한 기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제2의 표시 영역에서 상기 특정한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167004404A 2013-08-07 2014-08-04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단말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828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64231 2013-08-07
JP2013164231A JP6129020B2 (ja) 2013-08-07 2013-08-07 端末装置、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CT/JP2014/070453 WO2015019991A1 (ja) 2013-08-07 2014-08-04 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373A Division KR102091379B1 (ko) 2013-08-07 2014-08-04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단말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988A true KR20160034988A (ko) 2016-03-30
KR101828188B1 KR101828188B1 (ko) 2018-02-09

Family

ID=524613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404A KR101828188B1 (ko) 2013-08-07 2014-08-04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단말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187003373A KR102091379B1 (ko) 2013-08-07 2014-08-04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단말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373A KR102091379B1 (ko) 2013-08-07 2014-08-04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단말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46288B2 (ko)
EP (1) EP3032470A4 (ko)
JP (1) JP6129020B2 (ko)
KR (2) KR101828188B1 (ko)
CN (1) CN105474503B (ko)
HK (1) HK1217574A1 (ko)
WO (1) WO2015019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73071B1 (en) * 2013-03-15 2020-05-06 Fluke Corporation Automatic recording and graphing of measurement data
JP6135950B2 (ja) * 2015-05-26 2017-05-31 鎌ケ谷市清掃事業協同組合 ごみステーション管理システム
KR101717355B1 (ko) * 2015-07-29 2017-03-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733097B1 (ko) 2015-10-06 2017-05-08 주식회사 코맥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JP6811418B2 (ja) * 2016-03-25 2021-01-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報知システム、報知内容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26015B2 (ja) * 2017-01-04 2019-12-25 株式会社東芝 同期装置、同期方法、同期プログラム、および同期システム
US10834217B2 (en) 2017-08-16 2020-11-10 T-Mobile Usa, Inc. Managing mobile notifications received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8181838B (zh) * 2017-12-12 2019-11-26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控制用电设备的系统
JP2021068063A (ja) * 2019-10-18 2021-04-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クエリ修正支援システム、検索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FR3116162A1 (fr) * 2020-11-06 2022-05-13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Procédés et systèmes de configuration automatique d’un micro-réseau électrique
US11960708B2 (en) * 2020-12-01 2024-04-16 Enphase Ener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otagging components of an energy production and consump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3568A (ja) 2000-10-20 2002-05-10 Yokogawa Electric Corp エネルギー・モニタ及び省エネルギー・システム
JP2002218562A (ja) 2001-01-19 2002-08-02 Sanyo Electric Co Ltd 電源制御システム
JP2005020650A (ja) * 2003-06-30 2005-01-20 Hitachi Ltd オートボタンを備えた操作端末
US20050131991A1 (en) * 2003-12-10 2005-06-16 Sanyo Electric Co., Ltd. Network apparatus and program product
US8196185B2 (en) * 2007-08-27 2012-06-0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mote HVAC control with a customizable overview display
JP5062037B2 (ja) * 2008-05-26 2012-10-3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データ配信装置、データ配信方法、及びデータ配信プログラム
CA2693930C (en) * 2009-02-23 2016-04-1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JP2010273457A (ja) * 2009-05-21 2010-12-02 Toshiba Corp 広域分散型電力系統監視制御システム
JP2011027362A (ja) * 2009-07-28 2011-02-10 Mitsubishi Heavy Ind Ltd 適応画面更新web空調監視装置及び方法並びにシステム
JP4756612B2 (ja) * 2009-08-12 2011-08-24 株式会社エース電研 遊技設備機器の異常表示装置
JP2011182183A (ja) * 2010-03-01 2011-09-15 Panasonic Corp 機器情報表示装置、tv、機器情報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866470B2 (ja) * 2010-05-31 2012-02-01 株式会社エナリス 電力需要管理装置および電力需要管理システム
WO2012074053A1 (ja) * 2010-12-02 2012-06-07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ラ、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2134957A (ja) * 2010-12-02 2012-07-12 Sharp Corp コントローラ、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2133764A (ja) * 2010-12-02 2012-07-12 Sharp Corp コントローラ、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085751B2 (ja) * 2011-02-28 2012-11-28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情報出力方法
JP5774343B2 (ja) * 2011-03-29 2015-09-09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パラメータ設定方法
JP5803248B2 (ja) * 2011-05-06 2015-11-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238180A (ja) * 2011-05-12 2012-12-06 Panasonic Corp 家電機器のプログラム更新システム、プログラム更新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9154001B2 (en) * 2011-05-19 2015-10-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uitive scheduling for energy management devices
JP2013034146A (ja) * 2011-08-03 2013-02-14 Sharp Corp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5507527B2 (ja) * 2011-11-11 2014-05-28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9494625B2 (en) 2011-11-11 2016-11-15 Sharp Kabushiki Kaisha Power management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power management device, and program for controlling power management device
JP5871646B2 (ja) 2012-02-13 2016-03-01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減圧乾燥装置および減圧乾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17574A1 (zh) 2017-01-13
CN105474503A (zh) 2016-04-06
EP3032470A4 (en) 2017-04-26
KR101828188B1 (ko) 2018-02-09
US20160161964A1 (en) 2016-06-09
US9946288B2 (en) 2018-04-17
EP3032470A1 (en) 2016-06-15
KR20180015301A (ko) 2018-02-12
JP6129020B2 (ja) 2017-05-17
CN105474503B (zh) 2018-06-08
JP2015035009A (ja) 2015-02-19
WO2015019991A1 (ja) 2015-02-12
KR102091379B1 (ko)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188B1 (ko)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단말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5649696B1 (ja) 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端末装置、端末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573596B (zh) 控制方法
JP6305390B2 (ja) 情報通知方法、情報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6150913B2 (ja) 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コントローラ、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789333B (zh) 開關、機器控制方法、程式
JP6448914B2 (ja) メッセージ生成装置、メッセージ提示システム、メッセージ生成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394510B2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ホームコントロール装置
CN111045621A (zh) 显示方法、显示装置以及计算机可读取的记录介质
JP2015219786A (ja) 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メッセージ提示システム、情報端末、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端末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JP7072952B1 (ja) 生活支援装置、及び、生活支援ロボットシステム
JP2017228001A (ja) 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システム
JP2017212527A (ja) 機器状態表示制御装置、機器状態表示システム、機器状態表示画面構築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