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097B1 -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097B1
KR101733097B1 KR1020150140169A KR20150140169A KR101733097B1 KR 101733097 B1 KR101733097 B1 KR 101733097B1 KR 1020150140169 A KR1020150140169 A KR 1020150140169A KR 20150140169 A KR20150140169 A KR 20150140169A KR 101733097 B1 KR101733097 B1 KR 101733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rea
display device
value
inform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0915A (ko
Inventor
홍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to KR1020150140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097B1/ko
Publication of KR20170040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Abstract

제1 정보 영역을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노출하고, 제1 정보 영역과 구분되는 제2 정보 영역을 화면에 노출하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가공하여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생성하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에 따라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에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SMAR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MART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폰은 개인 주택 및 아파트 등의 주거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주거 공간 내부 또는 외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주변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비디오 폰의 실외기에는 카메라, 송/수화기 및 초인종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실내기에는 송/수화기, 디스플레이 패널, 도어록 해정 스위치 및 방범기능 설정을 위한 각종 스위치가 구비되어 주거인이 방문자의 화상을 디스플레이상으로 확인하면서 통화할 수 있다.
전술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기능, 현관 확인 기능, 전화 기능 내장, 현관 개폐 기능(단독 주택용), 경비실 통화(아파트용), 방범 방재 기능(가스, 화재, 방범), 화상메모리, 세대와 경비실 및 동일 경비실내 다른 세대간 통화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집안 기기들의 제어, 도어 개폐, 인터폰 등의 기능 등을 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하였으나, 실제 사용자들은 이러한 기능들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보다 사용하기 불편하거나 복잡하여, 잘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46327호(발명의 명칭: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월패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10-0086319호(발명의 명칭: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장치 및 방법) 한국등록특허 제845036(발명의 명칭: 비상알림 월패드 및 시스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주거 공간의 내외부의 상황을 불필요한 제어 없이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주거 공간 내외부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행동 가이드를 제공하고, 최적의 집안 환경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주거 공간의 환경 조건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제1 정보 영역을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영역과 구분되는 제2 정보 영역을 상기 화면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를 가공하여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에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정보 영역은 상기 제2 정보 영역에 비하여 상기 화면에서 노출되는 크기가 큰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정보 영역은 복수의 제3 정보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제3 정보 영역의 각각에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는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는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대한 상기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일반 정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공간과 상기 공간의 주변 시설에서 발생하는 상기 상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통지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게 긴급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긴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에 대한 중요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 중 상기 중요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가치 정보를 상기 화면 전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을 상기 화면에 다시 구분하여 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중요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가치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가전 기기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정보 영역 및 상기 제1 정보 영역과 구분되는 제2 정보 영역을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출력되는 화면에 노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를 가공하여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생성하는 가치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에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정보 영역은 복수의 제3 정보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각각의 제3 정보 영역의 각각에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는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에 대한 중요도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 중 상기 중요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가치 정보를 상기 화면 전체에 출력하고,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을 상기 화면에 다시 구분하여 노출하며, 상기 중요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가치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거주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의 주변으로부터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공간에서 발생하는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 및 상기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를 가공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정 정보에 따라 화면에 구분되어 노출된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에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제1 정보 영역을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영역과 구분되는 제2 정보 영역을 상기 화면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를 가공하여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에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록 매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주거 공간의 내외부의 상황을 불필요한 제어 없이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주거 공간 내외부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행동 가이드를 제공하고, 최적의 집안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주거 공간의 환경 조건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제공 모드 화면을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정보 제공 모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순환 출력 방식으로 제공되는 가치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색상을 구분하여 가치 정보를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다양한 가치 정보를 출력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중요도를 판단하여 가치 정보를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은 감지 기술과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정보를 이용하여 주거 공간의 내부 및 외부로부터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빅데이터화 하여 사용자의 패턴 및 환경을 고려하여 생성된 가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센서 디바이스 및 주거 공간의 가전기기까지 연동하여 주거 공간의 내외부의 상태를 감시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의 적절한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110), 하나 이상의 센서(121, 122, 123), 및 정보 제공 서버(130)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센서(121, 122, 123)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의 주변으로부터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센서(121, 122)는 CCTV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거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내장된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주변의 상황 정보를 촬영하고, 촬영된 상황 정보를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나 이상의 센서(123)는 현관에 설치된 RF 태그(Tag)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주거 공간을 출입하기 위하여 RF 태그에 출입 키 등을 태깅하는 경우, 출입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나 이상의 센서(121, 122, 123)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침수 센서 등을 포함 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연동하여 주거 공간의 내외부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서버(130)는 상기 공간에서 발생하는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서버(130)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사 서버, 주거 공간 주변의 휘트니스 센터, 수영장, 게스트 룸, 식당, 상점 등의 편의 시설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고객 관리 서버, 주차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주차 서버, 택배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택배 서버, 주거 공간에 공급되는 전기, 수도, 가스 등의 사용량을 검침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원격 검침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연동 가능한 모든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상기 공간에 설치되어,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가공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설정 정보에 따라 화면에 구분되어 노출된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에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한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더욱 상세한 UX(User Experience)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식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거주 공간 범위 내에서 가장 직관적인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현관 주변 또는 거실 등의 사용자의 유동 횟수 및 거주 시간이 많은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210), 정보 수집부(220), 가치 정보 생성부(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240)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각각의 모듈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다른 모듈로 전달하거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각각의 모듈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듈은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 될 수도 있고, 제어부(240)의 별도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서로 다른 정보 영역으로 구분하고, 사용자에 대한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가공하여 생성된 가치 정보를 각각의 영역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제1 정보 영역 및 상기 제1 정보 영역과 구분되는 제2 정보 영역을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출력되는 화면에 노출한다. 예를 들어, 제1 정보 영역은 제2 정보 영역에 비하여 화면에서 노출되는 크기가 큰 영역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한 UX(User Experience)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식은 아래에서 실시예와 함께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정보 수집부(220)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수집하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가전 기기로부터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가치 정보 생성부(230)는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가공하여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대한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일반 정보, 사용자에게 상기 공간과 상기 공간의 주변 시설에서 발생하는 상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통지 정보, 및 사용자에게 긴급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긴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는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에 따라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에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2 정보 영역은 복수의 제3 정보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10)는 각각의 제3 정보 영역의 각각에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에 대한 중요도를 판단하는 판단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10)는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 중 중요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가치 정보를 화면 전체에 출력하고,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을 화면에 다시 구분하여 노출하며, 중요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가치 정보를 제1 정보 영역에 출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인의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을 포함하는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하고, 생성된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모드인 경우 정보 제공을 위한 UI, GUI, UX를 표시한다.
더욱 상세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에 따른 UX 시스템 구동 방식은 아래에서 실시예와 함께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모듈 외에 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출력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상기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사 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는 이동 통신부, 무선 인터넷부, 근거리 통신부 및 위치 정보 송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부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부는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 (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Z-WAV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송수신부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A/V(Audio/Video) 입력부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내장된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 (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주거 공간의 외부에 설치된 스피커로 전송되어 외부인에게 제공되도록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 부(110)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 및 서버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부(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부(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부(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출력부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전술한 디스플레이부(110) 뿐만 아니라, 음향 출력부, 및 알람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그리고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외부 디스플레이부와 내부 디스플레이부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는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정보 제공 알림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환경 정보 수신, 상황 정보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또한, 알람부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는 제어부(2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환경 정보, 상황 정보, 가치 정보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는 배터리로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24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24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제공 모드에 따른 UI, GUI, UX 구동 방식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제공 모드 화면을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제1 정보 영역(320) 및 제1 정보 영역(320)과 구분되는 제2 정보 영역(330)을 화면에 구분되도록 노출할 수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사용자에 대한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가공하여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설정 정보에 따라 제1 정보 영역(320) 및 제2 정보 영역(330)에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321, 331)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보 영역(320)은 제1 정보 영역(320)에 출력되는 가치 정보를 사용자가 더욱 직관적으로 잘 볼 수 있도록, 제2 정보 영역(330)에 비하여 화면에서 노출되는 크기가 클 수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사용자의 상황과 환경에 맞게 생성된 가치 정보를 제공하여 상황에 대응하는 가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주거 공간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그에 따른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코칭(coaching)하여 직관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정보 제공 모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1 정보 영역(410) 및 제2 정보 영역(420)로 구분하여 노출하고, 제2 정보 영역(420)은 다시 복수의 제3 정보 영역(421, 422, 423)으로 구분되도록 분할하여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정보 영역(410)에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아야 하는 가장 중요한 가치 정보를 가장 크게 출력하고, 제3 정보 영역(421, 422)에는 그 다음으로 중요한 가치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3 정보 영역(423)에는 가변성이 높은 가장 최신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3 정보 영역(421, 422, 423)에 각각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3 정보 영역(423)에 출력되었던 가치 정보는 제3 정보 영역(422)에 출력되고, 제3 정보 영역(422)에 출력되었던 가치 정보는 제3 정보 영역(421)에 출력되고, 제3 정보 영역(421)에 출력되었던 가치 정보는 제1 정보 영역(410)에 출력되고, 제1 정보 영역에 출력되었던 가치 정보는 제3 정보 영역(423)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정보 영역(410), 제2 정보 영역(420), 및 제3 정보 영역(421, 422, 423)에 출력되는 가치 정보를 선택하여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1 정보 영역(410), 제2 정보 영역(420), 및 제3 정보 영역(421, 422, 423)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여 출력될 가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3 정보 영역(421, 422, 423) 중 제3 정보 영역(423)에 해당하는 영역(430)을 클릭한 경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440)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게 할 수 있다.
구체인 예로,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440)로 대기 전력, EMS 정보, 아파트 공지 등의 어플리케이션이나 웹 페이지로 제공할 수 있는 정보를 해당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실행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치 정보 전체 보기를 통하여 선택할 수 있는 가치 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전체 보기 중 출력 해제하고자 하는 가치 정보에 대한 숨기기 버튼(450)을 클릭하여 출력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순환 출력 방식으로 제공되는 가치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보 영역(511) 및 제2 정보 제공 영역(512)에 서로 다른 가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정보 영역(512)의 가치 정보를 제1 정보 영역(521)에 출력하고 제1 정보 영역의 가치 정보(511)를 제2 정보 영역(522)의 하단에 출력하는 순환 출력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5의 (b)에서 (c)로, (c)에서 (d)로, (d)에서 (a)로 순환 출력하는 방식이 적용되어, 제2 정보 영역(522)의 가치 정보는 제1 정보 영역(531)에 출력되었다가 제2 정보 영역(542)의 하단에 출력되고, 제2 정보 영역(532)의 가치 정보는 제1 정보 영역(541)에 출력되었다가 제2 정보 영역(512)의 하단에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색상을 구분하여 가치 정보를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치 정보를 환경 및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무늬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6의 (a)~(d)와 같이, 환경 및 상황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가치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도 6은 무늬로 구분되어 있으나,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함), 적정 온도 및 습도에 부합하는 경우 파란색, 온도 및 습도가 다소 나빠 주의를 요하는 경우 노란색, 온도 및 습도가 매우 나쁜 경우, 경고하기 위한 경우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공 데이터 API 사용에 따라 환경 지수를 5개 색상으로 구분하는 경우, 각각의 환경 지수에 따라 파랑, 초록, 노랑, 주황, 빨강등으로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서로 다른 색상에 따른 환경 정보를 직관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가치 정보의 색상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환경 또는 상황에 맞게 복수의 색상으로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상황 정보 및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다양한 가치 정보를 출력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환경 및 상황을 전달하기 위하여 다양한 가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대한 날씨 정보, 온도, 습도, 실내 공기의 청정 여부 등의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일반 정보를 가치 정보로써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주거 공간과 주거 공간의 주변 시설에서 발생하는 상황 정보, 예를 들어, 주차 정보, 택배 도착 정보, 주거 공간 알림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통지 정보를 가치 정보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외부 자외선 강도, 건강 정보, 미세먼지 농도 등의 재난/재해에 관련된 긴급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긴급 정보를 가치 정보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중요도를 판단하여 가치 정보를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중요도에 따라 전체 화면에 출력한 후, 다시 제1 정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 제1 정보 영역(810)에 가치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에 대한 중요도를 판단하고,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 중 중요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가치 정보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중요도가 높은 가치 정보를 화면 전체(820)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가시적인 가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화면 전체(820)에 출력된 가치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거나,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을 화면에 다시 구분하여 노출하고, 중요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가치 정보를 제1 정보 영역(83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전술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주체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정보 영역을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노출한다(단계 910).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정보 영역과 구분되는 제2 정보 영역을 화면에 노출한다(단계 920).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집한다(단계 930).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가공하여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940).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에 따라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에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한다(단계 950).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정보 영역을 복수의 제3 정보 영역으로 구분하여 노출할 수 있으며, 제3 정보 영역의 각각에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가치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에 대한 중요도를 판단하고,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 중 중요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가치 정보를 화면 전체에 출력하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중요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가치 정보를 다시 제1 정보 영역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제1 정보 영역을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영역과 구분되는 제2 정보 영역을 상기 화면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를 가공하여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에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하여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록 매체에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10: 디스플레이부
220: 정보 수집부
230: 가치 정보 생성부
240: 제어부
250: 판단부

Claims (14)

  1.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1 정보 영역, 상기 제1 정보 영역과 구분되는 제2 정보 영역,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과 구분되는 복수의 제3 정보 영역을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출력되는 화면에 노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공간에 대한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공간과 상기 공간의 주변 시설에서 발생하는 상기 상황 정보를 가공하여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생성하는 가치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에 대한 중요도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에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 중 상기 중요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가치 정보를 상기 화면 전체에 출력하고,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을 상기 화면에 다시 구분하여 노출하며, 상기 중요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가치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기설정된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아야 하는 가장 중요한 가치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가장 크게 출력하고, 상기 제2 정보 영역 및 상기 제3 정보 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그 다음으로 중요한 가치 정보를 출력하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정보 영역에 출력되었던 상기 가치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출력된 상기 가치 정보를 상기 어느 하나의 정보 영역에 출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각각의 제3 정보 영역에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는,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생성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사용자가 거주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의 주변으로부터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공간에서 발생하는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 및
    상기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를 가공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정 정보에 따라 화면에 구분되어 노출된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에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하며,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 중 중요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가치 정보를 상기 화면 전체에 출력하고,
    상기 기설정된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아야 하는 가장 중요한 가치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가장 크게 출력하며, 상기 제2 정보 영역 및 상기 제3 정보 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그 다음으로 중요한 가치 정보를 출력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정보 영역에 출력되었던 상기 가치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출력된 상기 가치 정보를 상기 어느 하나의 정보 영역에 출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6.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정보 영역을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영역과 구분되는 제2 정보 영역,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과 구분되는 복수의 제3 정보 영역을 상기 화면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공간에 대한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공간과 상기 공간의 주변 시설에서 발생하는 상기 상황 정보를 가공하여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에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아야 하는 가장 중요한 가치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가장 크게 출력하고, 상기 제2 정보 영역 및 상기 제3 정보 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그 다음으로 중요한 가치 정보를 출력하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정보 영역에 출력되었던 상기 가치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출력된 상기 가치 정보를 상기 어느 하나의 정보 영역에 출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하는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영역은,
    상기 제2 정보 영역에 비하여 상기 화면에서 노출되는 크기가 큰 영역인,
    정보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영역은 복수의 제3 정보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제3 정보 영역에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는,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생성되는,
    정보 제공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는,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대한 상기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일반 정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공간과 상기 공간의 주변 시설에서 발생하는 상기 상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통지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게 긴급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긴급 정보
    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에 대한 상기 중요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 중 상기 중요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가치 정보를 상기 화면 전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을 상기 화면에 다시 구분하여 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중요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가치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가전 기기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된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3.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4.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어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제1 정보 영역을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영역과 구분되는 제2 정보 영역,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과 구분되는 복수의 제3 정보 영역을 상기 화면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환경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공간에 대한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공간과 상기 공간의 주변 시설에서 발생하는 상기 상황 정보를 가공하여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에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아야 하는 가장 중요한 가치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가장 크게 출력하고, 상기 제2 정보 영역 및 상기 제3 정보 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그 다음으로 중요한 가치 정보를 출력하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정보 영역에 출력되었던 상기 가치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출력하고, 상기 제1 정보 영역에 출력된 상기 가치 정보를 상기 어느 하나의 정보 영역에 출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가치 정보를 순환 방식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록 매체에 설치되는,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KR1020150140169A 2015-10-06 2015-10-06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1733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169A KR101733097B1 (ko) 2015-10-06 2015-10-06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169A KR101733097B1 (ko) 2015-10-06 2015-10-06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915A KR20170040915A (ko) 2017-04-14
KR101733097B1 true KR101733097B1 (ko) 2017-05-08

Family

ID=5857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169A KR101733097B1 (ko) 2015-10-06 2015-10-06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0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884B1 (ko) * 2017-11-21 2022-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적용한 프로액티브 알림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2762A (ja) 2004-12-03 2005-05-12 Dainippon Printing Co Ltd 広告配信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広告配信方法
JP2014165998A (ja) 2013-02-22 2014-09-08 Misawa Homes Co Ltd ホームエネルギー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
JP2015035009A (ja) 2013-08-07 2015-02-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76925A (ja) 2013-10-07 2015-04-2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消費量監視装置及び電力消費量監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036B1 (ko) 2006-12-07 2008-07-09 현대통신 주식회사 비상 알림 월패드 및 시스템
KR101566001B1 (ko) 2009-01-22 2015-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146327B1 (ko) 2010-08-31 2012-05-21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월패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2762A (ja) 2004-12-03 2005-05-12 Dainippon Printing Co Ltd 広告配信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広告配信方法
JP2014165998A (ja) 2013-02-22 2014-09-08 Misawa Homes Co Ltd ホームエネルギー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
JP2015035009A (ja) 2013-08-07 2015-02-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76925A (ja) 2013-10-07 2015-04-2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消費量監視装置及び電力消費量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915A (ko) 2017-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a et al. Adopting Internet of Things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buildings: A review of enabling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US10217090B2 (en) Method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for follow-up actions in response to events detected by an automation system, and systems and devices related thereto
US9685071B1 (en) eReceptionist and eNeighborhood watch system for crime prevention and/or verification
KR101737191B1 (ko) 스마트 단말기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1077652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home mapping
CA2925542C (en) Portable system for managing events
CN104540184B (zh) 设备联网方法及装置
EP3146516B1 (en) Security monitoring and control
US9639098B2 (en) Thermostat and messaging device and methods thereof
CN105993184B (zh) 交互式紧急信息和识别
US20150097683A1 (en) Smart-home hazard detection system providing context-based user notifications
US9728077B1 (en) eReceptionist and eNeighborhood watch system for crime prevention and/or verification
US20160321891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home environment using led lighting device
KR102156902B1 (ko)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8028009A (zh) 利用声学存在验证的远程警报静音
TW201629913A (zh) 涉及備份聯繫人的安防/安全監視系統
KR101292304B1 (ko) 화재발생 위치정보를 포함한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303254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sensing information of portable device
US20160123622A1 (en) Air purific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er equipment and system
KR20170083237A (ko)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701639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home monitoring and smart home system
KR101733097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CN104410900B (zh) 一种控制安装在智能设备上的指示灯的方法及装置
US20160065910A1 (en) Video gateway device
CN112335220B (zh) 紧急情况套件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