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093A - 광학용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광학용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093A
KR20160031093A KR1020140120138A KR20140120138A KR20160031093A KR 20160031093 A KR20160031093 A KR 20160031093A KR 1020140120138 A KR1020140120138 A KR 1020140120138A KR 20140120138 A KR20140120138 A KR 20140120138A KR 20160031093 A KR20160031093 A KR 20160031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dhesive layer
acrylate
weight
adhes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0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941B1 (ko
Inventor
이주현
김장순
정부기
김상환
박성찬
윤찬오
이한나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120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941B1/ko
Priority to US15/510,403 priority patent/US10465098B2/en
Priority to PCT/KR2015/006380 priority patent/WO2016039521A1/ko
Priority to CN201580048562.6A priority patent/CN106715624B/zh
Priority to JP2017511870A priority patent/JP6306802B2/ja
Priority to TW104121345A priority patent/TWI661025B/zh
Publication of KR20160031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1C10or C11-(Meth)acrylate, e.g. isodecyl (meth)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or 2-naph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점착층 및 제 2 점착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점착층은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30℃이고, 모듈러스가 0.3 x 105Pa 내지 약 0.6 x 105Pa이며, 상기 제 2 점착층은 유리전이온도가 -20℃ 내지 -10℃이고, 모듈러스가 0.7 x 105 Pa 내지 1.0 x 105 Pa 인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학용 점착 시트{ADHESIVE SHEET FOR OPTICAL USE}
광학용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PDA, 이동통신 단말기, 차량용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전자 기기가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추구되는 기술적 목표는 박형화, 경량화, 저전력 소비화, 고해상도화 및 고휘도화 등이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에는 손가락 등에 의한 터치에 의해 화면을 조작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적용되고 있고 상기 패널과 LCD 사이의 갭을 메우기 위해 투명 도전성 플라스틱 필름 등이 사용된다.
그 예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Terephthalate, PET) 필름을 기재로 하고, 그 일면에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등의 도전층을 형성한 필름이 있으며, 상기 필름은 광학용 점착제층이나 점착 시트에 의해 전도성 유리, 보강재 또는 데코 필름 등에 적층되고 있다. 상기 광학용 점착제층이나 점착 시트는 광학 특성, 내구성 등의 다양한 물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단차 흡수성 및 내후성이 동시에 우수한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 1 점착층 및 제 2 점착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점착층은 유리전이온도가 약 -50℃ 내지 약 -30℃이고, 모듈러스가 약 0.3 x 105Pa 내지 약 0.6 x 105Pa이며, 상기 제 2 점착층은 유리전이온도가 약 -20℃ 내지 약 -10℃이고, 모듈러스가 약 0.7 x 105 Pa 내지 약 1.0 x 105 Pa 인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점착층은 2종 이상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가 공중합하여 형성된 제 1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 1 점착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크릴계 수지가 2종 이상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약 7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및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점착 조성물이 상기 제 1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약 0.01 중량부 내지 약 0.1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점착층은 상기 제 1 점착 조성물이 UV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점착층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가 공중합하여 형성된 제 2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 2 점착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크릴계 수지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약 80 중량% 내지 약 95 중량%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 약 5 중량% 내지 약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점착 조성물이 상기 제 2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약 0.01 중량부 내지 약 0.1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점착층은 상기 제 2 점착 조성물이 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점착층의 두께가 상기 제 2 점착층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1 점착층의 두께가 약 50㎛ 내지 약 300㎛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점착층의 두께가 약 5㎛ 내지 약 50㎛일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1,000g/mol/ 내지 약 3,000g/mol일 수 있다.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는 단차 흡수성 및 내후성이 모두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용 점착 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형성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형성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 1 점착층 및 제 2 점착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점착층은 유리전이온도가 약 -50℃ 내지 약 -30℃이고, 모듈러스가 약 23℃에서 약 0.3 x 105Pa 내지 약 0.6 x 105Pa이며, 상기 제 2 점착층은 유리전이온도가 약 -20℃ 내지 약 -10℃이고, 모듈러스가 약 23℃에서 약 0.7 x 105 Pa 내지 약 1.0 x 105 Pa인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점착층 및 상기 제 2 점착층의 각각의 유리전이온도와 모듈러스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 1 점착층은 상대적으로 유리전이온도 및 모듈러스가 낮아 데코 필름 등에 의한 인쇄 단차를 흡수할 수 있는 단차 흡수성이 우수하고, 상기 제 2 점착층은 상기 제 1 점착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리전이온도 및 모듈러스가 높아 고온·고습 등의 가혹 조건에서 견딜 수 있는 내후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단차 흡수성이 우수한 상기 제 1 점착층 및 내후성이 우수한 상기 제 2 점착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는 우수한 단차흡수성 및 내후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용 점착 시트(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100)는 제 1 점착층(110) 및 제 2 점착층(120)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점착층(110)은 유리전이온도가 약 -50℃ 내지 약 -30℃이고, 모듈러스가 약 23℃에서 약 0.3 x 105Pa 내지 약 0.6 x 105Pa이며, 상기 제 2 점착층(120)은 유리전이온도가 약 -20℃ 내지 약 -10℃이고, 모듈러스가 약 23℃에서 약 0.7 x 105 Pa 내지 약 1.0 x 105 Pa이다.
상기 제 1 점착층(110)은 제 1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 1 점착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아크릴계 수지는 2종 이상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가 공중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를 2종 이상 포함하여 코폴리머로서 형성함으로써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를 1종만을 포함하여 호모폴리머로서 형성한 것과 달리, 상기 제 1 아크릴계 수지의 가교 밀도(crosslinking density)가 낮아질 수 있고, 각각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의 물성이 서로 조화되어 투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아크릴계 수지에 포함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의 종류는 발명의 목적 및 성질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가교 밀도가 낮아진 제 1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점착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상기 제 1 점착층(110)은 유리전이온도 및 모듈러스가 감소되고, 그 결과 상기 제 1 점착층(110)의 단차흡수성 및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는 예를 들어, 약 1개 내지 약 12개의 탄소수를 갖는 알킬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의 종류 및 함량비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 1 점착층(110)의 유리전이 온도(Tg) 및 점착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는 예를 들어,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2개의 종류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아크릴계 수지에 포함된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는 공중합시 고분자 수지의 사슬과 사슬 간의 간격을 넓히는 역할을 하여 상기 제 1 아크릴계 수지의 가교 밀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교 밀도가 낮아진 상기 제 1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점착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상기 제 1 점착층(110)은 유리전이온도 및 모듈러스가 낮아 더욱 우수한 단차흡수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아크릴계 수지에 포함된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아크릴계 수지는 예를 들어, 2종 이상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약 7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및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각각의 함량으로 상기 2종 이상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및 상기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 1 아크릴계 수지의 사슬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제 1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 1 점착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제 1 점착층(110)은 우수한 점탄성(tack) 및 단차흡수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점착 조성물은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제 1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약 0.01 중량부 내지 약 0.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 1 점착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상기 제 1 점착층(110)은 우수한 단차흡수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가교도가 향상되어 적절한 내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이중결합 관능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에 의해 가교도를 상대적으로 더욱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에 의해 가교 밀도를 적절히 상대적으로 낮은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약 0.01 중량% 내지 약 0.1 중량% 및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점착층(110)의 가교도 및 가교 밀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우수한 단차흡수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적절한 내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예를 들어, 약 1,000g/mol/ 내지 약 3,000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짐으로써 이를 포함한 제 1 점착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제 1 점착층(110)의 가교 밀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단차흡수성 및 내후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예를 들어, 1,2-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12-도데탄디올 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neopentylglycol adipat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hydroxyl puivalic acid)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dicyclopentanyl)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타)아크릴록시 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allyl)화 시클로헥실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 디시클로펜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adamantan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fluorine) 등의 2관능형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3 관능형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스(메타)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ex.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및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 등의 6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예를 들어, 2관능형, 3관능형, 4관능형, 5관능형 또는 6관능형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점착 조성물은 열개시제 또는 광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특별한 제한 없이 이 분야에서 공지된 열개시제 또는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점착층(110)은 상기 제 1 점착 조성물이 예를 들어, 열경화 또는 광경화에 의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점착층(110)은 상기 제 1 점착 조성물이 UV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 공정 간소화되어 우수한 공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UV 조사는 UV 경화에 있어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한 없이 수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쓰이는 금속 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점착층(120)은 제 2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 2 점착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가 공중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크릴계 수지에 포함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는 반응성이 높고, 다른 모노머와 공중합시 응집력이 우수하여, 상기 제 2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 2 점착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제 2 점착층(120)은 상대적으로 가교 밀도가 높다. 그 결과, 상기 제 2 점착층(120)은 유리전이온도 및 모듈러스가 높아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포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점착 기재 등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기포화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우수한 내후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는 예를 들어,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아크릴계 수지는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약 80 중량% 내지 약 95 중량%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 약 5 중량% 내지 약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각각의 함량으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및 상기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 2 아크릴계 수지의 응집력을 적절히 조절하여 상기 제 2 점착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제 2 점착층(120)은 우수한 내후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점착 조성물은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제 2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약 0.01 중량부 내지 약 0.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 2 점착층(120)의 가교도가 효과적으로 향상되어 내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상기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와 추가적인 결합을 형성할 수 있어 응집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이중결합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약 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및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약 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점착층(120)의 가교도 및 가교 밀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우수한 내후성을 유지하면서 적절한 단차흡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예를 들어, 약 1,000g/mol/ 내지 약 3,000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짐으로써 이를 포함한 제 2 점착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제 2 점착층(120)의 단차흡수성 및 내후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점착층(120)은 상기 제 2 점착 조성물이 예를 들어, 열경화 또는 광경화에 의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점착층(120)은 상기 제 2 점착 조성물이 열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점착 조성물을 열경화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점착 조성물에 함유된 미반응된 산 성분이 증발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므로 경화 이후 잔류할 수 있는 미반응 산 성분에 의한 상기 제 2 점착층(120)의 부식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100)는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점착층(110) 및 상기 제 2 점착층(120)을 별개로 제조하고, 각 점착층을 예를 들어, 열용융, 압출, 또는 열 라미네이션 등을 이용하여 라미네이트하여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상기 제 1 점착층(110)을 먼저 형성하고 일면에 상기 제 2 점착 조성물을 코팅하고 경화시켜 제 2 점착층(120)을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점착층(110)의 두께는 상기 제 2 점착층(120)의 두께보다 클 수 있고, 그에 따라과 각각의 점착층의 성질을 적절히 조절하여 우수한 단차흡수성 및 내후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점착층(110)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50㎛ 내지 약 30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50㎛ 내지 약 200㎛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100)의 총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우수한 단차 흡수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점착층(120)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5㎛ 내지 약 5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100)의 총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우수한 내후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100)는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되어 터치스크린 패널 및 액정 패널을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은 OGS(one glass solution) 방식의 커버유리 일체형 터치스크린 패널일 수 있다. 즉,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OGS(one glass solution) 방식의 커버유리 일체형 터치스크린 패널,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100) 및 액정 패널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100)는 상기 제 2 점착층(120)이 상기 액정 패널의 최상부층과 접하는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고, 상기 최상부층은 예를 들어, 편광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커버유리 일체형 터치스크린 패널은 OGS(one glass solution) 방식으로 형성된 터치스크린 패널로서, 필름 타입의 터치스크린 패널과 달리 ITO 필름 등을 사용하지 않고, 유리 기판, 투명 플라스틱 시트 등의 투명 기재에 터치 전극을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정 패널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액정 패널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한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 중량%,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10 중량% 및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0 중량%를 벌크 열중합 공정을 사용하여 공중합시켜 제 1 아크릴계 수지를 준비하였다. 상기 제 1 아크릴계 수지에 상기 제 1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0.3 중량부,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0.01 중량부 및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3,000g/mol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0.1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점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제 1 점착 조성물을 PET 이형 필름 상에 150㎛ 두께로 코팅층으로 형성한 후 UV Black Light (368nm) Lamp를 사용하여 UV를 조사하여 제 1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89 중량% 및 아크릴산 11 중량%를 용액 열중합 공정을 사용하여 공중합시켜 제 2 아크릴계 수지를 준비하였다. 상기 제 2 아크릴계 수지에 상기 제 2 아크릴계 수지 100 주량부 기준 벤조일퍼옥사이드 0.03 중량부 및 다관능성 가교제 0.01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점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제 2 점착 조성물을 PET 이형 필름 상에 25㎛ 두께로 코팅층으로 형성한 후 120℃에서 3분 동안 열풍으로 건조하여 제 2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 2 점착층 상부에 상기 제 1 점착층을 Roll-to-roll 라미네이션 공정으로 적층하여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80 중량% 및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제 1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제 2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제 1 점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제 1 점착 조성물을 PET 이형 필름 상에 175㎛ 두께로 코팅층으로 형성한 후 메탈 UV Black Light (368nm) Lamp를 사용하여 0.7W/cm2로 300초 동안 UV를 조사하여 하나의 층으로 형성된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제 2 점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제 2 점착 조성물을 PET 이형 필름 상에 175㎛ 두께로 코팅층으로 형성한 후 120℃에서 3분 동안 열풍으로 건조하여 하나의 층으로 형성된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에 4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50 중량%,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30 중량% 및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0 중량%를 공중합시켜 제 1 아크릴계 수지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제 1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제 2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 2 점착층 상부에 상기 제 1 점착층을 적층하여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평가)
하기 각 방법에 따라 실시예 1, 비교예 1-4의 물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1 : 유리전이온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4의 제 1 점착층 및 제 2 점착층과, 비교예 2, 3의 광학용 점착 시트에 대하여 시차주사열량측정계(DSC) (TA instrument 社)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예 2: 모듈러스 측정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4의 제 1 점착층 및 제 2 점착층과, 비교예 2, 3의 광학용 점착 시트에 대하여 모듈러스 측정기(TA instrument 社, ARES G2)를 이용하여 -20°에서 100°까지 5°/min의 승온 속도로 승온하여 모듈러스를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 압력(2N), 원방향 변형률(10%), 두께(800㎛)
실험예 3: 단차흡수도 평가
0.5mm 두께의 소다라임(sodalime) 유리에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작된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적층한 후,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 상부에 베젤 폭이 2cm이고 베젤 두께가 20㎛이며 잉크 인쇄된 1.1mm 두께의 소다라임 유리를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였고, 상기 적층체를 5bar, 60℃의 조건에서 30분 동안 오토클래이브 공정을 가한 후, 85℃, 85RH%의 고온 고습 챔버에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기포 발생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상기 비교예 1-4에서 제작된 광학용 점착 시트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단차 흡수도를 평가하였다.
실험예 4: 내후성 평가
1.1mm 두께의 소다라임 유리에 무처리 편광 필름을 적층하고, 상기 편광 필름 상부에 상기 실시에 1에 따라 제작된 광학용 점착 시트를 적층한 뒤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 상부에 ITO PET 필름(니토덴코 社, V150)을 상기 ITO PET 필름의 하드 코팅면이 상기 광학용 점착 시트와 접하도록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였고, 상기 적층체를 5bar, 60℃의 조건에서 30분 동안 오토클래이브 공정을 가한 후 85℃, 85RH%의 고온 고습 챔버에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기포 발생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상기 비교예 1-4에서 제작된 광학용 점착 시트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내후성을 평가하였다
유리전이온도(℃) 모듈러스(Pa) (25℃) 단차흡수도 내후성
실시예 1 제1 점착층: -49
제2 점착층: -17
제 1 점착층: 0.42 x 105
제 2 점착층: 0.72 x 105
비교예 1 제 1 점착층: -58
제 2 점착층: -17
제 1 점착층: 0.37 x 105
제 2 점착층: 0.72 x 105
X
비교예 2 -49 0.42 x 105 X
비교예 3 -17 0.70 x 105 X
비교예 4 제 1 점착층: -28
제 2 점착층: -17
제 1 점착층: 0.63 x 105
제 2 점착층: 0.72 x 105
X
실시예 1에 따른 광학용 점착 시트의 경우 단차 흡수도 및 내후성이 모두 우수한 반면, 비교예 1, 3, 및 4에 따른 광학용 점착 시트의 경우 단차 흡수도가 열등하고, 비교예 2의 경우 내후성이 열등함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100: 광학용 점착 시트
110: 제 1 점착층
120: 제 2 점착층

Claims (14)

  1. 제 1 점착층 및 제 2 점착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점착층은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30℃이고, 모듈러스가 0.3 x 105Pa 내지 0.6 x 105Pa이며,
    상기 제 2 점착층은 유리전이온도가 -20℃ 내지 -10℃이고, 모듈러스가 0.7 x 105 Pa 내지 1.0 x 105 Pa 인
    광학용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층은 2종 이상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가 공중합하여 형성된 제 1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 1 점착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광학용 점착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크릴계 수지가 2종 이상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70 중량% 내지 90 중량% 및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 10 중량%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시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 조성물이 상기 제 1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0.01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시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층은 상기 제 1 점착 조성물이 UV 경화되어 형성된
    광학용 점착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점착층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가 공중합하여 형성된 제 2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 2 점착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광학용 점착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아크릴계 수지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80 중량% 내지 95 중량%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가교성 모노머 5 중량%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시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점착 조성물이 상기 제 2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0.01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점착층은 상기 제 2 점착 조성물이 열 경화되어 형성된
    광학용 점착 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층의 두께가 상기 제 2 점착층의 두께보다 큰
    광학용 점착 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층의 두께가 50㎛ 내지 300㎛인
    광학용 점착 시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점착층의 두께가 5㎛ 내지 50㎛인
    광학용 점착 시트.
  13.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시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g/mol/ 내지 3,000g/mol인
    광학용 점착 시트.
KR1020140120138A 2014-09-11 2014-09-11 광학용 점착 시트 KR101923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138A KR101923941B1 (ko) 2014-09-11 2014-09-11 광학용 점착 시트
US15/510,403 US10465098B2 (en) 2014-09-11 2015-06-23 Optical adhesive sheet
PCT/KR2015/006380 WO2016039521A1 (ko) 2014-09-11 2015-06-23 광학용 점착 시트
CN201580048562.6A CN106715624B (zh) 2014-09-11 2015-06-23 光学粘合片
JP2017511870A JP6306802B2 (ja) 2014-09-11 2015-06-23 光学用粘着シート
TW104121345A TWI661025B (zh) 2014-09-11 2015-07-01 光學用黏結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138A KR101923941B1 (ko) 2014-09-11 2014-09-11 광학용 점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093A true KR20160031093A (ko) 2016-03-22
KR101923941B1 KR101923941B1 (ko) 2019-02-25

Family

ID=5545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138A KR101923941B1 (ko) 2014-09-11 2014-09-11 광학용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65098B2 (ko)
JP (1) JP6306802B2 (ko)
KR (1) KR101923941B1 (ko)
CN (1) CN106715624B (ko)
TW (1) TWI661025B (ko)
WO (1) WO201603952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3804A (ko) * 2016-03-25 2017-10-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
KR20170114409A (ko) * 2016-04-04 2017-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패널용 다층 점착 필름
KR20190098435A (ko) *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024B1 (ko) * 2017-05-22 2020-1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점착 테이프
WO2019124961A1 (ko) * 2017-12-20 2019-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과도 가변 필름 및 이의 용도
EP3728504B1 (en) 2017-12-21 2022-01-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articles including a cushion layer and a continuous shell layer
JP2020064271A (ja) * 2018-10-16 2020-04-23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WO2020080055A1 (ja) * 2018-10-16 2020-04-23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CN110922899A (zh) * 2019-12-20 2020-03-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光学胶及柔性器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277B1 (ko) * 2008-10-15 2012-03-13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투명 점착시트 및 화상 표시장치
KR101114361B1 (ko) * 2008-08-20 2012-03-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JP2013213075A (ja) * 2012-03-30 2013-10-17 Sekisui Chem Co Ltd 半導体加工用粘着テープ
WO2014130507A1 (en) * 2013-02-22 2014-08-28 Avery Dennison Corporation Multi-layer optically clear adhesives, foams, transfer tapes, and articles comprising such adhesive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664B1 (ko) * 2002-02-20 2004-09-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EP1433799A3 (en) * 2002-12-23 2004-07-14 Ucb, S.A. Star shaped acrylic block copolymer
CA2642961A1 (en) * 2006-02-28 2007-09-07 Lintec Corporation Protective sheet for coating film
KR100955334B1 (ko) * 2007-01-31 2010-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빛샘 현상이 개선된 점착층을 가지는 편광판
WO2009002567A1 (en) * 2007-06-27 2008-12-31 The University Of Hawaii Virtual reality overlay
JP5543101B2 (ja) * 2008-12-25 2014-07-09 日栄化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JP5518436B2 (ja) 2009-11-09 2014-06-1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KR101272467B1 (ko) * 2010-02-23 2013-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KR101314489B1 (ko) * 2010-02-26 2013-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JP5547538B2 (ja) * 2010-04-13 2014-07-16 三菱樹脂株式会社 透明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30164478A1 (en) * 2010-08-05 2013-06-27 Oji Holdings Corporation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 release sheet,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transparent laminate
JP5639925B2 (ja) * 2011-02-25 2014-12-10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パターンマッチング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5193377B2 (ja) 2011-04-11 2013-05-0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剥離シート付き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光学積層体
JP5863300B2 (ja) * 2011-07-08 2016-02-1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硬質平面板貼合用樹脂シート、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該積層体の用途
US8681460B2 (en) * 2011-07-13 2014-03-25 Sony Corpo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device
WO2013011811A1 (ja) * 2011-07-15 2013-01-24 三菱樹脂株式会社 直線偏光解消機能を備えた両面透明粘着シート
EP2735594B1 (en) * 2011-08-25 2018-10-03 LG Chem, Ltd. Adhesive
JP2013185023A (ja) * 2012-03-07 2013-09-19 Mitsubishi Plastics Inc 透明両面粘着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BR112014016316B8 (pt) * 2012-10-31 2022-08-30 Avery Dennison Corp Adesivo aplicável a frio resistente à lavagem para aparelho de etiquetamento e embelezament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361B1 (ko) * 2008-08-20 2012-03-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KR101114277B1 (ko) * 2008-10-15 2012-03-13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투명 점착시트 및 화상 표시장치
JP2013213075A (ja) * 2012-03-30 2013-10-17 Sekisui Chem Co Ltd 半導体加工用粘着テープ
WO2014130507A1 (en) * 2013-02-22 2014-08-28 Avery Dennison Corporation Multi-layer optically clear adhesives, foams, transfer tapes, and articles comprising such adhesiv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3804A (ko) * 2016-03-25 2017-10-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
KR20170114409A (ko) * 2016-04-04 2017-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패널용 다층 점착 필름
KR20190098435A (ko) *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941B1 (ko) 2019-02-25
US20170253771A1 (en) 2017-09-07
JP2017529433A (ja) 2017-10-05
CN106715624A (zh) 2017-05-24
TWI661025B (zh) 2019-06-01
TW201610081A (zh) 2016-03-16
WO2016039521A1 (ko) 2016-03-17
US10465098B2 (en) 2019-11-05
CN106715624B (zh) 2021-03-12
JP6306802B2 (ja)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941B1 (ko) 광학용 점착 시트
KR102640169B1 (ko)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및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
US8945705B2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film including the same, method of preparing adhesive film, and display member using the same
US10174224B2 (en)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US9720267B2 (en) Display device
KR101566061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TWI434079B (zh) 偏光板及含彼之液晶顯示器
US20200354612A1 (en) Adhesive film and display member comprising the same
US9469528B2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film including the same, method of preparing adhesive film, and display member using the same
TW201139148A (en) Heat activated optically clear adhesive for bonding display panels
JP7070398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2011093957A (ja) 光学用粘着剤組成物、光学用粘着剤及び光学フィルム
KR20140046366A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EP2679646A2 (en) Adhesive film, adhesive composition for the same and optical member including the same
KR20160130092A (ko)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TW201803954A (zh) 黏著片及積層體
KR101745042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JP2019182928A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
JP2019189764A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JP2018522081A (ja) 金属導体用の光学的に透明な低水分吸収性接着剤
WO2019004107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KR101988075B1 (ko) 광학용 점착 시트
JPWO2015029623A1 (ja) ハードコート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1107924A (ja)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光学積層体
JP2019077829A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