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0070A - 축 씨일 - Google Patents

축 씨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0070A
KR20160030070A KR1020157020842A KR20157020842A KR20160030070A KR 20160030070 A KR20160030070 A KR 20160030070A KR 1020157020842 A KR1020157020842 A KR 1020157020842A KR 20157020842 A KR20157020842 A KR 20157020842A KR 20160030070 A KR20160030070 A KR 20160030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ide
outer peripheral
lip
low pressure
groove bot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0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시 우노다
타카히코 혼이덴
아츠시 호소카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0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having two or more lips
    • F16J15/323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having two or more lips with at least one lip for each surface, e.g. U-cup pa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having two or more 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수압 상태하에서의 더스트 립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축 씨일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압측(R)의 제 1 측벽면(13)과 저압측(L)의 제 2 측벽면(12)과 홈 바닥면(14)으로 이루어지는 환상 홈(2)을 갖는 삽입구멍(20)이 뚤어 설치된 암형 보디(B)의 환상 홈(2)에 장착되어, 삽입구멍(20)에 왕복동 자유롭게 삽입통과된 축 부재(1)의 외주면(1A)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축 씨일로서, 내주 립(3)과 외주 립(4)으로 이루어지는 수압측(R)의 U자형 씨일부(10)와, 저압측(L)으로 돌출하는 더스트 립(7)을 구비한 축 씨일에 있어서, 홈 바닥면(14)에 맞닿는 외주면부(15)와, 제 2 측벽면(12)에 대면하는 지지면부(6)에 의해 형성되는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수압 상태에서, 홈 바닥면(14)과 제 2 측벽면(12)의 코너부(16)에 밀어 붙여져 돌기부가 탄성 압축 변형으로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에 흡수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Description

축 씨일{SHAFT SEAL}
본 발명은 축 씨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10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나 밸브 등의 공기압 기기에 사용되고, U자형 씨일부(42)와 더스트 립(47)을 일체로 갖는(단일형 씨일로서의) 축 씨일로서, 실린더 헤드나 밸브 보디의 환상 홈(50)에 장착되어, 왕복동하는(로드나 스풀 등의) 축 부재(41)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축 씨일이 공지이다.
그런데, 이 도 10에 도시한 종래의 축 씨일에서는, 내주 립(43)과 외주 립(44)의(축 부재(41)의) 축심 방향 위치가 일치하는 형상(동 도면의 H43=0)이었기 때문에,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외주 립(43, 44) 사이의 U형 오목홈부(55)가 환상 홈(50)의 측벽부(51)에 흡착되어, 씨일성을 상실하여, 고압측(R)으로부터의 유체가 화살표(G)와 같이 이상 분출(블로우바이)을 생기게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대책으로서,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주 립(43)을 짧게 하여, 내주 립(43)과 외주 립(44) 사이에 치수차(H43)를 형성한 횡단면 형상의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공개 소60-14356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문헌 1 등의 종래의 축 씨일(40)은,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살표(R) 방향(이하, 수압측(R))으로 돌출하는 내주 립(43)과 외주 립(44)으로 이루어지는 U자형 씨일부(42)와, 화살표(L) 방향(이하, 저압측(L))으로 돌출하는 슬라이딩용 더스트 립(47)을 일체로 갖고, 외주 립(44)의 외면에는 돌출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 씨일(40)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부재(41)가 왕복동 자유롭게 삽입통과되는 삽입구멍이 뚫어 설치된(실린더 헤드 등의) 암형 보디(B)의 환상 홈(50)에 장착되어, 축 부재(41)의 외주면(41A)에 슬라이딩 접촉한다. 이 환상 홈(50)은 수압측(R)의 제 1 측벽면(51)과 저압측(L)의 제 2 측벽면(52)과 홈 바닥면(53)을 가지고 있다. 축 씨일(40)을 환상 홈(50)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축 씨일(40)의 외주면부(49)가 홈 바닥면(53)에 맞닿고, 축 씨일(40)의 저압측(L)에 형성된 지지면부(46)가 제 2 측벽면(52)에 대면한다.
도 9에 도시하는 수압 상태에 있어서, 축 씨일(40)은 U자형 씨일부(42)에 압력을 받아, 수압측(R)으로부터 저압측(L)을 향하여 눌려진다. 이때, 지지면부(46)가 제 2 측벽면(52)에 밀어 붙여지고, 더스트 립(47)이 암형 보디(B)와 축 부재(41) 사이의 클리어런스에 들어가도록 축 씨일(40)의 내부에서 체적 이동하여, 모서리부(角部)(P)(의 제 2 측벽면(52)측)를 지지점으로 하는 회전 모멘트(M)가 생긴다. 게다가, 상기 치수차(H43)를 갖고, 내주 립(43)이 짧은 형상임으로써, 상기 회전 모멘트(M)가 증가한다. 이 회전 모멘트(M)에 의한 비틀림(탄성 변형)에 기인하여, 더스트 립(47)이 축 부재(41)로부터 들뜰 우려가 있었다. 더스트 립(47)의 들뜸이 발생하면, 축 부재(41)와의 접촉 면압이 제로가 되거나(도 9 중의 그래프 (i) 참조), 또는 더스트 립(47)이 축 부재(41)에 간극(g)을 두고 떨어져 버린다. 이와 같이, 수압 상태에서, 종래의 축 씨일(40)은, 더스트 립(47)이 씨일성을 상실하여, 그리스 유지성의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더스트 립(47)의 들뜸에 의해, 편심 추종성이 저하되어, 내더스트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내주 립(43)의 슬라이딩 접촉 저항이 과대하게 되거나, 또는 축 씨일(40)의 복면(腹面)(48)이 축 부재(41)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접촉 저항이 과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의 흡착에 의한 이상 분출을 방지하면서) 수압 상태하에서의 더스트 립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축 씨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 씨일은 수압측의 제 1 측벽면과 저압측의 제 2 측벽면과 홈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는 환상 홈을 갖는 삽입구멍이 뚫어 설치된 암형 보디의 상기환상 홈에 장착되어, 상기 삽입구멍에 왕복동 자유롭게 삽입통과된 축 부재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축 씨일로서, 내주 립과 외주 립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수압측의 U자형 씨일부와, 상기 저압측으로 돌출하는 더스트 립을 구비한 축 씨일에 있어서, 상기 홈 바닥면에 맞닿는 외주면부와, 상기 제 2 측벽면에 대면하는 지지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수압 상태에서, 상기 홈 바닥면과 상기 제 2 측벽면의 코너부(隅部)에 밀어 붙여져 상기 돌기부가 탄성 압축 변형으로 상기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에 흡수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압 상태에서, 상기 제 2 측벽면과 삽입구멍의 모서리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에 의한 더스트 립의 들뜸을, 상기 돌기부의 상기 탄성 압축 변형에 의해 생기는 레이디얼 내측 방향으로의 탄발 반(反)바이어스력으로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축 씨일에 의하면, 수압 상태에서, 돌기부의 탄성 압축 변형에 의해 생기는 탄발 반바이어스력(反付勢力)에 의해, 축 부재로부터의 더스트 립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들뜸의 방지에 따라, 더스트 침입 방지 성능(내더스트성이라고도 함)이 향상되고, 또한 그리스 유지성을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환상 홈으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상 홈의 치수정밀도 및 축 부재의 치수정밀도가 낮아, 구멍부 축심과 축 부재 축심이 편심되는 공압 기기 등에 있어서, 본 발명의 더스트 립은 편심 추종성이 우수하여, 내더스트성과 밀봉 성능과 그리스 유지성을 확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자유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수압 상태의 횡단면 형상과 면압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그래프 (i)은 축 부재와 더스트 립의 면압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그래프 (ii)는 지지면부와 제 2 측벽면의 면압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그래프 (iii)은 외주면부와 홈 바닥면의 면압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부 파단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자유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수압 상태의 횡단면 형상과 면압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그래프 (i)은 축 부재와 더스트 립의 면압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그래프 (ii)는 지지면부와 제 2 측벽면의 면압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그래프 (iii)은 외주면부와 홈 바닥면의 면압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자유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돌기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 (a)는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b)는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c)는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축 씨일의 자유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축 씨일의 수압 상태의 횡단면 형상과 면압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그래프 (i)은 축 부재와 더스트 립의 면압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그래프 (ii)는 지지면부와 제 2 측벽면의 면압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그래프 (iii)은 외주면부와 홈 바닥면의 면압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의 축 씨일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축 씨일은 공기압 기기의 실린더 또는 밸브 등의 왕복동부에 사용된다.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압측(고압측)(R)의 제 1 측벽면(13)과, 저압측(L)의 제 2 측벽면(12)과, 홈 바닥면(14)으로 이루어지는 환상 홈(2)을 갖는 삽입구멍(20)이 뚫어 설치된 암형 보디(B)의 환상 홈(2)에 장착되고, 삽입구멍(20)에 왕복동 자유롭게 삽입통과된 축 부재(1)의 외주면(1A)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축 씨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암형 보디(B)란 실린더 헤드 또는 밸브 보디 등이며, 축 부재(1)란 로드 또는 스풀을 가리킨다. 암형 보디(B)의 삽입구멍(20)에서, 환상 홈(2)의 수압측(R)의 클리어런스(C1)에 비해, 환상 홈(2)의 저압측(L)의 클리어런스(C2)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환상 홈(2)의 저압측(L)에서는 암형 보디(B)와 축 부재(1)의 외주면(1A) 사이에, 더스트 립(7)이 끼워져 축 부재(1)의 외주면(1A)에 슬라이딩 접촉시키기 위해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축 씨일은 저압용이라면, 공기압 기기에 한하지 않고, 유압 기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축 씨일의 재질은 고무계 재료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축 씨일은 수압측(R)으로 돌출하는 내주 립(3)과 외주 립(4)으로 이루어지는 U자형 씨일부(10)와, 저압측(L)으로 돌출하는 더스트 립(7)을 구비하고 있다. U자형 씨일부(10)는, 도 2에 도시하는 수압 상태에서, 내주 립(3)과 외주 립(4)에 압력을 받아, 내주 립(3)을 축 부재(1)의 외주면(1A)에 슬라이딩 접촉시키고, 또한 외주 립(4)(및 외주면부(15))을 홈 바닥면(14)에 밀착시키고 있다. 자유상태의 외주 립(4)의 외면에는 돌출부(5)가 설치되어 있다. 내주 립(3)과 더스트 립(7) 사이의 내주면에는 오목형의 내주 복부(腹部)(11)가 형성되고, 내주 립(3)과 더스트 립(7)과 내주 복부(11)에 의해 축 부재(1)와의 사이에 그리스 봉입실(17)이 형성 가능하다.
또한 도 1과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 씨일은 홈 바닥면(14)에 맞닿는 외주면부(15)와, 제 2 측벽면(12)에 대면하는 지지면부(6)에 의해 형성되는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에 돌기부(9)를 형성하고 있다. 돌기부(9)는 단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의 외주면부(15)측으로 돌출(팽출)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수압 상태에서,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가 홈 바닥면(14)과 제 2 측벽면(12)의 코너부(16)에 밀어 붙여지고, 돌기부(9)가 탄성 압축 변형으로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에 흡수된다. 바꿔 말하면, 돌기부(9)가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와 코너부(16)의 사이에서 압축(탄성 변형)되어,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와 코너부(16)가 밀착되어 있다.
수압 상태에서, U자형 씨일부(10)가 압력을 받아, 수압측(R)으로부터 저압측(L)을 향하여 눌려져, 지지면부(6)가 제 2 측벽면(12)에 밀어 붙여진다. 이때, 환상 홈(2)의 저압측(L)의 클리어런스(C2)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저압측 제 2 측벽면(12)의 깊이 치수(D12)가 (수압측 제 1 측벽면(13)의 깊이 치수(D13)보다도) 작고, 따라서, 큰 깊이 치수(D) 범위의 U자형 씨일부(10)의 수압에 의해, 모서리부(P)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모멘트(M)가 발생한다. 바꿔 말하면, 더스트 립(7)을 위해 큰 클리어런스(C2)가 설정되어, 유체 압력은 깊이 치수(D) 전체로부터 도 2의 좌측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유체 압력에 대하여, 제 2 측벽면(12)은 (상기 클리어런스(C2)의 존재에 의해) 레이디얼 외측 방향으로 편재되고, 이 편재된 제 2 측벽면(12)으로 수압한다. 그러므로, 축 씨일 전체가 회전 모멘트(M)를 받는다.
(도 9에 도시한 종래의 씨일과 같이,) 상술한 회전 모멘트(M)의 발생에 의해, 더스트 립(7)이 화살표(M7)와 같이 들뜨려고 한다.
그렇지만, 도 1의 돌기부(9)가, 도 2에 도시한 수압 상태에서는, 환상 홈(2)의 홈 바닥면(14)의 형상에 일치할 때까지 탄성 압축 변형하여, 도 2 중의 화살표(F)로 나타낸 레이디얼 내측 방향으로의 탄발 반바이어스력을 발생한다. 이 탄발 반바이어스력(F)에 의해, 축 부재(1)로부터의 더스트 립(7)의 들뜸(M7)을 방지한다. 즉 탄발 반바이어스력(F)은 더스트 립(7)이 들뜨려고 하는 화살표(M7) 방향의 힘을 없앨 뿐만아니라, 레이디얼 내측 방향으로 더욱 밀어붙여, 도 2에 그래프 (i)로 나타낸 면압으로 접촉을 유지한다.
도 2의 그래프 (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측벽면(12)과 지지면부(6)의 사이에서는, 모서리부(P)의 위치에 면압의 피크(정점)가 생겼다. 한편, 그래프 (i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 바닥면(14)과 외주면부(15)에서는, 돌기부(9)의 반발력에 의해, 코너부(16) 근방에 높은 면압(P9)을 발생한다. 이 높은 면압(P9)이 전술의 탄발 반바이어스력(F)을 발생시키고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수압 상태에서, 모서리부(P)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멘트(M)에 의해 생기는 들뜸(M7)을 탄발 반바이어스력(F)으로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압 상태에서, 축 부재(1)와 더스트 립(7)은 그래프 (i)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적정한 산형의 면압 분포를 가지고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축 부재(1)로부터 홈 바닥면(14)까지의 환상 홈(2)의 깊이 치수(D)에 대하여, 자유상태에서의 내주 복부(11)로부터 돌기부(9)의 선단까지의 높이 치수(H)가 약간 작게 설정되어, 환상 홈(2)의 저압측(L)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압 상태에서는, 돌기부(9)가 탄성 압축 변형으로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에 흡수되기 때문에, 깊이 치수(D)에 대한 높이 치수(H)의 차이가 미미해도, 내주 복부(11)가 축 부재(1)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저마찰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에 형성된 돌기부(9)가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의 지지면부(6)측으로 돌출(팽출)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술의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압 상태에서, U자형 씨일부(10)가 압력을 받아, 돌기부(9)가 제 2 측벽면(12)에 밀어 붙여지고, 돌기부(9)가 탄성 압축 변형으로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에(단면 형상으로) 흡수된다. 그래프 (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9)의 반발력에 의해, 코너부(16) 근방에 면압이 증가하여 피크(Pmax)를 나타낸다.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는 홈 바닥면(14)과 제 2 측벽면(12)의 코너부(16)에 밀어붙여지고, 돌기부(9)의 탄성 압축 변형에 의한 체적 이동에 의해, 그래프 (i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너부(16) 근방에서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가 홈 바닥면(14)에 강하게 접하여, 면압(P9)을 나타내고, 화살표로 나타낸 레이디얼 내측 방향으로의 탄발 반바이어스력(F)에 의해, 더스트 립(7)의 들뜸(M7)을 방지하여, 적정한 면압을, 그래프 (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한다. 이렇게 하여, 수압 상태에서의 모서리부(P)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멘트(M)에 의해 생기는 축 부재(1)로부터의 더스트 립(7)의 들뜸(M7)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수압 상태에 있어서, 축 부재(1)와 더스트 립(7)은 그래프 (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적정한 산형의 면압 분포를 가지고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다.
도 6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에, 외주면부(15)측 및 지지면부(6)측으로 돌출(팽출)하는 경사 방향의 돌기부(9)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수압 상태에서, 도 2와 마찬가지로, 홈 바닥면(14)과 제 2 측벽면(12)의 코너부(16)에 밀어 붙여져 돌기부(9)가 탄성 압축 변형으로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에 흡수된다. 그 밖의 구성은 상술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설계 변경 가능하며, 예를 들면,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9)는 그 끝면 형상을 사각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는, 도 7(b)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해도 되고, 또는 도 7(c)의 삼각 형상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서는, 돌기부(9)는 원주상 연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단속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도시 생략).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 씨일은 수압측(R)의 제 1 측벽면(13)과 저압측(L)의 제 2 측벽면(12)과 홈 바닥면(14)으로 이루어지는 환상 홈(2)을 갖는 삽입구멍(20)이 뚫어 설치된 암형 보디(B)의 환상 홈(2)에 장착되고, 삽입구멍(20)에 왕복동 자유롭게 삽입통과된 축 부재(1)의 외주면(1A)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축 씨일로서, 내주 립(3)과 외주 립(4)으로 이루어지는 수압측(R)의 U자형 씨일부(10)와, 저압측(L)으로 돌출하는 더스트 립(7)을 구비한 축 씨일에 있어서, 홈 바닥면(14)에 맞닿는 외주면부(15)와, 제 2 측벽면(12)에 대면하는 지지면부(6)에 의해 형성되는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에 돌기부(9)를 형성하고, 수압 상태에서, 홈 바닥면(14)과 제 2 측벽면(12)의 코너부(16)에 밀어 붙여져 돌기부(9)가 탄성 압축 변형으로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에 흡수되도록 구성했으므로, 수압 상태에서, 돌기부(9)의 탄성 압축 변형에 의해, 레이디얼 내측 방향의 탄발 반바이어스력(F)을 발생시키고, 그 반바이어스력(F)으로, 축 부재(1)로부터의 더스트 립(7)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그리스 유지성이 향상되어, 슬라이딩 접촉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더스트 립(7)의 편심 추종성을 유지하여, 내더스트성 및 그리스 유지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환상 홈(2)으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압 상태에서, 제 2 측벽면(12)과 삽입구멍(20)의 모서리부(P)를 지지점으로 하여,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M)에 의한 더스트 립(7)의 들뜸(M7)을, 돌기부(9)의 탄성 압축 변형에 의해 생기는 레이디얼 내측 방향으로의 탄발 반바이어스력(F)으로, 방지하도록 구성했으므로, 간이한 구성으로, 소기 목적을 달성하여, 더스트 립 들뜸을 방지하여, 편심 추종성도 우수하고, 그리스 유지성도 우수하다.
1 축 부재
1A 외주면
2 환상 홈
3 내주 립
4 외주 립
6 지지면부
7 더스트 립
8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
9 돌기부
10 U자형 씨일부
12 제 2 측벽면
13 제 1 측벽면
14 홈 바닥면
15 외주면부
16 코너부
20 삽입구멍
F 탄발 반바이어스력
R 수압측
L 저압측
B 암형 보디
P 모서리부
M 회전 모멘트
M7 들뜸

Claims (2)

  1. 수압측(R)의 제 1 측벽면(13)과 저압측(L)의 제 2 측벽면(12)과 홈 바닥면(14)으로 이루어지는 환상 홈(2)을 갖는 삽입구멍(20)이 뚫어 설치된 암형 보디(B)의 상기 환상 홈(2)에 장착되어, 상기 삽입구멍(20)에 왕복동 자유롭게 삽입통과된 축 부재(1)의 외주면(1A)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축 씨일로서, 내주 립(3)과 외주 립(4)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수압측(R)의 U자형 씨일부(10)와, 상기 저압측(L)으로 돌출하는 더스트 립(7)을 구비한 축 씨일에 있어서,
    상기 홈 바닥면(14)에 맞닿는 외주면부(15)와, 상기 제 2 측벽면(12)에 대면하는 지지면부(6)에 의해 형성되는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에 돌기부(9)를 형성하고,
    수압 상태에서, 상기 홈 바닥면(14)과 상기 제 2 측벽면(12)의 코너부(16)에 밀어 붙여져 상기 돌기부(9)가 탄성 압축 변형으로 상기 저압측 외주 모서리부(8)에 흡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씨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 상태에서, 상기 제 2 측벽면(12)과 삽입구멍(20)의 모서리부(P)를 지지점으로 하여,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M)에 의한 더스트 립(7)의 들뜸(M7)을, 상기 돌기부(9)의 상기 탄성 압축 변형에 의해 생기는 레이디얼 내측 방향으로의 탄발 반바이어스력(F)으로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씨일.
KR1020157020842A 2013-07-09 2014-04-02 축 씨일 KR201600300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43184A JP6088374B2 (ja) 2013-07-09 2013-07-09 軸シール
JPJP-P-2013-143184 2013-07-09
PCT/JP2014/059760 WO2015004963A1 (ja) 2013-07-09 2014-04-02 軸シ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070A true KR20160030070A (ko) 2016-03-16

Family

ID=52279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842A KR20160030070A (ko) 2013-07-09 2014-04-02 축 씨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88374B2 (ko)
KR (1) KR20160030070A (ko)
CN (1) CN105008776B (ko)
TW (1) TWI522555B (ko)
WO (1) WO201500496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565A (ko) * 2016-09-09 2021-09-23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시일재
KR20230071294A (ko) * 2021-11-16 2023-05-23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오일 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5936B2 (en) * 2015-03-05 2017-04-18 Snap-On Incorporated Integrated seal for control button
JP6576321B2 (ja) * 2016-10-26 2019-09-18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
DE102021212080B3 (de) 2021-10-26 2022-12-22 Trelleborg Sealing Solutions Germany Gmbh Dichtring mit druckaktivierbarer Zusatzdichtkante sowie Dichtungs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356U (ja) * 1983-07-08 1985-01-31 株式会社 阪上製作所 パツキング
JPS61168354U (ko) * 1985-04-08 1986-10-18
DE4108221C2 (de) * 1991-03-14 1998-09-03 Festo Ag & Co Dichtring
DE102006040487B3 (de) * 2006-08-30 2007-11-08 Lucas Automotive Gmbh Dichtelement für einen Bremszylinder einer Fahrzeugbremsanlage
FR2916406B1 (fr) * 2007-05-22 2009-07-10 Bosch Gmbh Robert Maitre-cylindre comportant un joint et une gorge associee favorisant la realimentation.
JP5326265B2 (ja) * 2007-09-26 2013-10-30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US20110091143A1 (en) * 2008-05-28 2011-04-21 The Timken Company Spherical bearing triple-lip seal
US20110309585A1 (en) * 2009-06-16 2011-12-22 Hidekazu Uehara Shaft seal device
JP5507273B2 (ja) * 2010-01-26 2014-05-28 Nok株式会社 密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るポン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565A (ko) * 2016-09-09 2021-09-23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시일재
KR20230071294A (ko) * 2021-11-16 2023-05-23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오일 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08776B (zh) 2017-05-17
JP6088374B2 (ja) 2017-03-01
JP2015017626A (ja) 2015-01-29
CN105008776A (zh) 2015-10-28
TW201502399A (zh) 2015-01-16
TWI522555B (zh) 2016-02-21
WO2015004963A1 (ja)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0070A (ko) 축 씨일
US10612660B2 (en) Gasket
JP2008144784A (ja) パッキン及びシーリングシステム
JP2007071329A (ja) バックアップリング
JP2012246956A (ja) 環状シール部材
JP2007139055A (ja) 密封装置および密封構造
JP2014214769A (ja) シール構造
US11486418B2 (en) Seal housing
JP6076789B2 (ja) シール構造
US11221072B2 (en) Arrangement structure for seal member
US10443733B2 (en) Seal assembly with energizer and seal element
CN108291648B (zh) 密封构件
JP5164659B2 (ja) 組合せオイルリング
JP2005114007A (ja) 密封装置
JP2012215188A (ja) 密封構造
JP2010014202A (ja) 密封装置
JP2012137121A (ja) 密封装置
JP2011017376A (ja) 流体機械のシール構造
JP2009092112A (ja) 密封構造
JP2010014205A (ja) 密封装置
JP2008045658A (ja) 密封装置
JP2011256952A (ja) ロッドシール構造
CN110691930B (zh) 密封装置
JP2014190362A (ja) シール構造
KR20160078236A (ko) 밀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