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807A - 분산액 및 하이드로겔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분산액 및 하이드로겔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807A
KR20160029807A KR1020167002190A KR20167002190A KR20160029807A KR 20160029807 A KR20160029807 A KR 20160029807A KR 1020167002190 A KR1020167002190 A KR 1020167002190A KR 20167002190 A KR20167002190 A KR 20167002190A KR 20160029807 A KR20160029807 A KR 20160029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group
extract
dispersion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009B1 (ko
Inventor
타카유키 이모토
Original Assignee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9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052Preparation of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07K5/06008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06017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06026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0 or 1 carbon atom, i.e. Gly or Al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8Tripeptides
    • C07K5/0802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0804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0806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0 or 1 carbon atoms, i.e. Gly, Al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07K5/1002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1005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1008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0 or 1 carbon atoms, i.e. Gly, Al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과제] 지질 디펩티드나 지질 트리펩티드 등의 저분자 겔화제로서 유용한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과, 보다 저온에서 또한 보다 용이하게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용해할 수 있는 용매를 함유하는 분산액을 제공하는 것. 또한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또한 보다 온화한 조건(저온)으로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얻어진 겔이 높은 열 안정성을 갖는 겔이 되는 분산액 및 겔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탄소원자수 10 내지 24의 지방족기로 이루어진 지질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아미노산의 반복에 의해 형성된 펩티드부가 결합된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과, 분자 내에 친수부와 소수부를 갖고, 또한 이 친수부가 베타인 구조를 갖는 용해 촉진제와 물을 함유하는 분산액 및 이 분산액을 사용하는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Description

분산액 및 하이드로겔 형성방법{DISPERSION LIQUID AND METHOD FOR FORMING HYDROGEL}
본 발명은, 증점제나 겔화제로서 유용한 저분자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산액 그리고 이 분산액을 이용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이드로겔은 물을 매질로 하기 때문에 생체적합성이 높은 겔로서 유용하고, 종이 기저귀나 화장품, 방향제의 일회용품용 용도를 비롯하여,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종래형 하이드로겔로는, 고분자쇄가 가교되어 3차원 망목구조를 형성하고, 이것이 물 등의 매체간과 비공유결합을 형성하여 팽윤됨으로써 형성되는 고분자겔을 들 수 있다. 이 고분자겔의 물성연구 그리고 용도개발은, 아가로스 등의 다당류나 단백질로 형성되는 천연 고분자겔이나, 아크릴 아미드겔 등의 고분자쇄간을 화학공유결합으로 가교한 합성 고분자겔에 있어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상술한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겔 뿐만 아니라, 비교적 저분자량의 유기 화합물의 자기집합화로 이루어진 하이드로겔이 발견되어, 여러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저분자 화합물의 자기집합화에 의한 겔 형성은, 당초 랜덤한 상태에 있는 물질(저분자 화합물)군에 있어서, 적절한 외부조건(매체중)하에서, 물질간의 비공유결합성 상호작용 등에 의해, 물질군이 방향성을 가지면서 자발적으로 분자회합합으로써 매크로한 분자집합체를 형성하고, 이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주위의 용매를 팽윤함으로써 발생한다고 설명되고 있다. 이 분자회합(자기집합화)의 구동력으로는, 비교적 결합력이 약한 수소결합의 작용과, 수소결합보다 결합력이 더 약한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상호작용(비수소결합)에 의한 것을 들 수 있다.
지금까지 제안되어 있는 저분자 겔화제의 대부분은 소수부인 장쇄알킬기와 친수성부를 조합한 양 친매성 화합물이며, 예를 들어, 친수성부가 아미노산인 것[비특허문헌 1], 펩티드인 것[특허문헌 1, 2], 단다당류[비특허문헌 2, 3] 또는 폴리올[비특허문헌 4]인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발린으로 구성된 펩티드가 β-시트구조를 용이하게 취하는 것을 이용한 저분자 겔화제[비특허문헌 5]도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저분자 하이드로겔화제는, 이 하이드로겔화제와 매체인 물을 약 100℃의 온도조건으로 가열교반하여, 겔화제를 물에 용해·분산시킨 후, 이 용액을 실온에 정치함으로써,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다.
국제공개 제2009/005151호 팜플렛 국제공개 제2009/005152호 팜플렛
Suzuki, Masahiro. Yumoto, Mariko. Mutsumi, Shirai. Hirofusa, Hanabusa, Kenji. Chemistry Letters, 33(11), 1496-1497. Jong Hwa Jung, Georeg John, Mitsutosish Mausda, Kaname Yoshida, Seiji Shinnkai, and Toshimi Shimizu Langumir 2001, 17, 7229-7232 I. Hamachi, S. Kiyonaka, S. Shinkai, Tetrahedron Lett., 2001, 42, 6141. I. Hamachi, S. Kiyonaka, S, Shinaki, Chem. Commun., 2000, 1281. Masahiro Suzuki, Sanae Owa, Hirofusa Shirai and Kenji Hanabusa, Tetrahedron 2007 63 7302-7308. Yoko Matsuzawa, Katsuyuki Ueki, Masaru Yoshida, Nobuyuki Tamaoki, Tohru Nakamura, Hideki Sakai, and Masahiko Abe,Adv. Funct. Mater.2007,17, 1507-1514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질 디펩티드나 지질 트리펩티드 등의 저분자 겔화제로서 유용한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과, 보다 저온에서 또한 보다 용이하게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용해할 수 있는 용해 촉진제를 함유하는 분산액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또한 보다 온화한 조건(저온)으로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얻어진 겔이 높은 열 안정성을 갖는 겔이 되는 분산액 및 겔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저분자 지질 펩티드 또는 그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이, 분자 내에 친수부와 소수부를 갖는 용해 촉진제를 포함하는 용매에 대하여, 지금까지보다 더 저온조건에서 높은 용해성과 높은 분산성을 나타내어, 겔의 프리믹스 원료나 부동액의 증점제로서 호적한 분산액이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술한 용매에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용해시킨 분산액에 대하여, 고분자 유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이 분산액을 이용하여 겔 조제를 행할 때, 교반냉각을 행한 경우에 있어서도 겔을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 그리고 이 분산액이 화장품 또는 의약품 외품에 사용 가능한 겔의 프리믹스로서 유용한 것을 발견하였다. 나아가 이 분산액에 내열성 향상제를 첨가함으로써, 이 분산액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겔에 대하여 높은 열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용해 촉진제를 이용함으로써, 겔화에 필요한 저분자 지질 펩티드 또는 그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의 첨가량을 줄인 경우에도, 양호한 겔을 형성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제1 관점으로서, 탄소원자수 10 내지 24의 지방족기로 이루어진 지질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아미노산의 반복에 의해 형성된 펩티드부가 결합된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과, 분자 내에 친수부와 소수부를 갖고, 또한 이 친수부가 베타인 구조를 갖는 용해 촉진제와 물을 함유하는,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제2 관점으로서, 상기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이, 하기 식(1) 내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 중의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관점에 기재된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1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또는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을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R4는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5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또는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을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중, R8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9 내지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또는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을 나타낸다.)
제3 관점으로서, 추가로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 기재된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제4 관점으로서, 상기 용해 촉진제가, 라우릴 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라우르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라우릴 하이드록시 설포베타인, 스테아릴베타인 및 리조포스파티딜 콜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제3 관점에 기재된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제5 관점으로서, 겔화제로서 상기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고, 추가로 고분자 유화제를 함유하는, 제1 관점 내지 제4 관점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제6 관점으로서, 화장품 또는 의약품 외품의 조제를 위한 프리믹스인, 제5 관점에 기재된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제7 관점으로서, 부동액의 증점제로서 이용되는, 제1 관점 내지 제4 관점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제8 관점으로서, 상기 고분자 유화제가, 친수성의 주쇄에 소수성 부위를 그래프트시킨 그래프트 고분자 화합물 및 소수성 구성단위와 친수성 구성단위로 이루어진 블록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고분자 화합물인, 제5 관점 또는 제6 관점에 기재된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제9 관점으로서, 추가로 내열성 향상제를 함유하는, 제8 관점에 기재된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제10 관점으로서, 상기 내열성 향상제가 탄소원자수 10 내지 20의 포화 및 불포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고급 알코올 또는 고급 지방산에스테르인, 제9 관점에 기재된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제11 관점으로서, 상기 내열성 향상제가 세탄올, 미리스틸알코올,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인, 제10 관점에 기재된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제12 관점으로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알긴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8 관점에 기재된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제13 관점으로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이,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인, 제12 관점에 기재된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제14 관점으로서, 제5 관점 및 제6 관점 그리고 제8 관점 내지 제13 관점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산액을 물에 첨가하고, 실온 이상 100℃ 미만의 온도로 가열하는 공정, 상기 가열공정에 있어서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냉각하고, 겔을 형성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5 관점으로서, 제5 관점 및 제6 관점 그리고 제8 관점 내지 제13 관점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산액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산액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하이드로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산액은,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과 용해 촉진제 등을 예를 들어 80℃와 같은 비교적 온화한 온도조건으로 교반함으로써, 비교적 단시간에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용해·분산하여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산액은, 겔의 프리믹스원료나 부동액의 증점제로서 호적한 분산액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분산액은, 고분자 유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이 분산액을 이용하여 겔 조제를 행할 때, 예를 들어 80℃와 같은 온화한 온도조건으로, 또한 교반냉각하면서도 불용물이나 석출물을 형성하는 일 없이, 양호한 하이드로겔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산액은, 다가 알코올을 배합함으로써, 보다 소량의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겔화제)의 사용에 의해서도 양호한 하이드로겔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분산액은, 화장품 또는 의약품 외품에 사용 가능한 겔의 프리믹스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분산액은, 내열성 향상제를 첨가함으로써, 이 분산액을 이용하여 형성한 겔에 대하여 높은 열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산액에 포함되는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은, 지질과 펩티드만으로 구성되는 매우 안전성이 높은 인공 저분자 화합물이며, 또한 분자 내에 친수부와 소수부를 갖는 용해 촉진제인 인 지질, 바이오서팩턴트, 지방산 또는 그 염, 및 계면활성제, 내열성 향상제인 고급 알코올, 분산액의 혼합용매에 이용하는 다가 알코올 등은, 식품이나 화장품, 의약품에 사용 가능한 첨가제이다. 즉, 본 발명의 분산액은 생체 안전성이 높고, 특히, 세포배양의 기재나 의용재료, 혹은 화장품용 재료 등에서 요구되는 높은 안전성의 관점에서 봤을 때, 상기 용도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분산액은, 예를 들어 종래 제안되어 있는 합성 고분자형의 겔을 형성할 때에 필요시된 가교제 등을 이용하지 않고, 물을 겔화시켜 겔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얻어지는 하이드로겔에 있어서 미반응의 가교제 등의 미반응물질의 잔존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게다가 분산액에 포함되는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은, 겨우 1질량% 정도의 첨가량으로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어, 환경이나 생체 내에서 취입되었을 때에 부하가 적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은, 100℃ 미만의 비교적 온화한 조건하에서, 교반하면서도 겔을 형성할 수 있고, 열의 영향을 가능한 한 배제시키고자 하는 화장품용 첨가제나 의약품 외품용 첨가제를 첨가한 경우에 있어서도, 이들 첨가제를 변형시키는 일 없이,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겔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비해 소량의 겔화제의 첨가에 의해 얻을 수 있으므로, 생체면·환경면에서 모두 안전성이 높은 겔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저분자 화합물인 지질 펩티드로부터 얻어진 겔은, 외부환경 중에서, 예를 들어 땅속에서 사용하는 경우, 토양세균 등에 의해 용이하게 분해되고, 또한 생체 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사효소에 의해 용이하게 분해되므로, 환경·생체에 대한 부하가 적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겔은, 비교적 온화한 조건하에서 형성가능한 겔이며, 열의 영향이 우려되는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는 겔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완성에 이르게 된 경위를 포함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제안된 저분자 겔화제, 예를 들어 친수성부가 펩티드인 것(지질 펩티드, 특허문헌 1, 2)은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낮고, 용매를 겔화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겔화시키고자 하는 용매를 100℃와 같은 고온으로 가열하고, 겔화제를 용해·분산시킬 필요가 있었다.
또한 상기 지질 펩티드 저분자 겔화제는, 분자간의 약한 상호작용(반데르발스 상호작용 등)에 의해 매크로한 분자집합체를 형성함으로써 겔 형성에 이르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분자집합체의 파괴는 겔 형성을 방해하게 된다. 그러므로, 겔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고온가열하여 조제한 겔화제 분산액의 냉각시에 정치시킬 필요가 있으며, 냉각시에 교반을 하면 겔 형성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현상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보다 온화한 온도조건, 예를 들어 100℃ 미만의 온도에서 겔 형성 가능하고, 또한 냉각시에 교반을 하면서도 겔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의 제공을 과제로 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이러한 과제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은,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이 화합물의 용해 촉진이 높은 조성으로 일단 용해·분산시켜 용액(분산액)으로 하고, 이것을 이를 테면 겔화재료의 프리믹스로서 용매(물 등)에 배합하는 것에 의한 겔 형성법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우선,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고농도로 용해할 수 있는 높은 용해성을 가지며, 그 중에서도, 의약품 외품이나 화장품 등에 사용이 인정되는 안전성의 용해 촉진제를 검토한 결과, 분자 내에 친수부와 소수부를 갖고, 또한 이 친수부가 베타인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호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계속해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프리믹스를 이용하여, 저온·교반하에서의 겔 형성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검토한 결과, 알긴산에스테르 등의 고분자 유화제의 배합에 의해, 프리믹스를 용매에 배합했을 때의 용해·분산성 그리고 겔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고급 알코올 또는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내열성 향상제의 배합에 의해 형성한 겔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경위로부터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분산액>
본 발명의 분산액은, 탄소원자수 10 내지 24의 지방족기로 이루어진 지질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아미노산의 반복에 의해 형성된 펩티드부가 결합된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과, 분자 내에 친수부와 소수부를 갖고, 또한 이 친수부가 베타인 구조를 갖는 용해 촉진제와, 물과의 혼합용액을 함유하는,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
본 발명의 분산액에 있어서 이용하는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로는, 하기 식(1) 내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지질 펩티드) 또는 그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소수성 부위인 지질부와 친수성 부위인 펩티드부를 갖는 저분자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상기 식(1)에 있어서, R1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R1은 불포화결합을 0 내지 2개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1 내지 23의 직쇄상 지방족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1 및 인접하는 카르보닐기로 구성되는 지질부(아실기)의 구체예로는, 라우로일기, 도데실카르보닐기, 미리스토일기, 테트라데실카르보닐기, 팔미토일기, 마가로일기, 올레오일기, 엘라이도일기, 리놀레오일기, 스테아로일기, 바세노일기, 옥타데실카르보닐기, 아라키도일기, 에이코실카르보닐기, 베헤노일기, 에루코일(エルカノイル)기, 도코실카르보닐기, 리그노세일기, 네르보노일기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마가로일기, 스테아로일기, 올레오일기, 엘라이도일기 및 베헤노일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1)에 있어서, 펩티드부에 포함되는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란, 주쇄의 탄소원자수가 1 내지 4이고, 또한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알킬기를 의미하며, 그 구체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sec-부틸기 또는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R2는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이다.
탄소원자수 1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3의 알킬기란, 주쇄의 탄소원자수가 1 내지 3이며, 또한 탄소원자수 1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알킬기를 의미하고, 그 구체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i-부틸기 또는 sec-부틸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i-프로필기, i-부틸기 또는 sec-부틸기이다.
상기 식(1)에 있어서, R3은 -(CH2)n-X기를 나타낸다. 상기 -(CH2)n-X기에 있어서,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식기 또는 6원환식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식기를 나타낸다.
상기 R3을 나타내는 -(CH2)n-X기에 있어서, X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카바모일기(-CONH2기), 피롤기, 이미다졸기, 피라졸기 또는 인돌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미다졸기이다. 또한, 상기 -(CH2)n-X기에 있어서, n은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이다.
따라서, 상기 -(CH2)n-기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메틸기, 2-아미노에틸기, 3-아미노프로필기, 4-아미노부틸기, 카바모일메틸기, 2-카바모일에틸기, 3-카바모일부틸기, 2-구아니디노에틸기, 3-구아니디노부틸기, 피롤메틸기, 4-이미다졸메틸기, 피라졸메틸기, 또는 3-인돌메틸기를 나타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아미노부틸기, 카바모일메틸기, 2-카바모일에틸기, 3-구아니디노부틸기, 4-이미다졸메틸기 또는 3-인돌메틸기를 나타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이미다졸메틸기이다.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로서 특히 호적한 지질 펩티드로는, 이하의 지질부와 펩티드부(아미노산 집합부)로 형성되는 화합물이다. 또한 아미노산의 약칭으로는, 알라닌(Ala), 아스파라긴(Asn), 글루타민(Gln), 글리신(Gly), 히스티딘(His), 이소류신(Ile), 류신(Leu), 리신(Lys), 트립토판(Trp), 발린(Val)을 나타낸다.: 라우로일-Gly-His, 라우로일-Gly-Gln, 라우로일-Gly-Asn, 라우로일-Gly-Trp, 라우로일-Gly-Lys, 라우로일-Ala-His, 라우로일-Ala-Gln, 라우로일-Ala-Asn, 라우로일-Ala-Trp, 라우로일-Ala-Lys; 미리스토일-Gly-His, 미리스토일-Gly-Gln, 미리스토일-Gly-Asn, 미리스토일-Gly-Trp, 미리스토일-Gly-Lys, 미리스토일-Ala-His, 미리스토일-Ala-Gln, 미리스토일-Ala-Asn, 미리스토일-Ala-Trp, 미리스토일-Ala-Lys; 팔미토일-Gly-His, 팔미토일-Gly-Gln, 팔미토일-Gly-Asn, 팔미토일-Gly-Trp, 팔미토일-Gly-Lys, 팔미토일-Ala-His, 팔미토일-Ala-Gln, 팔미토일-Ala-Asn, 팔미토일-Ala-Trp, 팔미토일-Ala-Lys; 스테아로일-Gly-His, 스테아로일-Gly-Gln, 스테아로일-Gly-Asn, 스테아로일-Gly-Trp, 스테아로일-Gly-Lys, 스테아로일-Ala-His, 스테아로일-Ala-Gln, 스테아로일-Ala-Asn, 스테아로일-Ala-Trp, 스테아로일-Ala-Lys.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라우로일-Gly-His, 라우로일-Ala-His-미리스토일-Gly-His, 미리스토일-Ala-His; 팔미토일-Gly-His, 팔미토일-Ala-His; 스테아로일-Gly-His, 스테아로일-Ala-His를 들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상기 식(2)에 있어서, R4는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상술한 R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2)에 있어서, R5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또한 R5 내지 R7 중 적어도 1개 이상이 -(CH2)n-X기를 나타낸다.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식기 또는 6원환식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식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R5 내지 R7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상술한 R2 및 R3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호적한 지질 펩티드로는, 이하의 지질부와 펩티드부(아미노산 집합부)로 형성되는 화합물이다. 미리스토일-Gly-Gly-His, 미리스토일-Gly-Gly-Gln, 미리스토일-Gly-Gly-Asn, 미리스토일-Gly-Gly-Trp, 미리스토일-Gly-Gly-Lys, 미리스토일-Gly-Ala-His, 미리스토일-Gly-Ala-Gln, 미리스토일-Gly-Ala-Asn, 미리스토일-Gly-Ala-Trp, 미리스토일-Gly-Ala-Lys, 미리스토일-Ala-Gly-His, 미리스토일-Ala-Gly-Gln, 미리스토일-Ala-Gly-Asn, 미리스토일-Ala-Gly-Trp, 미리스토일-Ala-Gly-Lys, 미리스토일-Gly-His-Gly, 미리스토일-His-Gly-Gly, 팔미토일-Gly-Gly-His, 팔미토일-Gly-Gly-Gln, 팔미토일-Gly-Gly-Asn, 팔미토일-Gly-Gly-Trp, 팔미토일-Gly-Gly-Lys, 팔미토일-Gly-Ala-His, 팔미토일-Gly-Ala-Gln, 팔미토일-Gly-Ala-Asn, 팔미토일-Gly-Ala-Trp, 팔미토일-Gly-Ala-Lys, 팔미토일-Ala-Gly-His, 팔미토일-Ala-Gly-Gln, 팔미토일-Ala-Gly-Asn, 팔미토일-Ala-Gly-Trp, 팔미토일-Ala-Gly-Lys, 팔미토일-Gly-His-Gly, 팔미토일-His-Gly-Gly.
이들 중,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라우로일-Gly-Gly-His, 미리스토일-Gly-Gly-His, 팔미토일-Gly-Gly-His, 팔미토일-Gly-His-Gly, 팔미토일-His-Gly-Gly, 스테아로일-Gly-Gly-His를 들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상기 식(3)에 있어서, R8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상술한 R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3)에 있어서, R9 내지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또한 R9 내지 R12 중 적어도 1개 이상이 -(CH2)n-X기를 나타낸다.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식기 또는 6원환식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식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R9 내지 R12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상술한 R2 및 R3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호적한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로서, 특히 호적한 지질 펩티드로는, 라우로일-Gly-Gly-Gly-His, 미리스토일-Gly-Gly-Gly-His, 팔미토일-Gly-Gly-Gly-His, 팔미토일-Gly-Gly-His-Gly, 팔미토일-Gly-His-Gly-Gly, 팔미토일-His-Gly-Gly-Gly, 스테아로일-Gly-Gly-Gly-His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의 배합량은, 얻어지는 하이드로겔의 총 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1 내지 30질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질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의 배합량은, 얻어지는 분산액의 총 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40질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질량%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질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은, 상기 식(1) 내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지질 펩티드) 또는 그 약학적인 사용 가능한 염 중의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고, 하이드로겔화제로서 이들 화합물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용해 촉진제]
본 발명의 분산제에 사용되는 용해 촉진제는 분자 내에 친수부와 소수부를 갖고, 또한 이 친수부가 베타인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하, 베타인계 화합물이라고도 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베타인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 디메틸아미노 아세트산 베타인(라우릴베타인) 등의 N-알킬-N,N-디메틸아미노산 베타인; 코카마이드 프로필베타인, 라우라마이드프로필베타인 등의 지방산 아미드알킬-N,N-디메틸아미노산 베타인; 코코암포아세트산 나트륨, 라우로암포아세트산 나트륨 등의 이미다졸린형 베타인; 라우릴 하이드록시 설포베타인, 알킬디메틸타우린 등의 알킬설포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미노 에탄올 황산 에스테르 등의 황산형 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미노 에탄올 인산 에스테르 등의 인산형 베타인 등, 양성 계면활성제로서 기지의 베타인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타인계 화합물로서, 포스파티딜 콜린,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 세린,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디포스파티딜 글리세롤(카르디올리핀), 포스파티딘산 등의 글리세로 인지질; 리조포스파티딜 콜린(리조레시틴), 리조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리조포스파티딜 세린, 리조포스파티딜 이노시톨, 리조포스파티딜 글리세롤, 리조포스파티딘산 등의 리조글리세로 인지질; 스핑고미엘린 등의 스핑고 인지질;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인지질은, 대두, 난황 등의 동식물 유래의 것일 수도 있고, 화학적 혹은 산소적 방법에 의해 합성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베타인계 화합물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라우릴 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라우르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라우릴 하이드록시 설포베타인, 스테아릴베타인, 리조포스파티딜 콜린(리조레시틴), 리조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리조포스파티딜 세린, 리조포스파티딜 이노시톨, 리조포스파티딜 글리세롤, 리조포스파티딘산 등을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라우릴 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라우르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라우릴 하이드록시 설포베타인, 스테아릴베타인, 리조포스파티딜 콜린(리조레시틴)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해 촉진제의 배합량은, 얻어지는 하이드로겔의 총 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1 내지 1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50질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해 촉진제의 배합량은, 얻어지는 분산액의 총 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1 내지 30질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질량%이다.
[다가 알코올]
본 발명의 분산액에 다가 알코올을 배합함으로써, 겔화제인 상기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의 배합량을 줄인 경우에도, 양호한 겔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산액에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은, 1,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또는 1,3-부탄디올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부탄디올이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상술한 알코올군의 적어도 1종이며, 이들 알코올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은, 얻어지는 하이드로겔의 총 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질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은, 얻어지는 분산액의 총 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5 내지 30질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질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과 상기 용해 촉진제와 상기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분산액은, 부동액의 증점제로서 호적하게 사용가능하다.
[고분자 유화제]
본 발명의 분산액에 고분자 유화제를 첨가함으로써, 겔 조제시에 교반을 행한 경우에도 겔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고분자 유화제로서, 친수성의 주쇄에 소수성 부위를 그래프트시킨 그래프트 고분자 화합물 및 소수성 구성단위와 친수성 구성단위로 이루어진 블록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고분자 화합물을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의 주쇄에 소수성 부위를 그래프트시킨 그래프트 고분자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잔탄검, 알긴산 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소수성 구성단위와 친수성 구성단위로 이루어진 블록고분자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고분자 화합물로는,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및 알긴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상기 고분자 유화제는, 그래프트 고분자 화합물 및 블록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이들 고분자 화합물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유화제의 배합량은, 얻어지는 하이드로겔의 총 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질량%이다.
본 발명의 분산액에 있어서, 겔화제로서 상기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용해 촉진제, 상기 다가 알코올에 더하여 고분자 유화제를 함유하는 분산액은, 화장품 또는 의약품 외품의 조제를 위한 프리믹스, 즉, 화장품이나 의약품 외품에 이용하는 겔을 조제하기 위한 프리믹스 재료로서, 호적하게 사용가능하다. 또한 이 분산액(프리믹스)에는, 후술하는 내열성 향상제나, 화장품용 및/또는 의약품 외품용의 첨가제로서 주지의 각종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상기 프리믹스는,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에, 용해 촉진제, 다가 알코올을 첨가하고, 실온 이상 100℃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예를 들어 80℃에서 교반하고, 필요에 따라, 그 후, 내열성 향상제, 화장품용 및/또는 의약품 외품용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제조가능하다.
[내열성 향상제]
본 발명의 분산액에 사용되는 내열성 향상제로서, 고급 알코올 또는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고급 알코올로는, 이하에 드는 포화, 불포화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팔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헥사데실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헥실도데칸올, 옥틸도데칸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2-데실테트라데시놀,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시토스테롤, 라노스테롤, POE 콜레스테롤 에테르, 모노스테아릴 글리세린 에테르(바틸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 알코올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수 10 내지 20의 포화 및 불포화 고급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바람직하게는,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팔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시토스테롤, 라노스테롤, 모노스테아릴 글리세린 에테르(바틸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라우릴 알코올, 팔미틸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하에 드는 포화, 불포화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아디프산 디이소부틸, 아디프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디-2-헵틸운데실,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리콜,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세틸,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디-2-에틸헥산산 에틸렌글리콜-2-에틸헥산산 세틸, 트리-2-에틸헥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톨, 옥탄산 세틸, 옥틸도데실검 에스테르, 올레산 올레일, 올레산 옥틸도데실, 올레산 데실, 디카프르산 네오펜틸글리콜, 구연산 트리에틸, 숙신산 2-에틸헥실, 아세트산 아밀,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스테아르산 부틸, 세바스산 디이소프로필, 세바스산 디-2-에틸헥실, 유산 세틸, 유산 미리스틸,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팔미트산 2-에틸헥실, 팔미트산 2-헥실데실, 팔미트산 2-헵틸운데실, 12-하이드록시 스테아릴산 콜레스테릴, 디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 2-헥실데실, 미리스트산 미리스틸,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라우르산 에틸, 라우르산 헥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2-옥틸도데실에스테르,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트 글리세라이드, 트리이소옥탄산 글리세라이드, 트리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라이드, 트리이소팔미트산 글리세라이드,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라이드,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라이드, 디-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라이드, 트리미리스트산 글리세라이드 등의 글리세라이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수 10 내지 20의 포화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바람직하게는,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리콜,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라이드를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라이드(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향상제의 배합량은, 얻어지는 하이드로겔의 총 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1 내지 0.30질량%,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10질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향상제의 배합량은, 얻어지는 분산액의 총 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0.2 내지 1.0질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질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상기 내열성 향상제는, 상기 지방산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이들 지방산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기타 첨가제]
이 조성물에, 필요에 따라 일반적으로 화장품용 첨가제 및 의약품 외품용 첨가제로서 사용 가능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화장품 또는 의약품 외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배합되는 생리활성물질 및 기능성 물질 등의 첨가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유성기제, 보습제, 감촉향상제, 계면활성제, 고분자, 증점·겔화제, 용제, 분사제, 산화방지제, 환원제, 산화제, 방부제, 항균제, 살균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산, 알칼리, 분체, 무기염, 자외선 흡수제, 미백제, 비타민류 및 그 유도체류, 육모용 약제, 혈행촉진제, 자극제, 호르몬류, 주름방지제, 항노화제, 수축제(ひきしめ劑), 냉감제, 온감제, 창상치유 촉진제, 자극완화제, 진통제, 세포부활제, 식물·동물·미생물 엑기스, 진양제, 각질박리·용해제, 제한제, 청량제, 수렴제, 효소, 핵산, 향료, 색소, 착색제, 염료, 안료, 소염제, 항염증제, 항천식, 항만성 폐색성 폐질환, 항알레르기, 면역조정제, 항감염증제 및 항진균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성분을 예시하면, 유성기제로는, 세탄올, 미리스틸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알킬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알코올, 키밀 알코올, 세라킬 알코올, 바틸 알코올, 헥실데칸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2-옥틸도데칸올, 다이머디올 등의 고급(다가) 알코올류; 벤질알코올 등의 아랄킬 알코올 및 그 유도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베헨산, 운데실렌산, 12-하이드록시 스테아르산, 팔미톨레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에루크산, 도코사헥사엔산, 에이코사펜타엔산, 이소헥사데칸산, 안테이소헨이코세인산, 장쇄 분지 지방산, 다이머산, 수소첨가 다이머산 등의 고급 지방산류, 및 그 알루미늄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아연염, 칼륨염, 나트륨염 등의 금속비누류, 그리고 아미드 등의 함질소 유도체류; 유동 이소파라핀(미네랄오일), 중질 유동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α-올레핀올리고머, 폴리이소부텐, 수첨 폴리이소부텐, 폴리부텐, 스쿠알란, 올리브 유래 스쿠알란, 스쿠알렌, 바세린, 고형 파라핀 등의 탄화수소류; 칸데릴라왁스, 카나우바왁스, 라이스왁스, 목랍, 밀랍, 몬탄왁스,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파라핀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페트로라텀, 피셔트롭쉬왁스, 폴리에틸렌왁스, 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 등의 왁스류; 야자유, 팜유, 팜핵유, 사플라워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참기름, 차유, 달맞이꽃유, 소맥배아유, 마카다미아넛오일, 헤이즐넛유, 쿠쿠이넛유, 로즈힙유, 메도우폼유, 퍼식오일, 티트리오일, 박하유, 옥수수유, 유채유, 해바라기씨유, 소맥배아유, 아마인유, 면실유, 대두유, 낙화생유, 쌀겨유, 카카오지(脂), 시어지(脂), 수소첨가 야자유, 수소첨가 피마자유, 호호바유, 수소첨가 호호바유 등의 식물유지류; 우지, 유지, 마지, 난황유, 밍크유, 거북이유 등의 동물성 유지류; 경랍, 라놀린, 오렌지라피유 등의 동물성 납류; 액상 라놀린, 환원 라놀린, 흡착정제 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 아세트산 액상 라놀린, 하이드록시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라놀린지방산, 경질 라놀린 지방산, 라놀린 알코올, 아세트산 라놀린 알코올, 아세트산(세틸·라놀린) 에스테르 등의 라놀린류; 레시틴, 포스파티딜 콜린,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 세린,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스핑고미엘린 등의 스핑고 인지질, 포스파티딘산, 리조레시틴 등의 인지질류;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부분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수소첨가 난황 인지질, 부분 수소첨가 난황 인지질 등의 인지질 유도체류; 콜레스테롤, 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라노스테롤, 디하이드로라노스테롤, 피토스테롤, 콜산 등의 스테롤류; 사포게닌류; 사포닌류; 아세트산 콜레스테릴, 노난산 콜레스테릴, 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올레산 콜레스테릴,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디(콜레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디(콜레스테릴/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디(피토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디(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 N-라우로일살코신이소프로필 등의 아실살코신알킬에스테르, 12-하이드록시 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마카다미아넛 오일 지방산 콜레스테릴, 마카다미아넛 오일 지방산 피토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피토스테릴, 연질 라놀린지방산 콜레스테릴, 경질 라놀린지방산 콜레스테릴, 장쇄 분지 지방산 콜레스테릴, 장쇄 α-하이드록시 지방산콜레스테릴 등의 스테롤 에스테르류; 인지질·콜레스테롤 복합체, 인지질·피토스테롤 복합체 등의 지질 복합체;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 헥실데실, 이소스테아르산 옥틸도데실, 팔미트산 세틸, 팔미트산 옥틸도데실, 옥탄산 세틸, 옥탄산 헥실데실,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이소노난산 옥틸,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네오펜탄산 이소데실, 네오펜탄산 이소트리데실, 네오펜탄산 이소스테아릴, 네오데칸산 옥틸도데실, 올레산 올레일, 올레산 옥틸도데실, 리시놀레산 옥틸도데실, 라놀린지방산 옥틸도데실,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에루크산 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 경화 피마자유, 올레산 에틸, 아보카도유 지방산 에틸,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옥틸, 이소스테아르산 이소프로필, 라놀린지방산 이소프로필, 세바스산 디에틸, 세바스산 디이소프로필, 세바스산 디옥틸, 아디프산 디이소프로필, 세바스산 디부틸옥틸, 아디프산 디이소부틸, 숙신산 디옥틸, 구연산 트리에틸 등의 모노알코올 카르본산 에스테르류; 유산 세틸,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수첨 피마자유 등의 옥시산 에스테르류; 트리옥탄산 글리세릴, 트리올레산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미리스트산/스테아르산) 글리세릴, 수첨 로진트리글리세리드(수소첨가 에스테르검), 로진트리글리세리드(에스테르검), 베헨산에이코산 이산글리세릴, 트리옥탄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옥탄산 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르산 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디올레산 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옥탄산 펜타에리스리틸, 수소첨가 로진펜타에리스리틸, 트리에틸헥산산 디트리메틸올프로판, (이소스테아르산/세바스산)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틸,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르산/로진산) 디펜타에리스리틸, 디이소스테아르산 디글리세릴,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 노나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데카(에루크산/이소스테아르산/리시놀레산) 폴리글리세릴-8, (헥실데칸산/세바스산) 디글리세릴올리고에스테르, 디스테아르산 글리콜(디스테아르산 에틸렌 글리콜), 디네오펜탄산3 -메틸-1,5-펜탄디올, 디네오펜탄산 2,4-디에틸-1,5-펜탄디올 등의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다이머디리놀레산 디이소프로필, 다이머디리놀레산 디이소스테아릴, 다이머디리놀레산 디(이소스테아릴/피토스테릴), 다이머디리놀레산 (피토스테릴/베헤닐), 다이머디리놀레산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 다이머디리놀레산 다이머디리놀레일, 디이소스테아르산 다이머디리놀레일, 다이머디리놀레일 수첨 로진 축합물, 다이머디리놀레산 경화 피마자유, 하이드록시 알킬다이머디리놀레일 에테르 등의 다이머산 또는 다이머디올의 유도체; 야자유 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코카마이드 MEA),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코카마이드 DEA), 라우르산 모노에탄올아미드(라우라마이드 MEA), 라우르산 디에탄올아미드(라우라마이드 DEA), 라우르산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라우라마이드 MIPA), 팔미트산 모노에탄올아미드(팔미타마이드 MEA), 팔미트산 디에탄올아미드(팔미타마이드 DEA), 야자유 지방산 메틸에탄올아미드(코카마이드메틸 MEA) 등의 지방산 알칸올아미드류; 디메티콘(디메틸폴리실록산), 고중합 디메티콘(고중합 디메틸폴리실록산), 시클로메티콘(환상 디메틸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페닐트리메티콘, 디페닐디메티콘, 페닐디메티콘, 스테아록시프로필디메틸아민,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티콘/디메티콘)코폴리머, 디메티콘올, 디메티콘올 크로스폴리머, 실리콘수지, 실리콘고무, 아미노프로필디메티콘 및 아모디메티콘 등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 양이온 변성 실리콘, 디메티콘코폴리올 등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 당 변성 실리콘, 카르본산 변성 실리콘, 인산 변성 실리콘, 황산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지방산 변성 실리콘, 알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아미노산 변성 실리콘, 펩티드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양이온 변성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실록산·옥시알킬렌 공중합체 등의 실리콘류; 퍼플루오로데칸, 퍼플루오로옥탄,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의 불소계 유제류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보습제·감촉향상제로는, 글리세린, 1,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3-메틸-1,3-부탄디올, 1,3-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헥실렌 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디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프로필렌 글리콜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류 및 그 중합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에톡시디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부틸에테르 등의 글리콜 알킬에테르류; (에이코산이산/테트라데칸이산)폴리글리세릴-10, 테트라데칸이산폴리글리세릴-10 등의 수용성 에스테르류; 솔비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만니톨, 말티톨 등의 당알코올류;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트레오스, 자일로오스, 아라비노스, 푸코스, 리보스, 데옥시리보스, 말토오스, 트레할로스, 락토오스, 라피노오스,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시클로덱스트린류(α-, β-, γ-시클로덱스트린, 및, 말토실화, 하이드록시알킬화 등의 수식 시클로덱스트린), β-글루칸, 키틴, 키토산, 헤파린 및 유도체, 펙틴, 아라비노갈락탄, 덱스트린, 덱스트란, 글리코겐, 에틸글루코시드, 메타크릴산 글루코실에틸 중합물 또는 공중합물 등의 당류 및 그 유도체류;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 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나트륨; 뮤코이틴 황산, 괄루인 황산, 케라토 황산, 데르마탄 황산; 흰목이 추출물, 흰목이 다당체; 후코이단; 투베로즈 다당체 또는 천연 유래 다당체; 구연산, 주석산, 유산 등의 유기산 및 그 염; 요소 및 그 유도체; 2-피롤리돈-5-카르본산 및 그 나트륨 등의 염; 베타인(트리메틸글리신), 프롤린, 하이드록시 프롤린, 아르기닌, 리신, 세린, 글리신, 알라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β-알라닌, 트레오닌, 글루타민산,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아스파라긴산, 시스테인, 시스테인, 메티오닌, 류신, 이소류신, 발린, 트립토판, 히스티딘, 타우린 등의 아미노산류 및 그 염; 콜라겐, 물고기유래 콜라겐, 아테로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콜라겐분해 펩티드, 가수분해 콜라겐, 염화하이드록시 프로필암모늄 가수분해 콜라겐, 엘라스틴 분해 펩티드, 케라틴 분해 펩티드, 가수분해 케라틴, 콘키올린 분해 펩티드, 가수분해 콘키올린, 실크단백 분해 펩티드, 가수분해 실크, 라우로일 가수분해 실크나트륨, 대두단백 분해 펩티드, 소맥단백 분해 펩티드, 가수분해 소맥단백, 카세인 분해 펩티드, 아실화펩티드 등의 단백펩티드류 및 그 유도체; 팔미토일 올리고펩티드, 팔미토일 펜타펩티드, 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 등의 아실화펩티드류; 실릴화펩티드류; 유산균 배양액, 효모추출액, 난각막단백, 소턱밑샘 뮤신, 하이포타우린, 참깨 리그난 배당체, 글루타티온, 알부민, 유청; 염화콜린, 포스포릴콜린; 태반추출액, 에아라스틴, 콜라겐, 알로에추출물, 하마멜리스수, 수세미수, 카모마일 엑기스, 감초 엑기스, 컴프리 엑기스, 실크 엑기스, 체스트넛로즈 열매 엑기스, 서양톱풀 엑기스, 유칼리 엑기스, 메리롯트 엑기스 등의 동물·식물 추출성분, 천연형 세라마이드(타입 1, 2, 3, 4, 5, 6), 하이드록시세라마이드, 유사 세라마이드, 스핑고당지질, 세라마이드 및 당세라마이드함유 엑기스 등의 세라마이드류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고분자 계면활성제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 바람직한 것을 예시하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르산 칼륨, 미리스트산 칼륨 등의 지방산 염;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황산 암모늄 등의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라우레스 황산 나트륨, 라우레스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 황산염; 코코일메틸타우린 나트륨, 코코일메틸타우린 칼륨, 라우로일메틸타우린 나트륨, 미리스토일메틸타우린 나트륨, 라우로일메틸알라닌 나트륨, 라우로일살코신 나트륨, 라우로일살코신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글루타민산 메틸알라닌 나트륨 등의 아실 N-메틸아미노산염; 코코일글루타민산 나트륨, 코코일글루타민산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글루타민산 나트륨, 미리스토일글루타민산 나트륨, 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 나트륨, 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 디트리에탄올아민, 코코일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실아미노산염; 라우레스아세트산 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숙신산 나트륨 등의 숙신산 에스테르염; 지방산 알칸올아미드에테르카르본산염; 아실유산염; 폴리옥시에틸렌지방아민 황산염;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황산염; 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 황산 나트륨 등의 지방산 글리세리드 황산염; 알킬벤젠폴리옥시에틸렌 황산염; α-올레핀 설폰산 나트륨 등의 올레핀 설폰산염; 설포숙신산 라우릴 2나트륨, 설포숙신산 디옥틸나트륨 등의 알킬 설포숙신산염; 설포숙신산 라우레스 2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설포 숙신산 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 글리콜설포 숙신산 나트륨 등의 알킬에테르 설포 숙신산염; 테트라데실벤젠 설폰산 나트륨, 테트라데실벤젠 설폰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킬벤젠 설폰산염; 알킬나프탈렌 설폰산염; 알칸 설폰산염; α-설포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염; 아실이세티온산염; 알킬글리시딜에테르설폰산염; 알킬설포아세트산염; 라우레스 인산 나트륨, 디라우레스 인산나트륨, 트리라우레스 인산 나트륨, 모노올레트린산 나트륨 등의 알킬에테르 인산 에스테르염; 라우릴 인산 칼륨 등의 알킬 인산 에스테르염; 카세인 나트륨; 알킬아릴에테르 인산염; 지방산 아미드에테르 인산염;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포스파티딘산 등의 인지질류; 카르본산 변성 실리콘, 인산 변성 실리콘, 황산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등; 비이온계면활성제로는, 라우레스(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류, 세테스(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류, 스테아레스(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류, 베헤네스류(폴리옥시에틸렌 베헤닐 에테르), 이소스테아레스(폴리옥시에틸렌 이소스테아릴 에테르)류, 옥틸도데세스(폴리옥시에틸렌 옥틸도데실 에테르)류 등의 각종 폴리옥시에틸렌 부가수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타민산 모노이소스테아르산 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말레산 등의 피마자유 및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 콜레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 콜레스탄올;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 환원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2-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모노부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수첨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린 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PPG-9 디글리세릴 등의 (폴리)글리세린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스테아르산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팔미트산 글리세릴, 미리스트산 글리세릴, 올레산 글리세릴,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릴, 모노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루크산 글리세린, 세스퀴올레산 글리세린, α,α'-올레산 피로글루타민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말산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류; 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 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3, 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4, 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5, 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6, 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8, 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디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6, 디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트리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 데카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 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3, 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5, 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6, 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8, 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디이소스테아르산 디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3, 디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 데카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올레산 폴리글리세릴-2, 올레산 폴리글리세릴-3, 올레산 폴리글리세릴-4, 올레산 폴리글리세릴-5, 올레산 폴리글리세릴-6, 올레산 폴리글리세릴-8, 올레산 폴리글리세릴-10, 디올레산 폴리글리세릴-6, 트리올레산 폴리글리세릴-2, 데카올레산 폴리글리세릴-10 등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르산 에틸렌 글리콜 등의 에틸렌 글리콜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르산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 부분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톨 부분 지방산 에스테르; 말티톨 부분 지방산 에스테르; 말티톨 에테르; 솔비탄 모노올리에이트, 솔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솔비탄 트리올리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 솔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 디글리세롤 솔비탄 등의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메틸글루코시드 지방산 에스테르, 운데실렌산 트레할로스 등의 당 유도체 부분 에스테르; 카프릴릴글루코시드 등의 알킬글루코시드; 알킬폴리글리코시드; 라놀린알코올; 환원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디스테아레이트, 폴리틸렌 글리콜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디올리에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모노 및 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리에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테트라올리에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톨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톨 모노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톨 펜타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톨 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톨 밀랍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동식물 유지류; 이소스테아릴 글리세릴 에테르, 키밀 알코올, 세라킬 알코올, 바틸 알코올 등의 알킬글리세릴 에테르류; 다가 알코올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테트라폴리옥시에틸렌·테트라폴리옥시프로필렌-에틸렌디아민 축합물류; 사포닌, 소포로리피드 등의 천연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코카마이드 MEA),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코카마이드 DEA), 라우르산 모노에탄올아미드(라우라마이드 MEA), 라우르산 디에탄올아미드(라우라마이드 DEA), 라우르산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라우라마이드 MIPA), 팔미트산 모노에탄올아미드(팔미타마이드 MEA), 팔미트산 디에탄올아미드(팔미타마이드 DEA), 야자유 지방산 메틸에탄올아미드(코카마이드메틸 MEA) 등의 지방산 알칸올 아미드류; 라우라민옥사이드, 코카민옥사이드, 스테아라민옥사이드, 베헨아민옥사이드 등의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사이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메르캅탄; 디메티콘코폴리올 등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실록산·옥시알킬렌 공중합체,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 당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베헨트리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모늄 브로마이드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디스테아릴디모늄 클로라이드, 디코코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디알킬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라마이드프로필디메틸아민, 스테아라마이드에틸디에틸아민 등의 지방산아미드아민 및 그 염; 스테아록시프로필디메틸아민 등의 알킬에테르아민 및 그 염 또는 4급염; 에틸황산 장쇄 분지 지방산(12~31) 아미노프로필에틸디메틸암모늄, 에틸황산라놀린지방산 아미노프로필에틸디메틸암모늄 등의 지방산 아미드형 4급 암모늄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및 그 염 또는 4급염; 알킬아민염; 지방산아미드구아니디늄염; 알킬에테르아민암모늄염; 알킬트리알킬렌글리콜암모늄염; 벤잘코늄염; 벤제토늄염; 염화세틸피리디늄 등의 피리디늄염; 이미다졸리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포늄염; 폴리아민지방산 유도체; 아미노프로필디메티콘 및 아모디메티콘 등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 양이온 변성 실리콘, 양이온 변성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등;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베타인(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등의 N-알킬-N,N-디메틸아미노산 베타인; 코카마이드프로필 베타인, 라우라마이드프로필 베타인 등의 지방산 아미드알킬-N,N-디메틸아미노산 베타인; 코코암포아세트산 나트륨, 라우로암포아세트산 나트륨 등의 이미다졸린형 베타인; 알킬디메틸타우린 등의 알킬설포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미노에탄올 황산 에스테르 등의 황산형 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미노에탄올 인산 에스테르 등의 인산형 베타인; 포스파티딜 콜린,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 세린, 스핑고미엘린 등의 스핑고 인지질, 리조레시틴,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부분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수소첨가 난황 인지질, 부분 수소첨가 난황 인지질, 수산화 레시틴 등의 인지질류; 실리콘계 양성 계면활성제 등; 고분자 계면활성제로는, 폴리비닐알코올, 알긴산나트륨, 전분 유도체, 트라가칸트검, 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실리콘계 각종 계면활성제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고분자·증점제·겔화제로는, 구아검, 로카스트빈검, 퀸스시드, 카라기난, 갈락탄, 아라비아검, 타라검, 타마린드, 퍼셀레란, 카라야검, 닥풀(황촉규)(トロロアオイ), 캐럽검, 트라가칸트검, 펙틴, 펙틴산 및 나트륨염 등의 염, 알긴산 및 나트륨염 등의 염, 만난; 쌀, 옥수수, 감자, 소맥 등의 전분; 잔탄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커드란, 히알루론산 및 그 염, 잔탄검, 플루란, 젤란검, 키틴, 키토산, 한천, 갈조 엑기스, 콘드로이틴황산염, 카세인, 콜라겐, 젤라틴, 알부민;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그 나트륨 등의 염,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황산 나트륨, 디알킬디메틸암모늄 황산 셀룰로오스,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가루 등의 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 가용성 전분,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전분, 메틸 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염화하이드록시 프로필트리모늄 전분, 옥테닐숙신산 옥수수 전분 알루미늄 등의 전분 유도체;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등 알긴산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알코올(PVA), 비닐피롤리돈·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카르복시 베타인/메타크릴산 알킬)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스테아릴/메타크릴산 에틸아민옥사이드)코폴리머 등의 양성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아크릴산 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아크릴산 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AMP; 폴리아세트산 비닐부분 비누화물, 말레산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메타크릴산 디알킬아미노알킬 공중합체; 아크릴수지 알칸올아민; 폴리에스테르,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에틸 등의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산 및 그 나트륨염 등의 염, 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폴리쿼터늄-10 등의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폴리쿼터늄-7 등의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쿼터늄-22 등의 아크릴산·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폴리쿼터늄-39 등의 아크릴산·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아크릴산·양이온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양이온화 메타아크릴산 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쿼터늄-47 등의 아크릴산·아크릴산 메틸·염화메타크릴아미드프로필트리메틸 암모늄 공중합체, 염화메타크릴산 콜린 에스테르 중합체; 양이온화 올리고당, 양이온화 덱스트란,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등의 양이온화 다당류;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폴리쿼터늄-51 등의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 콜린의 중합체 및 메타크릴산 부틸 공중합체 등과의 공중합체; 아크릴수지 에멀션, 폴리아크릴산 에틸 에멀션, 폴리아크릴알킬에스테르 에멀션, 폴리아세트산 비닐수지 에멀션, 천연고무 라텍스, 합성 라텍스 등의 고분자 에멀션;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우레탄류 및 각종 공중합체; 각종 실리콘류; 아크릴-실리콘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의 실리콘계 각종 공중합체; 각종 불소계 고분자;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및 그 염; 팔미트산덱스트린, 미리스트산덱스트린 등의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무수규산, 연무상 실리카(초미립자 무수규산),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나트륨마그네슘, 금속비누, 디알킬인산금속염,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유기 변성 점토광물,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플락토올리고당지방산에스테르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상기 예시 중에서도, 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 알긴산 및 그 염, 폴리비닐알코올, 히알루론산 및 그 염, 또는 콜라겐이 바람직하다.
용제·분사제류로는, 에탄올, 2-프로판올(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탄올, 이소부틸 알코올 등의 저급 알코올류;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이소펜틸 디올 등의 글리콜류;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에톡시 디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부틸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등의 글리콜 에테르류;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의 글리콜 에테르 에스테르류; 숙신산 디에톡시에틸, 에틸렌 글리콜 디숙시네이트 등의 글리콜 에스테르류; 벤질 알코올, 벤질옥시 에탄올, 탄산 프로필렌, 탄산 디알킬, 아세톤, 아세트산 에틸, N-메틸피롤리돈; 톨루엔; 플루오로카본, 차세대 프론; LPG, 디메틸에테르, 탄산가스 등의 분사제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는, 토코페롤(비타민 E), 아세트산토코페롤 등의 토코페롤 유도체; BHT, BHA; 몰식자산프로필 등의 몰식자산 유도체; 비타민 C(아스코브산) 및/또는 그 유도체; 에리소르브산 및 그 유도체; 아황산나트륨 등의 아황산염; 아황산수소나트륨 등의 아황산수소염; 티오황산나트륨 등의 티오황산염; 메타아황산수소염; 티오타우린, 하이포타우린; 티오글리세롤, 티오요소, 티오글리콜산, 시스테인염산염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환원제로는, 티오글리콜산, 시스테인, 시스테아민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산화제로는, 과산화수소수, 과황산암모늄, 브롬산나트륨, 과탄산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방부제·항균제·살균제로는,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의 하이드록시 안식향산 및 그 염 또는 그 에스테르; 살리실산; 안식향산 나트륨; 페녹시 에탄올;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메틸이소티아졸리논 등의 이소티아졸리논(ゾリンオン) 유도체; 이미다졸리늄 우레아; 데하이드로아세트산 및 그 염; 페놀류; 트리클로산 등의 할로겐화 비스페놀류, 산아미드류, 4급 암모늄염류; 트리클로로카바나이드, 징크피리치온,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소르브산, 클로르헥시딘,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 할로카르반, 헥사클로로펜, 히노키티올; 페놀, 이소프로필페놀, 크레졸, 티몰, 파라클로로페놀, 페닐페놀, 페닐페놀나트륨 등의 기타 페놀류; 페닐에틸 알코올, 감광소류, 항균성 제올라이트, 은이온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킬레이트제로는, EDTA, EDTA2Na, EDTA3Na, EDTA4Na 등의 에데트산염(에틸렌디아민 사아세트산염); HEDTA3Na 등의 하이드록시 에틸에틸렌디아민 삼아세트산염; 펜테틱산염(디에틸렌트리아민 오아세트산염); 피트산; 에티드론산 등의 포스폰산 및 그 나트륨염 등의 염류; 옥살산 나트륨; 폴리아스파라긴산, 폴리글루타민산 등의 폴리아미노산류; 폴리인산 나트륨, 메타인산 트륨, 인산; 구연산 나트륨, 구연산, 알라닌, 디하이드록시 에틸글리신, 글루콘산, 아스코브산, 숙신산, 주석산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pH 조정제·산·알칼리로는,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유산, 유산나트륨, 유산칼륨, 글리콜산, 숙신산, 아세트산, 아세트산나트륨, 말산, 주석산, 푸말산, 인산, 염산, 황산,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아르기닌,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수, 탄산 구아니딘, 탄산 암모늄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분체로는, 마이카, 탈크, 카올린, 세리사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카올리나이트, 운모, 백운모, 금운모, 합성운모, 홍운모, 흑운모, 버미큘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금속염, 마그네슘,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황산칼슘, 인산칼슘, 불소아파타이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파우더,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점토, 진흙, 금속비누(예를 들어, 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탄산칼슘,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군청, 감청, 카본블랙, 산화티탄, 미립자 및 초미립자산화티탄, 산화아연, 미립자 및 초미립자 산화아연, 알루미나, 실리카, 연무상 실리카(초미립자 무수규산), 운모티탄, 어린박, 질화붕소, 포토크로믹안료, 합성불소금운모, 미립자복합분체, 금, 알루미늄 등의 각종의 크기·형상의 무기분체, 및, 이들을 하이드로젠실리콘, 환상 하이드로젠실리콘 등의 실리콘 또는 그 밖의 실란 또는 티탄커플링제 등의 각종 표면처리제로 처리를 행하여 소수화 또는 친수화한 분체 등의 무기분체; 전분, 셀룰로오스, 나일론파우더, 폴리에틸렌 가루, 폴리메타크릴산메틸 가루, 폴리스티렌 가루,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분말, 폴리에스테르 가루,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적층 가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알루미늄·에폭시 적층 가루 등, 우레탄 분말, 실리콘 분말, Teflon(등록상표) 분말 등의 각종 크기·형상의 유기계 분체 및 표면처리 분체, 유기무기 복합분체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무기염류로는, 식염, 병염, 암염, 해염, 천연염 등의 염화나트륨함유 염류; 염화칼륨, 염화알루미늄,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간수, 염화아연, 염화암모늄; 황산나트륨, 황산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칼륨(명반), 황산알루미늄·암모늄, 황산바륨, 황산칼슘, 황산칼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아연, 황산철, 황산구리; 인산1Na·2Na·3Na 등의 인산나트륨류, 인산칼륨류, 인산칼슘류, 인산마그네슘류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파라아미노안식향산, 파라아미노안식향산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파라아미노안식향산 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파라아미노안식향산 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파라아미노안식향산 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파라아미노안식향산 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파라아미노안식향산 에틸에스테르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 흡수제;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 및 그 나트륨염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시녹세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옥토크릴렌),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페룰산 및 그 유도체 등의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옥시벤존-3), 2-하이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하이드록시-4-n-옥토시벤조페논, 4-하이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3-(4'-메틸벤질리덴)-d,l-캠퍼, 3-벤질리덴-d,l-캠퍼; 2-페닐-5-메틸벤조옥사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즈알라진; 디아니소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르닐리덴)-3-펜탄-2-온; 4-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의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옥틸트리아존; 우로카닌산 및 우로카닌산 에틸 등의 우로카닌산 유도체;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1-(3,4-디메톡시페닐)-4,4-디메틸-1,3-펜탄디온, 디메톡시벤질리덴 디옥소이미다졸리딘 프로피온산 2-에틸헥실 등의 히단토인 유도체,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폰산,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안트라닐산 메틸, 루틴 및 그 유도체, 올리자놀 및 그 유도체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미백제로는, 알부틴, α-알부틴 등의 하이드로퀴논 배당체 및 그 에스테르류; 아스코브산, 아스코브산 인산 에스테르 나트륨염 및 아스코브산 인산 에스테르 마그네슘염 등의 아스코브산 인산 에스테르염, 아스코브산 테트라이소팔미트산 에스테르 등의 아스코브산 지방산 에스테르, 아스코브산 에틸에테르 등의 아스코브산 알킬에테르, 아스코브산-2-글루코시드 등의 아스코브산 글루코시드 및 그 지방산 에스테르류, 아스코브산 황산 에스테르, 인산 토코페릴아스코빌 등의 아스코브산 유도체; 코지산, 엘라그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페룰산 및 그 유도체, 플라센타 엑기스, 글루타티온, 올리자놀, 부틸레조르시놀, 유용성 카모마일 엑기스, 유용성 감초 엑기스, 서하류 엑기스, 범의귀 엑기스 등 식물 엑기스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비타민류 및 그 유도체류로는, 레티놀, 아세트산 레티놀, 팔미트산 레티놀 등의 비타민 A류; 티아민 염산염, 티아민 황산염, 리보플라빈, 아세트산 리보플라빈, 염산 피리독신, 피리독신 디옥타노에이트, 피리독신 디팔미테이트, 플라빈아데닌디뉴클레오티드, 시아노코발라민, 엽산류, 니코틴산아미드·니코틴산벤질 등의 니코틴산류, 콜린류 등의 비타민 B군류; 아스코브산 및 그 나트륨 등의 염 등의 비타민 C류; 비타민 D; α, β, γ, δ-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류; 판토텐산, 비오틴 등의 기타 비타민류; 아스코브산 인산 에스테르 나트륨염 및 아스코브산 인산 에스테르 마그네슘염 등의 아스코브산 인산 에스테르염, 아스코브산 테트라이소팔미트산에스테르·스테아르산 아스코빌·팔미트산 아스코빌·디팔미트산 아스코빌 등의 아스코브산 지방산 에스테르, 아스코브산 에틸에테르 등의 아스코브산 알킬에테르, 아스코브산-2-글루코시드 등의 아스코브산 글루코시드 및 그 지방산 에스테르, 인산 토코페릴아스코빌 등의 아스코브산 유도체; 니코틴산 토코페롤, 아세트산 토코페롤, 리놀레산 토코페롤, 페룰산 토코페롤, 토코페롤 인산 에스테르 등의 토코페롤 유도체 등의 비타민 유도체, 토코트리에놀, 기타 각종 비타민 유도체류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육모용 약제·혈행촉진제·자극제로는, 당약 엑기스, 고추 틴크, 생강 틴크, 생강 엑기스, 칸타리스 틴크 등의 식물엑기스·틴크류; 캡사이신, 노닐산바닐아미드, 진저론, 이크타몰, 탄닌산, 보르네올,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올리자놀, 비타민 E 및 니코틴산 토코페롤·아세트산 토코페롤 등의 유도체, γ-올리자놀, 니코틴산 및 니코틴산아미드·니코틴산 벤질에스테르·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니코틴 알코올 등의 유도체, 알란토인, 감광소 301, 감광소 401, 염화 카프로늄, 펜타데칸산 모노글리세리드, 플라보놀 유도체, 스티그마스테롤 또는 스티그마스타놀 및 그 배당체, 미녹시딜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호르몬류로는,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 에티닐에스트라디올, 코르티손, 하이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손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주름방지제, 항노화제, 수축제, 냉감제, 온감제, 창상치유 촉진제, 자극완화제, 진통제, 세포 부활제 등의 기타 약효제로는, 레티놀류, 레티노산류, 레티노산 토코페릴; 유산, 글리콜산, 글루콘산, 후르츠산, 살리실산 및 그 배당체·에스테르화물 등의 유도체, 하이드록시카프르산, 장쇄 α-하이드록시 지방산, 장쇄 α-하이드록시 지방산 콜레스테릴 등의 α- 또는 β-하이드록시산류 및 그 유도체류; γ-아미노부티르산, γ-아미노-β-하이드록시부티르산; 카르니틴; 카르노신; 크레아틴; 세라마이드류, 스핑고신류; 카페인, 크산틴 등 및 그 유도체; 코엔자임 Q10, 카로틴, 리코펜, 아스타크산틴, 루테인, α-리포산, 백금나노콜로이드, 풀러렌류 등의 항산화·활성산소 소거제; 카테킨류; 케르세틴 등의 플라본류; 이소플라본류; 몰식자산 및 에스테르당 유도체; 탄닌, 세사민, 프로토안토시아니딘, 클로로겐산, 사과폴리페놀 등의 폴리페놀류; 루틴 및 배당체 등의 유도체; 헤스페리딘 및 배당체 등의 유도체; 리그난 배당체; 글라브리딘, 글라브렌, 리퀴리틴, 이소리퀴리틴 등의 감초 엑기스 관련물질; 락토페린; 쇼가올, 진저롤; 멘톨, 세드롤 등의 향료물질 및 그 유도체; 캡사이신, 바닐린 등 및 유도체; 디에틸톨루아미드 등의 곤충기피제; 생리활성물질과 시클로덱스트린류의 복합체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식물·동물·미생물 엑기스류로는, 아이리스 엑기스, 명일엽 엑기스, 나한백 엑기스, 아스파라거스 엑기스, 아보카도 엑기스, 감차 엑기스, 아몬드 엑기스, 알테아 엑기스, 아르니카 엑기스, 알로에 엑기스, 살구 엑기스, 살구씨 엑기스, 은행나무 엑기스, 국화과 엑기스, 회향 엑기스, 심황 엑기스, 우롱차 엑기스, 우바우르시 엑기스, 영실 엑기스, 에키나시아잎 엑기스, 연명초 엑기스, 황금 엑기스, 황벽 엑기스, 황련 엑기스, 대맥 엑기스, 어종인삼 엑기스, 고추나물 엑기스, 광대수염 엑기스, 오노니스 엑기스, 물냉이 엑기스, 오렌지 엑기스, 해수건조물, 해조 엑기스, 감잎 엑기스, 피라칸타 엑기스, 가수분해 엘라스틴, 가수분해 소맥가루, 가수분해 실크, 갈근 엑기스, 카모마일 엑기스, 유용성 카모마일 엑기스, 캐롯 엑기스, 사철쑥 엑기스, 메귀리 엑기스, 카르카디 엑기스, 감초 엑기스, 유용성 감초 엑기스, 키위 엑기스, 아오모리산 사과(黃王) 엑기스, 목이버섯 엑기스, 키나 엑기스, 오이 엑기스, 오동잎 엑기스, 구아노신, 구아바 엑기스, 고삼 엑기스, 치자나무 엑기스, 얼룩조릿대 엑기스, 크라라 엑기스, 호두 엑기스, 밤 엑기스, 그레이프후르츠 엑기스, 클레머티스 엑기스, 흑미 엑기스, 흑설탕 추출물, 흑초, 클로렐라 엑기스, 뽕나무 엑기스, 겐티아나 엑기스, 이질풀 엑기스, 홍차 엑기스, 효모 엑기스, 당후박 엑기스, 커피 엑기스, 우엉 엑기스, 쌀 엑기스, 쌀발효 엑기스, 쌀겨발효 엑기스, 쌀배아유, 컴프리 엑기스, 콜라겐, 빌베리 엑기스, 세신 엑기스, 시호 엑기스, 탯줄 추출액, 사프란 엑기스, 샐비어 엑기스, 비누풀 엑기스, 조릿대 엑기스, 산사나무 엑기스, 누에똥 엑기스, 초피나무 엑기스, 표고버섯 엑기스, 지황 엑기스, 자근 엑기스, 자소 엑기스, 참피나무 엑기스, 터리풀 엑기스, 자토바 엑기스, 작약 엑기스, 생강 엑기스, 창포근 엑기스, 자작나무 엑기스, 백목이버섯 엑기스, 쇠뜨기 엑기스, 스테비아 엑기스, 스테비아 발효물, 서하류 엑기스, 서양송악 엑기스, 서양산사나무 엑기스, 서양딱총나무 엑기스, 서양톱풀 엑기스, 서양박하 엑기스, 세이지 엑기스, 당아욱 엑기스, 천궁 엑기스, 당약 엑기스, 상백피 엑기스, 대황 엑기스, 대두 엑기스, 대추 엑기스, 타임 엑기스, 포공영 엑기스, 지의류 엑기스, 차 엑기스, 정향나무 엑기스, 띠 엑기스, 진피 엑기스, 티트리오일, 점차 엑기스, 고추 엑기스, 왜당귀 엑기스, 금잔화 엑기스, 도인 엑기스, 등피 엑기스, 삼백초 엑기스, 토마토 엑기스, 낫또 엑기스, 당근 엑기스, 마늘 엑기스, 찔레꽃 엑기스, 하이비스커스 엑기스, 맥문동 엑기스, 연꽃 엑기스, 파슬리 엑기스, 자작나무 엑기스, 벌꿀, 하마멜리스 엑기스, 개물통이속(parietaria) 엑기스, 연명초 엑기스, 비사볼올, 노송나무 엑기스, 비피더스균 엑기스, 비파 엑기스, 관동화 엑기스, 머위(butterbur sprout) 엑기스, 복령 엑기스, 부처스브룸 엑기스, 포도 엑기스, 포도종자 엑기스, 프로폴리스, 수세미 엑기스, 홍화 엑기스, 페퍼민트 엑기스, 보리수 엑기스, 모란 엑기스, 홉 엑기스, 매괴화 엑기스, 소나무 엑기스, 마로니에 엑기스, 수파초 엑기스, 무환자 엑기스, 멜리사 엑기스, 큰실말 엑기스, 복숭아 엑기스, 수레국화 엑기스, 유칼리 엑기스, 범의귀 엑기스, 유자 엑기스, 백합 엑기스, 의이인 엑기스, 쑥 엑기스, 라벤더 엑기스, 녹차 엑기스, 난각막 엑기스, 사과 엑기스, 루이보스차 엑기스, 영지 엑기스, 레터스 엑기스, 레몬 엑기스, 연교 엑기스, 자운영 엑기스, 로즈 엑기스, 로즈마리 엑기스, 로먼카모마일 엑기스, 로열젤리 엑기스, 오이풀 엑기스 등의 엑기스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진양제로는, 염산 디펜하이드라민, 말레산 클로르페니라민, 캠퍼, 서브스턴스-P 저해제 등을 들 수 있다.
각질박리·용해제로는, 살리실산, 황, 레조르신, 황화셀렌, 피리독신 등을 들 수 있다.
제한제로는, 클로르하이드록시 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산화아연, 파라페놀설폰산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청량제로는, 멘톨, 살리실산 메틸 등을 들 수 있다.
수렴제로는, 구연산, 주석산, 유산, 황산알루미늄·칼륨, 탄닌산 등을 들 수 있다.
효소류로는, 슈퍼옥사이드디스무타아제, 카탈라아제, 염화라이소자임, 리파아제, 파파인, 판크레아틴, 프로테아제 등을 들 수 있다.
핵산류로는, 리보핵산 및 그 염, 데옥시리보핵산 및 그 염, 아데노신삼인산이나트륨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향료로는, 아세틸세드렌, 아밀신남알데히드, 알릴아밀글리코레이트, β-이오논, Iso E Super, 이소부틸퀴놀린, 아이리스유, 이론, 인돌, 일랑일랑유(イランイラン油), 운데칸알, 운데세날, γ-운데카락톤, 에스트라골, 유게놀, 오크모스, 오포포낙스레지노이드, 오렌지유, 유게놀, 오란티올, 갈락솔리드, 카르바크롤, L-카르본, 캠퍼, 캐넌, 캐롯시드유, 클로브유, 계피산 메틸, 게라니올, 게라닐니트릴, 아세트산 이소보닐, 아세트산 게라닐, 아세트산 디메틸벤질카르비닐, 아세트산 스티랄릴, 아세트산 세드릴, 아세트산 테레피넬, 아세트산 p-t-부틸시클로헥실, 아세트산 베티베릴, 아세트산 벤질, 아세트산 리나릴, 살리실산 이소펜틸, 살리실산 벤질, 샌달우드유, 산탈롤, 시클라멘알데히드, 시클로펜타데카놀라이드, 디하이드로자스몬산 메틸, 디하이드로미르세놀, 자스민 앱솔루트, 자스민 락톤 cis-자스몬, 시트랄, 시트로넬롤, 시트로넬랄, 시나몬 바크유, 1,8-시네올, 신남알데히드, 스타이랙스레지노이드, 시더우드유, 세드렌, 세드롤, 셀러리시드유, 티미유, 다마스콘, 다마세논, 티몰, 튜베로즈앱솔루트, 데칸알, 데카락톤, 테르피네올, γ-테르피넨, 트리프랄, 네롤, 노나날, 2,6-노나디엔올, 노나락톤, 파출리알코올, 바닐라앱솔루트, 바닐린, 바질유, 파출리유,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 α-피넨, 피페리톤, 페네틸알코올, 페닐아세트알데히드, 페티트그레인유, 헥실신남알데히드, cis-3-헥센올, 페루발삼, 베티버유, 베티베롤, 페퍼민트유, 페이퍼유, 헬리오트로핀, 베르가모트유, 벤질벤조에이트, 보르네올, 미르레지노이드, 머스크케톤, 메틸노닐아세트알데히드, γ-메틸이오논, 멘톨, L-멘톨, L-멘톤, 유칼리유, β-이오논, 라임유, 라벤더유, D-리모넨, 리날로올, 리랄, 릴리알, 레몬유, 로즈앱솔루트, 로즈옥사이드, 로즈유, 로즈마리유, 각종 정유 등의 합성향료 및 천연향료 그리고 각종 조합향료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색소·착색제·염료·안료로는, 갈색 201호, 흑색 401호, 자색 201호, 자색 401호, 청색 1호, 청색 2호, 청색 201호, 청색 202호, 청색 203호, 청색 204호, 청색 205호, 청색 403호, 청색 404호, 녹색 201호, 녹색 202호, 녹색 204호, 녹색 205호, 녹색 3호, 녹색 401호, 녹색 402호, 적색 102호, 적색 104-1호, 적색 105-1호, 적색 106호, 적색 2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3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06호, 적색 207호, 적색 208호, 적색 213호, 적색 214호, 적색 215호, 적색 218호, 적색 219호, 적색 220호, 적색 221호, 적색 223호, 적색 225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적색 228호, 적색 230-1호, 적색 230-2호, 적색 231호, 적색 232호, 적색 3호, 적색 401호, 적색 404호, 적색 405호, 적색 501호, 적색 502호, 적색 503호, 적색 504호, 적색 505호, 적색 506호, 등색(橙色) 201호, 등색 203호, 등색 204호, 등색 205호, 등색 206호, 등색 207호, 등색 401호, 등색 402호, 등색 403호, 황색 201호, 황색 202-1호, 황색 202-2호, 황색 203호, 황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401호, 황색 402호, 황색 403-1호, 황색 404호, 황색 405호, 황색 406호, 황색 407호, 황색 5호 등의 법정 색소; Acid Red 14 등의 기타 산성 염료; Arianor Sienna Brown, Arianor Madder Red, Arianor Steel Blue, Arianor Straw Yellow 등의 염기염료; HC Yellow 2, HC Yellow 5, HC Red 3,4-hydoxypropylamino-3-nitrophenol, N,N'-bis(2-hydroxyethyl)-2-nitro-p-phenylenediamine, HC Blue 2, Basic Blue 26 등의 니트로염료; 분산염료;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 백색안료; 산화철(벵갈라), 티탄산철 등의 무기 적색계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 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 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저차 산화티탄 등의 무기 흑색계 안료; 망고바이올렛, 코발트바이올렛 등의 무기 자색계 안료;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 녹색계 안료; 군청, 감청 등의 무기 청색계 안료; 산화티탄코티드마이카, 산화티탄코티드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코티드탈크, 착색 산화티탄코티드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어린박 등의 펄안료; 알루미늄 파우더, 구리 파우더, 금 등의 금속 분말안료; 표면처리 무기 및 금속분말안료;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안료; 표면처리 유기안료; 아스타크산틴, 알리자린 등의 안트라퀴논류, 안토시아딘, β-카로틴, 카테날, 캡산틴, 칼콘, 카르타민, 쿠엘세틴, 크로신, 클로로필, 커큐민, 코치닐, 시코닌 등의 나프토퀴논류, 빅신, 플라본류, 베타시아니딘, 지점토, 헤모글로빈, 리코펜, 리보플라빈, 루틴 등의 천연색소·염료; p-페닐렌디아민, 톨루엔-2,5-디아민, o-,m-, 또는 p-아미노페놀, m-페닐렌디아민, 5-아미노-2-메틸페놀, 레조르신, 1-나프톨, 2,6-디아미노피리딘 등 및 그 염 등의 산화염료 중간체 및 커플러; 인돌린 등의 자동산화형 염료;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소염제·항염증제로는, 글리시리진산 및 그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노키티올, 구아이아줄렌, 알란토인,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이부프로펜, 디클로페낙, 록소프로펜, 셀레콕시브, 인플릭시맙, 에타너셉트, 산화아연, 아세트산 하이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손, 염산디페드라민, 말레산 클로르페니라민; 복숭아나무잎 엑기스, 쑥잎 엑기스 등의 식물 엑기스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항천식, 항만성 폐색성 폐질환, 항알레르기, 면역 조정제로는, 아미노필린, 테오필린류, 스테로이드류(플루티카손, 베클로메타손 등), 류코트리엔 길항약류, 트롬복산 저해약류, 인탈, β2 자극약류(포르모테롤, 살메테롤, 알부테롤, 툴로부테롤, 클렌부테롤, 에피네프린 등), 티오트로피움, 이프라트로피움, 덱스트로메트로판, 디메모르판, 브롬헥신, 트레닐라스트, 케토티펜, 아젤라스틴, 세티리진, 클로르페니라민, 메퀴타진, 타크롤리무스, 시클로스포린, 시롤리무스, 메토트렉세이트, 사이토카인 조정제류, 인터페론, 오말리주맙, 단백/항체제제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항감염증제, 항진균제로는, 오셀타미비르와 자나미비르, 이트라코나졸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그 밖에, 화장품 원료 기준, 화장품 종별 배합성분 규격, 일본 화장품 공업 연합회 성분표시 명칭 리스트, INCI 사전(The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and Handbook), 의약품 외품 원료 규격, 일본 약국방, 의약품 첨가물 규격, 식품 첨가물 공정서 등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 및, 국제특허분류 IPC가 A61K7 및 A61K8의 분류에 속하는 일본 및 제외국 특허공보 및 특허공개공보(공표공보·재공표를 포함)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 등, 공지의 화장료 성분, 의약품 성분, 식품 성분 등을, 공지의 조합 및 배합비·배합량으로 함유시킬 수 있다.
<하이드로겔 형성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분산액, 즉,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 용해 촉진제, 다가 알코올 및 고분자 유화제를 함유하는 분산액, 그리고 추가로 내열성 향상제를 함유하는 분산액을 이용하여, 하기 공정에 의해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다.
a) 상기 분산제를 물에 첨가하고, 실온 이상 100℃ 미만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공정
b) 상기 가열공정에 있어서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냉각하고, 겔을 형성시키는 공정
또한, 상술한 화장품용 첨가제 및 의약품 외품용 첨가는, 상기 a)공정에 있어서, 분산제와 함께 동시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a)공정에 있어서, 가열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예를 들어 70℃, 혹은 80℃이다. 바람직하게는 가열하면서 교반을 행한다.
a)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및 교반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가열시간으로는 분산제를 첨가 직후부터 6시간, 바람직하게는 분산제를 첨가 후 30분 후부터 3시간까지의 사이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a)공정에 이어서, 액온이 a)공정에 있어서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냉각을 행한다(b)공정).
여기서, 냉각온도는, 실온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40℃이다.
<하이드로겔>
상술한 분산액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하이드로겔, 그리고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겔 역시 본 발명의 대상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지질 펩티드(N-팔미토일-Gly-His)의 합성]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겔화제로서 이용한 지질 펩티드는,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500mL의 4구 플라스크에, 히스티딘 14.2g(91.6mmol), N-팔미토일-Gly-메틸 30.0g(91.6mmol), 톨루엔 300g을 투입하고, 염기인 나트륨메톡사이드 28% 메탄올 용액 35.3g(183.2mmol)을 첨가하고, 유욕에서 60℃로 가열하여 1시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유욕을 분리하여, 25℃까지 방랭하고, 이 용액을 아세톤 600g으로 재침전시켜, 여취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고체를, 물 600g과 메탄올 750g의 혼합용액에 용해하고, 여기에 6규정 염산 30.5ml(183.2mmol)를 첨가하여 중화하고 고체를 석출시켜, 여과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고체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20g과 물 30g의 혼합액에 60℃에서 용해시키고, 아세트산 에틸 150g을 첨가하여, 60℃에서 30℃까지 냉각하였다. 그 후, 석출한 고체를 여과하였다. 다시 얻어진 고체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20g과 아세토니트릴 60g 용제 중에 용해하고, 60℃로 가열하여, 1시간 교반한 후에 냉각하고, 여과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고체를 물 120g으로 세정하고, 여과한 후에 감압건조를 행하여 N-팔미토일-Gly-His 프리체(이하, 간단히 Pal-GH라고도 함)의 백색의 결정, 26.9g(수율 65%)을 얻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비교예 1: 여러 가지 용해 촉진제를 이용한 분산액 조제 및 분산성 평가]
샘플관(No.7, Maruemu Corporation제)에, 상기 합성예에서 얻어진 Pal-GH, 및 표 1에 나타낸 각종 용해 촉진제를,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질량: g)이 되도록 칭량하여 투입하고, 설정온도 약 80℃의 수욕에서 가열교반을 행하여, Pal-GH 분산액을 얻었다.
또한, 80℃ 가열교반 후의 Pal-GH의 분산성에 대하여, Pal-GH의 분말이 용매에 대하여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투명한 용해액이 얻어지는) 것을 ○, Pal-GH가 불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분말 덩어리가 있는 백탁 분산액이 되는) 것을 ×로 하여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낸다.
[표 1]
조성(질량: g)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Pal-GH 0.070 0.070 0.070 0.070 0.070 0.070 0.070
NIKKOL AM-301 0.215
AMPHITOL 86B 0.215
AMPHITOL 20AB 0.215
AMPHITOL 20HD 0.215
AMPHITOL 20BS 0.215
LPC-1 0.215
0.715 0.715 0.715 0.715 0.715 0.930 0.930
80℃ 가열시의 용해성 ×
※ NIKKOL AM-301: 라우릴 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Nikko Chemicals Co., Ltd.제
AMPHITOL 86B: 스테아릴 베타인, Kao Corporation제
AMPHITOL 20AB: 라우르산 아미드프로필 베타인, Kao Corporation제
AMPHITOL 20HD: 라우릴 하이드록시 설포베타인, Kao Corporation제
AMPHITOL 20BS: 라우릴 베타인, Kao Corporation제
LPC-1: 난황 리조레시틴, Kewpie Corporation제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0: 다가 알코올 및 내열성 향상제를 이용한 분산액 조제 및 분산성 평가]
샘플관(No.7, Maruemu Corporation제)에, 상기 합성예에서 얻어진 Pal-GH, 및 표 2에 나타낸 용해 촉진제, 다가 알코올 및 내열성 향상제를, 표 2에 나타낸 조성(질량: g)이 되도록 칭량하여 투입하고, 설정온도 약 80℃의 수욕에서 가열 교반을 행하여, Pal-GH분산액을 얻었다.
또한, 80℃ 가열교반 후의 Pal-GH의 분산성에 대하여, Pal-GH의 분말이 용매에 대하여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투명한 용해액이 얻어지는) 것을 ○, Pal-GH가 불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분말 덩어리가 있는 백탁 분산액이 되는) 것을 ×로 하여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함께 나타낸다.
[표 2]
조성(질량: g) 실시예
7 8 9 10
Pal-GH 0.100 0.100 0.150 0.100
AMPHITOL 20HD 0.300 0.300 0.300 0.300
1,3-BG 1.00 1.00 1.00 1.00
NIKKOL MGS-AV 0.020
라우릴알코올 0.020
NIKKOL MGS-F75V 0.020
4.40 4.40 4.00 4.40
가열시 용해성(용해: ○ 불용: ×)
※ AMPHITOL 20HD: 라우릴 하이드록시 설포베타인, Kao Corporation제
1,3-BG: 1,3-부틸렌 글리콜, ITO Inc.제
라우릴알코올: Kao Corporation제
NIKKOL MGS-AV: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릴, Nikko Chemicals Co., Ltd.제
NIKKOL MGS-F75V: 모노글리세리드 75% 함유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릴, Nikko Chemicals Co., Ltd.제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 Pal-GH 분산액과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 병용에 의한 겔화 시험]
300mL 톨 비커에,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수 및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알긴산 PG라고도 함)을 넣고, 70℃에서 가열 교반을 행하였다. 또한 교반은 AS ONE Corporation제의 LABORATORY HIGH MIXER를 이용하여, 200rpm으로 행하였다.
이어서, 70℃로 가열한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4의 Pal-GH분산액 1.00g을 첨가하고, 다시 가열교반을 5분간 행하였다.
가열종료 후, 액온이 약 40℃ 정도가 될 때까지 교반냉각하고, 겔 형성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겔 형성의 확인은 시험관 도치법에 의해 행하고, 분산액의 유동성을 잃어, 톨 비커를 도치하여도 액이 흘러내리지 않는 상태를 「겔화(○)」로 판정하고, 겔화에 이르지 못한 것을 「×」로 하여 평가하였다. 겔화시험 후의 최종적인 조성과, 얻어진 시험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조성(질량%) 실시예 11 실시예 12
분산액 실시예 1의 분산액 1.00
실시예 4의 분산액 1.00
알긴산PG 0.30 0.30
98.70 98.70
겔화
[실시예 13 내지 실시예 16: 내열성 향상제의 효과의 확인]
300mL 톨 비커에,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수, 및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을 넣고, 70℃에서 가열교반을 행하였다. 또한 교반은 AS ONE Corporation제의 LABORATORY HIGH MIXER를 이용하여, 200rpm으로 행하였다.
이어서, 70℃로 가열한 상기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0의 Pal-GH분산액을 표 4에 기재된 양이 되도록 첨가하고, 다시 가열교반을 5분간 행하였다.
가열종료 후, 액온이 약 40℃ 정도가 될 때까지 교반냉각하여, 겔 형성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겔 형성의 확인은 시험관 도치법에 의해 행하고, 분산액의 유동성을 잃어, 톨 비커를 도치하여도 액이 흘러내리지 않는 상태를 「겔화(○)」로 판정하고, 겔화에 이르지 못한 것을 「×」로 하여 평가하였다. 겔화시험 후의 최종적인 조성과, 얻어진 시험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겔을 샘플관 No.7(Maruemu Corporation)에 일부 취출하여, 40℃, 하룻밤 보관을 행한 후, 겔 중의 불용물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불용물이 없는 경우를 「40℃ 열 안정성 있음(○)」, 불용물이 없는 경우를 「40℃ 열 안정성 없음(×)」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4에 함께 나타낸다.
[표 4]
조성(질량%)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분산액 실시예 7의 분산액 5.80
실시예 8의 분산액 5.82
실시예 9의 분산액 5.47
실시예 10의 분산액 5.82
알긴산PG 0.30 0.30 0.30 0.30
93.90 93.88 94.23 93.88
겔화
얻어진 겔의 40℃ 열 안정성 ×

Claims (15)

  1. 탄소원자수 10 내지 24의 지방족기로 이루어진 지질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아미노산의 반복에 의해 형성된 펩티드부가 결합된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과, 분자 내에 친수부와 소수부를 갖고, 또한 이 친수부가 베타인 구조를 갖는 용해 촉진제와 물을 함유하는, 분산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이, 하기 식(1) 내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 중의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액.
    [화학식 1]
    Figure pct00007

    (식 중, R1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또는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을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8

    (식 중, R4는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5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또는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을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9

    (식 중, R8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9 내지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또는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 복소환을 나타낸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추가로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분산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 촉진제가, 라우릴 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라우르산 아미드프로필 베타인, 라우릴 하이드록시 설포베타인, 스테아릴 베타인 및 리조포스파티딜 콜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분산액.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겔화제로서 상기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고, 추가로 고분자 유화제를 함유하는, 분산액.
  6. 제5항에 있어서,
    화장품 또는 의약품 외품의 조제를 위한 프리믹스인, 분산액.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동액의 증점제로서 이용되는, 분산액.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유화제가, 친수성의 주쇄에 소수성 부위를 그래프트시킨 그래프트 고분자 화합물 및 소수성 구성단위와 친수성 구성단위로 이루어진 블록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고분자 화합물인, 분산액.
  9. 제8항에 있어서,
    추가로 내열성 향상제를 함유하는, 분산액.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향상제가 탄소원자수 10 내지 20의 포화 및 불포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고급 알코올 또는 고급 지방산에스테르인, 분산액.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향상제가 세탄올, 미리스틸 알코올,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릴인, 분산액.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이,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및 알긴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산액.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이,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인, 분산액.
  14. 제5항 및 제6항 그리고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산액을 물에 첨가하고, 실온 이상 100℃ 미만의 온도로 가열하는 공정, 상기 가열공정에 있어서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냉각하고, 겔을 형성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15. 제5항 및 제6항 그리고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산액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산액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하이드로겔.
KR1020167002190A 2013-07-09 2014-07-03 분산액 및 하이드로겔 형성방법 KR102292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43791 2013-07-09
JPJP-P-2013-143791 2013-07-09
PCT/JP2014/067802 WO2015005219A1 (ja) 2013-07-09 2014-07-03 分散液及びヒドロゲル形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807A true KR20160029807A (ko) 2016-03-15
KR102292009B1 KR102292009B1 (ko) 2021-08-23

Family

ID=52279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190A KR102292009B1 (ko) 2013-07-09 2014-07-03 분산액 및 하이드로겔 형성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9782331B2 (ko)
EP (1) EP3020388B1 (ko)
JP (1) JP6508480B2 (ko)
KR (1) KR102292009B1 (ko)
CN (1) CN105517529B (ko)
BR (1) BR112016000274B1 (ko)
ES (1) ES2705373T3 (ko)
TW (1) TWI652107B (ko)
WO (1) WO20150052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624A1 (ko) * 2016-08-10 2018-02-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내열성 방향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794B1 (ko) * 2012-06-25 2020-03-20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분산액 및 하이드로겔 형성방법
JP6132107B2 (ja) * 2012-10-03 2017-05-24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ヒドロゲル形成材料
TWI650140B (zh) * 2013-12-25 2019-02-11 日商日產化學工業股份有限公司 含有脂質肽型化合物之條狀基材
EP3251656B1 (en) * 2015-01-28 2023-07-05 Kyushu University Moisturizing base material including lipid-peptide compound
WO2016208460A1 (ja) * 2015-06-24 2016-12-29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脂質ペプチド型化合物を含有するスティック状基材の硬度調整方法
EP3311797B1 (en) * 2015-06-24 2020-02-26 Nissan Chemical Corporation Stick-shaped substrate containing lipid-peptide-type compound
EP3544581B1 (en) * 2016-11-25 2023-11-08 LvmH Recherche Aqueous cosmetic
CN110087630A (zh) * 2016-12-21 2019-08-02 日产化学株式会社 棒状皮肤外用固体基材
US20200197284A1 (en) * 2017-05-12 2020-06-25 Nissan Chemical Corporation Stick-shaped base material having high water content
CN107198669A (zh) * 2017-05-31 2017-09-26 上海东晟源日化有限公司 一种能立即美白长效养白的妆养合一的素颜霜
WO2018221445A1 (ja) * 2017-06-01 2018-12-06 国立大学法人神戸大学 ゲル化剤
TWI672153B (zh) * 2018-05-17 2019-09-21 綠藤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無界面活性劑的乳液
CN110204593A (zh) * 2019-05-17 2019-09-06 高邮市宇航化工机械厂 一种生物制药用多肽化合物的制备工艺
JP2022552578A (ja) * 2019-10-18 2022-12-16 デシエム ビューティー グル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親油性ペプチドを用いたスキンケア製剤
KR102144659B1 (ko) * 2019-10-31 2020-08-14 주식회사 엘씨그린텍 엔진용 냉각수 보충제
CN110947344B (zh) * 2019-12-11 2021-10-19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水凝胶制备传感芯片的应用
TWI771686B (zh) * 2020-05-26 2022-07-21 遠東新世紀股份有限公司 氧化鋅分散液及其製備方法
CN112795029A (zh) * 2021-04-07 2021-05-14 同济大学 双网络柔性导电粘附抗冻水凝胶的制备方法和应用
CN116410716B (zh) * 2021-12-31 2024-05-28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一种超分子凝胶暂堵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5152A1 (ja) 2007-07-05 2009-01-08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新規脂質トリペプチド性ヒドロゲル化剤及びヒドロゲル
WO2009005151A1 (ja) 2007-07-05 2009-01-08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新規脂質ペプチド並びにヒドロゲル
KR20110055593A (ko) * 2008-08-01 2011-05-25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신규 지질 디펩티드 및 겔
KR20120135358A (ko) * 2009-10-26 2012-12-12 고쿠리쓰다이가쿠호진 규슈다이가쿠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그리고 의료용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5688A (en) * 1993-01-08 1995-01-31 American Polywater Corporation Antifreeze gel composition for use in a cable conduit
JP2002047172A (ja) * 2000-08-04 2002-02-12 Rohto Pharmaceut Co Ltd 泡吐出容器用皮膚洗浄組成物
JP4545099B2 (ja) * 2006-02-08 2010-09-15 川研ファインケミカル株式会社 溶存塩素捕捉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洗浄剤組成物
JP5610460B2 (ja) * 2009-08-07 2014-10-22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水に分散可能なナノ粒子及びナノ粒子分散液の製造方法
JP5867676B2 (ja) * 2010-06-29 2016-02-24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ゲルの製造方法
JP5971487B2 (ja) * 2011-03-31 2016-08-17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の製造方法、化粧料用ゲルの調製方法及び化粧料原料に配合される高分子増粘剤の使用量を軽減する方法
US9328137B2 (en) 2011-04-22 2016-05-03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Hydrogel-forming material
KR102091794B1 (ko) * 2012-06-25 2020-03-20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분산액 및 하이드로겔 형성방법
KR102158165B1 (ko) * 2012-10-03 2020-09-21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하이드로겔 형성재료, 프리믹스 및 하이드로겔 형성방법
JP6132107B2 (ja) * 2012-10-03 2017-05-24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ヒドロゲル形成材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5152A1 (ja) 2007-07-05 2009-01-08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新規脂質トリペプチド性ヒドロゲル化剤及びヒドロゲル
WO2009005151A1 (ja) 2007-07-05 2009-01-08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新規脂質ペプチド並びにヒドロゲル
KR20110055593A (ko) * 2008-08-01 2011-05-25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신규 지질 디펩티드 및 겔
KR20120135358A (ko) * 2009-10-26 2012-12-12 고쿠리쓰다이가쿠호진 규슈다이가쿠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그리고 의료용 기기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 Hamachi, S. Kiyonaka, S. Shinkai, Tetrahedron Lett., 2001, 42, 6141. I. Hamachi, S. Kiyonaka, S, Shinaki, Chem. Commun., 2000, 1281.
Jong Hwa Jung, Georeg John, Mitsutosish Mausda, Kaname Yoshida, Seiji Shinnkai, and Toshimi Shimizu Langumir 2001, 17, 7229-7232
Masahiro Suzuki, Sanae Owa, Hirofusa Shirai and Kenji Hanabusa, Tetrahedron 2007 63 7302-7308.
Suzuki, Masahiro. Yumoto, Mariko. Mutsumi, Shirai. Hirofusa, Hanabusa, Kenji. Chemistry Letters, 33(11), 1496-1497.
Yoko Matsuzawa, Katsuyuki Ueki, Masaru Yoshida, Nobuyuki Tamaoki, Tohru Nakamura, Hideki Sakai, and Masahiko Abe,Adv. Funct. Mater.2007,17, 1507-151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624A1 (ko) * 2016-08-10 2018-02-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내열성 방향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29119A1 (en) 2016-05-12
JPWO2015005219A1 (ja) 2017-03-02
CN105517529A (zh) 2016-04-20
JP6508480B2 (ja) 2019-05-08
TWI652107B (zh) 2019-03-01
BR112016000274B1 (pt) 2021-01-05
ES2705373T3 (es) 2019-03-22
US9782331B2 (en) 2017-10-10
KR102292009B1 (ko) 2021-08-23
US20170340526A1 (en) 2017-11-30
EP3020388B1 (en) 2018-12-05
WO2015005219A1 (ja) 2015-01-15
EP3020388A4 (en) 2016-12-07
CN105517529B (zh) 2019-06-14
EP3020388A1 (en) 2016-05-18
US10105294B2 (en) 2018-10-23
TW201517979A (zh) 201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794B1 (ko) 분산액 및 하이드로겔 형성방법
JP6508480B2 (ja) 分散液及びヒドロゲル形成方法
KR101781814B1 (ko)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그리고 의료용 기기
KR102158165B1 (ko) 하이드로겔 형성재료, 프리믹스 및 하이드로겔 형성방법
JP7011243B2 (ja) 脂質ペプチド型化合物を含有する経皮吸収組成物
JP6624380B2 (ja) 脂質ペプチド型化合物を含有するスティック状基材
JP6734568B2 (ja) 脂質ペプチド型化合物を含有するスティック状基材
KR102319636B1 (ko)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보습기재
JP6613486B2 (ja) 脂質ペプチド型化合物を含有する増粘性組成物
KR102294367B1 (ko)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스틱상 기재의 경도조정방법
JP6660034B2 (ja) 脂質ペプチド型化合物を含むスティック状基材
KR20200108447A (ko) 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8190383A1 (ja) 顔料又は粉体用分散剤を含有する分散液
WO2018117156A1 (ja) スティック状皮膚外用固形基材
WO2018207948A1 (ja) 高含水スティック状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