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168A - 일체형 주사 키트 - Google Patents
일체형 주사 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9168A KR20160029168A KR1020140117450A KR20140117450A KR20160029168A KR 20160029168 A KR20160029168 A KR 20160029168A KR 1020140117450 A KR1020140117450 A KR 1020140117450A KR 20140117450 A KR20140117450 A KR 20140117450A KR 20160029168 A KR20160029168 A KR 201600291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solution
- support
- cap
- nee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89—Containers or vials which are to be joined to each other in order to mix their cont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6—Valves closing automatically on disconnecting the line and opening on reconnection thereof
- A61M2039/262—Valves closing automatically on disconnecting the line and opening on reconnection thereof having a fluid space within the valve remaining the same upon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i.e. neutral-drawback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와 수액을 혼합하여 주사하기 위한 주사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액 용기와 약제 용기를 일체화한 일체형 주사 키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약제 용기를 내장하는 용기 서포트의 회전만으로도 약제와 수액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일체형 주사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일체형 주사 키트는, 용해액이 담긴 용해액 용기의 입구에 고정되는 용해액 캡; 용해액 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시 용해액 용기에 가까워지며, 내부에 약제가 담긴 약제 용기가 내장되는 용기 서포트; 및 용해액 캡과 용기 서포트 사이에 위치되어, 용기 서포트를 용해액 용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용기 서포트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단 침과 하단 침이 약제 용기와 용해액 캡을 각각 관통하여 두 용기를 소통시키는 소통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약제와 수액을 혼합하여 주사하기 위한 주사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액 용기와 약제 용기를 일체화한 일체형 주사 키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약제 용기를 내장하는 용기 서포트의 회전만으로도 약제와 수액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일체형 주사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등에서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대표적인 치료방법으로는 주사 또는 약물 복용법 등이 있다. 주사법에서는 일회용 주사기 또는 인젝터를 이용하고 있으며, 대량의 약물을 투여하거나 장시간의 투여를 요하는 경우에는 분말 또는 액상의 약제를 식염수와 같은 수액에 용해시켜 농도를 유지하면서 주사를 한다.
수액을 이용한 주사법은 기본적으로 용해된 약제가 수용된 용기와 수액이 들어있는 용기를 침 또는 연결관 등의 접속용구를 사용하여 접속하고, 용해된 약제가 들어있는 용기를 기울여 그 내부의 용해된 약제를 수액이 들어있는 용기에 삽입하여 혼합한 후 라인에 연결된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주사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주사법은 주사시마다 약제 용기와 수액 용기를 연결해야 하고 조작이 어렵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오염으로 인해 감염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약제 용기와 수액 용기를 일체화하여 조작이 편리하며 오염의 염려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7-313572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대표도면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선행문헌의 수액 용기는, 약제 용기(1)가 내장된 케이스(4)를 회전시키면, 돌기부(11)가 연결포트(13)의 나사홈(18)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수액이 담긴 가요성 용기(2)의 입구에 고정된 연통침(3)이 약제 용기(1)의 입구에 결합된 용기마개(7)를 관통하게 된다. 연통침(3)이 용기마개(7)를 관통하면, 약제 용기(1)의 약제가 용기마개(7)의 관통된 부분을 통해 연결포트(13) 내로 유입된 후, 연결포트(13)의 바닥부(16)에 형성된 개구부(15)를 통해 가요성 용기(2)로 유입되어 수액과 혼합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행문헌의 경우 조작의 편리성과 오염의 감소라는 장점을 가지기는 하나, 기밀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여전히 수액이 오염될 염려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약제 용기와 수액 용기를 일체화하여 조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오염 및 누액의 염려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일체형 주사 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일체형 주사 키트는, 용해액이 담긴 용해액 용기의 입구에 고정되는 용해액 캡; 용해액 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시 용해액 용기에 가까워지며, 내부에 약제가 담긴 약제 용기가 내장되는 용기 서포트; 및 용해액 캡과 용기 서포트 사이에 위치되어, 용기 서포트를 용해액 용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용기 서포트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단 침과 하단 침이 약제 용기와 용해액 캡을 각각 관통하여 두 용기를 소통시키는 소통부재;를 포함한다.
소통부재는, 상단과 하단으로 약제 용기의 입구와 용해액 캡을 각각 관통하며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소통홀이 형성된 관통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용기 서포트를 용해액 용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소통부재는 용기 서포트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과정에서 관통침의 상단과 하단이 약제 용기의 입구와 용해액 캡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용해액 캡은, 용해액 용기의 입구에 접합되는 용기 접합부; 용기 접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용기 서포트가 나사 결합되는 서포트 결합부; 용기 접합부와 서포트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어 용기 접합부와 서포트 결합부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 구획부의 중심에서 용기 접합부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며 소통부재의 하단 침이 삽입되는 침 삽입부; 및 침 삽입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용해액 용기의 용해액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밀봉하다가 사용시 소통부재의 하단 침에 의해 관통되는 밀봉부;를 포함한다.
용기 서포트는, 내부에 약제 용기가 내장되며, 하단부가 용해액 캡의 서포트 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는 서포트 몸체; 및 서포트 몸체의 저면 중심으로부터 서포트 몸체 내로 돌출되어 약제 용기를 지지하며, 중심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용기 지지부;를 포함한다.
소통부재는, 관통침; 및 관통침에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 서포트를 구성하는 서포트 몸체의 저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 일체형 주사 키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약제 용기와 용해액 용기가 일체로 구비되며, 사용시 용기 서포트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약제와 수액을 혼합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편리하다.
둘째, 약제와 수액을 혼합하지 않을 때 수액이 용해액 용기 외부로 새어나갈 염려가 전혀 없기 때문에 수액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수액이 오염될 염려가 전혀 없다.
셋째, 약제 용기와 용해액 용기를 소통시켜 약제와 수액을 혼합하는 과정에서도 소통홀 외부로 약제와 수액이 새어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혼합액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혼합액이 오염될 염려가 전혀 없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액 용기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주사 키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선단면도.
도 4는 용해액 캡의 단면도.
도 5는 용기 서포트의 단면도.
도 6은 소통부재의 단면도.
도 7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주사 키트의 사용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주사 키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선단면도.
도 4는 용해액 캡의 단면도.
도 5는 용기 서포트의 단면도.
도 6은 소통부재의 단면도.
도 7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주사 키트의 사용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 일체형 주사 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주사 키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선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주사 키트는, 용해액 용기(100), 약제 용기(200), 용해액 캡(300), 용기 서포트(400) 및 소통부재(500)를 포함한다.
용해액 용기(100)는 내부에 용해액인 수액이 담기며 사용 과정 중 누를 수 있도록 가요성 용기 형태로 제작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약제 용기(200)는 내부에 분말 또는 액상의 약제가 담기며, 밀봉을 위해 입구에 고무전(210)이 탈거 가능하게 억지 끼움된다.
용해액 캡(300)은 용해액 용기(100)의 입구에 접합되어, 수액과 약제의 혼합이 필요치 않을 때에는 용해액 용기(100)를 밀봉하고 있다가 수액과 약제의 혼합이 필요할 때에는 소통부재(500)에 의해 밀봉상태가 강제 해제된다.
용기 서포트(400)는 내부에 약제 용기(200)가 내장되며, 용해액 캡(300)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용기 서포트(400)는 용해액 용기(100) 쪽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소통부재(500)를 용해액 용기(100) 쪽으로 밀어 가압한다.
소통부재(500)는 용해액 캡(300)과 용기 서포트(400) 사이에 위치되어, 용기 서포트(400)를 용해액 용기(100) 쪽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용기 서포트(400)에 의해 밀리면서 상단의 침과 하단의 침이 약제 용기(200)의 고무전(210)과 용해액 캡(300)을 각각 관통함으로써, 약제 용기(200)와 용해액 용기(100)를 서로 소통시킨다.
도 4는 용해액 캡의 단면도이다.
용해액 캡(300)은, 용기 접합부(310), 서포트 결합부(320), 구획부(330) 및 침 삽입부(340)를 포함한다.
용기 접합부(310)는 중공의 관 형태로 형성되어 용해액 용기(100)의 입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열접착 방식 등에 의해 접합된다. 용기 접합부(310)의 상단부는 용해액 용기(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서포트 결합부(320)는 중공의 관 형태로 형성되며 용기 접합부(310)의 상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용해액 용기(100)의 외부에 위치되고, 용기 서포트(400)가 위치 이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서포트 결합부(320)의 내주면에는 용기 서포트(400)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서포트 결합부(320)의 내부 공간으로 용기 서포트(400)의 하단이 탈거 가능하게 삽입된다. 서포트 결합부(320)의 외측 상단에는 용기 서포트(40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턱(321)이 형성된다.
구획부(330)는 용기 접합부(310)와 서포트 결합부(320) 사이에 형성되어 용기 접합부(3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과 서포트 결합부(3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구획한다.
침 삽입부(340)는 소통부재(500)의 하단 침이 삽입되는 곳으로, 구획부(330)의 중심에서 용기 접합부(310)의 내측 공간으로 돌출 형성된다. 침 삽입부(340)의 내측에는 침 삽입부(340)를 통해 용해액 용기(100)의 용해액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밀봉하는 밀봉부(350)가 형성된다. 사용 중 밀봉부(350)는 소통부재(500)의 하단 침에 의해 관통된다.
상기와 같이 용해액 캡(300)은 용해액 용기(100)에 열접착 방식 등에 의해 접합되고, 미사용시(약제와 수액의 혼합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구획부(330)와 밀봉부(350)에 의해 용해액 용기(100)의 수액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게 된다.
주사를 위해 약제와 수액의 혼합이 요구되는 경우, 밀봉부(350)는 소통부재(500)의 하단 침에 의해 관통되므로 용해액 용기(100)의 수액은 침 삽입부(340)를 통해 외부로 새어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말 또는 액상의 약제가 외부로부터 용해액 용기(100) 내로 유입될 수도 있다.
도 5는 용기 서포트의 단면도이다.
용기 서포트(400)는, 서포트 몸체(410), 결합부(420), 용기 지지부(430) 및 서포트 캡(440)을 포함한다.
서포트 몸체(410)는 중공의 관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약제 용기(200)가 내장된다. 서포트 몸체(410)의 상하단은 모두 개방되며, 서포트 몸체(410)의 상단에는 서포트 캡(44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플랜지부(411)가 형성된다.
결합부(420)는, 중공의 관 형태로 형성되며 용해액 캡(300)의 서포트 결합부(320) 외측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외측 결합부(421), 및 중공의 관 형태로 형성되며 서포트 결합부(320)의 내측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내측 결합부(422)를 포함한다. 외측 결합부(421)와 내측 결합부(422)는 서포트 몸체(410)의 하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직경이 큰 외측 결합부(421) 내에 직경이 작은 내측 결합부(422)가 간격을 두고 삽입된 형태이다.
외측 결합부(421)의 내측 하단에는 용해액 캡(300)을 구성하는 서포트 결합부(320)의 분리 방지턱(321)에 걸려 용기 서포트(400)가 용해액 캡(3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부(423)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분리 방지턱(321)과 걸림돌부(423)로 인해 사용자는 소정의 힘 이상으로 용기 서포트(400)를 잡아당겨야만 용해액 캡(300)으로부터 용기 서포트(400)를 분리할 수 있다.
내측 결합부(422)의 외주면에는 서포트 결합부(32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부가 형성된다.
용기 지지부(430)는, 내측 결합부(422)의 하단으로부터 일체 형성되어 약제 용기(200)가 내장되는 공간의 하단을 차폐하는 바닥면(431)과, 바닥면(431)의 중심으로부터 상방의 공간 내로 돌출되어 약제 용기(200)를 지지하는 중공의 용기 지지대(432)로 구성된다. 바닥면(431)에는 소통부재(500)의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상하로 관통되면서 결합되는 결합홀(433)이 형성되며, 용기 지지대(432)는 소통부재(500)의 상단 침이 상하로 관통될 수 있도록 내부에 침 관통홀(434)이 형성된다.
서포트 캡(440)은 서포트 몸체(410)의 개방된 상단에 끼워져 서포트 몸체(410) 내로 약제 용기(200)를 삽입한 후 약제 용기(200)가 서포트 몸체(410)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서포트 몸체(410)의 상단을 차폐한다. 서포트 캡(440)의 가장자리는 서포트 몸체(410)의 상단 플랜지부(411)에 밀착되며, 서포트 캡(440)의 하부는 서포트 몸체(410)의 상단 내부로 억지 끼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용기 서포트(400)는 회전에 의해 용해액 캡(300) 상에서 용해액 용기(100) 쪽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약제 용기(200)를 용해액 용기(100) 쪽으로 위치 이동시키고, 소통부재(500)를 용해액 용기(100) 쪽으로 밀어 가압한다.
한편, 약제 용기(200)는 입구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용기 서포트(400)에 내장된다. 이 때, 용기 서포트(400) 내에서 약제 용기(200)의 고무전(210)이 용기 지지부(430)를 구성하는 용기 지지대(432) 상단에 밀착되면서 안착된다. 따라서, 소통부재(500)의 상단 침에 의해 고무전(210)이 관통되더라도 약제 용기(200)의 약제가 용기 지지대(432)의 내부로만 흐를 뿐 용기 지지대(432)의 외부로는 새어나가지 않는다.
도 6은 소통부재의 단면도이다.
소통부재(500)는, 관통침(510), 및 승강 결합부(520)를 포함한다.
관통침(510)은 내부에 약제 또는 수액이 흐를 수 있도록 중공의 소통홀(511)이 형성되며 상단과 하단이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약제 용기(200)의 고무전(210)과 용해액 캡(300)의 밀봉부(350)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다.
승강 결합부(520)는 관통침(510)의 외측에 일체 형성되어 용기 서포트(400)의 하단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승강 결합부(520)는 관통침(510)의 외측으로부터 직교되는 형태로 연장되어 용기 서포트(400)의 용기 지지부(430)를 구성하는 바닥면(431)의 저면에 접촉되는 바닥 접촉면(521)과, 바닥 접촉면(52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용기 지지부(430)의 결합홀(433)을 승강 가능하게 관통하는 결합편(522)으로 구성된다. 결합편(522)의 상단에는 결합편(522)을 하강할 때 용기 서포트(4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용기 지지부(430)를 구성하는 바닥면(431)의 상면에 걸리는 걸림돌기(52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소통부재(500)는, 용기 서포트(400)를 용해액 용기(100) 쪽으로 회전시키면 용기 서포트(400)에 의해 용해액 용기(100) 쪽으로 밀리면서 관통침(51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용기 서포트(400)의 용기 지지대(432)와 용해액 캡(300)의 침 삽입부(340)에 각각 삽입되면서 고무전(210)과 밀봉부(350)를 각각 관통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주사 키트의 사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주사가 필요치 않은 미사용시에는 약제와 수액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용기 서포트(400)와 약제 용기(200)가 용해액 용기(100)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된다. 이 때, 용해액 용기(100)에 담긴 수액은 용해액 캡(300)의 밀봉부(350)에 의해 밀봉된 상태이므로 용해액 용기(100)의 외부로 누액되지 않고, 약제 용기(200)에 담긴 약제는 고무전(210)에 의해 밀봉된 상태이므로 약제 용기(200)의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는다.
주사를 위해 약제와 수액을 섞고자 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용기 서포트(4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용해액 용기(100) 쪽으로 위치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약제 용기(200)도 함께 용해액 용기(100) 쪽으로 위치 이동된다. 용기 서포트(400)를 위치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소통부재(500)의 관통침(510) 상단이 약제 용기(200)의 고무전(210)을 먼저 관통하게 된다.
도 8에서와 같이 용기 서포트(400)를 계속해서 회전시켜 용해액 용기(100)에 근접시키면, 소통부재(500)의 바닥 접촉면(521)이 용기 서포트(400)의 바닥면(431)에 접촉되면서 소통부재(500)는 용기 서포트(400)에 의해 가압되어 용기 서포트(400)와 함께 용해액 용기(100) 쪽으로 위치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소통부재(500)의 관통침(510) 하단은 용해액 캡(300)의 침 삽입부(340)에 삽입되어 밀봉부(350)를 관통하게 된다. 따라서, 도 9에서와 같이 약제 용기(200)와 용해액 용기(100)는 관통침(510)의 내부에 형성된 소통홀(511)을 통해 상호 소통됨으로써, 약제 용기(200)의 약제가 용해액 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약제와 수액이 서로 섞이게 된다.
약제와 수액이 소통되는 과정에서, 약제 용기(200)의 고무전(210)은 관통침(51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용기 지지대(432)의 상단에 밀착되고, 소통부재(500)의 바닥 접촉면(521)은 용해액 캡(300)의 구획부(330)에 밀착됨으로써, 약제와 수액은 관통침(510)의 소통홀(511) 외부로 새어나갈 염려가 없다.
한편, 도 7 및 도 8에서는 소통부재(500)에 의해 약제 용기(200)의 고무전(210)이 먼저 관통되고 용해액 캡(300)의 밀봉부(350)가 나중에 관통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밀봉부(350)가 먼저 관통되고 고무전(210)이 나중에 관통될 수도 있다. 이는 고무전(210)과 밀봉부(350)의 강성 차이 또는 소통부재(500)를 구성하는 관통침(510) 상단과 하단의 길이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체형 주사 키트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00 : 용해액 용기 200 : 약제 용기
210 : 고무전 300 : 용해액 캡
310 : 용기 접합부 320 : 서포트 결합부
330 : 구획부 340 : 침 삽입부
350 : 밀봉부 400 : 용기 서포트
410 : 서포트 몸체 420 : 결합부
430 : 용기 지지부 440 : 서포트 캡
500 : 소통부재 510 : 관통침
520 : 승강 결합부
210 : 고무전 300 : 용해액 캡
310 : 용기 접합부 320 : 서포트 결합부
330 : 구획부 340 : 침 삽입부
350 : 밀봉부 400 : 용기 서포트
410 : 서포트 몸체 420 : 결합부
430 : 용기 지지부 440 : 서포트 캡
500 : 소통부재 510 : 관통침
520 : 승강 결합부
Claims (6)
- 용해액이 담긴 용해액 용기의 입구에 고정되는 용해액 캡;
용해액 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시 용해액 용기에 가까워지며, 내부에 약제가 담긴 약제 용기가 내장되는 용기 서포트; 및
상기 용해액 캡과 용기 서포트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 서포트를 용해액 용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용기 서포트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단 침과 하단 침이 약제 용기와 용해액 캡을 각각 관통하여 두 용기를 소통시키는 소통부재;를 포함하는 일체형 주사 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부재는, 상단과 하단으로 약제 용기의 입구와 용해액 캡을 각각 관통하며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소통홀이 형성된 관통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주사 키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서포트를 용해액 용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소통부재는 용기 서포트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침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약제 용기의 입구와 용해액 캡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주사 키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액 캡은,
상기 용해액 용기의 입구에 접합되는 용기 접합부;
상기 용기 접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용기 서포트가 나사 결합되는 서포트 결합부;
상기 용기 접합부와 서포트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어 용기 접합부와 서포트 결합부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의 중심에서 용기 접합부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며 소통부재의 하단 침이 삽입되는 침 삽입부; 및
상기 침 삽입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용해액 용기의 용해액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밀봉하다가 사용시 상기 소통부재의 하단 침에 의해 관통되는 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주사 키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서포트는,
내부에 약제 용기가 내장되며, 하단부가 상기 용해액 캡의 서포트 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는 서포트 몸체; 및
상기 서포트 몸체의 저면 중심으로부터 서포트 몸체 내로 돌출되어 약제 용기를 지지하며, 중심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용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주사 키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부재는,
상기 관통침; 및
상기 관통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 서포트를 구성하는 서포트 몸체의 저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주사 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7450A KR101640159B1 (ko) | 2014-09-04 | 2014-09-04 | 일체형 주사 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7450A KR101640159B1 (ko) | 2014-09-04 | 2014-09-04 | 일체형 주사 키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9168A true KR20160029168A (ko) | 2016-03-15 |
KR101640159B1 KR101640159B1 (ko) | 2016-07-18 |
Family
ID=55541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7450A KR101640159B1 (ko) | 2014-09-04 | 2014-09-04 | 일체형 주사 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015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55136A1 (ko) * | 2016-03-09 | 2017-09-14 | 주식회사 대웅제약 | 일체형 주사 키트 |
CN108126256A (zh) * | 2016-12-01 | 2018-06-08 | Jc技术株式会社 | 内置有药瓶功能的注射药瓶的输液器 |
KR20220127507A (ko) * | 2021-03-11 | 2022-09-20 |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 약병접속소켓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75324A (ja) * | 1994-04-12 | 1995-10-24 | Fujisawa Pharmaceut Co Ltd | 輸液用容器及びその溶解液容器の製造方法 |
JPH07313572A (ja) | 1994-05-24 | 1995-12-05 | Material Eng Tech Lab Inc | 輸液容器 |
KR20040015061A (ko) * | 2001-03-07 | 2004-02-18 | 비오돔 | 용기와 수납기 사이의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즉시사용 가능한 조립체 |
KR20120122623A (ko) * | 2011-04-29 | 2012-11-07 |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 키트 조립형 수액 포트 및 약물 오용 방지용 수액백 |
-
2014
- 2014-09-04 KR KR1020140117450A patent/KR1016401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75324A (ja) * | 1994-04-12 | 1995-10-24 | Fujisawa Pharmaceut Co Ltd | 輸液用容器及びその溶解液容器の製造方法 |
JPH07313572A (ja) | 1994-05-24 | 1995-12-05 | Material Eng Tech Lab Inc | 輸液容器 |
KR20040015061A (ko) * | 2001-03-07 | 2004-02-18 | 비오돔 | 용기와 수납기 사이의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즉시사용 가능한 조립체 |
KR20120122623A (ko) * | 2011-04-29 | 2012-11-07 |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 키트 조립형 수액 포트 및 약물 오용 방지용 수액백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55136A1 (ko) * | 2016-03-09 | 2017-09-14 | 주식회사 대웅제약 | 일체형 주사 키트 |
CN108126256A (zh) * | 2016-12-01 | 2018-06-08 | Jc技术株式会社 | 内置有药瓶功能的注射药瓶的输液器 |
KR20220127507A (ko) * | 2021-03-11 | 2022-09-20 |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 약병접속소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0159B1 (ko) | 2016-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355475A1 (en) | Pooling device for single or multiple medical containers | |
US20240108548A1 (en) | Pre-filled diluent syringe vial adapter | |
JP6271549B2 (ja) | 再構成装置 | |
MX2011002902A (es) | Conector que tiene una membrana para conectar una jeringa a un contenedor o entubado. | |
CN106714765B (zh) | 联接穿刺瓶的装置、相应方法、软管或盒套组及治疗单元 | |
US8007486B2 (en) | Method and set for transferring a fluid between two containers | |
KR102307797B1 (ko) | 약병접속소켓 | |
JP2020523040A (ja) | 密閉システム調剤投薬装置 | |
KR20220002472A (ko) | 이중 루멘 iv 스파이크를 갖는 액체 전달 디바이스 | |
KR101640159B1 (ko) | 일체형 주사 키트 | |
JP7053593B2 (ja) | 液体を収容する医療用パッケージのコネクタ | |
KR101855883B1 (ko) | 주사침과 바이알약병 내장 파우치용기 수액세트 | |
JP5519780B2 (ja) | 輸液装置用点滴チャンバー及び点滴チャンバーを有する輸液装置 | |
US10736818B2 (en) | Reconstitution device with tip cap | |
KR20220033280A (ko) | 약제 혼합용 키트 | |
CA2877050C (en) | Reconstitution device with tip cap | |
KR101631551B1 (ko) | 일체형 주사 키트 | |
CN113573682A (zh) | 流体转移装置 | |
KR200478043Y1 (ko) | 바이알 일체형 수액 세트 | |
KR101671891B1 (ko) | 일체형 주사 키트 | |
KR101669838B1 (ko) | 일체형 주사 키트 | |
KR101669839B1 (ko) | 일체형 주사 키트 | |
CA2933685A1 (en) | Syringe devices, components of syringe devices, and methods of forming components and syringe devices | |
WO2017155136A1 (ko) | 일체형 주사 키트 | |
AU2016276548A1 (en) | Improved components of a fluid transfer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