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507A - 약병접속소켓 - Google Patents

약병접속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507A
KR20220127507A KR1020210031864A KR20210031864A KR20220127507A KR 20220127507 A KR20220127507 A KR 20220127507A KR 1020210031864 A KR1020210031864 A KR 1020210031864A KR 20210031864 A KR20210031864 A KR 20210031864A KR 20220127507 A KR20220127507 A KR 20220127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socket
needle
vial
coupl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5112B1 (ko
Inventor
김동신
김종대
Original Assignee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김동신
김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김동신, 김종대 filed Critical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1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112B1/ko
Publication of KR20220127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5Rigid ampoules, e.g. glass ampo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61J1/201Piercing means having one piercing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61J1/2013Piercing means having two piercing e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89Containers or vials which are to be joined to each other in order to mix their cont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공니들에 의해 수액백의 포트와 약병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접속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 후에, 천공니들을 포함하는 연통부재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약병접속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큰 직경의 약병결합부와 작은 직경의 소켓결합부가 분리벽에 의해 구분된 바디; 수액백의 포트가 결합 고정되어 바디의 소켓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트소켓; 바디의 분리벽에 구비된 니들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디에 결합된 약병과 포트소켓에 결합된 수액백의 포트를 연통시키는 천공니들을 구비한 연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약병접속소켓{Connecting Socket for Medicine Bottle}
본 발명은 약병접속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천공니들을 이용하여 수액백의 포트와 약병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접속시킬 수 있고, 사용 후에는 천공니들이 결합된 연통부재를 분리시켜 배출할 수 있는 약병접속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가 입원하면, 일일 섭취량만큼의 수분과 전해질을 환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링거액, 생리식염액, 아미노산액 등의 수액을 주사하며, 치료에 필요한 약액을 수액에 혼합하여 주사하기도 한다.
약액과 수액의 혼합시에는 주사기를 주로 사용하는데, 주사기의 취급 부주의로, 간호사 등이 주사기의 바늘에 찔리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약액과 수액의 혼합시, 주사기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약병접속소켓을 개발하여 특허출원한 바 있는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본체와 이 본체 내에 배치하는 천공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본체는, 한쪽 단부 안으로 수액백의 포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포트 결합부와, 포트 결합부의 다른쪽 단부에 이어지는 약병 결합부로 구성되고, 천공 유닛은, 본체의 포트 결합부와 약병 결합부 사이를 구분하는 벽부와, 약병 속 약물이 수액백 안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된 상태로 벽부의 중앙에 구비되는 약병 마개 천공 니들 및 포트 마개 천공 니들과, 약병 마개 천공 니들과 포트 마개 천공 니들의 선단부에 각각 씌워지는 위생안전 마개로 구성됨으로써, 수액백의 포트에 약병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 위생안전 보증형 약병 접속소켓과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일측 단부가 수액백의 포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포트 결합부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약병의 상단부가 수용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포트 결합부에 비해 큰 직경의 약병 결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약병 결합부보다는 작고 상기 포트 결합부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연결부에 의해 상기 포트 결합부와 약병 결합부가 연결된 본체와; 상기 약병의 약병마개가 수용되고 상기 약병과 수액백의 포트를 연통시키는 양방향 천공 니들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크기가 일정한 약병마개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고정하고 또 약병의 크기에 관계없이 수액백의 포트에 접속시킬 수 있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병 접속 소켓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일측 단부는 수액백의 포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포트 결합부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약병 전체 또는 일부가 수용되어 결합되도록 포트 결합부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바디를 형성한 본체와; 약병의 약병마개가 수용되고 약병과 수액백의 포트를 연통시키는 양방향 천공 니들이 설치되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 결합되는 접속 유닛을 포함하는 약병 접속용 소켓으로서, 포트 결합부의 하단부 내측에 수액백의 포트마개가 수용되는 마개 수용부가 형성되고, 포트 결합부의 최하단에 설치되어 마개 수용부에 수용된 포트마개에 대한 걸림 작용을 통해 수액백을 고정하고, 걸림 해제 작용을 통해 수액백이 분리되도록 하는 포트 고정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사용 후, 약병과 수액백을 분리해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의료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 분리수거 가능한 약병 접속용 소켓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KR10-2015-0145524 A 특허문헌 2 : KR10-2018-0029295 A 특허문헌 3 : KR10-2020-0126089 A
본 발명은 천공니들을 이용하여 수액백의 포트와 약병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접속시킬 수 있고, 사용 후에는 천공니들이 결합된 연통부재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약병접속소켓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공니들을 포함하는 연통부재가 유통과정에서 오염되지 않도록 한 약병접속소켓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의 소켓결합부에 삽입된 포트소켓을 바디에 안정적으로 결합시켜 수액백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약병접속소켓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통부재가 약병과 수액백의 포트를 안정적으로 접속함과 아울러, 사용 후에는 바디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천공니들을 가진 연통부재가 별도로 폐기될 수 있도록 한 약병접속소켓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통부재를 교체형으로 구성하여 연통부재를 제외한 바디와 포트소켓 등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약병접속소켓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큰 직경의 약병결합부와 작은 직경의 소켓결합부가 분리벽에 의해 구분된 바디; 수액백의 포트가 결합 고정되어 바디의 소켓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트소켓; 바디의 분리벽에 구비된 니들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디에 결합된 약병과 포트소켓에 결합된 수액백의 포트를 연통시키는 천공니들을 구비한 연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접속소켓에 따르면, 바디의 약병결합부 상단에 체결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접속소켓에 따르면, 바디의 소켓결합부에 수직방향의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포트소켓의 외측에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접속소켓에 따르면, 포트소켓의 상단에 분리벽의 구멍을 관통한 후 분리벽에 걸쳐지는 원터치 걸림턱이 구비되고, 포트소켓의 중간 부분 내측에 수액백의 포트마개가 걸리는 포트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접속소켓에 따르면, 상기 연통부재는 약병마개를 천공하도록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된 천공부와 포트마개를 관통하도록 니들결합부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부에 삽입되며 끝단이 평평하게 형성된 삽입부로 이루어진 천공니들과, 니들결합부에 삽입되며 중앙에 천공니들이 설치되는 몸체와, 니들결합부에 고정되도록 몸체의 양단에서 하향 연장되며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분리벽에 구비된 고정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접속소켓에 따르면, 상기 연통부재는 천공니들의 천공부를 막아주는 니들고무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접속소켓에 따르면, 상기 천공니들이 약병마개를 천공하도록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된 제1 천공부와 포트마개를 관통하도록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니들결합부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2 천공부로 구성되어, 교체형 연통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병접속소켓은 바디에 결합된 연통부재의 천공니들을 통해 수액백의 포트와 약병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접속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사용 후에, 천공니들을 포함하는 연통부재를 분리하여, 바디 및 포트소켓과 별도로 배출 및 폐기할 수 있어, 연통부재의 천공니들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또 바디와 포트소켓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접속소켓에 따르면, 바디의 상단에 보호캡이 결합됨으로써, 연통부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접속소켓에 따르면, 바디의 가이드홀에 포트소켓의 돌기가 삽입됨에 따라, 포트소켓이 회전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되어 포트소켓을 바디에 원활하게 결합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접속소켓에 따르면, 포트소켓의 상단에 원터치 걸림턱이 구비됨에 따라, 포트소켓을 바디에 밀어넣는 것만으로 포트소켓을 바디에 고정할 수 있고, 포트소켓의 중간 부분에 포트걸림턱이 구비되어 수액백의 포트가 포트소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접속소켓에 따르면, 한 쌍의 결합돌기가 연통부재에 구비됨에 따라, 연통부재를 니들결합부에 삽입한 후에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연통부재를 바디에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 후에, 연통부재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바디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접속소켓에 따르면, 천공니들의 천공부에 니들고무마개가 결합됨에 따라, 노출된 천공니들로 인한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병접속소켓에 따르면, 양방향 천공니들에 의해 연통부재가 교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연통부재를 제외한 바디와 포트소켓을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병접속소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병접속소켓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병접속소켓의 연통부재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병접속소켓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약병접속소켓에 수액백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약병접속소켓에 약병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약병접속소켓에 수액백의 포트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약병접속소켓에서 연통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연통부재가 구비된 약병접속소켓에 수액백의 포트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병접속소켓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병접속소켓은, 도 1∼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직경의 약병결합부(11)와 작은 직경의 소켓결합부(12)가 분리벽(17)에 의해 구분되어 있는 바디(10)와; 수액백(100)의 포트(110)가 결합 고정되어 바디(10)의 소켓결합부(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트소켓(20)과; 바디(10)의 약병결합부(11)의 상단에 결합되는 보호캡(30)과; 바디(10)의 약병결합부(11)에 삽입된 약병(200)과 포트소켓(20)에 결합된 수액백(100)의 포트(110)를 연통시키는 천공니들(51)을 구비하며 바디(10)의 분리벽(17)에 구비된 니들결합부(18)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통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디(10)는 약병결합부(11)와 소켓결합부(12)로 구획되어 있으며, 약병결합부(11)의 내측 상단에는 보호캡(30)이 체결되는 결합홈부(13)가 형성되고, 약병결합부(11)의 내측면에는 약병(200)을 지지하도록 수직방향의 지지돌기(14)가 복수개 형성된다.
바디(10)의 소켓결합부(12)에는 2개의 수직방향의 가이드홀(16)이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두 가이드홀(16) 사이의 둘레면의 중간위치에는 포트소켓(20)을 안내하는 확경부(15)가 각각 형성된다. 즉, 두 가이드홀(16) 사이를 잇는 가상의 직선과 두 확경부(14) 사이를 잇는 가상의 직선이 직교한다.
또한, 바디(10)의 분리벽(17)의 중앙부에는 연통부재(50)가 설치되는 니들결합부(18)가 형성되어 있고, 니들결합부(18)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연통부재(50)를 고정하는 고정부(19)가 대향하여 배치된다.
포트소켓(20)은 통(筒) 모양의 몸체(21)와, 포트마개(115)를 탄성 지지하도록 몸체(2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단 내측에 포트마개(115)가 걸리는 포트걸림턱(26)이 구비된 탄성걸림부(23)와, 바디(10)의 소켓결합부(12)에 형성된 가이드홀(16)에 삽입되도록 탄성걸림부(23)와 직교하는 위치에서 돌출해 있는 한 쌍의 돌기(25)와, 몸체(21)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부(22)와, 탄성걸림부(23)의 하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누름버튼(24)과, 분리벽(17)에 형성된 구멍(17')을 관통한 후 분리벽(17)에 걸쳐지도록 몸체(21)의 상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원터치 걸림턱(27)을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걸림부(23) 사이를 잇는 가상의 직선과 직교하는 방면에는 확장부(22)와 돌기(25) 및 원터치 걸림턱(27)이 각각 형성된다.
보호캡(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태로 형성된 마개(31)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돌출부(32)와, 마개(31)의 하단에 형성되어 바디(10)의 결합홈부(13)에 체결되는 결합부(33)를 포함하며, 결합부(33)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34)가 형성된다.
연통부재(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병마개(250)를 천공하도록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된 천공부(51a)와 포트마개(115)를 관통하도록 니들결합부(18)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부(18')에 삽입되며 끝단이 평평하게 형성된 삽입부(51b)로 이루어진 천공니들(51)과, 니들결합부(18)에 삽입되며 중앙에 천공니들(51)이 설치되는 몸체(52)와, 니들결합부(18)에 고정되도록 몸체(52)의 양단에서 하향 연장되며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분리벽(17)에 구비된 고정부(19)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54)가 구비된 연결부(53)와, 천공니들(51)의 천공부(51a)에 씌우는 니들고무마개(55)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약병접속소켓은 바디에 연통부재가 결합 고정된 후 보호캡이 결합되고 바디의 소켓결합부에 포트소켓이 삽입된 상태로 포장되어 유통된다.
약병접속소켓을 사용하여 약병(200)과 수액백(100)을 접속시키는 경우,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액백(100)의 포트(110)를 포트소켓(20)에 삽입하여 포트(110)의 끝단에 구비된 포트마개(115)가 포트걸림턱(26)에 걸리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포트마개(115)가 포트걸림턱(26)에 걸리면, 누름버튼(24)의 조작을 통해 탄성걸림부(23)가 회동되어 포트걸림턱(26) 사이가 벌어지기 전까지는 수액백(100)이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포트소켓(20)을 바디(10)의 분리벽(17)을 향해 밀게 되면 포트소켓(20)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과정에서 포트소켓(20)의 상단에 구비된 원터치 걸림턱(27)이 바디(10)의 분리벽(17)에 형성된 구멍(17')을 통과한 후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분리벽(17)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포트소켓(20)이 바디(10)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고 니들결합부(18)의 관통부(18')가 포트마개(115)를 관통하여 천공니들(51)의 삽입부(51b)가 포트(1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후, 바디(10)의 약병결합부(11)에 결합된 보호캡(30)을 분리하고 천공니들(51)의 니들고무마개(55)를 제거한 후, 약병(200)을 거꾸로 약병결합부(11)에 삽입하여 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니들(51)의 천공부(51a)가 약병마개(250)를 천공하여 약병(200)에 연통된다. 이에 따라, 약병(200)의 약액이 천공니들(51)을 통해 수액백(100)의 포트(110)로 공급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약병(200)과 수액백(100)이 접속되어 약병(200)의 약액이 수액백(100)에 모두 전달되면, 수액백(100)의 포트(110)를 포트소켓(20)으로부터 분리하고, 약병(200)을 바디(10)의 약병결합부(11)로부터 분리한다. 즉, 포트소켓(20)의 누름버튼(24)을 조작하여 포트걸림턱(26)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함으로써 포트마개(115)가 하향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포트소켓(20)으로부터 수액백(100)을 분리하고, 약병결합부(11)에 결합된 약병(200)을 잡아당겨 분리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약액이 혼합된 수액백(100)의 수액을 환자에게 주사할 수 있고, 빈 약병을 별개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수액백(100)과 약병(200)이 모두 분리되면, 바디(10)의 니들결합부(18)에 결합된 연통부재(5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을 해제한 후, 연통부재(50)를 잡아당겨 니들결합부(18)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천공니들(51)이 구비된 연통부재(50)를 바디(10)나 포트소켓(20)과 별도로 배출하여 폐기과정에서 천공니들(51)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연통부재(50)는 분리형 구조로서, 사용 후에 분리하여 별도로 폐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지만, 연통부재(50)의 구조는 예를 들면,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하여 교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연통부재(50)가 약병마개(250)를 천공하도록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된 제1 천공부(51a)와 포트마개를 관통하도록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니들결합부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2 천공부(51c)로 구성된 천공니들(51)을 포함함으로써, 교체형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연통부재(50)의 나머지 구성인 몸체(52)와 연결부(52) 및 결합돌기(54)는 전술한 연통부재(50)와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는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설명된 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바디
11…약병결합부 12…소켓결합부
13…결합홈부 14…지지돌기
15…확경부 16…가이드홀
17…분리벽 17'…구멍
18…니들결합부 18'…관통부
19…고정부
20…포트소켓
21…몸체 22…확장부
23…탄성걸림부 24…누름버튼
25…돌기 26…포트걸림턱
27…원터치 걸림턱
30…보호캡
31…마개 32…돌출부
33…결합부 34…절개부
50…연통부재
51…천공니들 51a…천공부(제1 천공부)
51b…삽입부 51c…제2 천공부
52…몸체 53…연결부
54…결합돌기 55…니들고무마개
100…수액백
110…포트 115…포트마개
200…약병
250…약병마개

Claims (5)

  1. 약병결합부와 소켓결합부가 분리벽에 의해 구분된 바디;
    수액백의 포트가 결합 고정되어 바디의 소켓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트소켓;
    바디의 분리벽에 구비된 니들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디에 결합된 약병과 포트소켓에 결합된 수액백의 포트를 연통시키는 천공니들을 구비한 연통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접속소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바디의 소켓결합부에 수직방향의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포트소켓의 외측에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접속소켓.
  3. 청구항 1에 있어서,
    포트소켓의 상단에 분리벽의 구멍을 관통한 후 분리벽에 걸쳐지는 원터치 걸림턱이 구비되고,
    포트소켓의 중간 부분 내측에 수액백의 포트마개가 걸리는 포트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접속소켓.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통부재는,
    약병마개를 천공하는 천공부와, 포트마개를 관통하도록 니들결합부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부에 삽입되며 끝단이 평평하게 형성된 삽입부로 이루어진 천공니들과,
    니들결합부에 삽입되며 중앙에 천공니들이 설치되는 몸체와, 니들결합부에 고정되도록 몸체의 양단에서 하향 연장되며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분리벽에 구비된 고정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접속소켓.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통부재는,
    약병마개를 천공하는 제1 천공부와, 포트마개를 관통하도록 니들결합부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2 천공부로 구성되는 천공니들과,
    니들결합부에 삽입되며 중앙에 천공니들이 설치되는 몸체와, 니들결합부에 고정되도록 몸체의 양단에서 하향 연장되며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분리벽에 구비된 고정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접속소켓.
KR1020210031864A 2021-03-11 2021-03-11 약병접속소켓 KR102555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864A KR102555112B1 (ko) 2021-03-11 2021-03-11 약병접속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864A KR102555112B1 (ko) 2021-03-11 2021-03-11 약병접속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507A true KR20220127507A (ko) 2022-09-20
KR102555112B1 KR102555112B1 (ko) 2023-07-14

Family

ID=8344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864A KR102555112B1 (ko) 2021-03-11 2021-03-11 약병접속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1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110Y1 (ko) * 2005-11-01 2006-01-20 이종규 수액용기의 캡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액용기의연결장치
KR20150145524A (ko) 2014-06-20 2015-12-30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위생안전 보증형 약병 접속소켓과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KR20160029168A (ko) * 2014-09-04 2016-03-15 주식회사 대웅제약 일체형 주사 키트
KR20180029295A (ko) 2016-09-12 2018-03-21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약병 접속 소켓
KR20200126089A (ko) 2019-04-29 2020-11-06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분리수거 가능한 약병 접속용 소켓
KR20210026371A (ko) * 2019-08-30 2021-03-10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약병접속소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110Y1 (ko) * 2005-11-01 2006-01-20 이종규 수액용기의 캡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액용기의연결장치
KR20150145524A (ko) 2014-06-20 2015-12-30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위생안전 보증형 약병 접속소켓과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KR20160029168A (ko) * 2014-09-04 2016-03-15 주식회사 대웅제약 일체형 주사 키트
KR20180029295A (ko) 2016-09-12 2018-03-21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약병 접속 소켓
KR20200126089A (ko) 2019-04-29 2020-11-06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분리수거 가능한 약병 접속용 소켓
KR20210026371A (ko) * 2019-08-30 2021-03-10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약병접속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112B1 (ko)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96250B1 (en) Transfer needle assembly
JP2802982B2 (ja) 薬物放出システム
EP0563357B1 (en) Drug delivery system
JP3303095B2 (ja) バイアルアクセスカニューレアセンブリ
CN103501751B (zh) 容易联接的传送系统
EP2931207B1 (en) Vial adapter
EP1145702B1 (en) Adapter for mixing and injection of preparations
JPH10502568A (ja) 針のないバイアルアクセス器具
KR20100129317A (ko) 주사액 준비를 위해, 천공되는 병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장치
JPH06239352A (ja) 溶解液注入セット
JP2002177392A (ja) 注射器安全装置
JP2004522541A (ja) 針による危険を防止する移送保護器
EP1858578A2 (en) Syringe safety device
WO2002024551A1 (en) Hypodermic needle holder
EP4137114A1 (en) Multi-vial connector
KR20210026371A (ko) 약병접속소켓
KR101657150B1 (ko) 주사액 혼합 제조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KR101639329B1 (ko) 위생안전 보증형 약병 접속소켓과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KR20160010112A (ko) 약병 교체 방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접속구 및 이 접속구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KR102245535B1 (ko) 분리수거 가능한 약병 접속용 소켓
KR20220127507A (ko) 약병접속소켓
US20060058741A1 (en) Infusion apparatus for infusion bags
KR102597395B1 (ko) 바이알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제품 세트
KR101646998B1 (ko) 주사액 혼합 제조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US5282794A (en) Guarded needle and retain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