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883B1 - 주사침과 바이알약병 내장 파우치용기 수액세트 - Google Patents

주사침과 바이알약병 내장 파우치용기 수액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883B1
KR101855883B1 KR1020160162743A KR20160162743A KR101855883B1 KR 101855883 B1 KR101855883 B1 KR 101855883B1 KR 1020160162743 A KR1020160162743 A KR 1020160162743A KR 20160162743 A KR20160162743 A KR 20160162743A KR 101855883 B1 KR101855883 B1 KR 101855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injection
cap
receiv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재
이호재
강원신
박병선
Original Assignee
제이씨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텍(주) filed Critical 제이씨텍(주)
Priority to KR1020160162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883B1/ko
Priority to PCT/KR2016/014849 priority patent/WO201810153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61J1/2013Piercing means having two piercing e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89Containers or vials which are to be joined to each other in order to mix their cont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을 파우치용기(10)의 출구(12)에 결합된 배출구(20); 및 파우치용기(10)의 입구(14)에 결합된 주입구(30)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구(30)는 입구(14)에 결합되는 주입관(42) 중간을 막는 주입관실링막(44)과, 주입관(42) 상부에 일체로 직경이 크게 돌출된 결합관(46)을 가지는 입구관(40); 결합관(46)과 끼움결합하는 결합내관(52)과, 결합내관(52) 상단을 막고 중앙은 결합내관(52) 내경보다 작은 직경의 누름턱(53)을 제공하는 수평판 (55)과, 수평판(55)에서 수직상부로 돌출되고 내면에 이동가이드(56)를, 외면에 나사(57)를 이룬 내캡(50); 내캡(50)의 이동가이드(56)와 결합하여 수직이동하는 수직가이드(61)를 외면에 형성하고, 하단에는 주사침상부 수용 상부수용공(62)이 있는 하부돌출부(63)와, 상부수용공(62) 상단을 실링하며 중간패킹(70)의 수직통공(72)에 끼워지는 상부실링막 (64)을 가지며 내부에 주사약병(80)을 수용하는 약병수용캡(60); 약병수용캡(60)을 수용하며, 내캡(50)과 나사결합하고, 하단과 수평판(55) 사이에 분리스커트(94)가 설치된 외캡(90); 및 상부수용공(62)과 주입관실링막(44) 사이에 지지하는 지지링 (110)과, 지지링(110) 내경과 박막(112)으로 결합되며 중앙은 양단주사침(110) 외경을 지지하는 결합링(116)을 가지는 양단주사침(100); 을 포함하며, 지지링(110)은 누름턱(53)과 결합관(46) 상단에 의하여 고정결합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주사침과 바이알약병 내장 파우치용기 수액세트{ Sap container set with injection medicine bottle}
본 발명은 주사침과 바이알약병 내장 파우치용기 수액세트에 관한 것이다.
국내특허 제10-0569223호로 이러한 구조는 약제용기와 연통되는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타단에 약액을 배출하는 배출부재를 가지는 가소성용기;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약제용기를 수용하는 보호용캡의 약제용기와 마개를 관통하여 약제용기약을 수액으로 연통시키는 연결부재에 삽입되는 연통침을 포함하고; 보호용캡부는 고정캡과 이동캡이 결합된 것으로, 조립이 어렵고 구성요소가 복잡하며 실링성에 문제점을 가진다.
다른 기술방식으로는, 국내특허등록제10-1640159호로 알려진 용해액용기의 입구에 용해액캡을 결합하고, 용해액캡 내부에는 소통부재를 두고, 소통부재와 용해액캡 상부에는 약제용기를 두어 소통부재를 통한 관통침이 약제용기내의 약을 소통부재를 경유하여 침삽입부를 통과하여 용해액용기에 공급되는 기술로, 양방향주사침이 용해액용기와 약제용기를 통하도록 하는 이점은 있으나, 부품수가 많고, 실링성의 확보가 쉽지 않다.
파우치백에 사용되는 파우치마개로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455090호가 알려져 있고, 수액세트에 바이알을 결합시킨 구조가 국내공개특허10-2006-0123372호, 국내실용신안등록20-0478043호, 및 국내특허등록10-0569223호가 알려졌으나, 바이알이 수액용기 외부에 결합되는 구조이어서 보관성이 좋지않고, 포장도 어려우며, 충격시 바이알 약이 의도치 않게 혼합되어 사용을 어렵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단주사침과 하단주사침이 상하에 형성되고 주사침공으로 상하가 통하는 양단주사침을 내캡과 입구관 사이에 고정시키고, 외캡의 분리 스커트를 분리시키고, 외캡을 내캡과 나사결합형태로 돌리면 외캡이 하강하면서 주사약병의 약병마개를 상단주사침이 뚫고, 이어 주사약병을 수용하는 약병수용캡의 하단에 아래로 돌출한 하부돌출부가 통공으로 들어가도록 결합하면, 지지링은 고정되나 박막이 분리되어 양단주사침의 하단주사침이 아래로 하강함으로써 주입관실링막을 뚫어 주입관과 통하도록 작용하여 양단주사침의 상단주사침에서 주사약병의 약이 주사침공을 통하여 입구로 이동하므로 주사침 이동을 위한 별도의 작업 없이 외캡을 돌리기만 하면 주사침이 주사약병에서 파우치용기의 입구로 이동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초보자라도 쉽게 주사약병의 약을 입구로 공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단주사침의 높이 중간부분에서 일체로된 결합링이 박막을 통해 지지링으로 결합되고, 지지링은 돌턱과 결합관 상단의 결합에 의하여 일정 높이를 항상 유지하므로, 이동중 주사침이 약병마개나 수액입구를 통하지 못하게 유지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갖는 주사침과 바이알약병 내장 파우치용기 수액세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수액을 수용하는 파우치용기의 출구에 결합된 배출구; 및
파우치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주입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주입구는 입구에 결합되는 주입관 중간을 막는 주입관실링막과, 주입관 상부에 일체로 직경이 크게 돌출된 결합관을 가지는 입구관;
결합관과 끼움결합화는 결합내관과, 결합내관 상단을 막으며 중앙은 결합내관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누름턱을 제공하는 수평판과, 수평판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고 내면에 이동가이드를, 외면에 나사를 이룬 내캡;
내캡의 이동가이드와 결합하여 수직이동 작용하는 수직가이드를 외면에 형성하고, 하단에는 주사침상부를 수용하는 상부수용공을 가지는 하부돌출부와, 상부수용공 상단을 실링하며 중간패킹의 수직통공에 끼워지는 상부실링막을 가지며 내부에 주사약병을 수용하는 약병수용캡;
약병수용캡을 수용하며, 내캡과 동축으로 나사결합하고, 하단과 수평판 사이에 분리스커트가 설치된 외캡; 및
상부수용공과 주입관실링막 사이에 양단이 오도록 깊이 중간에서 지지하는 지지링과, 지지링 내경과 박막으로 결합되며 중앙은 양단주사침 외경을 지지하는 결합링을 가지는 양단주사침; 을 포함하며, 지지링은 누름턱과 결합관 상단에 의하여 고정결합되도록 구성한 주사침과 바이알약병 내장 파우치용기 수액세트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상단주사침과 하단주사침이 상하에 형성되고 주사침공으로 상하가 통하는 양단주사침을 내캡과 입구관 사이에 고정시키고, 외캡의 분리 스커트를 분리시키고, 외캡을 내캡과 나사결합형태로 돌리면 외캡이 하강하면서 주사약병의 약병마개를 상단주사침이 뚫고, 이어 주사약병을 수용하는약병수용캡의 하단에 아래로 돌출한 하부돌출부가 통공으로 들어가도록 결합하면 지지링은 고정되나 박막이 분리되어 양단주사침의 하단주사침이 주입관실링막을 뚫어 주입관과 통하도록 하여 양단주사침의 상단주사침에서 주사약병의 약이 주사침공을 통하여 입구로 이동하므로 주사침 이동을 위한 별도의 작업 없이 외캡을 돌리기만 하면 주사침이 주사약병에서 파우치용기의 입구를 통하도록 이동하여, 약병의 약을 파우징용기 입구로 이동공급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초보자라도 쉽게 주사약병의 약이 입구로 공급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은 양단주사침의 높이 중간부분에서 일체로된 결합링이 박막을 통해 지지링으로 결합되고, 지지링은 돌턱과 결합관 상단의 결합에 의하여 일정 높이를 항상 유지하므로, 이동 중 주사침이 약병마개나 수액입구를 통하지 못하게 유지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우치용기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초기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의 주입구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수액을 수용하는 파우치용기(10)의 출구(12)에 결합된 배출구(20); 및
파우치용기(10)의 입구(14)에 결합된 주입구(3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주입구(30)는 입구(14)에 결합되는 주입관(42) 중간을 막는 주입관실링막(44)과, 주입관(42) 상부에 일체로 직경이 크게 돌출된 결합관(46)을 가지는 입구관(40);
결합관(46)과 끼움결합하는 결합내관(52)과, 결합내관(52) 상단을 막으며 중앙은 결합내관(52)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누름턱(53)을 제공하는 수평판(55)과, 수평판(55)에서 수직상부로 돌출되고 내면에 이동가이드(56)를, 외면에 나사(57)를 이룬 내캡(50);
내캡(50)의 이동가이드(56)와 결합하여 수직이동 작용하는 수직가이드(61)를 외면에 형성하고, 하단에는 주사침상부를 수용하는 상부수용공(62)을 가지는 하부돌출부(63)와, 상부수용공(62) 상단을 실링하며 중간패킹(70)의 수직통공(72)에 끼워지는 상부실링막(64)을 가지며 내부에 주사약병(80)을 수용하는 약병수용캡(60);
약병수용캡(60)을 수용하며, 내캡(50)과 동축으로 나사결합하고, 하단과 수평판(55) 사이에 분리스커트(94)가 설치된 외캡(90); 및
상부수용공(62)과 주입관실링막(44) 사이에 양단이 오도록 깊이 중간에서 지지하는 지지링(110)과, 지지링(110) 내경과 박막(112)으로 결합되며 중앙은 양단주사침(110) 외경을 지지하는 결합링(116)을 가지는 양단주사침(100); 을 포함하며, 지지링(110)은 누름턱(53)과 결합관(46) 상단에 의하여 고정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약병수용캡(60)의 하단 바닥에서 아래로 돌출한 하부돌출부(63)는 양단주사침(100)의 결합링(116) 윗부분을 실링하도록 주사침관통공(66)을 가지는 상부패킹(65)을 수용하는 상부패킹공(67)과,
상부패킹(65)의 주사침관통공(66)을 통하여 상단주사침(101)이 수용되는 상부수용공(6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주입관(42)은 하단주사침(102)이 통과하는 주사침관통공(48)을 가지는 하부패킹(45)을 수용하는 하부패킹공(42-1)과,
하부패킹공(42-1)과 통하며 하단주사침(102)을 주입관실링막(44) 내부에서 수용하는 하부수용공(42-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결합관(46)과 결합내관(52)의 끼움결합은 결합후크(47)와 결합턱(도시하지 않음)의 결합을 예시할 수 있고, 요철결합으로도 구성가능한 알려진 기술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부돌출부(63)의 외경은 통공(54)의 내경보다 작으며, 하부돌출부(63)가 통공(54)으로 결합되도록 하강하면 박막(112)이 분리되면서 하단주사침(102)이 주입관실링막(44)을 통과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양단주사침(100)은 상단의 상단주사침(101)과 하단의 하단주사침(102)을 포함하며, 상단주사침(101)과 하단주사침(102)은 주사침공(103)을 가지며, 각 주사침공(103)은 상호 상하부에서 통하는 통로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도 1의 분해사시도를 이루고, 이를 조립하면 도 2 상태를 이룬다.
사용할 때는 도 2 및 도 3 에 보이 분리스커트(94)를 외캡(90)에서 분리시킨다. 분리스커트(94)의 분리는 재사용방지(위조방지)용으로 한번 쓰면 분리되는 분리막을 가지고 있으며, 분리막을 당기면 분리되는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 상태에서 외캡(90)을 나사를 감는 방향으로 돌리면 내캡(50)의 나사(57)와 나사결합하면서 외캡(90)내에 내부마개(92)외 함께 수용된 주사약병(80)이 동시에 하강한다. 이러한 하강은 고정된 양단주사침(100)의 상단주사침(101)이 상부실링막(64), 약병마개(82)를 뚫고 상단주사침(101)의 주사침공(103)을 통하여 약병의 약이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점은 양단주사침(100)의 하단주사침(102)은 지지링(110)과 결합링(116)에 의하여 일정 수평상태르르 유지하므로, 하단주사침(102)은 아직 하부수용공(42-2)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외캡(90)이 더욱 하강하여 하부돌출부(63)가 통공(54)을 통과혀면서 결합링(116)을 아래로 밀어준다. 이 경우 결합링(116)은 박막(112)이 먼저 분리되면서 양단주사침(100)의 결합링(116)과 함께 하강하면서 하단주사침(102)이 주입관실링막(44)을 뚫어 입구(14)에 도 4 와 같이 오게된다. 따라서 주사침공(103)을 통하여 이동하는 주사약병(80) 내용물이 파우치용기(10)내의 수액과 혼합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별도의 수액주사침을 배출구(20)에 꽂아 환자의 혈관에 공급하게 된다.
이와같이 수액에 주사약병의 주사약을 공급할 때 분리스커트(94)를 분리시킨 다음 외캡(90)을 내캡(50)과 나사 결합하도록 돌리기만 하면, 양단주사침(100)의 상단주사침(101)은 주사약병(80)의 약병마개(82)에 꽂히고, 이어 양단주사침(100)의 하단주사침(102)은 파우치용기(10)의 입구(14)에 꽂히도록 작용하여 주사약병(80)의 약을 단순히 외캡(90)만 돌리면 나사결합의 힘 만으로 하강하면서 공급할 수 있게된다.
또한, 평소 보관이나 이동시에는 비록 양단주사침(100)이 삽입되어 있다하여도, 양단주사침(100)의 높이 중간 외경부분은 결합링(116)을 이루고, 결합링(116)은 박막(112)과 지지링(112)에 의하여 일정 높이로 지지되는 상태에서, 결합링(116)은 통공(54)에 의한 누름턱(53)과, 결합관(46) 상단에 의하여 결합상태를 일정 높이로 유지하므로, 양단주사침(100)은 항상 수평상의 정위치를 유지하여 상단주사침(101)과 하단주사침(102)이 상부수용공(62)과 하부수용공(42-2)에 정위치를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이동 및 보관을 가능토록하여 안정성을 제공한다.
10;파우치용기 12;출구 14;입구 20;배출구 30;주입구 40;입구관 42;주입관 44;주입관실링막 45;하부패킹 46;결합관 47;결합후크 48;주사침관통공 50;내캡 52;결합내관 53;누름턱 54;통공 55;수평판 56;이동가이드 57;나사 60;약병수용캡 61;수직가이드 62;상부수용공 63;하부돌출부 64;상부실링막 65;상부패킹 66;주사침관통공 70;중간패킹 72;수직통공 80;주사약병 90;외캡 92;내부마개 94;분리스커트 100;주사침 101;상단주사침 102;하단주사침 103;주사침공 110;지지링 112;박막 116;결합링

Claims (5)

  1. 수액을 수용하는 파우치용기(10)의 출구(12)에 결합된 배출구(20); 및
    파우치용기(10)의 입구(14)에 결합된 주입구(3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주입구(30)는 입구(14)에 결합되는 주입관(42) 중간을 막는 주입관실링막(44)과, 주입관(42) 상부에 일체로 직경이 크게 돌출된 결합관(46)을 가지는 입구관(40);
    결합관(46)과 끼움결합하는 결합내관(52)과, 결합내관(52) 상단을 막으며 중앙은 결합내관(52)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누름턱(53)을 제공하는 수평판(55)과, 수평판(55)에서 수직상부로 돌출되고 내면에 이동가이드(56)를, 외면에 나사(57)를 이룬 내캡(50);
    내캡(50)의 이동가이드(56)와 결합하여 수직이동 작용하는 수직가이드(61)를 외면에 형성하고, 하단에는 주사침상부를 수용하는 상부수용공(62)을 가지는 하부돌출부(63)와, 상부수용공(62) 상단을 실링하며 중간패킹(70)의 수직통공(72)에 끼워지는 상부실링막(64)을 가지며 내부에 주사약병(80)을 수용하는 약병수용캡(60);
    약병수용캡(60)을 수용하며, 내캡(50)과 동축으로 나사결합하고, 하단과 수평판(55) 사이에 분리스커트(94)가 설치된 외캡(90); 및
    상부수용공(62)과 주입관실링막(44) 사이에 양단이 오도록 깊이 중간에서 지지하는 지지링(110)과, 지지링(110) 내경과 박막(112)으로 결합되며 중앙은 양단주사침(100) 외경을 지지하는 결합링(116)을 가지는 양단주사침(100); 을 포함하며, 지지링(110)은 누름턱(53)과 결합관(46) 상단에 의하여 고정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침과 바이알약병 내장 파우치용기 수액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약병수용캡(60)의 하단 바닥에서 아래로 돌출한 하부돌출부(63)는 양단주사침(100)의 결합링(116) 윗부분을 실링하도록 주사침관통공(66)을 가지는 상부패킹(65)을 수용하는 상부패킹공(67)과,
    상부패킹(65)의 주사침관통공(66)을 통하여 상단주사침(101)이 수용되는 상부수용공(62)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침과 바이알약병 내장 파우치용기 수액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주입관(42)은 하단주사침(102)이 통과하는 주사침관통공(48)을 가지는 하부패킹(45)을 수용하는 하부패킹공(42-1)과,
    하부패킹공(42-1)과 통하며 하단주사침(102)을 주입관실링막(44) 내부에서 수용하는 하부수용공(42-2)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침과 바이알약병 내장 파우치용기 수액세트.
  4. 제 2항에 있어서, 하부돌출부(63)의 외경은 통공(54)의 내경보다 작으며, 하부돌출부(63)가 통공(54)으로 결합되도록 하강하면 박막(112)이 분리되면서 하단주사침(102)이 주입관실링막(44)을 통과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침과 바이알약병 내장 파우치용기 수액세트.
  5. 제 1항에 있어서, 양단주사침(100)은 상단의 상단주사침(101)과 하단의 하단주사침(102)을 포함하며, 상단주사침(101)과 하단주사침(102)은 주사침공(103)을 가지며, 각 주사침공(103)은 상호 상하부에서 통하는 통로를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침과 바이알약병 내장 파우치용기 수액세트.
KR1020160162743A 2016-12-01 2016-12-01 주사침과 바이알약병 내장 파우치용기 수액세트 KR101855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743A KR101855883B1 (ko) 2016-12-01 2016-12-01 주사침과 바이알약병 내장 파우치용기 수액세트
PCT/KR2016/014849 WO2018101531A1 (ko) 2016-12-01 2016-12-19 주사침과 바이알약병 내장 파우치용기 수액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743A KR101855883B1 (ko) 2016-12-01 2016-12-01 주사침과 바이알약병 내장 파우치용기 수액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883B1 true KR101855883B1 (ko) 2018-06-20

Family

ID=62242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743A KR101855883B1 (ko) 2016-12-01 2016-12-01 주사침과 바이알약병 내장 파우치용기 수액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5883B1 (ko)
WO (1) WO20181015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918663D0 (en) 2019-12-17 2020-01-29 Oribiotech Ltd A connector
CN111012663B (zh) * 2019-12-20 2022-07-15 山西医科大学 药液转移适配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198B1 (ko) * 1970-08-12 1974-01-24
JPH0614976A (ja) * 1992-04-10 1994-01-25 Nissho Corp 輸液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7033U (ko) * 1995-05-25 1996-12-16 차량도어용 사이드몰딩의 결합구조
JP3415714B2 (ja) * 1996-02-01 2003-06-09 テルモ株式会社 薬液移送器具および薬液移送システム
US7425209B2 (en) * 1998-09-15 2008-09-16 Baxter International Inc. Sliding reconstitution device for a diluent container
KR101095961B1 (ko) * 2009-08-21 2011-12-19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약화사고 방지를 위한 주사액 제조용 안전소켓 및 수액 키트
KR101657150B1 (ko) * 2014-11-20 2016-09-19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주사액 혼합 제조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198B1 (ko) * 1970-08-12 1974-01-24
JPH0614976A (ja) * 1992-04-10 1994-01-25 Nissho Corp 輸液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531A1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9526B1 (en) Medicament container stopper with integral spike access means
AU650122B2 (en) Improved liquid dispensers
KR100569223B1 (ko) 일체형 수액용기
JPH08126683A (ja) 輸液用容器
JPH06239352A (ja) 溶解液注入セット
US20080215030A1 (en) Assembly for Filling a Container of a Delivery Device with a Pharmaceutical
KR101855883B1 (ko) 주사침과 바이알약병 내장 파우치용기 수액세트
KR20220002472A (ko) 이중 루멘 iv 스파이크를 갖는 액체 전달 디바이스
KR20100138380A (ko) 약화사고 방지를 위한 주사액 혼합용 안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키트
CN108126256B (zh) 内置有药瓶功能的注射药瓶的输液器
KR101640159B1 (ko) 일체형 주사 키트
US10617814B2 (en) Infusion pouch set with built-in injection medicine bottle having vial function
JP2551318B2 (ja) 輸液用容器
CN202061092U (zh) 混药接头
JP2014100316A (ja) 薬剤カートリッジ
US10736818B2 (en) Reconstitution device with tip cap
CN202061081U (zh) 输液包装
CA2877050C (en) Reconstitution device with tip cap
JPH06343678A (ja) 輸液用容器
KR200478043Y1 (ko) 바이알 일체형 수액 세트
JPH07184979A (ja) 輸液容器
KR20100110998A (ko) 약제용기 일체형 수액용기
CN201248914Y (zh) 拉带式自停输液器
JPH06225920A (ja) 薬液用プラスチック容器
JPH07328097A (ja) 薬剤容器との連通手段を備えた溶解液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