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132A -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및 도로경계석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및 도로경계석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132A
KR20160028132A KR1020140116752A KR20140116752A KR20160028132A KR 20160028132 A KR20160028132 A KR 20160028132A KR 1020140116752 A KR1020140116752 A KR 1020140116752A KR 20140116752 A KR20140116752 A KR 20140116752A KR 20160028132 A KR20160028132 A KR 20160028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boundary
plate
road
boundary stone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1697B1 (ko
Inventor
김성구
Original Assignee
김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구 filed Critical 김성구
Priority to KR102014011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69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E01C19/502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 E01C19/506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for kerbs, gutters or similar structures, e.g. raised portions, median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8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 E01C19/488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for forming in a continuous operation kerbs, gutters, berms, safety kerbs, median barriers or like structures in situ, e.g. by slip-forming, by extrusion
    • E01C19/4893Apparatus designed for railless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보도와 차도 사이에 배치되는 도로경계석을 설치하는 장치로서, 도로경계석을 클램핑하고 상기 도로경계석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지지하는 위치고정부, 상기 도로경계석 중 인접한 도로경계석들을 함께 고정하여 상기 도로경계석의 열을 맞추는 결속부, 상기 도로경계석 주변에 타설되는 타설물이 차도 쪽으로 넘어오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차단부, 상기 도로경계석 주변에 타설되는 타설물이 보도 쪽으로 넘어오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차단부 및 상기 도로경계석 주변에 타설되는 타설물의 상면을 평탄하게 하는 평탄화부를 포함하는 도로경계석 설치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및 도로경계석 설치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curb}
본 발명은 차도와 보도를 구분짓는 경계석을 설치하는 도로경계석 설치장치와 관련된다.
차도와 보도 사이를 구분짓기 위하여, 차도와 보도 사이의 경계에는 도로경계석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석은 지반 위에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 위에 놓여, 도로경계석의 하단이 기초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수직하게 직립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에 도로경계석을 설치함에 있어서 중요한 점 중의 하나는 도로경계석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며, 더 나아가 이러한 도로경계석의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를 물고임 현상 없이 일정하게 평탄하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종래의 기술 중에는 이와 같이 도로경계석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하여 지그 조립체에 도로경계석을 결합시키고 지그 조립체를 거푸집 위에 올려 놓음으로써 기초 콘크리트에 도로경계석이 일정한 높이로 올려지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실제의 작업 현장은 많은 자재와 작업기기 및 작업자들에 의해 작업 중 충격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도로경계석의 배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도로경계석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고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게 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한편 작업자들의 수작업에 의하면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물고임 현상 없이 일정하게 평탄화 작업을 하는 것과 규격화된 시공을 하기는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3011호 (2010.12.15)
본 발명은 차도와 보도 사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도로경계석을 설치함에 있어서, 작업 중에 발생되는 충격에도 도로경계석이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및 도로경계석 설치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타설물을 타설한 후 물고임 현상 없이 일정하게 평탄화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및 도로경계석 설치방법을 제시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보도와 차도 사이에 배치되는 도로경계석을 설치하는 장치로서, 도로경계석을 클램핑하고 상기 도로경계석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지지하는 위치고정부, 상기 도로경계석 중 인접한 도로경계석들을 함께 고정하여 상기 도로경계석의 열을 맞추는 결속부, 상기 도로경계석 주변에 타설되는 타설물이 차도 쪽으로 넘어오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차단부, 상기 도로경계석 주변에 타설되는 타설물이 보도 쪽으로 넘어오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차단부 및 상기 도로경계석 주변에 타설되는 타설물의 상면을 평탄하게 하는 평탄화부를 포함하는 도로경계석 설치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도로경계석과 이격되도록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도로경계석의 양쪽을 가압하여 클램핑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를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도로경계석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며 일단에는 상기 도로경계석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가압하는 제1가압단이 형성되는 제1고정몸체 및 상기 제1고정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몸체와 수직한 길이 방향 및 평행한 길이 방향이 되도록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도로경계석의 다른 일측면과 접촉하여 가압하는 제2가압단이 형성되는 제2고정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속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도로경계석들을 함께 고정하는 클램핑체, 상기 클램핑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차단부로 연장되는 연장체 및 상기 연장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차단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차단부는, 상기 도로경계석 주변에 타설되는 타설물이 차도 쪽으로 넘어오지 않도록 차단하는 몸체판 및 상기 몸체판에 결합되고 상기 위치고정부 또는 상기 결속부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판이 서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보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평탄화부는, 상기 고정부 또는 결속부에 결합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고 상기 도로경계석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는 대차 및 상기 대차에 결합되고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레일은, 상기 도로경계석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레일판, 상기 레일판의 일단에 상기 레일판을 따라 설치되는 제1보조판 및 상기 레일판의 다른 일단에 상기 레일판의 양측으로 상기 레일판을 따라 설치되는 제2보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복수의 도로경계석을 설치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하는 단계, 상기 도로경계석들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단계,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상기 도로경계석들의 높이를 맞추고 맞춰진 높이를 유지하는 단계, 높이가 맞춰진 상기 도로경계석들 중 서로 인접한 도로경계석의 단부를 함께 결속하여 일렬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 도로경계석이 일렬로 잘 배치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 차도 쪽과 보도 쪽으로 타설물이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판을 설치하는 단계, 차도쪽 차단판과 보도쪽 차단판 내부의 공간에 타설물을 타설하여 도로경계석 하부까지 타설물이 배치되도록 타설하는 단계 및 타설물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로경계석 설치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도와 보도 사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도로경계석을 설치함에 있어서, 작업 중에 발생되는 충격에도 도로경계석이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를 도로경계석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도로경계석이 나란하게 늘어섰는지 육안으로 확인하기 용이하고 이 부분을 양중기로 잡기가 편리하여 작업자가 쉽게 양중작업을 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를 접이 형식으로 설계함으로써 야적이 용이하고 운반시 안전하고 간편하게 운반이 가능하며 다수의 위치고정부를 한번에 적층하여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운반비용이 최소화된다.
제1차단부를 잘 휘어지는 재질로 하고 상단부에 타설물의 모서리를 날카롭지 않게 하는 복수의 리브를 부착함으로써 곡선구간을 쉽고 빠르고 정밀하게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레일식 평탄화부를 이용함으로써 타설물을 타설한 후 물고임 현상 없이 일정하게 평탄화 작업이 가능하고 규격화된 시공이 가능하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설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위치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결속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제1차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평탄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평탄화부의 레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도로경계석 설치장치를 이용하여 도로경계석을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도로경계석 설치장치를 이용하여 타설물 투입 단계까지 수행한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도로경계석 설치장치를 이용하여 평탄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설치장치와 도로경계석 설치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설치장치는 보도와 차도 사이에 배치되는 도로경계석을 설치하는 장치로서, 위치고정부(1)와, 결속부(2), 제1차단부(3), 제2차단부(4) 및 평탄화부(5)를 포함한다.
위치고정부(1)는 도로경계석(10)을 클램핑하고 도로경계석(10)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지지한다. 도로경계석(10)은 타설물(20) 위에 설치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미리 도로경계석(10)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위치를 잡는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지지대를 설치하고 그 위에 도로경계석(10)을 올려놓고 타설물(20)을 타설한 후 지지대는 타설물(20)에 묻힌 상태로 그대로 두거나, 타설물(20)을 타설한 후 그 위에 도로경계석(10)을 올려놓았기 때문에 지지대가 손실되거나 도로경계석(10)이 높낮이가 고르면서 나란하게 설치되기 어려웠다.
결속부(2)는 도로경계석(10) 중 인접한 도로경계석(10)들을 함께 고정하여 도로경계석(10)의 열을 맞춘다. 들어올려진 복수의 도로경계석(10)은 일렬로 나란하게 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나란하게 만들게 하기 위하여 인접한 도로경계석(10)끼리 고정하여 나란하게 되도록 한다.
제1차단부(3)는 도로경계석(10) 주변에 타설되는 타설물(20)이 차도 쪽으로 넘어오지 않도록 차단한다. 한편 제2차단부(4)는 도로경계석(10) 주변에 타설되는 타설물(20)이 보도 쪽으로 넘어오지 않도록 차단한다.
도로경계석(10) 주변에는 타설물(20)이 타설되어 보도와 차도의 경계부가 된다. 이 경계부는 경사지어 형성되고 배수구 등이 형성되어 우천시 차도쪽이나 보도쪽에서 흘러들어온 물이 배수되도록 이루어진다.
실제로 차도나 보도를 형성하기 전에 도로경계석(10)이 설치되므로 향후 차도나 보도가 형성되는 부분까지 타설물(20)이 넘어가지 않도록 제1차단부(3)와 제2차단부(4)가 막게 된다.
평탄화부(5)는 도로경계석(10) 주변에 타설되는 타설물(20)의 상면을 평탄하게 한다.
타설되는 타설물(20)은 고르게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보도쪽으로 낮게 경사지도록 평탄하게 하는 것이 배수에 유리하다. 평탄화부(5)는 이와 같이 타설물(20)의 상면을 평단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로경계석 설치장치(100)는 위치고정부(1)와 결속부(2)를 구비하여 작업 중에 발생되는 충격에도 도로경계석(10)이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각 부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석 설치장치의 사시도이다.
위치고정부(1)는 도로경계석(10)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구성요소로서, 고정몸체(11)와, 다리(12)를 포함한다.
고정몸체(11)는 도로경계석(10)과 이격되도록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도로경계석(10)의 양쪽을 가압하여 클램핑한다.
고정몸체(11)는 제1고정몸체(111)와 제2고정몸체(112)를 포함하는데, 제1고정몸체(111)는 도로경계석(10)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며 일단에는 도로경계석(10)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가압하는 제1가압단(113)이 형성된다. 또한 제1고정몸체(111)의 일측 끝단에는 홀이 형성되고 다리(12)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몸체(111)는 요철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이다. 한편 요철 형상이 아니더라도 반원 형상 또는 아치 형상 등 늘어선 도로경계석(10)이 나란하게 늘어섰는지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한 형상이면 채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절곡된 형상으로 하면 도로경계석(10)이 일렬로 잘 늘어섰는지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다.
제1가압단(113)은 끝단은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가압단(113)은 도로경계석(10)에 있어서 차도쪽에서 보이는 면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 부분은 시공이 끝난 후에도 시각적으로 보이는 부분이므로 제1가압단(113)의 가압에 의해 도로경계석(10)에 가압 흔적이 남지 않게 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고정몸체(112)는 제1고정몸체(111)의 일단에 결합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몸체(111)와 수직한 길이 방향 및 평행한 길이 방향이 되도록 회전이 가능하다. 제2고정몸체(112)에는 도로경계석(10)의 다른 일측면과 접촉하여 가압하는 제2가압단(11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고정몸체(112)를 제1고정몸체(111)와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하여 제1가압단(113)과 제2가압단(114)으로 도로경계석(10)을 클램핑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한편 제2고정몸체(112)를 제1고정몸체(111)와 평행한 길이 방향이 되도록 하면 제1고정몸체(111)와 제2고정몸체(112)가 평행한 상태가 되므로 적재 및 보관이 편리하다. 한편 제2고정몸체에서 제2가압단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는 적재홀(115)이 형성되어 다른 고정몸체의 제2가압단이 삽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적재 및 보관의 편의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고정몸체(112)의 양 끝단에는 홀이 형성되고 다리(12)가 결합된다.
다리(12)는 고정몸체(11)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다리몸체(121)와 지지너트(122)를 포함한다.
다리몸체(121)는 일부 구간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몸체(11)의 홀에 삽입된다. 지지너트(122)는 다리몸체(121)에 체결되는데 지지너트(122)를 다리몸체(121)에 체결한 상태에서 홀에 삽입한다. 홀 내부는 나사산이 없이 매끄럽게 되어 있어 다리몸체(121)는 홀을 그대로 통과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지지너트(122)를 돌려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고정몸체(11)를 적절한 위치에서 지지하게 된다. 지지너트(122)에는 핸들러(122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이 부분을 잡고 지지너트(122)를 회전시킬 수 있고 공구 없이도 손으로 높낮이를 잘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임시고정편(123)으로 다리(12)의 위치를 적당한 위치에 맞춘 다음 지지너트(122)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로 조정할 수도 있다.
임시고정편(123)은 다리(12)를 고정몸체(11)에 일시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즉 임시고정편(123)을 이용하면 다리(12)가 고정몸체(11)에 매달린 상태가 되고 이 때 지지너트(122)를 돌려 고정몸체(1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리(12)를 다리몸체(121)와 지지너트(122)로 구성하면 신속한 위치잡기 및 위치조정이 가능하고, 도로경계석(10)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결속부(2)는 인접한 도로경계석(10)이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결속하는 부분으로서, 클램핑체(21)를 포함하며 연장체(22) 및 지지체(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체(21)는 서로 인접한 도로경계석(10)들을 함께 고정한다. 클램핑체(21)는 도로경계석(10)을 감싸면서 일측면과 상면이 도로경계석(10)과 면상 접촉한다. 다른 일측면에는 도로경계석(10)을 밀어주는 볼트(211)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로경계석(10)이 클램핑체(21)의 일측면과 면접촉하여 서로 나란하도록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클램핑체(21)를 절곡된 형태로 하여 도로경계석(10)을 곡선이 되도록 배치할 때에 대응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핑체(21)에 슬릿을 형성하면 인접한 도로경계석이 잘 결속되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장체(22)는 클램핑체(21)에 결합되고 제1차단부(3)로 연장되는 구성요소로서, 끝단에는 지지체(23)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연장체(22)에는 평탄화부(5)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평탄화부(5)의 브래킷(51)이 연장체(22)에 결합된다.
지지체(23)는 연장체(22)에 결합되고 제1차단부(3)의 측면을 지지한다. 지지체(23)는 연장체(22)에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지지체(23)는 연장체(22)를 지지하는 다리(12) 역할을 겸한다.
지지체(23)에는 걸림고리(231)와 가압구(232)가 형성되는데 걸림고리(231)에 제1차단부(3)의 보조판(32)을 걸어 1차적으로 지지시킨 후 가압구(232)로 가압하여 제1차단부(3)의 측면을 지지한다.
이와 같이 결속부(2)를 연장체(22)와 지지체(23)를 포함하여 구성하면 도로경계석(10)의 클램핑 뿐 아니라 제1차단부(3)의 지지를 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차단부(3)가 두껍고 무거운 재질이 아니더라도 타설물(20)에 밀려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가 가능하다. 한편 연장체(22)에는 후술하는 평탄화부(5)를 설치하기가 용이하다.
제1차단부(3)는 차도쪽으로 넘어 오는 타설물(20)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몸체판(31)과 보조판(32)을 포함한다.
몸체판(31)은 도로경계석(10) 주변에 타설되는 타설물(20)이 차도 쪽으로 넘어오지 않도록 차단한다. 한편 보조판(32)은 몸체판(31)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고 지지체(23)와 결합하여 몸체판(31)이 지지되도록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보조판(32)은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보조판(32)을 통해 제1차단부(3)를 지지체(23)의 걸림고리(231)에 신속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제1차단부(3)를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가압구(232)로 몸체판(31)을 가압하면 제1차단부(3)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몸체판(31)의 상부에는 리브(33)가 결합되는데 이 리브(33)는 타설물(20)의 차도측 모서리 부분이 날카롭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리브(33)는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작은 길이의 리브(33) 여러개를 결합시킴으로써 휘어진 부분에 도로경계석(10)을 설치할 때 제1차단부(3)가 휘어지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리브(33)를 탄성을 가진 재질로 하면 휘어지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제2차단부(4)는 타설물(20)이 보도쪽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일반적인 금속판이나 목재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차단부(4)는 도로경계석(10)의 보도측 측면과 제2고정몸체(112)에 결합되는 다리(12)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제2차단부(4)의 일측은 도로경계석(10)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일측은 다리(12)에 의해 지지되어 자연스럽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제2차단부(4)는 위치가 정확히 고정될 필요는 없고 너무 많은 양의 타설물(20)이 보도쪽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정도면 족하다. 이는 타설물(20)의 타설이 끝난 후 보도쪽에 흙이나 보도 블럭 등이 다시 적층되어 타설물(20)은 가려지므로 굳이 제2차단부(4)의 위치를 고정하여 타설물(20)을 반듯하게 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평탄화부(5)는 타설물(20)의 상면을 평탄하게 하는 것으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브래킷(51)과, 레일(52)과, 대차(53) 및 밀대(54)를 포함한다.
브래킷(51)은 결속부(2)의 연장체(22)에 결합되는데 결속부(2)를 클램핑체(21)로만 구성한 경우에는 위치고정부(1)의 제1고정몸체(111)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연장체(22)나 제1고정몸체(111) 모두에 결합될 수도 있다.
브래킷(51)은 연장체(22) 또는 제1고정몸체(11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임의의 위치에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브래킷(51)에는 레일(52)이 삽입되는 홈(5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511)에 레일(52)이 삽입된 후 브래킷(51)의 측면을 관통하는 체결구(512)가 레일(52)의 측면을 브래킷(51)의 홈(511)의 내벽에 가압하여 레일(52)을 고정한다.
레일(52)은 브래킷(51)에 결합되고 도로경계석(10)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레일(52)은, 도로경계석(10)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레일판(521)과, 레일판(521)의 일단에 레일판(521)을 따라 설치되는 제1보조판(522) 및 레일판(521)의 다른 일단에 레일판(521)의 양측으로 레일판(521)을 따라 설치되는 제2보조판(523)을 포함한다. 제1보조판(522)과 제2보조판(523)은 레일판(521)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다.
브래킷(51)의 홈(511)의 내벽에는 결합홈(513)이 형성되는데 여기에 레일(52)의 제1보조판(522)이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레일(52)이 브래킷(51)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레일(52)은 여러 개의 레일(52)이 서로 결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도로경계석(10)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여러 개의 레일(52)은 제1보조판(522)과 제2보조판(523)이 레일판(521)의 일측으로 튀어 나오도록 결합되고 제2보조판(523) 사이에 생긴 틈에 레일판(521)이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게 된다. 레일판(521), 제1보조판(522), 제2보조판(523)은 잘 휘어지는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레일(52)의 구조는 레일(52) 상호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도로경계석(10)이 곡선으로 휘어진 구간에도 도로경계석(10)과 나란하도록 레일(52)을 휘어지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차(53)는 레일(52)에 결합되고 레일(52)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한다. 대차(53)에는 로울러(531)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 로울러(531)가 레일(52)의 제2보조판(523) 위에 얹혀져 제2보조판(523)을 따라 움직인다. 대차(53)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밀대(54)는 대차(53)에 결합되고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밀대(54)는 대차(53)의 운동에 의해 레일(52)을 따라 움직이고 도로경계석(10) 주변에 타설되는 타설물(20)의 상면을 밀어 평탄하게 한다.
밀대(54)는 진행방향으로 보아 보도측이 앞이고 도로측이 뒤가 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는 밀대(54)에 의해 타설물(20)을 평탄하게 할 때 깎여지는 타설물(20)이 밀대(54)의 경사면을 타고 차도쪽으로 이동하여 제1차단판 외측으로 잘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밀대(54)는 보도측이 낮고 도로측이 높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는 타설물의 보도측을 부분을 낮게 하여 우천시 차도쪽이나 보도쪽에서 흘러들어온 물이 안전하게 배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위와 같은 밀대의 수평방향 경사와 수직방향 경사는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평탄화부(5)에는 면정리부재(5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면정리부재(55)는 밀대(54)로 평탄화한 타설물(20)을 면을 고르게 정리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정리부재(55)를 상방으로 절곡된 판 형태로 하고 연결부재(56)에 의해 밀대(54)와 이격되도록 구성하면 밀대(54)의 평탄화 기능을 보조하면서 타설물(20)을 고르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도로경계석 설치장치(100)를 이용하여 도로경계석(10)을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도로경계석 설치장치(100)를 이용하여 도로경계석(10)을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복수의 도로경계석(10)을 설치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한다(S1).
작업자들은 양중기와 같은 설비를 이용하여 도로경계석(10)을 바닥에 내려놓는다. 내려놓는 도로경계석(10)은 설치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한다. 이 과정에서 도로경계석(10)이 정확하게 나란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일렬로 배치된 도로경계석(10)들을 상방으로 들어올린다(S2).
작업자는 위치고정부(1)의 고정몸체(11)를 이용하여 도로경계석(10)을 클램프한 후 고정몸체(11)를 양중기와 같은 설비를 이용하여 들어올린다. 이는 양중기에 연결된 걸쇠(30, 도 8 참조)를 고정몸체(11)에 걸어서 할 수 있다. 이 때 다리(12)는 조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다음으로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도로경계석(10)들의 높이를 맞추고 맞춰진 높이를 유지시킨다(S3).
작업자는 위치고정부(1)의 고정몸체(11)에 다리(12)를 결합시킨다. 다리(12)는 임시고정편(123)을 이용하여 가조립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임시고정편(123)에 의해 가조립된 상태의 다리(12)는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된다.
그 다음 양중기와 같은 설비로 도로경계석(10)을 적절한 높이로 맞춘 후 다리(12)에 체결된 너트를 조정하여 높이를 유지시킨 후 임시고정편(123)을 제거한다.
이미 높이가 맞춰진 도로경계석(10)과 인접하여 도로경계석(10)을 설치하는 경우 서로 나란하게 되도록 잘 조정한다.
다음으로 높이가 맞춰진 도로경계석(10)들 중 서로 인접한 도로경계석(10)의 단부를 함께 결속하여 일렬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시킨다(S4).
작업자는 결속부(2)로 서로 인접한 도로경계석(10)을 함께 고정한다. 결속부(2)의 면에 도로경계석(10)이 접촉하면서 함께 고정된 도로경계석(10)은 나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로경계석(10)이 일렬로 잘 배치되었는지를 검사한다(S5).
도로경계석(10)이 일렬로 잘 배치되었는지 검사하는 작업은 대체로 공사 책임자가 하게 된다. 위치고정부(1)에는 도로경계석(10)과 상당한 거리로 이격되도록 절곡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이를 통해 도로경계석(10)이 늘어선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차도 쪽과 보도 쪽으로 타설물(20)이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부를 설치한다(S6).
작업자는 차단부는 제1차단부(3)와 제2차단부(4)의 2가지 차단부를 설치한다. 제1차단부(3)는 결속부(2)의 지지체(23)에 형성된 걸림고리(231)에 보조판(32)을 걸어 1차적으로 지지시킨 후 지지체(23)의 가압구(232)로 가압하여 직립을 유지하도록 고정시킨다.
이 때 별도의 지지체(23)를 위치고정부(1)에 결합시켜 결속부(2)의 지지체(23)와 함께 제1차단부(3)를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차단부(4)는 도로경계석(10)의 보도측 측면과 제2고정몸체(112)에 결합되는 다리(12) 사이에 배치한다. 제2차단부(4)는 위치가 정확히 고정될 필요는 없고 너무 많은 양의 타설물(20)이 보도쪽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정도면 족하다.
다음으로 차도쪽 차단판과 보도쪽 차단판 내부의 공간에 타설물(20)을 타설하여 도로경계석(10) 하부까지 타설물(20)이 배치되도록 타설한다(S7).
타설물(20)은 타설기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제1차단부(3)와 제2차단부(4) 사이에 채워지게 된다. 타설물(20)을 예를 들면 콘크리트이다.
도 8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타설물(20)을 타설하는 단계까지 수행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인데 이와 같이 제1차단판과 제2차단판 사이에 타설물(20)이 타설된다.
이 때 위치고정부(1)나 결속부(2)에는 방지캡(124)(도 2 참조)을 씌워 타설물(20)이 위치고정부(1)나 결속부(2)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타설물(20)을 평탄화한다(S8).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도로경계석 설치장치(100)를 이용하여 평탄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인데 이와 같이 타설물(20)의 상면은 평탄하게 된다.
타설물(20)의 평탄화는 평탄화부(5)를 이용하여 수행되는데 작업자는 먼저 결속부(2)에 브래킷(51)을 설치한다. 그리고 이 브래킷(51)에 레일(52)을 결합시킨 후 이 레일(52)에 밀대(54)가 결합된 대차(53)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평탄화부(5)의 설치는 타설물(20)의 타설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는 브래킷(51)을 결속부(2)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위치고정부(1)에 브래킷(51)을 설치할 수도 있고 결속부(2)와 위치고정부(1)에 브래킷(51)을 함께 설치하고 레일(52)을 결합시킴으로써 더 견고하게 레일(52)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위치고정부
11 : 고정몸체
111 : 제1고정몸체 112 : 제2고정몸체 113 : 제1가압단
114 : 제2가압단 115 : 적재홀
12 : 다리
121 : 다리몸체 122 : 지지너트 123 : 임시고정편 124 : 방지캡
122a : 핸들러
2 : 결속부
21 : 클램핑체 211 : 볼트 212 : 슬릿
22 : 연장체
23 : 지지체 231 : 걸림고리 232 : 가압구
3 : 제1차단부
31 : 몸체판 32 : 보조판 33 : 리브
4 : 제2차단부
5 : 평탄화부
51 : 브래킷 511 : 홈 512 : 체결구 513 : 결합홈
52 : 레일 521 : 레일판 522 : 제1보조판 523 : 제2보조판
53 : 대차 531 : 로울러
54 : 밀대
55 : 면정리부재
56 : 연결부재
10 : 도로경계석 20 : 타설물 30 : 걸쇠
100 :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Claims (8)

  1. 보도와 차도 사이에 배치되는 도로경계석을 설치하는 장치로서,
    도로경계석을 클램핑하고 상기 도로경계석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지지하는 위치고정부,
    상기 도로경계석 중 인접한 도로경계석들을 함께 고정하여 상기 도로경계석의 열을 맞추는 결속부,
    상기 도로경계석 주변에 타설되는 타설물이 차도 쪽으로 넘어오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차단부,
    상기 도로경계석 주변에 타설되는 타설물이 보도 쪽으로 넘어오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차단부 및
    상기 도로경계석 주변에 타설되는 타설물의 상면을 평탄하게 하는 평탄화부
    를 포함하는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도로경계석과 이격되도록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도로경계석의 양쪽을 가압하여 클램핑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를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는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도로경계석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며 일단에는 상기 도로경계석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가압하는 제1가압단이 형성되는 제1고정몸체 및
    상기 제1고정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몸체와 수직한 길이 방향 및 평행한 길이 방향이 되도록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도로경계석의 다른 일측면과 접촉하여 가압하는 제2가압단이 형성되는 제2고정몸체
    를 포함하는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4. 제1항에서,
    결속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도로경계석들을 함께 고정하는 클램핑체,
    상기 클램핑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차단부로 연장되는 연장체 및
    상기 연장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차단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체
    를 포함하는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5. 제1항에서,
    제1차단부는,
    상기 도로경계석 주변에 타설되는 타설물이 차도 쪽으로 넘어오지 않도록 차단하는 몸체판 및
    상기 몸체판에 결합되고 상기 위치고정부 또는 상기 결속부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판이 서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보조판
    을 포함하는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6. 제1항에서,
    평탄화부는,
    상기 고정부 또는 결속부에 결합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고 상기 도로경계석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는 대차 및
    상기 대차에 결합되고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밀대
    를 포함하는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레일은,
    상기 도로경계석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레일판,
    상기 레일판의 일단에 상기 레일판을 따라 설치되는 제1보조판 및
    상기 레일판의 다른 일단에 상기 레일판의 양측으로 상기 레일판을 따라 설치되는 제2보조판
    을 포함하는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8. 복수의 도로경계석을 설치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하는 단계,
    상기 도로경계석들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단계,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상기 도로경계석들의 높이를 맞추고 맞춰진 높이를 유지하는 단계,
    높이가 맞춰진 상기 도로경계석들 중 서로 인접한 도로경계석의 단부를 함께 결속하여 일렬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
    도로경계석이 일렬로 잘 배치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
    차도 쪽과 보도 쪽으로 타설물이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판을 설치하는 단계,
    차도쪽 차단판과 보도쪽 차단판 내부의 공간에 타설물을 타설하여 도로경계석 하부까지 타설물이 배치되도록 타설하는 단계 및
    타설물을 평탄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로경계석 설치방법.
KR1020140116752A 2014-09-03 2014-09-03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및 도로경계석 설치방법 KR101661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752A KR101661697B1 (ko) 2014-09-03 2014-09-03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및 도로경계석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752A KR101661697B1 (ko) 2014-09-03 2014-09-03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및 도로경계석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132A true KR20160028132A (ko) 2016-03-11
KR101661697B1 KR101661697B1 (ko) 2016-09-30

Family

ID=55582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752A KR101661697B1 (ko) 2014-09-03 2014-09-03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및 도로경계석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6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7051A (zh) * 2020-02-20 2020-06-16 陈青青 一种可避免错位的建筑路面路缘石精确铺设装置
CN114737454A (zh) * 2022-04-21 2022-07-12 广东省建筑工程机械施工有限公司 一种公路建设的肩石处理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385B1 (ko) * 2008-10-24 2009-02-11 세중공영(주) 도로경계석 운반용 파지구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지지구
KR101003011B1 (ko) 2010-02-04 2010-12-21 라이브텍(주) 도로경계석의 높이 조절 및 유지용 지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 시공방법
KR101003009B1 (ko) * 2010-02-10 2010-12-21 라이브텍(주) 도로경계석이 설치되는 l형 측구의 표면평활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형 측구 표면의 평활시공방법
KR101378967B1 (ko) * 2013-10-01 2014-03-27 신기식 경계석 시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385B1 (ko) * 2008-10-24 2009-02-11 세중공영(주) 도로경계석 운반용 파지구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지지구
KR101003011B1 (ko) 2010-02-04 2010-12-21 라이브텍(주) 도로경계석의 높이 조절 및 유지용 지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 시공방법
KR101003009B1 (ko) * 2010-02-10 2010-12-21 라이브텍(주) 도로경계석이 설치되는 l형 측구의 표면평활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형 측구 표면의 평활시공방법
KR101378967B1 (ko) * 2013-10-01 2014-03-27 신기식 경계석 시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7051A (zh) * 2020-02-20 2020-06-16 陈青青 一种可避免错位的建筑路面路缘石精确铺设装置
CN114737454A (zh) * 2022-04-21 2022-07-12 广东省建筑工程机械施工有限公司 一种公路建设的肩石处理设备
CN114737454B (zh) * 2022-04-21 2022-11-01 广东省建筑工程机械施工有限公司 一种公路建设的肩石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697B1 (ko) 2016-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1030B2 (ja) アンカーボルトセット装置
US8646232B2 (en) Foundation construction for superstructures
US6684580B1 (en) Post stabilization support
KR101067003B1 (ko) 맨홀의 보수장치
KR101254657B1 (ko) 맨홀하우징지지장치를 사용한 맨홀보수방법
US10006186B2 (en) Earth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661697B1 (ko)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및 도로경계석 설치방법
KR20120046919A (ko) 경계석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1732670B1 (ko) 맨홀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 공법
KR20180109531A (ko)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
KR101642864B1 (ko) 도로경계석 손상이 없는 방초시트 설치 시공방법
KR20090070852A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
KR20160099863A (ko) 연속화 강관 소켓 정착장치를 통한 경사지 확장보도
KR101274464B1 (ko) 경계석 시공장치
JP7102251B2 (ja) 堤防法面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設置構造
WO2008136690A1 (en) Armour joint assembly support apparatus
KR200475868Y1 (ko) 경계석 시공 장치
US20160177523A1 (en) Uneven support surface repair system and method
US10689811B2 (en) System,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for raised ground cover mat
KR101496420B1 (ko)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
JP3207911U (ja) モルタル漏出防止用治具
KR20100092609A (ko) 측구용 pc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측구 시공방법
KR200481346Y1 (ko) 도로경계석 거푸집 지그구조
CN217782720U (zh) 一种铠装缝定位结构
JPS6073903A (ja) セメントコンクリ−ト舗装用型枠及びレ−ルの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