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531A -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9531A
KR20180109531A KR1020170039381A KR20170039381A KR20180109531A KR 20180109531 A KR20180109531 A KR 20180109531A KR 1020170039381 A KR1020170039381 A KR 1020170039381A KR 20170039381 A KR20170039381 A KR 20170039381A KR 20180109531 A KR20180109531 A KR 20180109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oundation stone
guide
guide bracke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민우
남궁동우
Original Assignee
남궁민우
남궁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민우, 남궁동우 filed Critical 남궁민우
Priority to KR1020170039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9531A/ko
Publication of KR20180109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5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76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5Subsoil means, e.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석 상부에 결합되는 안내브라켓과, 상기 안내브라켓 상에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위치가변형 브라켓의 구성을 통해 바닥에 놓여지는 기초석의 행과 렬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정확히 센터선을 세팅하고, 다른 한쪽의 센터선은 위치가변형 브라켓의 이동범주 내에 있도록 하여 파이프 설치 작업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가변형 브라켓과 안내브라켓 사이를 볼트부재를 이용해 체결함으로써,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현장 상황에 맞춰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데크 시공작업이 편리하고,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기초석으로부터 분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 파이프 규격등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Grounding Stone Assembly Having Position Adjustable Bracket}
본 발명은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석 상부에 결합되는 안내브라켓과, 상기 안내브라켓 상에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위치가변형 브라켓의 구성을 통해 바닥에 놓여지는 기초석의 행과 렬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정확히 센터선을 세팅하고, 다른 한쪽의 센터선은 위치가변형 브라켓의 이동범주 내에 있도록 하여 파이프 설치 작업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주는 도로 또는 인도에 설치되는 데크, 팬스, 가로등, 신호등, 안내표지판 등과 같은 시설물을 지면에 직립 설치할 수 있는 기둥으로, 이와 같은 지주는 하단으로 볼트가 관통되도록 홈부가 마련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지면에 매설된 콘크리트 기초석과 볼트 너트 체결구조로 인해 지주가 지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이동식 기초구조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의 설치방법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3984호를 통해 공지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지주용 이동식 기초구조는, 데크, 팬스, 가로등, 신호 등, 안내표지판 등과 같은 시설물을 지면에 직립설치할 수 있는 기둥으로 이루어지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하단을 고정하는 기초석으로 구성되는 지주용 기초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하단의 중앙으로 판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판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측이 상기 수용홈에 인입되고 상측 및 하측 부위로 제1, 2관통구가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연결체가 구성되고, 상기 기초석의 상측으로 연결체가 끼움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이격된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연결체에 형성된 제2관통구와 수평선상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고정구가 형성되는 설치체가 구성되고, 상기 지주의 수용홈에 수용된 연결체의 제1관통구와 연결체의 제2관통구 및 설치체의 고정구에 각각 체결되는 볼트체가 구성되고 상기 볼트체의 체결된 상태를 고정시켜 주도록 볼트체에 체결고정되는 너트체가 구성되고 상기 설치체는 보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양측의 선단이 돌출되는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주용 이동식 기초구조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의 설치방법은, 시설물이 설치되는 지형에 설치되는 기초석을 미리 타설하고 상기 타설된 기초석에 지주가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지형에 구애받지 않고 데크, 팬스, 가로등, 신호등, 안내표지판 등과 같은 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콘크리트 작업이 생략되어 시설물의 설치시간이 단축되며 시설물의 철거시 기초석의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지주용 이동식 기초구조를 데크시공에 적용코자 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갖는다.
방부목 패널을 이용한 데크바닥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지면에 기초석을 놓고 그 위에 각 파이프를 이용해 종방향과 횡방향의 격자 틀을 짜서 하중이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바닥에 놓여지는 기초석을 행과 렬을 맞추어 정확한 위치에 놓아야 구조적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데, 위치를 맞추고 그 위에 정확히 틀을 짜서 맞추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시공기간이 길어지고, 인건비를 포함한 전체 공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398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초석 상부에 결합되는 안내브라켓과, 상기 안내브라켓 상에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위치가변형 브라켓의 구성을 통해 바닥에 놓여지는 기초석의 행과 렬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정확히 센터선을 세팅하고, 다른 한쪽의 센터선은 위치가변형 브라켓의 이동범주 내에 있도록 하여 파이프 설치 작업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치가변형 브라켓과 안내브라켓 사이를 볼트부재를 이용해 체결함으로써,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현장 상황에 맞춰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데크 시공작업이 편리한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기초석으로부터 분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 파이프 규격등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에 설치되는 기초석; 상기 기초석에 상부에 결합되는 안내브라켓; 및 상기 안내브라켓 상에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포함하는 위치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초석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피라밋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 상면 중앙에 안내브라켓이 설치되는 상부 결합홈; 및 상기 상부 결합홈 하부에서부터 몸체 바닥으로 관통되는 슬릿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브라켓은, 제1너트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기초석 상부에 함몰 결합되는 슬라이드 안내홈; 및 상기 슬라이드 안내홈을 관통하여 제1너트와 결합하는 볼트부재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상부장공 및 하부장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가변형 브라켓은, 상부가 개구된 "ㄷ"자 형상의 파이프거치대; 상기 파이프거치대의 저면으로 연장되는 볼트부재; 및 안내브라켓의 상부장공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제1너트 및 제2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기초석 상부에 결합되는 안내브라켓과, 상기 안내브라켓 상에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위치가변형 브라켓의 구성을 통해 바닥에 놓여지는 기초석의 행과 렬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정확히 센터선을 세팅하고, 다른 한쪽의 센터선은 위치가변형 브라켓의 이동범주 내에 있도록 하여 파이프 설치 작업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가변형 브라켓과 안내브라켓 사이를 볼트부재를 이용해 체결함으로써,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현장 상황에 맞춰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데크 시공작업이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기초석으로부터 분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 파이프 규격등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의 시공예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크게 기초석(110), 안내브라켓(120), 위치가변형 브라켓(130)로 구성된다.
먼저, 바닥에 설치되는 기초석(110)이 개시된다.
상기 기초석(110)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피라밋형태의 몸체(11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피라밋형태의 몸체(111)은 콘크리트 구조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11) 상면 중앙에는 안내브라켓(120)이 설치되는 상부 결합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결합홈(113)은 직사각형태의 함몰된 홈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결합홈(113)의 형상은 안내브라켓(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안내브라켓(120)은 기초석(110)을 형틀을 이용해 콘크리트 양생하는 과정에서 삽입되어 일체화 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결합홈(113) 하부에서부터 몸체(111) 바닥으로 관통되는 슬릿홈(115)가 형성된다.
상기 슬릿홈(115)는 기초석(110) 상부에 설치되는 데크 또는 파이프 구조물을 타고 유입되는 빗물이 바닥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관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슬릿홈(115)의 단면은 위치가변형 브라켓(130)의 볼트부재(133)이 장입되어 이동되는 길이방향으로의 장공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기초석(110)에 상부에 결합되는 안내브라켓(120)이 개시된다.
상기 안내브라켓(120)은, 제1너트(135)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기초석(110) 상부에 함몰 결합되는 슬라이드 안내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안내홈(121)은 "C"자형 또는"ㅁ"자형 단면을 갖는 사각관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안내홈(121)을 관통하여 제1너트(135)와 결합하는 볼트부재(133)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상부장공(123) 및 하부장공(124)가 형성된다.
이때, 도 1내지 도 4에서는 상기 하부장공(124)의 형태를 양측단이 트인 홈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부장공(123)과 동일한 형상의 장공형상일 수 있고, 상부장공(123)과 하부장공(124)의 형상을 반대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 안내브라켓(120) 상에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위치가변형 브라켓(130)이 개시된다.
상기 위치가변형 브라켓(130)은, 상부가 개구된 "ㄷ"자 형상의 파이프거치대(131)이 개시된다.
상기 파이프거치대(131)은 "ㄷ"자 형상이 바람직하나, 파이프를 안치할 수 있는 "ㄴ"자 형상이나 "ㅡ"자 형상도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거치대(131)의 저면으로 연장되는 볼트부재(133)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부재(133)은 파이프거치대(131)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결합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브라켓(120)의 상부장공(123)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부재(133)에 나사결합되는 제1너트(135) 및 제2너트(136)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너트(135) 및 제2너트(136) 사이가 벌어진 상태에서는 볼트부재(133)을 회전시켜 파이프거치대(131)의 회전방향,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 및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제2너트(136) 조여서 상부장공(123)을 사이에 두고 제1너트(135)와 압착되도록 하여 파이프거치대(13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의 시공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상기 도 4,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초석 어셈블리를 이용한 시공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데크를 시공할 바닥에 개략적인 행과 열을 분할하여 기초석(110)을 놓고, 이중 어느 한쪽의 중심선, 예컨대 제1중심선(C1)에 맞춰 기초석(110)이 정확히 위치되도록 열을 맞추도록 한다.
이때, 도 4, 도 5에서와 같이 기준이 되는 제1중심선(C1)의 방향에 대해 파이프거치대(131)의 방향 즉, 제1파이프(P1)의 방향이 서로 직교되도록 세팅할 수 있다.
이때, 제2중심선(C2) 방향의 기초석(110)의 위치를 정렬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기초석(110) 들이 일직선상에 맞춰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작업자는 파이프거치대(131)에 제1파이프(P1)을 결합하면서 열이 맞지 않는 파이프거치대(131)의 위치를 이동시켜 위치가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제2중심선(C2)에 대해 기초석(110)의 중심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위치가변형 브라켓(130)의 중심선인 제3중심선(C3)이 일치되도록 정렬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불규칙한 지면에서의 시공 때, 파이프거치대(131)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1파이프(P1)의 정렬이 이루어지고 나면, 그 위에 제2파이프(P2)를 격자형태로 배치시켜 결합한다.
상기한 방법으로 격자틀이 완성되면 그 위에 방부목 판넬 등을 촘촘히 깔아서 데크를 완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초석 상부에 결합되는 안내브라켓과, 상기 안내브라켓 상에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위치가변형 브라켓의 구성을 통해 바닥에 놓여지는 기초석의 행과 렬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정확히 센터선을 세팅하고, 다른 한쪽의 센터선은 위치가변형 브라켓의 이동범주 내에 있도록 하여 파이프 설치 작업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가변형 브라켓과 안내브라켓 사이를 볼트부재를 이용해 체결함으로써,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현장 상황에 맞춰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데크 시공작업이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기초석으로부터 분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 파이프 규격등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기초석 111:피라밋몸체
113:상부결합홈 115:슬릿홈
120:안내브라켓 121:슬라이드안내홈
123:상부장공 124:하부장공
130:위치가변 브라켓 131:파이프거치대
133:볼트부재 135:제1너트
136:제2너트

Claims (4)

  1. 바닥에 설치되는 기초석(110);
    상기 기초석(110)에 상부에 결합되는 안내브라켓(120); 및
    상기 안내브라켓(120) 상에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위치가변형 브라켓(130);을 포함하는 위치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석(110)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피라밋형태의 몸체(111);
    상기 몸체(111) 상면 중앙에 안내브라켓(120)이 설치되는 상부 결합홈(113); 및
    상기 상부 결합홈(113) 하부에서부터 몸체(111) 바닥으로 관통되는 슬릿홈(11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브라켓(120)은, 제1너트(135)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기초석(110) 상부에 함몰 결합되는 슬라이드 안내홈(121); 및
    상기 슬라이드 안내홈(121)을 관통하여 제1너트(135)와 결합하는 볼트부재(133)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상부장공(123) 및 하부장공(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형 브라켓(130)은,
    상부가 개구된 "ㄷ"자 형상의 파이프거치대(131);
    상기 파이프거치대(131)의 저면으로 연장되는 볼트부재(133); 및
    안내브라켓(120)의 상부장공(123)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부재(133)에 나사결합되는 제1너트(135) 및 제2너트(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
KR1020170039381A 2017-03-28 2017-03-28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 KR201801095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381A KR20180109531A (ko) 2017-03-28 2017-03-28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381A KR20180109531A (ko) 2017-03-28 2017-03-28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531A true KR20180109531A (ko) 2018-10-08

Family

ID=6386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381A KR20180109531A (ko) 2017-03-28 2017-03-28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95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653A (ko) * 2020-06-30 2022-01-06 권기병 높낮이 조절 주춧돌
KR20220039331A (ko) * 2020-09-22 2022-03-29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모듈형 바체어 구조체 및 그 설치방법
KR20220102836A (ko) * 2021-01-14 2022-07-21 신재모 기둥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653A (ko) * 2020-06-30 2022-01-06 권기병 높낮이 조절 주춧돌
KR20220039331A (ko) * 2020-09-22 2022-03-29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모듈형 바체어 구조체 및 그 설치방법
KR20220102836A (ko) * 2021-01-14 2022-07-21 신재모 기둥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1030B2 (ja) アンカーボルトセット装置
US20140182663A1 (en) Photovoltaic panel system, photovoltaic panel fastening device, and method of installing photovoltaic panel system
KR20180109531A (ko)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
KR101304985B1 (ko) 기초볼트 높낮이 조절용 기초블록 설치대
KR100654170B1 (ko) 도로경계석 시공장치
KR20120046919A (ko) 경계석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JPH05214731A (ja) 柱脚固定装置
GB2519663A (en) Tower construction
JP5753811B2 (ja) ソーラパネル用の架台とその施工方法
KR200468906Y1 (ko) 기초볼트 높낮이 조절용 기초블록 설치대
KR101814755B1 (ko) 경계석용 개량형 거치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KR102094462B1 (ko) 지주대 교체가 편리한 기초 구조체
KR101661697B1 (ko)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및 도로경계석 설치방법
CN208844917U (zh) 现浇混凝土梁板结构模板支撑体系
CN217537014U (zh) 一种钢围檩支撑结构
CN220857972U (zh) 一种光伏板安装用轨道定位结构
CN203783442U (zh) 一种太阳能路灯安装工具
RU2790542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уровня бетонирования вертика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16394381B (zh) Pc预制梁的横隔板可调节模板装置及其施工方法
KR200285372Y1 (ko)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
JPH06272219A (ja) 車止め支柱の支持装置
CN214939172U (zh) 一种城市道路施工的辅助便桥
CN217401906U (zh) 一种高精度水平预埋管道支架
CN220102319U (zh) 一种适用于坡屋面的高度可调的管道支架
KR101311259B1 (ko) 기초환경블록을 이용한 지주의 설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