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672A -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 - Google Patents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7672A KR20160027672A KR1020140116023A KR20140116023A KR20160027672A KR 20160027672 A KR20160027672 A KR 20160027672A KR 1020140116023 A KR1020140116023 A KR 1020140116023A KR 20140116023 A KR20140116023 A KR 20140116023A KR 20160027672 A KR20160027672 A KR 201600276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gas
- joint
- outflow hole
- joint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에 관한 것으로써, 내부공간으로 입상물질이 투입되어 수용되도록 일단부가 개구되고 타단부는 마감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로 상기 입상물질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유출공으로 상기 입상물질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제1접합부; 상기 제1접합부와 상기 유출공 사이의 공간인 제1공간에 일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기체가 상기 제1공간으로 가이드 되도록, 타단부는 상기 제1공간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내부공간의 기체가 유출공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내부의 공기를 유출공을 배출시키기 위한 구조가 최소화됨으로써,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입상물질의 중량이 증대될 수 있는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서, 내부공간의 기체가 유출공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내부의 공기를 유출공을 배출시키기 위한 구조가 최소화됨으로써,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입상물질의 중량이 증대될 수 있는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공간의 기체가 효과적으로 가이드 됨으로써, 내부공간의 기체가 유출공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에 관한 것이다.
포장용 포대란 곡물, 비료, 원료, 사료 등을 포장하는데 이용되는 큰 자루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종이, 가죽, 합성수지, 비닐 등으로 마련된다.
상술한 포장용 포대에 곡물, 비료, 원료, 사료 등을 투입하는 경우, 투입과정에서 외부의 공기도 포장용 포대에 함께 유입된다. 이러한 유입된 공기에 의해서, 포장용 포대의 외면은 곡면 형태로 부풀게 되며, 이 상태에서 포장용 포대의 투입구가 밀봉 또는 마감된다.
따라서, 곡물, 비료, 원료, 사료 등이 투입되어 밀봉된 포장용 포대를 적재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용 포대들의 외면이 수평하지 않기 때문에, 적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포장용 포대의 외면이 수평 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은 포장용 포대에 투입되는 물질이 수분을 함유하는 물질인 경우에도 발생한다. 즉, 포장용 포대에 수분이 함유된 물질(원료, 사료 등)을 투입한 후, 투입구를 밀봉 또는 마감하는 경우, 수용된 물질이 포장용 포대의 내부에서 건조되거나 산화된다. 이때, 건조과정에서 물질에 포함된 수분이 기화되어 수증기가 발생되거나, 산화과정에서 가스가 발생된다.
이러한 수증기 또는 가스는 포장용 포대의 외면을 곡면 형태로 부풀게 하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포장용 포대의 외면이 수평 하지 않은 문제가 동일하게 발생된다.
특허 제10-1065138호는 사료포대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 제10-1065138호의 사료포대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포대의 하부를 밀봉하는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와 이에 의해 형성되는 제1공기통로 및 제2공기통로와 통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 제10-1065138호의 사료포대의 경우, 사료포대 내부의 공기는 제1공기통로 및 제2공기통로를 통해 유동되는데, 상술한 제1공기통로 및 제2공기통로는 바(Bar)형태의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에 의해서 형성되며,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 사이의 공간인 제2공기통로에 통기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통로의 구조에 의하면, 사료포대에 사료가 투입되면서 공기통로의 입구가 사료에 의해 차단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공기통로로 사료비닐포대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거나, 유입된다고 하더라도 유입효율이 매우 떨어진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통기부를 통해 사료비닐포대 내부의 공기가 실질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특허 제10-1065138호의 사료포대의 구조의 경우, 사료포대의 하측면의 전체가 공기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로 이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료포대의 내부공간이 그만큼 협소해 진다. 따라서, 사료포대의 정미중량을 충족하기 위해서, 사료포대 자체의 크기를 더 크게 제작하여야 하며, 이에 의해서, 사료포대의 제조단가가 상승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내부공간의 기체가 효과적으로 가이드 됨으로써, 내부공간의 기체가 유출공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내부의 공기를 유출공을 배출시키기 위한 구조가 최소화됨으로써, 내부공간에 수용가능한 입상물질의 중량이 증대될 수 있는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공간으로 입상물질이 투입되어 수용되도록 일단부가 개구되고 타단부는 마감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로 상기 입상물질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유출공으로 상기 입상물질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제1접합부; 상기 제1접합부와 상기 유출공 사이의 공간인 제1공간에 일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기체가 상기 제1공간으로 가이드 되도록, 타단부는 상기 제1공간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접합부와 상기 제2접합부 사이의 공간인 제2공간의 폭은 상기 제2접합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2접합부의 일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상기 유출공을 통해 상기 제1공간으로 기체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제1공간에서 기체의 와류현상이 발생 되도록, 상기 제1접합부와 상기 제2접합부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공은 상기 밀봉부 측의 양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합부와 상기 제2접합부는 상기 본체부가 열접합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접합부와 제2접합부 사이의 공간인 제2공간으로 내부공간의 기체가 효과적으로 가이드 됨으로써, 내부공간의 기체가 제2공간 및 제1공간을 통해 유출공을 경유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내부의 공기를 유출공을 배출시키기 위한 구조가 최소화됨으로써, 내부공간에 수용가능한 입상물질의 중량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제2공간의 폭이 제2접합부의 타단부에서 제2접합부의 일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줄어드는 것을 이용하여, 내부공간의 기체를 제1공간으로 효과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가 곡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유출공을 통해 제1공간으로 기체가 유입되는 경우, 유입되는 기체에 와류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외부에서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기체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의 정면도 이고,
도 3은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의 유출공과 밀봉부와 제1접합부와 제2접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의 제1변형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의 제2변형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의 내부공간에 투입되는 입상물질의 유동을 도시한 것이고,
도 7는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에서의 기체의 제1유동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에서의 기체의 제2유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의 정면도 이고,
도 3은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의 유출공과 밀봉부와 제1접합부와 제2접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의 제1변형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의 제2변형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의 내부공간에 투입되는 입상물질의 유동을 도시한 것이고,
도 7는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에서의 기체의 제1유동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에서의 기체의 제2유동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의 정면도 이고, 도 3은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의 유출공과 밀봉부와 제1접합부와 제2접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는 본체부와 밀봉부와 제1접합부와 제2접합부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내부공간으로 입상물질이 투입되어 수용되도록 일단부가 개구되고 타단부는 마감되는 것으로써, 내부공간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부는 종이, 가죽, 합성수지, 비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공간으로 입상물질이 투입되어 수용되도록 일단부가 개구되고 타단부가 마감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밀봉부는 본체부의 타단부로 내부공간의 기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써, 본체부의 타단부를 밀봉한다.
이러한 밀봉부는 본체부의 타단부측의 상면과 하면이 열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의 타단부측을 밀봉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제1접합부는 내부공간에서 유출공으로 입상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써, 내부공간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접합부는 유출공의 상측에 형성되며, 이러한 제1접합부의 위치에 의해 제1접합부와 유출공 사이에 소정의 공간(제1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1접합부는 유출공의 원주방향을 따라 밀봉부 측으로 기울어지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입상물질이 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경우, 제1접합부의 곡면에 의해서 입상물질이 제1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따라서, 입상물질이 유출공으로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상술한 제1접합부는 본체부의 상면과 하면이 열접합 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공간에서 유출공으로 입상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공간에서 형성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방법으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제2접합부는 내부공간의 기체를 제1접합부와 유출공 사이의 공간인 제1공간으로 가이드 하는 것으로써, 제1공간에 일단부가 형성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1공간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2접합부는 제1접합부와 유출공 사이의 공간, 즉, 제1공간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서, 제1접합부와 제2접합부 사이의 공간인 제2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2접합부의 타단부는 제1공간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2접합부의 연장 형성된 형상에 의해서, 제2공간의 유입구가 확대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공간의 기체가 제2공간으로 효과적으로 가이드됨으로써, 내부공간의 기체가 제2공간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2접합부는 상술한 제1접합부와 마찬가지로 유출공의 원주방향을 따라 밀봉부 측으로 기울어지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입상물질이 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경우, 제2접합부의 곡면에 의해서 입상물질이 제2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입상물질이 유출공으로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접합부 및 제1접합부는 유출공의 원주방향을 따라 밀봉부 측으로 기울어지는 곡면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내부공간의 기체가 유출공으로 배출되는 구조가 최소화, 즉, 제2접합부와 제2공간과 제1접합부와 제1공간과 유출공이 본체부의 내부공간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최소화되며, 이에 의해서, 내부공간에 수용가능한 입상물질의 중량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제2접합부와 제2접합부는 제2접합부와 제1접합부 사이의 공간, 즉, 제2공간의 폭이 제2접합부의 타단부에서 제2접합부의 일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접합부의 타단부 측의 제2공간의 폭이 제2접합부의 일단부 측의 제2공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공간의 형상에 의해서, 내부공간에서 제2공간으로 기체가 효과적으로 가이드 되어 용이하게 유입되고, 반대로, 외부에서 유출공을 통해 제1공간에서부터 제2공간으로 유입되는 기체는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접합부는 본체부의 상면과 하면이 열접합 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공간의 기체를 제1접합부와 유출공 사이의 공간인 제1공간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제1공간에 일단부가 형성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1공간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방법으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술한 본체부와 밀봉부와 제1접합부와 제2접합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에 의하면, 제1접합부와 제2접합부 사이의 공간인 제1공간으로 내부공간의 기체가 효과적으로 가이드 됨으로써, 내부공간의 기체가 제1공간을 통해 유출공을 경유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내부의 공기를 유출공을 배출시키기 위한 구조가 최소화됨으로써, 내부공간에 수용가능한 입상물질의 중량이 증대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의 제1변형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의 제2변형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공은 밀봉부 측의 양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양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유출공 사이에 또 하나의 유출공이 형성된다. 상술한 복수개의 유출공에는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다수개의 유출공 및 이에 수반되는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에 의해서, 내부공간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공은 밀봉부 측의 양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양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유출공 사이에 또 하나의 유출공이 형성된다. 상술한 복수개의 유출공에는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는 유출공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된다.
이러한 다수개의 유출공 및 이에 각각 수반되는 다수개의 제1접합부 및 다수개의 제2접합부에 의해, 내부공간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에서의 입상물질과 기체의 유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의 내부공간에 투입되는 입상물질의 유동을 도시한 것이고, 도 7는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에서의 기체의 제1유동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1의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에서의 기체의 제2유동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에서의 입상물질의 유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입상물질이 투입된다. 이후, 투입된 입상물질은 밀봉부 측으로 유동된다. 이때, 유출공의 상측에는 제1접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입상물질이 유출공에 도달하기 전에 제1접합부에 도달한다.
이후, 제1접합부에 도달한 입상물질의 일부는 제1접합부의 곡면을 따라 유동되며, 이때, 제1접합부가 유출공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입상물질은 유출공으로 유입되지 않고, 밀봉부 측으로 유동되거나, 제2접합부에 도달한다. 이때, 제2접합부도 유출공의 원주방향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입상물질은 유출공으로 유입되지 않고, 밀봉부 측으로 유동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1접합부와 제2접합부와 유출공의 위치적 특징 및 구조적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에서의 입상물질의 유동에 의하면, 입상물질이 유출공으로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에서의 기체의 유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의 기체가 제2접합부의 타단부 측, 즉, 제2공간의 유입구로 유입된다. 유입된 기체는 제2공간을 경유하여 제1공간으로 유동된다. 이때, 제2공간의 유입구의 폭은 제2공간의 유출구 즉, 제2접합부의 일단부 측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부공간의 기체가 제2공간으로 효과적으로 유입된다. 이후, 제1공간으로 유입된 기체는 유출공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유출공으로 기체가 유입된다. 유출공은 제1공간과 연통되어 있는 바, 유출공으로 유입된 기체는 제1공간으로 유입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간으로 유입된 기체는 제1접합부 및 제2접합부에 접촉된다. 이때, 제1접합부와 제2접합부는 곡면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제1공간에서 기체의 와류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와류현상에 의해서, 기체의 방향이 다시 유출공 측을 향하게 되며, 이후, 기체는 유출공을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1접합부와 제2접합부와 유출공의 위치적 특징 및 구조적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에서의 기체의 유동에 의하면, 내부공간의 기체가 유출공으로 효과적으로 유출되며, 외부에서 유출공을 통해 제1공간으로 유입되는 기체가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
110 : 본체부 120 : 밀봉부
130 : 제1접합부 140 : 제2접합부
s : 내부공간 s1 : 제1공간
s2 : 제2공간 o : 유출공
110 : 본체부 120 : 밀봉부
130 : 제1접합부 140 : 제2접합부
s : 내부공간 s1 : 제1공간
s2 : 제2공간 o : 유출공
Claims (5)
- 내부공간으로 입상물질이 투입되어 수용되도록 일단부가 개구되고 타단부는 마감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로 상기 입상물질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유출공으로 상기 입상물질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제1접합부;
상기 제1접합부와 상기 유출공 사이의 공간인 제1공간에 일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기체가 상기 제1공간으로 가이드 되도록, 타단부는 상기 제1공간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부와 상기 제2접합부 사이의 공간인 제2공간의 폭은 상기 제2접합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2접합부의 일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상기 유출공을 통해 상기 제1공간으로 기체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제1공간에서 기체의 와류현상이 발생 되도록, 상기 제1접합부와 상기 제2접합부는 곡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은 상기 밀봉부 측의 양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부와 상기 제2접합부는 상기 본체부가 열접합 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6023A KR101609945B1 (ko) | 2014-09-02 | 2014-09-02 |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6023A KR101609945B1 (ko) | 2014-09-02 | 2014-09-02 |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7672A true KR20160027672A (ko) | 2016-03-10 |
KR101609945B1 KR101609945B1 (ko) | 2016-04-07 |
Family
ID=5553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6023A KR101609945B1 (ko) | 2014-09-02 | 2014-09-02 |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9945B1 (ko) |
-
2014
- 2014-09-02 KR KR1020140116023A patent/KR101609945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9945B1 (ko) | 2016-04-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198368A1 (en) | Container liner and a method of discharging a container liner | |
MY166094A (en) | Packaging container that can be vented | |
KR200457444Y1 (ko) | 포장용기용 공기배출구조 | |
KR101303847B1 (ko) |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 |
KR101609945B1 (ko) |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 | |
CN103407693A (zh) | 包装盒 | |
CN107428443B (zh) | 配件防溅护罩 | |
KR20120134992A (ko) |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 |
JP2013147255A (ja) | 脱気容易な防湿袋 | |
KR101459115B1 (ko) | 컨테이너백 | |
US20190308790A1 (en) | Cushioning packaging material | |
KR20140096838A (ko) | 발효식품용 포장지 | |
CN206318236U (zh) | 一种防潮包装 | |
KR101095116B1 (ko) | 컨테이너 백 구조 | |
KR20220150755A (ko) | 횡방향 절개부가 구비된 컨테이너 백 | |
KR101587164B1 (ko) | 수납 포대 | |
CN203439462U (zh) | 包装盒 | |
KR101651467B1 (ko) |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 | |
FR3060192B1 (fr) | Emballage de transport et/ou d'entreposage de matieres radioactives comprenant un systeme de communication fluidique ameliore entre l'interieur et l'exterieur de l'enceinte de confinement | |
KR200488246Y1 (ko) | 포장용 파우치 | |
KR101475463B1 (ko) |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 |
CN206050424U (zh) | 防膨胀、免受潮的拉筋内袋 | |
CN205114137U (zh) | 改进结构的集装箱内衬袋 | |
CN207030037U (zh) | 集装箱内衬袋 | |
JP2005153974A (ja) | 通気性チャック付きサイドガゼット包装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