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516A -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516A
KR20160027516A KR1020140115033A KR20140115033A KR20160027516A KR 20160027516 A KR20160027516 A KR 20160027516A KR 1020140115033 A KR1020140115033 A KR 1020140115033A KR 20140115033 A KR20140115033 A KR 20140115033A KR 20160027516 A KR20160027516 A KR 20160027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elastic
rehabilitation
wearer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보환
신영섭
송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마토헬스케어
신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마토헬스케어, 신영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마토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4011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7516A/ko
Publication of KR20160027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having torsion or bending or flexion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 재활운동이 요구되는 환자가 손가락을 쥐거나 펴는 반복적인 재활운동이 수행시, 탄성력에 의한 효과적인 손가락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재활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핑거끼움구; 상기 핑거끼움구에 연결된 상태로 착용자의 손등과 손가락 상측을 커버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커버체; 상기 탄성커버체에 연결된 상태로 착용자의 손목에 감싸지도록 형성되는 탄성고정구; 상기 탄성커버체에 양측단이 연결된 상태로 착용자의 손바닥에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탄성연결체; 상기 탄성연결체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핑거끼움구가 끼워진 손가락 끝단의 가압에 반응하여 운동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반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EXERCISE DEVICE OF FINGER FOR REHABILITATION}
본 발명은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 재활운동이 요구되는 환자가 손가락을 쥐거나 펴는 반복적인 재활운동이 수행시, 탄성력에 의한 효과적인 손가락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재활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풍환자와 같이 관절에 이상이 있는 사람, 손가락 골절상을 많이 당하는 운동선수 및 진동기구를 많이 사용하는 작업자들은 손가락의 관절들을 굽히고 펴는 재활운동을 꾸준히 오랜 시간 동안 수행해야 한다.
통상, 재활운동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은 병원 등에서 지정한 시간에 물리치료사의 보조를 받아 재활운동을 해야한다. 재활운동은 꾸준히 오랜 시간 동안 수행하여야 하나 물리치료사의 보조를 받아 수행하는 재활운동은 그 시간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환자들은 병원 등에서의 재활운동 시간 이외의 시간에도 재활운동을 하기 위해 손가락 재활운동을 보조하는 손가락 운동 장치를 구매하여 재활운동을 하고 있다.
종래의 손가락 운동 장치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9241호 및 제10-2003-0008189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장갑 등에 스프링이나 고무밴드가 장착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스프링이나 고무밴드가 장착된 상태의 장갑을 환자가 착용하고, 환자가 직접 손가락을 움직여 손가락의 근육을 강화하거나 마비를 풀어주는 장치여서 스스로 인내심을 가지고 노력해야 한다. 이와 같이 스스로 수행하는 재활운동은 많은 인내심과 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으며, 어느 정도 근력이 있는 환자만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프링이나 고무밴드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특정 관절만 훈련되어 모든 관절 훈련에는 크게 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있고, 손가락을 구부리고 펴는 반복동작의 지속으로 인해 재활운동에 동기부여나 재미를 줄 수 없어 환자들이 손가락 재활운동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손등과 손가락 상측을 커버하는 탄성커버체에 연결된 핑거끼움구를 손가락의 끝단에 끼워 착용한 상태로 손가락을 쥐는 동작의 수행시 상기 탄성커버체의 탄성력으로 인해 효과적인 손가락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손가락 재활운동이 요구되는 환자가 손가락을 쥐거나 펴는 반복적인 재활운동의 수행시, 손바닥 부위에 위치하는 카운터반응부재를 핑거끼움구가 끼워진 손가락 끝단으로 가압하여 카운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손가락 재활운동의 동기를 부여하여 효과적인 손가락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핑거끼움구; 상기 핑거끼움구에 연결된 상태로 착용자의 손등과 손가락 상측을 커버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커버체; 상기 탄성커버체에 연결된 상태로 착용자의 손목에 감싸지도록 형성되는 탄성고정구; 상기 탄성커버체에 양측단이 연결된 상태로 착용자의 손바닥에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탄성연결체; 상기 탄성연결체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핑거끼움구가 끼워진 손가락 끝단의 가압에 반응하여 운동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반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가락 재활운동시 탄성커버체의 탄성력으로 인해 효과적인 손가락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더욱이 핑거끼움구가 끼워진 손가락 끝단으로 카운터반응부재를 가압하여 카운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반복적인 손가락 재활운동에 동기를 부여하여 더욱 효과적인 손가락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의 손등부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를 착용한 상태로 손가락을 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끼움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반응부재의 일측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b는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반응부재의 타측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반응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의 손등부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를 착용한 상태로 손가락을 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끼움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반응부재의 일측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반응부재의 타측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반응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는 착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핑거끼움구(10), 상기 핑거끼움구(10)와 연결되는 탄성커버체(20), 상기 탄성커버체(20)와 연결되게 형성되는 탄성고정구(30), 착용자의 손바닥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탄성연결체(40) 및 상기 탄성연결체(40)에 설치되는 카운터반응부재(50)로 구성된다.
상기 핑거끼움구(10)는 착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것으로, 착용자의 손가락 첫째마디 또는 손가락 두째 마디를 감쌀 수 있도록 끼워지나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손가락 첫째 마디까지 감싸도록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손가락을 쥐는 동작시 손가락에 더욱 많은 힘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활치료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때, 상기 핑거끼움구(10)는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착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대응하여 밀착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가락 운동시 더욱 효과적인 손가락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핑거끼움구(10)의 끝단에는 가압구(1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손가락의 쥐는 동작시 후술되는 카운터반응부재(50)에 더욱 용이한 가압동작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고, 상기 가압구(11)는 플라스틱과 같이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재활치료를 위한 손가락 운동을 수행하는 환자의 경우 손을 쥐는 악력이 약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손을 쥐어 상기 핑거끼움구(10)의 끝단을 카운터반응부재(50)에 가압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가압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가압구(11)를 상기 핑거끼움구(10)의 끝단에 형성하여 가압동작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핑거끼움구(10)의 끝단 내측에는 손가락의 끝단을 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지압돌기(1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손을 쥐어 카운터반응부재(5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지압돌기(12)가 손가락의 끝단을 지압하여 말초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핑거끼움구(10)가 착용자의 손가락 첫째마디 또는 두째마디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손가락 전체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탄성커버체(20)는 상기 핑거끼움구(10)에 연결된 상태로 착용자의 손등과 손가락 상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커버체(20)는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탄성커버체(20)가 일정한 탄성력이 갖도록 하여 상기 핑거끼움구(10)를 손가락에 끼운 상태에서 손가락의 쥐는 동작시 더욱 많은 힘이 요구되도록 하여 재활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탄성고정구(30)는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커버체(20)에 연결된 상태로 착용자의 손목에 감싸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정한 탄성력으로 인해 사용자의 손목두께에 대응하여 착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고정구(30)는 골과 산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주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목두께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착용 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탄성연결체(40)는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커버체(20)에 양측단이 연결된 상태로 착용자의 손바닥에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연결체(40)는 상기 핑거끼움구(10) 및 탄성고정구(3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탄성커버체(20)에 양측단이 연결되게 설치되어 착용자의 손바닥부위가 상기 탄성연결체(40)와 핑거끼움구(10), 상기 탄성연결체(40)와 탄성고정구(30) 사이의 공간부(41)를 통해 노출되게 하는데, 이는 재활치료를 위해 손을 쥐거나 펴는 동작을 장시간 반복 수행하는 과정에서 손바닥에 발생하는 땀 증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핑거끼움구(10)가 손가락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핑거끼움구(10)와 탄성커버체(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와 같은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이며, 또한 상기 탄성연결체(40)와 탄성고정구(30)도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와 같은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즉, 일반적으로 손에 착용하는 장갑의 손바닥부위와 같이 핑거끼움구(10), 탄성연결체(40), 탄성고정구(30)가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카운터반응부재(50)는 상기 탄성연결체(4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핑거끼움구(10)가 끼워진 손가락 끝단의 가압에 반응하여 운동횟수를 카운팅한다.
일 실시예로서의 상기 카운터반응부재(50)는 착용자가 가압하면 카운팅을 수행하게 되는 수동카운터로써, 착용자가 손가락을 쥐었을때 각각의 손가락 끝단이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다수개가 설치된다.
이렇게 다수개의 수동카운터에 의해 각각의 손가락 끝단을 카운팅하게 되므로 재활치료시 악력이 적게 작용하거나 세게 작용하는 손가락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의 상기 카운터반응부재(50)는 상기 탄성연결체(4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플렉시블한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과 상기 플렉시블한 인쇄회로기판(60)에 설치되는 압력센서(70)와 상기 압력센서(70)에 연결되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카운팅하는 카운터기(8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FPCB(60)을 보호하도록 별도의 커버체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압력센서(70)는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70)는 네 개의 손가락에 대응하도록 4개가 상기 FPCB(60)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센서(70)에서는 설정압력 이상의 가압이 이루어지는 경우, 그 신호를 상기 카운터기(80)로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기(80)는 상기 압력센서(70)와 연결되어 카운팅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카운터기(80)는 상기 탄성커버체(20), 탄성고정구(30), 탄성연결체(4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센서(70)와 유선 연결된다.
즉, 상기 카운터기(80)는 상기 압력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81)와 상기 수신부(81)를 통해 수신된 신호가 4개의 압력센서 중 어느 압력센서의 신호인지 판단하는 판단부(83)와 상기 판단부(83)에 의해 판단된 각 압력센서의 신호를 각각 표시하게 되는 표시부(85)로 구성되고, 상기 카운터기(80)에는 별도의 전원부(87)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5)에서는 각각의 압력센서(70)에서 수신된 가압신호를 각각 디지털숫자로 카운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표시부(85)에서는 상기 핑거끼움구(10)가 끼워진 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4 손가락 중 적어도 3개 이상의 손가락 끝단의 가압에 의해 카운팅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판단부(83)에서 상기 수신부(81)에 수신된 신호의 수를 판단하여 3개이상의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표시부(85)에 디지털숫자로 카운팅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3개 이상의 손가락 끝단이 가압 되어야만 카운팅되게 함으로써 재활치료시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을 모두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재활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4 손가락 중 적어도 3개 이상의 손가락 끝단이 상기 카운터반응부재(50) 즉 상기 압력센서(70)를 가압한 상태로, 상기 핑거끼움구(10)가 끼워진 엄지손가락의 구부림 동작시 상기 카운터반응부재(50)의 카운터기(80)에서 카운팅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엄지손가락에 끼워지는 핑거끼움구(10)가 상기 카운터기(80)와 유선연결되어 엄기손가락를 구부리면 상기 카운터기(80)에 연결된 유선이 잡아당겨져 상기 카운터기(80)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상기 표시부(85)에 카운팅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손가락 모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활치료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카운터반응부재(50)에 손가락 끝단의 가압에 의해 카운팅시, 미리 설정된 알림음을 발생하도록 하는 알림발생모듈(90)을 설치하여, 손가락의 구부리는 반복적인 재활치료시 즐거움을 주도록 하여 환자가 재활치료를 더욱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는 재활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가정에서 직접사용할 수 있으며, 병원에서도 재활치료를 목적으로 다수개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를 병원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면, 일 사용예로써 병원내 재활치료를 위해 마련된 재활치료실에 다양한 사이즈의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를 다수개 마련한 상태로 재활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보호자나 도우미와 함께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자신의 손 크기에 맞는 손가락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재활치료를 수행하면 된다.
이때, 다수개의 손가락 운동기구에는 각각 번호가 부여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다음번에 환자가 방문하는 경우, 자신의 손크기에 맞는 손가락 운동기구의 선택을 더욱 수월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핑거끼움구 11: 가압구
12: 지압돌기 20: 탄성커버체
30: 탄성고정구 40: 탄성연결체
41: 공간부 50: 카운터반응부재
60: 인쇄회로기판 70: 압력센서
80: 카운터기 81: 수신부
83: 판단부 85: 표시부
87: 전원부 90: 알림발생모듈

Claims (6)

  1. 착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핑거끼움구;
    상기 핑거끼움구에 연결된 상태로 착용자의 손등과 손가락 상측을 커버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커버체;
    상기 탄성커버체에 연결된 상태로 착용자의 손목에 감싸지도록 형성되는 탄성고정구;
    상기 탄성커버체에 양측단이 연결된 상태로 착용자의 손바닥에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탄성연결체;
    상기 탄성연결체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핑거끼움구가 끼워진 손가락 끝단의 가압에 반응하여 운동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반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반응부재는, 상기 탄성연결체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플렉시블한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과 상기 플렉시블한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반응압력센서와 상기 반응압력센서에 연결되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카운팅하는 카운터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끼움구가 끼워진 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4 손가락 중 적어도 3개 이상의 손가락 끝단의 가압에 의해 카운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반응부재(50)에는 손가락 끝단의 가압에 의해 카운팅시, 미리 설정된 알림을 발생하도록 하는 알림발생모듈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4 손가락 중 적어도 3개 이상의 손가락 끝단이 상기 카운터반응부재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핑거끼움구가 끼워진 엄지손가락의 구부림 동작시 카운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체의 타측면에는, 상기 핑거끼움구가 끼워진 손가락 끝단이 상기 카운터반응부재를 가압하는 경우, 착용자의 손바닥을 가압하는 복수개의 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
KR1020140115033A 2014-09-01 2014-09-01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 KR201600275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033A KR20160027516A (ko) 2014-09-01 2014-09-01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033A KR20160027516A (ko) 2014-09-01 2014-09-01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516A true KR20160027516A (ko) 2016-03-10

Family

ID=5553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033A KR20160027516A (ko) 2014-09-01 2014-09-01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7516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295B1 (ko) * 2015-07-13 2016-10-0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악력기
CN108057208A (zh) * 2017-12-21 2018-05-22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手部肌力锻炼装置
KR101971610B1 (ko) 2017-12-07 2019-04-23 주식회사 셈앤텍 손가락 운동 기구
KR20200097509A (ko) *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 재활 훈련장치
KR20200097849A (ko) * 2019-02-08 2020-08-20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 재활 훈련장치
KR20210025844A (ko) *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 재활 운동장치
KR20210041469A (ko)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가락 움직임 보조용 장갑
KR20210148455A (ko) * 2020-05-28 2021-12-08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 재활 훈련장치
WO2022265456A1 (ko) * 2021-06-18 2022-12-22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가락 운동 측정을 위한 장치
WO2024038974A1 (ko) * 2022-08-17 2024-02-22 (의)삼성의료재단 재활 훈련용 장갑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295B1 (ko) * 2015-07-13 2016-10-0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악력기
KR101971610B1 (ko) 2017-12-07 2019-04-23 주식회사 셈앤텍 손가락 운동 기구
CN108057208A (zh) * 2017-12-21 2018-05-22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手部肌力锻炼装置
KR20200097509A (ko) *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 재활 훈련장치
KR20200097849A (ko) * 2019-02-08 2020-08-20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 재활 훈련장치
KR20210025844A (ko) *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 재활 운동장치
KR20210041469A (ko)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가락 움직임 보조용 장갑
KR20210042003A (ko) * 2019-10-07 2021-04-16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가락 움직임 보조용 장갑
KR20210148455A (ko) * 2020-05-28 2021-12-08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 재활 훈련장치
WO2022265456A1 (ko) * 2021-06-18 2022-12-22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가락 운동 측정을 위한 장치
WO2024038974A1 (ko) * 2022-08-17 2024-02-22 (의)삼성의료재단 재활 훈련용 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7516A (ko)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
JP5557529B2 (ja) 動力で作動する矯正デバイス
KR20190035569A (ko)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JP2011516915A (ja) モーションコンテンツベースの学習装置及び方法
US11065171B2 (en) Assistive glove for daily activities of stroke patient
US20210361192A1 (en) Hand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US20220226183A1 (en) A self driven rehabilit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471805B1 (ko) 손 운동장치
WO2018160707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180093611A (ko)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
TWI468198B (zh) Motion system with feedback display function
KR101535418B1 (ko) 복대
KR200470707Y1 (ko) 손 운동기구
JP2018505409A (ja) 力測定メカニズム
TWM580000U (zh) Swimming training leg movement posture correcting device
US20050227814A1 (en) Exercise device
JP2011036494A (ja) 機能回復補助具
CN212789659U (zh) 一种神经内科护理用手部锻炼装置
KR20180041308A (ko) 철봉에 연결하는 턱걸이용 탄성밴드
KR102202859B1 (ko) 손 재활 훈련장치
KR20110075579A (ko) 헬스용장갑
KR20210041469A (ko) 손가락 움직임 보조용 장갑
KR20180049283A (ko) 손 재활 운동 장치
TWI377079B (en) Rehabilitative walk training apparatus
KR101457353B1 (ko) 근력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