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418B1 - 복대 - Google Patents

복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418B1
KR101535418B1 KR1020130115750A KR20130115750A KR101535418B1 KR 101535418 B1 KR101535418 B1 KR 101535418B1 KR 1020130115750 A KR1020130115750 A KR 1020130115750A KR 20130115750 A KR20130115750 A KR 20130115750A KR 101535418 B1 KR101535418 B1 KR 101535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casing
band
ba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5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662A (ko
Inventor
양재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메드
Priority to KR1020130115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41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5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 통증이 있는 환자가 복부에 착용하여 심부 복부근을 능동적으로 수축을 유도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바이오 피드백 복대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복대(1)는 밴드부(2)에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을 밴드부(2)의 신장, 수축으로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감지수단(4)과; 상기 감지수단(4)의 감지작동에 의해 복부근이 이완 시 청각으로 이를 고지할 수 있도록 청각고지수단(5)과; 상기 감지수단(4)은 밴드부(2) 일단이 고정되는 케이싱(7)과, 상기 케이싱(7)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감지편(10)과, 상기 고정감지편(10)에 선택적으로 연접되어 전기적인 접점을 연결할 수 있도록 케이싱(7) 내부에 고정된 신축부재(9)와 타단이 연결된 밴드부(2) 단부에 설치되는 가동감지편(1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복대는 청각적 또는 진동적으로 바이오 피드백 기술을 구현하여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지속적, 효율적인 심부 복부근 운동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스스로 운동 참여가 가능한 능동형 재활기기로서 활용 가치가 높고, 심부 복부근 강화 운동을 통한 비만 예방 효과, 자가 수축을 통한 능동적인 척추 안정성 증진으로 요통의 근본적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복대{Bellyband}
본 발명은 복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허리 통증이 있는 환자가 복부에 착용하여 심부 복부근을 능동적으로 수축을 유도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바이오 피드백 복대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허리 부위에 착용하는 복대는 요통 완화를 위해 가장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보조기구이며,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복대는 수동적인 안정성을 제공하여 일시적인 통증 완화 효과를 제공하지만, 장기간 착용시 요부 주위의 근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연구결과 밝혀짐으로서, 통증이 있을 때만 착용하고 방치되거나 버려지는 경우가 다반사라 경제적 손실 또한 무시할 수 없었다.
최근에는 능동적인 심부 복부근의 수축은 복대와 같이 체간의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일반 복대를 착용한 경우 근력 약화의 위험이 없으므로 운동치료에서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심부 복부근의 훈련은 환자 스스로 수행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고, 이에 따라 압력 바이오 피드백을 이용하여 심부 복부근의 작용을 평가하고 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압력게이지를 통한 시각적 피드백을 주어 심부 복부근 훈련에 효과가 있지만, 엎드린 자세와 같은 고정 지지면이 있어야 사용이 가능하여 기능적인 동작에서 훈련에는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 10-2013-0080500 호에는 복부가 이완된 것을 알려줄 수 있는 바이오 피드백 전자 복대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 바, 이는 사람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대 몸체, 상기 복대 몸체에 걸리는 장력을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복대 몸체에 설치된 장력 센서 및 상기 장력 센서의 신호에 따라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림부를 포함토록 하며, 상기 장력 센서는 상기 복대 몸체를 찬 사람의 복부근이 수축된 상태에서 이완된 상태로 변화하면 신호를 출력하여 알림부가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공개특허 역시 장력 센서를 사용하여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을 감지토록 하여 제작비용의 앙등과 더불어 오작동의 우려가 높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복대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었던 것이다.
KR 공개특허 10-2013-0080500
이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대는 허리 통증이 있는 환자가 복부에 착용하여 심부 복부근을 능동적으로 수축을 유도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바이오 피드백 복대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오작동이 거의 없어 고장률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복대를 착용한 착용자가 복부근에 힘을 주어 복부근이 수축된 상태에서 복부근에 힘을 풀어 복부근이 이완되면 청각적, 진동적 신호로 이를 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복부근 운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복대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대는 결속부를 갖는 밴드부를 구비하여 허리, 복부에 착용토록 한 복대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에는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을 감지토록 설치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작동에 의해 복부근이 이완 시 청각으로 이를 고지할 수 있도록 청각고지수단 또는 진동으로 고지할 수 있는 진동고지수단을 선택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은 밴드부가 복부근의 이완으로 신장될 시에 경유하는 감지수단의 케이싱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감지편과;
상기 고정감지편에 선택적으로 연접되어 전기적인 접점을 연결할 수 있도록 밴드부 단부에 설치되는 가동감지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감지편은 전기적인 저항값이 순차적으로 다르게 설정된 접점으로 구성하여, 복부근의 이완 정도가 커질수록 청각 또는 진동 신호를 점차적으로 크게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대는 전기적인 저항값을 달리하는 복수개의 접점 단자를 감지수단의 고정감지편으로 사용토록 하고, 상기 고정감지편과 접점 단속될 수 있는 가동감지편을 밴드부에 구비하여 제작비용을 염가로 제작할 수 있으며, 오작동의 우려 일소 및 내구성이 우수한 복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대는 청각적 또는 진동적으로 바이오 피드백 기술을 구현하여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지속적, 효율적인 심부 복부근 운동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스스로 운동 참여가 가능한 능동형 재활기기로서 활용 가치가 높고, 심부 복부근 강화 운동을 통한 비만 예방 효과, 자가 수축을 통한 능동적인 척추 안정성 증진으로 요통의 근본적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감지수단을 확대한 발췌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감지수단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감지수단의 사용상태 평면도로서, 복부근을 수축시킨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감지수단의 사용상태 평면도로서, 복부근을 이완시킨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대의 착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로서, 복부근을 수축시킨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대의 착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로서, 복부근을 이완시킨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감지수단 횡단면도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대는 착용자가 복부근을 수축 상태에서 착용하고, 복부근을 이완시키면 복대의 밴드부에 설치된 전기적인 감지수단에 의해 이완 상태를 감지하여 주위에 이를 청각, 또는 진동으로 고지토록 하여 복부근 강화운동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대는 밴드부에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을 감지토록 감지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작동에 의해 복부근이 이완 시 청각으로 이를 고지할 수 있도록 청각고지수단 또는 진동으로 고지할 수 있는 진동고지수단을 선택적으로 구비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은 밴드부가 복부근의 이완으로 신장될 시에 경유하는 감지수단의 케이싱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감지편과, 상기 고정감지편에 선택적으로 연접되어 전기적인 접점을 연결할 수 있도록 밴드부 단부에 설치되는 가동감지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감지편은 전기적인 저항값이 순차적으로 다르게 설정된 접점으로 구성하여, 복부근의 이완 정도가 커질수록 청각 또는 진동 신호를 점차적으로 다르게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대(1)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감지수단(4) 부위를 파절시킨 확대도이다.
허리와 복부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이 가능토록 밴드부(2)와 상기 밴드부(2)를 사용자 허리 치수에 맞게 조절 착용할 수 있도록 벨크로 파스너(velcro fastener) 등과 같은 다양한 착탈수단을 구비한 결속부재(3)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복대(1)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밴드부(2) 중간에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수단(4)을 설치하고, 상기 감지수단(4)의 감지작동에 의해 복부근이 이완 시에는 주위에 청각적으로 고지할 수 있는 청각고지수단(5)을 설치하거나, 또는 진동으로 착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는 진동고지수단(6)을 구비토록 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청각고지수단(5)과 진동고지수단(6)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을 사용하므로, 이는 도면상 동일하게 표시하였고, 도면부호만 달리하여 설명키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복대(1)에서는 상기 감지수단(4)을 전기적인 접점을 이용하여 복부근의 이완 정도에 따라 청각고지수단(5)이 다른 음을 발생토록 하거나, 진동고지수단(6)이 진동 정도를 다르게 발생토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4)은 밴드부(2) 중간에 설치되는 바, 이는 밴드부(2)의 일측이 고정되는 케이싱(7)에 밴드부(2) 타측이 반대편에서 진출입할 수 있도록 케이싱(7) 일측에는 개구(8)가 형성되고, 케이싱(7)의 내부로 개구(8)를 통해 진입된 밴드부(2)는 스프링과 같은 다양한 신축부재(9) 일단과 연결하고, 상기 신축부재(9)의 타단은 케이싱(7)의 내부에 고정토록 하여, 복대(1)를 착용한 사용자가 복부근을 수축, 이완함에 따라 밴드부(2)가 신축부재(9)의 탄성에 의해 전체 길이가 신축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7) 내부에서 진출입하는 밴드부(2)가 경유하는 케이싱(7)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고정감지편(10)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감지편(10)에 전기적으로 접점이 도통되어 청각고지수단(5) 또는 진동고지수단(6)에 전원을 인가하여 청각 또는 진동으로 이를 고지하기 위한 가동감지편(11)을 밴드부(2)의 단부에 설치토록 한다.
상기 고정감지편(10)은 저항값을 각각 달리한 전기적인 접점으로 구성하여, 복부근의 이완 정도가 커질수록 청각 또는 진동 신호를 점차적으로 다르게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청각고지수단(5)은 특정 멜로디 또는 음성신호(예를 들어 '복부근에 힘을 주세요~' 등)로 착용자 및 주위 사람들에게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 상태를 고지토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대(1)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감지수단(4)의 횡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상기 복대(1)를 구성하는 감지수단(4)의 케이싱(7)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감지편(10)에 밴드부(2)의 단부에 설치되는 가동감지편(11)이 감지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정설치되며, 상기 고정감지편(10)과 가동감지편(11)은 각각 청각고지수단(5) 내지는 진동고지수단(6)과 전기적으로 회로 연결이 됨은 당연한 것이다.(회로 연결 구성은 도시하지 아니 하였음)
상기 감지수단(4)을 구성하는 케이싱(7) 일측에는 밴드부(2)의 일측이 고정되며, 상기 밴드부(2)의 타측 단부는 착용자의 허리 및 복부 부위를 경유하여 케이싱(7) 내부에 고정되는 신축부재(9)에 고정된다. 사용자는 밴드부(2) 중간에 설치된 결속부재(3)를 사용하여 밴드부(2)를 압박되도록 결속하여 복대(1)의 착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복대(1) 착용자가 복부근을 수축 상태에서 이완시키게 되면 밴드부(2)를 압착 상태로 유지해주던 신축부재(9)의 탄성 압착력을 극복하고 밴드부(2)가 서서히 조임상태에서 복부근의 이완에 따라 신축부재(9)가 신장되면서 밴드부(2) 전체 길이가 신장된다.
상기 청각고지수단(5) 또는 진동고지수단(6)은 상기 케이싱(7)의 전방 또는 착용자의 복부로 진동을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케이싱(7) 내측에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대(1)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감지수단(4)의 사용상태 평면도로서, 복부근을 수축시킨 상태도이다.
즉, 착용자가 복대(1)를 허리 및 복부에 연접되도록 하여 복부근을 수축시킨 상태에서 결속부재(3)를 사용하여 착용을 완료한다.
이때 밴드부(2)의 가동감지편(11)은 케이싱(7) 내측에 순차적으로 복수개 설치된 고정감지편(10)을 벗어 난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복대(1)를 착용하고 활동을 하다가 착용자가 복부근에서 힘을 빼게 되어 복부근이 이완되면 신축부재(9)가 신장되면서 밴드부(2)의 전체 길이도 신장되어 도 4와 같이 밴드부(2)에 설치된 가동감지편(11)이 케이싱(7)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감지편(10) 중 어느 하나와 연접되면 청각고지수단(5) 내지는 진동고지수단(6)이 전기적으로 ON 되면서 특정 멜로디나 음성신호가 착용자 및 주위 사람들이 알 수 있도록 청각적으로 고지를 하거나, 또는 진동으로 착용자 등에게 고지하게 되어, 착용자는 청각 또는 진동을 통해 복부근 이완 상태를 바로 확인하고 능동적으로 재차 복부근을 수축시키게 되며, 복부근이 수축되면 신축부재(9)의 복원력에 의해 밴드부(2) 전체 길이도 역시 수축되면서 복부근에 맞게 밴드부(2)를 다시 조임상태로 전환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7)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감지편(10)은 전기적인 저항값을 각각 달리한 전기적인 접점으로 구성하게 되면, 복부근의 이완 정도가 커질수록 청각 또는 진동 신호를 점차적으로 크게, 또는 다르게 출력시킬 수 있어 착용자에게 보다 능동적인 복부근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유도가 가능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대의 착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로서, 복부근을 수축시킨 상태도이며, 도 6은 복부근을 이완시킨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복대(1) 착용자가 복부근에 힘을 주어 복부근이 수축되면 청각고지수단(5) 또는 진동고지수단(6)은 OFF 상태를 유지하다가 착용자가 복부근에 힘을 빼게 되어 복부근이 이완되면 감지수단(4)이 이를 감지하여 청각고지수단(5) 또는 진동고지수단(6)이 ON 상태로 전환되면서 착용자 및 주위에 청각 또는 진동으로 이를 고지하여 복부근을 효율적으로 운동시킬 수 있고, 착용자 스스로 운동 참여가 가능한 능동형 재활기기로서 활용 가치가 높고, 심부 복부근 강화 운동을 통한 비만 예방 효과, 자가 수축을 통한 능동적인 척추 안정성 증진으로 요통의 근본적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대(1)의 기본적인 구성부재 및 작동 원리는 동일하나, 그 구체적인 실시예가 다른 경우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즉, 감지수단(4)을 구성하는 케이싱(7)의 좌우로 밴드부(2)가 경유할 수 있는 개구(8)를 형성하고, 밴드부(2)가 상기 좌우의 개구(8)를 통해 케이싱(7) 내부로 진입, 경유할 수 있도록 하되, 도면상 케이싱(7)의 전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감지편(10)에 진출입 할 수 있는 가동감지편(11)을 밴드부(2)와 연접되어 직각방향으로 탄성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12)상에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더(12)는 케이싱(7) 내부에서 스프링과 같은 신축부재(9)의 탄성에 의해 후방으로 탄력지지토록 하여, 복대(1) 착용자가 복부근에서 힘을 빼게 되면 복부근이 이완되면서 밴드부(2)가 신장되면서 슬라이더(12)를 전방으로 밀게 되어 가동감지편(11)이 복수개의 고정감지편(10)에 전기적인 접점으로 도통되어 케이싱(7)의 전방에 설치되는 청각고지수단(5) 또는 진동고지수단(6)에 신호를 인가하여 특정 음성 메시지나 멜로디음, 진동 등으로 주위에 고지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복대의 기술적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복대 2: 밴드부 3: 결속부재 4: 감지수단 5: 청각고지수단 6: 진동고지수단 7: 케이싱 8: 개구 9: 신축부재 10: 고정감지편 11: 가동감지편 12: 슬라이더

Claims (3)

  1. 결속부재(3)를 갖는 밴드부(2)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허리, 복부에 착용토록 한 복대(1)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2)에는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을 밴드부(2)의 신장, 수축으로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감지수단(4)과;
    상기 감지수단(4)의 감지작동에 의해 복부근이 이완 시 청각으로 이를 고지할 수 있도록 청각고지수단(5)과;
    상기 감지수단(4)은 밴드부(2) 일단이 고정되는 케이싱(7)과, 상기 케이싱(7)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감지편(10)과, 상기 고정감지편(10)에 선택적으로 연접되어 전기적인 접점을 연결할 수 있도록 케이싱(7) 내부에 고정된 신축부재(9)와 타단이 연결된 밴드부(2) 단부에 설치되는 가동감지편(1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대.
  2. 결속부재(3)를 갖는 밴드부(2)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허리, 복부에 착용토록 한 복대(1)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2)에는 복부근의 수축 및 이완을 밴드부(2)의 신장, 수축으로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감지수단(4)과;
    상기 감지수단(4)의 감지작동에 의해 복부근이 이완 시 청각으로 이를 고지할 수 있도록 진동고지수단(6)과;
    상기 감지수단(4)은 밴드부(2) 일단이 고정되는 케이싱(7)과, 상기 케이싱(7)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감지편(10)과, 상기 고정감지편(10)에 선택적으로 연접되어 전기적인 접점을 연결할 수 있도록 케이싱(7) 내부에 고정된 신축부재(9)와 타단이 연결된 밴드부(2) 단부에 설치되는 가동감지편(1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감지편(10)은 전기적인 저항값이 순차적으로 다르게 설정된 접점으로 구성하여, 복부근의 이완 정도가 커질수록 청각 또는 진동 신호를 다르게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대.
KR1020130115750A 2013-09-28 2013-09-28 복대 KR101535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750A KR101535418B1 (ko) 2013-09-28 2013-09-28 복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750A KR101535418B1 (ko) 2013-09-28 2013-09-28 복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662A KR20150035662A (ko) 2015-04-07
KR101535418B1 true KR101535418B1 (ko) 2015-07-10

Family

ID=5303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750A KR101535418B1 (ko) 2013-09-28 2013-09-28 복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4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446Y1 (ko) * 2015-05-22 2016-10-04 (주)이원건강의료기 허리보호용 복대
KR101664351B1 (ko) 2015-06-15 2016-10-11 이재진 복부 자동압박복대
CN114028057A (zh) * 2021-11-15 2022-02-11 宋东雪 一种无线电充电智能便捷式收腹带系统及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8027A (en) * 1996-05-23 1998-03-17 Sinaiko; Robert J. Biofeedback system for training abdominal muscles
US5823913A (en) * 1996-12-26 1998-10-20 Aruin; Alexander S. Method for exercising the abdominal muscles
KR100239025B1 (ko) * 1997-09-09 2000-01-15 박을현 계수기가 부설된 복근 운동기
KR20130080500A (ko) * 2012-01-05 2013-07-1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피드백 전자 복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8027A (en) * 1996-05-23 1998-03-17 Sinaiko; Robert J. Biofeedback system for training abdominal muscles
US5823913A (en) * 1996-12-26 1998-10-20 Aruin; Alexander S. Method for exercising the abdominal muscles
KR100239025B1 (ko) * 1997-09-09 2000-01-15 박을현 계수기가 부설된 복근 운동기
KR20130080500A (ko) * 2012-01-05 2013-07-1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피드백 전자 복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662A (ko)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7873B2 (en) Rehabilitation exercise aid
US6487906B1 (en) Flexible film sensor system for monitoring body motion
KR20130080500A (ko) 바이오 피드백 전자 복대
US10159427B2 (en) Passive foot sensor insole real-time feedback device
US10238316B2 (en) Passive five sensor insole real-time feedback device
US10729931B2 (en) Garment
KR20160027516A (ko) 재활치료용 손가락 운동기구
KR101535418B1 (ko) 복대
JP5506157B2 (ja) 体動検出装置
US62349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ment and feedback training of step width coordination
US4846157A (en) Device for aiding abdominal muscle control
US11076803B2 (en) Passive multiple foot sensor insole real-time feedback device
KR101523846B1 (ko) 바이오 피드백 전자 복대
GB2210694A (en) Apparatus for detecting tension or flexing stress
US20070070817A1 (en) Stretching and exercising apparatus
US20180336798A1 (en) Passive foot sensor real-time feedback method
TWM580000U (zh) Swimming training leg movement posture correcting device
JP2016150179A (ja) 運動測定装置
WO2018146378A1 (en) Device for measuring and teaching human position and/or movement
US20170225031A1 (en) Breathing Training Device
TWM514306U (zh) 駝背警示矯正裝置
AU2013100637A4 (en) Asphyxia Indicator
RU164893U1 (ru) Сигнализатор для самоконтроля осанки
RU70772U1 (ru) Сигнализатор для коррекции мышечного состоя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я (варианты)
JPH08257076A (ja) 触覚をつけたベルトを特徴とする 視覚障害者歩行用探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