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025B1 - 계수기가 부설된 복근 운동기 - Google Patents

계수기가 부설된 복근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025B1
KR100239025B1 KR1019970046356A KR19970046356A KR100239025B1 KR 100239025 B1 KR100239025 B1 KR 100239025B1 KR 1019970046356 A KR1019970046356 A KR 1019970046356A KR 19970046356 A KR19970046356 A KR 19970046356A KR 100239025 B1 KR100239025 B1 KR 100239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counter
bag
convex portion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955A (ko
Inventor
박을현
Original Assignee
박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을현 filed Critical 박을현
Priority to KR101997004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025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대에 계수기를 부설하여 지신이 한 운동량을 쉽게 체크함으로써 적정 량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계수기가 부설된 복근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탄성대의 양단에 벨크로화스너를 부설하여서된 복대에 있어서, 전면에 계수 디스플레이 액정판넬을 갖는 계수리 몸체의 배면에 양측으로 걸림홈을 갖는 함몰부를 형성하여 일정 폭을 가지는 판 스프링을 설치하되 상기 판 스프링의 양단부를 걸림홈에 탄착시키되 판 스프링의 볼록한 부분이 복대의 착용시 복부로 향하게 설치하고, 상기 볼록부의 이면 즉 계수기 몸체의 배면 중앙에는 스위치를 돌출 설치하여서 완성된다.
이때 상기 판 스프링은 양측에 잘록부를 갖는 판 스프링으로 하거나, 또는 양측에서 중앙으로 점점 잘록해지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하고 그 볼록한 배면측에 힘 전달용 플레이트를 개재하여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는 복대의 안쪽 배면에 접착재로 부착되는 합성수지재이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대 안쪽 배면에 플레이트 삽입 용도의 포낭을 형성하여 개재시킬 수도 있다.

Description

계수기가 부설된 복근 운동기
본 발명은 복식 호흡으로 복근을 운동시키는 복근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대에 계수기를 부설하여 자신이 한 운동량을 알 수 있게 함으로써 적정량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계수기가 부설된 복근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리치료를 요하는 환자들에게는 통상의 윗몸 일으키기와 같은 과격한 복근 운동을 하지 못하고, 자신이 복식 호흡을 크게 함으로써 복근 운동을 하는데, 통상 운동의 효과를 좋게 하기 위해 복대를 배와 허리에 둘러대고, 호흡에 의한 복근 운동을 한다.
이러한 종래의 복근 운동을 위한 복대(100)를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탄성대(110)(주로 스판 직물지가 주류를 차지함)의 양단에 파스너(120)(일명 매직테이프)를 부설하여 자신의 체위에 맞게 적정압을 받도록 배와 허리에 둘러 고정한 후, 복식 호흡을 하면서 복근 단련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복근운동으로는 자신의 느낌에 따른 운동량을 갖게 되므로 환자 자신의 체력과 몸 상태와는 달리 과도한 운동량을 갖거나 부족한 운동량을 가질 경우가 다반사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근 운동량을 자신이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의 신체상태에 맞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탄성대의 양단에 파스너를 부설하여서 된 복대에 있어서, 전면에 계수 디스플레이 액정패널을 구비한 계수기 몸체의 배면에 양측으로 걸림홈을 형성하고 함몰부를 구비한 일정한 폭을 가지는 상기 판스프링의 양단부를 상기 걸림홈에 끼우고 판스프링의 볼록한 부분이 복대의 착용시 복부로 향하게 설치하고, 상기 볼록부의 이면, 즉 계수기 몸체의 배면 중앙에는 스위치를 돌출 설치하여서 완성된다. 이때 스위치는 한번 스위칭될 때마다 디스플레이 액정패널에 1 숫자씩 계수되며 합산 표시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은 양측에 잘록부를 갖는 판스프링으로 하거나, 또는 양측에서 중앙으로 점점 잘록해지는 판스프링으로 형성하고 그 볼록한 배면측에 힘전달용 플레이트를 개재하여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는 복대의 안쪽 배면에 접착제로 부착되는 합성수지재이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대 안쪽 배면에 플레이트 삽입 용도의 포낭을 형성하여 개재시킬 수도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복근운동을 위한 복대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판스프링 11 : 단부
12 : 잘록부 13 : 볼록부
100 : 복대 200 : 계수기 몸체
210 : 액정패널 220 : 걸림홈
230 : 함몰부 240 : 스위치
이하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탄성대(110)의 양단에 파스너(120)를 부설하여서 된 복대(100)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전면에 계수 디스플레이 액정패널(210)을 구비한 계수기 몸체(200)의 배면에 양측으로 걸림홈(220)을 형성하고 함몰부(230)를 구비한 판스프링(10)을 설치하되, 이 판스프링(10)의 양측 단부(11)를 상기 걸림홈(220)에 끼우고, 상기 걸림홈(220)에 걸린 앞쪽 각각에 잘록부(12)를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중앙이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10)의 볼록부(13)가 복대(100)의 착용시 복부로 향하게 설치하고, 상기 볼록부(13)의 이면, 즉 계수기 몸체(200)의 배면 중앙에는 스위치(240)를 돌출 설치하여서 완성된다.
이때 스위치(240)는 한번 스위칭될 때마다 디스플레이 액정패널(210)에 1 숫자씩 계수되며 합산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복부의 팽창에 따른 힘의 전달이 보다 양호하도록 판스프링을 양측 단부(11A)에 중앙 볼록부(13A)로 점점 잘록해지는 잘록부(12A)를 갖는 판스프링(10A)으로 형성하여 탄성계수를 작게 한 판스프링(10A)의 볼록한 배면측에 복부 팽창력을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의 플레이트(20)를 개재하여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0)는 복대(100)의 안쪽 배면에 접착제로 부착되는 합성 수지재이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대 안쪽 배면에 플레이트 삽입 용도의 포낭을 형성하여 개재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신의 체위에 맞게 적정압을 받도록 복대(100)를 배와 허리에 둘러 파스너(120)를 접착 고정한 후 복식 호흡을 하면서 복근 단력을 한다.
이때 숨을 들이마시면 도 3에서와 같이 복부가 부풀어 팽창되면서, 그 압력이 판스프링(10)의 볼록부(13)에 전달되면서 판스프링(10)이 반전되어 스위치(240)를 터치하게 된다.
여기서 판스프링(10)의 양측 잘록부(12)는 판스프링(10)의 탄성을 가급적 작게 하고, 중앙부위가 상대적으로 넓어 복부 팽창에 따른 힘의 전달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물리치료를 받아야 하는 대부분의 사람 복부는 탄력이 없기 때문에 판스프링 자체를 밀기가 힘이 든다.
따라서 판스프링(10A)을 양측에서 중앙으로 점점 잘록해지는 구조로 하여 판스프링의 탄성을 최소한으로 하면서, 복부 팽창력은 쉽게 전달하기 위해 플레이트(20)를 개재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복부 팽창력의 전달을 이룰 것이다.
따라서 복부 팽창력에 따라 판스프링(10,10A)이 계수기 몸체(200) 배면의 함몰부(230) 중앙에 돌출설치된 스위치(240)를 터치함에 따라 계수기는 1 숫자를 가하면서 액정패널(210)에 디스플레이되고, 들여 마셨던 숨을 내 뱉음으로써 반전되었던 판스프링(10,10A)이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반복 동작을 이룬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10,10A)의 세팅을 걸림홈(220)에 탄착시킨 이유는 비교적 연질인 복대(100)에 이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 및 너트로 인한 이질감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복근 운동량을 자신이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물리치료를 받아야 할 환자들이 의사의 처방 지시에 따른 자신의 신체상태에 맞는 운동을 혼자서도 할 수 있는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창의성을 갖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복근 운동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면에 액정패널(210)을 구비한 계수기 몸체(200)의 배면에 양측으로 걸림홈(220)을 형성하고 함몰부(230)를 구비한 판스프링(10)을 설치하고, 이 판스프링(10)의 양측 단부(11)를 상기 걸림홈(220)에 끼우고, 상기 걸림홈(220)에 걸린 앞쪽 각각에 잘록부(12)를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중앙이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10)의 볼록부(13)가 복대(100)의 착용시 복부로 향하게 설치하고, 상기 볼록부(13)의 이면인 계수기 몸체(200)의 배면 중앙에는 스위치(240)를 돌출 설치하여 스위칭될 때마다 액정패널(210)에 1 숫자씩 계수되며 합산 표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계수기가 부설된 복근 운동기.
KR1019970046356A 1997-09-09 1997-09-09 계수기가 부설된 복근 운동기 KR100239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356A KR100239025B1 (ko) 1997-09-09 1997-09-09 계수기가 부설된 복근 운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356A KR100239025B1 (ko) 1997-09-09 1997-09-09 계수기가 부설된 복근 운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955A KR19990024955A (ko) 1999-04-06
KR100239025B1 true KR100239025B1 (ko) 2000-01-15

Family

ID=1952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356A KR100239025B1 (ko) 1997-09-09 1997-09-09 계수기가 부설된 복근 운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0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418B1 (ko) * 2013-09-28 2015-07-10 주식회사 한메드 복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실용신안공보 제86-565호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418B1 (ko) * 2013-09-28 2015-07-10 주식회사 한메드 복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955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5582A (en) Hand exerciser device
CA2860939C (en) Strap tightener assembly for an orthopedic device
US5308305A (en) Device to augment exercise
US9168167B2 (en) Posture improve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US5509869A (en) Isotonic cervical exercise device
WO2006124964A2 (en) Dome-shaped back brace
WO2008002617A2 (en) Hand exercising device
EP0776171A1 (en) Therapeutic glove
US5643155A (en) Aquatic exercise device
MXPA04008774A (es) Collarin cervical que tiene soporte lateral mejorado.
US6322482B1 (en) Kick training belt
US4580554A (en) Traction device
KR100239025B1 (ko) 계수기가 부설된 복근 운동기
CA2085861A1 (en) Resistive exercise device
US20040198570A1 (en) Therapy cushion for use with blood pressure cuff
CN213313130U (zh) 防护型呼啦圈结构
EP0115029A1 (en) Patella brace
CN205659037U (zh) 一种新型胸腰椎外固定支具
EP0329815A1 (en) A patella brace
CN213076467U (zh) 一种护腰式背部按摩结构
US20220152451A1 (en) Multi-modal rehabilitation device and methods
CN219679837U (zh) 护膝
CN212347586U (zh) 一种屈伸髋训练器
CN208875439U (zh) 一种护腰带
US20230240386A1 (en) Leg garment with adjustable support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