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351B1 - 복부 자동압박복대 - Google Patents

복부 자동압박복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351B1
KR101664351B1 KR1020150084109A KR20150084109A KR101664351B1 KR 101664351 B1 KR101664351 B1 KR 101664351B1 KR 1020150084109 A KR1020150084109 A KR 1020150084109A KR 20150084109 A KR20150084109 A KR 20150084109A KR 101664351 B1 KR101664351 B1 KR 101664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abdominal support
main body
length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진
Original Assignee
이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진 filed Critical 이재진
Priority to KR1020150084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부 자동압박복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압박복대를 허리둘레에 느슨하게 착용한 상태에서 압박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에 설정된 값에 따라 허리둘레를 조여 주고, 허리를 구부리거나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릴 때, 그리고 기침을 하는 경우와 같이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 복부가 팽창되는 경우에는 스프링이 내재된 장력조절기에 의해 복부가 팽창되는 만큼 복대본체의 길이가 이완되면서도 허리둘레를 일정한 압력으로 조여 주게 하며, 팽창했던 복부가 원위치로 수축하면 복대본체의 길이가 초기에 설정된 길이만큼 스프링에 의해 줄어들면서 허리둘레를 조여 주게 함으로써, 한번 착용하면 길이가 불변상태인 종래의 압박복대가 복부가 팽창되는 경우에 허리둘레를 순간적으로 강하게 압박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부 자동압박복대(100)는, 일측단부에 암버클(11)이 설치되고 타측 단부가 장력조절기(30)와 연결 설치되는 밴드형 복대본체(10)와, 복대본체(10)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복대본체(10)를 감아주고 풀어주어 복대본체(10)의 길이를 신축하는 밴드길이신축기(20)와, 일측 단부에 복대본체(10)의 암버클(11)과 착탈가능하게 연결 되고 타측 단부에 복대본체(10)의 말단부가 연결되며 복대본체(1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장력조절기(30)와, 밴드길이신축기(2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부 자동압박복대{Auto compression stomach band}
본 발명은 복부 자동압박복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압박복대를 허리둘레에 느슨하게 착용한 상태에서 압박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에 설정된 값에 따라 허리둘레를 조여 주고, 허리를 구부리거나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릴 때, 그리고 기침을 하는 경우와 같이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 복부가 팽창되는 경우에는 스프링이 내재된 장력조절기에 의해 복부가 팽창되는 만큼 복대본체의 길이가 이완되면서도 허리둘레를 일정한 압력으로 조여 주게 하며, 팽창했던 복부가 원위치로 수축하면 복대본체의 길이가 초기에 설정된 길이만큼 스프링에 의해 줄어들면서 허리둘레를 조여 주게 함으로써, 한번 착용하면 길이가 불변상태인 종래의 압박복대가 복부가 팽창되는 경우에 허리둘레를 순간적으로 강하게 압박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대는 허리나 복부를 감싸도록 착용하여 허리나 복부를 압박해 줌으로써 척추를 고정하거나 복부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건강에 도움이 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복대가 제공되고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복대들의 공통점은 이러한 복대는 단지 허리를 압박시켜 척추를 고정하거나 복부의 돌출을 막는 등의 물리적 기능만을 가지고 있을 뿐 신체에 미치는 다른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종래의 복대는 허리나 복부(이하, 허리둘레라고 칭함)를 감싸도록 두른 뒤에 양단부를 매직테이프나 암수버클 등의 결합수단으로 결합하고 허리나 복부를 강력하게 조여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허리둘레에 복대를 강력하게 감싼 상태로 조여 주여 허리와 복부를 지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복대 착용자가 허리를 구부리거나 기침을 하거나, 또는 허리를 구부리면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는 등의 신체의 움직임이 있을 때, 복부가 불룩하게 팽창되면서 허리둘레가 커지게 되어 길이가 불변상태인 복대가 순간적으로 허리둘레를 더욱더 강력하게 조여주게 된다.
위와 같은 순간적인 강력한 압박력에 의해 복대착용자는 불편함과 통증을 느끼게 됨은 물론이고 혈압까지 상승하게 되는데, 복대 착용자가 혈관계 질환을 가진 환자이거나 신체가 미약한 경우에는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복대가 허리둘레를 장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조여주고 있음에 따라 척추주변의 근육과 복부주변의 근육을 위축을 시키게 되고 그로 말미암아 그 주변의 근육을 약화시키게 되며, 요통에 의한 관절가동 제한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35662호(2015. 04. 07.)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압박복대를 허리둘레에 느슨하게 착용한 상태에서 압박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에 설정된 값에 따라 허리둘레를 조여 주고, 허리를 구부리거나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릴 때, 그리고 기침을 하는 경우와 같이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 복부가 팽창되는 경우에는 스프링이 내재된 장력조절기에 의해 복부가 팽창되는 만큼 복대본체의 길이가 이완되면서도 허리둘레를 일정한 압력으로 조여 주게 하며, 팽창했던 복부가 원위치로 수축하면 복대본체의 길이가 초기에 설정된 길이만큼 스프링에 의해 줄어들면서 허리둘레를 조여 주게 함으로써, 한번 착용하면 길이가 불변상태인 종래의 압박복대가 복부가 팽창되는 경우에 허리둘레를 순간적으로 강하게 압박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부 자동압박복대는, 일측단부에 암버클이 설치되고 타측 단부가 장력조절기와 연결 설치되는 밴드형 복대본체와, 복대본체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복대본체를 감아주고 풀어주어 복대본체의 길이를 신축하는 밴드길이신축기와, 일측 단부에 복대본체의 암버클과 착탈가능하게 연결 되고 타측 단부에 복대본체의 말단부가 연결되며 복대본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장력조절기와, 밴드길이신축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길이신축기는 신체의 등부분과 대면하는 지지판의 후방에 구비되는 케이스에는 배터리와 서보모터가 설치되고, 케이스의 상부에는 밴드설치부를 구비한 밴드감김부가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며, 케이스의 상부외측에는 양측에 밴드출입구가 형성된 커버가 밴드감김부의 외측을 커버토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력조절기는 암버클에 대응되는 쪽에 봉출입공가 형성되고 반대측에 복대본체의 밴드결속부가 연결되는 밴드연결부를 형성한 스프링통이 구비되며, 이 스프링통의 내측에는 후방측 나사부에 장력조절너트가 체결되고 선단부에 수버클이 구비된 슬라이드봉을 삽입 설치하되, 슬라이드봉의 선단부가 봉출입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장력조절너트와 봉출입공 쪽 스프링통의 내벽부 사이의 슬라이드봉 외부에는 스프링이 탄력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어부는 장력조절기에 설치되며, 이 제어부는 케이스의 외부에 전원스위치와 음성감지센서, 서보모터를 동작 및 해제시키는 조임스위치와 해제스위치가 설치되고, 그 케이스의 내부에는 각각의 스위치 및 음성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서보모터를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복부 자동압박복대는, 착용자의 신체상태에 따라 자동압박복대로서 착용자의 허리둘레를 조여주고 있다가 허리를 구부리거나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릴 때, 그리고 기침을 하는 경우와 같이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 복부가 팽창되는 경우에는 복부가 팽창되는 만큼 복대본체의 길이가 이완되면서도 허리둘레를 일정한 압력으로 조여 주게 하며, 팽창했던 복부가 원위치로 수축하면 복대본체의 길이가 초기에 설정된 길이만큼 스프링에 의해 줄어들면서 허리둘레를 조여 주게 함으로써, 한번 착용하면 길이가 불변상태인 종래의 압박복대를 착용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 자동압박복대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밴드길이신축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장력조절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력조절기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부 자동압박복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압박복대(1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단부에 암버클(11)이 설치되고 타측 단부가 장력조절기(30)와 연결 설치되는 밴드형 복대본체(10)와, 복대본체(10)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복대본체(10)를 감아주고 풀어주어 복대본체(10)의 길이를 신축하는 밴드길이신축기(20)와, 일측 단부에 복대본체(10)의 암버클(11)과 착탈가능하게 연결 되고 타측 단부에 복대본체(10)의 말단부가 연결되며 복대본체(1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장력조절기(30)와, 밴드길이신축기(2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밴드길이신축기(2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체의 등부분과 대면하는 지지판(21)의 후방에 구비되는 케이스(22)에는 배터리(23)와 서보모터(24)가 설치되고, 케이스(22)의 상부에는 밴드설치부(25)를 구비한 밴드감김부(26)가 서보모터(24)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며, 케이스(22)의 상부외측에는 양측에 밴드출입구(27)가 형성된 커버(28)가 밴드감김부(26)의 외측을 커버토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밴드설치부(25)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밴드형 복대본체(10)가 꼭 끼어지게 절개 형성되어 복대본체(10)를 밴드설치부(25)와 밴드감김부(26)의 외주연에 "S"자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밴드감김부(26)에 복대본체(10)를 리벳이나 나사로 고정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서보모터(servomotor:24)는 모터축의 회전량(회전각도를 포함한 회전수)과 회전속도, 회전방향을 제어부(40)에 의해 제어할 수 있고, 설정된 회전을 하고 정지된 상태에서는 브레이크작용을 하는 공지된 것을 본 발명에 적용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기(30)는 도 1 및 도 3,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암버클(11)에 대응되는 쪽에 봉출입공(32)이 형성되고 반대측에 복대본체(10)의 밴드결속부(12)가 연결되는 밴드연결부(33)를 형성한 스프링통(31)이 구비되며, 이 스프링통(31)의 내측에는 후방측 나사부(34)에 장력조절너트(35)가 체결되고 선단부에 수버클(37)이 구비된 슬라이드봉(36)을 삽입 설치하되, 슬라이드봉(36)의 선단부가 봉출입공(3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장력조절너트(35)와 봉출입공(32) 쪽 스프링통(31)의 내벽부(31c) 사이의 슬라이드봉(36) 외부에는 스프링(38)이 탄력적으로 삽입되고, 스프링통(31)의 외벽면 소정위치에는 장력조절너트(35)를 조작하기 위한 개구부(31a)가 개폐되게 설치되며, 이 개구부(31a)에 커버(31b)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장력조절기(3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제어부(40)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압박복대(10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써, 제어부(40)의 케이스(45)의 외부에 전원스위치(43)와 음성감지센서(42), 서보모터(24)를 동작 및 해제시키는 조임스위치(41)와 해제스위치(44)가 설치되며, 그 케이스(45)의 내부에는 각각의 스위치(43,41,44) 및 음성감지센서(42)의 신호에 따라 서보모터(24)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미도시)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암버클(11)을 슬라이드봉(36)의 선단부에 설치하고, 수버클(37)을 복대본체(10)의 선단부에 설치해도 무방하며, 일반적으로 히리띠나 가방 등에 설치되어 결속하는데 사용되는 버클과 동일한 것이나, 암수 매직테이프를 설치해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46”은 제어부(40)와 밴드길이신축기(20) 사이에 설치되는 전선이고, “47”는 외피이며, “13”은 매직테이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압박복대(100)를 허리둘레에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자동압박복대(100)의 전체길이를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추어야 하는데, 밴드연결부(33)와 밴드연결부(33)에 연결되는 밴드결속부(12)는 공지된 가방이나 허리띠 등의 길이조절부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서 공지된 길이조절부와 동일한 구조로 된 밴드결속부(12)를 조절하여 초기에 복대본체(10)의 전체길이가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렇게 허리둘레에 맞게 복대본체(10)의 길이가 조절할 때는 자동압박복대(100)를 허리에 착용했을 때, 느슨하게 채워지게 조절해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이 복대본체(10)의 전체길이를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춘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압박복대(100)를 허리둘레에 착용하게 되는데, 팔의 사용이 자유로운 사람은 본인이 스스로 허리둘레에 착용할 수 있고, 팔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 경우에는 타인이 허리둘레에 채워주어야 한다.
이렇게 자동압박복대(100)를 허리둘레에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암수버클(11,37)을 분리한 상태에서 복대본체(10)를 허리둘레에 두르면서 암수버클(11,37)를 결속시키면 자동압박복대(100)를 허리둘레에 착용할 수 있으며, 느슨하게 자동압박복대(100)가 허리둘레에 착용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제어부(40)는 자동압박복대(100)를 허리둘레에 든든하게 조여주고, 든든하게 조여주던 조임력을 초기상태로 느슨하게 이완시킬 수 있도록 제어회로를 구성하였으며, 입력신호를 음성신호와 스위치를 터치하는 것을 겸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복부를 포함한 허리둘레를 든든하게 자동압박복대(100)로서 조여 주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음성신호나, 스위치터치로 자동압박복대(100)를 조여줄 수 있는데, 초기에는 전원스위치(43)를 터치하면, 제어부(40)와 밴드길이신축기(20)에 전원이 인가되게 된다.
그 다음에 “복대조임”과 같이 설정된 신호 음성을 내거나 조임스위치(41)를 터치하게 되면, 그렇게 입력된 신호가 제어회로에 의해 밴드길이신축기(20)에 설치된 서보모터(24)를 구동시켜서 서보모터(24)의 모터축과 연결된 밴드감김부(26)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밴드감김부(26)에는 복대본체(10)의 중간부분이 "S"자 형태로 결합 설치되어서 밴드감김부(26)의 회전에 의해 밴드감김부(26) 둘레에 복대본체(10)가 감기면서 복대본체(10)의 전체 길이가 감축되게 된다.
이렇게 복대본체(10)의 전체길이가 감축되면 허리둘레를 조여 주게 되는 것이고, 밴드감김부(26)의 회전은 제어회로의 설정된 값만큼 서보모터(24)가 회전하였다가 정지하게 되어 착용자의 허리둘레를 정해진 조임력으로 조여 주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마다 그 조임력이 강하거나 또는 조임력이 약한 경우에는 조임력을 다시 조절할 수 있는데, 그때는 자동압박복대(100)를 착용하기 전의 초기상태로 다시 돌아가서 1차적으로 복대본체(10)를 조였을 때의 조임력을 상기하여 그 조임력이 강했으면 밴드결속부(12)의 설치길이를 늦추고, 조임력이 약하면 밴드결속부(12)의 설치길이를 단축시키면서 착용자의 신체에 적합하도록 밴드결속부(12)의 길이를 조절한다.
위와 같이 밴드결속부(12)에 대한 길이조절이 적합하게 된 상태에서 전원스위치(43)를 온(on)시키고, 음성신호나 또는 조임스위치(41)를 터치하여 복대본체(10)가 조여들도록 서보모터(24)를 구동시키면, 서보모터(24)는 설정된 회전값 만큼만 회전한 뒤에 그 회전을 정지하여 설정된 조임력으로 착용자의 허리둘레를 조여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보모터(24)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해진 값만큼 회전하고 멈추면 브레이크작용을 하게 되어 든든하게 조여 주던 조임력이 해제되지 않고 조임력을 유지하게 됨을 밝혀둔다.
이렇게 설정된 조임력으로 허리둘레를 자동압박복대(100)가 조여 주고 있던 상태에서 착용자가 허리를 구부리거나, 또는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순간적으로 기침이나 재채기를 하는 경우에 순간적으로 복부가 팽창하게 되는데, 이렇게 복부가 팽창하게 되면 허리둘레가 전체적으로 커지게 된다.
위와 같이 복부팽창으로 허리둘레가 커지게 되면, 그 팽창력이 자동압박복대(100)의 전체에 방사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복대본체(10)의 사이에는 장력조절기(30)가 설치되어서 상기 복부 팽창력에 의한 허리둘레의 증가되는 만큼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통(31)에서 슬라이드봉(36)이 빠져나와 자동압박복대(100)의 전체길이가 복부가 팽창되는 만큼 늘어나게 된다.
이렇게 복부가 팽창하는 만큼 슬라이드봉(36)이 스프링통(31)에서 빠져나올 때, 스프링통(31)에서 빠져나가는 슬라이드봉(36)은 스프링(38)에 의해 탄력적으로 빠져 나감에 따라 자동압박복대(100)는 허리둘레를 탄력적으로 조여 주면서 자동압박복대(100)의 길이가 전체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복부의 팽창으로 허리둘레가 전체적으로 커지는 경우에도 그 만큼 자동압박복대(100)의 전체길이가 탄력적으로 늘어나서 허리둘레에 순간적으로 강한 압박을 하지 않게 되어 혈압이 높은 환자와 같이 신체가 미약한 착용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력조절기(30)에는 슬라이드봉(36)이 스프링통(31)에서 빠져나갈 때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되어서,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착용자가 원하는 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스프링(38)의 탄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프링통(31)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커버(31b)를 개방한 뒤에, 그 개방된 개구부(31a)를 통하여 슬라이드봉(36)의 나사부(34)에 체결된 장력조절너트(35)를 나사식으로 돌리면서 위치를 이동시키게 되면, 스프링(38)의 탄력을 강하게 또는 느슨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장력조절너트(35)의 설치위치가 봉출입공(32)이 있는 내벽부(31c)까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스프링(38)의 탄력이 강해지고, 반대로 멀어질수록 스프링의 탄력이 약해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위의 설명에서와 같이 복부가 순간적으로 팽창될 때는 장력조절기(30)의 내측에 설치된 스프링(38)에 의해 슬라이드봉(36)이 복부가 팽창되는 길이만큼 길이가 늘어났다가 뒤이어 복부가 원위치로 수축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38)의 탄력에 의해 슬라이드봉(36)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1차적으로 허리둘레를 조일 때와 동일한 압력으로 허리둘레를 조여 주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자동압박복대(100)를 사용하다가 조임력을 해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임력해제”와 같이 설정된 신호 음성을 내거나 해제스위치(44)를 터치하게 되면, 그렇게 입력된 신호가 제어회로에 의해 밴드길이신축기(20)에 설치된 서보모터(24)를 초기 설정값만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위에서 언급한 초기 설정값은 자동압박복대(100)를 허리둘레에 착용했을 때, 자동압박복대(100)가 허리둘레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느슨하게 감싸고 있는 상태를 칭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조임력해제”와 같은 음성신호나 해제스위치(44)의 터치에 의해 서보모터(24)가 초기위치로 역회전함에 따라 서보모터(24)의 모터축과 연결된 밴드감김부(26)를 역회전되어 자동압박복대(100)가 허리둘레를 조임력이 해제되고, 자동압박복대(100)가 허리둘레에 느슨하게 걸쳐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있어서, “밴드”라는 명칭이 포함되는 밴드결속부(12), 밴드길이신축기(20), 밴드설치부(25), 밴드감김부(26), 밴드출입구(27), 밴드연결부(33)에서 상기“밴드”는 복대본체(10)를 의미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10 : 복대본체 11 : 암버클 12 : 밴드결속부
20 : 밴드길이신축기 21 : 지지판 22 : 케이스
23 : 배터리 24 : 서보모터 25 : 밴드설치부
26 : 밴드감김부 27 : 밴드출입구 28 : 커버
30 : 장력조절기 31 : 스프링통 32 : 봉출입공
33 : 밴드연결부 34 : 나사부 35 : 장력조절너트
36 : 슬라이드봉 37 : 수버클 38 : 스프링
40 : 제어부 41 : 조임스위치 42 : 음성감지센서
43 : 전원스위치 44 : 해제스위치 45 : 케이스
100 : 자동압박복대

Claims (3)

  1. 일측단부에 암버클(11)이 설치되고 타측 단부가 장력조절기(30)와 연결 설치되는 밴드형 복대본체(10)와,
    복대본체(10)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복대본체(10)를 감아주고 풀어주어 복대본체(10)의 길이를 신축하는 밴드길이신축기(20)와,
    일측 단부에 복대본체(10)의 암버클(11)과 착탈가능하게 연결 되고 타측 단부에 복대본체(10)의 말단부가 연결되며 복대본체(1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장력조절기(30)와,
    밴드길이신축기(2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길이신축기(20)는 신체의 등부분과 대면하는 지지판(21)의 후방에 구비되는 케이스(22)에는 배터리(23)와 서보모터(24)가 설치되고, 케이스(22)의 상부에는 밴드설치부(25)를 구비한 밴드감김부(26)가 서보모터(24)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며, 케이스(22)의 상부외측에는 양측에 밴드출입구(27)가 형성된 커버(28)가 밴드감김부(26)의 외측을 커버토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력조절기(30)는 암버클(11)에 대응되는 쪽에 봉출입공(32)가 형성되고 반대측에 복대본체(10)의 밴드결속부(12)가 연결되는 밴드연결부(33)를 형성한 스프링통(31)이 구비되며, 이 스프링통(31)의 내측에는 후방측 나사부(34)에 장력조절너트(35)가 체결되고 선단부에 수버클(37)이 구비된 슬라이드봉(36)을 삽입 설치하되, 슬라이드봉(36)의 선단부가 봉출입공(3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장력조절너트(35)와 봉출입공(32) 쪽 스프링통(31)의 내벽부(31c) 사이의 슬라이드봉(36) 외부에는 스프링(38)이 탄력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어부(40)는 장력조절기(30)에 설치되며, 이 제어부(40)는 케이스(45)의 외부에 전원스위치(43)와 음성감지센서(42), 서보모터(24)를 동작 및 해제시키는 조임스위치(41)와 해제스위치(44)가 설치되고, 그 케이스(45)의 내부에는 각각의 스위치(43,41,44) 및 음성감지센서(42)의 신호에 따라 서보모터(24)를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자동압박복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통(31)의 외벽면 소정위치에는 장력조절너트(35)를 조작하기 위한 개구부(31a)가 개폐되게 설치되며, 이 개구부(31a)에 커버(31b)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자동압박복대.
KR1020150084109A 2015-06-15 2015-06-15 복부 자동압박복대 KR101664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109A KR101664351B1 (ko) 2015-06-15 2015-06-15 복부 자동압박복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109A KR101664351B1 (ko) 2015-06-15 2015-06-15 복부 자동압박복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351B1 true KR101664351B1 (ko) 2016-10-11

Family

ID=5716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109A KR101664351B1 (ko) 2015-06-15 2015-06-15 복부 자동압박복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3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251B1 (ko) 2016-11-16 2017-11-13 주식회사 셈앤텍 압박 벨트의 경사 조절이 가능한 호흡 기능 보조용 복부 압박 장치
KR20200026598A (ko) * 2018-09-03 2020-03-11 신나은 생체 신호 처리를 이용한 스마트 의복
CN110996832A (zh) * 2017-08-08 2020-04-10 株式会社Jsr医疗 自动张力测量仪
KR20230048873A (ko) * 2021-10-05 2023-04-1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각도에 따른 자동 유압식 복압 벨트
CN116807750A (zh) * 2023-06-29 2023-09-29 中国人民解放军西部战区总医院 一种可调节的引流管腹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791U (ko) * 1997-04-30 1998-11-25 윤정식 혁대 버클의 신축장치
KR20140061416A (ko) * 2011-11-17 2014-05-21 요시아키 사토 근육 증강 기구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35662A (ko) 2013-09-28 2015-04-07 주식회사 한메드 복대
KR101523846B1 (ko) * 2013-10-30 2015-05-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피드백 전자 복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791U (ko) * 1997-04-30 1998-11-25 윤정식 혁대 버클의 신축장치
KR20140061416A (ko) * 2011-11-17 2014-05-21 요시아키 사토 근육 증강 기구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35662A (ko) 2013-09-28 2015-04-07 주식회사 한메드 복대
KR101523846B1 (ko) * 2013-10-30 2015-05-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피드백 전자 복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251B1 (ko) 2016-11-16 2017-11-13 주식회사 셈앤텍 압박 벨트의 경사 조절이 가능한 호흡 기능 보조용 복부 압박 장치
CN110996832A (zh) * 2017-08-08 2020-04-10 株式会社Jsr医疗 自动张力测量仪
CN110996832B (zh) * 2017-08-08 2024-01-30 株式会社Jsr医疗 用于人造肠道系统的肠带
KR20200026598A (ko) * 2018-09-03 2020-03-11 신나은 생체 신호 처리를 이용한 스마트 의복
KR102154218B1 (ko) * 2018-09-03 2020-09-10 신나은 생체 신호 처리를 이용한 스마트 의복
KR20230048873A (ko) * 2021-10-05 2023-04-1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각도에 따른 자동 유압식 복압 벨트
KR102610256B1 (ko) 2021-10-05 2023-12-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각도에 따른 자동 유압식 복압 벨트
CN116807750A (zh) * 2023-06-29 2023-09-29 中国人民解放军西部战区总医院 一种可调节的引流管腹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351B1 (ko) 복부 자동압박복대
US20230346576A1 (en) Prosthesis socke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djustment of an inner circumference of a prosthesis socket
KR101895140B1 (ko) 보철 및 장구의 자동 폐쇄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3463215B1 (en) Orthopedic device
US7819830B2 (en) Knee brace with mechanical advantage closure system
US4556054A (en) Ankle orthosis
EP3166548B1 (en) Tightening system with a tension control mechanism
EP1991182B1 (en) Harness for stretching the penis
US20190336380A1 (en) Hand rehabilitation devic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6212134A (ja) 装着ベルト付きリハビリ靴並びに装着ベルト
US10278853B2 (en) Limiting dynamic cord for an orthosis or prosthesis or walker
AU2014222382B2 (en) Compression device
KR100888536B1 (ko) 혁대 벨트의 자동신축장치
US10092434B2 (en) Tendon supporting band
CN204072404U (zh) 关节辅具的快速绑带
CN108697521B (zh) 用于在骨科或医疗辅助器械或运动辅助器械处或在其中使绳索转向的转向元件
US20230404836A1 (en) Apparatus for assisted mobility
CN106031670B (zh) 接合位置可调的卡扣和绑带
GB2573581A (en) Blood flow restriction sportswear garment
JP2020062175A (ja) 動作アシスト装置の装着具
CN210992487U (zh) 一种胆道引流管防拉脱装置
KR200361628Y1 (ko) 신축성 에어벨트
KR200378730Y1 (ko) 허리가변 혁대
KR200193761Y1 (ko) 팬티
JP2019076326A (ja) 尿失禁防止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