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805B1 - 손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손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805B1
KR101471805B1 KR20140021128A KR20140021128A KR101471805B1 KR 101471805 B1 KR101471805 B1 KR 101471805B1 KR 20140021128 A KR20140021128 A KR 20140021128A KR 20140021128 A KR20140021128 A KR 20140021128A KR 101471805 B1 KR101471805 B1 KR 101471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m
hand
exercise device
air
remaining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화
김국한
하정훈
강승호
Original Assignee
(주)대성마리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마리프 filed Critical (주)대성마리프
Priority to KR20140021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공압에 의하여, 손가락이 손바닥 안쪽으로 말려서 경직된 경직 환자의 손목쪽 손바닥부와, 상기 경직 환자의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 및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가 서로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도록 운동시키는, 손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의료 현장이나 일상 생활에서 물리치료 하기 용이하도록, 종래 손가락이 손바닥 안쪽으로 말리는 고도 경직 환자에 손쉽게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 운동장치를 제조하는 측면에서 원가를 낮으면서도 제조하기도 용이한 손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손 운동장치{APPARATUS OF TRAINING HAND}
본 발명은 손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종래 손가락이 손바닥 안쪽으로 말리는 고도 경직 환자가, 병원, 의원 등 의료 현장이나 일상 생활에서 물리치료를 하기 용이하도록, 손쉽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 운동장치를 제조하는 기업 측면에서도 의료 현장이나 일상 생활에서 요구하는 기능을 충분히 구현하면서도 원가를 낮으면서 제조하기도 용이한 손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마비는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또는 뇌성마비 등의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마비를 동반한 운동장애와 감각의 결손, 자세의 불균형, 신체 자각 능력 결여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편마비는 마비된 근육을 필요한 순간에 적당한 크기의 힘이 발생하도록 사용하지 못하는 운동마비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은 편마비 환자 들은 손바닥이 말리는 경직 환자들로서, 이와 같은 손가락, 손바닥 부분의 고도 경직 환자에 대한 적절한 물리 치료가 시행되지 않으면 해당 고도 경직 환자는 손의 기능 회복이 어려운 것은 물론이고, 원래 손 기능 회복이 불가능한 환자에게도 장기간 물리 치료가 되지 않으면 경직 부위에 상당한 통증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손바닥이 말리는 고도 경직 환자에게 사용되는 기존의 연속 수동 운동 장치가 일부 있으나, 의료 현장이나 일상 생활에서의 물리 치료에 여러가지 어려움이 많았다.
이와 관련한 종래 특허 문헌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219990호(2013년 1월 2일 등록, 발명의 명칭 : 손 재활을 위한 휴대형 작업치료용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스마트폰용 앱을 포함하는 장치)를 들 수 있다.
해당 특허 문허에서는, "손 재활을 위한 휴대형 작업치료용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스마트폰용 앱을 포함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손 재활을 위한 휴대형 작업치료용 장치는 손가락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손가락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함으로써 상기 손가락 간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상대위치 측정기, 상기 손가락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손가락에 진동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진동기 및 상기 상대위치 측정기 및 진동기와 연결되어 상기 상대위치 측정기에서 센싱된 상기 위치 정보 및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휴대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및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상기 진동기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라고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술을 현장에서 적용할 경우, 손가락의 위치 정보 및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센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센싱 수단이 필요하며, 나아가 복수 개의 진동기 등이 필요로 하는 등 실제 현장에서 적용되기에는 가격이 너무 높아지는 문제점과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증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특허 제1093954호(2011년 12월 7일 등록, 발명의 명칭 :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 기구)에서는, "본 발명은 환자의 손을 거치하는 손 거치대, 상기 손 거치대와 힌지로 연결되며 환자의 팔을 거치하는 팔 거치대, 상기 팔 거치대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와 상기 손 거치대의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출입에 따라 상기 손 거치대를 회동시키고, 각각의 공기 유입호스가 구비되는 복수개의 에어백 및 상기 공기 유입호스와 연결되는 에어호스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백으로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펌프가 구비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고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 특허의 경우에도, 손목 경직에 대한 재활훈련을 위한 기구로서, 본 발명이 다루고 있는, 손가락이 손바닥 안쪽으로 말려서 경직된 고도 경직 환자에 대한 재활 치료에 적용되기는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다시 말해, 이하에서 서술할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가 다루고 있는, 손바닥이 말려져 접혀서 경직된 환자에 대해서, 손바닥을 펴는 기술이나 운동장치에 대한 문제의식은 종래 전무한 상태였다.
따라서,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손가락이 손바닥 안쪽으로 말리는 고도 경직 환자가, 병원, 의원 등 의료 현장이나 일상 생활에서 물리치료를 하기 용이하도록, 손쉽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 운동장치를 제조하는 기업 측면에서도 의료 현장이나 일상 생활에서 요구하는 기능을 충분히 구현하면서도 원가를 낮으면서 제조하기도 용이한 손 운동장치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 제1219990호(2013년 1월 2일 등록, 발명의 명칭 : 손 재활을 위한 휴대형 작업치료용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스마트폰용 앱을 포함하는 장치) 2. 대한민국 특허 제1093954호(2011년 12월 7일 등록, 발명의 명칭 :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 기구)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 손가락이 손바닥 안쪽으로 말리는 고도 경직 환자가, 병원, 의원 등 의료 현장이나 일상 생활에서 물리치료를 하기 용이하도록, 손쉽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 운동장치를 제조하는 기업 측면에서도 의료 현장이나 일상 생활에서 요구하는 기능을 충분히 구현하면서도 원가를 낮으면서 제조하기도 용이한 손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는, 공압에 의하여, 손가락이 손바닥 안쪽으로 말려서 경직된 경직 환자의 손목쪽 손바닥부와, 상기 경직 환자의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 및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가 서로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도록 운동시킨다.
또한, 상기 손 운동장치는, 상기 엄지 손가락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가 고정되도록 하는 손 고정용 장갑; 및 상기 손목쪽 손바닥부와, 상기 나머지 손가락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가 서로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도록, 상기 손 고정용 장갑의 일면에 부착되는 에어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손 고정용 장갑은, 상기 엄지 손가락이 삽입되는 엄지 손가락 삽입부;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을 고정하기 위한 나머지 손가락 고정부를 포함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머지 손가락 고정부는, 나머지 손가락을 양쪽에서 벨크로 타입으로 감싸면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에어백은, 상기 손목쪽 손바닥부와, 상기 나머지 손가락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 사이 전체 또는 일부가 구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에어백은, 상기 손목쪽 손바닥부와, 상기 나머지 손가락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 사이 중, 상기 나머지 손가락의 뿌리부분을 가상으로 연결한 선과 이격되어 평행한 선으로 손바닥이 접히는 선의 전체 또는 일부가 구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에는 에어 펌프로부터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기 위한 에어 유입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에어 유입 및 배출구는, 상기 에어 펌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 유입 및 배출 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유입 및 배출구를 통해서 상기 에어백에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펌프는, 상기 에어백에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것에 대하여, 자동 프로그램 또는 수동 프로그램, 상기 경직 환자에 대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에 의하면,
첫째, 의료 현장이나 일상 생활에서 물리치료에 적용되기 용이하다. 다시 말해, 고도 경직에 의한 운동장치 고정 및 운동범위 확보를 위하여 부드럽고 작은 부피의 에어백을 이용하여 손쉽게 착용이 가능하도록 손바닥 내측에 손 고정용 장갑(손 글러브) 형태로 구현하였다.
둘째, 손 운동장치를 제조하는 측면에서 원가를 낮으면서도 제조하기도 용이하다. 손 고정용 장갑과 에어백 등 간단한 구성만으로 손 운동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기존의 고가 기술(대한민국 특허 제1219990호 등)을 대체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의 손 운동 장치의 개발로 인해 새로운 시장의 창출 및 수입 대체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넷째, 저렴한 가격으로 의료 현장이나 일상 생활에 보급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존에 손 고도경직 환자의 경우 적절한 물리 치료를 받지 못하여 장기간 경과 후 상당한 통증에 시달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섯째, 손 고도 경직 환자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복지나 삶의 질 향상, 인간다운 삶의 영위을 도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회적 측면에서 보면, 정부의 복지 정책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의 실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의 동작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손 경직환자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를 착용한 모습 또는 손 경직환자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를 동작시켜 손바닥이 오무려지게 한 모습이다.
도 6은 손 경직환자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를 동작시켜서 손바닥이 벌어지게 한 모습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를 제작한 시작품을 직접 착용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의 에어백의 구획의 방법을 도시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의 실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의 동작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손 경직환자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를 착용한 모습 또는 손 경직환자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를 동작시켜 손바닥이 오무려지게 한 모습이며, 도 6은 손 경직환자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를 동작시켜서 손바닥이 벌어지게 한 모습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를 제작한 시작품을 직접 착용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의 에어백의 구획의 방법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의 실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마비환자의 수관절을 재활치료하는 장치로서, 에어백에 공기압을 압축, 배기를 반복하여, 손가락이 손바닥 안쪽으로 말려서 경직된 경직 환자의 손목쪽 손바닥부와, 상기 경직 환자의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 및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가 서로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도록 운동시키는 손 운동장치이다.
여기서 손 경직 환자는 뇌손상 또는 뇌졸중으로 인한 상지(손가락, 손목, 팔꿈치) 편마비 환자, 또는 장기간 깁스에 의한 마비 환자 등이다. 편마비는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또는 뇌성마비 등의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마비를 동반한 운동장애와 감각의 결손, 자세의 불균형, 신체 자각 능력 결여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편마비는 마비된 근육을 필요한 순간에 적당한 크기의 힘이 발생하도록 사용하지 못하는 운동마비 중 하나이다.
여기서 운동이라는 것은 손 경직 환자의 의사에 의한 및/또는 손 경직 환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하는 운동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 운동장치(4)는, 상기 엄지 손가락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가 고정되도록 하는 손 고정용 장갑(3); 및 상기 손목쪽 손바닥부와, 상기 나머지 손가락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가 서로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도록, 상기 손 고정용 장갑의 일면에 부착되는 에어백(1,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손 고정용 장갑(4)은, 상기 엄지 손가락이 삽입되는 엄지 손가락 삽입부;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을 고정하기 위한 나머지 손가락 고정부를 포함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머지 손가락 고정부는, 나머지 손가락을 양쪽에서 벨크로 타입으로 감싸면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에어백은, 상기 손목쪽 손바닥부(1)와, 상기 나머지 손가락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2) 사이 전체 또는 일부가 구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은, 상기 손목쪽 손바닥부(1)와, 상기 나머지 손가락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2) 사이 중, 상기 나머지 손가락의 뿌리부분을 가상으로 연결한 선(도 8의 검은색 선)과 이격되어 평행한 선으로 손바닥이 접히는 선(도 8의 빨간색 선)의 전체 또는 일부가 구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의 빨간색 선은 통상 사람이 오른손 또는 왼손을 주먹을 쥐었을 때, 손바닥이 접히는 부분이다.
상기 손목쪽 손바닥부(1)와 상기 나머지 손가락 및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2) 사이를 구획할 때,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공기역학적으로 고려하고, 손 경직 환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박음질하여 구획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손가락이나 손바닥이 펴지고 오무려지는 순서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공기가 에어백에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의 일측에는 에어 펌프로부터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기 위한 에어 유입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손목쪽 손바닥부(1)와, 상기 나머지 손가락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2) 사이 전체가 구획된 경우, 즉 그 사이 전체가 박음질되어 있어서 서로 공기가 통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에어 유입 및 배출구를 각각 에어백에 형성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손목쪽 손바닥부(1)와, 상기 나머지 손가락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2) 사이 일부가 구획되어 있는 경우, 즉 그 사이 일부가 박음질되어 있고 일부는 박음질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서로 공기가 통하므로, 에어 유입 및 배출구를 에어백에 하나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에어 유입 및 배출구는, 상기 에어 펌프(미도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 유입 및 배출 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유입 및 배출구를 통해서 상기 에어백에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 펌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에어 펌프(미도시)는, 상기 에어백(1,2)에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것에 대하여, 자동 프로그램 또는 수동 프로그램, 상기 경직 환자에 대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공기가 에어백(1,2)에 유입되고 배출되는 하나의 사이클(한 주기)의 시간을 조절하거나 유입 시간과 배출 시간을 달리 조절하거나 유입 및 배출 속도나 양을 조절하는 것을 손 경직 환자마다 달리 세팅하는 것도 가능하며, 미리 설정된 자동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물리 치료사나 의사 등 물리 치료에 관여하는 의료인이나 일상 생활에서는 환자 본인이나 가족이 스스로 위와 같은 팩터(factor) 들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수동 조절의 경우, 회전 레버나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의 동작 및 작동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의 동작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손 경직환자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를 착용한 모습 또는 손 경직환자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를 동작시켜 손바닥이 오무려지게 한 모습이며, 도 6은 손 경직환자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를 동작시켜서 손바닥이 벌어지게 한 모습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고정용 장갑(4)에 대해서 손 경직 환자의 엄지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엄지 손가락 삽입부에 엄지 손가락을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고정하기 위한 나머지 손가락 고정부(벨크로 포함)를 이용하여 나머지 손가락 및 손바닥을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손 경직환자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를 착용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다음으로, 에어 펌프(미도시)를 통해서 에어백(1,2)에 공기를 유입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목쪽 손바닥부와, 상기 나머지 손가락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가 서로 벌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에어 펌프(미도시)를 통해서, 에어백(1,2)에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목쪽 손바닥부와, 상기 나머지 손가락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가 서로 오무려지게 된다.
참고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손 운동장치를 제작한 시작품을 직접 착용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와 같은 실시예와 도면에 기재된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 또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2...손 고정용 장갑의 일면에 부착되는 에어백
1...손목쪽 손바닥부
2...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 및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
3...손 고정용 장갑
4...손 운동장치

Claims (10)

  1. 공압에 의하여, 손가락이 손바닥 안쪽으로 말려서 경직된 경직 환자의 손목쪽 손바닥부와, 상기 경직 환자의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 및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가 서로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도록 운동시키는, 손 운동장치로서,
    상기 손 운동장치는,
    상기 엄지 손가락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가 고정되도록 하는 손 고정용 장갑; 및
    상기 손목쪽 손바닥부와, 상기 나머지 손가락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가 서로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도록, 상기 손 고정용 장갑의 일면에 부착되는 에어백;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손목쪽 손바닥부와, 상기 나머지 손가락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 사이 전체 또는 일부가 구획되어 있는,
    손 운동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 고정용 장갑은,
    상기 엄지 손가락이 삽입되는 엄지 손가락 삽입부;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을 고정하기 위한 나머지 손가락 고정부를 포함하는,
    손 운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손가락 고정부는,
    나머지 손가락을 양쪽에서 벨크로 타입으로 감싸면서 고정하는,
    손 운동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상기 손목쪽 손바닥부와, 상기 나머지 손가락 및 상기 나머지 손가락쪽 손바닥부 사이 중,
    상기 나머지 손가락의 뿌리부분을 가상으로 연결한 선과 이격되어 평행한 선으로 손바닥이 접히는 선의 전체 또는 일부가 구획되어 있는,
    손 운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에는 에어 펌프로부터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기 위한 에어 유입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손 운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유입 및 배출구는,
    상기 에어 펌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 유입 및 배출 호스를 더 포함하는,
    손 운동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유입 및 배출구를 통해서 상기 에어백에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 펌프를 더 포함하는,
    손 운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펌프는,
    상기 에어백에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것에 대하여, 자동 프로그램 또는 수동 프로그램, 상기 경직 환자에 대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손 운동장치.
KR20140021128A 2014-02-24 2014-02-24 손 운동장치 KR101471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1128A KR101471805B1 (ko) 2014-02-24 2014-02-24 손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1128A KR101471805B1 (ko) 2014-02-24 2014-02-24 손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805B1 true KR101471805B1 (ko) 2014-12-10

Family

ID=5267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1128A KR101471805B1 (ko) 2014-02-24 2014-02-24 손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80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469A (ko)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가락 움직임 보조용 장갑
KR20220063913A (ko) 2020-11-11 2022-05-18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손 운동장치
KR20230026556A (ko) 2021-08-17 2023-02-27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상지 운동 장치
KR20230067248A (ko) 2021-11-09 2023-05-16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환자 맞춤형 보조력 제공이 가능한 재활 운동 시스템
KR20230076321A (ko) 2021-11-24 2023-05-31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도달운동을 위한 재활운동장치의 제어방법
KR20230076993A (ko) 2021-11-24 2023-06-01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재활운동로봇의 자세 모니터링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239A (ko) * 1992-04-02 1993-11-22 김만성 배구용 장갑
KR20100099943A (ko) * 2009-03-04 2010-09-1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부 수동 운동기구
KR20120133350A (ko) * 2011-05-31 2012-12-10 주식회사 네오펙트 신경장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KR20140001524U (ko) * 2012-09-04 2014-03-12 백승진 아쿠아장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239A (ko) * 1992-04-02 1993-11-22 김만성 배구용 장갑
KR20100099943A (ko) * 2009-03-04 2010-09-1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부 수동 운동기구
KR20120133350A (ko) * 2011-05-31 2012-12-10 주식회사 네오펙트 신경장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 장치
KR20140001524U (ko) * 2012-09-04 2014-03-12 백승진 아쿠아장갑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469A (ko)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가락 움직임 보조용 장갑
KR102331549B1 (ko) 2019-10-07 2021-11-26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가락 움직임 보조용 장갑
KR20220063913A (ko) 2020-11-11 2022-05-18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손 운동장치
KR20230026556A (ko) 2021-08-17 2023-02-27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상지 운동 장치
KR20230067248A (ko) 2021-11-09 2023-05-16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환자 맞춤형 보조력 제공이 가능한 재활 운동 시스템
KR20230076321A (ko) 2021-11-24 2023-05-31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도달운동을 위한 재활운동장치의 제어방법
KR20230076993A (ko) 2021-11-24 2023-06-01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재활운동로봇의 자세 모니터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805B1 (ko) 손 운동장치
US11309085B2 (en) System and method to enable remote adjustment of a device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US11284797B2 (en) Remote examin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Yoo et al. Development of 3D-printed myoelectric hand orthosis for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Randazzo et al. mano: A wearable hand exoskeleton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eurorehabilitation
McConnell et al. Robotic devices and brain-machine interfaces for hand rehabilitation post-stroke
Takahashi et al. A robotic device for hand motor therapy after stroke
US9757266B2 (en) Orthotic device
US20170258672A1 (en) Mitt for compression garments
KR101093954B1 (ko)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
JP6279143B2 (ja) 関節運動アシスト装置及び当該関節運動アシスト装置の装着方法
KR101595646B1 (ko) 손목 운동장치
Xing et al. A wearable device for repetitive hand therapy
KR101471804B1 (ko) 손 운동장치
Ferreira et al. Development of portable robotic orthosis and biomechanical validation in people with limited upper limb function after stroke
KR20160056235A (ko) 손 재활 장치
US20240009068A1 (en) Transformable pneumatic soft structures
CN204306941U (zh) 一种气压调节式颈部神经理疗装置
Ahmed et al. Robotic glove for rehabilitation purpose
TWM519533U (zh) 含手指伸張功能之手指復健器
KR102403890B1 (ko) 어깨 탈골 방지 장치 및 시스템
KR101621509B1 (ko) 재활치료용 상하지 운동방법
Khantan et al. The NuroSleeve, a user-centered 3D printed hybrid orthosis for individuals with upper extremity impairment
EP4298990A1 (en) Wearable apparatus to monitor a musculoskeletal condition of a joint, limb and muscles and also to stimulate thereof, and related systems
Rieger Design and analysis of a soft robotic glove for rehabilitation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