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193A - 필름 외장 전지의 삽입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외장 전지의 삽입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193A
KR20160027193A KR1020167003088A KR20167003088A KR20160027193A KR 20160027193 A KR20160027193 A KR 20160027193A KR 1020167003088 A KR1020167003088 A KR 1020167003088A KR 20167003088 A KR20167003088 A KR 20167003088A KR 20160027193 A KR20160027193 A KR 20160027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erminal
guide
battery
guid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162B1 (ko
Inventor
아키라 오카하타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모티브 에너지 서플라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모티브 에너지 서플라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7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1M2/108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01M2/020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가동 플레이트(25)의 간극(33)에 필름 외장 전지(11)를 삽입할 때, 외장체(15)의 측연부(15A)로부터 탭 형상으로 돌출된 단자(12)를 확실하게 간극(33) 내로 안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동 플레이트(25)의 상방 위치에 배치된 가이드 부재(34)에, 반삽입 방향(S1)을 향해 끝이 좁아지는 가이드면부(37)를 설치한다. 이 가이드면부(37)는, 단자(12)의 삽입 방향(S)측의 측연부(39)에 대해, 외장체(15)에 가까운 단자의 근원 부분(41)에 대응하는 부분을, 외장체(15)로부터 먼 단자의 선단 부분(42)에 대응하는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반삽입 방향(S1)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단자(12) 중 변형이 적은 근원 부분(41)으로부터 가이드면부(37)에 미끄럼 접촉시켜 단자를 변형 전의 형상으로 교정한다.

Description

필름 외장 전지의 삽입 안내 장치{INSERTION GUIDE DEVICE FOR FILM ARMORED BATTERY}
본 발명은, 필름 외장 전지의 삽입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의 외장체의 측연부로부터 탭 형상의 단자를 도출한 편평한 필름 외장 전지에서는, 금속 이물(콘터미네이션)을 검출하는 스크리닝 등의 공정에 있어서, 가압 장치에 의한 가압이 행해진다. 이 가압에서는, 소정의 플레이트 적층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의 상기 간극에 필름 외장 전지를 삽입하고, 상기 플레이트 적층 방향으로 플레이트를 가압함으로써, 필름 외장 전지가 가압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2-3950호 공보
예를 들어 도전성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탭 형상의 단자는 매우 얇고 취약하므로, 필름 외장 전지를 플레이트의 간극에 삽입할 때,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자가 도출하는 외장체의 측연부가 삽입 방향을 따르도록 단자를 횡방향으로 한 자세로 삽입할 때, 단자가 간극에 잘 삽입되지 않고, 플레이트에 간섭하여 절곡되거나, 혹은 인접하는 다른 플레이트의 간극에 삽입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삽입 시에 단자가 통과하는 플레이트의 상방 위치에, 단자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단자가 삽입 전부터 구부러져 있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단자가 가이드 부재에 걸리거나, 인접한 다른 간극에 삽입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탭 형상의 단자가 구부러져 있는 경우라도, 소정의 플레이트의 간극에 적절하게 삽입시킬 수 있는 신규의 필름 외장 전지의 삽입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소정의 플레이트 적층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의 상기 간극에,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외장체의 측연부로부터 탭 형상의 단자를 도출한 편평한 필름 외장 전지를, 상기 플레이트 적층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의 삽입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상기 필름 외장 전지는, 상기 단자가 도출하는 외장체의 측연부가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삽입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름 외장 전지의 삽입 시에, 상기 단자를 상기 플레이트의 간극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이 가이드 부재는, 상기 단자 중에서 외장체에 가까운 근원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 즉 단자의 근원 부분과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단자 중에서 외장체로부터 먼 선단 부분, 즉 단자의 선단 부분과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반삽입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필름 외장 전지를 삽입할 때에, 단자 중에서 변형량이 적은 근원 부분이 먼저 가이드 부재에 미끄럼 접촉하는 형태로 되고, 가이드 부재에 의해 단자의 변형이 근원 부분보다 서서히 교정ㆍ수정되게 된다. 따라서, 단자의 선단 부분의 변형량이 큰 경우라도, 단자를 양호하게 정규의 간극으로 안내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상기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인 반삽입 방향을 향해 끝이 좁아지는 가이드면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가이드면부의 형상을, 반삽입 방향을 향해 끝이 좁아지는 단면 삼각 형상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단자가 가이드면부의 반삽입 방향의 정상부 부근에 닿은 경우라도, 이 가이드면부의 경사면에 의해 확실하게 소정의 간극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트의 간극에 필름 외장 전지를 삽입할 때에, 외장체로부터 도출하는 단자를 확실하게 간극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필름 외장 전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마찬가지로 필름 외장 전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한 삽입 안내 장치를 적용한 가압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5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필름 외장 전지 및 가이드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필름 외장 전지와 가이드면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7은 상기 필름 외장 전지의 변형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가이드면부의 다른 형상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마찬가지로 가이드면부의 다른 형상예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필름 외장 전지(11)에 대해 설명한다. 이 필름 외장 전지(11)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이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평한 직사각형의 외관 형상을 갖고,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 테두리에, 도전성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탭 형상의 단자(12, 13)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외장 전지(11)는, 직사각형을 이루는 발전 요소(14)를 전해액과 함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외장체(15)의 내부에 수용한 것이다. 상기 발전 요소(14)는, 세퍼레이터(18)를 개재하여 교대로 적층된 복수의 정극판(16) 및 부극판(17)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3매의 부극판(17)과, 2매의 정극판(16)과, 이들 사이의 4매의 세퍼레이터(18)를 포함하고 있다. 즉, 이 예에서는, 발전 요소(14)의 양면에 부극판(17)이 위치되어 있다. 단, 발전 요소(14)의 최외층에 정극판(16)이 위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도 2에 있어서의 각 부의 치수는 반드시 정확한 것은 아니고, 설명을 위해 과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정극판(16)은, 직사각형을 이루는 정극 집전체(16A)의 양면에 정극 활물질층(16B, 16C)을 형성한 것이다. 정극 집전체(16A)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 알루미늄 합금박, 구리박, 또는, 니켈박 등의 전기 화학적으로 안정된 금속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정극 활물질층(16B, 16C)은, 예를 들어, 니켈산리튬(LiNiO2), 망간산리튬(LiMnO2), 또는, 코발트산리튬(LiCoO2) 등의 리튬 복합 산화물을 포함하는 정극 활물질과, 카본 블랙 등의 도전 보조제와, 바인더를 혼합한 것을, 정극 집전체(16A)의 주면에 도포하고, 건조 및 압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부극판(17)은, 직사각형을 이루는 부극 집전체(17A)의 양면에 부극 활물질층(17B, 17C)을 형성한 것이다. 부극 집전체(17A)는, 예를 들어, 니켈박, 구리박, 스테인리스박, 또는, 철박 등의 전기 화학적으로 안정된 금속박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극 활물질층(17B, 17C)은, 예를 들어, 비정질 탄소, 난흑연화 탄소, 이흑연화 탄소, 또는, 흑연 등과 같은 상기의 정극 활물질의 리튬 이온을 흡장 및 방출하는 부극 활물질에, 바인더를 혼합한 것을, 부극 집전체(17A)의 주면에 도포하고, 건조 및 압연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극 집전체(17A)의 길이 방향의 단부 테두리의 일부는, 부극 활물질층(17B, 17C)을 구비하지 않는 연장부로서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이 부극 단자(13)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마찬가지로, 상기 정극 집전체(16A)의 길이 방향의 단부 테두리의 일부가, 정극 활물질층(16B, 16C)을 구비하지 않는 연장부로서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이 정극 단자(12)에 접합되어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18)는, 정극판(16)과 부극판(17)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전해질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 등으로 구성되는 미다공성막으로 이루어지고, 과전류가 흐르면, 그 발열에 의해 층의 공공이 폐색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18)로서는, 폴리올레핀 등의 단층막으로 한정되지 않고, 폴리프로필렌막을 폴리에틸렌막으로 샌드위치한 3층 구조의 것이나, 폴리올레핀 미다공성막과 유기 부직포 등을 적층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해액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해질로서, 예를 들어, 유기 용매에 리튬염이 용해한 비수 전해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발전 요소(14)를 전해액과 함께 수용하는 외장체(15)는, 도 2에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열 융착층(15A)과 금속층(15B)과 보호층(15C)의 3층 구조를 갖는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중간의 금속층(15B)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면을 덮는 열 융착층(15A)은, 열 융착이 가능한 합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지고, 금속층(15B)의 외측면을 덮는 보호층(15C)은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다. 또한, 또한 다수의 층을 갖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금속층(15B)의 양면에 합성 수지층을 라미네이트하고 있지만, 금속층(15B)의 외측의 합성 수지층은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내측 표면에만 합성 수지층을 구비한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외장체(15)는, 하나의 예에서는, 도 2의 발전 요소(14)의 하면측에 배치되는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면측에 배치되는 다른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2매 구조를 이루고, 이들 2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주위의 4변을 중첩하고, 또한 서로 열 융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시예는, 이와 같은 2매 구조의 외장체(15)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예에서는, 외장체(15)는 1매의 비교적 큰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내측에 발전 요소(14)를 배치한 후에, 주위의 3변을 중첩하고, 또한 서로 열 융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직사각형을 이루는 필름 외장 전지(11)의 짧은 변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자(12, 13)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열 융착할 때에, 라미네이트 필름의 접합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동일한 한쪽의 단부 테두리에 한 쌍의 단자(12, 13)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지만, 한쪽의 단부 테두리에 정극 단자(12)를 배치하고, 또한 다른 쪽의 단부 테두리에 부극 단자(13)를 배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필름 외장 전지(11)의 제조 순서로서는, 이하와 같다. 먼저, 정극판(16), 부극판(17) 및 세퍼레이터(18)를 순차 적층하고, 또한 단자(12, 13)를 스폿 용접 등에 의해 설치하여 발전 요소(14)를 구성한다. 다음에, 이 발전 요소(14)를 외장체(15)가 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덮고, 비교적 작은 충전구를 남기고 주위의 4변(상기의 반으로 접은 경우에는 3변)을 열 융착한다. 다음에, 상기 충전구를 통해 외장체(15)의 내부에 전해액을 충전하고, 그 후, 충전구를 열 융착하여 외장체(15)를 밀폐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필름 외장 전지(11)가 완성되므로, 다음에, 적절한 레벨까지 충전을 행하고, 이 상태에서, 일정 시간, 에이징을 행한다. 이 에이징의 완료 후, 전압 검사 등의 스크리닝을 위해 다시 충전을 행하여, 출하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필름 외장 전지(11)는, 복수개를 편평한 상자 형상의 케이싱 내에 수용한 배터리 모듈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 배터리 모듈의 케이싱 내에서 복수의 필름 외장 전지(11)가 적층된 배치로 되고, 예를 들어, 케이싱의 일부 또는 케이싱과는 별개의 탄성 부재에 의해, 외장체(15)는, 발전 요소(14)의 플레이트 적층 방향[발전 요소(14)의 주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소 가압된 상태로 될 수 있다.
상기의 스크리닝의 공정에서는, 복수의 필름 외장 전지(11)를 가압 장치(20)(도 3 참조)에 수납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름 외장 전지(11)를 가압한 후, 필름 외장 전지(11)의 내부에 금속 이물(콘터미네이션)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ㆍ진단한다. 이 스크리닝 공정은, 상술한 제조 공정 중에서, 전해액의 충전 및 외장체(15)의 완전 밀폐(충전구의 밀봉) 후의 적절한 시기에 실행된다. 예를 들어, 필름 외장 전지(11)로서의 출하 직전에 스크리닝 공정을 형성해도 되고, 혹은, 외장체(15)를 완전 밀폐한 직후에 스크리닝 공정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에이징 공정 중에 내부에서 이물이 석출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에이징 공정 직후에 스크리닝 공정을 형성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스크리닝 공정을 행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면, 전지 제조 공정에 있어서 금속 이물이 필름 외장 전지(11)의 내부에 섞여 들면, 이 금속 이물이 세퍼레이터(18)를 뚫고 관통하여, 정극 활물질과 부극 활물질을 쇼트시키는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이 경우, 원하는 전압을 발생할 수 없다. 따라서, 필름 외장 전지(11)의 내부에 금속 이물이 섞여 들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진단)하는 스크리닝 공정이 필요해진다. 금속 이물에 의해 정극 활물질과 부극 활물질이 쇼트했는지 여부는 한 쌍의 단자(12, 13) 사이의 전압을 모니터하면 된다. 즉, 충전 종료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필름 외장 전지(11)의 발생하는 전압의 저하의 정도가, 예상되는 전압 저하의 정도보다 크게 변화되지 않으면, 금속 이물은 혼입되어 있지 않다고 진단할 수 있다. 반대로, 충전 종료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의 전압 저하의 정도가, 예상되는 전압 저하의 정도를 초과하여 크게 변화되어 있으면, 금속 이물이 혼입되어 있었다고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이 스크리닝 공정에서는, 금속 이물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즉 금속 이물이 세퍼레이터(18)를 관통하도록, 후술하는 가압 장치(20)에 의해 필름 외장 전지(11)를 플레이트 적층 방향으로 가압하고, 이 가압 상태 그대로 검사가 행해진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의 삽입 안내 장치가 적용되는 필름 외장 전지(11)의 가압 장치(20)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가동 플레이트(25)나 필름 외장 전지(11)의 매수는 도 3 등에 도시된 매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 가압 장치(11)는, 덮개가 없는 상자 형상의 하우징(24)과, 복수의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는 가동 플레이트(25)를 갖고 있다. 하우징(24)은, 전방벽(24A), 후방벽(24B) 및 양자를 연결하는 저벽(24C)을 갖고 있다. 이 하우징(24) 내에 복수의 가동 플레이트(25)가 소정의 플레이트 적층 방향(F)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가동 플레이트(25)의 형상은 동일하다. 가동 플레이트(25)는, 필름 외장 전지(11)의 발전 요소(14)의 부분에 플레이트 적층 방향(F)의 양측으로부터 면압을 작용시키기 위한 것이다.
가동 플레이트(25)가 하우징(24)의 저벽(24C)을 드래그하는 일이 없도록, 각 가동 플레이트(25)에는, 플레이트 적층 방향(F)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기구는, 가동 플레이트(25)의 네 코너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26)과, 이 가이드 구멍(26)을 완만히 관통하는 로드 형상의 가이드 로드(27)를 갖고 있다. 즉, 각 가동 플레이트(25)의 네 코너에 가이드 구멍(26)을 형성하고, 각 가이드 구멍(26)에 각각 막대 형상의 가이드 로드(27)를 관통시키고 있다. 모든 가동 플레이트(25)를 관통시킨 후에 막대 형상의 가이드 로드(27)의 양단을 하우징(24)의 전방벽(24A)과 후방벽(24B)에 고정함으로써, 모든 가동 플레이트(25)는 플레이트 적층 방향(F)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도 3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가동 플레이트(25)에는, 필름 외장 전지(11)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단면 L자 형상으로 절곡한 저벽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최좌측 단부의 가동 플레이트(25)는, 다른 가동 플레이트(25)보다도 조금 큰 면적이고 두꺼운 가압용의 후육 플레이트(29)로 되어 있다. 이 후육 플레이트(29)에는 외주에 수나사(31)를 자른 체결용 로드(30)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24)의 전방벽(24A)에는 체결용 로드(30) 외주의 수나사(31)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 구멍(3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너트 러너에 의해 체결용 로드(30)의 타단부(도 3에서 좌측 단부)를 시계 방향으로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나사 교합 부분을 통해 체결용 로드(30)가 하우징(24)의 전방벽(24A)에 대해 플레이트 적층 방향(F)으로 이동하고, 후육 플레이트(29)를 플레이트 적층 방향(F)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육 플레이트(29)는 플레이트 적층 방향(F)으로 직선 운동을 하는 것만으로, 체결용 로드(30)의 회전은 전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너트 러너(23)에 의한 가압력(체결 토크)이나 가압 시간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관리ㆍ제어되어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2개의 가동 플레이트(25)의 간극에 필름 외장 전지(11)를 끼우고, 전체를 플레이트 적층 방향(F)의 양측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각 필름 외장 전지(11)가 플레이트 적층 방향(F)으로 가압된다. 이 경우, 각 필름 외장 전지(11)는, 그 발전 요소(14)의 부분에 좌우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작용하는 면압이, 가능한 한 균일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외장 전지(11)는, 단자(12, 13)가 도출하는 외장체(15)의 측연부(15A)가, 플레이트 적층 방향(F)에 직교하는 필름 외장 전지(11)의 삽입 방향(S)(도 3의 하측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이웃하는 가동 플레이트(25)의 간극(33)에 삽입된다. 이때, 복수의 가동 플레이트(25)는, 도시하지 않은 지그를 사용하여 플레이트 적층 방향(F)으로 일정한 피치로 등간격으로 배열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삽입 전의 필름 외장 전지(11)도 또한, 도시하지 않은 지그를 사용하여, 플레이트 적층 방향(F)으로 일정한 피치로 등간격으로 배열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즉, 각 필름 외장 전지(11)가 삽입 방향(S)을 따라 가동 플레이트(25)의 간극(33)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필름 외장 전지(11)를 삽입 방향(S)을 따라 가동 플레이트(25)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필름 외장 전지(11)가 대응하는 간극(33) 내에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 필름 외장 전지(11)의 삽입 시에, 탭 형상의 단자(12, 13)의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 안내 장치로서의 가이드 부재(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부재(34)는, 필름 외장 전지(11)를 삽입할 때에, 단자(12, 13)가 통과하게 되는 가동 플레이트(25)의 상방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플레이트 적층 방향(F)으로 연장되는 설치 플레이트(35)에 블록 형상의 복수의 가이드 블록(36)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가이드 블록(36)은, 상기 가동 플레이트(25)와 동일하게 플레이트 적층 방향(F)으로 일정한 피치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4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가이드 블록(36)에는, 삽입 방향(S)의 반대 방향인 반삽입 방향(S1)을 향해 끝이 좁아지는 가이드면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면부(37)는, 반삽입 방향(S1)측의 능선을 이루는 정상부(38)를 향해 끝이 좁아지는 단면 삼각 형상을 이루고 있고, 각 정상부(38)가 플레이트 적층 방향(F)에 관하여 가동 플레이트(25)의 간극(33)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면부(37)는, 그 정상부(38)를 포함하고, 가이드면부(37)에 미끄럼 접촉하는 단자(12, 13)의 삽입 방향(S)측의 측연부(39)에 대해, 단자(12, 13) 중에서 외장체(15)에 가까운 근원 부분(41)에 대응하는 부분, 즉 단자(12, 13)의 근원 부분(41)에 미끄럼 접촉 가능한 부분이, 단자(12, 13) 중에서 외장체(15)로부터 먼 선단 부분(42)에 대응하는 부분, 즉 선단 부분(42)에 미끄럼 접촉 가능한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반삽입 방향(S1)으로 돌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부(38)는, 단자(12, 13)의 삽입 방향(S)측의 측연부(39)에 대해, 단자의 선단측으로부터 근원측을 향함에 따라[즉, 외장체(15)로 근접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반삽입 방향(S1)(도 5의 상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면부(37)는, 2개의 경사면의 내각이 비교적 작은 제1 경사면부(43)의 반삽입 방향(S1)측에, 2개의 경사면의 내각이 비교적 큰 제2 경사면부(44)가 연결되도록 절곡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고, 단자(12, 13)의 근원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제2 경사면부(44)의 형성 범위가 서서히 커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면부(37)는, 그 정상부(38)뿐만 아니라, 경사면의 부분에 있어서도, 단자의 선단으로부터 근원 측을 향함에 따라 반삽입 방향(S1)으로 돌출된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12, 13)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외장체(15)측에 접속하는 근원 부분(41)에 대해, 선단 부분(42)의 휨 등의 변형, 즉 필름 외장 전지(11)의 주면 중앙의 기준면(45)에 대한 변형량(휨량)이 커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면부(37) 중, 근원 부분(41)에 대응하는 부분을 선단 부분(42)에 대응하는 부분에 비해 반삽입 방향(S1)측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필름 외장 전지(11)를 삽입할 때에, 단자(12, 13) 중에서, 변형량이 적은 근원 부분(41)이 먼저 가이드면부(37)에 미끄럼 접촉하게 되고, 가이드면부(37)에 의해 단자(12, 13)의 변형이 근원 부분(41)부터 서서히 교정ㆍ수정되고, 선단 부분(42)의 변형량이 큰 경우라도, 단자(12, 13)를 양호하게 정규의 간극(33)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면부(37)의 형상을 단면 삼각 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단자(12, 13)가 가이드면부(37)의 정상부(38)의 부근에 닿은 경우라도, 이 가이드면부(37)의 경사면에 의해 확실하게 소정의 간극(33)으로 안내할 수 있다.
단자 측연부(39)에 대한 가이드면부(37)의 정상부(38)의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0.2° 이상의 작은 각도라도 효과가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가이드면부(37)의 정상부(38)의 고저차는, 예를 들어 0.2㎜ 이상의 작은 치수라도 소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의 가이드면부(37)에서는, 정상부(38)를 경사지게 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근원측을 선단측보다도 반삽입 방향(S1)으로 돌출시키고 있지만,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다른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면부(37A)의 높이가 단계적으로 변화되도록, 정상부(38A)를 계단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라도, 가이드면부(37)의 근원측이 선단측보다도 반삽입 방향(S1)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되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면부(37)의 형상을 단면 삼각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삽입 방향(S1)을 향해 끝이 좁아지는 형상의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면부(37B)를 단면 반원호 형상으로 해도 된다. 단, 이와 같이 가이드면부(37B)를 단면 반원호 형상으로 했을 경우, 정상부(38B) 부근의 경사가 비교적 완만한 것으로 되므로, 단자(12, 13)가 정상부(38B) 부근에 닿았을 때에, 단자(12, 13)가 정규의 간극(33)과는 다른 이웃하는 간극으로 들어갈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면부(37)를 단면 삼각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Claims (4)

  1. 소정의 플레이트 적층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의 상기 간극에,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외장체의 측연부로부터 탭 형상의 단자를 도출한 편평한 필름 외장 전지를, 상기 플레이트 적층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의 삽입 방향으로 삽입하는 필름 외장 전지의 삽입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름 외장 전지는, 상기 단자가 도출하는 외장체의 측연부가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삽입되고,
    또한, 상기 필름 외장 전지의 삽입 시에, 상기 단자를 상기 플레이트의 간극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 부재는, 상기 단자 중에서 외장체에 가까운 근원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상기 단자 중에서 외장체로부터 먼 선단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반삽입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필름 외장 전지의 삽입 안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인 반삽입 방향을 향해 끝이 좁아지는 가이드면부를 갖고 있는, 필름 외장 전지의 삽입 안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부의 정상부는, 상기 단자의 삽입 방향측의 측연부에 대해, 상기 단자의 근원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상기 반삽입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져 있는, 필름 외장 전지의 삽입 안내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부는, 상기 정상부를 향해 끝이 좁아지는 단면 삼각 형상을 이루고 있는, 필름 외장 전지의 삽입 안내 장치.
KR1020167003088A 2013-08-14 2014-06-19 필름 외장 전지의 삽입 안내 장치 KR101896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8417 2013-08-14
JPJP-P-2013-168417 2013-08-14
PCT/JP2014/066231 WO2015022811A1 (ja) 2013-08-14 2014-06-19 フィルム外装電池の挿入案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193A true KR20160027193A (ko) 2016-03-09
KR101896162B1 KR101896162B1 (ko) 2018-09-07

Family

ID=5246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088A KR101896162B1 (ko) 2013-08-14 2014-06-19 필름 외장 전지의 삽입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05815B2 (ko)
EP (1) EP3035408B1 (ko)
JP (1) JP6088054B2 (ko)
KR (1) KR101896162B1 (ko)
CN (1) CN105594013B (ko)
WO (1) WO201502281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901B1 (ko) * 2019-04-25 2019-08-28 백영진 2차전지셀 케이스 삽입 장치
US12051787B2 (en) 2019-08-30 2024-07-30 Lg Energy Solution, Ltd. Apparatus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0368B2 (ja) * 2015-08-21 2019-07-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セル収納装置
GB2566169B (en) 2016-04-03 2022-10-26 Brammo Inc 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e
JP6800419B2 (ja) * 2017-02-03 2020-12-16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チャック装置
AT519967B1 (de) * 2017-06-08 2018-12-15 Avl List Gmbh Einbauverfahren für batteriezellen in ein gehäuse sowie einbauvorrichtung hierfür
CN110482176A (zh) * 2019-08-09 2019-11-22 苏州富强科技有限公司 一种扶正导向机构
CN110436172B (zh) * 2019-08-09 2024-08-02 苏州富强科技有限公司 一种顶升式物料取出装置
CN113540704B (zh) * 2021-07-14 2023-06-20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电池模组及用电设备
CN115570049B (zh) * 2022-10-25 2023-11-28 宿迁市华力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腐蚀箔波浪边的矫正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8956A (en) * 1995-08-30 1996-09-24 Gujer; Rudolf System for isolating batteries during testing
JP2000228211A (ja) * 1999-02-04 2000-08-15 Hitachi Maxell Ltd 密閉型の電池
KR20110137741A (ko) * 2010-06-17 2011-12-23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라미네이트형 전지의 가압 장치
JP2012003950A (ja) 2010-06-17 2012-01-05 Nissan Motor Co Ltd ラミネート型電池の加圧装置
JP2012212606A (ja) * 2011-03-31 2012-11-01 Nec Energy Devices Ltd 電池パック
JP2013143309A (ja) * 2012-01-12 2013-07-22 Hitachi Maxell Ltd トレー、主トレー、およびトレー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197A (ja) * 1999-08-18 2001-02-27 Toshiba Battery Co Ltd 薄型電池用搬送治具
JP2002231320A (ja) * 2001-01-31 2002-08-16 Sony Corp 電池用トレイ
JP5582815B2 (ja) * 2010-02-18 2014-09-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池間接続装置
US9356278B2 (en) * 2011-03-31 2016-05-31 Nec Energy Devices, Ltd. Battery pack
JP5765769B2 (ja) * 2011-03-31 2015-08-19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5946648B2 (ja) * 2012-02-13 2016-07-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セル搬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8956A (en) * 1995-08-30 1996-09-24 Gujer; Rudolf System for isolating batteries during testing
JP2000228211A (ja) * 1999-02-04 2000-08-15 Hitachi Maxell Ltd 密閉型の電池
KR20110137741A (ko) * 2010-06-17 2011-12-23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라미네이트형 전지의 가압 장치
JP2012003950A (ja) 2010-06-17 2012-01-05 Nissan Motor Co Ltd ラミネート型電池の加圧装置
JP2012212606A (ja) * 2011-03-31 2012-11-01 Nec Energy Devices Ltd 電池パック
JP2013143309A (ja) * 2012-01-12 2013-07-22 Hitachi Maxell Ltd トレー、主トレー、およびトレーセ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901B1 (ko) * 2019-04-25 2019-08-28 백영진 2차전지셀 케이스 삽입 장치
US12051787B2 (en) 2019-08-30 2024-07-30 Lg Energy Solution, Ltd. Apparatus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94013A (zh) 2016-05-18
JPWO2015022811A1 (ja) 2017-03-02
US20160172636A1 (en) 2016-06-16
EP3035408A4 (en) 2016-08-31
CN105594013B (zh) 2018-01-09
WO2015022811A1 (ja) 2015-02-19
JP6088054B2 (ja) 2017-03-01
EP3035408B1 (en) 2017-08-09
EP3035408A1 (en) 2016-06-22
KR101896162B1 (ko) 2018-09-07
US9905815B2 (en)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162B1 (ko) 필름 외장 전지의 삽입 안내 장치
JP5061698B2 (ja) 蓄電装置
US9257692B2 (en) Flat-type battery
JP6631792B2 (ja) 二次電池の短絡評価方法
KR101240778B1 (ko) 이차전지의 보호회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US10326174B2 (en) Battery pack
US9960460B2 (en) Energy storage apparatus
US11901589B2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module
EP3054499B1 (en) Battery pack comprising electrically insulating pack case
JP2015037047A (ja) フィルム外装電池の加圧方法
JP7392662B2 (ja) 蓄電装置
CN106784435A (zh) 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US10319957B2 (en) Energy storage device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KR101619940B1 (ko) 무용접 연결을 위한 커넥터 및 이를 적용한 전지팩
JP2019061830A (ja) 蓄電モジュール及び蓄電パック
US10930979B2 (en)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nergy storage device
JP7151123B2 (ja) 蓄電素子の検査方法及び蓄電素子
KR20170071253A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테라스 성형 장치
JP5545280B2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1770328B1 (ko) 과충전 방지 전지팩
KR20210060239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1792816B1 (ko) 전지셀 장착용 지그
KR20180048100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KR101811836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미실링부를 포함하는 전지케이스용 실링 장치
JP2015210929A (ja) 蓄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