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669A - 사출성형기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669A
KR20160026669A KR1020150098189A KR20150098189A KR20160026669A KR 20160026669 A KR20160026669 A KR 20160026669A KR 1020150098189 A KR1020150098189 A KR 1020150098189A KR 20150098189 A KR20150098189 A KR 20150098189A KR 20160026669 A KR20160026669 A KR 20160026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laten
connecting member
stationary
clos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9190B1 (ko
Inventor
도모히로 모리야
단 양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42Mounting of moulds; Mould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6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 B29C45/661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using a toggle mechanism for mould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25Preventing defects on the moulded article, e.g. weld lines, shrinkage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42Mounting of moulds; Mould supports
    • B29C45/1744Mould support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금형의 중앙부를 집중적으로 되밀 수 있고, 또한, 금형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출성형기를 제공한다.
금형이 장착되는 플래튼을 구비하는 사출성형기로서, 상기 금형과 상기 플래튼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부재와,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상기 금형의 외주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중앙연결부재와,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상기 중앙연결부재의 주위에 배치되는 주변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연결부재 및 상기 주변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중간부재와 상기 플래튼의 사이, 및 상기 금형과 상기 중간부재의 사이 중 적어도 일방에 배치되며, 상기 금형은, 상기 중간부재, 상기 중앙연결부재, 및 상기 주변연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플래튼에 장착되는 사출성형기.

Description

사출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출원은, 2014년 8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4-174243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기는, 금형장치의 형폐쇄, 형체결, 형개방을 행하는 형체결장치, 금형장치 내에 성형재료(예를 들면 수지)를 충전하는 사출장치, 금형장치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하는 이젝터장치 등을 가진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형체결장치는, 고정금형이 장착되는 고정플래튼과, 가동금형이 장착되는 가동플래튼을 가진다.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으로 금형장치가 구성된다. 이하,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 간단히 금형으로 칭한다. 또, 고정플래튼과 가동플래튼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 간단히 플래튼으로 칭한다.
국제공개공보 제2005/068155호
종래, 금형장치 내로의 성형재료의 충전 시에, 성형재료의 압력에 의하여 금형장치의 중앙부가 약간 개방되어, 성형품의 두께 편차나 버(burr)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성형재료의 압력은 금형의 중앙부에 집중되기 때문에, 금형의 중앙부를 집중적으로 되미는 부재가 금형과 플래튼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부재는, 금형의 중앙부만을 지지한다. 이로 인하여, 금형과 플래튼의 평행도의 확보가 어렵고, 또, 장착용 볼트 등의 설치 스페이스가 좁으며, 금형의 장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금형의 중앙부를 집중적으로 되밀 수 있고, 또한, 금형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출성형기의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금형이 장착되는 플래튼을 구비하는 사출성형기로서,
상기 금형과 상기 플래튼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부재와,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상기 금형의 외주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중앙연결부재와,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상기 중앙연결부재의 주위에 배치되는 주변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연결부재 및 상기 주변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중간부재와 상기 플래튼의 사이, 및 상기 금형과 상기 중간부재의 사이 중 적어도 일방에 배치되며,
상기 금형은, 상기 중간부재, 상기 중앙연결부재, 및 상기 주변연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플래튼에 장착되는 사출성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금형의 중앙부를 집중적으로 되밀 수 있고, 또한, 금형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출성형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형폐쇄 완료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형개방 완료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형개폐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고정플래튼, 고정금형,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측방에서 보았을 때의 고정플래튼, 고정금형,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형폐쇄 완료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형개방 완료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출성형기는, 프레임(Fr), 형체결장치(10), 사출장치(40), 이젝터장치(70)를 가진다.
형체결장치(10)는, 금형장치(30)의 형폐쇄, 형체결, 형개방을 행한다. 금형장치(30)는, 고정금형(32)과, 가동금형(33)으로 구성된다.
형체결장치(10)는, 고정플래튼(12), 가동플래튼(13), 리어플래튼(15), 타이바(16), 토글기구(20), 형체결모터(21) 및 운동변환기구(25)를 가진다. 이하, 형폐쇄 시의 가동플래튼(13)의 이동방향(도 1 및 도 2 중 우측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형개방 시의 가동플래튼(13)의 이동방향(도 1 및 도 2 중 좌측 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고정플래튼(12)은, 프레임(Fr)에 대하여 고정된다. 고정플래튼(12)에 있어서의 가동플래튼(13)과의 대향면에 고정금형(32)이 장착된다. 고정금형(32)은, 중간부재(51), 중앙연결부재(52), 및 주변연결부재(53) 등을 통하여 고정플래튼(12)에 장착된다.
가동플래튼(13)은, 프레임(Fr) 상에 부설되는 가이드(예를 들면 가이드레일)(17)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고, 고정플래튼(12)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된다. 가동플래튼(13)에 있어서의 고정플래튼(12)과의 대향면에 가동금형(33)이 장착된다. 가동금형(33)은, 고정금형(32)과 마찬가지로, 중간부재(61), 중앙연결부재(62), 및 주변연결부재(63) 등을 통하여 가동플래튼(13)에 장착된다.
고정플래튼(12)에 대하여 가동플래튼(13)을 진퇴시킴으로써, 가동금형(33)이 고정금형(32)에 대하여 진퇴하여, 금형장치(30)의 형폐쇄, 형체결, 형개방이 행해진다.
리어플래튼(15)은, 복수 개(예를 들면 4개)의 타이바(16)를 통하여 고정플래튼(12)과 연결되어, 프레임(Fr) 상에 형개폐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재치된다. 다만, 리어플래튼(15)은, 프레임(Fr) 상에 부설되는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리어플래튼(15)의 가이드는, 가동플래튼(13)의 가이드(17)와 공통인 것이어도 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플래튼(12)이 프레임(Fr)에 대하여 고정되고, 리어플래튼(15)이 프레임(Fr)에 대하여 형개폐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지만, 리어플래튼(15)이 프레임(Fr)에 대하여 고정되고, 고정플래튼(12)이 프레임(Fr)에 대하여 형개폐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타이바(16)는, 형개폐방향으로 평행하게 되고, 형체결력에 따라 뻗는다. 적어도 1개의 타이바(16)에는 형체결력 검출기가 마련된다. 형체결력 검출기는, 변형 게이지식이어도 되고, 타이바의 변형을 검출함으로써 형체결력을 검출한다.
다만, 형체결력 검출기는, 변형 게이지식에 한정되지 않고, 압전식, 용량식, 유압식, 전자식 등이어도 되고, 그 장착 위치도 타이바(16)에 한정되지 않는다.
토글기구(20)는, 가동플래튼(13)과 리어플래튼(15)의 사이에 배치된다. 토글기구(20)는, 크로스헤드(20a), 복수의 링크(20b, 20c) 등으로 구성된다. 일방의 링크(20b)는 가동플래튼(13)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방의 링크(20c)는 리어플래튼(15)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들 링크(20b, 20c)는, 핀 등으로 굴신(屈伸) 가능하게 연결된다. 크로스헤드(20a)를 진퇴시킴으로써, 복수의 링크(20b, 20c)가 굴신되고, 리어플래튼(15)에 대하여 가동플래튼(13)이 진퇴된다.
형체결모터(21)는, 리어플래튼(15)에 장착되어, 크로스헤드(20a)를 진퇴시킴으로써, 가동플래튼(13)을 진퇴시킨다. 형체결모터(21)와 크로스헤드(20a)의 사이에는, 형체결모터(2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크로스헤드(20a)에 전달하는 운동변환기구(25)가 마련된다.
형체결장치(10)는, 형폐쇄공정에 있어서, 형체결모터(21)를 구동하여 가동플래튼(13)을 전진시킨다. 가동금형(33)과 고정금형(32)이 접촉함으로써, 형폐쇄공정이 완료된다. 그 후, 형체결공정에서는, 형체결모터(21)를 더 구동하여 형체결모터(21)에 의한 추진력에 토글 배율을 곱한 형체결력을 발생시킨다. 형체결 시에 가동금형(33)과 고정금형(32)의 사이에 캐비티공간(34)이 형성된다. 사출장치(40)가 캐비티공간(34)에 액상의 성형재료를 충전시킨다. 캐비티공간(34) 내의 성형재료가 고화한 후, 형개방공정이 행해진다. 형개방공정에서는, 형체결장치(10)가 형체결모터(21)를 구동하여 가동플래튼(13)을 후퇴시킨다. 형개방 완료 후, 이젝터장치(70)가 가동금형(33)으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한다.
다만, 본 실시형태의 형체결장치(10)는, 구동원으로서, 형체결모터(21)를 가지지만, 형체결모터(21) 대신에, 유압실린더를 가져도 된다. 또, 형체결장치(10)는, 형개폐용으로 리니어모터를 가지고, 형체결용으로 전자석을 가져도 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고정금형(32)과 고정플래튼(12)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51~53)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가동금형(33)과 가동플래튼(13)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61~63)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형개폐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고정플래튼, 고정금형,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측방에서 보았을 때의 고정플래튼, 고정금형,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고정금형(32)과 고정플래튼(12)의 사이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부재(51), 중앙연결부재(52), 및 주변연결부재(53)가 배치된다. 고정금형(32)은, 중간부재(51), 중앙연결부재(52), 및 주변연결부재(53)를 통하여 고정플래튼(12)에 장착된다. 장착에는, 볼트 또는 클램프 등이 이용된다.
중간부재(5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금형(32)과 고정플래튼(12)의 사이에 배치된다. 중간부재(51)의 중앙부분 및 외주부분은, 고정플래튼(12)에 대하여 볼트 등으로 연결된다. 중간부재(51)는 예를 들면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재(51)의 전면 및 후면은 형개폐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된다.
중간부재(51)의 네 귀퉁이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바(16)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절결이 형성되어도 된다. 다만, 절결 대신에, 타이바(16)가 삽통되는 삽통구멍이 형성되어도 된다.
중간부재(51)의 중앙부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금형(32)과의 위치 맞춤용 관통구멍이 형성되어도 된다. 중간부재(51)의 중심선과, 고정금형(32)의 중심선은, 동일 직선 상에 있어도 된다.
다만, 중간부재(51)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은, 사출장치(40)의 노즐(41)이 통과하기 위한 것이어도 된다. 노즐(41)은, 고정플래튼(12)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노즐 통과구멍(12a)을 통과하여, 고정금형(32)에 터치된다.
중앙연결부재(5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고정금형(32)의 외주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예를 들면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중앙연결부재(52)의 형상은, 타원형상, 직사각형상 등의 다각형상이어도 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중앙연결부재(52)의 중심선과, 고정금형(32)의 중심선은 동일 직선 상에 있어도 된다.
중앙연결부재(5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중간부재(51)와 고정플래튼(12)의 사이에 배치되며, 중간부재(51)와 고정플래튼(12)을 연결한다. 중앙연결부재(52)는, 도 4에서는 중간부재(51)와 일체로 형성되지만, 고정플래튼(12)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되고, 중간부재(51) 및 고정플래튼(12)과 별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중앙연결부재(52)는, 중간부재(51)와 고정플래튼(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중간부재(51)와 고정플래튼(12)을 연결하지만, 중간부재(51)와 고정금형(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중간부재(51)와 고정금형(32)을 연결해도 된다. 이 경우, 중앙연결부재(52)는, 중간부재(51)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되고, 고정금형(32)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되며, 중간부재(51) 및 고정금형(32)과 별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중앙연결부재(52)는, 중간부재(51)와 고정금형(32)의 사이, 및 중간부재(51)와 고정플래튼(12)의 사이의 양방에 각각 배치되어도 된다.
중앙연결부재(52)의 중앙부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41)이 통과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도 된다.
주변연결부재(5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주변연결부재(53)의 주위에 배치되고, 예를 들면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주변연결부재(53)의 형상은, 타원형상, 직사각형상 등의 다각형상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주변연결부재(53)는,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고정금형(32)의 외주보다 외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 주변연결부재(53)는,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복수의 타이바(16)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복수의 타이바(16)의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 상에 배치되어도 된다.
주변연결부재(5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중간부재(51)와 고정플래튼(12)의 사이에 배치되며, 중간부재(51)와 고정플래튼(12)을 연결한다. 주변연결부재(53)는, 도 4에서는 중간부재(51)와 일체로 형성되지만, 고정플래튼(12)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되고, 중간부재(51) 및 고정플래튼(12)과 별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주변연결부재(53)는, 중간부재(51)와 고정플래튼(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중간부재(51)와 고정플래튼(12)을 연결하지만, 중간부재(51)와 고정금형(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중간부재(51)와 고정금형(32)을 연결해도 된다. 이 경우, 주변연결부재(53)는, 중간부재(51)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되고, 고정금형(32)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되며, 중간부재(51) 및 고정금형(32)과 별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주변연결부재(53)는,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고정금형(32)의 외주보다 외측에 배치되지만, 고정금형(32)의 외주보다 내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중앙연결부재(52)는, 중간부재(51)와 고정금형(32)의 사이, 및 중간부재(51)와 고정플래튼(12)의 사이의 양방에 각각 배치되어도 된다.
주변연결부재(5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여도 되고,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고정금형(32)의 중심선(L0)을 중심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도 3에서는 점대칭에 배치되는 한 쌍의 주변연결부재(53)가 복수 세트 이용되지만, 1세트 이용되어도 된다.
복수의 주변연결부재(53)는,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2개의 타이바(16)의 사이의 선을 기준으로 대칭 배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주변연결부재(53)는,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상측의 타이바(16)와 하측의 타이바(16)의 사이의 선(L1)을 기준으로 대칭 배치되어도 된다. 이 선(L1)은, 상측의 타이바(16)와 하측의 타이바(16)로부터 등거리의 선이어도 된다. 또, 복수의 주변연결부재(53)는,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좌측의 타이바(16)와 우측의 타이바(16)의 사이의 선(L2)을 기준으로 대칭 배치되어도 된다. 이 선(L2)은, 좌측의 타이바(16)와 우측의 타이바(16)로부터 등거리의 선이어도 된다.
또, 복수의 주변연결부재(53)는,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2개의 각 타이바(16)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대칭 배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주변연결부재(53)는, 좌상측의 타이바(16)의 중심과 우하측의 타이바(16)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L3)을 기준으로 대칭 배치되어도 된다. 또, 복수의 주변연결부재(53)는, 좌하측의 타이바(16)의 중심과 우상측의 타이바(16)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L4)을 기준으로 대칭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주변연결부재(53)는, 복수이지만, 1개여도 된다. 1개의 주변연결부재(53)는, 환형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원환형, 사각환형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중앙연결부재(52)는,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고정금형(32)의 외주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고정금형(32)보다 작다. 따라서, 금형장치(30) 내의 성형재료의 압력에 저항하여 고정금형(32)의 중앙부를 집중적으로 되밀 수 있어, 성형품의 두께 편차나 버 등의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중앙연결부재(52)의 주위에 주변연결부재(53)가 배치된다. 주변연결부재(53)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고정금형(32)과 고정플래튼(12)의 평행도의 확보가 용이하고, 또, 장착용 볼트 등의 설치 스페이스가 넓으며, 고정금형(32)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주변연결부재(53)는,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고정금형(32)의 외주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금형장치(30) 내의 성형재료의 압력에 저항하여 고정금형(32)의 중앙부를 더 집중적으로 되밀 수 있어, 성형품의 두께 편차나 버 등의 문제의 발생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주변연결부재(53)는, 복수로서,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대칭 배치된다. 이로써, 고정금형(32)과 고정플래튼(12)의 평행도의 확보가 더 용이하다. 또, 고정금형(32)의 응력 분포의 밸런스가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복수의 주변연결부재(53)의 중심선은, 고정금형(32)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원 상에 없지만, 동일원 상에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고정금형(32)의 응력 분포의 밸런스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주변연결부재(53)는,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타이바(16)를 기준으로 배치된다. 이로써, 형체결 시의 밸런스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중앙연결부재(52)는,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중앙연결부재(52)의 외주보다 내측에 캐비티공간(34)의 게이트가 들어가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게이트의 근방에 있어서 성형재료의 압력이 높은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실시형태의 중앙연결부재(52)의 외주면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개폐방향으로 평행하게 되지만, 형개폐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어도 된다. 환언하면, 중앙연결부재(52)는, 그 형개폐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이 고정플래튼측(전방측)으로부터 고정금형측(후방측)에 걸쳐 커지는 테이퍼형상을 가져도 된다. 테이퍼는, 직선 테이퍼, 곡선 테이퍼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테이퍼형상을 중앙연결부재(52)가 가짐으로써, 고정플래튼(12)의 휨 변형을 상쇄할 수 있다.
이상, 사출성형기의 실시형태 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 개량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형체결장치(10)는, 형개폐방향이 수평방향의 가로형이지만, 형개폐방향이 연직방향의 수직형이어도 된다. 수직형의 형체결장치는, 고정플래튼으로서의 하측 플래튼, 가동플래튼으로서의 상측 플래튼 등을 가진다. 하측 플래튼에는 하측 금형이 장착되며, 상측 플래튼에는 상측 금형이 장착된다. 하측 금형과 상측 금형으로 금형장치가 구성된다. 하측 금형은, 로터리테이블을 통하여 하측 플래튼에 장착되어도 된다. 수직형의 형체결장치는, 하측 플래튼에 대하여 상측 플래튼을 승강시킴으로써, 금형장치의 형폐쇄, 형체결, 형개방을 행한다. 사출장치의 노즐은, 상측 플래튼의 노즐 통과구멍을 통과하여, 상측 금형에 터치된다.
10 형체결장치
12 고정플래튼
13 가동플래튼
30 금형장치
32 고정금형
33 가동금형
51 중간부재
52 중앙연결부재
53 주변연결부재
61 중간부재
62 중앙연결부재
63 주변연결부재

Claims (10)

  1. 금형이 장착되는 플래튼을 구비하는 사출성형기로서,
    상기 금형과 상기 플래튼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부재와,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상기 금형의 외주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중앙연결부재와,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상기 중앙연결부재의 주위에 배치되는 주변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연결부재 및 상기 주변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중간부재와 상기 플래튼의 사이, 및 상기 금형과 상기 중간부재의 사이 중 적어도 일방에 배치되며,
    상기 금형은, 상기 중간부재, 상기 중앙연결부재, 및 상기 주변연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플래튼에 장착되는 사출성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변연결부재는, 상기 중간부재와 상기 플래튼의 사이에 배치되며,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상기 금형의 외주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사출성형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형체결력에 따라 뻗는 타이바를 복수 가지고,
    상기 주변연결부재는,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복수의 상기 타이바의 사이에 배치되는 사출성형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변연결부재는 복수인 사출성형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주변연결부재는,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대칭 배치되는 사출성형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주변연결부재는,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상기 금형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는 사출성형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주변연결부재는,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2개의 타이바의 사이의 선을 기준으로 대칭 배치되는 사출성형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주변연결부재는, 형개폐방향에서 보아 2개의 각 타이바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대칭 배치되는 사출성형기.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변연결부재는 1개인 사출성형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주변연결부재는 환형으로 형성되는 사출성형기.
KR1020150098189A 2014-08-28 2015-07-10 사출성형기 KR101739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74243 2014-08-28
JP2014174243A JP6338975B2 (ja) 2014-08-28 2014-08-28 射出成形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669A true KR20160026669A (ko) 2016-03-09
KR101739190B1 KR101739190B1 (ko) 2017-05-23

Family

ID=5536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189A KR101739190B1 (ko) 2014-08-28 2015-07-10 사출성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38975B2 (ko)
KR (1) KR101739190B1 (ko)
CN (1) CN105365174A (ko)
TW (1) TWI6261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4422A1 (ja) * 2016-03-25 2017-09-2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
DE102017009243A1 (de) * 2017-10-04 2019-04-04 Wittmann Battenfeld Gmbh Werkzeug-Aufspannplatte für eine Kunststoffverarbeitungsmaschine, insbesondere für eine Spritzgießmaschine
CN113510231B (zh) * 2021-04-23 2022-07-05 深圳领威科技有限公司 定模组件及压铸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8155A1 (ja) 2004-01-13 2005-07-28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成形機の駆動装置及び射出成形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23453B (en) * 2001-07-13 2003-03-11 Sumitomo Heavy Industries Injection-molding machine having movable mold support device
DE10215947B4 (de) 2002-04-11 2005-03-10 Krauss Maffei Kunststofftech Platte für eine Spritzgiessmaschine
KR100763537B1 (ko) * 2004-03-09 2007-10-05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금형 지지장치, 성형기 및 성형방법
CA2559135A1 (en) * 2004-03-09 2005-09-15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Mold support device, molding machine, and molding method
WO2006115141A1 (ja) * 2005-04-25 2006-11-02 Mitsubishi Heavy Industries Plastic Technology Co., Ltd. 型締装置、射出成形機及び射出成形方法
US7318721B2 (en) * 2006-03-30 2008-01-1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ing-system platen
JP2008162103A (ja) * 2006-12-27 2008-07-17 Toshiba Mach Co Ltd 型締装置と、この型締装置を備えた射出成形機
JP4625488B2 (ja) 2007-09-10 2011-02-02 三菱重工プラスチック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型盤、型締め装置、射出成形機
TWI434759B (zh) * 2008-02-28 2014-04-21 Sumitomo Heavy Industries Mold holding member and mold clamping device
JP5276953B2 (ja) * 2008-11-06 2013-08-28 東芝機械株式会社 型締装置及び射出成形機
JP5319343B2 (ja) 2009-03-17 2013-10-1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型締装置及び可動プラテ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8155A1 (ja) 2004-01-13 2005-07-28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成形機の駆動装置及び射出成形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38975B2 (ja) 2018-06-06
CN105365174A (zh) 2016-03-02
JP2016049636A (ja) 2016-04-11
KR101739190B1 (ko) 2017-05-23
TW201607730A (zh) 2016-03-01
TWI626142B (zh)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4924B2 (ja) 型締装置、射出成形機及び射出成形方法
US10710290B2 (en) Mold platen, mold clamping device, injection molding device
EP1724083A1 (en) Mold support device, molding machine, and molding method
KR101739190B1 (ko) 사출성형기
JP5389779B2 (ja) 金型保持部材及び型締装置
EP3904039B1 (en) Injector
CN107030999B (zh) 注射成型机
CN107225727B (zh) 注射成型机
JP2009045939A (ja) 射出成形機のトグル式型締装置
JP6420080B2 (ja) プレス装置
EP2767381A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5126671B2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5319343B2 (ja) 型締装置及び可動プラテン
JP2013027985A (ja) 射出成形機
JP4417969B2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CN104816443B (zh) 注射成型机
JP6466228B2 (ja) 射出成形機
CN105459360A (zh) 立式注射成型机
CN105459361A (zh) 注射成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