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633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633A
KR20160026633A KR1020150047216A KR20150047216A KR20160026633A KR 20160026633 A KR20160026633 A KR 20160026633A KR 1020150047216 A KR1020150047216 A KR 1020150047216A KR 20150047216 A KR20150047216 A KR 20150047216A KR 20160026633 A KR20160026633 A KR 20160026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camera module
lens unit
opening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3163B1 (ko
Inventor
마사요시 가시마
노부유키 마노
다쿠 아카이와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6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changes in temperature 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mal stabilis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09Cleaning arrangements or preventing or counter-acting contamination from dust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간소한 구조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먼지에 의하여 촬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촬영소자의 방열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실현한다.
(해결수단) 원통형의 나사결합부를 구비하는 렌즈유닛(20)과, 인쇄배선기판(40)에 실장된 평판 모양의 촬영소자(60)와, 렌즈유닛(20)과 인쇄배선기판(40)을 서로 소정의 위치관계로 지지하는 홀더(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1)에 있어서, 표면이 점착면을 나타내는 탄성재료에 의하여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제1스페이서(70)에 의하여 밀폐된 공간 내에 촬영소자(60)의 촬영범위를 형성하고, 또한 적어도 제1스페이서(70)의 내주 벽면에 점착면을 노출시켰다. 양호한 열전도성을 더 구비하는 재료로 제1스페이서(70)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렌즈유닛(lens unit)과 촬영소자(撮影素子)와 홀더(holder)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뒷부분 등에 촬영수단을 탑재하여 촬영한 화상을 차 내의 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하는 소위 뷰 모니터 시스템(view monitor system)의 보급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뷰 모니터 시스템의 촬영수단으로서 카메라 모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에 있어서, 뷰 모니터 시스템의 고성능화의 요구 즉 고화질화나 표시 리스폰스(表示 response)의 고속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들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카메라 모듈 내부의 촬영소자의 다화소화(多畵素化)나 촬영 데이터의 처리회로의 고속화가 필요하게 된다. 이들의 것은, 카메라 모듈의 내부소자의 신호처리부하의 증대를 초래하는 것으로서, 필연적으로 이들의 소자가 발하는 열량(熱量)이 커지게 된다. 이 중에서도 촬영소자가 고온으로 되면 화질이 열화(劣化)되기 때문에 특히 촬영소자가 동작 중에 발하는 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인용문헌1에는,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촬영소자의 발열대책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본원의 도9를 참조). 인용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은, 고체촬영소자(固體撮影素子)(140)와 플렉시블 인쇄기판(flexible 印刷基板)(150)의 간극에, 고체촬영소자(140)로부터 플렉시블 인쇄기판(150)에 이르는 방열경로(放熱經路)가 형성되도록 접착수지(接着樹脂)(160)를 충전(充塡)함(혹은 수지필름을 점착함)으로써 촬영모듈의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 한편에서는, 카메라 모듈의 촬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먼지에 대한 대처가 종래로부터 과제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인용문헌2에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200)에 있어서 패키지(package) 내의 둘레벽 및 이미지 센서(200)에 있어서 패키지 외의 홀더(300)의 둘레벽 중에서 적어도 일면(一面)에 양면 테이프(400)를 점착하고, 양면 테이프(400)를 점착면을 하방을 향하게 하여 진동시험을 실시함으로써 카메라 모듈 내부의 먼지(d)를 양면 테이프(400)로 포착하여, 먼지에 기인하는 카메라 모듈의 불량을 회피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본원의 도10을 참조).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2-119795(단락 0056, 도2)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9-44541(단락 0016, 도2)
인용문헌2의 구성에 의하면, 먼지를 포착하는 효과는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실제의 카메라 모듈의 외형치수를 고려하였을 경우에, 점착되는 양면 테이프의 치수는 매우 작은 것으로 하여야 한다. 카메라 모듈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그러한 작은 양면 테이프를 둘레벽에 점착하는 작업은 매우 곤란한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소한 구조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또한 먼지에 의하여 촬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에 추가하여, 촬영소자의 방열을 촉진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원통형의 나사결합부를 가지는 렌즈유닛과, 인쇄배선기판에 실장된 평판 모양의 촬영소자와, 상기 렌즈유닛의 광축을 따라 개구되어 상기 나사결합부와 나사결합되는 원통 모양의 개구부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유닛과 상기 인쇄배선기판을 서로 소정의 위치관계로 지지하는 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표면이 점착면을 나타내는 탄성재료에 의하여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유닛의 광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면과 평행한 2개의 면으로서, 상기 개구부측에 위치하는 제1면과, 상기 촬영소자측에 위치하는 제2면을 가지는 제1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와 상기 인쇄배선기판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촬영소자의 촬영범위가 상기 제1스페이서에 의하여 밀폐된 공간 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적어도 상기 제1스페이서의 내주 벽면에 상기 점착면이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재료에 의하여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제1스페이서에 의하여 밀폐된 공간 내에 촬영소자의 촬영범위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촬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먼지가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페이서를 표면이 점착면을 나타내는 재료로 형성하고, 제1스페이서의 내주 벽면에 그 점착면을 노출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조립공정에서, 상기한 밀폐된 공간 내에서 발생한 먼지 또는 이 밀폐된 공간 내에 침입하고 있었던 먼지가 이 점착면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포착되기 때문에, 먼지에 의하여 촬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1스페이서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가, 그 특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는 점착면을 먼지를 포착하기 위한 점착면으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먼지를 포착하기 위한 점착면을 별도로 부착하는 등을 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스페이서가, 양호한 열전도성을 더 가지는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제1스페이서를 양호한 열전도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하여 형성함으로써, 촬영소자가 발한 열이 제1스페이서를 통하여 방열되기 때문에 양호한 방열작용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상기 홀더가, 상기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촬영소자측의 개방단으로부터, 상기 렌즈유닛의 광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면을 따라 연속하여 접하는 개구 둘레부를 가지고, 상기 제1면이, 상기 점착면에 의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개구 둘레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2면이, 전체 면에 걸쳐서 상기 점착면의 점착성을 손상시킨 슬라이딩면으로 되어 있더라도 좋다.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제1스페이서에 있어서, 개구부측에 위치하는 제1면은 점착면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 제1면을 전체 둘레에 걸쳐서 개구 둘레부에 부착하고, 그 한편 촬영소자측에 위치하는 쪽의 제2면을 상기 촬영소자의 수광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렌즈유닛, 개구부의 내벽면, 개구 둘레부, 제1스페이서 및 촬영소자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이 밀폐된다. 그 밀폐된 공간 내에 촬영소자의 촬영범위가 형성되기 때문에, 촬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먼지가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페이서의 촬영소자와 대향하는 면인 제2면이 점착면을 나타내고 있으면, 카메라 모듈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촬영소자의 촬영범위와 렌즈유닛의 광축과의 위치관계를 조정하는 광축조정작업을 실시할 때에, 제1스페이서에 의하여 촬영소자의 이동이 방해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제1스페이서의 제2면에 예를 들면 박막필름을 부착하는 등을 하여 점착면의 점착성을 손상시킨 슬라이딩면으로 함으로써 광축조정작업에서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양호한 열전도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하여 제1스페이서를 형성한 경우에는, 제1스페이서에 의하여 촬영소자와 홀더의 사이가 방열경로로서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촬영소자가 발한 열이 제1스페이서를 통하여 홀더로 인도된다. 이 결과 촬영소자가 발한 열이 제1스페이서나 홀더에서도 방열되기 때문에 높은 방열작용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상기 슬라이딩면이 상기 촬영소자의 수광면에 대하여 탄성력을 갖고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촉되어 있더라도 좋다.
제1스페이서를 탄성재료로 형성하고, 그 두께를 개구 둘레부로부터 촬영소자의 수광면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두껍게 함으로써 홀더에 인쇄배선기판을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제1스페이서가 탄성변형되어 적절하게 압축된 상태로 된다. 이 결과 제1스페이서의 슬라이딩면은 탄성력을 갖고 촬영소자의 수광면에 접촉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스페이서와 촬영소자의 수광면의 사이가 밀폐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상기 촬영소자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스페이서를 더 가지고, 상기 제2스페이서가, 상기 인쇄배선기판에 있어서 상기 촬영소자가 실장되어 있는 실장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개구 둘레부와 대향하는 면에 있어서 상기 인쇄배선기판의 실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촬영소자의 높이와 동일하며, 상기 슬라이딩면이, 상기 제2스페이서에 대하여 탄성력을 갖고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촉되어 있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나 형상, 위치 등은, 물리적으로 정확하게 해당 수치나 형상, 위치 등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합리적으로 예상할 수 있는 또는 일어날 수 있는 오차범위까지 포함하는 것으로서, 대략의 해당 수치, 형상, 위치 등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이다. 즉 상한과 하한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수준에서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는 설계사항에 속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개구 둘레부와 대향하는 면에 있어서 상기 인쇄배선기판의 실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촬영소자의 높이와 동일하다'에 있어서, '동일'이라는 것은, 물리적으로 정확하게 동일한 것뿐만 아니라 거의 동일한 것도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다.
촬영소자의 외형치수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된 제2스페이서에 의하여 촬영소자를 둘러싼 후에, 제1스페이서의 슬라이딩면과 제2스페이서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촉시킴으로써 렌즈유닛, 개구부의 내벽면, 개구 둘레부, 제1스페이서, 제2스페이서 및 촬영소자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이 밀폐된다. 그 밀폐된 공간 내에 촬영소자의 촬영범위가 형성되기 때문에, 촬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먼지가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촬영소자가 비교적 소형인 경우에, 이와 같이 촬영소자의 외형치수에 따른 제2스페이서를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스페이서의 내주의 지름이 상기 개구부의 지름보다 작더라도 좋다.
제1스페이서의 내주의 지름을 개구부의 지름보다 작게 함으로써 개구 둘레부에 있어서, 제1스페이서의 내주측 부분이 개구부의 지름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제1스페이서의 개구부로 돌출된 부분은 점착면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 점착면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의 조립공정에서, 상기한 밀폐된 공간 내에서 발생한 먼지 또는 이 밀폐된 공간 내에 침입하고 있었던 먼지가 포착된다. 특히 렌즈유닛의 나사결합부를 홀더의 개구부에 나사결합시킬 때에 발생한 먼지가, 그 자체 중량에 의하여 낙하되어 왔을 경우에 마침 낙하되어 온 장소가 점착면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먼지를 매우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있다. 이 결과 이들 먼지에 의하여 촬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스페이서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가, 그 특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는 점착면을 먼지를 포착하기 위한 점착면으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먼지를 포착하기 위한 점착면을 별도로 부착하는 등을 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면이 전체 면에 걸쳐서 상기 점착면의 점착성을 손상시킨 슬라이딩면으로 되고, 상기 나사결합부의 선단면에 대하여 탄성력을 갖고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촉되고, 상기 제2면이 상기 점착면에 의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촬영소자의 수광면에 부착되어 있더라도 좋다.
렌즈유닛에 있어서 나사결합부의 선단면이, 홀더의 개구 둘레부보다 촬영소자측으로 돌출되는 태양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나사결합부의 선단면으로부터 촬영소자의 수광면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두껍게 형성된 제1스페이서를, 제2면에 나타나 있는 점착면에 의하여 촬영소자의 수광면 위에 부착함으로써 홀더에 인쇄배선기판을 부착한 상태에서, 제1스페이서가 탄성변형되어 적절하게 압축된 상태로 된다. 이 결과 제1스페이서의 슬라이딩면은 탄성력을 갖고 나사결합부의 선단면에 접촉된다. 제1스페이서의 제1면을 나사결합부의 선단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렌즈유닛, 제1스페이서 및 촬영소자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이 밀폐된다. 그 밀폐된 공간 내에 촬영소자의 촬영범위가 형성되기 때문에, 촬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먼지가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1스페이서의 제1면은 슬라이딩면으로서, 카메라 모듈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제1스페이서를 촬영소자의 수광면에 부착한 후에 상기한 광축조정작업 및 렌즈유닛을 회전시켜서 나사결합부에 의하여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초점조정작업을 실시할 때에, 제1스페이서와 렌즈유닛의 나사결합부의 선단면과의 사이가 매끄러운 모양으로 슬라이딩 하기 때문에 이들의 작업을 하는 것에 있어서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양호한 열전도성을 구비하는 재료에 의하여 제1스페이서를 형성한 경우에는, 촬영소자와 렌즈유닛의 사이가 방열경로로서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촬영소자가 발한 열이 제1스페이서를 통하여 렌즈유닛이나 홀더로 인도된다. 이 결과 촬영소자가 발한 열이, 제1스페이서에 추가하여 렌즈유닛이나 홀더에서도 방열되기 때문에 높은 방열작용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소자와 홀더의 사이에 표면이 점착면을 나타내는 스페이서를 설치하는 간소한 구조로 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또한 점착면에 의하여 먼지를 포착함으로써 먼지에 의하여 촬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실현된다. 부가하여 스페이서를 양호한 열전도성을 구비하는 재료로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스페이서에 의하여 촬영소자의 방열을 촉진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실현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의 홀더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도1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의 촬영소자와 제1스페이서에 관한 위치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6은, 도5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의 촬영소자와 제2스페이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도5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의 촬영소자와 제1스페이서와 제2스페이서에 관한 위치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9는, 종래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종래의 다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1)에 대하여 도1부터 도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1)의 A-A선을 따르는 요부 단면도, 도3은 도1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1)에 있어서의 홀더(holder)(3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인쇄배선기판(印刷配線基板)과 촬영소자(撮影素子)(60)와 제1스페이서(第1 spacer)(70)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2(b)는, 도2(a)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원 내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카메라 모듈(1)은, 주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자동차의 차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운전석으로부터 사각(死角)이 되는 범위를 촬영하여, 그 상황을 파악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 카메라 모듈(1)의 용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모든 용도에 사용되더라도 좋다.
카메라 모듈(1)은, 내부에 수용부(收容部)(13)를 구비하는 대략 직육면체의 상자모양체를 이루고 있다. 수용부(13) 내에는, 후술하는 렌즈유닛(lens unit)(20), 홀더(30), 제1인쇄배선기판(40), 제2인쇄배선기판(50), 촬영소자(60) 등이 수용되어 지지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1)의 외장은, 상측의 제1케이스(第1 case)(11)와 하측의 제2케이스(12)를 수밀(水密)하게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1케이스(11)는, 상면과 4개의 측벽면(側壁面)으로 구성되는 상자모양으로서, 그 내부는 수용부(13)를 형성하는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다. 제1케이스(11)의 상면에는 원형의 개구(開口)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로부터, 수용부(13) 내에 수용되어 있는 렌즈유닛(20)의 정상부가 노출되어 있다. 개구와 렌즈유닛(20)의 사이는 수밀한 상태로 접촉되어 있다. 노출되어 있는 렌즈유닛(20)의 중앙부에는 대물렌즈(對物lens)(21)가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1)은, 이 대물렌즈(21)를 통하여 얻어지는 화상을 촬영한다.
제2케이스(12)는, 4개의 측벽면으로 구성되는 프레임(frame) 모양이다. 제1케이스(11)의 하부와 제2케이스(12)의 상부의 사이는 수밀한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제2케이스(12)의 하측에는, 접속용의 커넥터(connector)를 통하여 케이블(cable)(14)이 수밀한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촬영된 화상 데이터는 케이블(14)로부터 외부로 출력된다.
제1케이스(11), 제2케이스(12), 렌즈유닛(20), 케이블(14)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이 수용부(13)가 된다. 이들의 사이는 모두 수밀한 상태로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부(13)는 수밀한 공간이 된다.
렌즈유닛(20)은 공지된 구조의 것으로서, 통(筒) 모양을 이루는 렌즈 배럴(lens barrel)의 내부에 복수의 원형의 볼록렌즈 혹은 오목렌즈를 지지하고 있다. 복수의 원형렌즈는, 촬영소자(60)의 수광면(受光面)(61)에 대한 수직방향(도2에 있어서 상하방향)을 따르는 직선인 축선(軸線) 즉 광축(光軸)을 따라 동심(同心) 모양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 지지되어 있는 렌즈의 매수나 렌즈 사이의 간극 등 렌즈유닛(20)의 내부에 관한 구조에 대해서는, 원하는 광학특성을 얻기 위하여 임의로 설정되더라도 좋으며, 이 점은 본 발명의 특징점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기 때문에, 도2에서는 렌즈유닛(20) 내부의 구조를 간략화 하여 나타내고 있다. 렌즈유닛(20)의 하부는, 홀더(30)의 개구부(31)와 나사결합되는 원기둥 모양의 나사결합부(22)로 되어 있다. 나사결합부(22)의 하단부(下端部)는, 렌즈유닛(20)의 광축과 직교하는 면을 따르고 평면을 이루는 선단면(先端面)(23)으로 되어 있다. 또 도2에서는, 나사결합부(22)의 나사형상을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30)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인쇄배선기판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상자모양부(33)와, 상자모양부(33)의 상면에 형성되고 렌즈유닛(20)의 광축을 따라 원통 모양으로 개구되어 있는 개구부(31)를 구비한다. 개구부(31)의 내벽면(內壁面)에는 렌즈유닛(20)의 나사결합부(22)에 대응하는 나사형상이 형성되어 있어, 개구부(31)와 나사결합부(22)가 나사결합됨으로써 렌즈유닛(20)을 지지할 수 있다(도3에서는 나사결합부(22)의 나사형상을 생략하고 있다). 또 카메라 모듈(1)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홀더(30)에 대하여 렌즈유닛(20)을 적절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촬영소자(60)와 렌즈유닛(20)의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초점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홀더(30)는, 금속 등 합성수지 이외의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도2를 참조하여, 상기한 개구부(31)의 촬영소자(60)측의 개방단(開放端)의 주변부에 있어서, 원통 모양의 개구부(31)의 내주벽(內周壁)으로부터 연속하여 접하고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즉 촬영소자(60)와 평행한 면을 따르는 개구 둘레부(32)로 되어 있다. 개구 둘레부(32)는, 충분히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제1스페이서(70)에 있어서의 제1면(71)에 나타나 있는 점착면(粘着面)에 의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서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고 제1스페이서(70)를 부착할 수 있다. 또 이 카메라 모듈(1)의 경우에는, 렌즈유닛(20)의 선단면(23)이 개구 둘레부(32)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홀더(30)에 있어서 상자모양부(33)의 내측에는, 제1인쇄배선기판(40)이 접착되어 지지되어 있다. 상자모양부(33)의 내측의 개구 치수는, 제1인쇄배선기판(40)의 주면(主面)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형치수에 대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서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제1인쇄배선기판(40)은, 홀더(30)의 상자모양부(33)에 고정될 때에 제1인쇄배선기판(40)의 주면방향을 따라 제1인쇄배선기판(40)을 이동시켜서, 제1인쇄배선기판(40) 위에 실장되어 있는 촬영소자(60)의 촬영범위(62)의 중심과 렌즈유닛(20)의 광축을 일치시키는 광축조정작업(光軸調整作業)을 한 후에, 상호의 위치관계를 유지한 상태에서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자모양부(33)의 내측에 접착된다. 이 결과 홀더(30)는, 촬영소자(60)의 촬영범위(62)의 중심과 렌즈유닛(20)의 광축이 일치하는 위치관계로 양자를 지지하고 있다.
촬영소자(60)는, 평면모양의 사각형을 이루는 공지된 CMOS 타입의 촬영소자이다. 촬영소자(60)는 홀더(30)에 지지되어 있는 제1인쇄배선기판(40) 위에 실장되어 있다. 촬영소자(60)는, 도4(b)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형의 촬영범위(6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촬영범위(62) 내의 촬영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촬영범위(62)의 중심과, 렌즈유닛(20)의 광축이 일치하는 상태에서 홀더(3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 하측에 위치하는 제2인쇄배선기판(50)에는 광학기구의 소자가 실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설치위치는 엄밀한 것이 아니더라도 좋다.
제1스페이서(70)는, 적절한 탄성(彈性)을 구비하고 또한 양호한 열전도성(熱傳導性)을 구비하는 아크릴계 겔 모양체(acryl系 gel 狀體)로 이루어지는 박판(薄板) 모양의 재료를 원환(圓環) 모양으로 펀칭가공(punching加工)을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아크릴계 겔 모양체는, 그 자체가 점착성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아크릴계 겔 모양체를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하였을 경우의 외측 표면 또는 절단하였을 경우의 절단면 등 모든 표면이 점착성(粘着性)을 구비하는 점착면을 나타낸다. 또 제1스페이서(70)의 재료로서, 아크릴계 겔 모양체 이외에도 실리콘계 겔 모양체(silicon系 gel 狀體) 등 다른 동등한 특성을 구비하는 모든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양호한 열전도성이라는 것은, 일반적인 수지(樹脂) 등의 성형재료의 열전도성의 목표인 0.1W/m·K 정도보다 큰 열전도성을 가리킨다. 바람직하게는 1W/m·K 정도보다 큰 열전도성이면 방열효과(放熱效果)의 점에서 유리하게 된다.
제1스페이서(70)에 있어서 촬영소자(60)측에 위치하는 제2면(72)에는, 매우 얇은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로 제작된 시트(sheet)가 부착되어 있고, 이 제2면(72)은 점착성을 나타내지 않는 슬라이딩면(sliding面)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면(72)을 슬라이딩면으로 함으로써, 상기한 광축조정작업을 한 후에 인쇄배선기판의 위치조정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 슬라이딩면을 얻기 위한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얇은 시트를 부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열 등에 의하여 경화(硬化)되는 액상체(液狀體)를 얇게 도포하는 등 다른 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더라도 좋다.
제1스페이서(70)와 제1인쇄배선기판(40)과 촬영소자(60)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또 제1스페이서(70)는, 실제에는 개구 둘레부(32)에 부착되어 홀더(30)에 고정되어 있지만, 도4에서는 촬영소자(60)와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편의상 제1스페이서(70)를 빼내어서 나타내고 있다. 도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스페이서(70)의 내주의 지름은, 촬영소자(60)의 촬영범위(62)를 둘러쌀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 촬영범위(62)의 전역(全域)이 제1스페이서(70)의 내측에 설치되며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제1스페이서(70)의 외주의 지름은, 촬영소자(6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형치수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제1스페이서(70)와 촬영소자(60)의 수광면(61)의 사이에 대하여, 반드시 제1스페이서(70)의 제2면(72)의 전체 면에서는 접촉되어 있지 않지만, 적어도 제1스페이서(70)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촉되어 있다.
제1스페이서(70)의 두께는, 개구 둘레부(32)로부터 촬영소자(60)의 수광면(61)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제1스페이서(70)는, 홀더(30)의 상자모양부(33)에 제1인쇄배선기판(40)을 접착시켜서 고정한 상태에서 적절하게 탄성변형되어 압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스페이서(70)의 제2면(72)은, 압축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려고 하여 작용하는 탄성력을 갖고 촬영소자(60)의 수광면(61)에 접촉되어 있다. 이 결과 렌즈유닛(20), 개구부(31)의 내벽면, 개구 둘레부(32), 제1스페이서(70) 및 촬영소자(6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이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가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촬영소자(60)의 촬영범위(62)가 이 밀폐된 공간(S) 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의 침입에 의하여 촬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도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스페이서(70)의 내주 벽면에 노출된 점착면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1)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상기한 밀폐된 공간(S) 내에서 발생한 먼지 또는 이 밀폐된 공간(S) 내에 침입하고 있었던 먼지가 효과적으로 포착되기 때문에, 먼지에 의하여 촬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스페이서(70)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가, 그 특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는 점착면을 먼지를 포착하기 위한 점착면으로서 이용함으로써 간소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를 포착하기 위하여 개별의 부재로서의 양면 테이프 등을 부착할 필요가 없어 매우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양호한 열전도성을 구비하는 아크릴계 겔 모양체로 이루어지는 제1스페이서(70)에 의하여 촬영소자(60)의 수광면(61)과 홀더(30)의 사이가 열전도 경로로서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촬영소자(60)가 발한 열이 제1스페이서(70)를 통하여 홀더(30)로 인도된다. 이 결과 촬영소자(60)가 발한 열이, 제1스페이서(70)나 홀더(30)로부터도 방열되기 때문에 높은 방열작용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2)에 대하여 도5부터 도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5는 도1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1)의 A-A선과 동일한 장소에 있어서의 제2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2)의 단면도, 도6은 인쇄배선기판과 촬영소자(60)와 제2스페이서(80)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인쇄배선기판과 촬영소자(60)와 제1스페이서(70)와 제2스페이서(80)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b)는, 도5(a)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원 내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 카메라 모듈(2)의 주된 구성은, 상기한 제1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1)과 동일하기 때문에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2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2)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1)과의 차이점은, 촬영소자(6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형 사이즈가 제1실시예의 경우보다 작아서 이것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2스페이서(80)를 추가한 점과, 제1스페이서(70)의 내주의 지름을 홀더(30)의 개구부(31)의 지름보다 약간 작게 설정한 점에 있다. 또 이 카메라 모듈(2)의 경우에도, 상기한 제1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1)과 마찬가지로 렌즈유닛(20)의 선단면(23)이 개구 둘레부(32)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2스페이서(80)는 적절한 탄성을 구비하는 우레탄 스펀지(urethane sponge)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스페이서(80)는,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든 재료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예를 들면 탄성을 구비하지 않은 경질(硬質)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제1스페이서(70)와 마찬가지로 아크릴계 겔 모양체로 이루어지는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이 경우에는 제1스페이서(70)와 대향하는 면을 슬라이딩면으로 한다.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스페이서(80)는, 사각형을 이루는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의 개구 치수는 촬영소자(6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치수보다 약간 크다. 그 결과 제2스페이서(80)는 촬영소자(60)의 전체를 둘러싸고 있다. 제2스페이서(80)의 하면은, 전체 면에 양면 접착테이프를 부착한 점착면으로 되어 있고, 이 점착면에 의하여 제1인쇄배선기판(40)의 촬영소자(60)의 실장면과 동일한 면에 부착되어 있다. 제2스페이서(80)의 두께는 촬영소자(60)와 거의 동일하고, 촬영소자(60)의 수광면(61)과 제2스페이서(80)의 상면은 대략 하나의 면의 상태로 되어 있다.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스페이서(70)의 내주의 지름은, 촬영소자(60)의 촬영범위(62)를 둘러쌀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 촬영범위(62)의 전역이 제1스페이서(70)의 내측에 노출되어 있다. 다만 제1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촬영소자(60)가 작아지게 된 결과, 제1스페이서(70)의 내주의 지름이 촬영소자(6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형 사이즈보다 약간 커지게 되어 있다. 제1스페이서(70)의 외주의 지름은, 제2스페이서(8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형치수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제1스페이서(70)의 제2면(72)은, 촬영소자(60)의 수광면(61)과 제2스페이서(80)의 상면에 걸쳐서 접촉되어 있다. 또 제1스페이서(70)의 제2면(72)과 제2스페이서(80)의 상면은, 반드시 제1스페이서(70)의 제2면(72)의 전체 면에서는 접촉되어 있지 않지만, 적어도 제1스페이서(70)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촉되어 있다.
제1스페이서(70)의 두께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개구 둘레부(32)로부터 촬영소자(60)의 수광면(61)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제1스페이서(70)의 제2면(72)은, 압축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려고 하여 작용하는 탄성력을 갖고, 촬영소자(60)의 수광면(61)과 제2스페이서(80)의 상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 결과 렌즈유닛(20), 개구부(31)의 내주벽, 제1스페이서(70), 제2스페이서(8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이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가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촬영소자(60)의 촬영범위(62)가 이 밀폐된 공간(S)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먼지의 침입에 의하여 촬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회피된다.
제2스페이서(80)는, 촬영소자(6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형 사이즈나 두께에 따라 촬영소자(60)를 둘러쌀 수 있으며, 또한 촬영소자(60)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두께의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좋다. 이 때에 제2스페이서(80)의 형상은, 제2스페이서(80)에 의하여 촬영소자(60)를 둘러싼 후에 제1스페이서(70)의 제2면(72)과 제2스페이서(80)의 상면을, 적어도 제1스페이서(70)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도중에서 끊기지 않게 접촉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 제2스페이서(80)의 두께는, 제1스페이서(70)의 제2면(72)이 탄성력을 갖고 제2스페이서(80)에 접촉될 수 있는 범위로 설정되더라도 좋다.
또한 도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에 있어서는, 제1스페이서(70)의 내주의 지름이 홀더(30)의 개구부(31)의 지름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 둘레부(32)에 있어서 제1스페이서(70)의 내주측 부분이 개구부(31)의 지름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제1스페이서(70)에 있어서 개구부(31)로 돌출된 부분은 점착면을 나타내기 때문에, 제1스페이서(70)의 내주 벽면에 노출된 점착면에 추가하여, 돌출된 부분의 점착면에 의해서도 카메라 모듈(2)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상기한 밀폐된 공간(S) 내에서 발생한 먼지 또는 이 밀폐된 공간(S) 내에 침입하고 있었던 먼지가 포착된다.
특히 렌즈유닛(20)의 나사결합부(22)를 홀더(30)의 개구부(31)에 나사결합시킬 때에 나사결합부(22)와 개구부(31)의 나사형상부가 서로 슬라이딩 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지의 연삭 찌꺼기 등의 먼지가, 그 자체 중량에 의하여 낙하되어 왔을 경우에 낙하되어 온 장소가 정확히 점착면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먼지를 매우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있다. 이 결과 이들 먼지에 의하여 촬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스페이서(70)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가, 그 특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는 점착면을 먼지를 포착하기 위한 점착면으로서 이용함으로써 간소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를 포착하기 위하여 개별의 부재로서의 양면 테이프 등을 부착할 필요가 없어 매우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양호한 열전도성을 구비하는 아크릴계 겔 모양체로 이루어지는 제1스페이서(70)에 의하여 촬영소자(60)의 수광면(61)과 홀더(30)의 사이가 열전도 경로로서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촬영소자(60)가 발한 열이 제1스페이서(70)를 통하여 홀더(30)로 인도된다. 이 결과 촬영소자(60)가 발한 열이, 제1스페이서(70)나 홀더(30)에서도 방열되기 때문에 높은 방열작용을 얻을 수 있다. 또 촬영소자(6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형 사이즈가 작은 경우이고, 제1스페이서(70)의 제2면(72)이 촬영소자(60)의 수광면(61)과 대향하지 않는 태양인 경우에도, 제2스페이서(80)를 양호한 열전도성을 구비하는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촬영소자(60)에 인접하는 제2스페이서(80)로부터 제1스페이서(70)를 통하는 열전도 경로에 의한 방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3)에 대하여 도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8은, 도1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1)의 A-A선과 동일한 장소에서의 제3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3)의 단면도이다. 도8(b)는, 도8(a)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원 내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 카메라 모듈(3)의 주된 구성은, 상기한 제1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1)과 동일하기 때문에,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3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3)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1)과의 차이점은, 상기한 제1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1)이나 제2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2)과는 달리 렌즈유닛(20)의 선단면(23)이 개구 둘레부(32)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1스페이서(70)의 제2면(72)에 나타나 있는 점착면에 의하여 제1스페이서(70)를 촬영소자(60)의 수광면(61)에 부착한 후에, 제1면(71)을 전체 면에 걸쳐서 점착면의 점착성을 손상시킨 슬라이딩면으로 하여 렌즈유닛(20)의 나사결합부(22)의 선단면(23)에 대하여, 탄성력을 갖고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촉시킨 점에 있다.
카메라 모듈(3)에 있어서의 제1스페이서(70)는, 제1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아크릴계 겔 모양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두께는 렌즈유닛(20)의 나사결합부(22)의 선단면(23)으로부터 촬영소자(60)의 수광면(61)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두껍게 되어 있다. 제1스페이서(70)의 개구부(31)측에 위치하는 제1면(71)은, 제1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1)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그 전체 면이 점착성을 손상시킨 슬라이딩면으로 되어 있다. 제1스페이서(70)는, 제2면(72)에 나타나 있는 점착면에 의하여 촬영소자(60)의 수광면(61) 위에 부착되어 있다.
제1스페이서(70)는, 홀더(30)에 제1인쇄배선기판(40)이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두께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적절하게 압축된 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렌즈유닛(20)을 회전시킴으로써 렌즈유닛(20)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초점을 조정함에 따라 나사결합부(22)의 선단면(23)으로부터 수광면(61)까지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지만, 이 거리의 변화를 제1스페이서(70)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흡수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스페이서(70)의 제1면(71)은, 압축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려고 하여 작용하는 탄성력을 갖고 렌즈유닛(20)의 선단면(23)에 접촉되어 있다. 이 결과 렌즈유닛(20), 제1스페이서(70) 및 촬영소자(6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이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가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촬영소자(60)의 촬영범위(62)가 이 밀폐된 공간(S) 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의 침입에 의하여 촬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회피된다.
또 제2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2)에서 설명한, 나사결합부(22)와 개구부(31)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먼지에 대하여, 제3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모듈(3)의 경우에는, 나사결합부(22)와 개구부(31)가 상기한 밀폐된 공간(S)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먼지가 공간(S) 내로 낙하되지 않는다.
또한 도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스페이서(70)의 내주 벽면에 노출된 점착면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3)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상기한 밀폐된 공간(S) 내에서 발생한 먼지 또는 이 밀폐된 공간(S) 내에 침입하고 있었던 먼지가 효과적으로 포착되기 때문에, 먼지에 의하여 촬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스페이서(70)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가, 그 특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는 점착면을 먼지를 포착하기 위한 점착면으로서 이용함으로써 간소한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먼지를 포착하기 위하여 개별의 부재로서의 양면 테이프 등을 부착할 필요가 없어 매우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제1스페이서(70)의 제1면(71)은 슬라이딩면으로서, 카메라 모듈(3)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제1스페이서(70)를 수광면(61)에 부착한 후에 상기한 광축조정작업 및 렌즈유닛(2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한 초점조정작업을 실시할 때에, 제1스페이서(70)와 나사결합부(22)의 선단면(23)의 사이가 매끄럽게 슬라이딩 하기 때문에, 이들 작업을 하는 것에 있어서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양호한 열전도성을 구비하는 아크릴계 겔 모양체로 이루어지는 제1스페이서(70)에 의하여 촬영소자(60)와 렌즈유닛(20)의 사이가 방열경로로서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촬영소자(60)가 발한 열이 제1스페이서(70)를 통하여 렌즈유닛(20)이나 홀더(30)로 인도된다. 이 결과 촬영소자(60)가 발한 열이, 제1스페이서(70)에 추가하여 렌즈유닛(20)이나 홀더(30)에서도 방열되기 때문에 높은 방열작용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주변감시의 용도로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 카메라 모듈(제1실시예)
11 : 제1케이스
12 : 제2케이스
13 : 수용부
14 : 케이블
S : 공간
20 : 렌즈유닛
21 : 대물렌즈
22 : 나사결합부
23 : 선단면
30 : 홀더
31 : 개구부
32 : 개구 둘레부
33 : 상자모양부
40 : 제1인쇄배선기판
50 : 제2인쇄배선기판
60 : 촬영소자
61 : 수광면
62 : 촬영범위
70 : 제1스페이서
71 : 제1면
72 : 제2면
80 : 제2스페이서
2 : 카메라 모듈(제2실시예)
3 : 카메라 모듈(제3실시예)

Claims (7)

  1. 원통형의 나사결합부를 가지는 렌즈유닛(lens unit)과,
    인쇄배선기판에 실장된 평판 모양의 촬영소자(撮像素子)와,
    상기 렌즈유닛의 광축(光軸)을 따라 개구되어 상기 나사결합부와 나사결합되는 원통 모양의 개구부(開口部)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유닛과 상기 인쇄배선기판을 서로 소정의 위치관계로 지지하는 홀더(holder)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에 있어서,
    표면이 점착면(粘着面)을 나타내는 탄성재료에 의하여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유닛의 광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면과 평행한 2개의 면으로서, 상기 개구부측에 위치하는 제1면과, 상기 촬영소자측에 위치하는 제2면을 가지는 제1스페이서(第1 spacer)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와 상기 인쇄배선기판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촬영소자의 촬영범위가 상기 제1스페이서에 의하여 밀폐된 공간 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적어도 상기 제1스페이서의 내주 벽면(壁面)에 상기 점착면이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페이서가, 양호한 열전도성(熱傳導性)을 더 가지는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촬영소자측의 개방단(開放端)으로부터, 상기 렌즈유닛의 광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면을 따라 연속하여 접하는 개구 둘레부를 가지고,
    상기 제1면은,
    상기 점착면에 의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개구 둘레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2면은,
    전체 면에 걸쳐서 상기 점착면의 점착성을 손상시킨 슬라이딩면(sliding面)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면이, 상기 촬영소자의 수광면(受光面)에 대하여 탄성력을 갖고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소자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스페이서를 더 가지고,
    상기 제2스페이서는,
    상기 인쇄배선기판에 있어서 상기 촬영소자가 실장되어 있는 실장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개구 둘레부와 대향(對向)하는 면에 있어서 상기 인쇄배선기판의 실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촬영소자의 높이와 동일하며,
    상기 슬라이딩면이, 상기 제2스페이서에 대하여 탄성력을 갖고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페이서의 내주의 지름이 상기 개구부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전체 면에 걸쳐서 상기 점착면의 점착성을 손상시킨 슬라이딩면으로 되고,
    상기 나사결합부의 선단면(先端面)에 대하여 탄성력을 갖고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촉되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점착면에 의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촬영소자의 수광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50047216A 2014-08-29 2015-04-03 카메라 모듈 KR102303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75501 2014-08-29
JP2014175501A JP6035687B2 (ja) 2014-08-29 2014-08-29 カメラモジュ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633A true KR20160026633A (ko) 2016-03-09
KR102303163B1 KR102303163B1 (ko) 2021-09-15

Family

ID=5537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216A KR102303163B1 (ko) 2014-08-29 2015-04-03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06352B2 (ko)
JP (1) JP6035687B2 (ko)
KR (1) KR102303163B1 (ko)
CN (1) CN10537646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745A (ko) * 2017-05-24 2018-12-04 세종공업 주식회사 집중 방열 방식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7195A (ja) * 2015-03-20 2016-10-06 株式会社リコー マイクロレンズ基板及び撮像装置
US10694153B2 (en) 2016-09-23 2020-06-23 Gentex Corporation Imager with wire harness connecting features
JP6667424B2 (ja) * 2016-11-29 2020-03-1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7241539B (zh) * 2017-06-30 2021-02-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成像装置组件及电子装置
CN111465853B (zh) 2017-12-11 2024-02-13 电化株式会社 液体试样检测试剂盒用膜载体和液体试样检测试剂盒
CN111465854B (zh) 2017-12-11 2023-10-27 电化株式会社 液体试样检测试剂盒用膜载体、液体试样检测试剂盒及膜载体
CN111527433A (zh) * 2017-12-27 2020-08-11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以及照相机模块
CN208026957U (zh) * 2018-02-09 2018-10-30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镜头模组
US11453366B2 (en) * 2018-11-06 2022-09-27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Heatable device for use with a vehicle-mounted image acquisition unit
JP7208258B2 (ja) * 2018-12-05 2023-01-18 日立Astemo株式会社 ステレオカメラ
US20220274528A1 (en) * 2019-08-01 2022-09-01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Vehicle-mounted camer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4541A (ja) 2007-08-09 2009-02-26 Citizen Electronics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のゴミ対策構造
KR20090047307A (ko) * 2007-11-07 2009-05-1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2009111714A (ja) * 2007-10-30 2009-05-21 Kyocera Corp 撮像モジュール
JP4552580B2 (ja) * 2004-09-28 2010-09-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素子ユニット
JP2012019422A (ja) * 2010-07-09 2012-01-26 Alps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2119795A (ja) 2010-11-29 2012-06-21 Sharp Corp 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情報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6156A (en) * 1948-05-20 1950-10-17 Gertrude C Quale Flexible hemming product
US3687797A (en) * 1970-09-28 1972-08-29 Kimberly Clark Co Resilient cellulosic wadding product
US5923032A (en) * 1997-05-02 1999-07-13 Oak Industries Inc. Interaligned component optical encoder with integral housing component locating studs and shelf
JP4184125B2 (ja) * 2002-04-26 2008-11-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素子チップモジュール
DE10344770A1 (de) * 2003-09-26 2005-05-04 Siemens Ag Optisches Modul und optisches System
JP4352910B2 (ja) * 2004-01-27 2009-10-28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US7391466B2 (en) * 2004-05-04 2008-06-24 Micron Technology, Inc. Camera module with dust trap
EP1811325B1 (en) * 2004-10-20 2011-10-12 Kyocera Corporation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and information terminal with the same
JP2006344902A (ja) * 2005-06-10 2006-12-21 Fujifilm Holdings Corp 半導体モジュール
JP2007325149A (ja) * 2006-06-05 2007-12-13 Fujifilm Corp 撮影装置
JP4064431B1 (ja) * 2006-09-26 2008-03-19 シャープ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製造装置
JP4490406B2 (ja) * 2006-10-11 2010-06-23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US20100025792A1 (en) * 2007-01-09 2010-02-04 Panasonic Corporation Image pickup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bile terminal
JP5082542B2 (ja) * 2007-03-29 2012-11-28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4621748B2 (ja) * 2008-02-28 2011-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20110221017A1 (en) * 2008-11-07 2011-09-15 Sumitomo Bakelite Company, Lt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adhesive film, and light-receiving device
CN201398216Y (zh) * 2009-04-30 2010-02-03 东莞光阵显示器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摄像头模块及含有该模块的内窥装置
CN101547305A (zh) * 2009-04-30 2009-09-30 东莞光阵显示器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摄像头模块的制备方法、制品及含有该制品的内窥装置
JP2010278515A (ja) * 2009-05-26 2010-12-09 Sharp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CN102937770A (zh) * 2011-08-16 2013-02-2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摄像模组及应用该摄像模组的便携式电子装置
JP2013076944A (ja) * 2011-09-30 2013-04-25 Hitachi Maxell Ltd 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電子機器および駆動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2580B2 (ja) * 2004-09-28 2010-09-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素子ユニット
JP2009044541A (ja) 2007-08-09 2009-02-26 Citizen Electronics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のゴミ対策構造
JP2009111714A (ja) * 2007-10-30 2009-05-21 Kyocera Corp 撮像モジュール
KR20090047307A (ko) * 2007-11-07 2009-05-1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2012019422A (ja) * 2010-07-09 2012-01-26 Alps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2119795A (ja) 2010-11-29 2012-06-21 Sharp Corp 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情報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745A (ko) * 2017-05-24 2018-12-04 세종공업 주식회사 집중 방열 방식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51974A (ja) 2016-04-11
US20160062110A1 (en) 2016-03-03
JP6035687B2 (ja) 2016-11-30
CN105376466B (zh) 2018-07-06
CN105376466A (zh) 2016-03-02
US9606352B2 (en) 2017-03-28
KR102303163B1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6633A (ko) 카메라 모듈
US10462339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having press bent infrared cut filter holder
KR101455124B1 (ko) 촬상 센서 패키지를 구비한 촬상장치
US8064146B2 (en) Image pickup apparatus
US8970700B2 (en) Imaging apparatus
KR101702298B1 (ko) 촬상소자 패키지가 장착된 촬상장치
EP3035099B1 (en) Imaging module, stereo camera for vehicle, and light shielding member for imaging module
US10534242B2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holding structure for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microphone that reduces sound noise due to photoelectric effect
JP7205486B2 (ja) 撮像装置
JP6732438B2 (ja) 撮像装置
JP2008070790A (ja) 撮像装置
US9118837B2 (en) Imaging apparatus
JP6337578B2 (ja)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JP6777422B2 (ja) 撮像装置
JP6448711B2 (ja) 撮像装置
JP2005257784A (ja) カメラ及びレンズ装置及び携帯型情報機器
JP2019032433A (ja) 光学ユニット
US8742324B2 (en) Structure for shielding a gap between members
JP5488750B2 (ja) レンズ鏡筒
JP2018180140A (ja) 撮像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2009224872A (ja) 複眼撮像装置
JP2013012951A (ja) 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
JP2007305806A (ja) 撮像ユニット及びこれを具備する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