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603A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603A
KR20160026603A KR1020140160774A KR20140160774A KR20160026603A KR 20160026603 A KR20160026603 A KR 20160026603A KR 1020140160774 A KR1020140160774 A KR 1020140160774A KR 20140160774 A KR20140160774 A KR 20140160774A KR 20160026603 A KR20160026603 A KR 20160026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vacuum cleaner
bayonet
main body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아키 오가와
토시아키 오가와
카주노리 마츠오
Original Assignee
트윈버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윈버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트윈버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6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14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cleaning by blowing-off,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Landscapes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출용 어태치먼트가 방해되지 않고, 흡기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또한 작동 음을 억제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흡기구 100과 배기구 88을 가지고 전동 송풍기 5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 2와, 이 청소기 본체 2의 배기구 88을 덮는 어댑터 17과, 이 어댑터 17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 18, 19, 20을 가지고, 상기 어댑터 17이 상기 청소기 본체 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기구 100을 덮는 넓은 부분으로의 취부부 93과, 상기 어태치먼트 18, 19, 20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원통형 부로서의 수통부 96을 갖는다. 따라서, 진공 청소기 1의 배기를 이용하여 전기 송풍기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기구 88에서 새는 전기 송풍기 5의 작동 볼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 17 및 어태치먼트 18, 19, 20의 착탈을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Electric cleaner}
본 발명은 배출 공기를 흡출하고 분진을 흡입하여 날리는 기능을 가진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이와 같은 전기 진공 청소기로는 전동 블로어(blower)(본원 발명의 전동 송풍기에 해당한다)를 내장한 본체 케이스에 한 쌍의 흡입 노즐 및 블로어 노즐을 구비하는 휴대용 진공 청소기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리고, 이러한 휴대용 진공 청소기는 전동 블로어를 작동시켜 흡입 노즐에서 먼지를 흡입하여, 블로어 노즐에서 바람을 뿜어내고 먼지를 날려 버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0-245659호 공보
그러나, 이와 같은 진공 청소기는 흡입형 진공 청소기로 사용할 경우, 블로어 노즐이 방해가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단순히 블로어 노즐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 블로어 노즐의 단면적에 상당하는 유통 면적에서 배기해야하기 때문에, 배기 효율이 저하하여 흡입구에서 흡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배기구의 유통 면적을 크게 하면, 전동 송풍기 발생한 작동 음이 새기 쉽기 때문에, 시끄러워져 버리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흡출용 어태치먼트가 방해하지 않고 흡기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또한 작동 음을 억제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진공 청소기는 흡기구와 배기구를 가지고 전동 송풍기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와, 이 청소기 본체의 배기구를 덮는 어댑터와, 이 어댑터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을 갖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기구 전체를 덮는 넓은 부분과, 상기 어태치먼트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원통형 부분을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진공 청소기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의 내부 형상과 상기 원통형 부분의 내부 형상을 동일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에 기재된 진공 청소기는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흡입 청소를 할 경우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만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배기구 전체를 덮도록 상기 어댑터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상기 청소기 본체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배기 효율이 저하하지 않는 것으로 흡기 효율이 저하하지 않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청소기 본체에 상기 어댑터만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흡입 효율이 떨어지지만, 상기 배기구에서 방출되는 작동 음이 상기 어댑터에 의해 억제되기 때문에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흡인력을 중시하는 경우와 정숙성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각각 상기 청소기 본체 혹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상기 어댑터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어떤 경우에도 흡출용의 상기 어태치먼트가 방해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의 원통형 부분에 흡출용의 상기 어태치먼트를 부착하여 상기 전동 청소기가 발생시킨 기류를 이용하여 먼지를 날려 버릴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 내부 형상과 상기 원통형 부분의 내부 형상을 동일하게 하여 상기 공기 흡입구에 장착되는 흡입 소제용 어태치먼트를 흡출용의 어태치먼트와 겸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진공 청소기의 어댑터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진공 청소기의 바닥 노즐을 장착한 상태의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진공 청소기의 어댑터 및 연장 파이프를 설치한 상태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용기 및 필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진공 청소기의 필터 조립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진공 청소기의 필터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용기의 요부 사시도이며, 베이오넷(bayonet)의 홈 입구에 베이오넷용 돌기를 맞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마찬가지로, 집진 용기의 요부 사시도이며, 제일 절결부에 제이 절결부를 맞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마찬가지로, 집진 용기의 요부 사시도이며, 중앙과 왼쪽의 돌조부 주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마찬가지로, 집진 용기의 요부 측면도이고, 오른쪽 돌조부 주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마찬가지로, 도 12의 B-B 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마찬가지로, 진공 청소기 본체의 장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마찬가지로, 볼록부와 제일 및 제이 절결부의 걸어 맞춤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15A는 계합 전의 상태이고, 도 15B는 계합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6은 마찬가지로, 어댑터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마찬가지로, 연장 파이프의 우측면도이다.
도 18은 마찬가지로, 연장 호스의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마찬가지로, 브러시 노즐의 우측면도이다.
도 20은 마찬가지로, 어댑터 및 연장 파이프를 설치한 상태에서 좌측면도이다.
도 21은 마찬가지로, 어댑터 및 연장 호스를 설치한 상태의 좌측면도이다.
도 22는 마찬가지로, 어댑터, 연장 파이프 및 브러시 노즐을 설치한 상태의 좌측면도이다.
도 23은 마찬가지로, 어댑터, 연장 호스 및 브러시 노즐을 설피한 상태의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다음에 설명되는 구성의 전부가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인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23은 실시예 1을 나타낸다. 1은 사이클론식 진공 청소기이다. 이 진공 청소기 1은 진공 청소기 본체 2, 이 청소기 본체 2의 정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 용기 3, 이 집진 용기 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 조립체 4, 상기 청소기 본체 2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댑터 17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필터 조립체 4는 상기 집진 용기 3에 대해 베이오넷 결합에 의해 연결된 상기 어댑터 17은 상기 청소기 본체 2에 대해 베이오넷 결합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청소기 본체 2는 전동 송풍기 5가 내장된 케이스 6, 파지부 7, 전원 코드 8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 7에는 상기 집진 용기 3을 분리하기 위한 조작부 9 및 스위치 조작부 1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위치 조작부 10을 조작하여 상기 전동 송풍기 5가 구동한다.
상기 집진 용기 3은 일단 (후단)을 개방하고, 타단 (전단)이 폐쇄된 바닥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대략 원통형의 주벽부 11과, 이 주벽부 11의 앞쪽을 폐쇄하는 전면부 12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주벽부 11 및 전면부 12는 비교적 경질의 투광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전면부 12는 투광성을 갖는 장식판 13이 설치되어있다.
상기 주벽부 11의 뒤에는 기류를 상기 주벽부 11의 둘레 방향으로 도입하는 도입부 14를 연통 형성하고, 이 도입부 14에 흡입 경로가 내부에 형성된 접속통부 15를 연결함과 동시에, 이 접속통부 15를 상기 주벽부 11의 외주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접속통부 15의 전면부 15A는 전후 방향으로 향함과 함께 상기 접속통부 15의 후측부 15B는 상기 집진 용기 3의 둘레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통부 15의 전면에는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구 100이 형성되고, 이 흡기구 100에 대략 T 자 모양의 바닥 노즐 16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도 20 내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속통부 15의 전방 하단에는 비스듬히 절단 된 듯한 형상의 전면 하단 15C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바닥 노즐 16을 설치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 먼지 등을 흡입하기 쉽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 조립체 4는 원통형 바디 21, 내부 필터 체 22를 구비한다. 상기 원통형 바디 21은 일단 (후단)을 개방하고, 타단 (전단)이 폐쇄된 바닥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약 원통형의 주벽부 23과, 이 주벽부 23의 앞쪽을 폐쇄하는 전면부 24와, 상기 주벽부 23의 정면에 설치 한 반송부 25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주벽부 23, 전면부 24 및 반송부 25는 비교적 경질의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바디 21의 주벽부 23 및 상기 집진 용기 3의 주벽부 11은 정면을 향해 직경이 다소 축소하도록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 바디 21의 주벽부 23은 일차 필터로서 작용하는 다수의 작은 구멍 23H가 복수 개 천공되어있다.
또한, 상기 반송부 25는 상기 주벽부 23에서 연속적으로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확경부 25A와, 이 확경부 25A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짧은 원통부 25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 용기 3 내에서 이 집진 용기 3에 상기 필터 조립체 4를 장착할 때, 상기 반송부 25의 짧은 원통부 25B의 선단 (앞쪽)이 위치하는 장소에서 상기 집진 용기 3의 전면부 12까지의 공간이 먼지 저류부 26이 된다.
또한, 상기 주벽부 23는 그 개구 가장자리 부 27을 확대하는 확대 단부 28을 마련해, 이 확대 단부 28의 앞쪽보다 뒤 측면이 한층 커지도록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 가장자리 부 27의 내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 베이오넷용 돌기 2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4개의 베이오넷 용 돌기 2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필터 체 22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필터 본체 31과, 이 필터 본체 31의 정면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 부 32와, 상기 필터 본체 31의 후방에 일체로 설치한 링 상의 부착 부 3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본체 31을 곡부와 산부를 교대로 형성하는 자바라 형상을 이루고, 상기 뚜껑 부 32와 부착 부 33은 비교적 경질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상기 부착 부 33은 플랜지부 34의 전면에 비교적 짧은 전외통부 35S와 전내통부 35U와를 돌설하고, 이 전외통부 35S와 전내통부 35U 사이에 상기 필터 본체 31의 후방을 접착 등에 의해 고착되어있다. 또한, 상기 전외통부 35S와 전내통부 35U는 각각 상기 차양 부 34와 동축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내통부 35U에는 후술하는 흡입 통부 64와 연결하는 접속공 36이 설치되어있다.
상기 전외통부 35S의 외주에는 상기 베이오넷 용 돌기 29에 대응하여 베이오넷용 홈 37이 설치되어있다. 이 베이오넷용 홈 37은 상기 전외통부 35S의 앞쪽 가장자리에서 개구하는 홈 입구 37A와, 이 홈 입구 37A에 연통하여 상기 전외통부 35S의 외주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홈부 37B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본체 31에 상기 원통형 바디 21을 씌우는 것 같이,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29를 상기 홈 입구 37A에 삽입하고, 상기 원통형 바디 21을 상기 걸림 홈부 37B의 연설 방향으로 돌리면 이에 의해 상기 걸림 홈부 37B에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29가 걸린다. 이에 따라, 상기 원통형 바디 21에 상기의 필터 체 22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바디 21은 정면에서 볼 때, 상기의 필터 체 22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분리 가능해진다. 이처럼 베이오넷 결합은 이른바 「분리 삽입」과 「트위스트」를 결합하여 상기 원통형 바디 21와 상기 내필터 체 22의 결합 및 분리를 할 수 있는 결합 구조이다.
또한, 상기 차양 부 34는 뒤쪽에 짧은 후외통부 41S와 후내통부 41U가 돌출되어있다. 상기 후외통부 41S는 상기 차양 부 34의 외주 연부에 설치된 환상 벽 부분이다. 또한, 상기 후내통부 41U는 상기 전내통부 35U보다 큰 직경이다. 그리고, 상기 후외통부 41S의 외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 베이오넷용 돌기 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4개의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후내통부 41U와 전외통부 35S는 거의 같은 지름이다.
상기 집진 용기 3의 주벽부 11의 개구 가장자리 부 3A 측의 내주에는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42에 대응하여 베이오넷용 홈 4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이오넷용 홈 43은 상기 주벽부 11의 개구 가장자리 부 3A에서 개구하는 홈 입구 43A와, 이 홈 입구 43A에 연통하여 상기 주벽부 11의 내주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홈부 43B를 갖는다. 상기 홈 입구 43A는 걸림 홈부 43B 측에 전후 방향의 단부 143을 갖는 동시에, 전후 방향에 대해 반대 걸림 홈부 43B 측에 기울어진 경사 단부 143K가 있다. 이 경사 단부 143K는 상기 홈 입구 43A가 후방으로 확대하도록 경사져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42를 상기 홈 입구 43A의 앞쪽에 안내한다.
또한, 상기 단부 143은 집진 용기 3의 축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오넷용 홈 43은 상기 주벽부 11의 내주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 주벽부 11이 투광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부 외부에서 본 도면에서, 상기 베이오넷용 홈 43 등을 실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걸림 홈부 43B의 적어도 하나에는 이 걸림 홈부 43B의 선단 측에 돌기부 4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걸림 홈부 43B의 선단 43S와 상기 돌기부 44의 간격은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42의 원주 방향의 폭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 주벽부 11의 개구 가장자리 부 3A 측의 내주에는 상기 차양 부 34가 접하는 단부 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부 45는 상기 주벽부 11의 다른 부분의 내면보다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 용기 3 내에 상기 필터 조립체 4를 삽입하고,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42를 상기 홈 입구 43A에 삽입하면 상기 단부 45에 상기 차양 부 34가 맞닿아 더 이상 삽입 수 없게 된다. 이 위치에서 상기 필터 조립체 4를 상기 걸림 홈부 43B의 선단 43S 측으로 돌리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 홈부 43B에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42가 걸리게 되고, 상기 집진 용기 3에 상기 필터 조립체 4가 결합 된다. 이 경우, 상기 필터 조립체 4를 회전시키면,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42가 상기 돌기부 44를 극복할 때,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42 쪽이 탄성 변형하여 클릭 감을 얻을 수 있으므로, 상기 집진 용기 3과 필터 조립체 4의 결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조립체 4는 상기 개구 가장자리 3A 측, 즉 뒤쪽에서 볼 때 상기 집진 용기 3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되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분리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42와 베이오넷용 홈 43에 의해 베이오넷 결합기구 46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집진 용기 3의 주벽부 11의 개구 가장자리 부 3A는 상기 홈 입구 43A에 근접하여 제일 절결부 51이 설치된다. 이 제일 절결부 51은 전후 방향의 종연부 51A를 원주 방향 양측에 갖는 동시에 양쪽의 종연부 51A, 51A의 바닥을 연결하는 횡연부 51B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 가장자리 3A와 종연부 51A 사이에는 곡선 모양의 면취부 51M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후외통부 41S의 개구 가장자리 41K는 상기 제일 절결부 51과 거의 동일한 형상의 제이 절결부 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이 절결부 52는 전후 방향의 종연부 52A를 원주 방향 양측에 갖는 동시에 양쪽의 종연부 52A, 52A의 바닥을 연결하는 횡연부 52B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 가장자리 41K와 종연부 52A 사이에는 곡선 모양의 면취부 52M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42를 상기 홈 입구 43A에 삽입한 위치에서는 상기 제일 절결부 51를 상기 후외통부 41S가 거의 막고,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42가 걸림 홈부 43B의 선단 43S와 돌기부 44 사이에 걸리게 된 위치에서는 상기 제일 절결부 51와 제이 절결부 52가 중첩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집진 용기 3에 상기 필터 조립체 4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 가장자리 3A는 상기 개구 가장자리 41K보다 후 측면에 위치한다. 또한, 도 8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취부부 33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후내통부 41U의 개구 가장자리 부 41K'는 상기 후외통부 41S의 개구 가장자리 41K보다 뒤쪽에 위치한다.
상기 후내통부 41U의 개구 가장자리 부 41K'는 상기 제이 절결부 52와 거의 동일 형상의 제삼 절결부 5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양 부 34의 상기 후내통부 41U의 안쪽에는 당접 통부 5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당접 통부 54는 후술하는 흡입 통부 64의 탄성 씰재 65에 접촉한다.
상기 취부부 33의 외주에는 환형의 탄성 밀봉 부재 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밀봉 부재 55는 상기 필터 조립체 4를 상기 집진 용기 3에 삽입했을 때 그 외주부가 상기 집진 용기 3의 주벽부 11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 2의 전면에는 상기 집진 용기 3을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장착부 6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장착부 61은 저면부 62와 통상부 63을 구비한다. 상기 저면부 62의 중앙에는 상기 전동 송풍기 5의 흡입구인 흡입 통부 64가 돌출되고, 이 흡입 통부 64의 위쪽 가장자리에 링 형상의 탄성 씰재 65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 61에 상기 집진 용기 3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당접 통부 54가 상기 탄성 씰재 65에 맞닿아 상기 흡입 통부 64와 상기 접속공 36이 밀봉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 통부 64의 외측에 상기 후내통부 41U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흡입 통부 64의 흡입구에는 먼지용 필터 64F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 61의 통상부 63은 상기 도입부 14 및 상기 접속통부 15를 수납하는 요부 63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상부 63는 외주부 66이 외주부 66의 내면에 설치 한 전후 방향의 수직 리브 부 67T와 외주부 66의 내면에 설치 한 원주 방향의 가로 리브 부 67Y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직 리브 부 67T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로 리브 부 67Y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상부 63의 내주에는 상기 파지부 7의 위치에 중앙 수직 홈부 71을 형성함과 동시에,이 중앙 수직 홈부 71의 좌우에는 각각 좌측 수직 홈부 72L 및 우측 수직 홈부 72R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홈부 71, 72L, 72R은 상기 청소기 본체 2 측의 위치 결정 부이며,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집진 용기 3의 주벽부 11의 외주에는 상기 수직 홈부 71, 72L, 72R 전방에서 삽입되는 중앙 돌조부 73, 왼쪽 돌조부 74L 및 오른쪽 돌조부 74R이 설치된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돌조부 73,74L, 74R가 상기 집진 용기 (3) 측의 위치 결정 부이다.
상기 중앙 돌조부 73의 선단 측에 경사 안내부 73A를 마련하고 있다. 이 경사 안내부 73A의 기단 측에 상기 중앙 돌조부 73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홈 형상을 이루는 걸림 수부 73B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중앙 수직 홈부 71은 별도의 걸림 부재 75를 배치함과 동시에, 이 걸림 부재 75에는 상기 걸림 수부 73B에 착탈 가능한 약 구형의 걸림 부 75B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이 걸림 부 75B의 선단 측에 상기 경사 안내부 73A가 맞닿는 경사 안내부 75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부재 75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 부 75B가 상기 걸림 수부 73B에 걸림하도록 도 14의 오른쪽 방향으로 바이어스 수단(도시 않음)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9를 도 14에서 왼쪽 방향으로 누르는 조작을 함으로써 상기 걸림 부 75B가 이동하여 상기 걸림 수부 73B에서 벗어나 상기 장착부 61로부터 상기 집진 용기 3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돌조부 73은 하나의 상기 제일 절결부 51과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면부 62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 2에 상기 집진 용기 3을 설치한 때, 상기 제일 절결부 51에 대응하는 상기 중앙 수직 홈부 71의 후방 위치에 철부 81이 설치되어있다. 이 철부 81은 상기 장착부 61의 외주부 66과, 상기 흡입 통 64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철부 81은 상기 종연부 51A, 51A, 52A, 52A 사이에 삽입하는 양쪽 측면부 82, 82와 양쪽 측면부 82, 82을 연결하는 상면부 8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상면부 83의 상단 중앙에는 볼록 상의 곡선 면부 83W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철부 81의 폭 방향 단부에는 상기 측면부 82, 82 및 상면부 83의 모서리 부분 곡선 면으로 구성된 안내부 81K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부 81K는 상기 제이 절결부 52의 모서리 부 52M에 접촉 가능한 것이다.
상기 철부 81은 상기 저면부 62에 불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철부 81을 이용하여 안전 밸브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와 같이, 상기 철부 81은 밸브 케이스 8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밸브 케이스 84는 바깥 개폐구 85가 상기 청소기 본체 2의 외부에 연통하는 동시에, 내부에 통기구 86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통기구 86은 상기 전동 송풍기 5의 흡입 통부 64의 측면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케이스 84 내에 상기 개폐구 85를 개폐하는 밸브 본체 87을 마련하고 있다. 이 밸브 본체 87은 바이어스 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개폐구 85에 맞닿아 이 개폐구 85를 막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 송풍기 5의 구동 중에 상기 노즐 16 등이 막혀 상기 흡입 관부 64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없게 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 2의 케이스 6 내가 소정 값 이하의 부압이 되면, 상기 밸브 본체 87이 도 4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구 85가 열리고 외기를 도입한다. 이와 같이 동작하여 상기 전동 송풍기 5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 2의 케이스 6의 뒷면에는 배기구 8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6의 후방 부는 상기 배기구 88을 덮도록 상기 어댑터 17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기구 88의 외주 부분에 형성된 둘레 면부 90은 후방에 입설한 베이오넷 기부 91이 3 개소 형성되어 있으며, 각 베이오넷 기부 91은 베이오넷용 홈 9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오넷용 홈 92는 상기 베이오넷 기부 91의 후방에 개구된 홈 입구 92A와, 이 홈 입구 92A에 연통하여 상기 베이오넷 기부 91의 외주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홈부 92B를 가진다.
상기 어댑터 17은 상기 케이스 6과 대략 같은 직경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넓은 부분인 취부부 93과, 이 취부부 93에서 점차 직경이 적어지는 테이퍼 부 94와, 이 테이퍼부 94에 연속된 단부 95와, 이 단부 95에서 돌출된 원통형의 통상부로서의 수통부 9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단이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내부를 공기가 흐르게 되어 있다. 상기 수통부 96의 직경은 상기 취부부 93 직경의 1/3 정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기구 88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취부부 93에 집중되어 유입 공기 유속을 올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 17은 비교적 경질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취부부 93의 내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3 개소의 베이오넷용 돌기 9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97은 상기 베이오넷 기부 91에 형성된 상기 베이오넷용 홈 92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있다. 또한, 상기 취부부 93의 내면이며 인접한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97 사이에는 상기 취부부 93의 내경 방향으로 돌출된 박판 형상의 보강 리브 98이 3 개소 형성되어있다.
상기 어댑터 17을 상기 케이스 6에 설치하려면,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97을 상기 홈 입구 92A에 삽입하고, 상기 어댑터 17을 상기 걸림 홈부 92B의 연설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걸림 홈부 92B에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97이 걸림하여 상기 케이스 6에 상기 어댑터 17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어댑터 17은 뒤쪽에서 볼 때 상기 케이스 6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분리 가능해진다.
상기 수통부 96의 외주면에는 어태치먼트로 연장 파이프 18, 연장 호스 19 및 브러시 노즐 20 (이하, 각 어태치먼트 18, 19, 20이라 한다)을 고정하는 대략 타원형 모양의 잠금 버튼 30이 마련되고 있다. 상기 잠금 버튼 30은 상기 수통부 96의 외주면에 입설된 약 타원모양의 버튼 수납부 38 내에 위치하고, 이 버튼 수납부 38에 축부 39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 되어 있다.
상기 잠금 버튼 30의 뒷면에는 상기 각 어태치먼트 18, 19, 20에 계합하는 계합 돌기 40이 형성되는 동시에, 코일 스프링 47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코일 스프링 47에 의해 상기 잠금 버튼 30의 상기 계합 돌기 40이 항상 잠금 상태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 47은 상기 잠금 버튼 30을 잠금 상태 방향으로 가압 가능한 것이면 판 스프링 등을 이용해도 좋다. 이하, 상기 잠금 버튼 30, 상기 버튼 수납부 38, 상기 축부 39, 상기 계 경우 돌기 40 및 상기 코일 스프링 47로 구성된 유닛을 고정 버튼 유닛 48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수통부 96의 개구에는 후술하는 상기 각 어태치먼트 18, 19, 20에 형성된 위치 결정 돌기 57A, 57B, 57C가 맞닿는 위치 결정 요부 7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 파이프 18은 상기 수통부 96에 삽입하는 삽입 통부 49A와 중간 통 부 50과 수통부 96A로 구성되어 전체가 비교적 경질 합성수지에 의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 통부 49A의 외주면에는 상기 계합 돌기 40이 계합하는 계합구 5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 통부 49A의 외주면으로서 상기 중간 통부 50 측 선단 부분에는 상기 위치 결정 돌기 57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통부 96A에는 상기 고정 버튼 유닛 48과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갖는 고정 버튼 유닛 48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통부 96A의 개구는 상기 위치 결정 요부 79와 동일한 형상의 위치 결정 요부 79A가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수통부 96A에 상기 연장 호스 19 및 상기 브러쉬 노즐 20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 요부 79A는 상기 수통부 96A에 설치된 상기 고정 버튼 유닛 48A 및 원주 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 호스 19는 상기 수통부 96에 삽입하는 삽입 통부 49B와, 제일 접속부 58과, 주름진 호스 부 59와, 제이 접속부 60과,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 68과, 수통부 96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호스 부 59는 유연한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신축·절곡이 자유롭게 되고 있다. 또한, 상기 삽입 통부 49B, 상기 제일 접속부 58, 제이 접속부 60 및 상기 파지부 68은 모두 비교적 경질 합성수지에 의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벨로우즈 부 59는 상기 제일 접속부 58을 통해 상기 삽입 통부 49B와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제이 접속부 60을 통해 상기 파지부 68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 68은 상기 수통부 96B와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상기 삽입 통부 49B의 외주면에는 상기 계합 돌기 40이 계합하는 계합홈 56B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삽입 통부 49B의 외주면로서 상기 제일 접속부 58 쪽 끝 부분에는 상기 위치 결정 돌기 57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통부 96B는 상기 고정 버튼 유닛 48과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갖는 고정 버튼 유닛 48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통부 96B의 개구는 상기 위치 결정 요부 79와 동일한 형상의 위치 결정 요부(미도시)가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수통부 96B에 상기 연장 파이프 18 및 상기 브러쉬 노즐 20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통부 96B의 개구에 형성된 상기 위치 결정 요부는 상기 수통부 96B에 설치된 상기 고정 버튼 유닛 48B 및 원주 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러쉬 노즐 20은 삽입 통부 49C와, 노즐 부 69와, 브러시 부 7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 통부 49C와 노즐 부 69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 통부 49C는 단면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 부 69는 단면이 수직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노즐 부 69의 선단 개구부 76은 측면에서 볼 때 대랙 비스듬하게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브러쉬 부 70은 상기 노즐 부 6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러시 부 70의 일 측면에 형성된 걸림공 77이 상기 노즐 부 69의 일 측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 78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브러시 부 70을 상기 노즐 부 69의 선단 측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삽입 통부 49C의 외주면에는 상기 계합 돌기 40가 계합하는 계합홈 56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 통부 49B의 외주면으로서 상기 노즐 부 69 쪽 부분에는 상기 위치 결정 돌기 57C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각 어태치먼트 18, 19, 20의 상기 어댑터 17에 착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잠금 버튼 30은 코일 스프링 47에 의해 잠금 상태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계합 돌기 40은 상기 수통부 96에 형성된 돌기 관통 구멍 89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관통한 상태가 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어태치먼트 18, 19, 20의 상기 각 삽입 통부 49A, 49B, 49C를 상기 수통부 96에 삽입하면 이러한 삽입 통부 49A, 49B, 49C가 상기 계합 돌기 40에 맞닿아 상기 코일 스프링 47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잠금 버튼 30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각 삽입 통부 49A, 49B, 49C를 상기 수통부 96에 더 넣으면 상기 각 삽입 통부 49A, 49B, 49C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각 계합홈 56A, 56B, 56C에 상기 계합 돌기 40가 맞물려 상기 각 어태치먼트 18, 19, 20이 상기 수통부 96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각 계합홈 56A, 56B, 56C는 상기 각 삽입 통부 49A, 49B, 49C의 외주면에 사방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 통부 49A, 49B, 49C의 외주면에 각각 위치 결정 돌기 57A, 57B, 57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어태치먼트 18, 19, 20이 상기 수통부 96에 고정된 때 이러한 위치 돌기 57A, 57B, 57C가 상기 수통부 96의 개구에 형성된 위치 결정 요부 79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 요부 79는 상기 수통부 96의 개구 측의 일부를 반경 방향 외측에 구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위치 결정 돌기 57A, 57B, 57C가 수납되어 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위치 결정 돌기 57A, 57B, 57C와 상기 위치 결정 요부 79가 맞닿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각 어태치먼트 18, 19, 20을 상기 수통부 96에 삽입하려고 하면 상기 각 위치 결정 돌기 57A, 57B, 57C 가 상기 수통부 96의 개구 단부 80에 맞닿아 상기 각 어태치먼트 18, 19, 20을 상기 수통부 96 만큼 삽입할 수 없어 상기 계합 돌기 40이 상기 각 계합홈 56A, 56B, 56C에 계합하지 않으므로 상기 각 어태치먼트 18, 19, 20을 상기 수통부 96에 고정할 수 없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 요부 79는 상기 수통부 96의 원주 방향의 상기 고정 버튼 유닛 48과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있다.
상기 각 어태치먼트 18, 19, 20을 상기 어댑터 17로부터 분리하려면 상기 잠금 버튼 30을 가압하여 회동시켜 상기 계합 돌기 40과 상기 각 계합홈 56A, 56B, 56C와의 계합을 해제하여 상기 각 어태치먼트 18, 19, 20를 상기 수통부 96에서 끌어내어서 된다.
또한, 상기 바닥 노즐 16의 통부 49도 상기 각 어태치먼트 18, 19, 20의 각 삽입 통부 49A, 49B, 49C와 같은 모양의 계합홈(미도시) 및 위치 결정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 노즐 16을 상기 어댑터 17의 상기 수통부 96에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통부 15의 상기 전면부 15A의 내경은 상기 수통부 96의 내경과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 15A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 버튼 유닛 48과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갖는 고정 버튼 유닛 48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면부 15A의 개구는 상기 위치 결정 요부 79와 동일한 형상의 위치 결정 요부 79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부 15A에 상기 바닥 노즐 16, 상기 연장 파이프 18, 상기 연장 호스 19 및 상기 브러쉬 노즐 20을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 요부 79B는 상기 전면부 15A의 위쪽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고정 버튼 유닛 48, 48A, 48B는 상기 어댑터 17, 상기 연장 파이프 18, 상기 연장 호스 19를 설치한 상태에서 위쪽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지만, 상기 고정 버튼 유닛 48C는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 1의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진공 청소기 1은 상기 바닥 노즐 16 및 어태치먼트인 상기 연장 파이프 18, 상기 연장 호스 19, 상기 브러쉬 노즐 20을 흡입용 및 송풍기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집진 용기 3의 탈착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필터 조립체 4를 조립하려면, 상기의 필터 본체 22에 상기 원통형 바디 21을 씌우는 것과 같이,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29를 홈 입구 37A에 삽입하고, 상기 원통형 바디 21을 걸림 홈부 37B의 연설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 홈부 37B에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29가 맞물려 상기 원통형 바디 21에 상기의 필터 본체 22가 결합되고, 상기 필터 조립체 4가 조립된다.
이어서, 상기 집진 용기 3에 상기 필터 조립체 4를 설치하려면, 상기 집진 용기 3 내에 상기 필터 조립체 4를 삽입하고, 상기 단부 45에 상기 차양 부 34가 맞닿는 부분까지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42를 상기 홈 입구 43A에 삽입하고, 상기 필터 조립체 4를 상기 걸림 홈부 43B의 선단 43S 측에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 홈부 43B에 상기 베이오넷용 돌기 42가 맞물려 상기 집진 용기 3에 상기 필터 조립체 4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 조립체 4 집진 용기 3에 올바르게 설치하고, 상기 집진 용기 3을 상기 장착부 61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청소기 본체 2의 수직 홈부 71, 72L, 72R에 상기 집진 용기 3의 돌조부 73, 74L, 74R을 따라 상기 통상부 63 내에 상기 집진 용기 3을 전후 방향을 따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중앙 수직 홈부 71의 걸림 부재 75의 경사 안내부 75A에, 상기 중앙 돌조부 73의 경사 안내부 73A가 맞닿아 상기 중앙 돌조부 73에 밀려 걸림 부재 75가 비 걸림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경사 안내부 73A가 통과한 후 상기 걸림 부 75B가 걸림 수부 73B와 맞물린 다. 이 위치에서 상기 제일 및 제이 홈부 51, 52에 상기 철부 81가 들어간다.
한편, 상기 집진 용기 3 및 필터 조립체 4와 베이오넷 결합이 불충분하여 상기 제일 절결부 51에 상기 후외통부 41S가 겹쳐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 부 75B가 상기 걸림 수부 73B에 계합하기 전에, 상기 후외통부 41S가 상기 철부 81에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 수부 73B에 상기 걸림 부 75B가 계합하지 않고, 상기 장착부 61에 상기 집진 용기 3을 설치할 수 없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집진 용기 3을 제거하여 베이오넷 결합을 확인한 후 다시 상기 집진 용기 3을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집진 용기 3과 필터 조립체 4를 완전 조립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 2에 설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일 절결부 51에 상기 후외통부 41S가 부분적으로 겹쳐있는 경우, 상기 후외통부 41S의 면취부 52M이 상기 철부 81의 안내부 81K에 접촉하면 상기 집진 용기 3을 밀어내는 힘에 의해 상기 필터 조립체 4를 회전하고, 상기 제일 및 제이 홈부 51, 52가 정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부 61에 상기 집진 용기 3을 통합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필터 조립체 4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집진 용기 3만 상기 장착부 61에 장착한 경우, 상기 집진 용기 3의 개구 가장자리 3A에 제일 홈부 51를 마련했기 때문 상기 통상부 63의 내부와 상기 집진 용기 3의 외주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제일 절결부 51, 51에서 상기 집진 용기 3 내에 공기가 침투한다. 따라서, 상기 노즐 16으로부터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고, 먼지를 다시 외기에 뿌리거나 상기 전동 송풍기 5의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없다.
이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 1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진공 청소기 1을 사용하여 흡입 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속 통부 15에 상기 바닥 노즐 16을 장착하고, 상기 장착부 61에 상기 집진 용기 3을 제대로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조작부 10을 조작하여 상기 전동 송풍기 5를 구동한다. 상기 전동 송풍기 5를 구동하면 상기 노즐 16으로부터 흡입된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상기 집진 용기 3의 원주 방향으로 연결된 상기 접속 통부 15로부터 상기 집진 용기 3에 흘러 들어, 이 집진 용기 3 내에서 와류가 형성되고, 이 와류에 포함된 거친 먼지가 원심 분리되며, 상기 주벽부 11과 반송부 25 사이에서 상기 먼지 저류부 26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모래 등의 가혹하고 무거운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작은 구멍 23H에서 상기 원통형 바디 21 내에 유입된다. 또한, 기류가 상기 반송부 25를 극복 때, 이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대부분은 상기 반송부 25에 의해 아래쪽으로 반환된다. 그리고 공기에 포함된 가벼운 먼지는 상기 원통형 바디 21 내에 유입할 때 일차 필터로서 작용하는 상기 작은 구멍 23H, 또는 상기 필터 본체 31에 의해 포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 본체 31에 의해 미세 먼지가 분리된 청정한 공기는 상기 필터 64F를 마련한 흡입 통 64를 통과하여 상기 전동 송풍기 5에 이른다. 그리고, 상기 흡입 통부 64로부터 상기 케이스 6에 흡입된 공기는 후면의 상기 배기구 88에서 배출된다. 또한, 흡입 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닥 노즐 16 대신에 흡입 청소를 하는 장소에 따라 선택한 상기 각 어태치먼트 18, 19, 20을 상기 접속 통부 15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수 있으며, 상기 접속 통부 15에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흡입 청소를 하는 경우, 상기 어댑터 17을 상기 청소기 본체 2에 설치하여 상기 배기구 88 전체가 덮여 상기 전동 송풍기 5의 작동 음이 상기 배기구 88에서 새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진공 청소기 1 사용시의 소음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 1을 전기 송풍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 2에 상기 어댑터 17을 설치, 상기 접속 통부 15에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조작부 10을 조작하여, 상기 전동 송풍기 5를 구동한다. 상기 전동 송풍기 5를 구동하면 상기 흡입구 10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구 88에서 배출되는 배출된 공기가 상기 어댑터 17 내에서 상기 수통부 96에 집중되어 유입하여 유속이 올라간 상태에서 상기 수통부 96에서 상기 어댑터 17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배출된 공기에 의해 먼지를 날려 버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공기 흡입구 100과 배기구 88을 가지고 전동 송풍기 5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 2와, 이 청소기 본체 2의 배기구 88을 덮는 어댑터 17, 이 어댑터 17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 18, 19, 20을 갖고, 상기 어댑터 17이 상기 청소기 본체 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기구 100을 덮는 넓은 부분으로 된 취부부 93과, 상기 어태치먼트 18, 19, 20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원통형 부로서의 수통부 96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배기구 88을 덮는 상기 어댑터 17에 의해 상기 배기구 88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올려 전기 진공 청소기 1의 배기를 이용하여 전기 송풍기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 17에 의해 상기 배기구 88이 덮여 있기 때문에 이 배기구 88에서 새는 전기 송풍기 5의 작동 볼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 17 및 상기 각 어태치먼트 18, 19, 20의 착탈을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구 100의 내부 형상과 상기 원통형 부로서의 수통부 96의 내부 형상을 동일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입구 100에 장착되는 흡입 청소용의 상기 각 어태치먼트 18, 19, 20을 흡출용의 상기 각 어태치먼트 18, 19, 20과 겸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어댑터 17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배기구 88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집중시켜 공기의 유속을 올릴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어댑터 17에 의한 소음 완화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어댑터 17은 흡음 소재와 방음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어태치먼트로 연장 파이프 18, 연장 호스 19 및 브러시 노즐 20 이외의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1 --- 진공 청소기
2 --- 청소기 본체
5 --- 전기 송풍기
17 --- 어댑터
18 --- 연장 파이프(어태치먼트)
19 --- 연장 호스(어태치먼트)
20 --- 브러시 노즐(어태치먼트)
88 --- 배기구
93 --- 취부부(광부)
96 --- 수통부(통상부)
100 --- 흡기구

Claims (2)

  1. 흡기구와 배기구를 가지고 전동 송풍기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와, 이 청소기 본체의 배기구를 덮는 어댑터와, 이 어댑터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를 갖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기구 전체를 덮는 광부와, 상기 어태치먼트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통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의 내부 형상과 상기 통상부의 내부 형상을 동일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KR1020140160774A 2014-08-28 2014-11-18 진공 청소기 KR201600266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74588 2014-08-28
JP2014174588A JP2016049141A (ja) 2014-08-28 2014-08-28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603A true KR20160026603A (ko) 2016-03-09

Family

ID=5541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774A KR20160026603A (ko) 2014-08-28 2014-11-18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6049141A (ko)
KR (1) KR20160026603A (ko)
CN (1) CN10538056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264U (ko) * 2018-07-24 2020-02-03 썬전 수러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핸디형 진공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7204B (zh) * 2016-11-03 2019-01-22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尘杯组件和具有其的手持吸尘器
JP6710070B2 (ja) * 2016-03-14 2020-06-1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ハンディ型電気掃除機
CN108697284A (zh) * 2016-07-29 2018-10-23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电动吸尘器
JP6841037B2 (ja) * 2016-12-29 2021-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掃除機
WO2019039138A1 (ja) * 2017-08-25 2019-02-28 株式会社マキタ クリーナ
JP7105108B2 (ja) * 2018-05-28 2022-07-22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システム
JP7105109B2 (ja) * 2018-05-28 2022-07-22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WO2020124331A1 (zh) * 2018-12-17 2020-06-25 苏州市格美纳电器有限公司 一种桶式吸尘器
JP7185585B2 (ja) * 2019-04-08 2022-12-0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7353082B2 (ja) * 2019-07-09 2023-09-2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7469208B2 (ja) 2020-09-30 2024-04-16 株式会社マキタ 送風機及びノズ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5659A (ja) 1999-03-01 2000-09-12 Hitachi Ltd 携帯型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14Y2 (ko) * 1976-04-02 1980-01-07
JPH0328854Y2 (ko) * 1985-06-19 1991-06-20
JPH09327421A (ja) * 1996-06-13 1997-12-22 Seiichi Yoda 掃除器
JP2005006880A (ja) * 2003-06-19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5169119B2 (ja) * 2007-10-03 2013-03-27 日立工機株式会社 携帯用ブロ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5659A (ja) 1999-03-01 2000-09-12 Hitachi Ltd 携帯型掃除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264U (ko) * 2018-07-24 2020-02-03 썬전 수러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핸디형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80560A (zh) 2016-03-09
CN105380560B (zh) 2019-08-09
JP2016049141A (ja)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6603A (ko) 진공 청소기
EP1674017B1 (en)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US5561885A (en) Portable hand-held vacuum cleaner
KR100662631B1 (ko) 진공청소기용 유로전환 밸브조립체
US20060000054A1 (en) Vacuum cleaner suction port assembly and vacuum cleaner
JP2010508885A (ja) ハンディ型真空掃除機
KR20070120493A (ko) 이중 탱크 진공 청소기
CN101242773A (zh) 立式真空吸尘器用的抽吸软管的安装结构
CN114653683A (zh) 送风机
JP2005169066A (ja) 真空掃除機のブラシ組立体
JP5994536B2 (ja) 電気掃除機
AU2005202362A1 (en) Suction hose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JP2003180570A (ja) 電気掃除機
JP2010068887A (ja) 電気掃除機
KR100860058B1 (ko) 호스 어댑터
KR100671836B1 (ko) 체결구조가 개선된 진공청소기 연장관
JP2008136613A (ja) 電気掃除機
JP4753861B2 (ja) 縦型電気掃除機
KR100762326B1 (ko) 핸디청소기 일체형 진공청소기
JP7549400B2 (ja) 電気掃除機システム
JP2011142980A (ja) 縦型電気掃除機
KR100517825B1 (ko) 바닥용 흡입구
JP3399835B2 (ja) 可撓性ホースの接続構造及び可撓性ホースの接続構造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H1147044A (ja) 電気掃除機
KR20040007312A (ko) 바닥용 흡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