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627A - 전자기 유량계 - Google Patents

전자기 유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627A
KR20160025627A KR1020167002951A KR20167002951A KR20160025627A KR 20160025627 A KR20160025627 A KR 20160025627A KR 1020167002951 A KR1020167002951 A KR 1020167002951A KR 20167002951 A KR20167002951 A KR 20167002951A KR 20160025627 A KR20160025627 A KR 20160025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lining
measuring tube
protruding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8486B1 (ko
Inventor
다쿠야 이이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60025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5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G01F1/5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electromagnetic flowmeters
    • G01F1/58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electromagnetic flowmeters constructions of electrode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5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G01F1/5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electromagnetic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5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G01F1/5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electromagnetic flowmeters
    • G01F1/58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electromagnetic flowmeters combined constructions of electrodes, coils or magnetic circuit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량계는, 일례로서, 측정관(관)과, 라이닝과, 돌기부와, 1쌍의 전극부를 구비한다. 측정관(관)에는, 피측정 유체가 흐른다. 라이닝은, 측정관(관)의 내면을 덮는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라이닝을 거는 걸이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전자기 유량계 {ELECTROMAGNETIC FLOWMETER}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자기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통형 다공판과 관의 내면이 라이닝으로 일체로 덮인 전자기 유량계가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6-174511호 공보
이러한 종류의 전자기 유량계에서는, 일례로서는, 보다 간소한 구성으로 라이닝을 관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렵게 할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량계는, 일례로서, 관과, 라이닝과, 돌기부와, 1쌍의 전극부를 구비한다. 관에는, 피측정 유체가 흐른다. 라이닝은, 관의 내면을 덮는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라이닝을 거는 걸이부를 갖는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량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량계의 일례의 라이닝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상측 절반)와 라이닝을 설치한 상태(하측 절반)를 도시한 설명도(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량계의 라이닝의 성형 공정의 일례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량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량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량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량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량계의 일례의 유로와 직교하는 방향의 측정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량계의 일례의 유로와 직교하는 방향의 측정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량계의 일례의 유로와 직교하는 방향의 측정관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복수의 실시 형태에는,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임과 함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제1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 유량계(1)는, 관체(2)와, 검출부(3)를 구비한다. 관체(2)의 내측(관 내측, 관체(2)(측정관(4))의 축심측, 관체(2)(측정관(4))의 축심의 직경 방향 내측)에는, 피측정 유체가 흐르는 유로(2a)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부(3)는, 피측정 유체에 접촉하는 1쌍의 전극부(9, 9)(도 1에서는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음)와, 여자 코일(8)을 갖는다. 1쌍의 전극부(9, 9)를 연결하는 선은, 관체(2)(측정관(4))의 축심(이하, 간단히 축심이라 기재함)과 직교하고 있다. 또한, 여자 코일(8)은, 1쌍의 전극부(9, 9)를 연결하는 선과 축심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계를 생성한다.
전자기 유량계(1)에서는, 여자 코일(8)에 의하여 관체(2)의 내부에 자계가 생성되고, 그 자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피측정 유체가 흐르면, 자계와 피측정 유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전력이 발생한다. 피측정 유체에 의하여 발생하는 기전력이 1쌍의 전극부(9, 9)에 의하여 검출되고, 기전력에 따른 검출 신호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진다. 제어부는, 검출 신호로부터 기전력의 크기(값)를 산출(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산출한 기전력의 크기로부터 유량을 산출하고, 표시부에 그 유량을 표시시킨다.
관체(2)는,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관(4)(관)과, 플랜지(5)와, 라이닝(7)과, 돌기부(10)를 갖는다. 관체(2)는, 피측정 유체가 흐르는 다른 관체(측정 대상의 관체, 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검출부(3)는, 다른 관체로부터 관체(2)에 유입된 피측정 유체의 유량을 검출한다.
측정관(4)은, 일례로서, 정면에서 보아(축 방향으로부터의 시선) 원통형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측정관(4)은, 외면(4a)(외주면, 외측면, 유로(2a)와 반대측의 면, 제1 면)과, 내면(4b)(내주면, 내측면, 유로(2a) 측의 면, 제2 면)을 갖는다. 외면(4a)에는, 여자 코일(8)이나 플랜지(5) 등이 설치되어 있다. 내면(4b)에는, 1쌍의 전극부(9, 9)나, 라이닝(7), 돌기부(10)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정관(4)은, 축 방향으로 2개의 단부(4c, 4d)를 갖는다. 측정관(4)은, 일례로서, SUS(스테인레스강) 등의 비자성 재료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5)는, 일례로서, 정면에서 보아(축 방향으로부터의 시선) 원환형(링형)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플랜지(5)는, 측정관(4)의 단부(4c)에 설치된 제1 플랜지(5A)와, 측정관(4)의 단부(4d)에 설치된 제2 플랜지(5B)를 갖는다. 이들 플랜지(5)(5A, 5B)는, 예를 들어 측정관(4)의 외면(4a)에 끼워진(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용착(6)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5)는, 측정관(4)과는 별도의 부재가 아니라, 측정관(4)에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플랜지(5)는, 단부면(5a)(면, 결합면)을 갖는다. 단부면(5a)은, 결합 대상(일례로서, 관체(2)와 연결되는 다른 관체의 플랜지)와 중첩되는(대향하는) 면이다. 단부면(5a)은, O링(시일 부재, 도시되지 않음)을 개재하여, 결합 대상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5)에는, 축 방향을 따라 당해 플랜지(5)를 관통한 구멍(5b)(형성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5)는, 일례로서, SUS(스테인레스강) 등의 비자성 금속 재료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라이닝(7)은, 일례로서, 통부(7a)(제1 부분)와, 플레어부(7b)(제2 부분)를 갖는다. 통부(7a)는, 측정관(4)의 내면(4b)을 따른 통형(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내면(4b)과 돌기부(10)를 일체로 덮고 있다(피복하고 있음). 통부(7a)의 내면(7a1)(내측면, 내주면, 측정관(4)과 반대측의 면)은, 유로(2a)를 구성하고 있다. 플레어부(7b)는, 플랜지(5)의 단부면(5a)을 따른 환형(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판형 또한 원환형)으로 구성되며, 단부면(5a)을 덮고 있다(피복하고 있음). 플레어부(7b)는, 통부(7a)의 축 방향의 단부로부터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직교 방향)으로 플랜지형으로 튀어나와 있다. 또한, 플레어부(7b)는, 일례로서, 단부면(5a)의 단부(5a1)(내측의 단부, 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단부(5a2)(외측의 단부,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를 향하는 도중 부분까지를 덮을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레어부(7b)에 의하여 단부면(5a)의 단부(5a1)로부터 구멍(5b)의 바로 앞 부분까지가 덮이며, 구멍(5b)은 개방되어 있다. 또한, 플레어부(7b)는, 단부면(7c)을 갖는다. 단부면(7c)은, 플랜지(5)의 단부면(5a)과는 반대측의 면이며, 관체(2)의 외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라이닝(7)은, 측정관(4)의 내면(4b)과 플랜지(5)의 단부면(5a)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라이닝(7)은, 통부(7a)나 플레어부(7b)에 의하여, 측정관(4)의 내면(4b)과 플랜지(5)의 단부면(5a)을 보호하고 있다. 라이닝(7)은, 일례로서, 불소 수지 등의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돌기부(10)는, 일례로서, 도 1,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1쌍의 전극부(9, 9)를 연결하는 방향으로부터의 시선) 대략 Z자형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돌기부(10)는, 베이스부(11)(제1 부분)와, 걸이부(12)(제2 부분)를 갖는다. 베이스부(11)는, 측정관(4)의 내면(4b)에 설치되는 설치부(11a)와, 설치부(11a)로부터 측정관(4)의 내측(관 내측, 축심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b)를 갖는다. 베이스부(11)는, 설치부(11a)와 돌출부(11b)에 의하여, 대략 L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걸이부(12)는, 볼록부(13)를 갖는다. 볼록부(13)는, 돌출부(11b)의 선단부(유로(2a) 측의 단부, 축심측의 단부)에 형성되며, 베이스부(11)(돌출부(11b))와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직교 방향, 내면(4b)과 대략 평행인 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볼록부(13)는, 측정관(4)의 내면(4b)과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다. 즉, 측정관(4)과 볼록부(13) 사이에, 내면(4b), 베이스부(11) 및 볼록부(13)로 둘러싸진 간극(14)(공간, 오목부, 절결, 개구부)이 형성되어 있다. 간극(14)에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닝(7)의 적어도 일부가 들어간다(깊숙이 들어감). 볼록부(13) 및 간극(14)은, 걸이부(12)의 일례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압이 발생하더라도 라이닝(7)의 적어도 일부(간극(14)에 들어간 부분)가 걸이부(12)에 걸리기 때문에, 라이닝(7)이 측정관(4)의 내면(4b)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정관(4) 내의 부압은, 예를 들어 피측정 유체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켰을 경우 등에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돌기부(10)는, 일례로서, 측정관(4)의 내면(4b)에 설치된 당해 측정관(4)과는 다른 부재(15)로 구성되어 있다. 부재(15)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재(15)는, 편평한 판형 부재에 프레스나 절곡 등의 가공을 행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부재(15)는, 측정관(4)의 내면(4b)에, 용접(예를 들어, 스폿 용접이나 티그 용접 등)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10)는,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관(4)의 정면에서 보아(축 방향으로부터의 시선) 당해 측정관(4)의 둘레 방향으로 4군데에 나뉘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4개의 돌기부(10)는, 측정관(4)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축심 둘레의 90° 간격)으로, 측정관(4)의 축심과 직교한 대략 동일한 단면 상에 늘어서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돌기부(10)가 형성된 단면 위치 P1과, 4개의 돌기부(10)가 형성된 단면 위치 P2가 축 방향으로 이격되고, 그들 두 단면 위치 P1, P2 사이에, 1쌍의 전극부(9, 9)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닝(7)은, 형틀(103)(형틀 부재,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될 수 있다. 형틀(103)은, 면(103a)과, 면(103b)를 갖는다. 면(103a)은, 플랜지(5)의 단부면(5a)과 대향하는 면이다. 면(103b)은, 측정관(4)의 내면(4b)과 대향하는 면이다. 면(103a)에는, 나사 구멍(103c)이나, 오목부(103d) 등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03d)는, 플레어부(7b)의 단부면(7c)을 성형할 수 있다. 플랜지(5)의 구멍(5b)에 삽입된 결합 부재(101)(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볼트)가, 나사 구멍(103c)에 나사 고정(나사 결합, 걸림 결합)됨으로써, 형틀(103)이 플랜지(5)에 결합된다. 또한, 형틀(103)은, 복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측정관(4)의 내면(4b) 및 플랜지(5)의 단부면(5a)과 형틀(103) 사이에는, 일례로서, 라이닝(7)을 구성하는 재료(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불소 수지, 불소 탄화 수지) 등의 입자형 펠릿)가 충전된다. 그리고, 펠릿이 충전된 관체(2) 및 형틀(103)은, 예를 들어 노에 넣어져, 펠릿이 용융(융해)되기까지 가열된다. 그리고, 펠릿이 겔상으로 된 관체(2) 및 형틀(103)은, 예를 들어 프레스기에 물려, 펠릿이 가압된다. 이러한 일례의 공정에 의하여, 라이닝(7)을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기에 의한 가압 시에는, 결합 부재(101)가 형틀(103) 및 플랜지(5)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플랜지(5)의 구멍(5b)은, 관체(2)와 형틀(103)의 결합 이외에, 관체(2)와 다른 관체의 결합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측정관(4)(관)의 내면(4b)에, 라이닝(7)을 거는 걸이부(12)를 가진 돌기부(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례로서는, 비교적 간소한 구성의 돌기부(10)에 의하여, 라이닝(7)의 측정관(4)으로부터의 박리가 억제되기 쉽다. 따라서, 일례로서는, 보다 간소한 구성의 전자기 유량계(1)가 얻어지기 쉬워, 전자기 유량계(1)의 제조에 필요한 수고나 비용이 저감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걸이부(12)는, 베이스부(11)(돌출부(11b))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측정관(4)의 내면(4b)과 이격되어 위치된 볼록부(13)를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례로서는, 걸이부(12), 나아가서는 돌기부(10)를 비교적 간소한 형상으로 할 수 있어, 제조에 필요한 비용이 보다 저감되기 쉽다. 또한, 일례로서는, 측정관(4)의 내측 방향으로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걸이부(12)(간극(14))에 라이닝(7)이 들어가기 쉽다(깊숙이 들어가기 쉬움). 따라서, 일례로서는, 라이닝(7)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례로서는, 걸이부(12)(간극(14))에 라이닝(7)이 들어가기 쉬운(깊숙이 들어가기 쉬운) 구성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고 또한 저렴한 성형 기술(예를 들어, 상술한 펠릿을 사용한 성형 방법 등)로 라이닝(7)을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일례로서는, 라이닝(7)의 제조나 성형에 필요한 수고나 비용이 저감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측정관(4)의 내면(4b)에 부재(15)를 용접함으로써(설치함으로써), 돌기부(10)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례로서는, 돌기부(10)를 구성하는 수고나 비용이 저감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돌기부(10)는, 측정관(4)의 정면에서 보아(축 방향으로부터의 시선) 당해 측정관(4)의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3군데(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4군데)에 나뉘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례로서는, 라이닝(7)이 측정관(4)의(둘레 방향의) 보다 많은 부분에서 걸이부(12)에 걸린다. 따라서, 일례로서는, 라이닝(7)의 측정관(4)으로부터의 박리가 한층 더 억제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2세트)의(4개의) 돌기부(10)가, 측정관(4)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례로서는, 축 방향의 보다 넓은 범위에서, 라이닝(7)의 측정관(4)으로부터의 박리가 억제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돌기부(10)가,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3개의 돌기부(10)나, 5개 이상의 돌기부(10)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돌기부(10)가, 둘레 방향을 따라 늘어서서(대략 동일한 단면 상에) 배치되어 있지만, 복수(3개 이상)의 돌기부(10)가, 측정관(4)의 내면(4b)에 나선형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10)가, 측면에서 보아(1쌍의 전극부(9, 9)를 연결하는 방향으로부터의 시선) 대략 Z자형 외관을 나타내고 있지만, 돌기부(10)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 외관을 나타낸 판형 부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자형 펠릿에 의하여 라이닝(7)을 성형했지만, 용융(융해)시킨 상태의 합성 수지 재료(예를 들어, 불소 수지나 폴리우레탄 등)를 형틀(103)과 내면(4b) 및 단부면(5a) 사이에 가압하여 유입시키는 방법(예를 들어, 트랜스퍼 성형이나, 몰드 성형, 인젝션 성형 등)으로 라이닝(7)을 성형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기 유량계(1)가, 1쌍의 전극부(9, 9)가 피측정 유체와 접촉하는 접액형인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자기 유량계(1)는, 1쌍의 전극부(9, 9)가 피측정 유체와 접촉하지 않는 비접액형이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5에 도시되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량계(1A)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전자기 유량계(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기초하는 마찬가지의 결과(효과)가 얻어진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0A)는, 측면에서 보아(1쌍의 전극부(9, 9)를 연결하는 방향으로부터의 시선) 대략 T자형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기부(10A)는, 베이스부(11)(제1 부분)와, 걸이부(12)(제2 부분)를 갖는다. 베이스부(11)는, 내면(4b)으로부터 측정관(4)의 내측(관 내측, 축심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걸이부(12)는, 볼록부(13)를 갖는다. 볼록부(13)는, 베이스부(11)의 선단부(유로(2a) 측의 단부, 축심측의 단부)에 형성되며, 베이스부(11)와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직교 방향, 내면(4b)과 대략 평행인 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다. 내면(4b)과 볼록부(13) 사이에는, 간극(14)(공간, 오목부, 절결, 개구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10A)는, 일례로서, 2개의 부재를 결합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결합 부재(16)(체결 부재, 고정 부재, 부재)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16)는, 일례로서는, 볼트나, 스터드, 리벳 등이다. 결합 부재(16)는, 범용의 것이어도 된다. 결합 부재(16)는, 측정관(4)의 내면(4b)에, 용접(예를 들어, 스터드 용접 등)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고, 결합 부재(16)의 결합 방식(예를 들어, 나사 고정 등)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돌기부(10A)를, 결합 부재(16)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례로서는, 보다 간소한 구성의 전자기 유량계(1A)가 얻어지기 쉬워, 전자기 유량계(1A)의 제조에 필요한 수고나 비용이 저감되기 쉽다.
<제3 실시 형태>
도 6에 도시되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량계(1B)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기초하는 마찬가지의 결과(효과)가 얻어진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0B)는, 베이스부(11)(제1 부분)와, 걸이부(12A)(제2 부분)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11)는, 내면(4b)으로부터 측정관(4)의 내측(관 내측, 축심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베이스부(11)에는, 홈부(18)(오목부,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18)는, 베이스부(11)의 외면(11c)(측면, 둘레면)에 형성되며, 베이스부(11)와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직교 방향, 측정관(4)의 내면(4b)을 따른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11)에는, 홈부(18)를 구성하는 면(11d)(오목면, 홈면)이 형성되어 있다. 홈부(18)는, 라이닝(7)의 적어도 일부가 들어가는(깊숙이 들어가는) 스페이스(공간)로 된다. 홈부(18) 및 면(11d)은, 걸이부(12A)의 일례이다.
또한, 돌기부(10B)는, 일례로서,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결합 부재(17)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17)는, 일례로서는, 나사나 볼트 등이다. 결합 부재(17)는, 범용의 것이어도 된다. 결합 부재(17)는, 측정관(4)의 내면(4b)에, 용접(예를 들어, 스터드 용접 등)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돌기부(10B)를, 결합 부재(17)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일례로서는, 보다 간소한 구성의 전자기 유량계(1B)가 얻어지기 쉬워, 전자기 유량계(1B)의 제조에 필요한 수고나 비용이 저감되기 쉽다.
<제4 실시 형태>
도 7에 도시되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량계(1C)는,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기초하는 마찬가지의 결과(효과)가 얻어진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0C)는, 측정관(4)의 벽부(4e)(관벽, 둘레벽, 측벽)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기부(10C)는, 베이스부(11)(제1 부분)와, 걸이부(12A)(제2 부분)를 갖는다. 베이스부(11)는, 측정관(4)의 외면(4a)에 걸리는 설치부(11a)(플랜지)와, 설치부(11a)로부터 측정관(4)을 관통하여, 측정관(4)의 내측(관 내측, 축심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b)를 갖는다. 베이스부(11)는, 설치부(11a)와 돌출부(11b)에 의하여, 대략 T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부(11)에는, 홈부(18)(오목부,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18)는, 돌출부(11b)의 외면(11c)(측면, 둘레면)에 형성되며, 돌출부(11b)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1b)에는, 홈부(18)와 면하는 면(11d)(오목면, 홈면)이 형성되어 있다. 홈부(18)는, 라이닝(7)의 적어도 일부가 들어가는(깊숙이 들어가는) 스페이스(공간)로 된다. 홈부(18) 및 면(11d)은, 걸이부(12A)의 일례이다.
또한, 돌기부(10C)는, 일례로서, 결합 부재(17A)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17A)는, 일례로서는,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나사나 볼트 등이다. 결합 부재(17A)는, 측정관(4)에, 나사 고정(나사 결합, 걸림 결합)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돌기부(10C)가, 결합 부재(17A)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일례로서는, 보다 간소한 구성의 전자기 유량계(1C)가 얻어지기 쉬워, 전자기 유량계(1C)의 제조에 필요한 수고나 비용이 저감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결합 부재(17A)(부재)가 측정관(4)의 벽부(4e)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례로서는, 결합 부재(17A)의 설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전자기 유량계(1C)의 제조에 필요한 수고나 비용이 한층 더 저감되기 쉽다.
<제5 실시 형태>
도 8, 9에 도시되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량계(1D)는,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기초하는 마찬가지의 결과(효과)가 얻어진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0D)는, 측정관(4)의 내면(4b)으로부터 벽형(리브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기부(10D)는, 베이스부(11)(제1 부분)와, 걸이부(12B)(제2 부분)를 갖는다. 베이스부(11)는, 내면(4b)으로부터 측정관(4)의 내측(관 내측, 축심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베이스부(11)에는, 개구부(18A)(관통 구멍)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8A)는, 베이스부(11)와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직교 방향, 측정관(4)의 내면(4b)을 따른 방향)으로 당해 베이스부(1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11)에는, 개구부(18A)와 면하는 면(11d)(내면, 내측면, 내주면)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8A)는, 라이닝(7)의 적어도 일부가 들어가는(깊숙이 들어가는) 스페이스(공간)로 된다. 개구부(18A) 및 면(11d)은, 걸이부(12B)의 일례이다.
또한, 돌기부(10D)는, 일례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관(4)의 정면에서 보아(축 방향으로부터의 시선) 당해 측정관(4)의 둘레 방향으로 3군데에 나뉘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3개의 돌기부(10D)는, 측정관(4)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축심 둘레의 120° 간격)으로, 측정관(4)의 축심과 직교한 대략 동일한 단면 상에 늘어서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10D)는, 일례로서, 측정관(4)의 내면(4b)에, 용접(예를 들어, 스폿 용접이나 티그 용접 등)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돌기부(10D)의 베이스부(11)에는, 당해 베이스부(11)와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직교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 개구부(18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례로서는, 걸이부(12B), 나아가서는 돌기부(10D)를 비교적 간소한 형상으로 할 수 있어, 제조에 필요한 비용이 보다 저감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돌기부(10D)는, 측정관(4)의 정면에서 보아(축 방향으로부터의 시선) 당해 측정관(4)의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3군데에 나뉘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례로서는, 라이닝(7)이 측정관(4)의(둘레 방향의) 보다 많은 부분에서 걸이부(12B)에 걸린다. 따라서, 일례로서는, 라이닝(7)의 측정관(4)으로부터의 박리가 한층 더 억제되기 쉽다.
<제6 실시 형태>
도 10에 도시되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량계(1E)는, 상기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기초하는 마찬가지의 결과(효과)가 얻어진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0E)는, 측정관(4)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기부(10E)는, 베이스부(11A)(제1 부분)와, 걸이부(12C)(제2 부분)를 갖는다. 베이스부(11A)는, 내면(4b)으로부터 측정관(4)의 내측(관 내측, 축심측)으로 돌출되며, 측정관(4)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11A)에는, 개구부(18A)(관통 구멍)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8A)는, 베이스부(11A)와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직교 방향)으로 당해 베이스부(11A)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11A)에는, 개구부(18A)와 면하는 면(11d)(내면, 내측면, 내주면)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8A)는, 라이닝(7)의 적어도 일부가 들어가는(깊숙이 들어가는) 스페이스(공간)로 된다. 개구부(18A) 및 면(11d)은, 걸이부(12C)의 일례이다.
또한, 개구부(18A)는, 일례로서, 측정관(4)의 정면에서 보아(축 방향으로부터의 시선) 3군데에 나뉘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3개의 개구부(18A)는,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축심 둘레의 120°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3개의 개구부(18A)는, 각각,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긴 구멍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3개의 개구부(18A)가 형성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2개)의 돌기부(10E)가, 측정관(4)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1쌍의 전극부(9, 9)는, 일례로서, 축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돌기부(10E, 10E)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10E)는, 일례로서, 측정관(4)의 내면(4b)에, 용접(예를 들어, 스폿 용접이나 티그 용접 등)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10E)는, 측정관(4)과는 별도의 부재가 아니라, 측정관(4)에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돌기부(10E)의 베이스부(11A)에는, 측정관(4)의 정면에서 보아(축 방향으로부터의 시선) 당해 측정관(4)의 둘레 방향으로 3군데에 나뉘어 배치된 개구부(1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18A)는,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긴 구멍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례로서는, 라이닝(7)의 박리를 억제하는 효과가 한층 더 높아지기 쉽다.
<제7 실시 형태>
도 11에 도시되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 유량계(1F)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기초하는 마찬가지의 결과(효과)가 얻어진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0)와 1쌍의 전극부(9, 9)가, 측정관(4)의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서(대략 동일한 단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기부(10)는, 측정관(4)의 정면에서 보아(축 방향으로부터의 시선) 전극부(9)와는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 2개의 돌기부(10a, 10a)를 갖는다. 2개의 돌기부(10a, 10a)와 1쌍의 전극부(9, 9)는,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축심 둘레의 90°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전극부(9)는, 제1 부분(9a)과, 제2 부분(9b)을 갖는다. 제1 부분(9a)은, 내면(4b)으로부터 측정관(4)의 내측(관 내측, 축심측)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제2 부분(9b)은, 제1 부분(9a)의 선단부(관 내측의 단부, 유로(2a) 측의 단부)에 위치되며, 제1 부분(9a)보다도 굵게 된 부분(전극)이다. 제2 부분(9b)은, 유로(2a)에 노출된 상태에서 설치되며, 피측정 유체와 접촉한다.
또한, 전극부(9)는, 일례로서, 측정관(4)의 내측(관 내측, 유로(2a)측)으로부터 개구부(4f)(관통 구멍)에 삽입된, 소위 내삽형 전극부이다. 전극부(9)는, 라이닝(7)과 측정관(4)의 벽부(4e)를 관통한 상태에서 설치되며, 제1 부분(9a)이 너트(20)에 의하여 측정관(4)의 외면(4a)에 고정된다. 제2 부분(9b)은, 너트(20)의 체결에 의하여 제1 부분(9a)이 측정관(4)의 외측(관 외측)으로 잡아당겨짐으로써, 라이닝(7)에 파고든다. 따라서, 전극부(9)의 제2 부분(9b)에 의해서도, 라이닝(7)을 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돌기부(10)는, 측정관(4)의 정면에서 보아(축 방향으로부터의 시선) 전극부(9)와는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 2개의 돌기부(10a, 10a)를 갖는다. 또한, 2개의 돌기부(10a, 10a)와 1쌍의 전극부(9, 9)가, 측정관(4)의 둘레 방향을 따라 늘어서서(대략 동일한 단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례로서는, 돌기부(10) 외에 전극부(9)에 의해서도, 라이닝(7)을 걸 수 있어, 라이닝(7)의 측정관(4)으로부터의 박리가 한층 더 억제되기 쉽다. 또한, 내삽형이 아니라, 측정관(4)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외삽형 전극부(용도 설명되지 않고)여도, 라이닝(7)을 걸 수 있으면, 마찬가지의 결과(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예시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실시 형태는, 그 외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조합,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는,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스펙(구조나, 종류, 방향, 형상, 크기, 길이, 폭, 두께, 높이, 수, 배치, 위치, 재질 등)은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2)

  1. 피측정 유체가 흐르는 관과,
    상기 관의 내면을 덮는 라이닝과,
    상기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라이닝을 거는 걸이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와,
    1쌍의 전극부
    를 구비한, 전자기 유량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내면으로부터 상기 관 내측으로 돌출된 베이스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당해 베이스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내면과 이격되어 위치된 볼록부가 형성된, 전자기 유량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내면으로부터 상기 관 내측으로 돌출된 베이스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당해 베이스부와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된, 전자기 유량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내면에 설치된 부재로 구성된, 전자기 유량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관을 관통하여 설치된 부재로 구성된, 전자기 유량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결합 부재로 구성된, 전자기 유량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관에 용접된 부재로 구성된, 전자기 유량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관의 축 방향으로부터의 시선으로 보아 당해 관의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3군데에 나뉘어 배치된, 전자기 유량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관의 축 방향으로부터의 시선으로 보아 상기 전극부와는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 전자기 유량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와 상기 돌기부가, 상기 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늘어선, 전자기 유량계.
  11.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돌기부가, 상기 관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전자기 유량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은, 상기 내면과 형틀 사이에 충전된 펠릿을 용융시켜 겔상으로 된 상기 펠릿을 가압하여 성형된, 전자기 유량계.
KR1020167002951A 2013-08-12 2014-01-15 전자기 유량계 KR101788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7790A JP6157985B2 (ja) 2013-08-12 2013-08-12 電磁流量計
JPJP-P-2013-167790 2013-08-12
PCT/JP2014/050551 WO2015022783A1 (ja) 2013-08-12 2014-01-15 電磁流量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627A true KR20160025627A (ko) 2016-03-08
KR101788486B1 KR101788486B1 (ko) 2017-10-19

Family

ID=5246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951A KR101788486B1 (ko) 2013-08-12 2014-01-15 전자기 유량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726525B2 (ko)
JP (1) JP6157985B2 (ko)
KR (1) KR101788486B1 (ko)
CN (1) CN105452816A (ko)
CA (1) CA2920769C (ko)
EA (1) EA032181B1 (ko)
MY (1) MY174377A (ko)
WO (1) WO20150227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7157A (ja) * 2013-10-29 2015-05-07 株式会社東芝 電磁流量計
DE102015107119A1 (de) * 2015-05-07 2016-11-10 Endress + Hauser Flowtec Ag Messrohr und Magnetisch-induktives Durchflussmessgerät
DE102015113390B4 (de) * 2015-08-13 2022-09-08 Endress + Hauser Flowtec Ag Magnetisch-induktives Durchflussmessgerät zur Ermittlung des Vorliegens eines vollausgebildeten rotationssymmetrischen Strömungsprofils
CN109891200B (zh) * 2017-04-28 2021-04-20 爱知时计电机株式会社 电磁流量计
DE102017115149A1 (de) * 2017-07-06 2019-01-10 Endress + Hauser Flowtec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agnetisch-induktiven Durchflussmessgeräts und ein magnetisch-induktives Durchflussmessgerä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4511A (ja) 1992-12-04 1994-06-24 Toshiba Corp 電磁流量計検出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6622A (en) * 1981-03-07 1982-09-10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Manufacture of duct with lining
JPS5916622A (ja) * 1982-07-19 1984-01-27 Yamatake Honeywell Co Ltd 管内ライニングの成形方法
JPS5987620U (ja) * 1982-12-06 1984-06-13 愛知時計電機株式会社 電磁流量計
JPS6065637U (ja) * 1983-10-14 1985-05-09 横河電機株式会社 電磁流量計
GB2385667A (en) * 2002-02-26 2003-08-27 Danfoss As Insert for an inductive flowmeter
DE10347890A1 (de) * 2003-10-10 2005-05-04 Abb Patent Gmbh Magnetisch-induktives Messgerät für strömende Stoff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2008111758A (ja) * 2006-10-31 2008-05-15 Yamatake Corp 容量式電磁流量計
DE102006054635A1 (de) * 2006-11-17 2008-05-21 Endress + Hauser Flowtec Ag Vorrichtung zum Messen des Volumen- oder Massestroms eines Mediums in einer Rohrleitung
JP2009288026A (ja) * 2008-05-28 2009-12-10 Toshiba Corp 電磁流量計
DE102008054961A1 (de) * 2008-12-19 2010-07-01 Endress + Hauser Flowtec Ag Durchfluss-Messgerä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ssrohrs eines Durchfluss-Messgerätes
JP5202368B2 (ja) * 2009-02-03 2013-06-05 株式会社東芝 測定装置
JP2012008108A (ja) * 2010-06-28 2012-01-12 Toshiba Corp 電磁流量計
CN201787978U (zh) * 2010-08-25 2011-04-06 重庆川仪自动化股份有限公司 电磁流量计测量管
JP2013036934A (ja) * 2011-08-10 2013-02-21 Toshiba Corp 電磁流量計
CN203011439U (zh) * 2012-12-30 2013-06-19 左玉静 一种化工流体计量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4511A (ja) 1992-12-04 1994-06-24 Toshiba Corp 電磁流量計検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1690389A1 (ru) 2016-09-30
JP2015036638A (ja) 2015-02-23
EA032181B1 (ru) 2019-04-30
CA2920769A1 (en) 2015-02-19
US20160195416A1 (en) 2016-07-07
CA2920769C (en) 2018-06-26
WO2015022783A1 (ja) 2015-02-19
KR101788486B1 (ko) 2017-10-19
CN105452816A (zh) 2016-03-30
US9726525B2 (en) 2017-08-08
JP6157985B2 (ja) 2017-07-05
MY174377A (en)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486B1 (ko) 전자기 유량계
US8806956B2 (en) Fastening system for magnetic flowmeter liner
US7895902B2 (en) Electromagnetic flow meter including circumferential grooves on an inner surface of a measurement pipe for fixing a liner
JP3192696U (ja) ケースのリベット締め構造
US9360354B2 (en) Vortex flowmeter
KR101428445B1 (ko) 배관 연결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센터링 조립체
JP2016200452A5 (ko)
EP2918979B1 (en) Electromagnetic flow meter
US20170248235A1 (en) Mechanical seal device
JP2011209243A (ja) 電磁流量計
JP5569970B2 (ja) 電磁式水道メーター
US20160238420A1 (en) Electromagnetic flowmeter
JP2008215582A (ja) Oリング及びそのねじれ検出方法
JP2014095558A (ja) 接続パーツおよび差圧/圧力発信器
JP6524292B2 (ja) 電磁流量計の製造方法
JP6428239B2 (ja) 電磁流量計
JP6445902B2 (ja) 電磁流量計
JP2017049128A (ja) ウエハ型電磁流量計
JP3205012U (ja) 熱交換器用ガスケット
JP2014174017A (ja) 電磁流量計
JP2017026640A (ja) 電磁流量計
JP2015184087A (ja) 電磁流量計
JP2014029172A (ja) フランジ型管継手
JP2008002814A (ja) 電磁流量計の取付構造
JP2013249929A (ja) サドル付分水栓の絶縁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