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4053A -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4053A
KR20160024053A KR1020140109620A KR20140109620A KR20160024053A KR 20160024053 A KR20160024053 A KR 20160024053A KR 1020140109620 A KR1020140109620 A KR 1020140109620A KR 20140109620 A KR20140109620 A KR 20140109620A KR 20160024053 A KR20160024053 A KR 20160024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extract
fermented
cosmetic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7463B1 (ko
Inventor
한기동
정호정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청도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청도군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463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로 발효시킨 감 슬러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발효를 통해 티로시나아제 저해능을 증가시켜 과실의 영양성분과 유효성분들을 포함하는 감 슬러지의 추출물을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써 재활용하여 감 슬러지 폐기처분에 사용되는 처리비용 절감과 부가적인 이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fermented persimmon sludge}
본 발명은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에 관한 것이다.
감은 포도당, 과당 등의 당류가 풍부하여 유산균 등의 에너지원으로 작용하고, 비타민A, 비타민 C, 무기질 또는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독특한 천연색소와 향기 성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감은 인체 내에서 장 수축작용과 장액 분비 촉진 작용을 하고, 항산화, 항동맥경화, 항암, 알코올 대사촉진, 항혈액응고, 항알레르기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효능을 가진 감은 2011년 기준, 국내 생산량 390,820 M/T으로 국내에서 2번째로 많이 생산되는 과실이며, 그중 떫은 감의 생산량은 219,124 M/T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떫은 감은 동결연시, 반건시, 세절반건시, 와인 제조나 감물 염색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소비되며, 특히 이 중 감물 염색이 주목을 받고 있다. 감물 염색은 기존 천연 염재에 비해 견뢰도가 우수하고, 별도의 가공 없이도 자외선 및 광 차단성과 통기성이 좋으며 염색 후 내구력이 증가하는 등의 많은 실용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현재 청도군에서만도 감물 염색 관련 업체가 30여 곳으로 증가했으며, 감물 염색을 위해 연간 600 M/T의 감이 가공된다. 하지만 이러한 감물염색사업이 발전함에 따라 약 240 M/T에 달하는 다량의 착즙 슬러지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사료, 비료로 일부 이용되거나 산업폐기물로 버려지고 있다. 착즙 슬러지에는 감의 영양성분과 유효성분들이 잔류하고 있어 그대로 버려질 경우 이용가능한 자원이 손실되고, 수분 및 유기물질 함량이 높아 부패가 쉬우므로 환경오염을 야기하며, 산업폐기물로 처리 시 톤(t)당 30-50만원의 비용이 발생한다는 많은 문제들이 야기될 수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버려지는 감 슬러지에서 기능성 물질을 추출하여 재활용하거나, 추출물을 이용한 상품화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화장품 시장에서 천연 원료가 각광을 받으면서, 감의 가공공정에서 생산되는 부산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이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10-1998-0055293(특허문헌 1)에는 감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지만, 감의 과육, 과피, 잎, 꼭지 및 씨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감 슬러지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1. 국내공개특허 10-1998-005529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즙 후 폐기되는 감 슬러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생물로 발효시킨 감 슬러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미생물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H4-4 및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MFS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하여 발효시킨 감 슬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미생물로 발효시킨 감 슬러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발효를 통해 티로시나아제 저해능을 증가시켜, 과실의 영양성분과 유효성분들을 포함하는 감 슬러지를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써 재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감 슬러지 추출물의 총 페놀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감 슬러지는 물(PWE), 에탄올(PEE)로 추출되었고, 발효된 감 슬러지는 물(FPWE), 에탄올(FPEE)로 추출되었다.
도 2는 감 슬러지 추출물의 환원당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감 슬러지는 물(PWE), 에탄올(PEE)로 추출되었고, 발효된 감 슬러지는 물(FPWE), 에탄올(FPEE)로 추출되었다.
도 3은 황산화 측정법에 의한 감 슬러지 추출물의 1,1-다이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감 슬러지는 물(PWE), 에탄올(PEE)로 추출되었고, 발효된 감 슬러지는 물(FPWE), 에탄올(FPEE)로 추출되었다.
도 4는 황산화 측정법에 의한 감 슬러지 추출물의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폭 산( 2, 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감 슬러지는 물(PWE), 에탄올(PEE)로 추출되었고, 발효된 감 슬러지는 물(FPWE), 에탄올(FPEE)로 추출되었다.
도 5는 감슬러지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억제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감 슬러지는 에탄올(PEE)로 추출되었고, 발효된 감 슬러지는 에탄올(FPEE)로 추출되었다.
본 발명은 미생물로 발효시킨 감 슬러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색소는 멜라닌, 헤모글로빈, 카로티노이드 등이 있으며, 피부, 모발 및 눈의 다양한 색깔이 이러한 색소에 의해 결정된다. 피부에 있어서 색깔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색소는 멜라닌이며 멜라닌의 양, 성질 그리고 분포의 정도에 따라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멜라닌 생성은 태양 자외선과 같은 환경적 요인, 피로 및 스트레스와 같은 생리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색소 세포 내에 존재하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의 작용에 의해 티로신(tyrosin)으로부터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된 후, 비효소적인 산화 반응을 통해 생성된다.
따라서, 미백은 상기 멜라닌 생성 과정 중의 일부 반응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켜 주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상기 감 슬러지의 추출물은 감 슬러지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감 슬러지에 증류수를 가하고,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생물을 1 내지 10 중량부로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물을 물 또는 에탄올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H4-4 및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MFS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효는 25℃ 내지 35℃에서 48 내지 72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물 외에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썬 크림,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 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참조예 > 감 슬러지의 준비
감을 분쇄하고 이를 감압하여 감즙액을 추출한 후, 생성된 잔여물인 감 슬러지를 공급받아(감물염색산업화사업단, 청도군) 냉동보관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시예 1> 감 슬러지 발효 및 추출물의 제조
분쇄한 감 슬러지에 대하여 증류수 1.5 중량배를 가한 후, 총 부피의 3%에 해당하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Lactobacillus brevis K-1)을 접종하여 35℃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발효 전 감 슬러지와 상기 배양한 감 슬러지는 물 또는 에탄올로 다음과 같이 추출되었다. 물로 추출한 경우, 발효 전 감 슬러지와 상기 배양한 감 슬러지에 대하여 증류수 5 중량배를 가하고 65℃ 수욕상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 발효 전 감 슬러지와 상기 배양한 감 슬러지에 대하여 증류수 5 중량배를 가하고 65℃ 수욕상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물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동결건조한 후 냉동 보관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발효 전·후 감 슬러지의 유효성분 스크리닝
1) 총 페놀의 함량 측정
감 슬러지와 발효한 감 슬러지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폴린-시오칼토 시약(Folin-Ciocalteu reagent; FC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폴린-시오칼토 시약(Folin-Ciocalteu reagent; FCR)은 인몰리브덴산(phosphomolybdate)과 포스포텅스테이트(phosphotungstate)의 혼합 용액으로 포스포텅스토몰리앱딕 산(phosphotungstomolydbdic acid)을 생성하며, 포스포텅스토몰리앱딕 산(phosphotungstomolydbdic acid)이 알칼리 상태에서 환원제와 반응하게 되면, 환원되어 청색으로 색 변화를 나타내게 되고 이에 의한 흡광도를 측정하여 총 폴리페놀의 양을 정량할 수 있다.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Total phenolics content)은 이미 공지된 방법(J. Biol. Chem.12:239-243(1912); Nutr. 35:1309-1314(2006))에 의하여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동결 건조한 시료를 증류수에 녹여 농도를 조절한 후 사용하였다. 시료 0.2 mL에 폴린-시오칼토 시약(Folin-Ciocalteu reagent, Sigma, USA)) 1 mL을 넣은 후 실온에 3분간 반응시켰다. 그 반응액에 10% Na2CO3 0.8 mL을 넣은 뒤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하기 갈산(gallic acid, Sigma, USA)을 이용한 표준곡선(Y=0.0162 x 0.0917, R2=0.9998)으로부터 산출하였다(F-값=856.373***(*** : p<0.001)).
그 결과, 도 1과 같이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으로 발효한 감 슬러지의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12.769 μg/mL, 25.724 μg/mL의 폴리페놀 함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 전 감 슬러지의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5.080 μg/mL, 10.813 μg/mL의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것과 비교하였을 때, 두 배 이상 폴리페놀이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발효 시, 젖산균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발효산물로 인해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 환원당의 함량 측정
환원당 정량은 환원당 측정법(DNS법)에 따라 환원당에 의하여 3,5-디니트로살리실산(3,5-dinitrosalicylic acid, DNS)이 환원되어 생성된 3-아미노-5-니트로살리실산(3-amino-5-nitrosalicylic acid)의 양을 측정하였다. 시료용액 0.5 mL에 DNS 용액 0.5 mL를 가하여 100℃의 끓는 물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찬물에 냉각시켰다. 그런 후 상기 반응액에 증류수 2 mL를 가하고, 546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분석하였다. 이때 환원당의 함량은 글루코스를 이용한 표준곡선(Y=0.0014 x 0.0625, R2=0.9979)으로부터 산출하였다(F-값=490513.640***(*** : p<0.001)).
그 결과, 도 2와 같이 발효 전 감 슬러지의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환원당 함량은 각각 656.452 μg/mL, 683.595 μg/mL으로 나타났으며, 발효한 감 슬러지의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35.262 μg/mL, 46.452 μg/mL의 환원당 함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이 발효하는 동안 당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한 것을 확인하였다.
3)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1,1-다이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 DPPH)은 비교적 안정한 라디칼을 갖는 물질로 다른 자유 라디칼과 결합하여 안정한 복합체를 만든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항산화 기능을 포함하는 물질과 만날 때 소거되어 변색되는 것을 비색 정량하는 방법이다.
각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이미 공지된 방법(J. Assoc. Off. Anal. Chem, 69, 727(1985))을 따라 측정하였다. 각 농도의 시료 0.1 mL에 0.15 mM DPPH 용액 0.1 mL를 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반응 후 518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첨가구와 비첨가구의 차이를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F-값=1375.714***(*** : p<0.001)).
DPPH 라디칼 소거능 (%)(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 [1-(시료 첨가구의 흡광도/무 첨가구의 흡광도)] × 100
그 결과, 도 3과 같이 감 슬러지의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28.85%, 85.09%로 나타났고, 발효한 감 슬러지의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70.72%, 93.34%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으로 발효시킨 감 슬러지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발효 전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에 의한 발효에 의하여 감 슬러지의 항산화 활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폭 산( 2, 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이미 공지된 방법(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26: 1231-1237(1999) 및 Korean J. Plant Res. 2: 149-158(2013))을 변형하여 실험하였다. 7 mM 농도로 녹인 ABTS 용액과 2.45 mM 농도로 녹인 포타슘 과산화황산염(Potassium persulfate)을 동량 혼합하고, 이를 암소에서 14 내지 16시간 실온에서 반응시켜 ABTS 양이온 라디칼(cation radical)을 형성시킨 후, 이 용액을 750 nm에서 흡광도 값이 0.700±0.002가 되도록 에탄올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ABTS 용액 980㎕에 농도별 시료 추출물 20㎕를 가하여 15분 동안 반응시킨 후 750 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시료 첨가 전후의 흡광도의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 값으로 비교하였다(F-값=20467.052***(*** : p<0.001)).
ABTS 라디칼 소거능 %(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 [1-(시료 첨가구의 흡광도/무 첨가구의 흡광도)] × 100
그 결과, 도 4와 같이 감 슬러지의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18.25%, 56.16%로 나타났고, 발효한 감 슬러지의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52.33%, 99.37%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으로 발효시킨 감 슬러지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발효 전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능 측정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능은 도파(DOPA)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도파크롬(dopachrome)의 양을 비색 정량하여 시료의 첨가에 따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효소 활성저해 정도를 평가하여 측정하였다. 이미 공지된 방법(Planta med. 3981: 517-519(1986))에 따라 0.175 M 소듐 포스페이트 버퍼(sodium phosphate buffer(pH 6.8)) 0.5 mL에 시료 0.1 mL를 첨가하고, 기질로서 10 mM L-DOPA 0.2 mL와 110 유닛의 티로시나아제 0.2 mL를 첨가하여 25℃에서 2분간 반응시킨 후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F-값=8.364***(*** : p<0.001)).
티노시나아제 활성 억제능 (%)( Tyrosinase inhibition (%))
= [1-(시료 첨가구의 흡광도/무 첨가구의 흡광도)] × 100
그 결과, 도 5와 같이 발효 전·후 감 슬러지 에탄올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능은 각각 24.35%와 38.26%로 나타났다. 감 슬러지의 티로시나아제 저해능은 감에 함유된 폴리페놀, 카로티노이드 및 vitamin C 등에 의한 것이며, 발효에 의하여 폴리페놀 및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여 발효 후 감 슬러지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능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종합하면, 감 슬러지를 락토바실러스 균주(Lactobacillus . sp)로 발효한 경우, 감에 함유된 폴리페놀과 같은 항산화 물질이 증가하여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되고 이를 통해 티로시나아제 저해능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상기 발효된 감 슬러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 처방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처방예
1) 영양 로션의 제조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부, 카르복시폴리머 0.1 중량부, 방부제 미량과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교반하면서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폴리솔베이트60 1.0 중량부,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부, 유동 파라핀 10.0 중량부,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1.0 중량부,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중량부, 스테아린산 1.5 중량부,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PEG-400 스테아레이트 1.0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부를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열 냉각한 뒤 향료 미량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색소 미량을 투입하고, 35℃에서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한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물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켰다.
2) 영양 크림의 제조
카르복시폴리머 0.3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5.0 중량부, 글리세린 3.0 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교반하면서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스테아린산 2.0 중량부, 세틸알콜 2.0 중량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중량부, 왁스 1.0 중량부, 유동파라핀 4.0 중량부, 스쿠알란 4.0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중량부를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트리에탄올아민 0.5 중량부를 투입하여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한 뒤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한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물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켰다.
3) 워시폼의 제조
TEA-코코일 글루타메이트 30.0 중량부,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숙시네이트글리세린 10.0 중량부, 글리세린 10.0 중량부, 코카마이드 DEA 2.0 중량부, PEG-120 메칠글루코오스 디올리에이트 1.0 중량부, 메칠글루세스-20 0.5 중량부, PEG-150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 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테트라소듐 EDTA 0.05 중량부 및 방부제 미량을 순차적으로 제조부에 투입하고 60 내지 65℃로 가열한 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나면 정제수의 일부를 투입하여 30분 동안 교분한 후, 다시 정제수의 일부를 천천히 투입하고 30분 동안 교반한 후 35℃까지 냉각하고, 실시예 1을 통해 제조한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물과 향료를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켰다.

Claims (5)

  1. 미생물로 발효시킨 감 슬러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 슬러지는 감을 분쇄하고 이를 감압하여 감즙액을 추출한 후 잔여물을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감 슬러지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감 슬러지에 증류수를 가하고,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생물을 1 내지 10 중량부로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시킨 발효물을 물 또는 에탄올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H4-4 및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MFS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25℃ 내지 35℃에서 48 내지 72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109620A 2014-08-22 2014-08-22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77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620A KR101677463B1 (ko) 2014-08-22 2014-08-22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620A KR101677463B1 (ko) 2014-08-22 2014-08-22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053A true KR20160024053A (ko) 2016-03-04
KR101677463B1 KR101677463B1 (ko) 2016-11-21

Family

ID=5553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620A KR101677463B1 (ko) 2014-08-22 2014-08-22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4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330A1 (ko) * 2016-02-19 2017-08-2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감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08113927A (zh) * 2018-02-28 2018-06-05 周海英 一种用于化妆品中的具有美白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381389A (zh) * 2018-11-16 2019-02-26 北京思尔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柿叶发酵提取液及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430A (ko) * 1993-12-13 1995-07-22 전병윤 홍시(紅枾)로 감와인(wine) 제조방법
KR20000039833A (ko) 1998-12-16 2000-07-05 김광석 감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JP2006008566A (ja) * 2004-06-24 2006-01-12 Ichimaru Pharcos Co Ltd 果汁の乳酸菌醗酵物を有効成分とする美容剤とその応用
KR20080065667A (ko) * 2005-10-31 2008-07-14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와인 발효 모로미 유래의 면역 조절 작용을 갖는 유산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430A (ko) * 1993-12-13 1995-07-22 전병윤 홍시(紅枾)로 감와인(wine) 제조방법
KR20000039833A (ko) 1998-12-16 2000-07-05 김광석 감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JP2006008566A (ja) * 2004-06-24 2006-01-12 Ichimaru Pharcos Co Ltd 果汁の乳酸菌醗酵物を有効成分とする美容剤とその応用
KR20080065667A (ko) * 2005-10-31 2008-07-14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와인 발효 모로미 유래의 면역 조절 작용을 갖는 유산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구한의대 한방산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감와인 슬러지를 활용한 화장품 약리활성에 대한 연구(2013.02.).*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330A1 (ko) * 2016-02-19 2017-08-2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감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08113927A (zh) * 2018-02-28 2018-06-05 周海英 一种用于化妆品中的具有美白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381389A (zh) * 2018-11-16 2019-02-26 北京思尔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柿叶发酵提取液及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463B1 (ko) 201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469B1 (ko)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53054B1 (ko) 고로쇠 나무와 황칠 나무를 이용한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EP2914242B1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fractions of lingonberry extracts
KR102354412B1 (ko) 혼합 꽃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32003B1 (ko)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KR101634668B1 (ko) 겨우살이의 발효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9928B1 (ko) 감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2569150A (zh) 包含幼苗人参发酵物的化妆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677463B1 (ko)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94229B1 (ko) 사카잉키 오일 및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Zampini et al. Nutraceutical properties and toxicity studies of fruits from four Cactaceae species grown in Argentine Northwestern
CN109528536A (zh) 一种含有胆碱鞣花酸盐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1449282B1 (ko) 복합효모발효 보리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1732A (ko) 저온숙성추출법에 의한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2544792B1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발효한 해조류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221097B1 (ko) 스트레스 완화 및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9277A (ko) 감태 가수분해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136207B2 (ja) 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品、食品
KR101694500B1 (ko) 벼뿌리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023168A (ko) 치자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조성물
KR20170089093A (ko) 대황, 오배자 및 백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1646B1 (ko) 스피룰리나 마리노박터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20948A (ko)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78335B1 (ko) 꽃에서 분리한 효모균으로부터 수득한 발효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