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928B1 - 감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928B1
KR101879928B1 KR1020160019744A KR20160019744A KR101879928B1 KR 101879928 B1 KR101879928 B1 KR 101879928B1 KR 1020160019744 A KR1020160019744 A KR 1020160019744A KR 20160019744 A KR20160019744 A KR 20160019744A KR 101879928 B1 KR101879928 B1 KR 101879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fraction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ersi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7974A (ko
Inventor
한기동
정호정
송효진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9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928B1/ko
Priority to PCT/KR2017/001724 priority patent/WO2017142330A1/ko
Publication of KR20170097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 슬러지 추출물의 분획물 또는 미생물로 발효시킨 감 슬러지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특정 균주를 이용한 발효를 통해 티로시나아제 저해능을 증가시켜 과실의 영양성분과 유효성분들을 포함하는 감 슬러지의 추출물을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써 재활용하여 감 슬러지 폐기처분에 사용되는 처리비용 절감과 부가적인 이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으며, 특히 감 슬러지 발효추출물의 미백작용은 티로시나아제 본연에 대한 직접적 효소 활성 저해 효과가 아닌, 자외선 등에 의한 자극에 의해 과발현되어지는 티로시나아제 발현 억제 효과로서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안전한 미백 소재로서 큰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감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ractions of persimmon extracts}
본 발명은 감 슬러지 추출 분획물 또는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감은 포도당, 과당 등의 당류가 풍부하여 유산균 등의 에너지원으로 작용하고, 비타민A, 비타민 C, 무기질 또는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독특한 천연색소와 향기 성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감은 인체 내에서 장 수축작용과 장액 분비 촉진 작용을 하고, 항산화, 항동맥경화, 항암, 알코올 대사촉진, 항혈액응고, 항알레르기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효능을 가진 감은 2011년 기준, 국내 생산량 390,820 M/T으로 국내에서 2번째로 많이 생산되는 과실이며, 그중 떫은 감의 생산량은 219,124 M/T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떫은 감은 동결연시, 반건시, 세절반건시, 와인 제조나 감물 염색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소비되며, 특히 이 중 감물 염색이 주목을 받고 있다. 감물 염색은 기존 천연 염재에 비해 견뢰도가 우수하고, 별도의 가공 없이도 자외선 및 광 차단성과 통기성이 좋으며 염색 후 내구력이 증가하는 등의 많은 실용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현재 청도군에서만도 감물 염색 관련 업체가 30여 곳으로 증가했으며, 감물 염색을 위해 연간 600 M/T의 감이 가공된다. 하지만 이러한 감물염색사업이 발전함에 따라 약 240 M/T에 달하는 다량의 착즙 슬러지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사료, 비료로 일부 이용되거나 산업폐기물로 버려지고 있다. 착즙 슬러지에는 감의 영양성분과 유효성분들이 잔류하고 있어 그대로 버려질 경우 이용가능한 자원이 손실되고, 수분 및 유기물질 함량이 높아 부패가 쉬우므로 환경오염을 야기하며, 산업폐기물로 처리 시 톤(t)당 30-50만원의 비용이 발생한다는 많은 문제들이 야기될 수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버려지는 감 슬러지에서 기능성 물질을 추출하여 재활용하거나, 추출물을 이용한 상품화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화장품 시장에서 천연 원료가 각광을 받으면서, 감의 가공공정에서 생산되는 부산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이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10-1998-0055293(특허문헌 1)에는 감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지만, 감의 과육, 과피, 잎, 꼭지 및 씨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감 슬러지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1. 국내공개특허 10-1998-005529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즙 후 폐기되는 감 슬러지의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 슬러지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생물로 발효시킨 감 슬러지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미생물은 웨이셀라 키바리아 MFST(Weissella cibaria MFST, FPSK) 및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MFST(Issatchenkia orientalis MFST, FPS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은 감 슬러지 추출물의 분획물 또는 미생물로 발효시킨 감 슬러지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발효를 통해 티로시나아제 저해능을 증가시켜, 과실의 영양성분과 유효성분들을 포함하는 감 슬러지를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써 재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발효 전보다 발효한 감 슬러지가 분획을 더 쉽게 얻을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다.
도 1은 PS(감 슬러지 추출물)의 분획물 또는 FPSK(웨이셀라 키바리아 MFST(Weissella cibaria MFST)로 발효시킨 감 슬러지), FPSM(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MFST(Issatchenkia orientalis MFST)로 발효시킨 감 슬러지) 분획물 제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2는 뮤린 멜라노마(Murine melanoma) B16F10 세포에 대한 PS, FPSK, FPSM분획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3은 B16F10 세포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에 PS, FPSK, FPSM 분획물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4는 B16F10 세포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에 대한 PS, FPSK, FPSM 분획물의 간접 저해능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5는 B16F10 세포의 멜라닌(melanin) 생성에 대한 PS, FPSK, FPSM 분획물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감 슬러지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색소는 멜라닌, 헤모글로빈, 카로티노이드 등이 있으며, 피부, 모발 및 눈의 다양한 색깔이 이러한 색소에 의해 결정된다. 피부에 있어서 색깔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색소는 멜라닌이며 멜라닌의 양, 성질 그리고 분포의 정도에 따라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멜라닌 생성은 태양 자외선과 같은 환경적 요인, 피로 및 스트레스와 같은 생리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색소 세포 내에 존재하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의 작용에 의해 티로신(tyrosin)으로부터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된 후, 비효소적인 산화 반응을 통해 생성된다.
따라서, 미백은 상기 멜라닌 생성 과정 중의 일부 반응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켜 주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상기 감 슬러지 추출물의 분획물은 건조한 감 슬러지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감 슬러지를 증류수에 용해한 후, 아세트산에틸(ethyl acetate)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한 감 슬러지를 원심분리 및 감압 농축하고 클로로포름에 용해하는 단계; 및 상기 클로로포름에 용해한 감 슬러지를 메탄올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용출 용매와 컬럼으로 분리하여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출 용매는 1 : 1 내지 19 부피비율의 메탄올 :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미생물로 발효시킨 감 슬러지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감 슬러지의 분획물은 감 슬러지를 미생물로 발효한 후 이를 에탄올로 추출하고 증류수, 메탄올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출 용매로 분획하여 수득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한 감 슬러지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감 슬러지에 증류수를 가하고, 미생물을 2 내지 5 부피%로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시킨 발효물에 에탄올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발효물을 메탄올, 증류수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출 용매와 컬럼으로 분리하여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득한 분획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생물은 웨이셀라 키바리아 MFST(Weissella cibaria MFST, FPSK) 및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MFST(Issatchenkia orientalis MFST, FPS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상기 발효는 30℃ 내지 35℃에서 48 내지 72시간 동안 실시된다.
상기 용출 용매는 0:10, 1:1, 1:9 및 10: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부피비율의 메탄올 : 증류수이거나, 1 : 1 부피비율의 메탄올:아세톤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 슬러지의 분획물은 감 슬러지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감 슬러지에 증류수를 가하고, 총 100 부피부에 대하여 웨이셀라 키바리아 MFST(Weissella cibaria MFST, FPSK) 및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MFST(Issatchenkia orientalis MFST, FPS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2 내지 5 부피부로 접종하여 30℃ 내지 35℃에서 48 내지 7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시킨 발효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2 내지 8 중량배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발효물을 0:10, 1:1, 1:9 및 10: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부피비율의 메탄올 : 증류수 또는 1 : 1 중량비율의 메탄올:아세톤과 컬럼으로 분리하여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감 슬러지 추출 분획물 또는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 분획물 외에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썬 크림,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 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참조예 > 감 슬러지의 준비
감을 분쇄하고 이를 감압하여 감 착즙액을 추출한 후, 생성된 잔여물인 감 슬러지 또는 건조감 제조 과정에서 생되는 감 껌질을 건조하고 분쇄한 후 냉동보관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시예 1> 감 슬러지 발효 및 추출물의 제조
1. 감 슬러지 발효 및 추출물의 제조
건조 및 분쇄한 감 슬러지에 대하여 증류수 10 중량배를 가한 후, 총 부피의 3%에 해당하는 웨이셀라 키바리아 MFST(Weissella cibaria MFST)(FPSK) 또는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MFST(Issatchenkia orientalis MFST)(FPSM)을 접종하여 35℃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발효 감 슬러지에 에탄올 5 중량배를 가한 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물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동결건조한 후 냉동 보관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2. 발효 감 슬러지의 분획물 제조
분획물 제조에는 동결 건조한 시료를 사용하였으며, 분획물 제조는 도 1과 같이 실시하였다. 감 슬러지 추출물(PS)의 경우, 동결건조 시료를 증류수에 녹여 아세트산에틸(ethyl acetate)를 첨가한 후, 원심분리 및 감압 농축하고 클로로포름(chloroform)에 용해시켰다. 이 시료를 실리카 겔(silica gel) C60로 충진시킨 컬럼(column)과 메탄올(methanol) : 클로로포름의 부피비율을 달리한 용출용매로 용출한 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에 전개하여 각 분획물을 확인한 후 감압농축하여 Fr 1 내지 7을 얻었다.
메탄올과 클로로포름 부피비율은 다음과 같다: Fr 1: 1:99, Fr 2: 1:49, Fr 3: 3:97, Fr 4: 1.:19, Fr 5: 1:9, Fr 6: 2:8, Fr 7: 1:1.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물(FPSK, FPSM)의 경우, 비발효 감 슬러지 추출물(PS)의 경우보다 분획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었다. 동결건조 시료를 증류수에 녹여 세파덱스(sepadex) LH20로 충진시킨 컬럼에 의해 분리하였다. 용출용매는 메탄올 : DW와 메탄올 : 아세톤(acetone)의 부피비율을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달리하여 용출한 후, TLC에 전개하여 각 분획물을 확인한 후 감압 농축하여 Fr 1-8을 얻었다.
메탄올과 증류수 부피비율은 다음과 같다: Fr 1: 10:0, Fr 2: 1.:9, Fr 3: 2:8, Fr 4: 3:7, Fr 5: 5:5, Fr 6: 7:3, Fr 7: 0:10.
메탄올과 아세톤의 부피비율은 Fr 8: 1:1이었다.
분획물의 수율은 PS보다 분획공정이 단순한 FPSK와 FPSM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는 PS Fr 4, 6, 7과 FPSK Fr 5, 7, 8, FPSM Fr 1, 2, 8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감 분획물의 세포 독성 측정
각 추출물의 뮤린 멜라노마(Murine melanoma) B16F10 세포(한국세포주은행, KCLB)에 대한 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을 수행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부착시키고, PS, FPSK, FPSM 분획물을 각각 처리하여 72시간 배양시킨 후, MTT 시약을 첨가하여 2시간 반응시켰다.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DMSO(dimethyl Sulfoxide) 100 μL를 가하여 세포를 녹인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2와 같이, 각 분획물의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A: PS Fr4, 2B: PS Fr6, 2C: PS Fr7, 2D: FPSK Fr5, 2E:FPSK Fr7, 2F:FPSK Fr8, 2G: FPSM Fr1, 2H: FPSM Fr2, 2I: FPSM Fr8). 따라서, 세포의 생존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세포가 생성해 내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농도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 실시예 3> 티로시나아제 활성에 미치는 감 분획물의 영향 확인
PS Fr 4, 6, 7과 FPSK Fr 5, 7, 8, FPSM Fr 1, 2, 8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티로시나아제 활성(tyrsinase activity)은 도파(L-DOPA)와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도파크롬(dopachrome)의 양을 비색 정량하여 시료의 첨가에 따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B16F10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24시간 배양하여 부착시켰다. 각 시료를 처리하고 3시간 후, 멜라닌 생성 촉진물질인 α-MSH를 처리하여 7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용해 버퍼(lysis buffer)를 가한 후, L-DOPA를 포함한 기질액(100 mM sodium phosphate (pH 7.1) 내 2% NN-dimethylformamide, 100 mM sodium phosphate (pH 7.1) 내 5 mM L-DOPA, H2O 내 20 mM MBTH)을 가하여 37℃에서 반응시킨 후, 5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과 같이, 선택된 분획물 대부분이 농도 의존적으로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A: PS Fr4, 3B: PS Fr6, 3C: PS Fr7, 3D: FPSK Fr5, 3E:FPSK Fr7, 3F:FPSK Fr8, 3G: FPSM Fr1, 3H: FPSM Fr2, 2I: FPSM Fr8). 감 슬러지 추출 분획물(PS)의 경우 PS Fr 6에서 현저한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젖산균 발효 감 슬러지 추출물(FPSK) 분획물의 경우 FPSK Fr 7과 FPSK Fr 8에서,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물(FPSM) 분획물의 경우 FPSM Fr 1과 FPSM Fr 2에서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현저히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획에 따라서는 발효 유무에 의한 큰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 실시예 4> 티로시나아제 효소활성에 대한 간접 저해능 평가
티로시나아제의 효소활성을 직접 저해할 경우, 백반증 등 여러 부작용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감 슬러지 추출 분획물 또는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 분획물이 이러한 직접 저해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PS Fr 4, 6, 7과 FPSK Fr 5, 7, 8, FPSM Fr 1, 2, 8이 α-MSH에 의해 유도된 B16F10 세포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한 후, 각 시료가 멜라닌 생성 촉진물질인 α-MSH 자극에 의해 과발현된 티로시나아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멜라닌 생성 촉진물질인 α-MSH 자극에 의해 과발현된 티로시나아제를 세포추출액으로부터 얻고, 각 시료를 첨가하여 37℃에서 반응시킨 후, 기질액을 넣어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감 발효 추출물 분획에서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에 대한 큰 직접 저해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감 발효 추출물 분획물의 탁월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는 직접적인 효소활성 저해가 아닌 발현 억제임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5>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티로시나아제의 활성화는 결국 멜라닌 생성증가로 이어진다. 따라서, 시료의 미백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세포내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35mm dish에 세포를 부착시킨 후, 각 추출물을 3시간 전처리한 후, 시료를 첨가하고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내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1N 수산화나트륨(NaOH)을 가해 녹여내어 수집하고,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와 같이, PS Fr 6, 7과 FPSK Fr 7, 8, FPSM Fr 1, 2 처리군에서 생성되는 멜라닌(melanin)의 양이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감 분획물의 T티로시나아제 생성억제에 따른 티로시나아제 효소의 전체 활성이 줄어든 결과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감 슬러지 추출 분획물 또는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 분획물 중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 처방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처방예
1) 영양 로션의 제조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부, 카르복시폴리머 0.1 중량부, 방부제 미량과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교반하면서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폴리솔베이트60 1.0 중량부,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부, 유동 파라핀 10.0 중량부,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1.0 중량부,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중량부, 스테아린산 1.5 중량부,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PEG-400 스테아레이트 1.0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부를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열 냉각한 뒤 향료 미량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색소 미량을 투입하고, 35℃에서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한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 분획물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켰다.
2) 영양 크림의 제조
카르복시폴리머 0.3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5.0 중량부, 글리세린 3.0 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교반하면서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스테아린산 2.0 중량부, 세틸알콜 2.0 중량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중량부, 왁스 1.0 중량부, 유동파라핀 4.0 중량부, 스쿠알란 4.0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중량부를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트리에탄올아민 0.5 중량부를 투입하여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한 뒤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한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 분획물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켰다.
3) 워시폼의 제조
TEA-코코일 글루타메이트 30.0 중량부,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숙시네이트글리세린 10.0 중량부, 글리세린 10.0 중량부, 코카마이드 DEA 2.0 중량부, PEG-120 메칠글루코오스 디올리에이트 1.0 중량부, 메칠글루세스-20 0.5 중량부, PEG-150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 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테트라소듐 EDTA 0.05 중량부 및 방부제 미량을 순차적으로 제조부에 투입하고 60 내지 65℃로 가열한 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나면 정제수의 일부를 투입하여 30분 동안 교분한 후, 다시 정제수의 일부를 천천히 투입하고 30분 동안 교반한 후 35℃까지 냉각하고, 실시예 1을 통해 제조한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 분획물과 향료를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켰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0)

  1. 감 슬러지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감 슬러지 추출물의 분획물은 건조한 감 슬러지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감 슬러지를 증류수에 용해한 후, 아세트산에틸(ethyl acetate)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한 감 슬러지를 원심분리 및 감압 농축하고 클로로포름에 용해하는 단계; 및 상기 클로로포름에 용해한 감 슬러지를 메탄올 및 클로로포름이 혼합된 용출 용매와 컬럼으로 분리하여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되고,
    상기 용출 용매는 메탄올 및 클로로포름이 2:8 또는 1:1의 부피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19744A 2016-02-19 2016-02-19 감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9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744A KR101879928B1 (ko) 2016-02-19 2016-02-19 감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7/001724 WO2017142330A1 (ko) 2016-02-19 2017-02-16 감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744A KR101879928B1 (ko) 2016-02-19 2016-02-19 감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974A KR20170097974A (ko) 2017-08-29
KR101879928B1 true KR101879928B1 (ko) 2018-07-18

Family

ID=59626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744A KR101879928B1 (ko) 2016-02-19 2016-02-19 감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9928B1 (ko)
WO (1) WO20171423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534B1 (ko) 2020-10-30 2021-09-07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웨이셀라 사이베리아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청보리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209A (ko) 2018-07-03 2020-01-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감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94241B1 (ko) * 2019-07-15 2021-08-2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 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또는 항염용 조성물
US20230181453A1 (en) * 2020-06-08 2023-06-15 Sang Wook Kim Method for extracting extract of liquor production by-product and composition for whitening, wrinkle improvement and anti-aging effect comprising the extract thereb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8566A (ja) * 2004-06-24 2006-01-12 Ichimaru Pharcos Co Ltd 果汁の乳酸菌醗酵物を有効成分とする美容剤とその応用
KR20080065667A (ko) * 2005-10-31 2008-07-14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와인 발효 모로미 유래의 면역 조절 작용을 갖는 유산균
KR101118683B1 (ko) * 2010-10-14 2012-03-1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네이처팜 알코올 내성 부여를 위한 미배아, 쌀겨 및 콩류 유래 펩타이드를 사카로미케스속 또는 이사첸키아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킨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56487A (ko) * 2012-10-26 2014-05-12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감꼭지(枾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 주름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조성물
KR101456042B1 (ko) * 2007-01-18 2014-11-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248B1 (ko) * 2012-09-12 2014-07-24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ms­1 및 그 용도
KR101677463B1 (ko) * 2014-08-22 2016-11-2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8566A (ja) * 2004-06-24 2006-01-12 Ichimaru Pharcos Co Ltd 果汁の乳酸菌醗酵物を有効成分とする美容剤とその応用
KR20080065667A (ko) * 2005-10-31 2008-07-14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와인 발효 모로미 유래의 면역 조절 작용을 갖는 유산균
KR101456042B1 (ko) * 2007-01-18 2014-11-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8683B1 (ko) * 2010-10-14 2012-03-1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네이처팜 알코올 내성 부여를 위한 미배아, 쌀겨 및 콩류 유래 펩타이드를 사카로미케스속 또는 이사첸키아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킨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56487A (ko) * 2012-10-26 2014-05-12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감꼭지(枾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 주름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한방산업학 석사학위논문 (2013.02.) *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한방산업학 석사학위논문 (2013.02.) 1부. *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한방산업학 석사학위논문 (2013.02.)*
석사학위논문(201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534B1 (ko) 2020-10-30 2021-09-07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웨이셀라 사이베리아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청보리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2330A1 (ko) 2017-08-24
KR20170097974A (ko)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469B1 (ko)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U777305B2 (en) Solar radiation protection composition
KR101879928B1 (ko) 감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53054B1 (ko) 고로쇠 나무와 황칠 나무를 이용한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532003B1 (ko)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KR101008817B1 (ko) 피부 미백용 흑 효모 유래 추출물
JP2008088109A (ja) シラカバ抽出組成物およびシラカバ配合化粧料
KR101677463B1 (ko) 발효된 감 슬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56422A (ko)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된 상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49282B1 (ko) 복합효모발효 보리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2441009B1 (ko) 인삼으로부터 화합물을 추출하는 방법,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JP5399466B2 (ja) チロシナーゼ阻害剤
KR20130099277A (ko) 감태 가수분해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184665B (zh) 一种具有防晒、美白及抗衰效果的组合物及其应用
KR102344701B1 (ko) 고 기능성 천연 발효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KR20130123490A (ko) 다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30047680A (ko) 치자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미백화장료
KR100542446B1 (ko) 매생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5987A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발효한 해조류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834153B1 (ko) 홍해삼 유래 펩타이드 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6735225B2 (ja) 皮膚外用組成物及び経口組成物
JP2009013104A (ja) 抗酸化作用を有するキサントン誘導体、それらの製造方法、それらからなる化粧品
KR101978335B1 (ko) 꽃에서 분리한 효모균으로부터 수득한 발효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90291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