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510A -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510A
KR20160022510A KR1020140108130A KR20140108130A KR20160022510A KR 20160022510 A KR20160022510 A KR 20160022510A KR 1020140108130 A KR1020140108130 A KR 1020140108130A KR 20140108130 A KR20140108130 A KR 20140108130A KR 20160022510 A KR20160022510 A KR 20160022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gas
valve
surge
outpu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좌형
진광자
최유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08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2510A/ko
Priority to US14/796,414 priority patent/US10082148B2/en
Publication of KR20160022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2Surge control
    • F04D27/0284Conjoint control of two or more different f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2Surge control
    • F04D27/0207Surge control by bleeding, bypassing or recycling fluids
    • F04D27/0215Arrangements therefor, e.g. bleed or by-pass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2Surge control
    • F04D27/0261Surge control by varying driving sp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Air Blowers (AREA)

Abstract

원심압축기에서 서지가 발생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장치는 압축기의 입력측의 유량과 압력 및 압축기의 출력측의 압력을 근거로 가스 제공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압축기의 입력측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일부를 저장하고 저장된 가스를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입력측으로 제공하는 가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및 방법{Surge preven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entrifugal compressor}
본 발명은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심압축기에서 높은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서지(surge)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심압축기는 흡입 도관(Suction)으로 흡입된 가스 또는 공기를 임펠러(Impeller)로 회전시켜 운동에너지를 전달하며, 배출 도관(Discharge)에서의 저항에 따라 운동에너지를 압력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가스 또는 공기를 압축시킨다.
원심압축기의 성능은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압축비 대비 유량곡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 원심압축기의 압축비는 임펠러의 속도가 빠를수록, 배출 도관에서의 저항이 클수록, 및 입력되는 유량이 적을수록 증가한다.
임펠러의 속도가 일정할 경우 원심압축기의 성능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저항을 높이고 유량을 낮게 해야 한다.
하지만, 저항이 너무 높고 유량이 저항을 극복하지 못할 정도로 낮아지면 저항으로 인해 배출 도관에 있던 공기나 가스가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서지(Surge)라고 한다.
원심압축기에서 서지가 발생하면 임펠러에 무리가 가해지고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서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를 서지 제한 라인(Surge Limit Line, SLL)이라고 한다. 원심압축기의 성능 상태가 서지 제한 라인(SLL)에 접근하면 서지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원심압축기에서 서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배출 도관에서의 저항을 조절하기 위해 배출 도관 부분에 밸브(4)를 설치하고 서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경우 밸브(4)를 열어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블로우 오프(Blow off)방식이 있다.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2는 배출 도관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이고, 미설명 부호 3은 압력센서(2)에서 검지한 압력치를 근거로 밸브(4)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도 2에 예시된 블로우 오프 방식은 압축기(1)에서 압축한 공기나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여 버림으로써 배출 도관에서의 저항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블로우 오프 방식은 압축기(1)에서 압축한 가스나 공기의 일부를 버리는 것이기 때문에 효율이 낮아지며 가스를 생산하는 시스템이면 생산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블로우 오프 방식의 단점을 줄이기 위해 배출 도관에서 출력되는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 아니라 압축기로 다시 입력시키는 리사이클(Recycle) 방식이 있다.
리사이클 방식은 블로우 오프 방식과 거의 동일하게 동작하나, 도 3에서와 같이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 출력되는 가스를 압축기(1)에 입력함으로써 배출 도관(출력측)에서의 저항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기(1)로 입력되는 가스의 유량(flow)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서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5는 흡입 도관에서의 유량을 센싱하는 유량 센서이고, 미설명 부호 6은 흡입 도관에서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이고, 미설명 부호 7은 배출 도관에서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이다. 미설명 부호 8은 유량 센서(5) 및 압력 센서(6, 7)로부터의 센싱값을 근거로 밸브(9)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도 3에 예시된 리사이클 방식은 출력되는 가스를 압축기(1)로 재입력함으로 외부로 방출되는 가스가 없어 블로우 오프 방식에 비해 생산량이 감소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도 3에 예시된 리사이클 방식은 한번 압축되었던 가스를 다시 압축하여야 함으로 압축기의 전체적인 효율은 떨어진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원심압축기에서 서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기의 입력과 출력 부분을 거치지 않는 바이패스(Bypass) 라인을 만들고 바이패스 라인에 왕복압축기를 설치하는 병렬 구조의 압축방식을 제시한 내용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86-0001957호에 기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원심압축기에서 서지가 발생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압축기의 흡입 도관으로 입력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심압축기에서 서지가 발생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배출 도관에서 출력되는 가스를 리사이클시킬 때 압축기로 재입력되는 가스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는, 압축기의 입력측의 유량과 압력 및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의 압력을 근거로 가스 제공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일부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가스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측으로 제공하는 가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스 제공부는,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에 설치된 가스 탱크; 상기 입력측에서 상기 가스 탱크로 입력되는 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 1 밸브; 및 상기 가스 탱크에서 상기 압축기로의 가스 흐름을 조절하는 제 2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제공부는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에서 상기 가스 탱크에게로 입력되는 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 3 밸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에 설치된 유량 센서와 제 1 압력 센서 및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에 설치된 제 2 압력 센서로부터의 센싱값들을 근거로 상기 제 1 밸브 내지 제 3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값들에 근거하여 상기 압축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 2 밸브 및 상기 제 3 밸브를 잠글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값들에 근거하여 상기 압축기에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원인이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의 유량이 낮은 것이면 상기 제 1 밸브를 잠그고 상기 제 2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값들에 근거하여 상기 압축기에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원인이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의 저항이 높은 것이면 상기 제 3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는, 압축기의 입력측의 유량과 압력 및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의 압력을 근거로 가스 제공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측의 가스의 일부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된 가스를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으로 제공하는 가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스 제공부는,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에 설치된 가스 탱크; 상기 출력측에서 상기 가스 탱크로 입력되는 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 1 밸브; 및 상기 가스 탱크에서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으로의 가스 흐름을 조절하는 제 2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제공부는 상기 가스 탱크에서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으로 입력되는 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 3 밸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에 설치된 유량 센서와 제 1 압력 센서 및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에 설치된 제 2 압력 센서로부터의 센싱값들을 근거로 상기 제 1 밸브 내지 제 3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값들에 근거하여 상기 압축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3 밸브를 잠그고 상기 제 2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값들에 근거하여 상기 압축기에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원인이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의 유량이 낮은 것이면 상기 제 3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값들에 근거하여 상기 압축기에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원인이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의 저항이 높은 것이면 상기 제 1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 2 밸브 및 상기 제 3 밸브를 잠글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방법은, 제어부가, 압축기의 입력측의 유량 센서와 제 1 압력 센서 및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의 제 2 압력 센서의 센싱값들을 근거로 상기 압축기의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축기의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원인이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의 저항이 높은 것이면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에 설치된 가스 제공부에 상기 출력측의 가스의 일부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축기의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원인이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의 유량이 낮은 것이면 상기 가스 제공부의 가스를 상기 입력측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스 제공부는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에 설치된 가스 탱크, 상기 출력측에서 상기 가스 탱크로 입력되는 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 1 밸브, 상기 가스 탱크에서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으로의 가스 흐름을 조절하는 제 2 밸브, 및 상기 가스 탱크에서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으로 입력되는 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 3 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스 제공부에 상기 출력측의 가스의 일부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 2 밸브 및 상기 제 3 밸브를 잠글 수 있다.
상기 가스 제공부의 가스를 상기 입력측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원심 압축기 입력 앞부분에 가스 탱크를 설치하여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경우 압축기로 들어가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출력 뒷부분에 가스 탱크를 설치하여 서지 발생시 리사이클되는 가스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원심압축기의 성능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종래의 블로우 오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리사이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원심압축기에서 서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흡입 도관(suction)으로 입력되는 가스의 유량(flow)을 높이거나, 배출 도관(discharge)에서 발생하는 저항을 낮추어야 한다.
기존의 리사이클 방식에서는 출력되는 가스를 압축기로 재입력함으로써 저항을 낮추고 유량을 높이는 방법을 쓰는데, 이는 압축기로 입력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4의 구성은 압축기(10)로 입력되는 가스의 유량(flow)을 조절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도 4의 구성의 특징은 압축기(10)의 입력 부분에 가스 저장공간인 가스 탱크(16)를 설치하여 서지 발생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는, 제 1 밸브(12), 제 2 밸브(14), 가스 탱크(16), 제 3 밸브(18), 유량 센서(20), 제 1 압력 센서(22), 제 2 압력 센서(24), 및 제어부(26)를 포함한다.
제 1 밸브(12)(밸브 1)와 제 2 밸브(14)(밸브 2) 및 가스 탱크(16)는 압축기(10)의 입력측(즉, 흡입 도관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밸브(12)는 가스 탱크(16)에게로 입력되는 가스의 흐름을 조절한다. 제 2 밸브(14)는 가스 탱크(16)에서 압축기(10)로의 가스 흐름을 조절한다. 이에 의해, 원심압축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에는 가스 탱크(16)에 가스를 저장하였다가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경우 가스 탱크(16)를 개방하여 압축기(10)로 입력되는 가스의 양(즉, 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서지를 방지할 수 있다. 제 1 밸브(12) 및 제 2 밸브(14)의 개폐동작은 제어부(26)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제 3 밸브(18)(밸브 3)는 압축기(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에는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제 3 밸브(18)는 압축기(10)로 입력되는 가스의 양이 적지 않고(즉, 기설정된 기준치보다 높고) 배출 도관에서의 저항이 높은 경우(즉, 기설정된 저항값보다 높은 경우)에 개방된다. 즉, 제 3 밸브(18)는 배출 도관에서의 가스를 압축기(10)로 재입력시키는 리사이클 동작을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제 3 밸브(18)의 개폐동작은 제어부(26)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유량 센서(20)는 압축기(10)로 입력되는 가스의 양(즉, 유량)을 센싱한다.
제 1 압력 센서(22)는 흡입 도관(즉, 압축기(10)의 입력측)에서의 압력을 센싱한다.
제 2 압력 센서(24)는 배출 도관(즉, 압축기(10)의 출력측)에서의 압력을 센싱한다.
제어부(26)는 유량 센서(20) 및 압력 센서(22, 24)로부터의 센싱값을 근거로 밸브(12, 14, 18)의 개폐를 제어한다.
도 4에 도시된 VSDS는 가변속 드라이브 시스템을 의미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4에서 제 1 밸브(12)와 제 2 밸브(14) 및 가스 탱크(16)를 가스 제공부로 통칭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제공부는 압축기(10)의 입력측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일부를 저장하고 저장된 가스를 제어부(26)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압축기(10)의 입력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결국, 제 1 밸브(12)와 제 2 밸브(14) 및 가스 탱크(16)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가스 제공부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제 3 밸브(18)를 가스 제공부에 추가시켜도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압축기(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에 가스 탱크(16)로 가스가 입력되도록 제 1 밸브(12)를 개방하고, 가스 탱크(16)에서 압축기(10)로 연결되는 제 2 밸브(14)는 잠근다. 그리고, 압축기(10)의 출력(즉, 배출 도관)에서 리사이클을 조절하기 위한 제 3 밸브(18)를 잠근다(S10). 상술한 S10에서, 밸브(12, 14, 18)의 개폐동작은 제어부(26)에 의해 수행된다.
이후, 압축기(10)에 서지(surge)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압축기(10)의 상태를 측정한다(S12). 즉, 유량 센서(20)는 압축기(10)로 입력되는 유량을 센싱하고, 제 1 압력 센서(22)는 압축기(10)의 입력측의 압력을 센싱하고, 제 2 압력 센서(24)는 압축기(10)의 출력측의 압력을 센싱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26)는 유량 센서(20)로부터의 센싱값(즉, 압축기(10)로 입력되는 유량을 센싱한 값), 제 1 압력 센서(22)로부터의 센싱값(즉, 압축기(10)의 입력(즉, 흡입 도관)측의 압력), 및 제 2 압력 센서(24)로부터의 센싱값(즉, 압축기(10)의 출력(즉, 배출 도관)측의 압력)을 근거로 압축률을 계산한다. 여기서, 압축률 계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 하지 않았지만,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상술한 설명 및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파악할 수 있으리라 본다.
이어, 제어부(26)는 계산된 압축률을 서지 제한 라인(SLL; 도 1 참조)과 비교한다(S14). 여기서, 계산된 압축률은 압축기(10)의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6)는 비교 대상이 될 수 있는 서지 제한 라인을 갖는 그래프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비교 결과, 압축기 상태가 서지 제한 라인(SLL)과 근접하여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S16에서 Yes), 제어부(26)는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원인이 출력측의 저항이 높아 압축률이 높아져서인지 아니면 유량(Flow)이 낮아서 인지를 판별한다(S18). 여기서, 저항이 높은 것인지 또는 유량이 낮은 것인지는 압력 센서(22, 24)의 센싱값 또는 유량 센서(20)의 센싱값을 근거로 충분히 알 수 있다. 제 2 압력 센서(24)의 센싱값이 제 1 압력 센서(22)의 센싱값에 비해 기설정된 차이값 이상으로 크면 저항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유량의 경우 유량 센서(20)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유량이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18에서의 판별 결과, 유량이 낮지 않고 저항이 높은 경우에는 제어부(26)는 제 3 밸브(18)를 개방한다(S20). 이때, 제 1 밸브(12)는 개방 상태이고 제 2 밸브(14)는 잠금 상태이다. 그에 따라, 압축기(10)의 출력부분의 저항이 낮아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 3 밸브(18)가 개방됨에 따라 압축기(10)의 배출 도관에서의 가스가 제 3 밸브(18)를 통해 가스 탱크(16)로 입력되므로, 압축기(10)의 출력부분의 저항이 낮아지게 된다.
반대로, 유량이 낮은 경우에는 제어부(26)는 제 1 밸브(12)를 잠그고 제 2 밸브(14)를 개방한다(S22). 이때, 제 3 밸브(18)는 잠금 상태이다. 그에 따라, 가스 탱크(16)로 입력되는 가스는 차단되고 가스 탱크(16)에서 압축기(10)로 가스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10)로 입력되는 전체 가스량을 증가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원심압축기에서 서지가 발생하는 두 번째 원인인 배출 도관(Discharge)에서의 저항을 낮추기 위한 방안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사이클 방식은 블로우 오프 방식에 비해 낭비되는 가스를 줄일 수 있지만, 압축기의 생산효율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줄이기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배출 도관(Discharge)에서 흡입 도관(Suction)으로 연결되는 리사이클 구성에 가스 탱크(34)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도 6에 도시된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는, 제 1 밸브(30), 제 2 밸브(32), 가스 탱크(34), 제 3 밸브(36), 유량 센서(38), 제 1 압력 센서(40), 제 2 압력 센서(42), 및 제어부(44)를 포함한다.
제 1 밸브(30)(밸브 1)와 제 2 밸브(32)(밸브 2) 및 가스 탱크(34)는 압축기(10)의 출력측(즉, 배출 도관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밸브(30)는 가스 탱크(34)에게로 입력되는 가스의 흐름을 조절한다. 제 2 밸브(32)(밸브 2)는 가스 탱크(16)에서 배출 도관측으로의 가스 흐름을 조절한다. 이에 의해,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경우 압축기(10)의 출력에서 입력으로 바로 가스가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있는 가스 탱크(34)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출력(배출 도관측)에서의 가스가 가스 탱크(34)로 이동하여 출력측의 저항이 낮아지면 서지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서지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면 가스 탱크(34)에 저장된 가스를 입력부분(흡입 도관측)으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기존 출력 파이프(즉, 배출 도관)로 가스를 보내 리사이클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서지 발생가능성을 낮추면서 리사이클로 인해 압축기 생산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제 1 밸브(30) 및 제 2 밸브(32)의 개폐동작은 제어부(44)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제 3 밸브(36)(밸브 3)는 압축기(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에는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제 3 밸브(36)는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원인이 압축기(10)에게로 입력되는 가스의 양(즉, 유량)이 낮은 것인 경우에 개방된다. 제 3 밸브(36)가 개방됨에 따라 가스 탱크(34)의 가스가 압축기(10)에게로 입력될 수 있다. 제 3 밸브(36)의 개폐동작은 제어부(44)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유량 센서(38)는 압축기(10)로 입력되는 가스의 양(즉, 유량)을 센싱한다.
제 1 압력 센서(40)는 흡입 도관(즉, 압축기(10)의 입력측)에서의 압력을 센싱한다.
제 2 압력 센서(42)는 배출 도관(즉, 압축기(10)의 출력측)에서의 압력을 센싱한다.
제어부(44)는 유량 센서(38) 및 압력 센서(40, 42)로부터의 센싱값을 근거로 밸브(30, 32, 36)의 개폐를 제어한다.
도 6에 도시된 VSDS는 가변속 드라이브 시스템을 의미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6에서 제 1 밸브(30)와 제 2 밸브(32) 및 가스 탱크(34)를 가스 제공부로 통칭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제공부는 제어부(44)의 제어신호에 따라 압축기(10)의 출력측의 가스의 일부를 저장하고, 저장된 가스를 압축기(10)의 입력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결국, 제 1 밸브(30)와 제 2 밸브(32) 및 가스 탱크(34)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8에 기재된 가스 제공부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제 3 밸브(36)를 가스 제공부에 추가시켜도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압축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에 가스 탱크(34)로 가스가 입력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 1 밸브(30)를 잠그고 가스 탱크(34)에서 출력측(배출 도관측)으로 연결되는 제 2 밸브(32)는 개방한다. 이때, 압축기 출력에서 리사이클을 조절하기 위한 제 3 밸브(36)도 잠근다(S30). 상술한 S30에서, 밸브(30, 32, 36)의 개폐동작은 제어부(44)에 의해 수행된다.
이후, 압축기(10)에 서지(surge)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제어부(44)는 압축기(10)의 상태를 측정한다(S32). 즉, 유량 센서(38)는 압축기(10)로 입력되는 유량을 센싱하고, 제 1 압력 센서(40)는 압축기(10)의 입력측의 압력을 센싱하고, 제 2 압력 센서(42)는 압축기(10)의 출력측의 압력을 센싱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44)는 유량 센서(38)로부터의 센싱값(즉, 압축기(10)로 입력되는 유량을 센싱한 값), 제 1 압력 센서(40)로부터의 센싱값(즉, 압축기(10)의 입력(즉, 흡입 도관)측의 압력), 및 제 2 압력 센서(42)로부터의 센싱값(즉, 압축기(10)의 출력(즉, 배출 도관)측의 압력)을 근거로 압축률을 계산한다. 여기서, 압축률 계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 하지 않았지만,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상술한 설명 및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파악할 수 있으리라 본다.
이어, 제어부(44)는 계산된 압축률을 서지 제한 라인(SLL; 도 1 참조)과 비교한다(S34). 여기서, 계산된 압축률은 압축기(10)의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4)는 비교 대상이 될 수 있는 서지 제한 라인을 갖는 그래프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비교 결과, 압축기 상태가 서지 제한 라인(SLL)과 근접하여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S36에서 Yes), 제어부(44)는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원인이 출력측의 저항이 높아 압축률이 높아져서인지 아니면 유량(Flow)이 낮아서 인지를 판별한다(S38). 여기서, 저항이 높은 것인지 또는 유량이 낮은 것인지는 압력 센서(40, 42)의 센싱값 또는 유량 센서(38)의 센싱값을 근거로 충분히 알 수 있다. 제 2 압력 센서(42)의 센싱값이 제 1 압력 센서(40)의 센싱값에 비해 기설정된 차이값 이상으로 크면 저항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유량의 경우 유량 센서(38)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유량이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38에서의 판별 결과, 유량이 낮은 경우에는 제어부(44)는 제 3 밸브(36)를 개방한다(S40). 그에 따라, 가스 탱크(34)에 있던 가스가 압축기(10)의 입력측으로 흐르게 되어 압축기(10)로 입력되는 전체 가스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반대로, 유량이 낮지 않고 저항이 높은 경우(즉, 배출 도관측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제어부(44)는 제 1 밸브(30)를 개방하고 제 2 밸브(32)를 잠근다(S42). 이때, 제 3 밸브(36)는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그에 따라, 배출 도관측의 가스가 가스 탱크(34)에게로 유입되어 압축기 출력부분에서의 저항이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압축기(10)의 상태가 정상적으로 돌아오면 제 1 밸브(30)와 제 3 밸브(36)를 잠그고 제 2 밸브(32)를 개방하여 가스 탱크(34)에 차 있는 압축된 가스가 기존 배관(즉, 출력측)으로 흐르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 설명에서는 압축기(10)의 입력 부분에 가스 저장공간인 가스 탱크(16)를 설치하여 서지 발생을 줄이도록 하거나, 배출 도관(Discharge)에서 흡입 도관(Suction)으로 연결되는 리사이클 구성에 가스 탱크(34)를 구성시켰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 4와 같이 압축기(10)의 입력 부분에 밸브(12, 14) 및 가스 탱크(16)를 설치한 구성 및 도 6과 같이 압축기(10)의 출력 부분에 밸브(30, 32) 및 가스 탱크(34)를 설치한 구성을 함께 구현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압축기 12, 30 : 제 1 밸브
14, 32 : 제 2 밸브 16, 34 : 가스 탱크
18, 36 : 제 3 밸브 20, 38 : 유량 센서
22, 40 : 제 1 압력 센서 24, 42 : 제 2 압력 센서
26, 44 : 제어부

Claims (17)

  1. 압축기의 입력측의 유량과 압력 및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의 압력을 근거로 가스 제공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일부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가스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측으로 제공하는 가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제공부는,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에 설치된 가스 탱크;
    상기 입력측에서 상기 가스 탱크로 입력되는 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 1 밸브; 및
    상기 가스 탱크에서 상기 압축기로의 가스 흐름을 조절하는 제 2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제공부는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에서 상기 가스 탱크에게로 입력되는 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 3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에 설치된 유량 센서와 제 1 압력 센서 및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에 설치된 제 2 압력 센서로부터의 센싱값들을 근거로 상기 제 1 밸브 내지 제 3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값들에 근거하여 상기 압축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 2 밸브 및 상기 제 3 밸브를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값들에 근거하여 상기 압축기에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원인이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의 유량이 낮은 것이면 상기 제 1 밸브를 잠그고 상기 제 2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값들에 근거하여 상기 압축기에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원인이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의 저항이 높은 것이면 상기 제 3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8. 압축기의 입력측의 유량과 압력 및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의 압력을 근거로 가스 제공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측의 가스의 일부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된 가스를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으로 제공하는 가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제공부는,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에 설치된 가스 탱크;
    상기 출력측에서 상기 가스 탱크로 입력되는 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 1 밸브; 및
    상기 가스 탱크에서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으로의 가스 흐름을 조절하는 제 2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제공부는 상기 가스 탱크에서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으로 입력되는 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 3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에 설치된 유량 센서와 제 1 압력 센서 및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에 설치된 제 2 압력 센서로부터의 센싱값들을 근거로 상기 제 1 밸브 내지 제 3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값들에 근거하여 상기 압축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3 밸브를 잠그고 상기 제 2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값들에 근거하여 상기 압축기에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원인이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의 유량이 낮은 것이면 상기 제 3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값들에 근거하여 상기 압축기에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원인이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의 저항이 높은 것이면 상기 제 1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 2 밸브 및 상기 제 3 밸브를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15. 제어부가, 압축기의 입력측의 유량 센서와 제 1 압력 센서 및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의 제 2 압력 센서의 센싱값들을 근거로 상기 압축기의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축기의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원인이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의 저항이 높은 것이면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에 설치된 가스 제공부에 상기 출력측의 가스의 일부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축기의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서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원인이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의 유량이 낮은 것이면 상기 가스 제공부의 가스를 상기 입력측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제공부는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에 설치된 가스 탱크, 상기 출력측에서 상기 가스 탱크로 입력되는 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 1 밸브, 상기 가스 탱크에서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으로의 가스 흐름을 조절하는 제 2 밸브, 및 상기 가스 탱크에서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으로 입력되는 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 3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제공부에 상기 출력측의 가스의 일부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 2 밸브 및 상기 제 3 밸브를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제공부는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에 설치된 가스 탱크, 상기 출력측에서 상기 가스 탱크로 입력되는 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 1 밸브, 상기 가스 탱크에서 상기 압축기의 출력측으로의 가스 흐름을 조절하는 제 2 밸브, 및 상기 가스 탱크에서 상기 압축기의 입력측으로 입력되는 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 3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제공부의 가스를 상기 입력측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방법.
KR1020140108130A 2014-08-20 2014-08-20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16002251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130A KR20160022510A (ko) 2014-08-20 2014-08-20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및 방법
US14/796,414 US10082148B2 (en) 2014-08-20 2015-07-10 Surge preven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entrifugal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130A KR20160022510A (ko) 2014-08-20 2014-08-20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510A true KR20160022510A (ko) 2016-03-02

Family

ID=5534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130A KR20160022510A (ko) 2014-08-20 2014-08-20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82148B2 (ko)
KR (1) KR201600225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3476B2 (en) * 2019-03-26 2024-02-27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Compressor system
CN110469533B (zh) * 2019-08-23 2021-07-06 西安陕鼓动力股份有限公司 电驱离心天然气管线压缩机全自动加载控制方法
CN114857073B (zh) * 2022-05-24 2023-09-05 浙江浙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微小型蒸汽余压驱动的离心空气压缩机防喘振方法
CN116146536B (zh) * 2023-04-24 2023-06-27 鸿陆智能科技(山东)有限公司 一种流量调节装置及离心式压缩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597B2 (ja) * 1975-07-18 1983-02-26 旭化成株式会社 アツシユクキテイシジノ サ−ジングボウシホウホウ
US4156578A (en) * 1977-08-02 1979-05-29 Agar Instrumentation Incorporated Control of centrifugal compressors
US4552889A (en) 1983-06-09 1985-11-12 Eli Lilly And Company 3-Mercaptomethyl-2-oxo-1-pyrrolidine acetic acids and use for hypertension
US4627788A (en) 1984-08-20 1986-12-09 The Babcock & Wilcox Company Adaptive gain compressor surge control system
KR200306589Y1 (ko) 2002-12-14 2003-03-12 송죽 테크놀로지(주) 탱크 압력을 이용한 정압 공기 베어링형식의 원심 터보압축기
US20110132543A1 (en) 2009-12-09 2011-06-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rush type plasm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KR101209275B1 (ko) 2011-04-25 2012-1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지 보호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53766A1 (en) 2016-02-25
US10082148B2 (en) 201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2510A (ko) 원심압축기의 서지 방지 장치 및 방법
US201702543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rge prevention for centrifugal compressor
WO2014087712A1 (ja) 圧縮機制御装置、圧縮機システムおよび圧縮機制御方法
US10254025B2 (en) Refrig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0779146B (zh) 空调器及其电子膨胀阀控制方法、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JP4069675B2 (ja) ターボ圧縮機およびその容量制御方法
KR102132057B1 (ko) 병렬식 가스 압축기 시스템의 안티서지밸브 제어 방법
KR101581232B1 (ko) 컴프레셔용 안티 서지 시스템
US11906219B2 (en) Flash tank-based control of refrigerant injection into a compressor
CN104896683B (zh) 降压装置、空调系统、空调控制方法及装置
CN110440492A (zh) 空调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KR20170051755A (ko) 가스 압축기 시스템
KR102251736B1 (ko) 다단 압축기 및 이를 이용한 서지 제어방법
US11768014B2 (en) Surge protection for a multistage compressor
JP2006316759A (ja) 圧縮装置
WO2018179190A1 (ja) 給液式気体圧縮機
JP5891115B2 (ja) 圧縮装置の制御方法、及び圧縮装置
KR20140008680A (ko)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4487339B2 (ja) 気体圧送装置の容量制御方法及び装置
WO2021051699A1 (zh) 一种零负荷输出不停机的控制方法、装置及机组
KR100696713B1 (ko) 에어컨의 압축기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2474752B1 (ko) 입구 가이드 베인 제어 장치, 압축기 제어 시스템 및 압축기 제어 방법
JP6700892B2 (ja) 低温液化ガス貯蔵設備
JP4496886B2 (ja) ターボ圧縮機システムの運転方法
CN215370159U (zh) 制冷离心压缩机防喘振系统及制冷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