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343A - 포말 디스펜서 및 포말 디스펜서 부착 용기 - Google Patents

포말 디스펜서 및 포말 디스펜서 부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343A
KR20160022343A KR1020167000937A KR20167000937A KR20160022343A KR 20160022343 A KR20160022343 A KR 20160022343A KR 1020167000937 A KR1020167000937 A KR 1020167000937A KR 20167000937 A KR20167000937 A KR 20167000937A KR 20160022343 A KR20160022343 A KR 20160022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ssage
passage area
mixture
diameter piston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4716B1 (ko
Inventor
히로시 미즈시마
츠요시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48954A external-priority patent/JP61386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48956A external-priority patent/JP613861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6002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7Combination of liquid and ai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05B11/00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64Lift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75Two outlet valves being placed in a delivery conduit, one downstream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1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which is a gate valve
    • B05B11/1022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which is a gate valve actuated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7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with means for sucking bac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the nozzle after a dispensing stroke
    • B05B11/3022
    • B05B11/3047
    • B05B11/3059
    • B05B11/308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05B7/0025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 B05B7/003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 B05B7/0037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including sieves, porous memb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7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effervescing the liquids, e.g. for forming bubbles or beer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포말 디스펜서(1)는, 제트 링(14)의 혼합물 유로(RM) 중에 배치되어 혼합물이 통과 가능한 메시 필터(15a)를 구비하며, 액체 유로(RL)와 혼합물 유로(RM)의 접속 유로 면적(S1)과, 외기 유로(Rair)와 혼합물 유로(RM)의 접속 유로 면적(S2)이, 2.8 ≤S1 / S2 ≤ 3.8의 관계에 있는 것, 또는, 혼합물 유로(RM)가, 그 최소 유로 면적(S3)이 메시 필터(15a) 보다도 상류측의 직전의 위치에서, 최소 유로 면적(S3)과 메시 필터(15a)의 유로 면적(S4)이, 4 ≤ S4 / S3 ≤ 10.3의 관계에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포말 디스펜서 및 포말 디스펜서 부착 용기{FOAMER DISPENSER, AND CONTAINER WITH FOAMER DISPENSER}
본 발명은, 포말 디스펜서 및 포말 디스펜서가 부착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헤드의 압입과 그 해제의 반복에 의해서, 용기 본체로부터 압송된 액체를 발포 네트(메시 필터)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서, 포말 상태로 분출시키는 포말 디스펜서를 장비한 용기는 이미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8-230961호
이와 같은 종래의 포말 디스펜서에 있어서도 발포되는 액체의 성분 등에 따라서는 포말의 품질에 편차가 발생하였다. 예컨대,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포말(F) 내에서도 작은 기포(B1)와 큰 기포(B2)가 혼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포말의 품질의 경우, 모양이나 촉감 등의 관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말의 품질이 양호한 내용물을 분출 가능하고, 포말 디스펜서 및 포말 디스펜서가 부착된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포말 디스펜서는, 용기 본체에 장착되는 펌프 커버와, 상기 펌프 커버에 고정되는 대경부와 소경부를 갖는 펌프 실린더와, 상기 펌프 실린더의 상기 소경부에 수용되어 용기 본체의 액체를 흡인 및 압송하는 소경 피스톤과, 상기 펌프 실린더의 상기 대경부에 수용되어 외기를 흡인 및 압송하는 대경 피스톤과, 사용자의 압입과 그 해제의 반복에 의해서 상기 소경 피스톤과 상기 대경 피스톤의 펌프 동작을 야기시키는 동시에 상기 액체와 상기 외기의 혼합물을 분출하는 헤드와, 상기 소경 피스톤으로부터 압송된 상기 액체의 액체 유로와, 상기 대경 피스톤으로부터 압송된 상기 외기의 외기 유로와, 상기 액체 유로로부터 압송된 상기 액체와 상기 외기 유로로부터 압송된 상기 외기의 상기 혼합물의 혼합물 유로와, 상기 혼합물 유로 중에 배치된 상기 혼합물이 통과 가능한 메시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액체 유로와 상기 혼합물 유로의 접속 유로 면적(S1)과, 상기 외기 유로와 상기 혼합물 유로의 접속 유로 면적(S2)이,
2.8 ≤ S 1 / S 2 ≤ 3.8
(2.8 : 1 ≤ S1 : S2 ≤ 3.8 : 1)
(S1 : S2 = (2.8 ~ 3.8) : 1)
의 관계에 있는 것이다.
상기 접속 유로 면적(S1)과, 상기 접속 유로 면적(S2)은,
S1 / S2 = 3.8
(S1 : S2 = 3.8 : 1)
의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혼합물 유로는, 그 최소 유로 면적(S3)이 상기 메시 필터보다도 상류측 직전의 위치에서, 상기 최소 유로 면적(S3)이 상기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S3)과는,
4 ≤ S4 / S3 ≤ 10.3
(1 : 4 ≤ S3 : S4 ≤ 1 : 10.3)
(S3 : S4 = 1 : (4 ~ 10.3))
의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말 디스펜서는, 용기 본체에 장착되는 펌프 커버와, 상기 펌프 커버에 고정되는 대경부와 소경부를 갖는 펌프 실린더와, 상기 펌프 실린더의 상기 소경부에 수용되어 용기 본체의 액체를 흡인 및 압송하는 소경 피스톤과, 상기 펌프 실린더의 상기 대경부에 수용되어 외기를 흡인 및 압송하는 대경 피스톤과, 사용자의 압입과 그 해제의 반복에 의해서 상기 소경 피스톤과 상기 대경 피스톤의 펌프 동작을 야기시키는 동시에 상기 액체와 상기 외기의 혼합물을 분출하는 헤드와, 상기 소경 피스톤으로부터 압송된 상기 액체의 액체 유로와, 상기 대경 피스톤으로부터 압송된 상기 외기의 외기 유로와, 상기 액체 유로로부터 압송된 상기 액체와 상기 외기 유로로부터 압송된 상기 외기의 상기 혼합물의 혼합물 유로와, 상기 혼합물 유로 중에 배치된 상기 혼합물이 통과 가능한 메시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혼합물 유로는, 그 최소 유로 면적(S3)이 상기 메시 필터보다도 상류측 직전의 위치에서, 상기 최소 유로 면적(S3)과 상기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S4)이,
4 ≤ S4 / S3 ≤ 10.3
(1 : 4 ≤ S3 : S4 ≤ 1 : 10.3)
(S3 : S4 = 1 : (4 ~ 10.3))
의 관계에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유로 면적(S3)과 상기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S4)은,
4 ≤ S4 / S3 ≤ 10.1
(1 : 4 ≤ S3 : S4 ≤ 1 : 10.1)
(S3 : S4 = 1 : (4 ~ 10.1))
의 관계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유로 면적(S3)과 상기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S4)은,
4 ≤ S4 / S3 ≤ 6.2
(1 : 4 ≤ S3 : S4 ≤ 1 : 6.2)
(S3 : S4 = 1 : (4 ~ 6.2))
의 관계에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유로 면적(S3)과 상기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S4)은,
S4 / S3 = 4
(S3 : S4 = 1 : 4)
의 관계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혼합물 유로에, 상기 메시 필터를 2 개소의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최소 유로 면적과 상기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 간의 간격(L1)과, 상기 메시 필터 상호간의 간격(L2)이,
L2 / L1 = 3.9
(L1 : L2 = 1 : 3.9)
의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말 디스펜서는, 상기 소경 피스톤으로부터 압송된 상기 액체의 상기 액체 유로를 내측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대경 피스톤을 상대 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피스톤 가이드와, 상기 피스톤 가이드의 상단측을 수용하는 하단측 오목부와, 상기 메시 필터를 수용하는 상단측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하단측 오목부와 상기 상단측 오목부를 분할하는 격벽에 관통로가 형성된 제트 링을 구비하며, 상기 제트 링의 상단측을 상기 헤드에 접속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포말 디스펜서 부착 용기는, 상기한 것 중의 하나에 기재한 상기 포말 디스펜서와, 상기 포말 디스펜서가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된 포말의 포말 품질은 결이 균등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으로 만질 때의 외관이나 촉감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포말 디스펜서 부착 용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피스톤 가이드의 상단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메시 링을 부착한 제트 링을 단면으로 나타낸 부품도이다.
도 5a는, 종래의 포말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용기 본체의 내용물을 분출시킬 때의 포말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b는 도 1의 포말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용기 본체 내의 내용물을 분출시킬 때의 포말의 품질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말 디스펜서 부착 용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말 디스펜서 부착 용기, 및 그 요부를 나타낸다. 도 1 중, 도면 부호 20은, 입구부(21)를 갖는 합성 수지제의 용기 본체이다. 용기 본체(20)는, 액상의 내용물이 입구부(21)를 통하여 내부 공간(So)에 충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본체(20)는, 종래보다도 용량이 큰 타입의 용기이다.
도면 부호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포말 디스펜서이다. 포말 디스펜서(1)는, 3 cc의 내용물을 포말 상태로 분출시킬 수 있다.
도면 부호 2는, 합성 수지제의 펌프 커버이다. 펌프 커버(2)는, 용기 본체(20)의 입구부(21)에 장착되는 장착부(2a)와, 이 장착부(2a)와 어깨부(2b)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된 네크부(2c)를 가지고 있다. 네크부(2c)의 내측에는 관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펌프 커버(2)는, 예컨대,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부(2a)의 내주면에 나사부를 설치하고, 이 나사부를 용기 본체(20)의 입구부(21)의 외주면에 형성한 나사부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용기 본체(20)에 대해서 떼어낼 수 있도록 장착할 수 있다.
도면 부호 3은, 합성 수지제의 펌프 실린더이다. 펌프 실린더(3)는, 펌프 커버(2)에 고정된 대경부(3a)와, 이 대경부(3a) 보다도 직경이 작은 소경부(3b)를 가지고 있다. 소경부(3b)의 하단부에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흡입구에 튜브(4)가 접속되어 있다. 펌프 실린더(3)는, 펌프 커버(2)를 용기 본체(20)의 입구부(21)에 장착할 때,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의 입구부(21)를 통해서 내부 공간(So)에 배치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펌프 실린더(3)의 대경부(3a)의 상단이 외향의 고리 형상 플랜지(3c)로서 형성되어 있다. 고리 형상 플랜지(3c)와 용기 본체(20)의 입구부(21) 상단 사이에는, O 링(5)을 배치하였다. O 링은, 용기 본체(20)와 펌프 실린더(3) 사이를 실링(밀봉)한다.
도면 부호 6은, 합성 수지제의 소경 피스톤이다. 소경 피스톤(6)은, 펌프 실린더(3)의 소경부(3b)에 수용되어 용기 본체(20)의 내용물을 흡인 및 압송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경 피스톤(6)은, 펌프 실린더(3)의 소경부(3b)의 내주면을 슬라이드 가능한 고리 형상 밀봉부(6a)와, 이 고리 형상 밀봉부(6a)로부터 펌프 실린더(3)의 대경부(3a)로 향해서 연장되는 통형상 몸체부(6c)를 가지고 있다. 통형상 몸체부(6c)의 내측에는, 소경 피스톤(6)의 상단부(6b)로부터 개구하는 관통로(Ro)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경 피스톤(6)의 상단부(6b)는, 통형상 몸체부(6c)와 고리 형상 단차(6d)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로(Ro)도, 고리 형상 단차(6d)에 의해서 단차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상단부(6b)에 형성된 상단 개구의 내경은, 고리 형상 밀봉부(6a)의 내측에 형성된 하단 개구보다도 작아지게 된다.
도면 부호 7은, 합성 수지제의 플런저이다. 플런저(7)는, 펌프 실린더(3)의 내측에서, 이 펌프 실린더(3)의 소경부(3b)로부터 대경부(3a)로 향해서 기립하는 동시에 소경 피스톤(6)을 관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7)의 하단부(7a)에는, 복수의 핀(7d)이 축선(O) 주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펌프 실린더(3)의 소경부(3b)에도, 복수의 핀(3d)이 축선(O) 주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7)는, 그 핀(7d)이 펌프 실린더(3)의 핀(3d)과 서로 엇갈리도록, 펌프 실린더(3)의 소경부(3b)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플런저(7)의 상단부(7b)는, 상방으로 향해서 확경하는 원추부(7c)를 가지고 있다. 플런저(7)의 원추부(7c)는, 소경 피스톤(6)의 상단부(6b)에 형성된 개구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경 피스톤(6)의 상단부(6b)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리 형상 단차(6d)를 통하여 소경화되어 있다. 플런저(7)의 원추부(7c)는, 소경 피스톤(6)의 상단부(6b)에 형성한 개구를 억지로 뽑아 내어 당해 상단부(6b)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플런저(7)의 원추부(7c)가 소경 피스톤(6)의 상단부(6b)에 접촉하기 때문에, 이 상단부(6b)에 형성된 상단 개구를 개방 가능하게 밀봉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펌프 실린더(3)의 소경부(3b) 내에는, 소경 피스톤(6)에 의해서 가압된 내용물이 플런저(7)의 개방에 의해서 송출되는 펌프실(SL)이 형성된다.
도면 부호 8은,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탄성 부재이다. 탄성 부재(8)는, 플런저(7)와 소경 피스톤(6)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탄성 부재(8)는, 소경 피스톤(6)의 상단 개구를 플런저(7)의 원추부(7c)의 외주면에 압축시키는 것에 의해서, 소경 피스톤(6)의 관통로(Ro)를 개방 가능하게 견고하게 밀봉할 수 있다. 즉, 플런저(7)는, 탄성 부재(8)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소경 피스톤(6)을 압입할 때에만, 소경 피스톤(6)의 관통로(Ro)를 개방하는 흡입 밸브(체크 밸브)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부재(8)는, 금속제 또는 합성 수지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9는, 합성 수지제의 대경 피스톤이다. 대경 피스톤(9)은, 소경 피스톤(6) 보다도 직경이 크고, 펌프 실린더(3)의 대경부(3a)에 수용되어 외기를 흡인 및 압송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경 피스톤(9)은, 펌프 실린더(3)의 대경부(3a)의 내주면을 슬라이드 가능한 고리 형상 밀봉부(9a)와, 이 고리 형상 밀봉부(9a)로부터 고리 형상 벽(9c)을 통하여 세워져서 형성되는 통형상 몸체부(9b)를 가지고 있다. 통형상 몸체부(9b)의 내측에는, 관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경 피스톤(9)의 고리 형상 벽(9c)에는, 축선(O) 주위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외기 도입공(9n)이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공(9n)은, 펌프 실린더(3)의 대경부(3a)에 형성된 외기 도입공(3n)을 통하여 도입된 외기를 대경 피스톤(9)과 펌프 실린더(3)의 대경부(3a) 사이에 형성된 에어 펌프실(Sair)로 도입한다.
도면 부호 10은, 대경 피스톤(9)에 형성된 외기 도입공(9n)을 개폐하는 체크 밸브이다. 체크 밸브(10)는, 대경 피스톤(9)을 압입하여 에어 펌프실(Sair)을 압축시킬 때, 대경 피스톤(9)의 외기 도입공(9n)을 폐쇄하여 에어 펌프실(Sair)로부터의 외기의 유출을 저지하는 한편, 대경 피스톤(9)의 압입을 해제하여 에어 펌프실(Sair)을 확대시킬 때, 에어 펌프실(Sair) 내의 음압에 의해서, 대경 피스톤(9)의 외기 도입공(9n)을 개방하여 펌프 실린더(3)의 외기 도입공(3n)으로부터의 외기 도입을 허용한다. 체크 밸브(10)로서는, 예컨대, 합성 수지제의 탄성 밸브를 들 수 있다.
도면 부호 11은, 합성 수지제의 피스톤 가이드이다. 피스톤 가이드(11)는, 소경 피스톤(6)으로부터 압송된 내용물의 액체 유로(RL)를 내측에 형성하는 동시에 대경 피스톤(9)을 상대 운동 가능하게 관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경 피스톤(6)의 통형상 몸체부(6c)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통(11a)과, 이 고정통(11a)으로부터 펌프 커버(2)의 네크부(2c)로 향해서 기립하는 통형상 몸체부(11c)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스톤 가이드(11)의 통형상 몸체부(11c)는, 고정통(11a)에 고리 형상 단부(11d)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소경 피스톤(6)은, 그 고리 형상 단부(6d)를 피스톤 가이드(11)의 고리 형상 단부(11d)에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서 위치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 가이드(11)의 내측에는, 피스톤 가이드(11)의 상단(11b) 보다도 하방의 위치에 격벽(11w)이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 가이드의 격벽(11w)에는, 통형상부(11h)가 설치되어 있다. 통형상부(11h)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으로부터 동일 직경으로 연장되는 동경 내주면(11f1)과, 이 동경 내주면(11f1)에 연결되어 상단으로 향해서 확경하는 확경 내주면(11f2)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 몸체부(11c)의 내주면에는, 격벽(11w)으로부터 하단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11r)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11r)는, 축선(O) 주위에 간격을 두고 6 개소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단, 돌출부(11r)는, 적어도 1 개소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 부호 12는, 금속제 또는 합성 수지제의 볼 부재이다. 볼 부재(12)는, 피스톤 가이드(11)에 설치된 통형상부(11h)의 확경 내주면(11f2)에 올려져서 통형상부(11h)의 내측을 개방 가능하게 밀봉한다.
도면 부호 13은, 볼 부재(12)의 뽑힘을 방지하는 합성 수지제의 뽑힘 방지 부재이다. 뽑힘 방지 부재(13)는, 피스톤 가이드(11)의 상단(11b)측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볼 부재(12)의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뽑힘 방지 부재(13)는, 피스톤 가이드(11)의 상단(11b)의 내측에 피스톤 가이드(11)와 함께, 이 피스톤 가이드(11)에 형성된 액체 유로(RL)를 개방하는 개방구(A1)를 형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뽑힘 방지 부재(13)는, 피스톤 가이드(11)의 상단(11b)측의 내주면과 통형상부(11h) 사이에 고정되는 외주벽(13a)과, 볼 부재(12)의 상방에 배치되는 천벽(13b)과, 이 천벽(13b)과 외주벽(13a)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편(13c)을 가지고 있다. 연결편(13c)은, 축선(O) 주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호간에 복수의 개구(A0)를 형성한다. 개구(A0)는, 예컨대, 3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천벽(13b)의 외측 에지로부터 통 형상부(13d)가 상방으로 향해서 일체로 기립하고 있다. 이에 의해서, 피스톤 가이드(11)의 상단(11b)의 내측에는, 통 형상부(13d)와의 사이에, 축선(O) 주위를 둘러싸는 고리 형상의 개방구(A1)가 형성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유로(RL)의 개방구(A1)는, 피스톤 가이드(11)의 상단(11b)과 뽑힘 방지 부재(13)의 통 형상부(13d)에 의해서 구획된 고리 형상의 유로 면적(S1)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스톤 가이드(11)의 내측에 형성된 액체 유로(RL)는, 피스톤 가이드(11)의 상단(11b)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개방구(A1)가 볼 부재(12)에 의해서 개폐되는 것이다. 즉, 볼 부재(12)는, 플런저(7)가 개방되어 피스톤 가이드(11)의 액체 유로(RL)에 내용물이 압송될 때에만, 피스톤 가이드(11)의 상단(11b)에 형성한 고리 형상의 개방구(A1)를 개방하는 배출 밸브(체크 밸브)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7)와 볼 부재(12) 사이의 액체 유로(RL)는, 소경 피스톤(6)으로부터 압송된 내용물을 일정한 압력까지 더 높여서 압송하는 축압실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피스톤 가이드(11)의 통형상부(11c)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경 피스톤(9)의 통형상 몸체부(9b)의 내측을 관통한다. 피스톤 가이드(11)의 통형상 몸체부(11c)와 대경 피스톤(9)의 통형상 몸체부(9b)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서로 축선(O) 방향으로 상대 운동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 가이드(11)의 통형상 몸체부(11c)에는, 축선(O) 주위를 둘러싸는 고리 형상 돌기부(11e)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리 형상 돌기부(11e)의 상단측에는, 축선(O) 주위를 둘러싸는 고리 형상 홈(11g)이 형성되어 있다. 대경 피스톤(9)의 통형상 몸체부(9b)에 설치된 하단부(9d)는, 고리 형상 홈(11g)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대경 피스톤(9)에 설치된 통형상 몸체부(9b)의 하단부(9d)가 피스톤 가이드(11)의 고리 형상 홈(11g)으로부터 벗어나서, 그 접촉이 해제되면, 대경 피스톤(9)과 펌프 실린더(3)의 대경부(3a) 사이의 에어 펌프실(Sair)을 피스톤 가이드(11)의 통형상 몸체부(11c)와 대경 피스톤(9)의 통형상 몸체부(9b) 사이의 상기 틈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즉, 대경 피스톤(9)의 통형상 몸체부(9b)와 피스톤 가이드(11)의 고리 형상 홈(11g)은, 개폐 밸브로서 기능하고, 상기 틈은, 대경 피스톤(9)으로부터 압송된 외기의 제 1 외기 유로(Rair)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스톤 가이드(11)의 통형상 몸체부(11c)의 외주면에 축선(O) 주위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돌출부(11k)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11k)는, 축선(O) 주위에 간격을 두고 12 개소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11k)는, 대경 피스톤(9)의 통형상 몸체부(9b)에 접촉하지 않고, 외기를 안내한다. 또한, 돌출부(11k)는, 적어도 1 개소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스톤 가이드(11)의 고리 형상 돌기부(11e)의 상단에, 고리 형상 홈(11g)에 인접하여 축선(O) 주위를 둘러싸는 고리 형상의 절결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절결부에, 축선(O) 주위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가이드 벽(11j)을 설치하고, 가이드 벽(11j)의 상호 간에 이물의 유입을 저지하는 복수의 받침(C3)이 더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벽(11j)은, 돌출부(11k)와 정렬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벽(11j)도, 축선(O) 주위에 간격을 두고 12 개소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단, 가이드 벽(11j)도, 적어도 1 개소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 부호 14는, 합성 수지제의 제트 링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트 링(14)은, 피스톤 가이드(11)의 상단(11b)측을 수용하는 하단측 오목부(C1)와, 후술하는 2 개의 메시 링(15)을 수용하는 상단측 오목부(C2)를 가지고 하단측 오목부(C1)와 상단측 오목부(C2)를 분할하는 격벽(14a)에는 관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격벽(14a)은, 피스톤 가이드(11)의 상단(11b)측을 둘러싸는 하단측 외주벽(14b)과, 2 개의 메시 링(15)을 둘러싸는 상단측 외주벽(14c)을 연결하는 외주벽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격벽(14a)은, 하단측 외주벽(14b)에 연결되고, 이 하단측 외주벽(14b)의 최소 내경보다도 내경이 작은 제 1 축소 외주벽부(14a1)와, 이 제 1 축소 외주벽부(14a1)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동경 외주벽부(14a2)와, 이 동경 외주벽부(14a2) 보다도 내경이 작은 제 2 축소 외주벽부(14a3)와, 이 제 2 축소 외주벽부(14a3)로부터 상단으로 향해서 확경하는 확경 외주벽부(14a4)와, 이 확경 외주벽부(14a4)와 함께 상단측 외주벽(14c)에 연결되고, 이 상단측 외주벽(14c) 보다도 내경이 작은 제 3 축소 외주벽부(14a5)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축소 외주벽부(14a1)와 제 3 축소 외주벽부(14a5) 사이에, 축선(O) 주위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보강판(14a6)이 설치되어 있다. 보강판(14a6)은, 예컨대, 축선(O) 주위로 등간격으로 4 개소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격벽(14a)을 웨이스트부로서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제트 링(14)에 사용되는 수지량의 삭감을 도모하면서, 메시 링(15)을 대형화하는 것에 의해서, 포말 분출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단, 보강판(14a6)은, 적어도 1 개소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트 링(14)의 하단측 외주벽(14b)의 내주면(14f1)에는, 축선(O) 주위를 둘러싸는 고리 형상의 팽출부(14p)가 설치되어 있다. 팽출부(14p)는, 하단측 외주벽(14b)의 내측에 내주면(14f1) 보다도 내경이 작은 내주면(14f2)을 형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팽출부(14p)의 내경이 하단측 외주벽(14b)의 최소 내경이 된다. 또한, 제트 링(14)의 하단측 오목부(C1)에는, 팽출부(14p)로부터 격벽(14)의 제 1 축소 외주벽(14a1)에 걸쳐서 연장되는 복수의 L자 형상 홈(14g)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L자 형상 홈(14g)은, 축선(O) 주위에 간격을 두고서 12 개소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L자 형상 홈(14g)은, 적어도 1 개소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 부호 15는, 제트 링(14)의 상단측 오목부(C2)에 수용되는 메시 링이다. 메시 링(15)은, 메시 필터(15a)를 가지고 있다. 메시 필터(15a)는, 내용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가느다란 구멍이 형성된 부재이며, 예컨대, 수지망 등을 들 수 있다. 메시 필터(15a)는, 합성 수지제의 링 부재(15b)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다. 링 부재(15b)는, 메시 필터(15a)와 함께 제트 링(14)의 상단측 오목부(C2)의 내측에 결합 유지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트 링(14)은, 피스톤 가이드(11)의 상단(11b)을 격벽(14a)의 제 1 축소 외주벽(14a1)에 맞닿게 하는 동시에 하단측 외주벽(14b)에 설치된 팽출부(14p)의 내주면(14f2)에 피스톤 가이드(11)의 통형상 몸체부(11c)의 외주면을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피스톤 가이드(11)의 상단(11b)측을 수용한다. 이에 의해서, 피스톤 가이드(11)의 개방구(A1)를 제트 링(14)의 격벽(14a)에 형성한 관통로를 통해서 제트 링(14)의 상단측 오목부(C2)에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트 링(14)의 팽출부(14p)로부터 격벽(14a)의 제 1 축소 외주벽부(14a1)에 걸쳐서 복수의 L자 형상 홈(14g)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피스톤 가이드(11)와 제트 링(14) 사이에, 대경 피스톤(9)으로부터 압송된 외기를 제트 링(14)의 격벽(14a)에 형성한 상기 관통로에 통과시키는 제 2 외기 유로(Rair)가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트 링(14)의 L자 형상 홈(14g)과 피스톤 가이드(11)로 구획된 12 개의 제 2 외기 유로(Rair)가 형성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외기 유로(Rair)의 개방구(A2)는, 제트 링(14)에 형성된 격벽(14a)의 제 1 축소 외주벽부(14a1)에 형성된 L자 형상 홈(14g)과 피스톤 가이드(11)의 상단(11b)으로 구획된 유로 면적(S2)을 갖는다. 또한, 제 2 외기 유로(Rair)는, 적어도 1 개소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트 링(14)의 하단측 외주벽(14b)의 내주면(14f1)이, 대경 피스톤(9)의 통형상 몸체부(9b)에 설치된 상단부(9e)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밀봉 유지된다. 이에 의해서, 제 2 외기 유로(Rair)는, 기밀성을 유지한 채로, 제 1 외기 유로(Rair)에 통한다.
격벽(14a)에 형성한 상기 관통로는, 액체 유로(RL)의 개방구(A1)로부터 압송된 내용물과 제 2 외기 유로(Rair)의 개방구(A2)로부터 압송된 외기의 혼합물의 제 1 혼합물 유로(RM)를 형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혼합물 유로(RM) 중에, 제트 링(14)의 동경 외주벽(14a2)의 내측에는, 뽑힘 방지부(13)의 통 형상부(13d)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뽑힘 방지부(13)의 통 형상부(13d)가 수용되는 확대로는, 제 2 축소 외주벽부(14a3)의 내측에 형성된 최소 내경로로부터 확경 외주벽부(14a4) 및 제 3 축소 외주벽부(14a5)의 내측에 형성된 만곡로를 경유하여 메시 링(15)의 링 부재(15b)의 내측에 형성된 제 2 혼합물 유로(RM)에 통한다.
이어서, 도 3 중의, 도면 부호 16은, 합성 수지제의 헤드이다. 헤드(16)는, 사용자의 압입 및 해제의 반복에 의해서, 소경 피스톤(6)과 대경 피스톤(9)의 펌프 동작을 야기시키는 동시에, 내용물과 외기의 혼합물을 분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16)는, 사용자가 압입 조작하는 천벽(16a)과, 이 천벽(16a)으로부터 늘어뜨려진 고정통(16b)을 가지고 있다. 고정통(16b)은, 그 내측에서, 제트 링(14)의 상단측 외주벽(14c)을 결합 유지한다. 또한, 헤드(16)는, 고정통(16b)의 내측에 통하는 노즐(16c)을 가지고 있다. 노즐(16c)의 선단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시 링(15)을 통해서 포말 상태로 된 내용물을 분출시키는 분출구(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헤드(16)의 천벽(16a)에는, 그 하단에, 고정통(16b) 주위를 방사 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고정 리브(16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헤드(16)의 천벽(16a)에는, 그 하단에, 별체의 외통(16d)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통(16d)은, 고정 리브(16r)를 내측으로 수용하도록 하는 동시에 당해 고정 리브(16r)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도 1 중에서, 도면 부호 17은, 헤드(16)의 눌림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이다. 스토퍼(17)는, 펌프 커버(2)의 어깨부(2c)와 헤드(16)의 외통(16d)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기존의 것이다. 즉, 손잡이(17a)를 갖는 기부(17b)로부터 2 개의 만곡 암(17c)을 횡단면 C 자 형상으로 연장하는 것에 의해서, 펌프 커버(2)의 네크부(2c)에 떼어낼 수 있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서, 스토퍼(17)는, 어깨부(2c)의 상단과 외통(16d)의 하단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헤드(16)의 눌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말 디스펜서 부착 대형 용기에 의하면, 헤드(16)의 압입과 그 해제의 반복에 의해, 용기 본체(20)로부터 압송된 용량이 큰 내용물을 메시 필터(15a)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서, 포말 상태로 분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 유로(RL)와 혼합물 유로(RM)의 접속 유로 면적(S1)과, 외기 통로(Rair)와 혼합물 유로(RM)의 접속 유로 면적(S2)을 규정하여, 액체측의 접속 유로 면적(S1)과 외기측의 접속 유로 면적(S2)이,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2.8 ≤ S1 / S2 ≤ 3.8 … (1)
(2.8 : 1 ≤ S1 : S2 ≤ 3.8 : 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액체측의 접속 유로 면적(S1)과 외기측의 접속 유로 면적(S2)을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한다.
S1 / S2 = 3.8 … (2)
(S1 : S2 = 3.8 : 1)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트 링(14)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로는, 동경 외주벽부(14a2)의 내경이 최소로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혼합물 유로(RM)의 최소 유로 면적(S3)이, 메시 필터(15a) 보다도 상류측의 직전의 위치에 있다. 이 경우, 혼합물 유로(RM)의 최소 유로 면적(S3)과 메시 필터(15a)의 유로 면적(S4)은,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 S4 / S3 ≤ 10.3 … (3)
(1 : 4 ≤ S3 : S4 ≤ 1 : 10.3)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유로(RM)의 최소 유로 면적(S3)과 메시 필터(15a)의 유로 면적(S4)을,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한다.
4 ≤ S4 / S3 ≤ 10.1 … (4)
(1 : 4 ≤ S3 : S4 ≤ 1 : 10.1)
더욱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유로(RM)의 최소 유로 면적(S3)과 메시 필터(15a)의 유로 면적(S4)을,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한다.
4 ≤ S4 / S3 ≤ 6.2 … (5)
(1 : 4 ≤ S3 : S4 ≤ 1 : 6.2)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유로(RM)의 최소 유로 면적(S3)과 메시 필터(15a)의 유로 면적(S4)을,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한다.
S4 / S3 = 4 … (6)
(S3 : S4 = 1 : 4)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혼합물 유로(RM)에, 메시 필터(15a)를 2 개소의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혼합물 유로(RM)의 최소 유로 면적(S3)과 메시 필터(15a)의 유로 면적(S4) 사이의 간격(L1)과, 메시 필터(15a) 상호간의 간격(L1)을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2 / L1 = 3.9 … (7)
(L1 : L2 = 1 : 3.9)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경 피스톤(6)으로부터 압송된 내용물의 액체 유로(RL)를 내측에 형성하는 동시에 대경 피스톤(9)을 상대 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피스톤 가이드(11)와, 피스톤 가이드(11)의 상단(11b)측을 수용하는 하단측 오목부(C1)와, 메시 필터(15a)를 수용하는 상단측 오목부(C2)를 가지고 하단측 오목부(C1)와 상단측 오목부(C2)를 분할하는 격벽(14a)에 관통로가 형성된 제트 링(14)을 구비하며,
제트 링(14)의 하단측 오목부(C1)의 내주면에 고리 형상의 팽출부(14p)를 설치하고, 피스톤 가이드(11)의 상단(11b)을 제트 링(14)의 격벽(14a)에 맞닿게 하는 동시에 팽출부(14p)의 내측에 피스톤 가이드(11)를 결합시키는 한편, 대경 피스톤(9)에서 제트 링(14)의 하단측 오목부(C1)의 내경면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밀봉하는 동시에,
제트 링(14)의 상기 팽출부(14p)로부터 격벽(14a)에 걸쳐서 복수의 L자 형상 홈(14g)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피스톤 가이드(11)와 제트 링(14) 사이에, 대경 피스톤(9)으로부터 압송된 외기를 제트 링(14)의 하단측 오목부(C1)에 통하도록 하는 복수의 외기 유로(Rair)를 형성하고, 상기 외기 유로(Rair)를 피스톤 가이드(11)의 액체 유로(RL)와 함께 격벽(14a)에 관통로에 접속하고,
또한, 제트 링(14)의 상단(11b)측을 헤드(16)에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피스톤 가이드(11)와 제트 링(14)의 조립체를 이용하게 되면, 액체측의 접속 유로 면적(S1)과 외기측의 접속 유로 면적(S2)의 설정이 용이하게 된다. 예컨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측의 접속 유로 면적(S1)은, 피스톤 가이드(11)의 상단(11b)과 뽑힘 방지 부재(13)의 통 형상부(13d)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피스톤 가이드(11)의 상단(11b)의 내경과 뽑힘 방지 부재(13)(의 통 형상부(13d))의 외경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액체측의 접속 유로 면적(S1)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외기측의 접속 유로 면적(S2)은, 도 4에 나타낸 제트 링(14)의 L자 형상 홈(14g)으로 규정되기 때문에, L자 형상 홈(14g)의 폭이나 깊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외기측의 접속 유로 면적(S2)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출원의 다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다른 발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구성의 포말 디스펜서에 있어서, 제트 링(14)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로는, 동경 외주벽부(14a2)의 내경이 최소로 되어 있다. 즉, 혼합물 유로(RM)의 최소 유로 면적(S3)이, 메시 필터(15a) 보다도 상류측의 직전의 위치에 있다. 그리고, 혼합물 유로(RM)의 최소 유로 면적(S3)과 메시 필터(15a)의 유로 면적(S4)이, 상기 (3)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출원의 다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구성의 포말 디스펜서에 있어서, 혼합물 유로(RM)는, 그 최소 유로 면적(S3)이 메시 필터(15a) 보다도 상류측의 직전의 위치에서, 최소 유로 면적(S3)과 메시 필터(15a)의 유로 면적(S4)이, 상기 (3)과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다른 발명에 있어서도, 상기 (3)의 조건에 추가하여, 상기 (4) 내지 (7)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3)의 조건에 추가하여, 상기 (1), (2)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구성의 포말 디스펜서 부착 용기를 이용한 실시예와, 비교예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이하의 표 1에 나타낸 성분의 바디 워셔(피부 세정액)를 내용물로 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1]
S1 / S2(all) = 3.8
(S1 : S2(all) = 3.8 : 1)
액체측의 접속 유로 면적 S1 = 27.3 mm2
외기측의 접속 유로 면적 S2 = 7.2 mm2
단, 여기에서는, 접속 유로 면적(S2)은, 12 개의 외기측의 접속 유로 면적(S2)의 총합
[실시예 2]
S1 / S2(all) = 2.8
(S1 : S2(all) = 2.8 : 1)
액체측의 접속 유로 면적 S1 = 20.16 mm2
외기측의 접속 유로 면적 S2 = 7.2 mm2
단, 여기에서는, 접속 유로 면적(S2)은, 12 개의 외기측의 접속 유로 면적(S2)의 총합
[실시예 3]
S4 / S3 = 4
(S3 : S4 = 1 : 4)
혼합물 유로(RM)의 최소 유로 면적 S3 = 24.63 mm2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 S4 = 98.52 mm2
[실시예 4]
S4 / S3 = 4.2
(S3 : S4 = 1 : 4.2)
혼합물 유로(RM)의 최소 유로 면적 S3 = 23.76 mm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 S4 = 98.52 mm2
[실시예 5]
S4 / S3 = 6.2
(S3 : S4 = 1 : 6.2)
혼합물 유로(RM)의 최소 유로 면적 S3 = 15.89 mm2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 S4 = 98.52 mm2
[실시예 6]
S4 / S3 = 10
(S3 : S4 = 1 : 10)
혼합물 유로(RM)의 최소 유로 면적 S3 = 9.85 mm2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 S4 = 98.52 mm2
[실시예 7]
S4 / S3 = 10.3
(S3 : S4 = 1 : 10.3)
혼합물 유로(RM)의 최소 유로 면적 S3 = 9.57 mm2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 S4 = 98.52 mm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1 내지 7의 시험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2 중, ○는 포말의 품질이 양호한 것을, ◎는 ○에 비해서 더욱 더 포말의 품질이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상기 표 2의 실시예 1, 2로부터도, 액체측의 접속 유로 면적(S1)과 외기측의 접속 유로 면적(S2)을 상기 (1)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하면, 분사되는 포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로부터도 명확한 바와 같이, 상기 (2)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하면, 포말의 품질이 더욱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 표 2의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7로부터, 혼합물 유로(RM)의 최소 유로 면적(S3)과 메시 필터의 최소 유로 면적(S4)을 상기 (3) 내지 (6)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하여도, 분사되는 포말의 포말 품질이 개선되는 것은 명백하다. 특히, 실시예 3으로부터도 명확한 바와 같이, 상기 (6)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하면, 포말의 품질은 더욱 양호해진다. 또한,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7의 경우, 즉 혼합물 유로(RM)의 최소 유로 면적(S3)과 메시 필터의 최소 유로 면적(S4)을 상기 (3) 내지 (6)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헤드로부터의 분출량이 대용량으로 되는 경우에도, 헤드의 눌림이 무거워지지 않고 가볍게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3을 조합한 경우에도, 포말의 품질이 더욱 양호하였다.
또한, 실시예 1 ~ 7에 관하여, 최소 유로 면적(S3)과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S4) 사이의 간격 L1 = 3.8 mm, 메시 필터 상호간의 간격 L2 = 15 mm로 하여,
L1 : L2 = 1 : 3.9의 설정 치수를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3에 조합시킨 경우, 포말의 품질이 한층 더 양호하였다. 더욱이, 상기 설정 치수를 실시예 1과 함께 실시예 3에 조합시킨 경우, 포말의 품질이 가장 양호하였다. 이 경우의 포말의 품질을 도 5b에 모식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포말(F) 내에서도, 종래의 도 5a에 비교하여, 적어도 기포(B1)를 균등하게 산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트 링은, 부착시에 있어서 액체 유로(RL)와 함께 기체 유로(Rair)를 형성할 수 있는 타이프의 것을 사용하고 있지만, 액체 유로(RL) 만을 형성할 수 있는 종래 타이프의 제트 링을 이용한 포말 디스펜서에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상의 내용물과 외기를 혼합시켜서 포말 상태로 분출시키는 포말 디스펜서 및 포말 디스펜서 부착 용기에 적용할 수 있다. 내용물은, 세안료나 헤어 스타일러 등, 외기와 혼합되어 포말 상태로 분출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1 포말 디스펜서
2 펌프 커버
3 펌프 실린더
3a 대경부
3b 소경부
6 소경 피스톤
8 탄성 부재
9 대경 피스톤
11 피스톤 가이드
12 볼 부재
13 뽑힘 방지 부재
13d 통 형상부
14 제트 링
14a 격벽
14a1 제 1 축소 외주벽부
14a2 동경 외주벽부
14a3 제 2 축소 외주벽부
14a4 확경 외주벽부
14a5 제 3 축소 외주벽부
14a6 보강판
14g L자 형상 홈
15 메시 링
15a 메시 필터
20 용기 본체
21 입구부
A1 액체 유로의 개방구
A1 외기 유로의 개방구
C1 제트 링의 하단측 오목부
C2 제트 링의 상단측 오목부
RL 액체 유로
Rair 외기 유로
RM 혼합물 유로
S1 액체 유로와 혼합물 유로의 접속 유로 면적
S2 외기 유로와 혼합물 유로의 접속 유로 면적
S3 혼합물 유로의 최소 유로 면적
S4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

Claims (10)

  1. 용기 본체에 장착되는 펌프 커버와, 상기 펌프 커버에 고정되는 대경부와 소경부를 갖는 펌프 실린더와, 상기 펌프 실린더의 상기 소경부에 수용되어 용기 본체의 액체를 흡인 및 압송하는 소경 피스톤과, 상기 펌프 실린더의 상기 대경부에 수용되어 외기를 흡인 및 압송하는 대경 피스톤과, 사용자의 압입과 그 해제의 반복에 의해서 상기 소경 피스톤과 상기 대경 피스톤의 펌프 동작을 야기시키는 동시에 상기 액체와 상기 외기의 혼합물을 분출하는 헤드와, 상기 소경 피스톤으로부터 압송된 상기 액체의 액체 유로와, 상기 대경 피스톤으로부터 압송된 상기 외기의 외기 유로와, 상기 액체 유로로부터 압송된 상기 액체와 상기 외기 유로로부터 압송된 상기 외기의 상기 혼합물의 혼합물 유로와, 상기 혼합물 유로 중에 배치된 상기 혼합물이 통과 가능한 메시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액체 유로와 상기 혼합물 유로의 접속 유로 면적(S1)과, 상기 외기 유로와 상기 혼합물 유로의 접속 유로 면적(S2)이,
    2.8 ≤ S 1 / S 2 ≤ 3.8
    의 관계인, 포말 디스펜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유로 면적(S1)과, 상기 접속 유로 면적(S2)이,
    S1 / S2 = 3.8
    의 관계인, 포말 디스펜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유로는, 그 최소 유로 면적(S3)이 상기 메시 필터보다도 상류측 직전의 위치에서, 상기 최소 유로 면적(S3)과 상기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S4)이,
    4 ≤ S4 / S3 ≤ 10.3
    의 관계인, 포말 디스펜서.
  4. 용기 본체에 장착되는 펌프 커버와, 상기 펌프 커버에 고정되는 대경부와 소경부를 갖는 펌프 실린더와, 상기 펌프 실린더의 상기 소경부에 수용되어 용기 본체의 액체를 흡인 및 압송하는 소경 피스톤과, 상기 펌프 실린더의 상기 대경부에 수용되어 외기를 흡인 및 압송하는 대경 피스톤과, 사용자의 압입과 그 해제의 반복에 의해서 상기 소경 피스톤과 상기 대경 피스톤의 펌프 동작을 야기시키는 동시에 상기 액체와 상기 외기의 혼합물을 분출하는 헤드와, 상기 소경 피스톤으로부터 압송된 상기 액체의 액체 유로와, 상기 대경 피스톤으로부터 압송된 상기 외기의 외기 유로와, 상기 액체 유로로부터 압송된 상기 액체와 상기 외기 유로로부터 압송된 상기 외기의 상기 혼합물의 혼합물 유로와, 상기 혼합물 유로 중에 배치된 상기 혼합물이 통과 가능한 메시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혼합물 유로는, 그 최소 유로 면적(S3)이 상기 메시 필터보다도 상류측 직전의 위치에서, 상기 최소 유로 면적(S3)과 상기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S4)이,
    4 ≤ S4 / S3 ≤ 10.3
    의 관계인, 포말 디스펜서.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최소 유로 면적(S3)과 상기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S4)이,
    4 ≤ S4 / S3 ≤ 10.1
    의 관계인, 포말 디스펜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최소 유로 면적(S3)과 상기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S4)이,
    4 ≤ S4 / S3 ≤ 6.2
    의 관계인, 포말 디스펜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최소 유로 면적(S3)과 상기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S4)이,
    S4 / S3 = 4
    의 관계인, 포말 디스펜서.
  8.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유로에, 상기 메시 필터를 2 개소의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최소 유로 면적과 상기 메시 필터의 유로 면적 간의 간격(L1)과, 상기 메시 필터 상호간의 간격(L2)이,
    L2 / L1 = 3.9
    의 관계인, 포말 디스펜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말 디스펜서는, 상기 소경 피스톤으로부터 압송된 상기 액체의 상기 액체 유로를 내측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대경 피스톤을 상대 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피스톤 가이드와, 상기 피스톤 가이드의 상단측을 수용하는 하단측 오목부와, 상기 메시 필터를 수용하는 상단측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하단측 오목부와 상기 상단측 오목부를 분할하는 격벽에 관통로가 형성된 제트 링을 구비하며, 상기 제트 링의 상단측을 상기 헤드에 접속한 포말 디스펜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포말 디스펜서와, 상기 포말 디스펜서가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한 포말 디스펜서 부착 용기.
KR1020167000937A 2013-07-17 2014-07-17 포말 디스펜서 및 포말 디스펜서 부착 용기 KR101774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48954A JP6138613B2 (ja) 2013-07-17 2013-07-17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および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付き容器
JPJP-P-2013-148954 2013-07-17
JPJP-P-2013-148956 2013-07-17
JP2013148956A JP6138614B2 (ja) 2013-07-17 2013-07-17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および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付き容器
PCT/JP2014/003814 WO2015008494A1 (ja) 2013-07-17 2014-07-17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および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付き容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086A Division KR101785252B1 (ko) 2013-07-17 2014-07-17 포말 디스펜서 및 포말 디스펜서 부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343A true KR20160022343A (ko) 2016-02-29
KR101774716B1 KR101774716B1 (ko) 2017-09-04

Family

ID=523459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086A KR101785252B1 (ko) 2013-07-17 2014-07-17 포말 디스펜서 및 포말 디스펜서 부착 용기
KR1020167000937A KR101774716B1 (ko) 2013-07-17 2014-07-17 포말 디스펜서 및 포말 디스펜서 부착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086A KR101785252B1 (ko) 2013-07-17 2014-07-17 포말 디스펜서 및 포말 디스펜서 부착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144026B2 (ko)
EP (1) EP3023353B1 (ko)
KR (2) KR101785252B1 (ko)
CN (2) CN105377710B (ko)
AU (2) AU2014291498B2 (ko)
CA (1) CA2918292C (ko)
WO (1) WO20150084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8494A1 (ja) 2013-07-17 2015-01-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および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付き容器
CN105339280B (zh) * 2013-07-17 2017-04-26 株式会社吉野工业所 起泡器
DE102016108447A1 (de) * 2016-05-06 2017-11-09 S O L O Kleinmotoren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schäumungseinheit zum Erzeugen von Schaum aus einem Gemisch aus Gas und Flüssigkeit sowie Sprühgerät zum Erzeugen und Verteilen von Schaum
JP6930873B2 (ja) * 2017-07-31 2021-09-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ポンプ
CN116078574A (zh) 2018-04-06 2023-05-09 9421-7213魁北克股份有限公司 分配泵及其制造方法
PL429898A1 (pl) * 2019-05-10 2020-11-16 Pawłuszek Anna Findustry Urządzenie dozują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0961A (ja) 1994-12-12 1996-09-10 Yoshino Kogyosho Co Ltd 泡放出用ポンプ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34444T2 (de) * 1994-11-17 2006-07-06 Yoshino Kogyosho Co., Ltd. Behälter mit einer blaseneinspritzpumpe
JPH10397A (ja) * 1996-04-20 1998-01-06 Kao Corp 泡吐出容器
NL1016694C2 (nl) * 2000-11-23 2002-05-24 Keltub B V Schuimvormingseenheid.
US6536685B2 (en) * 2001-03-16 2003-03-25 Unilever Home And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Foamer
CN100496760C (zh) * 2004-02-20 2009-06-10 株式会社吉野工业所 发泡剂喷洒器
JP2005262202A (ja) 2004-02-20 2005-09-29 Yoshino Kogyosho Co Ltd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
US7802701B2 (en) * 2005-01-14 2010-09-28 Rieke Corporation Up-lock seal for dispenser pump
CA2616469C (en) 2005-07-29 2017-06-06 Hiroshi Mizushima Discharge container
JP4781749B2 (ja) * 2005-08-16 2011-09-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噴出器
ATE460993T1 (de) * 2006-01-25 2010-04-15 Technical Concepts Bentfield B Flüssigkeitsspender und pumpe mit ständig offenem einlassventil
US7850048B2 (en) * 2006-10-23 2010-12-14 Arminak & Associates, Inc. Foamer pump
JP4855228B2 (ja) * 2006-11-30 2012-01-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噴出器
WO2009038452A1 (en) * 2007-09-17 2009-03-26 Rexam Airspray N.V. Foam dispensing assembly
BRPI0818277A8 (pt) * 2007-11-01 2017-10-10 Pibed Ltd Bomba que é montada em um frasco, produz uma espuma do líquido no frasco e dispensa a espuma, e , dispensador de sabão espumado
US8047403B2 (en) * 2008-02-08 2011-11-01 Gojo Industries, Inc. Bifurcated stem foam pump
US20110272488A1 (en) * 2010-05-10 2011-11-10 Baughman Gary M Foam dispenser
WO2011152375A1 (ja) 2010-05-31 2011-12-08 花王株式会社 泡吐出容器
JP5603753B2 (ja) * 2010-11-19 2014-10-08 大和製罐株式会社 ポンプ式泡吐出容器
CN103370141B (zh) * 2011-01-31 2016-11-09 株式会社吉野工业所 泡沫喷出器
JP5674138B2 (ja) * 2011-01-31 2015-02-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吐出器
CN102502062A (zh) * 2011-12-28 2012-06-20 王雅灿 泡沫泵
WO2015008494A1 (ja) * 2013-07-17 2015-01-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および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付き容器
CN105339280B (zh) * 2013-07-17 2017-04-26 株式会社吉野工业所 起泡器
CN105377709B (zh) * 2013-07-17 2017-06-13 株式会社吉野工业所 泡沫分配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0961A (ja) 1994-12-12 1996-09-10 Yoshino Kogyosho Co Ltd 泡放出用ポンプ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8494A1 (ja) 2015-01-22
EP3023353A1 (en) 2016-05-25
AU2017201931B2 (en) 2018-11-01
CN108177867B (zh) 2019-08-02
AU2014291498B2 (en) 2016-12-22
US10144026B2 (en) 2018-12-04
US10758925B2 (en) 2020-09-01
US20160167075A1 (en) 2016-06-16
EP3023353A4 (en) 2017-04-05
CN105377710B (zh) 2018-01-30
CN108177867A (zh) 2018-06-19
CA2918292A1 (en) 2015-01-22
CA2918292C (en) 2019-02-19
KR101785252B1 (ko) 2017-10-12
KR20170102067A (ko) 2017-09-06
CN105377710A (zh) 2016-03-02
AU2014291498A1 (en) 2016-02-11
US20190060932A1 (en) 2019-02-28
KR101774716B1 (ko) 2017-09-04
AU2017201931A1 (en) 2017-04-13
EP3023353B1 (en)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716B1 (ko) 포말 디스펜서 및 포말 디스펜서 부착 용기
JP2017178379A (ja) 泡噴出容器
JP6745186B2 (ja) 吐出器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吐出器
JP6389770B2 (ja) ノズル部材
JP2014046938A (ja) 泡噴出容器
JP6138613B2 (ja)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および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付き容器
JP2018122900A (ja) 吐出容器
JP6482386B2 (ja) 泡吐出器
JP6138614B2 (ja)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および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付き容器
JP6893745B2 (ja)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
JP6412700B2 (ja) 泡吐出器
JP6774886B2 (ja) 吐出器
JP2020104930A (ja)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
JP7493201B2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JP7267179B2 (ja) 吐出器
JP5840440B2 (ja) エア混合式噴出器
JP7076304B2 (ja) 泡吐出器
JP6058495B2 (ja)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
JP6195769B2 (ja)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
JP2019112129A (ja) 泡吐出器
JP5944310B2 (ja) シリンジ型噴出容器
JP2013078402A (ja) エア混合式噴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