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395A -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395A
KR20160021395A KR1020140106256A KR20140106256A KR20160021395A KR 20160021395 A KR20160021395 A KR 20160021395A KR 1020140106256 A KR1020140106256 A KR 1020140106256A KR 20140106256 A KR20140106256 A KR 20140106256A KR 20160021395 A KR20160021395 A KR 20160021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frame
bowling ball
bow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욱
이치홍
이인규
이건수
이부윤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6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1395A/ko
Publication of KR20160021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5/00Accessories for bowling-alleys or table alleys
    • A63D5/10Apparatus for cleaning balls, pins, or alle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4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clean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4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cleaning balls
    • A63B2047/046Motori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는: 볼링공 회수기의 출구 측 레일 상에 안착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레일을 따라 굴러가는 볼링공을 구르는 회전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볼링공을 감싸도록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회전 이동하는 볼링공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OF BOWLING BALL}
본 발명은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게임 도중 볼링공에 묻은 이물질을 회수 이동하면서 제거함으로써 볼링공을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링공은 사용중 표면에 부착된 먼지 또는 레인에 도포된 오일, 손가락자국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자주 세척을 해야만 한다. 표면이 더러워진 볼링공은 볼링공과 레인 바닥과의 마찰계수를 변화시켜 회전을 이용한 기술을 구사하기 어렵게 한다.
볼링공의 표면세척은 보통 수작업으로 행하여 지는 경우가 많다. 즉, 게임전이나 게임 도중에 오염된 볼링공을 타올등으로 손수 닦아서 사용하였다. 그런데, 오염된 볼링공을 닦는 작업은 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세척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볼링공을 반구형상의 홈을 갖는 하우징에 안착하고, 하우징에 구비된 구름롤러를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다수 개의 기어를 이용하여 구름롤러를 구동하므로 볼링공을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볼링공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볼링공 표면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볼링공 표면처리장치는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볼링공이 이동하는 레인의 볼링공 회수부위에 설치되지 않고 다른 장소에 별도로 설치되므로 경기를 진행하는 도중에 볼링공의 표면에 묻은 유분,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고, 경기 또는 영업 종료 후 볼링공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용도로 이용된다. 이로써, 기존의 볼링공 표면처리장치는 경기 도중 볼링공의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므로 편의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3-0061924호(발명의 명칭: 볼링공 표면처리장치, 공개일: 2003.07.23)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볼링공 회수기의 출구측에 설치하여 게임 도중 볼링공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회수 이동하면서 제거함으로써 볼링공을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는, 볼링공 회수기의 출구 측 레일 상에 안착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굴러가는 볼링공을 구르는 회전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볼링공을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회전 이동하는 상기 볼링공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고, 상기 레일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를 탈착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상기 레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볼링공의 일측면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 및 상기 제1회전부와 다른 속도로 구동하고, 상기 레일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볼링공의 타측면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레일을 기준으로 V자 형상으로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는 서로 간에 1.5 ~ 2.5배의 회전속도 차이를 가지며,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는 상호 간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는, 동력을 발생하는 제1구동모터; 상기 제1구동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제1구동풀리; 상기 제1구동풀리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피동풀리; 및 상기 제1구동풀리와 상기 제1피동풀리가 감겨져 회전하므로 상기 볼링공을 접촉 회전시키는 제1이동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부는, 동력을 발생하는 제2구동모터; 상기 제2구동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제2구동풀리; 상기 제2구동풀리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피동풀리; 및 상기 제2구동풀리와 상기 제2피동풀리가 감겨져 회전하므로 상기 볼링공을 접촉 회전시키는 제2이동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마련된 상부프레임에 탈착되게 구비되는 탈착부; 상기 탈착부의 하측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이동하는 상기 볼링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굴곡 형성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외측면을 감싸거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볼링공에 밀착 접촉되어 이물질을 닦아내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착부는, 상기 장착부를 지지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상측 단부에서 상기 연결부 배치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U자형 판재 형태를 갖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장착부의 저면에 구비되는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거나 상기 장착부를 감싼 상태에서 쟈크, 단추, 똑딱이 단추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부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상기 볼링공의 진입과 진출을 감지하는 제1,제2감지센서부가 구비되어 제어부를 통해 상기 회전부를 구동하거나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감지센서부는, 상기 프레임부 또는 상기 이물질제거부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켓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에 설치되고, 관통공을 통해 상기 볼링공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및 접촉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는, 볼링공 회수기의 출구측에 설치하여 게임 도중 볼링공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회수 이동하면서 제거함으로써 볼링공을 항상 깨끗한 성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제거부의 장착부에 커버부를 설치하여 볼링공의 전체 면을 접촉되게 하므로 대부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의 양측에 이동속도가 다르고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제2회전부를 각각 구비하므로 볼링공의 굴러가는 회전과 함께 볼링공의 측방향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링공의 입출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부와 제2감지센서부를 구비하여 볼링공 이동시에만 회전부를 작동하거나 정지하므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를 볼링공 회수기 출구측 레일 상에 안착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상에 안착된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레일 상에 안착된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제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2감지센서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의 제어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를 볼링공 회수기 출구측 레일 상에 안착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상에 안착된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레일 상에 안착된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제거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2감지센서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의 제어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100)는, 프레임부(10), 회전부(20) 및 이물질제거부(5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100)는 볼링공 회수기(2)의 출구측에 구비된 레일(4)의 상측에 구비되어 볼링공(6)의 외측 표면에 묻은 유분,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볼링공 회수기(2)는 볼링장에서 볼링핀을 타격한 볼링공(6)을 가이드유로를 따라 복귀시키고, 볼링공(6)을 리프트장치를 이용하여 상승시킨 후 레일(4)을 따라 볼링공(6)을 이동시켜 회수하므로 게임을 계속 진행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
프레임부(10)는 볼링공 회수기(2)의 출구 측 레일(4) 상에 안착되는 구성이다. 프레임부(10)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개별프레임을 상호 연걸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10)는 레일(4)의 상측에 커버 형태로 덮여지고, 회전부(20)와 이물질제거부(50)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프레임부(10)는 회전부(20)를 지지하고, 레일(4)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하부프레임(12)과, 하부프레임(12)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연결프레임(14)과, 연결프레임(14)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고, 이물질 제거부(50)를 탈착하는 상부프레임(16)을 포함한다.
하부프레임(12)은 회전부(20)가 서로 마주보개 배치될 수 있도록 레일(4)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게 구비된다. 마주보는 하부프레임(12)은 서로 연결되게 구성될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연결프레임(14)과 상부프레임(16)을 통해 상호 견고하게 연결 지지된다. 하부프레임(12)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즉, 하부프레임(12)은 회전부(2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연결프레임(14)은 하부프레임(12) 상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 또는 경사지게 상측으로 연결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프레임을 사각형 봉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원형 봉 또는 다각형 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프레임(14)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즉, 연결프레임(14)은 하부프레임(12)과 상부프레임(16)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연결프레임(14)은 원형 봉 또는 다각형 봉 대신에 판체를 이용하여 상하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6)은 연결프레임(14)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된다. 즉, 레일(4)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연결프레임(12)과 레일(4)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 연결프레임(14)을 각각 연결하도록 사각형 틀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16)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즉, 상부프레임(16)은 좌우측 연결프레임(14)을 상호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상부프레임(16)은 강도를 보강하기 의해 중간 부위를 상호 연결하는 보강프레임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강프레임은 상부프레임(16)의 두께 및 너비와 같은 치수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회전부(20)는 프레임부(10)에 설치되고, 레일(4)을 따라 굴러가는 볼링공(6)을 구르는 회전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회전부(34)는 양측에 한 쌍 구비되어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함에 따라 경사진 측방향으로 볼링공(6)을 회전되게 하여 이물질게거부(50)와의 마찰력을 증진시켜 볼링공(6)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회전부(20)는 하부프레임(12)에서 레일(4)의 일측에 구비되어 볼링공(6)의 일측면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30)와, 제1회전부(30)와 다른 속도로 구동하고, 레일(4)의 타측에 구비되어 볼링공(6)의 타측면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부(4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부(30)와 제2회전부(40)는 레일(4)을 기준으로 V자 형상으로 각각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회전부(30)와 제2회전부(40)는 서로 간에 1.5 ~ 2.5배의 회전속도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부(30)와 제2회전부(40)가 2배의 회전속도 차이를 가진다면, 제1회전부(30)의 이동속도가 V=0.6m/s인 경우, 제2회전부(40)의 이동속도는 V=0.3m/s를 가지게 된다.
제1회전부(30)와 제2회전부(40)는 서로 간에 다른 속도로 구동함에 따라 볼링공(6)이 굴러가면서 측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이물질제거부(50)듸 커버부(62)와의 표면 마찰이 증진된다, 이로써, 볼링공(6)의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된 이물질 제거효율이 단순하게 걸레로 닦을 때보다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제1회전부(30)는 제2회전부(40)에 비해 1.5 ~ 2.5배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할 수도 있고, 반대로, 제2회전부(40)가 제1회전부(30)에 비해 1.5 ~ 2.5배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할 수도 있다. 한편, 제1회전부(30)와 제2회전부(40)는 상호 간에 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만, 경우에 따라 동일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회전부(30)와 제2회전부(40)는 상호 간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볼링공(6)의 출구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속도가 높은 제1회전부(30)가 정방향(입구에서 출구방향)로 구동하고, 속도가 낮은 제2회전부(40)가 역방향(출구에서 입구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부(30)의 이동속도(v)가 +0.6m/s(정방향)를 가지고, 제2회전부(40)의 이동속도(v)가 -0.3m/s(역방향)를 가지게 되면, 최종적으로 볼링공(6)은 정방향으로 V= +0.3m/s의 이동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레일(4)의 입구측보다 출구측이 높이가 낮도록 기울기가 있는 경우, 이동속도는 +0.3m/s보다 약간 더 증진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회전부(30)는 동력을 발생하는 제1구동모터(32)와, 제1구동모터(32)의 축에 설치되는 제1구동풀리(34)와, 제1구동풀리(34)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피동풀리(36)와, 제1구동풀리(34)와 제1피동풀리(36)가 감겨져 회전하므로 볼링공(6)을 접촉 회전시키는 제1이동벨트(38)를 포함한다.
제1구동모터(32)는 하부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되고, 제1이동벨트(38)를 회전하여 볼링공(6)을 충분하게 회전시킬 수 있을 정도의 출력을 갖는 모터를 선정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제1구동풀리(34)와 제1피동풀리(36)는 기어치를 형성하고, 타이밍 벨트인 제1이동벨트(38)의 기어치와 치합시킨다, 제1피동풀리(36)는 설정 간격으로 2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써, 제1이동벨트(38)의 회전력이 정확하게 볼링공(6)의 측면에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제1이동벨트(38)의 측면에는 볼링공(6)과의 마찰계수를 증진시키기 위해 점착층(미도시)이 도포될 수 있다.
제2회전부(40)는 동력을 발생하는 제2구동모터(42)와, 제2구동모터(42)의 축에 설치되는 제2구동풀리(44)와, 제2구동풀리(44)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피동풀리(46)와, 제2구동풀리(44)와 제2피동풀리(46)가 감겨져 회전하므로 볼링공(6)을 접촉 회전시키는 제2이동벨트(48)를 포함한다.
제2구동모터(42)는 하부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되고, 제2이동벨트(48)를 회전하여 볼링공(6)을 충분하게 회전시킬 수 있을 정도의 출력을 갖는 모터를 선정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제2구동풀리(44)와 제2피동풀리(46)는 기어치를 형성하고, 타이밍 벨트인 제2이동벨트(48)의 기어치와 치합시킨다, 제2피동풀리(46)는 설정 간격으로 2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써, 제2이동벨트(48)의 회전력이 정확하게 볼링공(6)의 측면에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제2이동벨트(48)의 측면에는 볼링공(6)과의 마찰계수를 증진시키기 위해 점착층(미도시)이 도포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제거부(50)는 볼링공(6)을 감싸도록 프레임부(10)에 설치되어 회전 이동하는 볼링공(6)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물질제거부(50)는 볼링공(6)의 외측면을 최대한 감싸기 위해 레일(4)을 제외한 노출되는 모든 부위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물질제거부(50)는, 프레임부(10)의 상측에 마련된 상부프레임(16))에 탈착되게 구비되는 탈착부(52)와, 탈착부(52)의 하측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이동하는 볼링공(6)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굴곡 형성되는 장착부(60)와, 장착부(62)의 외측면을 감싸거나 저면에 부착되어 볼링공(6)에 밀착 접촉되므로 이물질을 닦아내는 커버부(62)를 포함한다.
탈착부(52)는 상부프레임(16)에서 탈착을 위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장착부(60)는 U자형 판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부(60)는 최대한 볼링공(6)을 감싸도록 볼링공(6)의 외형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형태로 상측에 배치된다. 커버부(62)는 장착부(6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거나, 접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즉, 볼링공(6)의 외측면을 닦아낼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탈착부(52)는, 장착부(60)를 지지하고, 상부프레임(16)의 하측에 배치되는 연결부(54)와, 연결부(54)의 일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부(56)와, 손잡이부(56)의 상측 단부에서 연결부(54)의 설치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58)를 포함한다. 이로써, 연결부(54), 손잡이부(56) 및 지지부(58)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커버부(62)는 장착부(60)의 저면에 구비되는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거나 장착부(60)를 감싼 상태에서 쟈크, 단추, 똑딱이 단추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62)의 벨크로테이프를 장착부(60)의 저면에 구비된 벨크로테이프에 부착하고, 양측 가장자리를 접어서 장착부(60)의 상면에 벨크로로테아프 또는 다른 부착수단으로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부(62)는 장착부(60)에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장착부(60)에 커버부(62)를 장착하기 위해 손잡이부(56)를 잡고서 당겨 주면, 상부프레임(16)에서 연결부(54)와 지지부(58)의 홈 부분이 이탈되면서 탈착부(52)가 분리되고 장착부(60)에서 커버부(62)를 교체 한 후,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므로 탈착부(52)를 상부프레임(16)에 다시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58)는 상부프레임(16)의 상측에 설장 간격으로 좌우측으로 구비된 유동방지부제(64)에 의해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유동방지부재(58)는 지지부(56)의 좌우 너비와 일치하거나 좌우 너비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유동방지부재(58)가 지지부(56)의 좌우 너비와 일치할 경우, 좌우 유동 뿐만 아니라 볼링공의 이동에 의한 길이 방향 유동 역시 방지할 수 있다.
이물질제거부(50)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볼링공(6)의 진입과 진출을 감지하는 제1,제2감지센서부(70,71)가 구비되어 제어부(80)를 통해 회전부(20)를 구동하거나 정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80)는 제1,제2감지센서부(70,71)를 이용하여 볼링공(6)의 이동신호를 감지하여 제1,제2구동모터(32,42)의 구동 및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제2감지센서부(70,71)와 제1,제2구동모터(22,42)는 전원공급부(90)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제1,제2감지센서부(70,71)는, 프레임부(10) 또는 이물질제거부(50)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72)과, 지지브라켓(72)의 단부에 연결되어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74)와, 케이스(74)의 내부에 설치되고, 관통공을 통해 볼링공(6)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76)를 포함한다. 케이스(74)는 볼링장 내의 조명과 센서부(76)에서 조사되는 빛이 서로 섞여서 센서부(76)의 감지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센서부(76)는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및 접촉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100)는, 레인에서 볼링핀을 타격한 볼링공(6)을 회수하는 볼링공 회수기(2)의 출구측에 설치하여 게임 도중 볼링공(6)에 묻은 이물질을 회수 이동하면서 제거함으로써 볼링공(6)을 항상 깨끗한 성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링공(6)을 감싸는 형태의 이물질제거부(50)의 장착부(60)에 커버부(62)를 설치하여 볼링공(6)의 전체 면을 최대한 접촉되게 하므로 대부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4)의 양측에 이동속도가 다르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제2회전부(30,40)를 구비하므로 볼링공(6)이 굴러가는 회전과 함께 볼링공(6)의 측방향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볼링공(6)의 입출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부(70)와 제2감지센서부(71)를 구비하여 볼링공(6) 이동시에만 회전부(20)를 작동하거나 정지하므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볼링공 회수기 4 : 레일
10 : 프레임부 12 : 하부프레임
14 : 연결프레임 16 : 상부프레임
20 : 회전부 30 : 제1회전부
32 : 제1구동모터 34 : 제1구동풀리
36 : 제1피동풀리 38 : 제1이동벨트
40 : 제2회전부 42 : 제2구동모터
44 : 제2구동풀리 46 : 제2피동풀리
48 : 제2이동벨트 50 : 이물질제거부
52 : 탈착부 54 : 연결부
56 : 손잡이부 58 : 지지부
60 : 장착부 62 : 커버부
70,71 : 제1,제2감지센서부 72 : 지지브라켓
74 : 케이스 76 : 센서부
80 : 제어부 100 :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Claims (12)

  1. 볼링공 회수기의 출구 측 레일 상에 안착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굴러가는 볼링공을 구르는 회전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볼링공을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회전 이동하는 상기 볼링공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고, 상기 레일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를 탈착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상기 레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볼링공의 일측면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 및
    상기 제1회전부와 다른 속도로 구동하고, 상기 레일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볼링공의 타측면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공의 이물질 제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레일을 기준으로 V자 형상으로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는 서로 간에 1.5 ~ 2.5배의 회전속도 차이를 가지며,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는 상호 간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는,
    동력을 발생하는 제1구동모터;
    상기 제1구동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제1구동풀리;
    상기 제1구동풀리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피동풀리; 및
    상기 제1구동풀리와 상기 제1피동풀리가 감겨져 회전하므로 상기 볼링공을 접촉 회전시키는 제1이동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는,
    동력을 발생하는 제2구동모터;
    상기 제2구동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제2구동풀리;
    상기 제2구동풀리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피동풀리; 및
    상기 제2구동풀리와 상기 제2피동풀리가 감겨져 회전하므로 상기 볼링공을 접촉 회전시키는 제2이동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마련된 상부프레임에 탈착되게 구비되는 탈착부;
    상기 탈착부의 하측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이동하는 상기 볼링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굴곡 형성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외측면을 감싸거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볼링공에 밀착 접촉되므로 이물질을 닦아내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장착부를 지지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상측 단부에서 상기 연결부 배치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U자형 판재 형태를 갖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장착부의 저면에 구비되는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거나 상기 장착부를 감싼 상태에서 쟈크, 단추, 똑딱이 단추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상기 볼링공의 진입과 진출을 감지하는 제1,제2감지센서부가 구비되어 제어부를 통해 상기 회전부를 구동하거나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감지센서부는,
    상기 프레임부 또는 상기 이물질제거부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켓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에 설치되고, 관통공을 통해 상기 볼링공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및 접촉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140106256A 2014-08-14 2014-08-14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KR20160021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256A KR20160021395A (ko) 2014-08-14 2014-08-14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256A KR20160021395A (ko) 2014-08-14 2014-08-14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395A true KR20160021395A (ko) 2016-02-25

Family

ID=55446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256A KR20160021395A (ko) 2014-08-14 2014-08-14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13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5235A (zh) * 2018-04-04 2018-09-14 山东女子学院 一种篮球高效清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5235A (zh) * 2018-04-04 2018-09-14 山东女子学院 一种篮球高效清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552B1 (ko) 매트 권취기
JPH10195835A (ja) ガ−ドレ−ル清掃機
CY1107153T1 (el) Διαταξη χορηγησης δια πετσετακι καθαρισμου
JP2008104627A (ja) 掃除機用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JP2015214155A (ja) 乾式フレキソ印刷版清掃システム及び方法
JP5619081B2 (ja) フィルタ除塵装置
KR20160021395A (ko) 볼링공 이물질 제거장치
JP2004136867A (ja) 車輪洗浄装置
JP2005147546A (ja) 空気調和機
JP5800722B2 (ja) 乗客コンベアの踏板清掃装置
CN209334281U (zh) 一种锂电池极片除尘装置
JP2012176823A (ja) 乗客コンベヤの欄干部清掃装置
KR101545548B1 (ko) 평면 스크린 장치
JP2012188235A (ja) 乗客コンベアのスカートブラシ清掃装置
JP2016038050A (ja) 潤滑油除去回収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
KR200416117Y1 (ko) 권취기바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며 진공 청소기능을구비한 자동 매트 권취 장치
JPH039210B2 (ko)
JP2013094650A (ja) 自動電動コロコロ収去掃除機
KR100601448B1 (ko) 무한궤도가 구비된 로봇 청소기
KR20050088743A (ko) 전동식 물걸레 청소기
CN217922749U (zh) 一种多功能的验布机
KR100906945B1 (ko) 롤 표면 청정도 유지장치
JP2004174073A (ja) パチンコ遊技場のパチンコ島におけるパチンコ玉搬送樋
KR200144840Y1 (ko) 물걸레장치
JP2003276578A (ja) 車輪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