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370A -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370A
KR20160021370A KR1020140106045A KR20140106045A KR20160021370A KR 20160021370 A KR20160021370 A KR 20160021370A KR 1020140106045 A KR1020140106045 A KR 1020140106045A KR 20140106045 A KR20140106045 A KR 20140106045A KR 20160021370 A KR20160021370 A KR 20160021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con
background
game
mo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1466B1 (ko
Inventor
정동헌
김태철
박정호
배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40106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46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1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TCG(Trade Card Game)의 카드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카드의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카드를 화면에 표시하되, 해당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순차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 집합을 포함한다. 이때,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모션 센서의 계측 값에 따라서 동적으로 상기 아이콘이 가려지거나 또는 드러나도록 처리한다.

Description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and mobile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onceal or uncover an icon shown on background of a card in trading card game}
본 발명은 모바일 게임 기술분야에 속한다.
트레이딩 카드 게임(Trading card game, 이하 "TCG"라 함.)은 다양한 일러스트가 그려진 카드에, 각 카드 마다 속성을 정의하였다가, 게이머들끼리 자신의 덱에 준비된 카드들을 가지고서 서로 대결함으로써 진행되는 게임을 칭한다.
대체로 TCG 카드들에는 아름다운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어, 사용자의 수집욕을 자극하며, 거래 또는 교환을 통해 카드를 수집하는 재미를 느끼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매직 더 개더링"이 TCG의 대표적인 예이다. 트레이드가 되지 않는 게임을 별도로 컬렉터블 카드 게임(Collectible Card Game, CCG)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TCG는 종래에는 두꺼운 종이에 인쇄된 카드를 가지고서, 오프라인에서 게이머들끼리 대결하는 방식으로 게임 플레이가 이루어졌으며, 외국에서는 프로 선수들이 왕성하게 활동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TCG가 게임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개발되어 유통되기도 한다. 그 과정에서, 각 카드에 속성과 일러스트가 인쇄되어 있는 기존의 TCG와 달리, 카드 자체를 성장시키거나, 일러스트를 변화시키는 등의 요소들이 도입되기도 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TCG는 휴대가 용이하며, 화면의 크기가 작은 스마트폰과 마침 좋은 상성을 보인다. TCG의 조작 방식이 복잡하지 않은데다, 스마트폰이 카드들을 수집하였다가 한장씩 꺼내서 감상하기에 적합한 하드웨어 환경을 가지고 있어, 최근에는 스마트폰 기반으로 TCG들이 하나씩 개발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러한 스마트폰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전통적인 입력수단이 빠지는 대신에, 터치스크린과 모션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등의 몇 가지 센서를 가지고 있어서, 제스쳐 입력 등 기존의 개인용 컴퓨터에서는 할 수 없었던 조작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TCG를 모바일로 재현함에 있어, 이러한 모바일의 하드웨어적인 특성을 활용한다면, 모바일에 최적화된 TCG 유저 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83009호는 이러한 취지에서 개발된 것으로서, 모바일을 쥐고 있는 각도에 따라서 카드의 이미지를 변경시켜 줌으로써 보는 각도에 따라서 이미지의 모양이 달라지는 렌티큘러(Lenticular) 기법을 에뮬레이션한다.
하지만, 상기 공개특허는 화면상에 보여지는 카드의 이미지를 단순히 변화시키는 것에서 그칠 뿐이며, 모바일 TCG 게임의 조작이나 진행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의 적극적인 개선을 이루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3-0083009 "온라인 게임 캐릭터 정보를 이용한 트레이드 카드 게임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6-0116629 "수집 및 교환형 카드 게임의 게임 데이터의 온라인 오프라인 상호 전환" 문헌 3.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9-0109811 "게임용 카드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을 통해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에 최적화된 TCG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의 모션 센서를 이용한 모션 입력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여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을 숨기거나 또는 드러내는 TCG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드의 배경에 표시된 아이콘을 게임 플레이시 반영함으로써, 해당 카드를 덱에 채웠을 때 카드의 배경에 표시된 아이콘이 게임 플레이의 변수로 작용하도록 하는 TCG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션 센서; 및 프로세서;를 구비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TCG(Trade Card Game)의 카드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을 표시하며, 상기 모션 센서의 계측 값에 따라서 동적으로 상기 아이콘이 가려지거나, 또는 드러나도록 처리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는, 상기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과 배경 오브젝트를 표시 - 이때, 상기 배경 오브젝트의 깊이 값이 상기 아이콘의 깊이 값보다 큼 - 하되, 모션 센서의 계측 값에 따라서, 상기 배경 오브젝트 또는 상기 아이콘을 동적으로 화면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아이콘을 숨기거나 드러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는 깊이 값이 서로 다른 두 레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의 배경을 표시하되,
깊이 값이 작은 레이어에 아이콘을 표시하고, 깊이 값이 큰 레이어에 배경 오브젝트를 표시하되, 상기 모션 센서의 계측 값에 따라, 미리 준비된 상기 배경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처리 - 상기 애니메이션은 상기 배경 오브젝트가 표시된 레이어의 투명 영역이 줄어들거나 늘어나도록 구성됨 - 함으로써 상기 아이콘을 숨기거나 드러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TCG의 카드 열람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카드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카드를 화면에 표시하되,
해당 카드의 속성 정보로부터 배경에 특정 아이콘을 표시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속성값을 독출하여,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을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수행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다음 단계를 처리하기 위한 명령어 집합을 갖는다.
S10) TCG(Trade Card Game)의 카드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카드의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이때, 상기 선택된 카드의 데이터로부터 배경에 특정 아이콘을 표시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속성값을 독출한다.
S20) 상기 선택된 카드를 화면에 표시하되, 해당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이때, 모션 센서의 계측 값에 따라서 동적으로 상기 아이콘이 가려지거나 또는 드러나도록 처리한다.
S30) 사용자에 의하여 둘 이상의 카드가 선택되어 덱이 구성됨에 따라, 구성된 덱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를 처리하는 단계. 이때, 배경에 아이콘이 표시된 카드의 사용시 해당 아이콘에 대응하는 효과를 반영한다.
이때, S20 단계는 서로 다른 깊이 값을 갖는 둘 이상의 레이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레이어 가운데 깊이 값이 작은 레이어에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모션 센서의 계측 값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레이어를 화면 상에서 동적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상기 아이콘을 숨기거나 드러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S20 단계는 서로 다른 깊이 값을 갖는 둘 이상의 레이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레이어 가운데 깊이 값이 작은 레이어에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모션 센서의 계측 값에 따라서, 깊이 값이 큰 레이어에 미리 준비된 애니메이션을 표시하여 상기 깊이 값이 큰 레이어의 투명 영역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아이콘을 숨기거나 드러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모바일에 내장된 센서의 계측값에 따라, 모바일 TCG 게임 내에서 수집한 카드들에 다양한 효과를 주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수집욕을 자극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카드에 표시된 캐릭터의 배경에, 해당 카드에 랜덤하게 부여되는 속성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되, 이를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해당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또는 숨겨지도록 처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카드에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지 여부와, 해당 속성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모바일을 흔드는 등의 모션 조작을 통해 조심스럽게 열어서 확인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카드를 획득하거나, 사용할 때의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서 캐릭터에 랜덤하게 속성을 부여하고, 카드 사용시에 부여된 속성을 반영해줌으로써 종래기술에 의한 TCG가 제공할 수 없었던 다이나믹한 게임 조작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종류와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션 입력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
도 4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이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배경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숨기는 과정을 부연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배경 아이콘이 표시된 카드를 이용한 게임 플레이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모션 입력에 따라 TCG 카드의 배경 아이콘이 가려지거나 드러나도록 처리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사용자가 수집한 다수의 카드들을 펼친 모습을 예시하는 도면,
도 9는 배경 아이콘이 표시된 카드를 이용한 게임 플레이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지의 TCG 게임 프로그램의 유저 인터페이스와 비교할 때에,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란 모션 입력을 지원하며, TCG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자원을 의미한다.
도 1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종류와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공지의 스마트폰이나 타플렛 컴퓨터가 우선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의를 만족한다. 이외에도 상기의 정의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그 명칭이나 형태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 모션 입력이란 모바일 디바이스 자체를 쥐고서 흔들거나 기울이는 등의 동작을 통한 입력을 의미한다.
도 2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션 입력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모션 입력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각종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나 기울기를 감지함으로써 처리된다.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를 좌우로 흔들거나,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비스듬하게 옆으로 기울이는 등의 동작을 감지하여, 이를 사용자 입력값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모션 센서란 모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의미한다. 공지의 G센서 등이 이에 속한다. 이외에도, 모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라면 이외에도 다른 유형의 센서들이 이에 포함될 수 있으며, 그 명칭에 구애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몇 가지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TCG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는 프로세서(11), 모션 센서(12), 메모리(13), 디스플레이(14), 스피커(15)를 구비한다.
프로세서(11)는 통상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라 지칭되며, 컴퓨터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들을 실행한다.
모션 센서(12)의 정의는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메모리(13)는 실행할 컴퓨터 프로그램 데이터를 적재하기 위한 공간이다. 공지의 스마트폰은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적재하기 위한 비휘발성의 플래쉬 메모리와,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나누어 구비하기도 한다.
디스플레이(14)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공지의 스마트폰은 입력장치이자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인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스피커(15)는 청각적으로 인지가 가능하도록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로,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내장된다.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11)는 TCG 게임 프로그램 데이터를 메모리(13)에 적재하여 실행시켜, 디스플레이(14) 및 스피커(15)를 통해 재생한다.
이때, 모션 센서(12)의 계측값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는 사용자가 선택한 TCG 카드를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모션 센서(12)의 계측 값에 따라서 동적으로 상기 아이콘이 가려지거나, 또는 드러나도록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11)는, 우선 상기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과 배경 오브젝트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배경 오브젝트의 깊이 값이 상기 아이콘의 깊이 값보다 크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를 쥔 채로 모션 입력을 함에 따라, 프로세서(11)는 모션 센서(12)의 계측 값에 따라서, 상기 배경 오브젝트 또는 상기 아이콘을 동적으로 화면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아이콘을 숨기거나 드러낼 수 있다.
또는, 깊이 값이 서로 다른 두 레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의 배경을 표시하되, 깊이 값이 작은 레이어에 아이콘을 표시하고, 깊이 값이 큰 레이어에 배경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프로세서(11)는 모션 센서(12)의 계측 값에 따라, 미리 준비된 상기 배경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애니메이션은 상기 배경 오브젝트가 표시된 레이어의 투명 영역의 크기나 위치가 변화하도록 구성된다.
즉, 애니메이션이 표시됨에 따라 배경 오브젝트의 면적이 넓어져서 아이콘을 가리거나, 또는 배경 오브젝트가 이동하여 아이콘을 가릴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10)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수행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이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본 발명은 TCG(Trade Card Game)의 카드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카드의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S10),
상기 선택된 카드를 화면에 표시하되, 해당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S20),
사용자에 의하여 둘 이상의 카드가 선택되어 덱이 구성됨에 따라, 구성된 덱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를 처리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TCG 게임은 덱(Deck)을 구성하여 게임 플레이를 진행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사용자가 수집한 카드들을 하나씩 골라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감상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각각 포함한다.
사용자가 수집한 카드들을 골라서 감상하기 위한 화면(이하, "카드 열람 화면"이라 칭한다.)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선택된 카드를 화면에 표시한다.
S1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의 데이터로부터 배경에 특정 아이콘을 표시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속성값을 독출한다.
예컨대, 상기 속성값은 아이콘의 표시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와, 다수의 아이콘 가운데 어느 하나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S2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상기 속성값에 따라서 아이콘을 표시할 것인지 여부 또는 표시할 아이콘의 종류를 판정하고, 이에 따라서 표시하여야 할 아이콘을 캐릭터 뒤 편의 배경에 표시한다.
이때, 모션 센서의 계측 값에 따라서 동적으로 상기 아이콘이 가려지거나 또는 드러나도록 처리한다.
도 7은 모션 입력에 따라 TCG 카드의 배경 아이콘이 가려지거나 드러나도록 처리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카드 열람 화면에서 사용자가 카드를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카드가 화면에 표시된 모습을 예시한다.
이때, 일부 카드는 배경에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아이콘은 카드의 배경에 표시되는데, 사용자가 모션 입력을 함에 따라 가려지거나 또는 드러나도록 처리된다.
예컨대, 디폴트로는 구름와 같은 배경 오브젝트에 살짝 가리워져 있다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를 잡고서 좌우로 흔들면 구름이 옆으로 이동하면서 가리워진 아이콘이 드러나도록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아이콘이 반 이상 가려진 채로 표시되면, 사용자는 해당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이 숨겨져 있음을 바로 알아차릴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아이콘이 구체적으로 어떤 모양의 아이콘인지는 식별할 수가 없다.
그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를 흔드는 등의 모션 입력을 함으로써 아이콘을 가린 배경 오브젝트를 옆으로 치워 아이콘의 모양을 명확히 식별할 수 있다.
배경 아이콘은 카드의 획득시 또는 TCG 게임 플레이 과정에서의 카드의 성장에 따라 랜덤하게 부여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카드 열람 화면에서 자신이 수집한 카드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였을 때에, 배경에 숨겨진 아이콘이 있는 것을 발견하면 자신의 카드에 변화가 있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그 변화가 어떤 것인지는 그 즉시 알 수 없으며, 모션 입력 과정을 거쳐 아이콘을 가린 배경 오브젝트를 옆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어떤 아이콘인지를 알 수 있게끔 하는 것이다.
이는 마치, 즉석 복권을 긁어야 결과를 알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재미를 주는 요소에 해당한다.
아이콘을 가리거나 드러내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모션 입력에 따라 배경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숨기는 과정을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아이콘의 그래픽 이미지와 배경 오브젝트의 그래픽 이미지를 준비하여 화면에 표시한다(S21).
이때, 배경 오브젝트의 Z오더가 그래픽 이미지의 Z오더보다 큰 값을 갖는다.
Z 오더(Z order)는 깊이(Depth) 값, Z 값이라 불리기도 하며, 둘 이상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화면에 표시할 때에, 어느 것이 어느 것의 위에 오도록 표시될 것인지를 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는 값을 의미한다.
깊이 값이 작으면 아래에 표시되며, 반대로 깊이 값이 크면 그 위에 표시된다.
즉, 카드의 배경에 우선 아이콘을 표시하고, 그 위에 배경 오브젝트를 덮어서 표시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를 쥐고서 모션 입력을 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모션 센서(12)의 계측값에 따라 배경 오브젝트를 동적으로 움직여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콘을 가리게끔 하거나, 또는 반대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브젝트가 드러나도록 한다(S22).
즉, 아이콘은 그 자리에 표시된 채로, 배경 오브젝트를 동적으로 이동시킨다.
S22 단계에서는, 이와 반대로 배경 오브젝트를 그 자리에 둔 채로, 모션 입력에 따라 아이콘을 동적으로 움직여 배경 오브젝트의 바깥쪽으로 나오도록 하거나, 배경 오브젝트의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또는, S22 단계에서 레이어를 나누어서 깊이 값이 작은 레이어에 아이콘을 표시하고, 깊이 값이 큰 레이어에 배경 오브젝트를 표시하되, 모션 입력에 따라 미리 준비된 배경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처리한다. 이에 의해 배경 오브젝트가 표시된 레이어의 투명 영역이 줄어들거나 늘어나도록 한다거나, 투명 영역의 위치가 바뀌게끔 하여 아이콘이 드러나거나 숨겨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는 TCG 게임 상의 카드 열람 화면에서 자신이 수집한 카드들을 한 장씩 골라서 화면에 표시하고 감상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게임 진행을 위하여, 자신이 수집한 카드들을 한 화면상에 늘어놓고서 그 가운데 덱을 구성할 카드들을 고를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가 수집한 다수의 카드들을 펼친 모습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는 사용자가 수집한 카드들이 일렬로 표시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가운데에는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배경에 아이콘이 숨겨져 표시되는 카드도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나열된 카드들의 속성이나 덱 구성시의 제약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카드들을 선정하여 덱을 구성한다.
덱이 구성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10)를 이용하여 게임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다른 사용자와 대전을 하거나, 또는 싱글 플레이 모드에서 인공지능과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S3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카드들 가운데 일부를 선택하여 덱을 구성함에 따라, 구성된 덱을 이용한 게임 플레이를 처리한다.
도 9는 배경 아이콘이 표시된 카드를 이용한 게임 플레이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덱을 구성하는 카드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에 의하여 대전 상대방과 겨루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통상 카드들은 종족, 레벨, 희귀도, 파워, 스킬과 같은 속성을 가지며, 이러한 속성들은 미리 정해진다. 이러한 카드들의 속성은 대전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때, 배경 아이콘이 표시된 카드가 사용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는 해당 카드의 기본 속성에 배경 아이콘에 대응하여 소정의 효과를 더 반영할 수 있다.
예컨대, 배경 아이콘은 방어력 증가, 공격 회피, 소환과 같은 특수 속성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배경 아이콘이 표시된 카드가 사용되는 경우, 해당 카드의 기본 속성에 이와 같은 배경 아이콘의 속성을 더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화면 예시도는, 배경 아이콘이 표시된 카드가 사용됨에 따라 해당 카드의 배경에 표시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효과가 더해져 대전시에 반영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한편, 더 나아가 해당 카드를 선택하여 덱을 구성했을 때, 또는 해당 카드가 사용될 때 등 일정한 시점에, 짧은 시간(예컨대, 0.5초 내지 1초) 동안 모션 입력을 받아, 반영되는 효과의 정도나 종류를 달리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펴본 예에 의할 때에는, 배경 아이콘이 표시되는 카드는 사용시 해당 아이콘에 상응하는 효과가 부여되는데, 그 효과의 크기는 통상 랜덤하게 정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게임 플레이에 적극 가담하여 조작할 수 있는 여지는 없다.
그러나, 이를 개선하여 일정 시간동안 모션 입력을 받아 입력된 값에 따라서 배경 아이콘에 따른 효과의 크기나 종류를 달리할 수 있다.
즉, 모션 센서(11)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모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효과의 반영시 차등을 두는 것이다.
특히, 상기 사용자의 모션 입력이 기 정의된 제스쳐 가운데 어느 것에 대응되는지 매칭한 다음, 매칭된 제스쳐에 따라 효과의 반영시 차등을 둠으로써, 다소 정적인 플레이 방식을 갖는 TCG에서 다이나믹한 게임 플레이 조작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배경 아이콘이 표시되는 카드를 포함하여 덱을 구성함으로써, 상대방과의 대결시 해당 카드를 사용하게 되면, 해당 카드의 사용 직전의 짧은 시간 동안 모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제스쳐 매칭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어진 시간 동안 원모양을 그리는데 성공하면 해당 카드의 사용시 반영되는 효과의 크기를 100%로 한다거나, 또는 실패할 경우 0%로 하는 등의 제스쳐 매칭이 가능할 것이다.
또는, 주어진 시간 동안 좌우로 흔들면 흔든 회수에 비례하여 효과의 크기나 종류를 달리 정하는 방법으로 제스쳐 매칭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배경 아이콘이 표시된 카드를 이용한 게임 플레이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S3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배경 아이콘이 표시된 카드가 선택되거나 사용됨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모션 입력을 받는다(S31).
이후, 상기 사용자의 모션 입력이 기 정의된 제스쳐 가운데 어느 것에 대응되는지 매칭한다(S32).
그리고, 매칭된 제스쳐에 따라 상기 배경 아이콘에 대응하여 반영되는 효과의 종류나 크기를 동적으로 결정한다(S33).
복잡하거나 어려운 제스쳐 입력이 성공했을 경우 반영되는 효과의 크기를 크게 한다거나, 사용자에게 더 유리한 종류의 효과가 반영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DVD-ROM, CD-ROM, 하드 디스크, USB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유형물을 들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수록된다는 표현은 이와 같은 유형의 기록매체에 수록되는 경우는 물론, 무형의 반송파(Carrier Wave)의 형태로 통신회선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게임 소프트웨어 기술분야, 특히 모바일 게임 소프트웨어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0 : 모바일 디바이스
11 : 프로세서
12 : 모션 센서
13 : 메모리
14 : 디스플레이
15 : 스피커

Claims (15)

  1. TCG(Trade Card Game)의 카드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카드의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카드를 화면에 표시하되, 해당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모션 센서의 계측 값에 따라서 동적으로 상기 아이콘이 가려지거나 또는 드러나도록 처리하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수행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깊이 값을 갖는 둘 이상의 레이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레이어 가운데 깊이 값이 작은 레이어에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모션 센서의 계측 값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레이어를 화면 상에서 동적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상기 아이콘을 숨기거나 드러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수행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깊이 값을 갖는 둘 이상의 레이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레이어 가운데 깊이 값이 작은 레이어에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모션 센서의 계측 값에 따라서, 깊이 값이 큰 레이어에 미리 준비된 애니메이션을 표시하여 상기 깊이 값이 큰 레이어의 투명 영역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아이콘을 숨기거나 드러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수행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4. 제 2항 또는 제 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카드의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선택된 카드의 데이터로부터 배경에 특정 아이콘을 표시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속성값을 독출하며,
    상기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속성값에 따라 아이콘을 표시할 것인지 여부 또는 표시할 아이콘의 종류를 판정하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수행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5. 제 1항에 있어서,
    해당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TCG의 카드 열람 화면상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카드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카드를 화면에 표시하되, 해당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수행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6. 제 5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둘 이상의 카드가 선택되어 덱이 구성됨에 따라, 구성된 덱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게임 플레이를 처리하는 단계에서는 배경에 아이콘이 표시된 카드의 사용시 해당 아이콘에 대응하는 효과를 반영하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수행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플레이를 처리하는 단계에서는, 배경에 아이콘이 표시된 카드의 사용시 해당 아이콘에 대응하는 효과를 반영함에 있어, 상기 모션 센서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모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효과의 반영시 차등을 두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수행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션 입력이 기 정의된 제스쳐 가운데 어느 것에 대응되는지 매칭한 다음, 매칭된 제스쳐에 따라 효과의 반영시 차등을 두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수행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모션 센서; 및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TCG(Trade Card Game)의 카드를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을 표시하며,
    상기 모션 센서의 계측 값에 따라서 동적으로 상기 아이콘이 가려지거나, 또는 드러나도록 처리하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드를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
    상기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과 배경 오브젝트를 표시 - 이때, 상기 배경 오브젝트의 깊이 값이 상기 아이콘의 깊이 값보다 큼 - 하되, 모션 센서의 계측 값에 따라서, 상기 배경 오브젝트 또는 상기 아이콘을 동적으로 화면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아이콘을 숨기거나 드러내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드를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
    깊이 값이 서로 다른 두 레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의 배경을 표시하되,
    깊이 값이 작은 레이어에 아이콘을 표시하고, 깊이 값이 큰 레이어에 배경 오브젝트를 표시하되, 상기 모션 센서의 계측 값에 따라, 미리 준비된 상기 배경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처리 - 상기 애니메이션은 상기 배경 오브젝트가 표시된 레이어의 투명 영역이 줄어들거나 늘어나도록 구성됨 - 함으로써 상기 아이콘을 숨기거나 드러내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TCG의 카드 열람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카드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카드를 화면에 표시하되,
    해당 카드의 속성 정보로부터 배경에 특정 아이콘을 표시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속성값을 독출하여, 카드의 배경에 아이콘을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배경에 아이콘이 표시된 카드를 포함하여 덱이 구성됨에 따라,
    TCG 게임 플레이시, 해당 카드가 사용될 때 상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효과를 반영하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TCG 게임 플레이시, 상기 배경에 아이콘이 표시된 카드가 선택되거나 사용되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모션 센서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모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효과의 반영시 차등을 두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션 입력이 기 정의된 제스쳐 가운데 어느 것에 대응되는지 매칭한 다음, 매칭된 제스쳐에 따라 효과의 반영시 차등을 두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140106045A 2014-08-14 2014-08-14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01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045A KR101601466B1 (ko) 2014-08-14 2014-08-14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045A KR101601466B1 (ko) 2014-08-14 2014-08-14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370A true KR20160021370A (ko) 2016-02-25
KR101601466B1 KR101601466B1 (ko) 2016-03-09

Family

ID=5544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045A KR101601466B1 (ko) 2014-08-14 2014-08-14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4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0499A (zh) * 2017-11-17 2018-06-15 深圳依偎控股有限公司 3d应用图标的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9388314A (zh) * 2017-08-14 2019-02-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隐藏功能启动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629A (ko) 2005-05-11 2006-11-15 (주)게임과사람들 수집 및 교환형 카드 게임의 게임 데이터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호 전환
KR20090109811A (ko) 2008-04-16 200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임용 카드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을 통해 게임 서비스를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083009A (ko) 2011-12-27 2013-07-2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 게임 캐릭터 정보를 이용한 트레이드 카드 게임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09629A (ko) * 2013-07-01 2015-01-2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트레이드 카드 게임에서의 홀로그램 이미지 제공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629A (ko) 2005-05-11 2006-11-15 (주)게임과사람들 수집 및 교환형 카드 게임의 게임 데이터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호 전환
KR20090109811A (ko) 2008-04-16 200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임용 카드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을 통해 게임 서비스를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083009A (ko) 2011-12-27 2013-07-2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 게임 캐릭터 정보를 이용한 트레이드 카드 게임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09629A (ko) * 2013-07-01 2015-01-2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트레이드 카드 게임에서의 홀로그램 이미지 제공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8314A (zh) * 2017-08-14 2019-02-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隐藏功能启动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170499A (zh) * 2017-11-17 2018-06-15 深圳依偎控股有限公司 3d应用图标的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466B1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6169B2 (en) Characterization of player type by visual attributes
US20190381398A1 (en) Video game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game processing program product
JP2019535351A (ja) 座標攻略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3144601A (zh) 虚拟场景中的表情显示方法、装置、设备以及介质
KR101601466B1 (ko) 모션센서를 이용한 카드게임 배경 아이콘 숨김 기능을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JP2024023652A (ja) プログラム
WO2022102539A1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2113755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31905B2 (ja) 情報処理方法、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端末
EP2960889A1 (en) Enhanced experience for reading, playing, learning, by combining digital media such as audio, video, with physical form such as books, magazine, board games
JP7482847B2 (ja) プログラム、端末、及びゲームシステム
KR20150009629A (ko)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트레이드 카드 게임에서의 홀로그램 이미지 제공장치 및 그 방법
JP6999722B2 (ja) プログラム、端末、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2020116178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140089460A (ko) 아이템을 제공하는 방법 및 모바일 단말
WO2024103954A1 (zh) 虚拟对局的界面显示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KR102566625B1 (ko) 게이미피케이션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14168623A (ja) 選択結果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選択結果表示装置
JP7402833B2 (ja) プログラム、端末、及びゲームシステム
WO2022176365A1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方法及びサーバ
JP5777768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
JP7223240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894878B2 (ja)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JP6820644B1 (ja) プログラム、端末、サーバ、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6661690B2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