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644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644A
KR20160020644A KR1020140105281A KR20140105281A KR20160020644A KR 20160020644 A KR20160020644 A KR 20160020644A KR 1020140105281 A KR1020140105281 A KR 1020140105281A KR 20140105281 A KR20140105281 A KR 20140105281A KR 20160020644 A KR20160020644 A KR 20160020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lexible panel
folding
display device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479B1 (ko
Inventor
양태훈
정소연
정재완
이기용
이상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5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479B1/ko
Priority to US14/693,367 priority patent/US10281956B2/en
Priority to CN201510329692.9A priority patent/CN106205383A/zh
Priority to CN201910757617.0A priority patent/CN110473472B/zh
Priority to EP15172413.5A priority patent/EP2985671B1/en
Publication of KR2016002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변형부와, 상기 변형부 양측의 평탄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패널과;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패널이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평탄부에 부착된 패널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패널은, 상기 변형부의 최대 변형률이 탄성 구간에 속하도록 미리 인장된 상태로 상기 패널 가이드에 부착되어 지지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Foldable Display Device)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형태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형태로서, 소정의 폴딩영역(folding area)에서 접을 수 있도록 설계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Foldable Display Device)는 휴대가 편리하면서도 확장된 화면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접거나 펼 때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폴딩영역에 집중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폴딩영역에서 패널에 영구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의 영구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변형부와, 상기 변형부 양측의 평탄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패널과;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패널이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평탄부에 부착된 패널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패널은, 상기 변형부의 최대 변형률이 탄성 구간에 속하도록 미리 인장된 상태로 상기 패널 가이드에 부착되어 지지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패널은, 상기 변형부의 최대 변형률이 상기 플렉서블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판들 혹은 필름들의 탄성 구간 내에 속하도록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 가이드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패널은, 평탄하게 펴진 상태에서 상기 변형부를 중심으로 상기 변형부 양 측의 상기 평탄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장력이 인가되도록 상기 평탄부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패널 가이드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평탄부는 일부의 영역만이 상기 패널 가이드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평탄부는 상기 변형부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장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패널 가이드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패널 가이드는,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변형부에 대응하는 폴딩부와,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평탄부에 대응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폴딩부는, 적어도 폴딩 축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도록 각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폴딩부는, 상기 변형부의 최대 곡률 이상의 곡률을 갖도록 라운딩 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폴딩부와 상기 지지부는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폴딩부는 상기 지지부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폴딩부는 적어도 폴딩 축이 위치되는 영역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 혹은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폴딩부와 상기 지지부는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폴딩부는 상기 지지부보다 경도가 작은 연성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폴딩부는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변형부와 완전히 중첩되어 상기 변형부의 일면을 전면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폴딩부는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변형부 일부를 노출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적어도 소정의 변형부에서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도록 설계된 플렉서블 패널을 소정의 장력으로 인장한 상태에서 패널 가이드에 부착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거나 펴는 등의 행위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패널에 가해질 수 있는 최대 장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최대 변형률이 복원 가능한 탄성 구간 내에 속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패널을 미리 소정의 장력으로 인장한 상태에서 패널 가이드에 고정시킨다. 이에 의해, 패널의 영구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영구변형이 발생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I-I' 선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패널 가이드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3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패널 가이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렉서블 패널의 변형률에 따른 스트레스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딩 축(1)을 중심으로 접고 펼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패널(10)과, 상기 플렉서블 패널(10)을 지지하는 패널 가이드(20)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패널(10)은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을 정도의 연성을 가진 필름 소재 등에 기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패널(10)은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화소들로 구성된 표시영역(12)을 포함한다.
표시영역(12)은 일례로, 폴딩 축(1)의 좌우(혹은, 상하)가 연결되어 단일의 화면을 이루도록 상기 폴딩 축(1)을 중심으로 연속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패널 가이드(20)는 플렉서블 패널(10)에 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패널(10)을 지지 및 보호한다. 이러한 패널 가이드(20)는 폴딩 축(1)을 따라 접힐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힌지를 이용하여 접고 펼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은 상태로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어 편의성을 증대시키면서도, 편 상태에서 확장된 화면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접거나 펼 때 발생하는 스트레스(Stress)가 폴딩영역에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폴딩영역에서 플렉서블 패널에 영구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a는 영구변형이 발생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I-I' 선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거나 펼 때 발생하는 스트레스 등에 의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구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거나 펼 때 발생하는 스트레스는 일부 영역에 집중적으로 가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 변형에 따른 스트레스는, 비폴딩영역(B)에는 상대적으로 크게 인가되지 않는 반면, 폴딩 축(1)을 포함하는 폴딩영역(A)에 집중적으로 인가된다.
이에 따라, 특히 폴딩영역(A)에서 플렉서블 패널(10)의 변형률(Strain)이 탄성에 의해 복원 가능한 한계값을 초과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패널(10)은 영구 변형되게 되고, 이후에는 온전한 화면을 구현하지 못하게 된다.
예컨대, 플렉서블 패널(10)의 폴딩영역(A)에는, 폴딩 축(1)이 배치되는 세로 방향을 따라 영구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펴진 상태에서도 플렉서블 패널(10)은 평탄한 화면을 구성하지 못하게 되며, 또한 상기 폴딩영역(A)에서 플렉서블 패널(10)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판들 및/또는 필름들 중 적어도 일부가 분리되면서 화면 불량이 심화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플렉서블 패널(10)의 최대 변형률이 복원 가능한 탄성 구간 내에 속하도록 제한함으로써, 플렉서블 패널(10)의 영구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패널 가이드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3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패널 가이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렉서블 패널의 변형률에 따른 스트레스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우선,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일 영역을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도록 설계된 플렉서블 패널(100)과,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을 지지하는 패널 가이드(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례로 폴딩 축(300)을 중심으로 접고 펼 수 있도록 설계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플렉서블 패널(100)은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변형부(110)와, 상기 변형부(110) 양측의 평탄부(120)를 포함한다.
일례로, 플렉서블 패널(100)은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을 정도의 연성을 가진 필름 소재 등에 기반하여 형성되어 그 자체로는 비교적 자유로운 형태변형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또는 폴리이미드(PI)와 같은 비교적 유연한 필름소재를 얇게 가공하거나 신축성이 뛰어난 탄성중합체 필름(elastomer film) 등을 플렉서블 패널(100)을 구성하는 각종 기판들로 이용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플렉서블 패널(100)의 영역 중,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영역을 변형부(110)로 설정하고, 이외의 영역에 대해서는 평탄부(120)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제(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평탄부(120)의 적어도 일 영역을 상대적으로 단단한 패널 가이드(200)에 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가이드(200)에 부착되지 않은 변형부(110)는 플렉서블 패널(100) 자체가 갖는 연성을 유지할 수 있어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게 되고, 패널 가이드(200)에 부착된 평탄부(120)는 형태 변형은 제한되나 상기 패널 가이드(20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된다.
이 경우, 플렉서블 패널(100)의 변형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영역(A)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설정되고, 평탄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폴딩영역(B)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변형부(110)와 평탄부(120)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평탄부(120)의 형상을 굴곡 없는 평면형태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평탄부(12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진 커브형(Curved) 패널 가이드에 부착되어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패널 가이드(200)는 플렉서블 패널(100)의 적어도 일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을 보호 및 지지한다.
이를 위해, 패널 가이드(200)는 일례로 플렉서블 패널(100)의 배면에서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 가이드(200)는 플렉서블 패널(100)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을 하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이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의 외면을 전반적으로 커버하여 보호할 수 있다.
패널 가이드(200)는 일례로 플렉서블 패널(100)보다 단단하게 형성되어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보호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널 가이드(200)는 플렉서블 패널(100)을 구성하는 각종 기판 소재들보다 경도가 큰 소재로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에 이용된 적어도 일부의 기판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되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에 비해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보다 단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패널 가이드(200)의 소재로는 일례로,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 소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널 가이드(20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소정의 폴딩 축(300)을 중심으로 접을 수 있도록 설계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상기 폴딩 축(300)이 배치되는 소정의 폴딩영역(A)을 제외한 비폴딩영역(A)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플렉서블 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다.
즉, 패널 가이드(200)는 플렉서블 패널(100)과 중첩되되,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의 변형부(110)를 제외한 평탄부(120)의 적어도 일 영역에서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과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널 가이드(200)는 플렉서블 패널(100)의 변형부(110)에 대응하는 폴딩부(210)와,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의 평탄부(120)에 대응하는 지지부(220)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영역(A)에는 플렉서블 패널(100)의 변형부(110) 및 패널 가이드(200)의 폴딩부(210)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폴딩영역(B)에는 플렉서블 패널(100)의 평탄부(120) 및 패널 가이드(200)의 지지부(220)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패널 가이드(200)의 폴딩부(210)는 미리 설정된 폴딩 축(300)을 따라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혹은 힌지를 이용하여 접고 펼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가이드(200)의 폴딩부(210)는 적어도 폴딩 축(300)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도록 각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폴딩부(21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폴딩 축(300)을 따라 각지게 꺾인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이때, 패널 가이드(200)의 폴딩부(210)는 플렉서블 패널(100)의 변형부(110)가 접혀서 최대로 늘어났을 때를 감안하여, 상기 변형부(110)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표면적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단, 상기 패널 가이드(200)의 폴딩부(210)가 변형부(110)를 완전히 커버하도록 설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가이드(200)의 폴딩부(210)는 폴딩영역(A) 전반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폴딩부(210)는 플렉서블 패널(100)의 변형부(110)와 완전히 중첩되어 상기 변형부(110)의 일면을 전면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하지만, 폴딩부(210)가 변형부(110)를 완전히 커버하도록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가이드(200)의 폴딩부(210)는 폴딩영역(A)에서 일부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폴딩부(210)는 폴딩영역(A)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딩부(210)는 상기 개구부(214)가 형성된 영역에서 플렉서블 패널(100)의 변형부(110)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다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패널 가이드(200)는 보다 용이하게 접고 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구조가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패널 가이드(200)의 형태를 설계함에 있어, 폴딩부(210)와 지지부(220)의 경계를 따라 각지게 꺾일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패널 가이드(200)를 보다 용이하게 접고 펼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패널 가이드(200)의 폴딩부(210)에는 적어도 폴딩 축(300)이 위치되는 영역에 하나 이상의 홈이나 슬릿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폴딩부(210)에는 폴딩 축(300)에 대응하는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폴딩부(210)의 두께를 지지부(22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는 등에 의해 폴딩부(210)의 유연성을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정도의 유연성을 가진 플렉서블 패널(100)을, 소정의 폴딩영역(A)에서 용이하게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도록 설계된 패널 가이드(200)에 부착함에 의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 플렉서블 패널(100)은 소정의 장력이 인가되어 인장된 상태(즉, 늘어난 상태)에서 패널 가이드(200)에 부착된다.
특히,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은 접거나 펴는 등의 행위에 의해 가해질 수 있는 최대 장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최대 변형률이 탄성 구간 내에 속하도록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장력으로 인장된 상태에서 평탄부(120)의 적어도 일 영역이 패널 가이드(200)의 지지부(220)에 부착되어 지지된다.
여기서, 탄성 구간이라 함은, 플렉서블 패널(100) 자체의 탄성으로 인한 형태 복원이 가능한 변형률 범위 내에서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이 변형되는 구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탄성 구간은 재료의 물성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서, 플렉서블 패널(100)에 이용될 수 있는 기판 소재들의 각 구간별 변형률의 예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적층 재료 탄성 구간의 변형률 영구 변형 구간의 변형률
PC 0 ~ 4.2 [%] 4.2 ~ 11.19 [%]
PET 0 ~ 2.7 [%] 2.7 ~ 8.62 [%]
PI 0 ~ 2.0 [%] 2.0 ~ 35.95 [%]
Pol. 0 ~ 2.91 [%] 2.91 [%]
상기 [표 1]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편광판류(Pol.) 등, 플렉서블 패널(100)의 적층구조에 포함될 수 있는 필름 소재들의 탄성 구간 및 영구 변형 구간에 속하는 변형률의 범위를 측정한 측정 값의 예이다.
다만, 플렉서블 패널(100)이 자체적으로 복원 가능한 탄성 구간의 범위는,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을 구성하는 각종 기판 소재들에 따라 종합적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탄성 구간이라 함은 자체적으로 복원이 가능한 구간으로서, 도 5의 변형률에 따른 스트레스 곡선에서의 선형 구간에 대응된다. 이러한 탄성 구간 내에 속하는 변형률로 각 필름 소재들을 변형시키게 되면, 이들은 소정의 장력이 제거되는 경우 자체의 복원력으로 원상 복귀될 수 있다.
한편, 영구 변형 구간이라 함은 변형 후 자체적으로 복원이 불가능한 구간으로서, 도 5의 변형률에 따른 스트레스 곡선에서 탄성 구간과 파단(break) 사이의 비탄성 구간에 대응된다. 이러한 영구 변형 구간에 속하는 변형률로 각 필름 소재들을 변형시키게 되면, 이들은 소정의 장력이 인가되었다가 제거되더라도 자체의 복원력으로 원상 복귀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영구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영구 변형 구간의 최대치를 넘는 변형률로 각 필름 소재들을 변형시키게 되면, 파단(break)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패널(100)의 영구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플렉서블 패널(100)의 최대 변형률이 탄성 구간에 속하도록 제한하여야 한다.
일례로, 플렉서블 패널(100)의 최대 변형률이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을 구성하는 기판 소재들 모두가 탄성 구간에 속하는 변형률의 최대치(예컨대, 표 1에서 2.0[%])를 최대 변형률로 설정하고,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이 상기 최대 변형률 이하의 범위 내에서만 변형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의 주요 기판 소재들만을 고려하여 최대 변형률을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 일반적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변형에 따른 스트레스가 폴딩영역(A)에 집중적으로 인가되면서 플렉서블 패널(100)의 변형부(110)가 탄성 구간을 벗어나 영구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변형부(110)의 최대 변형률이 탄성 구간 내에 속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 패널(100)을 평탄하게 펼친 상태에서 변형부(110)로부터 양측의 평탄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미리 인장하여 상기 평탄부(120)를 패널 가이드(200)에 부착한다.
예컨대,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의 변형부(110)에 적용될 수 있는 최대 변형률이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판들 혹은 필름들의 탄성구간 내에 속하도록 인장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의 평탄부(120)를 패널 가이드(200)에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의 평탄부(120)가 인장되면서 발생한 변형률은 일례로 탄성 구간에 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만, 평탄부(120)는 패널 가이드(20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반드시 상기 평탄부(120)가 탄성구간에 속하는 정도로 인장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 패널(100)을 미리 인장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의 평탄부(120)를 패널 가이드(200)에 부착하게 되면, 일반적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변형부(110)에 집중되었던 스트레스가 분산되고 상기 변형부(110)의 최대 변형률이 탄성 구간에 속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에 최대 장력이 인가되는 상태,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도 변형부(110)의 최대 변형률이 탄성 구간에 속하는 정도로 제한되어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의 영구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는 변형부(110)의 변형률이 약화되거나, 상기 변형부(110)가 원상태로 복원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플렉서블 패널(100)의 변형부(110)에 적용될 수 있는 최대 변형률이 탄성구간에 속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을 미리 인장한 상태로 패널 가이드(200)에 부착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의 영구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패널(100)을 인장하여 패널 가이드(200)에 부착함에 있어, 중앙의 변형부(110)로부터 양측의 평탄부(120)를 향하는 두 방향으로의 장력이 균일하게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패널(100)과 패널 가이드(200)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패널(100)은, 평탄하게 펴진 상태에서 중앙의 변형부(110)로부터 양측의 평탄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장력이 인가되도록 상기 평탄부(110)의 적어도 일 영역이 패널 가이드(200)에 부착되되, 양 방향으로의 장력이 균일하게 인가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패널(100)의 변형부(120)와 패널 가이드(200)의 지지부(220)는 비폴딩영역(B)에서 전면적으로 서로 접착되거나, 혹은 비폴딩영역(B)의 일부 영역에서만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영역의 위치나 면적에 따라 플렉서블 패널(100)이 받게 되는 스트레스와 변형률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고 펼 때 발생하는 스트레스 및 변형률을 고려하여 접착영역 및 그 면적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플렉서블 패널(100)을 패널 가이드(200)에 부착함에 있어, 변형부(110)로부터 양측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장력이 가해지도록 인장한 상태에서 평탄부(120)를 패널 가이드(200)에 부착하게 되면 플렉서블 패널(100)과 패널 가이드(200)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례로 플렉서블 패널(100)의 폴딩 축(300)을 중심으로 양측 방향으로 균등한 장력을 인가하면서 평탄부(120)를 전면적으로 패널 가이드(200)에 부착할 수 있다.
혹은, 플렉서블 패널(100)의 평탄부(120)를, 변형부(110)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일부의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패널 가이드(200)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이때, 플렉서블 패널(100)과 패널 가이드(200)의 접착영역은 폴딩 축(300)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평탄부(120)의 일부 영역만을 패널 가이드(200)에 부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고 펼 때 발생하는 스트레스 및 변형률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때 변형부(110), 특히 폴딩 축(300)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평탄부(120)를 패널 가이드(200)에 부착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부(110) 양측의 평탄부(120)를 폴딩 축(300)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제1 영역들(120a), 제2 영역들(120b) 및 제3 영역들(120c)로 대칭이 되게 구분한 뒤,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들(120a, 120b, 120c) 중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패널 가이드(200)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플렉서블 패널(100)의 변형에 따른 스트레스를 양측으로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다.
한편, 도 3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6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태나 구조 등이 일부 변경 실시될 수도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를 설명할 때,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패널 가이드(200')의 폴딩부(210')는 각지게 꺾인 형태로 형성되는 대신, 소정의 곡률을 갖는 완만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부(210')는 플렉서블 패널(100)의 변형부(110)가 갖는 최대 곡률 이상의 곡률을 갖도록 라운딩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 가이드(200')는 폴딩영역(A)을 축으로 하여 용이하게 접히면서도 상기 폴딩영역(A)에서 플렉서블 패널(100)의 변형부(110)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폴딩부(210')와 지지부(220)는 상이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폴딩부(210')는 지지부(220)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폴딩부(210')의 유연성이 향상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구부리거나 접고 펼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서 폴딩부(210')와 지지부(220)는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패널 가이드(200)가 폴딩부(210, 210')와 지지부(220)를 포함한 전 영역에서 일체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와 같이, 패널 가이드(200")는 폴딩부(210")와 지지부(220)가 상이한 물질로 구성되어 이종 접합되는 형태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폴딩부(210")는 지지부(220)보다 경도가 작은 연성의 물질, 일례로 고무 등으로 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100: 플렉서블 패널 110: 변형부
120: 평탄부 20, 200: 패널 가이드
210: 폴딩부 220: 지지부

Claims (15)

  1.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변형부와, 상기 변형부 양측의 평탄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패널과;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패널이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평탄부에 부착된 패널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패널은, 상기 변형부의 최대 변형률이 탄성 구간에 속하도록 미리 인장된 상태로 상기 패널 가이드에 부착되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패널은, 상기 변형부의 최대 변형률이 상기 플렉서블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판들 혹은 필름들의 탄성 구간 내에 속하도록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 가이드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패널은, 평탄하게 펴진 상태에서 상기 변형부를 중심으로 상기 변형부 양 측의 상기 평탄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장력이 인가되도록 상기 평탄부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패널 가이드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는 일부의 영역만이 상기 패널 가이드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는 상기 변형부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장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패널 가이드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가이드는,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변형부에 대응하는 폴딩부와,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평탄부에 대응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적어도 폴딩 축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도록 각진 형태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변형부의 최대 곡률 이상의 곡률을 갖도록 라운딩 된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와 상기 지지부는 상이한 두께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지지부보다 얇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적어도 폴딩 축이 위치되는 영역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 혹은 슬릿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와 상기 지지부는 상이한 물질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지지부보다 경도가 작은 연성의 물질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변형부와 완전히 중첩되어 상기 변형부의 일면을 전면적으로 커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변형부 일부를 노출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05281A 2014-08-13 2014-08-13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90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281A KR102290479B1 (ko) 2014-08-13 2014-08-13 디스플레이 장치
US14/693,367 US10281956B2 (en) 2014-08-13 2015-04-22 Display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panel
CN201510329692.9A CN106205383A (zh) 2014-08-13 2015-06-15 具有柔性显示面板的显示装置
CN201910757617.0A CN110473472B (zh) 2014-08-13 2015-06-15 制造可折叠显示装置的方法
EP15172413.5A EP2985671B1 (en) 2014-08-13 2015-06-16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281A KR102290479B1 (ko) 2014-08-13 2014-08-13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644A true KR20160020644A (ko) 2016-02-24
KR102290479B1 KR102290479B1 (ko) 2021-08-18

Family

ID=53489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281A KR102290479B1 (ko) 2014-08-13 2014-08-13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81956B2 (ko)
EP (1) EP2985671B1 (ko)
KR (1) KR102290479B1 (ko)
CN (2) CN11047347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2713A1 (ko) * 2019-02-10 2020-08-13 심성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22781A (ko) * 2021-08-09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48386A1 (ko) * 2021-09-27 2023-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29190A1 (en) * 2012-07-25 2014-01-30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device
WO2017184816A1 (en) * 2016-04-22 2017-10-26 E Ink Corporation Foldable electro-optic display apparatus
KR102603654B1 (ko) * 2016-08-24 2023-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935147B (zh) * 2017-03-17 2019-07-1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
CN207381016U (zh) * 2017-10-31 2018-05-1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屏
KR102539369B1 (ko) 2017-11-16 2023-06-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89831B1 (ko) * 2017-12-29 2023-0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2639928A (zh) * 2018-08-09 2021-04-09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及电子设备
CN109326564B (zh) * 2018-09-19 2020-03-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组件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208737806U (zh) * 2018-09-19 2019-04-1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背板结构及柔性显示装置
KR20200089376A (ko) * 2019-01-16 2020-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방법
KR20200098758A (ko) 2019-02-11 2020-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06416B1 (ko) 2019-04-25 2023-1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하드 코팅층을 갖는 보호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10058444B (zh) * 2019-05-08 2022-04-1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12309245B (zh) * 2019-07-26 2022-08-2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可折叠式显示设备
CN112309276B (zh) * 2019-08-01 2022-11-01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0782788B (zh) * 2019-10-14 2021-09-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711298A (zh) * 2019-10-25 2021-04-27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柔性装置及电子设备
KR20210055843A (ko) * 2019-11-07 2021-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141424B (zh) * 2020-01-19 2022-10-0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折叠支撑结构、显示装置和终端
JP6971354B2 (ja) * 2020-05-13 2021-11-2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アセンブリ、携帯用情報機器、ディスプレイ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及び携帯用情報機器の製造方法
CN111724678A (zh) * 2020-06-08 2020-09-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及柔性显示设备
KR20210156917A (ko) 2020-06-18 2021-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00014A (ko) * 2020-06-24 2022-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739423B (zh) * 2020-06-30 2022-05-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支撑膜和显示模组
CN112002225A (zh) * 2020-08-17 2020-11-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3920874B (zh) * 2021-10-13 2023-11-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US20230185006A1 (en) * 2021-12-10 2023-06-15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CN114399952B (zh) * 2022-01-20 2023-07-2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680B1 (ko) * 1999-08-13 2002-05-08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KR20060050636A (ko) * 2004-09-03 2006-05-19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
US20060146488A1 (en) * 2005-01-05 2006-07-06 Nokia Corporatio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WO2006090434A1 (ja) * 2005-02-22 2006-08-31 Fujifilm Corporation 塑性変形を抑制する可撓性基材及び可撓性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1820B2 (ja) * 1997-12-24 2003-01-07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液晶表示板の設置構造
CN1114898C (zh) 1997-12-24 2003-07-16 三菱电机株式会社 挠性液晶显示板的设置结构
JP2000184026A (ja) 1998-12-14 2000-06-30 Samsung Sdi Co Ltd 携帯用通信装置
US6664950B1 (en) 1999-11-17 2003-12-16 L-3 Communications Resistive touch panel using removable, tensioned top layer
US20060132025A1 (en) * 2004-12-22 2006-06-22 Eastman Kodak Company Flexible display designed for minimal mechanical strain
US7787917B2 (en) 2006-12-28 2010-08-31 Intel Corporation Folding electronic device with continuous display
WO2009148313A1 (en) 2008-06-06 2009-12-10 Polymer Vision Limited Protection of flexible displays
US8804317B2 (en) * 2009-07-01 2014-08-12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WO2011003113A1 (en) 2009-07-03 2011-01-06 Tactus Technology User interface enhancement system
KR101636077B1 (ko) 2009-09-14 201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101292974B1 (ko) 2010-06-30 2013-08-02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US8787016B2 (en) *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ES2702795T3 (es) * 2011-07-11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ntalla flexible con soporte de pantalla
EP3826278A1 (en) 2011-07-11 2021-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guided plates to support the display in the open position
JP5887790B2 (ja) * 2011-09-21 2016-03-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30089468A (ko) 2012-02-02 2013-08-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174692A (ja) 2012-02-24 2013-09-05 Sony Corp 表示装置
KR101911047B1 (ko) * 2012-07-25 2018-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케이스 및 표시 장치
US8804349B2 (en) * 2012-10-19 2014-08-12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101452871B1 (ko) 2013-01-11 2014-10-22 (주) 프렉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516743B2 (en) * 2013-02-27 2016-12-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reduced-stress flexible display
KR102039496B1 (ko) * 2013-08-19 2019-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CN103914273B (zh) * 2014-03-25 2017-06-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15148779A1 (en) * 2014-03-27 2015-10-01 Polyera Corporation Optimal mounting of a flexible display
KR102273026B1 (ko) * 2014-08-28 2021-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전자 기기
KR102288437B1 (ko) * 2014-11-21 202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을 수 있는 전자 장치
KR20160088487A (ko) * 2015-01-15 2016-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680B1 (ko) * 1999-08-13 2002-05-08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KR20060050636A (ko) * 2004-09-03 2006-05-19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
US20060146488A1 (en) * 2005-01-05 2006-07-06 Nokia Corporatio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WO2006090434A1 (ja) * 2005-02-22 2006-08-31 Fujifilm Corporation 塑性変形を抑制する可撓性基材及び可撓性画像表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2713A1 (ko) * 2019-02-10 2020-08-13 심성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98416A (ko) * 2019-02-10 2020-08-20 심성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22781A (ko) * 2021-08-09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48386A1 (ko) * 2021-09-27 2023-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48169A1 (en) 2016-02-18
CN110473472A (zh) 2019-11-19
EP2985671B1 (en) 2019-04-24
US10281956B2 (en) 2019-05-07
CN106205383A (zh) 2016-12-07
CN110473472B (zh) 2021-09-28
KR102290479B1 (ko) 2021-08-18
EP2985671A1 (en)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06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104790B2 (en) Mobile terminal
US11395415B2 (en) Display device with hinge structure
CN109994044B (zh) 柔性显示装置
US10368452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0164208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110189638B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US10188004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and holding structure thereof
KR102341525B1 (ko) 플렉시블 표시 패널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US20240157669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KR102305462B1 (ko) 가요성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CN104680941B (zh) 柔性显示装置
US20180124931A1 (en) Display device
US20190250663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JP7393558B2 (ja)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及び電子デバイス
CN109326564B (zh) 一种柔性显示组件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EP3051395A1 (en) Flexible window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60306392A1 (en) Display device
CN111064833B (zh) 折叠组件及可折叠显示装置
US20210410305A1 (en) Foldable mechanism and foldable display device
KR20160090977A (ko)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US11191172B2 (en) Display device
CN109801881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22052679A1 (zh) 一种可折叠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110968216A (zh) 层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