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680B1 -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680B1
KR100335680B1 KR1019997007336A KR19997007336A KR100335680B1 KR 100335680 B1 KR100335680 B1 KR 100335680B1 KR 1019997007336 A KR1019997007336 A KR 1019997007336A KR 19997007336 A KR19997007336 A KR 19997007336A KR 100335680 B1 KR100335680 B1 KR 100335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splay panel
flexible liquid
clearan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1067A (ko
Inventor
가츠라다카토시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riority to KR1019997007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680B1/ko
Publication of KR2000007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Abstract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의 접힘에 의해 형성되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가 진입하는 클리어런스홈부를 상기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의 접힘부분 근방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판 설치부재를 접을 때 상기 절곡부를 클리어런스홈부로 진입시켜 그 곡률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한 것에 의해서, 상기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빈도가 증가해도 상기 절곡부의 손상 및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STRUCTURE FOR INSTALLING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지금까지 액정표시소자는 퍼스널 컴퓨터나 텔레비젼 등의 표시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이 종래의 액정표시소자는 통상 문자 등을 표시하는 액정을 단단한 유리 사이에 끼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곡해서 표시할 수 있는 것은 없었다.
그러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나 전자수첩,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라고 불리는 휴대정보단말 등으로 대표되는 휴대전자기기는 경박단소화(輕薄短小化)의 요청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본체와 덮개를 경첩수단 등을 이용해서 연결하고 전체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전자기기에 종래의 액정표시소자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에 각각 별개의 액정표시소자를 설치하고 또한 양소자를 소정의 신호선으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1개의 큰 표시화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있었다. 이러한 기술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5-298257호,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평성5-43218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8-248895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액정표시소자를 각 부재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1개의 큰 표시화면을 구성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소자를 절곡해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1개의 큰 액정표시소자를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접힘부분(folding portion)에 걸치도록 해서 설치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상기 접힘부분에서 화상이 불연속으로 되어 눈에 덜띄는(보기 힘든) 것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절곡해서도 표시할 수 있는 액정표시소자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상황하에 있어서, 근래 절곡해서도 표시할 수 있는 액정표시소자가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예를 들면, 1997년 5월 26일 발행의 일본경제신문에 의하면, 필름과 같이 유연하여 자유롭게 구부러지는 액정표시소자가 큐슈대학의 연구팀에 의해서 개발된 것이 보고되어 있다.
이 액정표시소자는 사진의 네가티브필름정도의 경도를 갖고 있어 대면적의 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기둥에 감는 광고나 자동차의 앞면유리에 붙이는 박형 계기판 등 다양한 용도가 고려되어 응용분야가 넓은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액정표시소자는 단단한 유리 대신에 필름형상의 유연한 고분자 사이에 액정을 끼워 자유롭게 구부러지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액정표시소자(이하,「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이라 한다)를 도 19∼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전자기기의 접힘부분에 걸치도록 설치하는 것에의해, 표시화상이 도중에 끊기지 않는 단일 대화면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도 19는 종래의 휴대전자기기에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0은 휴대전자기기를 폐쇄했을 때의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을 도시한 측면도, 도 21은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를 도시한 확대측면도이고, 도면에 있어서, (11)은 휴대전자기기의 본체, (12)는 덮개, (13)은 덮개(12)를 본체(11)에 대해 개폐자유롭게 연결하는 경첩(힌지) 등의 연결수단이다. (14)는 본체(11)과 덮개(12)의 양자에 걸치도록 고정된 1개의 플렉시블 액정표시판, (14a)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14)가 절곡될 때 연결수단(13) 부근에 형성되는 절곡부이다. 또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14)의 절곡부(14a) 부근은 절곡의 방해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1) 및 덮개(12)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또, d는 덮개(12)를 폐쇄했을 때에도 절곡부(14a)가 소정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하의 플렉시블 액정표시판(14), (14) 사이에 형성한 간극이다.
종래의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전자기기의 박형, 소형화 등의 요청에 의해 간극d를 가능한 한 작게 할 필요가 있었지만, 그 반면 간극d를 작게 하면 절곡부(14a)의 곡률도 작아져 덮개(12)의 개폐빈도 즉 플렉시블 액정표시판(14)의 절곡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절곡부(14a)의 손상 및 열화가 발생하기 쉽게 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빈도가 증가해도 절곡부의 손상 및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bend)에 소정의 곡률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절곡부의 손상 및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휴대전자기기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휴대전자기기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휴대전자기기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스토퍼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9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휴대전자기기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휴대전자기기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휴대전자기기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휴대전자기기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휴대전자기기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의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휴대전자기기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7은 안내스토퍼의 동작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측면도,
도 18은 안내스토퍼의 동작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측면도,
도 19는 종래의 휴대전자기기에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0은 휴대전자기기를 폐쇄했을 때의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을 도시한 측면도,
도 21은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를 도시한 확대측면도.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의 접힘에 의해 형성되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가 진입하는 클리어런스홈부(clearance groove)를 상기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의 접힘부분 근방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판 설치부재를 접을 때 상기 절곡부를 클리어런스홈부로 진입시켜 그 곡률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빈도가 증가해도 절곡부의 손상 및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클리어런스홈부는 그 긴쪽방향 양끝부가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의 측면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의 측면부의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가 절곡시에 클리어런스홈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에 마련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가 절곡시에 클리어런스홈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고 상기 절곡부가 상기 클리어런스홈부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대향하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와 클리어런스홈부를 연결하고 절곡시에 상기 절곡부가 상기 클리어런스홈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마련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표시화면상의 외관성을 확보하면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가 절곡시에 클리어런스홈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고 상기 절곡부가 상기 클리어런스홈부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가 절곡시에 클리어런스홈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절곡부가 상기 클리어런스홈부로 진입할 때 상기 절곡부의 동작에 추종하면서 상기 절곡부를 상기 클리어런스홈부로 안내하는 스토퍼를 상기 클리어런스홈부에 마련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절곡부의 클리어런스홈부로의 진입도의 대소에 관계없이 상기 진입을 확실하고 또한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의 접힘에 의해 플렉시블 액정표시판끼리가 형성하는 끼인각(included angle)이 180도보다 크게 되지 않도록 상기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의 접힘각도를 규제하는 접힘각도 규제부재를 상기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에 마련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의 과잉개방에 의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스토퍼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설치 개소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표시화상을 도중에 끊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휨방지부재를 절곡부와 스토퍼 사이에 마련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가 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스토퍼를 선형상부재로 형성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의 설치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스토퍼를 면형상부재로 형성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선형상부재로 형성한 스토퍼보다 큰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터치조작에 의해 데이타입력가능한 터치입력조작부를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일부에 마련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한정된 공간중에서 대화면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클리어런스홈부의 단면을 곡선형상으로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가 클리어런스홈부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양자의 접촉마찰을 경감할 수 있어 상기 절곡부의 마모에 의한 손상 및 열화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에 따라 이것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휴대전자기기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휴대전자기기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도 3에 있어서, (1)은 휴대전자기기의 본체(액정표시판 설치부재), (2)는 덮개(액정표시판 설치부재), (3)은 덮개(2)를 본체(1)에 대해 개폐자유롭게 연결하는 경첩 등의 연결수단이다.
(4)는 본체(1)과 덮개(2)의 양자에 걸치도록 고정된 1개의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이다. 이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의 일부에는 터치조작에 의해 데이타입력가능한 도시하지 않은 터치입력조작부가 마련되어 있다. (4a)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가 절곡될 때 연결수단(3) 부근에 형성되는 절곡부이다.
(5)는 연결수단(3) 부근의 본체(1)과 덮개(2)의 양자에 대향해서 마련되고 덮개(2)를 폐쇄할 때 절곡부(4a)가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한 클리어런스홈부이다. 이 클리어런스홈부(5)는 그 단면을 삼각형으로 형성하고 있고, 그 깊이는 확보할 절곡부(4a)의 곡률에 따라 결정되고 있다. 또,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의 절곡부(4a) 부근은 그 곡률을 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클리어런스홈부(5)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2)를 폐쇄하면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의 절곡부(4a)가 클리어런스홈부(5)로 진입하므로, 그 곡률을 충분히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 1에 의하면 덮개(2)를 폐쇄하면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의 절곡부(4a)가 클리어런스홈부(5)로 진입하여 그 곡률을 충분히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의 절곡빈도가 증가해도 절곡부(4a)의 손상 및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도시하지 않은 터치입력조작부를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의 일부에 마련한 것에 의해, 데이타입력을 위한 스위치부재를 표시화면의 외부에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본체(1) 및 덮개(2)의 공간을 표시화면용으로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 대화면화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부재 또는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있어서, 클리어런스홈부(5)는 그 단면을 거의 반원형(곡선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고, 그 반경 또는 곡률은 확보할 절곡부(4a)의 곡률에 따라 결정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덮개(2)를 폐쇄하면,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의 절곡부(4a)가 클리어런스홈부(5)로 진입하므로, 그 곡률을 충분히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 클리어런스홈부(5)는 그 단면을 거의 반원형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절곡부(4a)가 클리어런스홈부(5)로 원활하게 진입하여 양자의 접촉마찰을 경감시킨다. 이 때문에, 상기 절곡부(4a)의 마모에 의한 열화 및 손상을 유효하게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 2에 의하면, 절곡부(4a)가 클리어런스홈부(5)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어 양자의 접촉마찰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절곡부(4a)의 마모에 의한 손상 및 열화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에 있어서는 클리어런스홈부(5)의 단면을 거의 반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곡선형상이어도 좋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에 있어서, 클리어런스홈부(5)는 연결수단(3) 부근의 덮개(2)에만 마련되고 있고 그 단면을 거의 반원형(곡선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 클리어런스홈부(5)의 반경 또는 곡률은 확보할 절곡부(4a)의 곡률에 따라서 결정되고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 3에 의하면, 확보할 절곡부(4a)의 곡률이 비교적 작아도 좋은 경우에 1개의 클리어런스홈부(5)에 의해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어 클리어런스홈부(5)의 가공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에 있어서 클리어런스홈부(5)는 그 긴쪽방향 양끝부가 덮개(2)의 측면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실시예 3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 4에 의하면, 덮개(2)의 측면부의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휴대전자기기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스토퍼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9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휴대전자기기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도 10에 있어서, (6)은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의 절곡부(4a)가 절곡시에 클리어런스홈부(5)에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덮개(2)의 클리어런스홈부(5)의 긴쪽방향 양끝 부근에 마련된 스토퍼이다. 이 스토퍼(6)은 덮개(2)에 세워마련되는 직립부(6a)와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을 걸어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6b)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스토퍼(6)은 투명 또는 유색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의 위치 및 넓이는 클리어런스홈부(5)의 상부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어도 좋다. 또, 스토퍼의 수도 여기에서 설명한 개수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 본체(1)에는 덮개(2)가 본체(1)에 대해 180도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접힘각도 규제부재)를 마련하고 있다. 이 스토퍼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가 180도보다 크게 개방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조건을 만족할 수 있으면, 본체(1)과 덮개(2)가 180도이상 개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이 스토퍼를 덮개(2)에 마련해도 좋고 또는 본체(1)과 덮개(2)의 양자에 마련해도 좋다.
그 밖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실시예 4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 5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 4와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질 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의 절곡부(4a)가 절곡시에 클리어런스홈부(5)에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고 상기 절곡부(4a)가 상기 클리어런스홈부(5)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스토퍼(6)의 설치개소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의 표시화상을 도중에 끊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액정표시판의 가장자리를 보이지 않도록 가리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6>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휴대전자기기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2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휴대전자기기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도 13에 있어서, (7)은 대향하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의 절곡부(4a)와 클리어런스홈부(5)를 연결하고 절곡시에 상기 절곡부(4a)가 상기 클리어런스홈부(5)에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이다. 이 스토퍼(7)은 선형상부재로 형성하고 있고, 도 12의 ×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간격으로 산재시키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3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의 절곡부(4a)는 스토퍼(7)에 의해클리어런스홈부(5)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덮개(2)를 폐쇄할 때 상기 절곡부(4a)가 클리어런스홈부(5)에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고 상기 절곡부(4a)가 상기 클리어런스홈부(5)로 원활하게 진입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 6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 3과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질 뿐만 아니라, 스토퍼(7)이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화면상의 외관성을 확보하면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의 절곡부(4a)가 절곡시에 클리어런스홈부(5)에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고 상기 절곡부(4a)가 상기 클리어런스홈부(5)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 6에 있어서는 스토퍼(7)을 선형상부재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면형상부재로 형성해도 좋고, 그 경우에는 선형상부재보다 큰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7>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휴대전자기기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휴대전자기기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도 15에 있어서, (8)은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의 절곡부(4a)가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곡부(4a)의 이면에 고정되고 스토퍼(7)과 연결된 판형상의 휨방지부재이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6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절곡부(4a)는 판형상의 휨방지부재(8)과 면접촉하고 있고 이 휨방지부재(8)을 거쳐서 스토퍼(7)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기 부분에 있어서의 화상의 왜곡 등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 7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 6과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질 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의 절곡부(4a)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상의 왜곡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 7에 있어서는 스토퍼(7)을 선형상부재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면형상부재로 형성해도 좋고, 그 경우에는 선형상부재보다 큰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8>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의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휴대전자기기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7은 안내스토퍼의 동작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측면도, 도 18은 안내스토퍼의 동작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측면도이다.
도 16∼도 18에 있어서, (9)는 절곡부(4a)가 절곡시에 클리어런스홈부(5)에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절곡부(4a)가 상기 클리어런스홈부(5)로 진입할 때 상기 절곡부(4a)의 동작에 추종하면서 상기 절곡부(4a)를 상기 클리어런스홈부(5)로 안내하는 안내스토퍼(스토퍼)이다. 즉, 이 안내스토퍼는 절곡부(4a)를 걸어고정시키기 위해 L자형상으로 또한 투명하게 형성된 고정고리(locking hook)(9a)를 갖고, 클리어런스홈부(5)내에 경첩(10)에 의해 회전운동자유롭게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2)의 본체(1)에 대한 개방각도θ가 큰 경우 즉 절곡부(4a)의 클리어런스홈부(5)로의 진입도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절곡부(4a)는 주로 고정고리(9a)에 의해 클리어런스홈부(5)에서 이탈하는 것이 규제된다.
한편,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4a)의 클리어런스홈부(5)로의 진입도가 큰 경우에는 안내스토퍼(9)가 클리어런스홈부(5)의 안쪽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절곡부(4a)를 상기 클리어런스홈부(5)의 소정위치로 확실하고 또한 원활하게 안내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 8에 의하면, 절곡부(4a)의 클리어런스홈부(5)로의 진입도의 대소에 관계없이 상기 진입을 확실하고 또한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가 그의 바깥둘레 가장자리가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 등에 의해 본체(1) 및 덮개(2)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 자체가 상기 안내스토퍼(9)의 기능을 겸비하게 되므로, 상기 안내스토퍼(9)를 마련하지 않아도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실시예 8에 있어서는 클리어런스홈부(5)의 긴쪽방향 양끝부를 덮개(2)의 측면부에 노출시켜 형성했지만, 노출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측면부의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 클리어런스홈부(5)의 단면형상을 직사각형으로서 도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반원형 등의 곡선형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 1∼실시예 8에 있어서는 본체(1)과 덮개(2)에 의해 2개로 접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으로 접는 것이어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고, 또 플렉시블 액정표시판(4)를 절곡시켜 사용하는 모든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는 액정표시판설치부재를 접을 때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를 클리어런스홈부로 진입시켜 그 곡률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빈도가 증가해도 상기 절곡부의 손상 및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로서 유용하다.

Claims (12)

  1. 접힘 자유롭게 형성된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와 상기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의 접힘부분에 걸쳐서 설치되고 가요성을 갖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을 구비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의 접힘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가 진입하는 클리어런스홈부를 상기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의 접힘부분 근방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클리어런스홈부는 그의 긴쪽방향 양끝부가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의 측면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가 절곡시에 클리어런스홈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대향하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와 클리어런스홈부를 연결하고 절곡시에 상기 절곡부가 상기 클리어런스홈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가 절곡시에 클리어런스홈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절곡부가 상기 클리어런스홈부로 진입할 때 상기 절곡부의 동작에 추종하면서 상기 절곡부를 상기 클리어런스홈부로 안내하는 스토퍼를 상기 클리어런스홈부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6. 제3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의 접힘에 의해 플렉시블 액정표시판끼리가 형성하는 끼인각이 180도보다 커지지 않도록 상기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의 접힘각도를 규제하는 접힘각도 규제부재를 상기 액정표시판 설치부재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스토퍼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8. 제4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절곡부가 휘는 것을 방지하는 휨방지부재를 상기 절곡부와 스토퍼 사이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9.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스토퍼를 선형상부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10.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스토퍼를 면형상부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터치조작에 의해 데이타입력가능한 터치입력조작부를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일부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클리어런스홈부의 단면을 곡선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KR1019997007336A 1999-08-13 1997-12-24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KR100335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7336A KR100335680B1 (ko) 1999-08-13 1997-12-24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7336A KR100335680B1 (ko) 1999-08-13 1997-12-24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067A KR20000071067A (ko) 2000-11-25
KR100335680B1 true KR100335680B1 (ko) 2002-05-08

Family

ID=54774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336A KR100335680B1 (ko) 1999-08-13 1997-12-24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6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644A (ko) * 2014-08-13 2016-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47743A (ko) * 2020-07-16 2022-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1120B2 (en) 2013-11-28 2017-11-07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151634B1 (ko) * 2013-11-28 2020-09-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644A (ko) * 2014-08-13 2016-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90479B1 (ko) * 2014-08-13 2021-08-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47743A (ko) * 2020-07-16 2022-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2503795B1 (ko) 2020-07-16 2023-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067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61820B2 (ja) フレキシブル液晶表示板の設置構造
EP3657297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0890474B1 (ko) 평면 유닛 구조체
US11119534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EP2784624B1 (en) Electronic apparatus
US7423866B2 (en) Display uni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9067279A (ja) 携帯用情報機器
US20040085274A1 (en) Method of mounting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apparatus thereof
KR20160083608A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35146A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35888B1 (ko)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US20030104850A1 (en) PDA with a protective cover for its display panel
US10908639B2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KR100533224B1 (ko) 평판표시장치 결합구조
KR100335680B1 (ko) 플렉시블 액정표시판의 설치구조
EP3451115A1 (en) Hinge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040142593A1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pointing device on the housing
US20190086967A1 (en) Viewing angle changing film
US6803865B2 (en) Spill-resistant keyboard
US11747861B2 (en) Bendable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US7643288B2 (en) Foldable computer with partially visible display when closed
KR100689299B1 (ko) 전자기기
US20200146164A1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for disposing flexible cable
CN113950654A (zh) 显示装置
JP3975754B2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