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392A -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392A
KR20160020392A KR1020157001054A KR20157001054A KR20160020392A KR 20160020392 A KR20160020392 A KR 20160020392A KR 1020157001054 A KR1020157001054 A KR 1020157001054A KR 20157001054 A KR20157001054 A KR 20157001054A KR 20160020392 A KR20160020392 A KR 20160020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ase
case
wearable device
main body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 장
용펑 시아
닝닝 리
타오 왕
리안 장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020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3The load being a medical device, a medical implant, or a life suppor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Adornmen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인 바, 스마트 웨어러블 기술분야에 속한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부케이스, 하부케이스와 전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하로 맞닿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둘러싸여 방수성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전자부재는 상기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부재는 인쇄회로기판(PCB)과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PCB)에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어셈블리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무선 데이터 송수신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방수 이너 캐비티를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관련 기술중 USB 인터페이스를 설치해야 하여 팔찌가 자주 고장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습한 환경 또는 물과 접촉할 때에도 여전히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원 발명은 출원번호가CN 201410345261.7이고, 출원일자가 2014년 7월 18일인 중국특허출원에 기반하여 제출하였고, 상기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중국특허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고로서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스마트 웨어러블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팔찌는 사람들이 즐겨 착용하는 장식품인 바, 이는 더욱 좋은 장식 효과를 일으킨다. 과학기술이 신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이 팔찌에 대한 기능성 요구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관련기술에는,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사용자가 착용할 경우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수집한 다음 사용자가 상기 건강 데이터를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직렬버스) 케이블을 통하여 기타 기기에 전송하여 조회 및 분석을 진행할 수 있는 팔찌가 있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방식에는 적어도 하기와 같은 결함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팔찌는 USB 인터페이스가 내장되어야 하지만, 팔찌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팔에 착용되기에 액체에 덮힐 확률이 아주 높아 팔찌에 고장이 자주 발생한다.
관련 기술중의 USB 인터페이스가 내장되어야 하지만, 팔찌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팔에 착용되어야 하기에 액체에 덮힐 확률이 아주 높아 팔찌에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 실시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1양태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본체는 상부케이스, 하부케이스와 전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하로 맞닿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둘러싸여 방수성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전자부재는 상기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부재는 인쇄회로기판(PCB)과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PCB)과 상기 배터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PCB)에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어셈블리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에는 2개의 충전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충전접점은 상기 전자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는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부 케이스는 국부적으로 투명하거나 또는 전체적으로 투명한 외측 케이스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등은 상기 캐비티내에서 상기 외측 케이스면에 접근하는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는 상기 외측 케이스면의 외향 일측에 접합 설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에는 상기 지시등에 대응되게 적어도 하나의 투광영역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는 금속 장식부재이고, 매 하나의 투광영역은 상기 금속 장식부재의 상하면을 관통하고 균일하게 배열된 n개의 미세공을 포함하며, 상기 미세공에는 투광 필러(filler)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가 상기 상부 케이스를 향한 표면에는 레이저 식각된 열융착 접착제 무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외면 사이는 열융착 접착제를 통하여 접착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방수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는 방수 밀봉 부착재가 부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가 접합된 후, 상기 상부 케이스의 외측 케이스면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접합 가장자리에 돌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PCB)과 상기 배터리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진동모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2양태에 따르면,
제1양태에 따른 어느 하나의 본체와 상기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연성 손목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손목벨트 본체의 중심부분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설치되고;
상기 손목벨트 본체는 상기 수용홈의 양단을 따라 각각 연장되어, 제1손목벨트부와 제2손목벨트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손목벨트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1손목벨트부의 끝단에는 상기 제2손목벨트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고리상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제2손목벨트부에는 하나의 걸림홀이 설치되고;
상기 손목벨트 걸림단추는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고, 상기 손목벨트 걸림단추는상기 제2손목벨트부의 끝단이 상기 고리상 구조를 통과할 때, 상기 제1손목벨트부의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손목벨트부와 제2손목벨트부를 고정연결하기 위한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르면,
제1양태에 따른 어느 하나의 본체와 상기 본체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선은 본체 수용단과 충전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수용단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하프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하프캐비티의 내면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가 상기 하프캐비티에 삽입연결될 때 상기 본체의 2개의 충전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연결되기 위한 2개의 충전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 수용단의 상기 2개의 충전단자는 상기 충전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단은 범용직렬버스(USB) 인터페이스, 미니 범용직렬버스(Mini USB) 인터페이스, 마이크로 범용직렬버스(Micro USB) 인터페이스, 30핀(pin) 인터페이스와 전원 어댑터(adapter) 중의 적어도 하나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4양태에 따르면, 제1양태에 따른 어느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를 제조하기 위한 기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기기 제조방법은,
열 프레스 성형을 통하여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의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자부재를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로 둘러싸여 형성된 캐비티에 안착시키고, 상기 전자부재를 상기 하부 케이스상의 2개의 충전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로 둘러싸여 형성된 캐비티에 대하여 방수성 밀봉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로 둘러싸여 형성된 캐비티에 대하여 방수성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로 둘러싸여 형성된 캐비티에 대하여 방수성 테스트를 진행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 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캐비티에 대하여 기체 가압으로 방수성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방수성 테스트가 통과되었을 경우, 방수 밀봉 부착재를 사용하여 상기 통공에 대하여 밀봉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기 제조방법은
금속판재를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를 상기 상부 케이스의 외측 케이스면에 접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금속판재를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로 가공하는 상기 단계는,
펀칭 성형을 통하여 상기 금속판재를 둥근 직사각형편으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둥근 직사각형편의 외면에 대하여 폴리싱, 샌드블라스팅과 산화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둥근 직사각형편의 측면 엣지에 대하여 고휘도 폴리싱처리를 진행하고, 폴리싱을 진행한 후 2차 산화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둥근 직사각형편의 투광영역에 대하여 밀링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매 하나의 투광영역에 기설정된 개수의 미세공을 뚫는 단계;
상기 미세공에 자외선 경화(UV) 접착제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미세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미세공중의 상기 자외선 경화(UV)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를 상기 상부 케이스의 외측 케이스면에 접합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가 상기 상부 케이스를 향한 표면에 열융착 접착제 무늬를 레이저 식각하는 단계;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를 열융착 접착제를 통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의 외측 케이스면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과제 해결 수단은 하기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무선 데이터 송수신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방수 이너 캐비티를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관련 기술중 USB 인터페이스를 설치해야 하지만 팔찌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팔에 착용되기에 액체에 덮힐 확률이 아주 높아 팔찌에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이로써 사용자가 습한 환경 또는 물과 접촉할 때에도 여전히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한다.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아래의 도면은 명세서의 일부분으로서 명세서 전체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맞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체의 구조 분해도이다.
도2는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체의 구조 분해도이다.
도3은 또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4는 또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5는 또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체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6은 또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체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명확한 실시예를 도시하였고 하기 내용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과 문자 설명은 그 어떤 방식으로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특정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개념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이를 첨부되는 도면에 예시적으로 나타냈다. 하기에서 첨부되는 도면에 대해 설명할 때,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부 양태와 일치한 장치와 방법에 대한 예일 뿐이다.
도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체의 구조 분해도인 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는 상부 케이스(110), 하부 케이스(130)와 전자부재(150)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30)는 상하로 맞닿고,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30)는 둘러싸여 방수성 캐비티를 형성한다.
전자부재(150)는 캐비티내에 설치된다.
전자부재(150)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151)과 배터리(152)를 포함하고, PCB(151)과 배터리(152)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PCB(151)에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어셈블리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설치된다.
하부 케이스(130)의 외측에는 전자부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충전접점131이 형성된다.
종합해보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무선 데이터 송수신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방수 이너 캐비티를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관련 기술중 USB 인터페이스를 설치해야 하지만 팔찌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팔에 착용되기에 액체에 덮힐 확률이 아주 높아 팔찌에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이로써 사용자가 습한 환경 또는 물과 접촉할 때에도 여전히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체의 구조 분해도인 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는 상부 케이스(110), 하부 케이스(130)와 전자부재(150)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30)는 상하로 맞닿고,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30)는 둘러싸여 방수성 캐비티를 형성한다.
전자부재는 캐비티내에 설치된다.
전자부재(150)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151)과 배터리(152)를 포함하고, PCB(151)과 배터리(152)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PCB(151)에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어셈블리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설치된다. 전자부재(150)에는 2개의 배합접점(153)이 더 있다.
하부 케이스(130)의 외측에는 전자부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 즉 배합접점(15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충전접점(131)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본체는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120)를 더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110)는 국부적으로 투명하거나 또는 전체적으로 투명한 외측 케이스면(111)를 포함한다.
전자부재(150)는 상기 PCB(1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등(15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등(154)은 상기 캐비티내에서 상기 외측 케이스면에 접근하는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120)는 상기 외측 케이스면의 외향 일측에 접합 설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120)에는 상기 지시등(154)에 대응되게 적어도 하나의 투광영역(121)이 설치된다.
캐비티내에서 외측 케이스면(111)에 접근하는 일측에 설치된 지시등(154)은 투광영역(121)에 마주하고, 즉 지시등(154)이 발광하는 광선은 외측 케이스면(111)의 투광부분을 지나 투광영역(121)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120)는 금속 장식부재이고, 매 하나의 투광영역(121)은 금속 장식부재의 상하면을 관통하고 균일하게 배열된 n개의 미세공을 포함하며, 미세공에는 투광 필러가 설치되고, 상기 투광 필러는 UV(Ultraviolet Rays, 자외선) 접착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투광영역은 170개의 직경이 0.07mm인 미세공이 있는 직경이 2.5mm인 원형 영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120)가 상부 케이스(110)를 향한 표면에는 레이저 식각된 열융착 접착제 무늬가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120)와 상부 케이스(110)의 외면 사이는 열융착 접착제를 통하여 접착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융착 접착제 무늬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부 케이스(110) 에는 방수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통공(112)이 형성되고, 통공에는 방수 밀봉 부착재(113)가 부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부 케이스(110)는 하부 케이스(130)와 접합된 후, 상부 케이스(110)의 외측 케이스면(111)은 하부 케이스(130)의 접합 가장자리(132)에 돌출된다.
바람직하게, 전자부재(150)는 PCB(151), 배터리(152)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진동모터(155)를 더 포함한다.
종합해보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무선 데이터 송수신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방수 이너 캐비티를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관련 기술중 USB 인터페이스를 설치해야 하지만 팔찌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팔에 착용되기에 액체에 덮힐 확률이 아주 높아 팔찌에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이로써 사용자가 습한 환경 또는 물과 접촉할 때에도 여전히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조 모식도인 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본체와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연성 손목벨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언급한 어느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일 수 있다.
상기 연성 손목벨트(300)는 손목벨트 본체(310)와 손목벨트 걸림단추(320)를 포함한다.
손목벨트 본체(310)의 중심부분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311)이 설치된다.
손목벨트 본체(310)는 수용홈(311)의 양단을 따라 각각 연장되어 제1손목벨트부(312)와 제2손목벨트부(313)가 설치된다.
제1손목벨트부(312)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312a)이 설치되고, 제1손목벨트부(312)의 끝단에는 제2손목벨트부(313)를 통과시키기 위한 고리상 구조(312b)가 설치된다.
제2손목벨트부(313)에는 하나의 걸림홀(313a)이 설치된다.
손목벨트 걸림단추(320)가 걸림홀(313a)에 삽입되고, 손목벨트 걸림단추(320)는 제2손목벨트부(313)의 끝단이 고리상 구조(312b)를 통과할 때, 제1손목벨트부(312)의 고정홀(312a)에 삽입되어 제1손목벨트부(312)와 제2손목벨트부(313)를 고정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종합해보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무선 데이터 송수신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방수 이너 캐비티를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관련 기술중 USB 인터페이스를 설치해야 하지만 팔찌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팔에 착용되기에 액체에 덮힐 확률이 아주 높아 팔찌에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이로써 사용자가 습한 환경 또는 물과 접촉할 때에도 여전히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한다.
보충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연성 손목벨트는 본체를 수용홈에 수용하는 것을 통하여 충전접점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손목벨트 본체를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관련 부위에 착용할 수 있다.
도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조 모식도인 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본체와 본체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선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언급한 어느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일 수 있다.
상기 충전선(400)은 본체 수용단(410)과 충전단(420)을 포함한다.
본체 수용단(410)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하프캐비티가 형성되고, 하프캐비티의 내면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가 하프캐비티에 삽입 연결될 때 본체의 2개의 충전접점(131)이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연결되기 위한 2개의 충전단자(411)가 형성된다.
본체 수용단(410)의 2개의 충전단자(411)는 충전단(4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충전단(420)은 USB 인터페이스, MiniUSB(Mini Universal Serial Bus, 미니 범용직렬버스) 인터페이스, MicroUSB(Micro Universal Serial Bus, 마이크로 범용직렬버스) 인터페이스, 30pin(30핀) 인터페이스와 전원 어댑터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전단(420)이 USB 인터페이스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종합해보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무선 데이터 송수신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방수 이너 캐비티를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관련 기술중 USB 인터페이스를 설치해야 하지만 팔찌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팔에 착용되기에 액체에 덮힐 확률이 아주 높아 팔찌에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이로써 사용자가 습한 환경 또는 물과 접촉할 때에도 여전히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한다.
보충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본체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선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와 세트로 제공되어 충전을 진행할 수 있고, 여러가지 충전단을 통하여 상기 충전선이 여러가지 포트를 이용하여 본체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체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인 바, 상기 방법은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언급한 어느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를 제조하는데 적용된다.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501에서, 열 프레스 성형을 통하여 PC(Polycarbonate,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얻는다.
단계502에서, 전자부재를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둘러싸여 형성된 캐비티에 안착시키고, 전자부재와 하부 케이스상의 2개의 충전접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단계503에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둘러싸여 형성된 캐비티에 대하여 방수성 밀봉을 진행한다.
단계504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로 둘러싸여 형성된 캐비티에 대하여 방수성 테스트를 진행한다.
종합해보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무선 데이터 송수신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방수 이너 캐비티를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관련 기술중 USB 인터페이스를 설치해야 하지만 팔찌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팔에 착용되기에 액체에 덮힐 확률이 아주 높아 팔찌에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이로써 사용자가 습한 환경 또는 물과 접촉할 때에도 여전히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체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인 바, 상기 방법은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언급한 어느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를 제조하는데 적용된다.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601에서, 열 프레스 성형을 통하여 PC 재질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얻는다.
상부 케이스는 둥근 직사각형의 외측 케이스면과, 외측 케이스면의 가장자리에서 외측 케이스에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케이스 엣지를 포함하고, 외측 케이스면은 투명하고, 외측 케이스면은 부분적으로 투명하거나 또는 전체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단계602에서, 전자부재를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둘러싸여 형성된 캐비티에 안착시키고, 전자부재를 하부 케이스상의 2개의 충전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전자부재에는 하부 케이스의 외측상의 두개의 충전접점의 내측 연장부분과 배합 접촉되는 2개의 충전접점이 설치되고, 전자부재 내에는 PCB, 전동모터, 배터리, 지시등, 무선 데이터 송수신 어셈블리아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단계603에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둘러싸여 형성된 캐비티에 대하여 방수성 밀봉을 진행한다.
O형 환 밀봉 등 밀봉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캐비티에 대하여 방수성 밀봉을 진행할 수 있다.
단계604에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둘러싸여 형성된 캐비티에 대하여 방수성 테스트를 진행한다.
이 단계는 하기 3개의 서브 단계로 나뉠 수 있다.
첫번째: 상부 케이스 에 통공을 형성한다.
두번째: 통공을 통하여 캐비티에 대하여 기체 가압으로 방수성 테스트를 진행한다. 즉 압력 손실에 근거하여 테스트 통과 여부를 확인한다.
세번째: 방수성 테스트가 통과되었을 경우, 방수 밀봉 부착재를 사용하여 통공에 대하여 밀봉을 진행한다.
단계605에서, 금속판재를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로 가공한다.
이 단계는 하기 7개의 서브단계로 나뉠 수 있다.
첫번째: 펀칭 성형을 통하여 금속판재를 둥근 직사각형편으로 가공하고, 상기 금속판재는 알루미늄 합금일 수 있다.
두번째: 둥근 직사각형편의 외면에 대하여 폴리싱, 샌드블라스팅과 산화처리를 진행한다.
세번째: 둥근 직사각형편의 측면 엣지에 대하여 고휘도 폴리싱처리를 진행하고, 폴리싱을 진행한 후 2차 산화처리를 진행한다.
네번째: 둥근 직사각형편의 투광영역에 대하여 밀링처리를 진행한다,
다섯번째: 매 하나의 투광영역에 기설정된 개수의 미세공을 뚫되, 레이저를 사용하여 마이크로 천공을 진행할 수 있다.
여섯번째: 미세공에 UV 접착제를 주입한다.
일곱번째: 미세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미세공중의 UV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단계606에서,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를 상부 케이스의 외측 케이스면에 접합시킨다.
이 단계는 하기 2개의 서브단계로 나뉠 수 있다.
첫번째: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가 상부 케이스를 향한 표면에 열융착 접착제 무늬를 레이저 식각한다.
두번째: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를 열융착 접착제를 통하여 상부 케이스의 외측 케이스면에 접착시킨다.
종합해보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무선 데이터 송수신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방수 이너 캐비티를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관련 기술중 USB 인터페이스를 설치해야 하지만 팔찌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팔에 착용되기에 액체에 덮힐 확률이 아주 높아 팔찌에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이로써 사용자가 습한 환경 또는 물과 접촉할 때에도 여전히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한다.
보충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제조방법은 둥근 직사각형편의 투광영역에 대하여 밀링처리를 진행하는 것을 통하여, 둥근 직사각형편의 투광영역의 투과율을 높이고, 지시등이 더욱 낮은 휘도하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시등의 에너지 소모를 감소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보충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제조방법은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가 상부 케이스를 향한 표면에 열융착 접착제 무늬를 레이저 식각함으로써,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와 상부 케이스 사이의 접합 강도를 증가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명세서를 고려하여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시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며 본 발명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에서의 공지된 상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기술적 사상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가지 수정과 변경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4)

  1. 상부케이스, 하부케이스와 전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하로 맞닿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둘러싸여 방수성 캐비티(cavity)를 형성하며;
    상기 전자부재는 상기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부재는 인쇄회로기판(PCB)과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배터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어셈블리(assembly)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sensor)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에는 2개의 충전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충전접점은 상기 전자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국부적으로 투명하거나 또는 전체적으로 투명한 외측 케이스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등은 상기 캐비티내에서 상기 외측 케이스면에 접근하는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는 상기 외측 케이스면의 외향 일측에 접합 설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에는 상기 지시등에 대응되게 적어도 하나의 투광영역이 설치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는 금속 장식부재이고, 매 하나의 투광영역은 상기 금속 장식부재의 상하면을 관통하고 균일하게 배열된 n개의 미세공을 포함하며, 상기 미세공에는 투광 필러(filler)가 설치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가 상기 상부 케이스를 향한 표면에는 레이저 식각된 열융착 접착제 무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외면 사이는 열융착 접착제를 통하여 접착 연결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방수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는 방수 밀봉 부착재가 부착되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
  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가 접합된 후, 상기 상부 케이스의 외측 케이스면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접합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
  7.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PCB)과 상기 배터리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진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
  8. 본체와 상기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연성 손목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본체이며;
    상기 손목벨트 본체의 중심부분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설치되고;
    상기 손목벨트 본체는 상기 수용홈의 양단을 따라 각각 연장되어, 제1손목벨트부와 제2손목벨트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손목벨트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1손목벨트부의 끝단에는 상기 제2손목벨트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고리상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제2손목벨트부에는 하나의 걸림홀이 설치되고;
    상기 손목벨트 걸림단추는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고, 상기 손목벨트 걸림단추는상기 제2손목벨트부의 끝단이 상기 고리상 구조를 통과할 때, 상기 제1손목벨트부의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손목벨트부와 제2손목벨트부를 고정연결하기 위한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9. 본체와 상기 본체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항에 따른 본체이며;
    상기 충전선은 본체 수용단과 충전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수용단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하프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하프캐비티의 내면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가 상기 하프캐비티에 삽입연결될 때 상기 본체의 2개의 충전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연결되기 위한 2개의 충전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 수용단의 상기 2개의 충전단자는 상기 충전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단은 범용직렬버스(USB) 인터페이스, 미니 범용직렬버스(Mini USB) 인터페이스, 마이크로 범용직렬버스(Micro USB) 인터페이스, 30핀(pin) 인터페이스와 전원 어댑터(adapter) 중의 적어도 하나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를 제조하기 위한 기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 프레스 성형을 통하여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얻는 단계;
    전자부재를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로 둘러싸여 형성된 캐비티에 안착시키고, 상기 전자부재를 상기 하부 케이스상의 2개의 충전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로 둘러싸여 형성된 캐비티에 대하여 방수성 밀봉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로 둘러싸여 형성된 캐비티에 대하여 방수성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로 둘러싸여 형성된 캐비티에 대하여 방수성 테스트를 진행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 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캐비티에 대하여 기체 가압으로 방수성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방수성 테스트가 통과되었을 경우, 방수 밀봉 부착재를 사용하여 상기 통공에 대하여 밀봉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 제조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금속판재를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를 상기 상부 케이스의 외측 케이스면에 접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기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금속판재를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로 가공하는 상기 단계는,
    펀칭(punching) 성형을 통하여 상기 금속판재를 둥근 직사각형편으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둥근 직사각형편의 외면에 대하여 폴리싱(Polishing), 샌드블라스팅(sandblasting)과 산화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둥근 직사각형편의 측면 엣지에 대하여 고휘도 폴리싱처리를 진행하고, 폴리싱을 진행한 후 2차 산화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둥근 직사각형편의 투광영역에 대하여 밀링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매 하나의 투광영역에 기설정된 개수의 미세공을 뚫는 단계;
    상기 미세공에 자외선 경화(UV) 접착제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미세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미세공중의 상기 자외선 경화(UV)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를 상기 상부 케이스의 외측 케이스면에 접합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가 상기 상부 케이스를 향한 표면에 열융착 접착제 무늬를 레이저 식각하는 단계;
    상기 상부 케이스 장식부재를 열융착 접착제를 통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의 외측 케이스면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 제조방법.
KR1020157001054A 2014-07-18 2014-11-20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203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345261.7 2014-07-18
CN201410345261.7A CN104146771B (zh) 2014-07-18 2014-07-18 可穿戴式设备及其制造方法
PCT/CN2014/091761 WO2016008247A1 (zh) 2014-07-18 2014-11-20 可穿戴式设备及其制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392A true KR20160020392A (ko) 2016-02-23

Family

ID=5187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054A KR20160020392A (ko) 2014-07-18 2014-11-20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974650A1 (ko)
JP (1) JP6130604B2 (ko)
KR (1) KR20160020392A (ko)
CN (1) CN104146771B (ko)
BR (1) BR112015002968A2 (ko)
MX (1) MX350669B (ko)
RU (1) RU2605895C2 (ko)
WO (1) WO2016008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5791B2 (en) 2014-07-18 2017-04-11 Xiaomi Inc.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4146771B (zh) * 2014-07-18 2017-03-2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可穿戴式设备及其制造方法
CN105792579B (zh) * 2014-12-23 2020-08-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壳体及应用该壳体的穿戴式电子装置
CN204631771U (zh) * 2015-04-17 2015-09-09 杭州豚鼠科技有限公司 体感控制手环
EP3304244B1 (en) * 2015-05-27 2020-10-14 Heartware, Inc. Electronic device holder
CN104872942A (zh) * 2015-06-01 2015-09-02 深圳市浪尖设计有限公司 智能手环
US10016160B2 (en) * 2015-09-08 2018-07-10 Polar Electro Oy Wrist band for measuring heart rate of the user
CN105163491B (zh) * 2015-09-17 2018-03-06 北京代尔夫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电子设备的封装方法
CN106551682B (zh) * 2015-09-24 2020-03-27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用于测量人体生命体征的耳机
TWI554708B (zh) * 2015-11-11 2016-10-21 宣明智 微型裝置的固定元件及微型裝置
CN105574458A (zh) * 2015-12-15 2016-05-11 恒宝股份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及其制造方法
CN106020357A (zh) * 2016-05-23 2016-10-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穿戴设备及智能穿戴设备的运行方法和装置
CN107450659A (zh) * 2016-05-31 2017-1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可穿戴设备
CN105962561A (zh) * 2016-07-15 2016-09-28 深圳市埃微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内置充电结构的智能手环
US10111504B2 (en) * 2016-07-25 2018-10-30 Htc Corporation Wearable device and wristband thereof
CN106094500A (zh) * 2016-08-23 2016-11-0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充电端子的防水结构
CN106849236B (zh) 2017-02-14 2019-06-2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智能穿戴设备及其充电器
CN109519454B (zh) * 2017-09-19 2020-12-08 蓝思科技(长沙)有限公司 装饰件组装方法和治具结构
CN107997744A (zh) * 2018-01-18 2018-05-08 江苏美伦影像系统有限公司 一种带逆变充电系统的便携式监护仪
CN108663927A (zh) * 2018-06-28 2018-10-16 浙江理工大学 一种多功能太阳能充电手表
JP7363640B2 (ja) 2020-03-31 2023-10-1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CN112433465B (zh) * 2020-11-23 2021-10-08 深圳市精准时计科技有限公司 电波钟机芯光学定位控制系统
CN112564217A (zh) * 2020-11-30 2021-03-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智能穿戴设备
CN112491116B (zh) * 2020-12-08 2023-04-1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及其可拆卸密封充电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777Y2 (ja) * 1991-09-13 1994-04-06 株式会社ノーリツ 浴槽用ワイヤレスリモコン装置
WO2006127440A2 (en) * 2005-05-20 2006-11-30 Gard Dog, Llc Child safety alarm
GB2431858A (en) * 2005-10-01 2007-05-09 Andrew Tillman Wearable medical alert device
JP4725895B2 (ja) * 2006-09-28 2011-07-13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筐体の防水構造
US8408436B2 (en) * 2007-09-07 2013-04-02 Nik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CN101561336B (zh) * 2008-04-18 2011-04-13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测试装置及测试方法
JP4985552B2 (ja) * 2008-06-12 2012-07-25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防水窓構造、及び電子機器
US8687359B2 (en) * 2008-10-13 2014-04-01 Apple Inc. Portable computer unified top case
CN101673857B (zh) * 2009-09-17 2011-08-31 萨基姆移动电话研发(宁波)有限公司 一种侧面接触式充电器底座
EP2509690A2 (en) * 2009-12-09 2012-10-17 Nike International Ltd. Athletic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utilizing heart rate information
US8776418B1 (en) * 2010-09-30 2014-07-15 Fitbit, Inc. Interchangeable cases for biometric monitoring devices
US9110498B2 (en) * 2010-09-30 2015-08-18 Fitbit, Inc. Molded wristband case
US8610403B2 (en) * 2010-11-29 2013-12-17 Blackberry Limited Charging cradle
US8249547B1 (en) * 2011-06-16 2012-08-21 Albert Fellner Emergency alert device with mobile phone
RU120502U1 (ru) * 2012-05-29 2012-09-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фирма "Мета" Электронный браслет системы мониторинга подконтрольных лиц
US9042971B2 (en) * 2012-06-22 2015-05-26 Fitbit, Inc. Biometric monitoring device with heart rate measurement activated by a single user-gesture
US9048042B2 (en) * 2012-12-11 2015-06-0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omed metal switch having a flange with an actuation protrusion
CN203103372U (zh) * 2012-12-29 2013-07-31 泉州飞捷电子有限公司 一种防水型对讲机电池盒
JP2013179355A (ja) * 2013-06-05 2013-09-09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防水筐体構造、及び電子機器
CN203434229U (zh) * 2013-06-22 2014-02-12 许振宇 一种外置可更换的手表设备电池
CN203693601U (zh) * 2013-11-05 2014-07-09 高磊 一种用于健康监测的可穿戴智能设备
CN203618896U (zh) * 2013-11-18 2014-06-04 杭州攻壳科技有限公司 一种运动手环
CN203632283U (zh) * 2013-11-18 2014-06-04 杭州攻壳科技有限公司 一种手环充电器
CN103892525B (zh) * 2014-03-24 2015-08-19 深圳市好年华模具有限公司 手环式穿戴设备及成形模具、制造系统和加工方法
CN104146771B (zh) * 2014-07-18 2017-03-2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可穿戴式设备及其制造方法
CN204044676U (zh) * 2014-07-18 2014-12-2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可穿戴式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46771B (zh) 2017-03-29
JP6130604B2 (ja) 2017-05-17
RU2015102202A (ru) 2016-09-10
WO2016008247A1 (zh) 2016-01-21
RU2605895C2 (ru) 2016-12-27
EP2974650A1 (en) 2016-01-20
JP2016530626A (ja) 2016-09-29
CN104146771A (zh) 2014-11-19
MX350669B (es) 2017-09-13
BR112015002968A2 (pt) 2017-07-04
MX2015001067A (es)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0392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
JP7255603B2 (ja) 電子機器用の多層構造及び関連する製造方法
KR102510778B1 (ko) 방수용 커넥터
TW200733433A (en)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3727429A (zh) 照明装置
EP3561954B1 (en) Antenna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A2678099A1 (en) Aircraft window memb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ircraft window assembly
CN104203651B (zh) 用于玻璃窗单元中开口的增强
CN102356444A (zh) 按钮、该按钮的生产方法和医疗操作部件
US20150264806A1 (en) Printed wiring board
KR20160001090A (ko)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11037351A3 (ko) 조명기구용 엘이디 모듈
TW200633273A (en) Surface mount LED
JP7455903B2 (ja) 無はんだコネクタを備えたウィンドウアセンブリ
US201501453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al around a perimeter of a bi-material enclosure
CN115486212B (zh) 用于纳入整合式多层结构中的连接结构
JP2019533633A (ja) 複合ペイン及び複合ペイン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N107453115B (zh) 连接器
EP1185838B1 (en) Probe signalling
JP2012200061A (ja) 防水ケースの作製方法、防水ケース及び車載電子機器
TWI579492B (zh) 燈具的製造方法及該燈具
WO2009051679A3 (en) Process for placing, securing and interconnecting electronic components
US20130234026A1 (en) Pyroelectric infrared detecting device, and method for replacing pyroelectric element in pyroelectric infrared detecting device
TWI594494B (zh) 電子裝置
KR101209881B1 (ko) Smt용 uv 택트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