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119A - 이송물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이송물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119A
KR20160020119A KR1020140105048A KR20140105048A KR20160020119A KR 20160020119 A KR20160020119 A KR 20160020119A KR 1020140105048 A KR1020140105048 A KR 1020140105048A KR 20140105048 A KR20140105048 A KR 20140105048A KR 20160020119 A KR20160020119 A KR 20160020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ntact
unit
support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2278B1 (ko
Inventor
권오찬
강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0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27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0Storage arrangements; Piling or unpiling
    • B21D43/24Devices for removing sheets from a stack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경로로부터 이송된 이송물을 다단으로 적재하는 이송물 적재장치로서, 상기 이동경로 일측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부에 상기 이송물이 적재되는 메인레일, 및 상기 메인레일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물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송물의 슬립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클램프 유닛을 포함하여, 적재되는 주편의 사향을 억제하거나 방지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송물 적재장치{Lo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송물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되는 주편의 사향을 억제하거나 방지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송물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주편은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생산된다. 연속주조기에서 주조되는 주편은 일정길이로 절단된 후 테이블 롤러에 의해 이동하고 테이블 롤러의 후단부 일측의 배치되는 푸셔에 의해 타측의 파일러측으로 공급된다. 파일러에 주편이 1~3매가 적재되면, 천정 기중기인 통 크레인이 주편을 반출한다.
그러나, 파일러측으로 주편을 공급하다가 슬립이 발생하여 주편이 파일러 상에서 사향될 수 있다. 이에, 통 크레인이 사향된 주편을 집지 못해 주편 이송작업이 지연될 수 있다.
또한, 이송작업이 지연되면 고온상태의 주편이 자중에 의해 밴딩(Bending)되고, 주편이 파일러 상에 계속적으로 대기하므로 주편의 열에너지에 의해 파일러가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연속주조기에서 연속적으로 주편이 주조되기 때문에 복구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비상작업을 해야하고, 복구가 지연되는 경우 연속주조를 중단해야하는 사태에 이르게 될 수 있다.
한국공개실용실안공보 제2000-0010209호
본 발명은 적재되는 이송물의 슬립을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는 이송물 적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송물 적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경로로부터 이송된 이송물을 적재하는 이송물 적재장치로서, 상기 이동경로 일측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부에 상기 이송물이 적재되는 적재유닛, 및 상기 적재유닛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물의 슬립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클램프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 유닛은, 상기 적재유닛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물과 접촉가능한 지지레일, 및 상기 지지레일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레일을 승하강시키는 동력기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유닛은 상기 이송물이 유입되는 유입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레일은 상기 적재유닛보다 크기가 작고 상기 유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지지레일의 상부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거나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물에 마찰력을 제공한다.
상기 동력기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 유닛은, 상기 적재유닛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이송물에 접촉가능한 접촉레일; 상기 접촉레일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접촉레일에 상측으로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신장수축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레일의 상부면에 홈이 형성되거나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된다.
상기 적재유닛은 상기 이송물이 유입되는 유입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접촉레일은 상기 적재유닛의 하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접촉레일은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적재유닛보다 상측으로 상승 가능하다.
상기 이송물의 중량에 의한 상기 접촉레일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접촉레일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려는 힘보다 크게 되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한다.
상기 적재유닛과 상기 클램프 유닛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유닛과 상기 클램프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물은 다단으로 적재되는 주편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유닛은 메인레일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편 적재설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물 적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물 적재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연속주조기에서 주조되는 주편을 적재하는 것에 대해 예시적으로 서술하지만,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송물을 적재하는 다양한 설비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편 적재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물 적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물 적재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물 적재장치(100)는, 이동경로로부터 이송된 이송물을 적재하는 이송물 적재장치로서, 상기 이동경로 일측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부에 상기 이송물이 적재되는 적재유닛, 및 상기 적재유닛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물의 슬립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클램프 유닛(120)을 포함한다. 이때, 이송물은 다단으로 적잭될 수 있는 주편일 수 있고, 적재유닛은 메인레일(110)일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편 적재설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주편 적재설비는 테이블 롤러(10)에 의해 주편(S)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며, 테이블 롤러(10)가 형성된 경로의 후단부 일측에는 이송물 적재장치(100)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푸셔(20)가 배치된다.
푸셔(20)는 주편(S)측으로 전후진될 수 있는 이동몸체(22)를 가지고, 이동몸체(22)의 선단에 주편(S)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푸싱판(21)을 구비할 수 있다. 푸싱판(21)은 이동몸체(22)에 의해 전후진하면서 테이블 롤러(10) 상의 주편(S)을 이송물 적재장치(100)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그러나, 이송물 적재장치(100)측으로 주편(S)을 공급하다가 슬립이 발생하여 주편(S)이 이송물 적재장치(100) 상에서 사향되면, 통 크레인(미도시)이 사향된 주편(S)을 집지 못해 주편 이송작업이 지연될 수 있다. 또한, 이송작업이 지연되면 고온상태의 주편(S)이 자중에 의해 밴딩(Bending)되고, 주편(S)이 이송물 적재장치 상에 계속적으로 대기하므로 주편(S)의 열에너지에 의해 이송물 적재장치(100)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물 적재장치는 적재되는 이송물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주편(S)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물 적재장치(100)는, 메인레일(110)과 클램프 유닛(12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레일(110)과 상기 클램프 유닛(120)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레일(110)과 상기 클램프 유닛(12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0), 상기 지지프레임(130)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30)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레일(110)은 푸셔(20)의 이동방향을 따라 I빔 모양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부에 소정면적을 가져 주편(S)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메인레일(110)은 테이블 롤러(10) 일측에 복수개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주편(S)이 유입되는 유입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에, 테이블 롤러(10) 상의 주편(S)이 타측에 배치된 푸셔(20)에 의해 일측으로 밀어져 메인레일(110) 상부에 적재될 수 있다. 그러나, 메인레일(110)의 형상 및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30)은 메인레일(110)과 후술될 클램프 유닛(1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프레임(130)은 소정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와 복수의 I빔을 포함할 수 있다. I빔은 플레이트 상부에 메인레일(110)이 구비되는 개수만큼 구비되고 각각의 I빔 상부에 메인레일(110)이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레일(110)들 또는 I빔 사이에는 클램프 유닛(120)이 배치되어 플레이트 상부에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프레임(130)의 구조와 형상 및 메인레일(110)과 클램프 유닛(120)에 연결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동부(140)는, 구동기(141)를 포함하고, 가이드 빔(142)과 가이드 롤러(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141)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구동기(141)는 지지프레임(130)의 하부와 연결된다. 이에, 구동기(141)가 유압에 의해 신장하면 구동기(141)에 연결된 지지프레임(130)이 상승하고, 구동기(141)가 수축하면 지지프레임(130)이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30) 상부의 메인레일(110)에 주편(S)이 적재되면 구동기(141)가 주편(S)의 폭만큼 수축할 수 있다. 그러면, 지지프레임(130)과 메인레일(110)이 하강하고, 메인레일(110)에 적재된 주편(S)의 상측에 또 다른 주편(S)을 적재하여 주편(S)을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레일(141) 상에 설정수량, 예를 들어 3매의 주편(S)이 적재되면 주편(S)은 통 크레인에 의해 다른 장소로 이동되고, 구동기(141)에 의해 지지프레임(130)과 메인레일(110)이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주편 다단적재작업을 연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기(14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지지프레임(130)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가이드 빔(14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지지프레임(13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구동기(141)에 의해 지지프레임(130)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면 지지프레임(130)에 연결된 가이드 빔(142)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43)는 가이드 빔(142)의 이동경로에 구비되고 가이드 빔(142)의 양측에 배치되어 가이드 빔(142)과 구름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롤러(143)가 가이드 빔(142)이 좌우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억제하여 가이드 빔(142)이 안정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가이드 빔(142)과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30)도 안정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140)의 구조와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클램프 유닛(120)은, 상기 메인레일(110)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물과 접촉가능한 지지레일(121) 및 상기 지지레일(121)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레일(121)을 승하강시키는 동력기(122)를 포함한다.
지지레일(121)은 푸셔(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될 수 있다. 지지레일(121)은 메인레일(110)들 사이에서 메인레일(1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레일(121)은 메인레일(110)보다 크기가 작고 주편(S)이 유입되는 유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레일(121)은 상부에 소정면적을 가지고 있다. 이에, 지지레일(121)은 후술될 동력기(122)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상부면 전체가 주편(S)의 하부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지지레일(121)의 상부면에 복수의 홈(121a)이 형성되거나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121a)이나 요철부 때문에 지지레일(121)의 상부면이 거칠어지고 이에 지지레일(121)과 접촉하는 주편(S)의 이동이 방해받을 수 있다. 즉, 마찰력이 발생시켜 주편(S)이 슬립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주편(S)이 메인레일(110) 상에서 사향되는 것을 방지하여 통 크레인이 메인레일(110)과 지지레일(121) 상에 적재된 주편(S)을 안정적으로 반출할 수 있다. 또한, 주편(S)의 사향을 방지하여 이송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되어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레일(121)의 형상과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동력기(122)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으며, 하단이 지지프레임(130)에 연결되고 상단이 지지레일(121)에 연결된다. 동력기(122)는 지지프레임(130)과 지지레일(121)에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동력기(122)가 유압에 의해 신장하면 지지레일(121)이 상승하고, 동력기(122)가 수축하면 지지레일(121)이 하강할 수 있다. 그러나, 동력기(122)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지지레일(121)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물 적재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송물 적재장치(100)에 주편(S)이 적재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지지레일(121)의 위치는 동력기(122)를 이용하여 메인레일(110)의 상단부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주편(S)이 테이블 롤러(10)에 의해 푸셔(20)와 이송물 적재장치(100) 사이에 위치하면, 푸셔(20)가 전진하여 주편(S)을 메인레일(110) 측으로 밀어내어 메인레일(110) 상부에 주편(S)이 적재된다. 이때, 지지레일(121)이 주편(S)과 접촉하지 않아 푸셔(20)에 의해 밀어지는 주편(S)이 지지레일(121)의 홈(121a)이나 요철부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주편(S)이 이동하여 지지레일(121) 상부에 적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주편(S)이 메인레일(110)에 적재되면 동력기(122)가 신장하여 지지레일(121)을 메인레일(110)의 상단부 높이 만큼 상승시키고 지지레일(121)을 주편(S)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구동기(141)가 수축하여 지지프레임(130)의 높이를 주편(S)의 폭만큼 하강시킨다. 그리고, 메인레일(110)에 적재된 주편(S)의 상측에 또 다른 주편을 적재하여 주편을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다. 이때, 지지레일(121)이 하측 주편(S)에 마찰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하측 주편(S) 상부에 또 다른 주편이 적재되면서 또 다른 주편에 의해 하측 주편(S)에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레일(110) 상에 설정수량, 예를 들어 3매의 주편이 적재되면 주편은 통 크레인에 의해 다른 장소로 이동되고, 구동기(141)에 의해 지지프레임(130)과 메인레일(110)이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주편 다단적재작업을 연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적재되는 주편(S)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주편(S)의 슬립을 억제하거나 방지하여 주편(S)이 메인레일(110) 상에서 사향되는 것을 방지하고 통 크레인이 ㅁ메인레일(110) 상에 적재된 주편(S)을 안정적으로 반출할 수 있다. 또한, 주편(S)의 사향을 방지하여 이송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어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이송작업 지연으로 인한 주편(S)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송물 적재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송물 적재장치는, 메인레일(110)과 클램프 유닛(17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레일(110)과 상기 클램프 유닛(170)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레일(110)과 상기 클램프 유닛(17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0), 상기 지지프레임(130)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30)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레일(110)과 지지프레임(130) 및 구동부(140)에 대한 설명은 상기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유닛(170)은, 상기 메인레일(110)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주편에 접촉가능한 접촉레일(171), 상기 접촉레일(171)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접촉레일(171)에 상측으로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신장수축가능한 탄성부재(172)를 포함한다.
접촉레일(171)은 푸셔(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접촉레일(171)은 메인레일(110)들 사이에서 메인레일(1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접촉레일(171)은 메인레일(110)보다 크기가 작고 주편(S)이 유입되는 유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접촉레일(171)은 상부에 소정 면적을 가지고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주편(S)과 접촉할 수 있다. 접촉레일(171)은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후술될 탄성부재(172)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레일(110)보다 상측으로 상승 가능하다. 즉, 접촉레일(171)의 일단과 타단의 높이가 달라 메인레일(110)의 하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레일(171)의 일단에 힌지부(173)가 구비될 수 있다. 힌지부(173)는 지지프레임(130)에 볼트로 체결될 수 있고, 접촉레일(171)의 일단이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접촉레일(171)은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상하로 회전할 수 있다.
접촉레일(171)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 예를 들어 주편(S)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홈(171a)이 형성되거나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촉레일(171)은 경사져 타단만 메인레일(110) 상측으로 상승되기 때문에 메인레일(110)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유입되는 주편(S)과 전체면이 접촉하지 않고 타단만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홈(171a)이나 요철부 때문에 접촉레일(171)의 상부면이 거칠어지고 이에 접촉레일(171)과 접촉하는 주편(S)의 이동이 방해받을 수 있다. 즉, 마찰력을 발생시켜 주편(S)이 슬립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접촉레일(17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탄성부재(172)는 상단이 접촉레일의 타단과 연결되고 하단이 지지프레임(130)에 연결된다. 탄성부재(172)는 스프링일 수 있고, 상하로 신장수축하여 접촉레일(171)의 타단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172)는 접촉레일(171)의 타단을 일단보다 더 높은 위치로 상승시킨다. 또한, 접촉레일(171)의 타단은 탄성부재(172)에 의해 메인레일(110)보다 상측으로 상승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메인레일(110) 상에 유입되는 주편(S)이 메인레일(110)보다 상측으로 상승된 접촉레일(171)의 타단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레일(171)이 타단이 주편(S)과 접촉하면서 주편(S)이 메인레일(110) 상에 안정적으로 적재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주편(S)의 중량에 의한 접촉레일(171)의 타단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이 탄성부재(172)에 의한 접촉레일(171)의 타단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려는 힘보다 크게 되도록 탄성부재(172)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72)가 접촉레일(171)에 제공하는 힘이 주편(S)의 중량이 접촉레일(171)에 제공하는 힘보다 크면 주편(S)이 접촉레일(171)을 하측으로 회전시키지 못해 주편(S)이 메인레일(110)에 안정적으로 적재되지 못하고 접촉레일(171)에 의해 일부가 들뜨게 된다. 따라서, 주편(S)의 중량이 접촉레일(171)에 제공하는 힘이 탄성부재(172)가 접촉레일(171)에 제공하는 힘보다 커야 주편(S)이 접촉레일(171)을 눌러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메인레일(110) 상에 들뜨지 않고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172)에 의해 접촉레일(171)의 주편(S)과 접촉하는 부분이 밀착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송물 적재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4 또는 도 5을 참조하면, 이송물 적재장치에 주편(S)이 적재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접촉레일(171)의 타단은 탄성부재(172)에 의해 이용하여 메인레일(110)의 상단부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할 있다. 주편(S)이 테이블 롤러(10)에 의해 푸셔(20)와 이송물 적재장치 사이에 위치하면, 푸셔(20)가 전진하여 주편(S)을 메인레일(110) 측으로 밀어낸다.
이때, 푸셔(20)에 의해 주편(S)이 메인레일(110) 상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다가 메인레일(110)보다 상측으로 상승된 접촉레일(171)의 타단과 접촉한다. 그러면, 주편(S)이 접촉레일(171)을 밀면서 이동해야하기 때문에 메인레일(110) 상에서 이동하는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주편(S)이 접촉레일(171)에 의해 천천히 안정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편(S)이 푸셔(20)에 의해 밀어지면서 슬립이 발생하여 사향되더라도 접촉레일(171)이 주편(S)을 정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레일(110)이 3개가 구비되고 메인레일(110)들 사이에 2개의 접촉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주편(S)이 접촉레일(171) 상에서 일측으로 슬립되면, 주편(S)의 양측이 각각의 접촉레일(171)에 동시에 접촉하지 못하고 일측이 타측보다 먼저 접촉레일(171)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주편(S)의 일측은 접촉레일(171)이 이동을 방해하여 이동속도가 느려지고 타측은 방해물이 없어 일측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주편(S)이 타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일측으로 슬립되었던 주편(S)이 타측으로 회전하여 양측이 접촉레일(171)과 접촉하면서 접촉레일(171)을 밀게 되고 주편(S)은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주편(S)이 접촉레일(171)를 밀면 주편(S)의 중량에 의해 접촉레일(171)의 타단이 하측으로 눌릴 수 있다. 즉, 탄성부재(172)가 접촉레일(171)의 타단을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주편(S)의 중량이 접촉레일(171)의 타단을 하측으로 회전시키려는 힘보다 작다. 이에, 주편(S)의 중량에 의해 접촉레일(171)의 타단이 하측으로 회전하고 탄성부재(172)는 수축하기 때문에 접촉레일(171)의 타단 높이가 메인레일(110)의 높이로 낮아질 수 있다.
접촉레일(171)의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부재(172)의 탄성력에 의해 주편(S) 하부면에 밀착되면, 구동기(141)가 수축하여 지지프레임(130)의 높이를 주편(S)의 폭만큼 하강시킨다. 그리고, 메인레일(110)에 적재된 주편(S)의 상측에 또 다른 주편을 적재하여 주편을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다. 이때, 접촉레일(171)이 하측 주편(S)에 마찰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하측 주편(S) 상부에 또 다른 주편이 적재되면서 또 다른 주편에 의해 하측 주편(S)에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레일(110) 상에 설정수량, 예를 들어 3매의 주편이 적재되면 주편은 통 크레인에 의해 다른 장소로 이동되고, 구동기(141)에 의해 지지프레임(130)과 메인레일(110)이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주편 다단적재작업을 연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적재되는 주편(S)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주편(S)의 슬립을 억제하거나 방지하여 주편(S)이 이송물 적재장치 상에서 사향되는 것을 방지하고 통 크레인이 이송물 적재장치 상에 적재된 주편(S)을 안정적으로 반출할 수 있다. 또한, 주편(S)의 사향을 방지하여 이송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어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이송작업 지연으로 인한 주편(S)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연속주조기에서 주조되는 주편을 적재하는 것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이송물을 적재하는 다양한 설비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이송물 적재장치 110: 메인레일
120: 클램프 유닛 130: 지지프레임
140: 구동부

Claims (11)

  1. 이동경로로부터 이송된 이송물을 적재하는 이송물 적재장치로서,
    상기 이동경로 일측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부에 상기 이송물이 적재되는 적재유닛; 및
    상기 적재유닛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물의 슬립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클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이송물 적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유닛은, 상기 적재유닛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물과 접촉가능한 지지레일; 및 상기 지지레일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레일을 승하강시키는 동력기를 포함하는 이송물 적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재유닛은 상기 이송물이 유입되는 유입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레일은 상기 적재유닛보다 크기가 작고 상기 유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이송물 적재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의 상부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거나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물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이송물 적재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력기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이송물 적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유닛은, 상기 적재유닛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이송물에 접촉가능한 접촉레일; 상기 접촉레일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접촉레일에 상측으로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신장수축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이송물 적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촉레일의 상부면에 홈이 형성되거나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이송물 적재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재유닛은 상기 이송물이 유입되는 유입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접촉레일은 상기 적재유닛의 하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이송물 적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접촉레일은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적재유닛보다 상측으로 상승 가능한 이송물 적재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송물의 중량에 의한 상기 접촉레일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접촉레일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려는 힘보다 크게 되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이송물 적재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유닛과 상기 클램프 유닛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유닛과 상기 클램프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물은 다단으로 적재되는 주편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유닛은 메인레일을 포함하는 이송물 적재장치.
KR1020140105048A 2014-08-13 2014-08-13 이송물 적재장치 KR101622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048A KR101622278B1 (ko) 2014-08-13 2014-08-13 이송물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048A KR101622278B1 (ko) 2014-08-13 2014-08-13 이송물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119A true KR20160020119A (ko) 2016-02-23
KR101622278B1 KR101622278B1 (ko) 2016-05-18

Family

ID=5544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048A KR101622278B1 (ko) 2014-08-13 2014-08-13 이송물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2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336A (ko) * 2016-09-23 2018-04-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
KR102226450B1 (ko) * 2020-09-03 2021-03-12 라인호(주) 텔레스코픽 방식의 중량물 이송장비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209A (ko) 1998-07-31 2000-02-15 강병호 플립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실행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6412A (ja) 2006-08-30 2008-03-13 Jfe Steel Kk 鋼管の移送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209A (ko) 1998-07-31 2000-02-15 강병호 플립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실행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336A (ko) * 2016-09-23 2018-04-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
KR102226450B1 (ko) * 2020-09-03 2021-03-12 라인호(주) 텔레스코픽 방식의 중량물 이송장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278B1 (ko)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3555B2 (ja) 板材搬出入棚装置
US10081501B2 (en) Adjustment device
US9643801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layers of articles between adjacent modules
KR20150013210A (ko) 이송장치
JP5274053B2 (ja) ワーク搬送装置
JP2018172216A (ja) ローラコンベア装置、及びそのローラコンベア装置を備えた板材搬出入・仕分装置
KR101622278B1 (ko) 이송물 적재장치
US95982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horizontally transferring layers of articles between adjacent modules
JP4666216B2 (ja) 物品収納設備
CN208683856U (zh) 一种带侧板能升降的输送平台装置
CN203820376U (zh) 重载液压升降车
KR101493814B1 (ko) 슬래브 이송 장치
CN105966886A (zh) 输送装置
KR101145138B1 (ko) 슬라브 쉬프트장치
RU250060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заготовок с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н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ый элемент
JP2007204174A (ja) 段ばらし装置
JP2008207231A (ja) タンデムプレス加工装置及びその加工方法
US2278140A (en) Pack handling apparatus
JP2013129467A (ja) 製品とスケルトンとの分離方法及び装置並びに棚装置
JP6086073B2 (ja) 搬送装置
JP2012166886A (ja) 物品積み重ね装置用のフォーク部材および物品の積み重ね装置
KR101271953B1 (ko) 판재 적치장치
JP6163372B2 (ja) 形材積み込み装置
JP6771349B2 (ja) 載置物の搬出方法及び搬出装置並びに棚装置
JP2006315830A (ja) 条材搬入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