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921A -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 및 태양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 및 태양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921A
KR20160019921A KR1020167000063A KR20167000063A KR20160019921A KR 20160019921 A KR20160019921 A KR 20160019921A KR 1020167000063 A KR1020167000063 A KR 1020167000063A KR 20167000063 A KR20167000063 A KR 20167000063A KR 20160019921 A KR20160019921 A KR 20160019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ethylenic copolymer
organic compound
copolymer
melt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센다
히사나리 오노우치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9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9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D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4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과산화물이 실질적으로 분해되지 않는 성형 온도에서, 성형 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유기 화합물 첨가제를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균일하게 분산된 태양 전지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성형 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유기 화합물 첨가제가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균일하게 분산된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에틸렌계 공중합체 (A) 및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를 함유하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비캇 연화점 이상,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융점보다 10 ℃ 낮은 온도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및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를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 및 태양 전지 모듈{SOLAR CELL SEALANT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SOLAR CELL SEALANT LAYER EMPLOYING SAME, AND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 및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태양 전지 모듈은, 일반적으로, 유리 기판, 태양 전지 봉지재, 발전 소자, 태양 전지 봉지재, 및 백시트를 순차 적층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태양 전지 봉지재로는, 저비용이나 고투과율 등의 관점에서,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매트릭스로 하는 수지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에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유기 과산화물이나 가교 보조제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 내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자외선 흡수제와 같은 자외광 영역에 흡수 영역을 갖는 유기물이나 유리, 태양 전지 소자의 접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실란 커플링제가 일반적으로 배합되어 있다.
시트상 태양 전지 봉지재의 성형은, T 다이 압출 성막기나 캘린더 성형기 등에 의해 실시된다. 예를 들어,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첨가제를 미리 드라이 블렌드한 후에, T 다이 압출기의 호퍼로부터 공급하고, 유기 과산화물이 실질적으로 분해되지 않는 성형 온도에서 시트상으로 압출 성형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 첨가제 중에서, 그 융점이 성형 온도보다 높은 것은 용융되지 않기 때문에,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균일하게 잘 분산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한 번 유기물을 융해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고융점의 유기물을, 유기 과산화물이 분해되는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융해시킨 경우, 유기 과산화물의 분해에 따른 가교 반응이 개시·진행되어, 시트 표면이 오톨오톨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거나, 최종적인 물성에도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또, 스크루 회전수를 올려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도 있지만, 전단 발열의 영향에 의해 수지 온도가 높아져, 결과적으로 과산화물이 분해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고융점의 유기물을, 유기 과산화물이 분해되지 않는 온도 이하에서 분산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하나의 수단으로서, 2 축 압출기와 같은 용융 혼련기로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미리 고융점의 유기물만을 그 융점 이상에서 반죽한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고, 마스터 배치를 에틸렌계 공중합체와 유기 과산화물과 함께 저온에서 용융 혼련하여 시트화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법으로도, 마스터 배치의 공정이 증가되어 버림으로써, 재료의 손실에 의한 비용 증가나, 열 이력이 증가하는 것에 의한 에틸렌계 공중합체 자체의 열화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86233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유기 과산화물이 실질적으로 분해되지 않는 성형 온도에서, 성형 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유기 화합물 첨가제를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균일하게 분산된 태양 전지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성형 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유기 화합물 첨가제가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균일하게 분산된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에 나타내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 및 태양 전지 모듈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에틸렌계 공중합체 (A) 및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를 함유하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비캇 연화점 이상,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융점보다 10 ℃ 낮은 온도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및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를 혼합하는 블렌드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유기 과산화물이 실질적으로 분해되지 않는 성형 온도에서, 성형 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유기 화합물 첨가제를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액상 첨가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도, 수지 내부에 함침이나 분산되거나 함으로써 수지 표면에 액체 성분이 남지 않고, 또 블로킹되지 않는 수지 조성물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온도 범위에서 교반 혼합함으로써, 고융점의 유기 화합물의 분산 상태가 양호해진다. 한편, 상기 비캇 연화점 이하에서 실시하면, 고융점 화합물이 (특히 펠릿상인 경우에) 수지에 잘 부착되지 않게 되고, 또 상기 융점보다 10 ℃ 낮은 온도 이하가 아닌 경우에는, 수지끼리가 블로킹되어 버린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와 같이 상기 블렌드 공정 (프리블렌드) 시에 온도 제어를 실시하지 않고 장시간 블렌드를 실시하면, 펠릿과 회전 날개의 마찰이나 펠릿끼리의 마찰 등에 의해 내부 온도가 상승되어 버려, 수지끼리가 블로킹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프리블렌드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가 펠릿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분말상보다 첨가제를 잘 혼합·분산시키지 않는 펠릿상의 에틸렌계 공중합체여도, 얻어지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의 매트릭스 수지인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펠릿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생산 가공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펠릿상이란, 주로 가공성 향상을 위해서, 예를 들어, 직경 또는 길이가 1 ∼ 10 ㎜ 정도인 입자상으로 한 것을 말하고, 예를 들어, 대략 원주상, 대략 구상, 대략 원반상, 대략 삼각기둥상, 대략 사각기둥상, 대략 다면체상, 타원 구상 등의 형태의 입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 공정에 있어서, 추가로 유기 과산화물 (C) 을 함유하고, 또한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의 융점이, 상기 유기 과산화물 (C) 의 1 시간 반감기 온도보다 10 ℃ 낮은 온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통상적으로 균일한 분산이 곤란한, 상기 유기 과산화물 (C) 의 1 시간 반감기 온도 부근 또는 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라 하더라도, 유기 과산화물이 실질적으로 분해시키지 않고,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를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 공정에 있어서,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액상 첨가제 등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구성 성분 이외에는 별도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드라이 프로세스), 유기 과산화물이 실질적으로 분해되지 않는 성형 온도에서, 성형 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유기 화합물 첨가제를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 공정에 있어서, 추가로 액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실란 커플링제나 액상의 가교 보조제 등의 액상 첨가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도, 수지 내부에 함침이나 분산되거나 함으로써 수지 표면에 액체 성분이 남지 않고, 또 블로킹되지 않는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간단하게 마스터 배치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액상 첨가제란, 블렌드 공정시에 액상인 첨가제를 말하고, 블렌드 공정시의 온도보다 융점이 낮은 화합물이 해당된다.
또,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 공정에 이어서, 용융 혼련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렌드 공정을 먼저 경유하는 것보다, 용융 혼련 공정 후에 성형 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유기 화합물 첨가제가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균일하게 분산된 태양 전지용 조성물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나아가서는, 상기 블렌드 공정을 먼저 경유함으로써, 통상보다 저온의 용융 혼련 공정이어도, 고융점의 유기 화합물의 분산성이 양호한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융 혼련 공정이, 1 축 압출기, 2 축 압출기, 밴버리 믹서, 니더, 또는 믹싱 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유기 화합물 첨가제를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균일하게 분산된 상기 태양 전지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 시트의 성형 (봉지재층의 형성) 은, 캘린더 성형, T 다이, 또는 인플레이션 등에 의한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가,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화제, 노화 방지제, 또는 고형의 가교 보조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을 보다 다기능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로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광 투과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한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성분으로 한다는 것은,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매트릭스 수지가 복수의 수지의 혼합물인 경우, 중량비로 5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중량비는, 7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은,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됨으로써, 성형 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유기 화합물 첨가제가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균일하게 분산된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이 된다.
또, 본 발명의 태양 전지 모듈은,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은,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을 갖기 때문에, 성형 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유기 화합물 첨가제가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균일하게 분산된 태양 전지 모듈이 된다.
또, 본 발명의 태양 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 셀이, 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 황화카드뮴/텔루르화카드뮴 태양 전지, 구리인듐갈륨2셀렌화물 태양 전지, 비정질 실리콘 태양 전지, 또는 미세 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은, 상기 태양 전지 셀을 적층하는 태양 전지 모듈에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광전 변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을 사용한 태양 전지 모듈의 예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을 사용한 태양 전지 모듈의 예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에틸렌계 공중합체 (A) 및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를 함유하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비캇 연화점 이상,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융점보다 10 ℃ 낮은 온도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및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를 혼합하는 블렌드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은, 적어도 에틸렌계 공중합체 (A) 및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은, 예를 들어, 에틸렌계 공중합체 (A) 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매트릭스 수지 중에, 적어도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를 분산시키는 것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로서, 예를 들어, 에틸렌과 극성 모노머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에 있어서, 에틸렌 단위 함유량이 50 ∼ 9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 8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5 ∼ 75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으로 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유연성, 투명성, 성형성, 내블로킹성, 태양 전지 소자 보호성이 우수한 태양 전지용 봉지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극성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과 같은 비닐에스테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이소프로필,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이소옥틸,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이소부틸, 말레산디메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말레산모노메틸, 말레산모노에틸,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이것들의 카르복실산염 등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산의 염으로서, 예를 들어,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1 가 금속, 마그네슘, 칼슘, 아연 등의 다가 금속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으로서, 예를 들어, 프로필렌, 1-부텐, 2-부텐, 1-헥센, 1-옥텐, 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로서, 예를 들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이소부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n-부틸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이소부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로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로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광 투과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한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A) 로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세트산비닐 단량체 단위의 함유율이 20 ∼ 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 35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상기 함유율의 경우에는 희토류 착물 등의 매트릭스 수지 중으로의 균일 분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A) 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판품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어, 울트라센 (토소 주식회사 제조), 이바플렉스 (미츠이·듀퐁 폴리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산텍 EVA (아사히 카세이 케미컬즈사 제조), UBE EVA 코폴리머 (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사 제조), 에바테이트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노바텍 EVA (니혼 폴리에틸렌사 제조), 스미테이트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니포플렉스 (토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A) 의 굴절률로서, 예를 들어, 1.4 ∼ 1.7 의 범위, 1.45 ∼ 1.65 의 범위, 또는 1.45 ∼ 1.55 의 범위이다. 몇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A) 의 굴절률이 1.5 이다.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로서, 광학적으로 투명한 매트릭스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릭스 수지로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와 함께,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다른 매트릭스 수지를 적절히 사용해도 된다. 상기 다른 매트릭스 수지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류, 폴리이미드, 비정질 폴리카보네이트, 실록산 졸-겔,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릴레이트, 에폭시 수지, 및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매트릭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매트릭스 수지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만, 또는 다른 매트릭스 수지와의 병용) 에 있어서, 가교성 모노머를 더하여, 가교 구조를 갖는 수지로 해도 된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다가 알코올에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화합물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기의 수가 2 ∼ 14 인 것),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에톡시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프로폭시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기의 수가 2 ∼ 14 인 것),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폴리옥시에틸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옥시에틸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트리옥시에틸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데카옥시에틸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 글리시딜기 함유 화합물에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을 부가하여 얻어지는 화합물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트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디아크릴레이트 등), 다가 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무수 프탈산) 과 수산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물질 (예를 들어, β-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의 에스테르화물, 아크릴산 혹은 메타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에틸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부틸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에스테르),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반응물,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반응물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가교성 모노머에 있어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폴리옥시에틸렌디메타크릴레이트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상기 가교성 모노머를 함유하는 매트릭스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가교 모노머에 열중합 개시제 또는 광중합 개시제를 더하고, 가열 또는 광 조사에 의해 중합·가교시켜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중합 개시제로서, 공지된 과산화물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2,5-디메틸헥산-2,5-디하이드로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3, 디-t-부틸퍼옥사이드, 디쿠밀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디쿠밀퍼옥사이드, α,α'-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n-부틸-4,4-비스(t-부틸퍼옥시)부탄, 2,2-비스(t-부틸퍼옥시)부탄,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t-부틸퍼옥시벤즈에이트,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열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은, 예를 들어, 상기 매트릭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2 중량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에 의해 유리 라디칼을 생성하는 공지된 광 개시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조인페닐에테르 등의 벤조인에테르류, 벤조페논, 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벤조페논 (미힐러케톤), N,N'-테트라에틸-4,4'-디아미노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류, 벤질디메틸케탈 (치바·재팬·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651), 벤질디에틸케탈 등의 벤질케탈류,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p-ter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p-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등의 아세토페논류,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등의 크산톤류, 혹은 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184),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치바·재팬·케미컬즈사 제조, 다로큐어 1116),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머크사 제조, 다로큐어 1173)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어, 2,4,5-트리알릴이미다졸 2량체와 2-메르캅토벤조옥사졸, 로이코크리스탈바이올렛, 트리스(4-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메탄 등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벤조페논에 대한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3 급 아민과 같이, 적절히 공지된 첨가제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은, 예를 들어, 상기 매트릭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5 중량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로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유기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특히, 성형 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유기 화합물 첨가제를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로서,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노화 방지제, 또는 고형의 가교 보조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로서, 예를 들어, 융점이 100 ∼ 2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 2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60 ∼ 18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융점의 측정은, 승온 과정 (10 ℃/분) 에 있어서의 결정 상태로부터 액체 상태로 전이하는 온도를 관찰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의 함유량은, 상기 매트릭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1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 ∼ 5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 ∼ 1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흡수 화합물로서, 공지된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트리아진계, 살리실산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2'-디하이드록시-4,4'-디(하이드록시메틸)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디(2-하이드록시에틸)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3,3'-디메톡시-5,5'-디(하이드록시메틸)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3,3'-디메톡시-5,5'-디(2-하이드록시에틸)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3,3'-디(하이드록시메틸)-5,5'-디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3,3'-디(2-하이드록시에틸)-5,5'-디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 4-디메톡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2'-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2-하이드록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3-하이드록시프로필)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메틸-5'-(하이드록시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메틸-5'-(2-하이드록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메틸-5'-(3-하이드록시프로필)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부틸-5'-(하이드록시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부틸-5'-(2-하이드록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부틸-5'-(2-하이드록시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부틸-5'-(3-하이드록시프로필)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옥틸-5'-(하이드록시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옥틸-5'-(2-하이드록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옥틸-5'-(3-하이드록시프로필)페닐]-2H-벤조트리아졸 등, 혹은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하이드록시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2-하이드록시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6-(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2-하이드록시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6-(5-브로모-2H-벤조트리아졸-2-일)-4-(2-하이드록시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3-하이드록시프로필)페놀], 2,2'-메틸렌비스[6-(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3-하이드록시프로필)페놀], 2,2'-메틸렌비스[6-5-브로모-2H-벤조트리아졸-2-일)-4-(3-하이드록시프로필)페놀],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4-하이드록시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6-(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4-하이드록시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6-(5-브로모-2H-벤조트리아졸-2-일)-4-(4-하이드록시부틸)페놀], 3,3-{2,2'-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1-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에틸)페닐]}프로판, 2,2-{2,2'-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1-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에틸)페닐]}부탄, 2,2'-옥시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2-하이드록시에틸)페놀], 2,2'-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2-하이드록시에틸)페놀]술파이드, 2,2'-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2-하이드록시에틸)페놀]술폭사이드, 2,2'-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2-하이드록시에틸)페놀]술폰, 2,2'-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2-하이드록시에틸)페놀]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2-하이드록시-4-하이드록시메틸페닐)-4,6-디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하이드록시메틸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에틸)페닐]-4,6-디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에틸)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4,6-디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3-하이드록시프로필)페닐]-4,6-디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3-하이드록시프로필)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3-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닐]-4,6-디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3-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4-하이드록시부틸)페닐]-4,6-디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4-하이드록시부틸)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4-하이드록시부톡시)페닐]-4,6-디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4-하이드록시부톡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하이드록시메틸페닐)-4,6-비스(2-하이드록시-4-메틸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에틸)페닐]-4,6-비스(2-하이드록시-4-메틸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4,6-비스(2-하이드록시-4-메틸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3-하이드록시프로필)페닐]-4,6-비스(2-하이드록시-4-메틸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3-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하이드록시-4-메틸페닐)-s-트리아진,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옥틸옥시)페놀,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페닐살리실레이트, p-tert-부틸페닐살리실레이트, p-옥틸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에틸-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자외선 흡수 화합물에 파장 변환 기능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자외선 흡수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파장역 350 ∼ 400 ㎚ 의 광을, 400 ㎚ 를 초과하는 파장역의 광보다 많이 흡수하는 형광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형광 화합물로서, 유기 형광 화합물, 및 무기 형광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형광 화합물로서, 공지된 유기 색소 화합물 (유기 형광 염료 등) 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형광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나프탈이미드, 페릴렌, 안트라퀴논, 쿠마린, 벤조쿠마린, 잔텐, 페녹사진, 벤조[a]페녹사진, 벤조[b]페녹사진, 벤조[c]페녹사진, 나프탈이미드, 나프토락탐, 아즈락톤, 메틴, 옥사진, 티아진, 디케토피롤로피롤, 퀴나크리돈, 벤조잔텐, 티오-에핀도린, 락탐이미드, 디페닐말레이미드, 아세트아세토아미드, 이미다조티아진, 벤즈안트론, 페릴렌모노이미드, 프탈이미드, 벤조트리아졸, 벤조티아디아졸, 벤조옥사졸, 피리미딘, 피라진, 트리아졸, 디벤조푸란, 트리아진, 및 하르비트르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무기 형광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발광 중심으로서 유로퓸이나 사마륨을 갖는 착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형광 화합물의 흡광도로서, 예를 들어, 0.1 ∼ 6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4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8 ∼ 3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자외선 흡수 화합물은, 200 ∼ 400 ㎚, 특히 280 ∼ 380 ㎚ 의 범위 내에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흡수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조사광에 포함되는 자외선 중, 특히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체의 광 열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 자외선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흡수 화합물의 최대 흡수 파장은, 공지된 수법을 이용하여 시판되는 자외선 측정 장치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 화합물 중, 특히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광 열화의 방지의 관점에서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분자 중에 하이드록실기를 2 개 이하 함유하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흡수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및 2-하이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320 ∼ 350 ㎚ 의 범위 내에 최대 흡수 파장을 갖고,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광 열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 공지된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 산화 방지제로서, 예를 들어, 페놀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아민계 산화 방지제, 락톤계 산화 방지제, 비타민 E 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 중에서도, 착색을 억제하는 효과가 큰 점에서, 페놀계 산화 방지제인 2,6-디-t-부틸-4-메틸페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 안정제로서, 공지된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 안정제로서, 폴리머에 대해 유해한 라디칼종을 보충하고, 새로운 라디칼을 발생하지 않게 하는 기능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안정제로서, 예를 들어,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광 안정제를 함유하는 것에 의해, 조사된 광 등의 영향에 의해 매트릭스 수지가 열화되어, 태양 전지용 봉지막이 황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저분자량의 상기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제로는, 예를 들어, 데칸2산비스(2,2,6,6-테트라메틸-1(옥틸옥시)-4-피페리디닐)에스테르, 1,1-디메틸에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및 옥탄의 반응 생성물 (분자량 737) 70 중량% 와 폴리프로필렌 30 중량% 로 이루어지는 것;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페닐]메틸]부틸마로네이트 (분자량 685);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및 메틸-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혼합물 (분자량 509);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분자량 481);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분자량 791);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분자량 847);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와 트리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의 혼합물 (분자량 900);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와 트리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의 혼합물 (분자량 900)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량의 상기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제로는,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분자량 2,000 ∼ 3,100);숙신산디메틸과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에탄올의 중합물 (분자량 3,100 ∼ 4,000);N,N',N",N"'-테트라키스-(4,6-비스-(부틸-(N-메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트리아진-2-일)-4,7-디아자데칸-1,10-디아민 (분자량 2,286) 과 상기 숙신산디메틸과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에탄올의 중합물의 혼합물;디부틸아민·1,3,5-트리아진·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6-헥사메틸렌디아민과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부틸아민의 중축합물 (분자량 2,600 ∼ 3,400)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제의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어, LA-52, LA-57, LA-62, LA-63, LA-63p, LA-67, LA-68 (모두 ADEKA 사 제조), Tinuvin744, Tinuvin770, Tinuvin765, Tinuvin123, Tinuvin144, Tinuvin622LD, CHIMASSORB 944LD (모두 BASF 사 제조), UV-3034 (B.F.굿 리치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 보조제로서, 공지된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 보조제로서, 관능기로서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 보조제로서, 예를 들어,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 관능 가교 보조제, (메트)아크릴에스테르 (NK 에스테르 등) 의 단관능 또는 2 관능의 가교 보조제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가교 보조제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매트릭스 수지의 겔 분율을 향상시켜, 봉지재층의 접착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가교 보조제는, 상기 액상 첨가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고형의 가교 보조제도 단독 사용 또는 액상의 가교 보조제와 병용해도 된다.
상기 노화 방지제로서, 공지된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노화 방지제로서, 예를 들어,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드] 등의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 인계 열안정제, 락톤계 열안정제, 비타민 E 계 열안정제, 황계 열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매트릭스 수지에 상기 각 성분 (화합물) 이 혼합·분산되어 있다.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에 있어서, 원하는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공지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서,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머, 충전제, 가소제, 실란 커플링제, 수산제, 클레이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이것들의 다른 첨가제 중 유기 화합물이면,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로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블렌드 공정에 있어서, 추가로 유기 과산화물 (C) 을 함유하고, 또한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의 융점이, 상기 유기 과산화물 (C) 의 1 시간 반감기 온도보다 10 ℃ 낮은 온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과산화물 (C) 로서, 상기 열중합 개시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에 있어서, 그 중에서도, 1 시간 반감기 온도 (반감기가 1 시간이 되는 온도) 가 90 ∼ 18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16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10 ∼ 14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어, 제3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제3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제3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쿠밀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비스(제3부틸퍼옥시)헥산, 디제3부틸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비스(제3부틸퍼옥시)헥신-3, 1,1-비스(제3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제3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2,5-디메틸헥실-2,5-비스퍼옥시벤조에이트, 제3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p-멘탄하이드로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p-클로르벤조일퍼옥사이드, 제3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하이드록시헵틸퍼옥사이드, 디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의 융점이, 상기 유기 과산화물 (C) 의 1 시간 반감기 온도보다 10 ℃ 낮은 온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밖에, 20 ℃ 낮은 온도 이상이어도 되고, 30 ℃ 낮은 온도 이상이어도 되며, 40 ℃ 낮은 온도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통상 곤란한 상기 유기 과산화물 (C) 의 1 시간 반감기 온도 부근 또는 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여도, 유기 과산화물이 실질적으로 분해시키지 않고, 성형 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유기 화합물 첨가제를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에틸렌계 공중합체 (A) 및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를 함유하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비캇 연화점 이상,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융점보다 10 ℃ 낮은 온도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및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를 혼합하는 블렌드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비캇 연화점 (Vicat Softening Temperature, VST) 이란, JIS K 7206 (시험 하중은 A 법 (10N), 전열 매체의 승온 속도는 50 ℃/시의 조건) 에 의해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또한, 단면적 1 ㎟ 의 단면이 1 ㎜ 파고든 시점의 온도를 상기 비캇 연화점 온도로 한다.
상기 블렌드 공정은,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비캇 연화점 이상,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융점보다 10 ℃ 낮은 온도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및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비캇 연화점이 X ℃,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융점이 Y ℃ 였을 경우, 상기 블렌드 공정이 실시되는 온도 범위는, X ℃ 이상 (Y - 10) ℃ 이하가 된다.
상기 온도 범위의 하한으로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비캇 연화점보다 3 ℃ 높은 온도, 5 ℃ 높은 온도, 10 ℃ 높은 온도, 15 ℃ 높은 온도, 20 ℃ 높은 온도 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의 상한으로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융점보다 13 ℃ 낮은 온도, 15 ℃ 낮은 온도, 20 ℃ 낮은 온도, 25 ℃ 낮은 온도 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블렌드 공정의 혼합 시간은, 예를 들어, 1 분 ∼ 60 분 동안 실시할 수 있고, 3 분 ∼ 40 분 동안 실시할 수 있고, 5 분 ∼ 30 분 동안 실시할 수 있으며, 10 분 ∼ 15 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블렌드 공정에 있어서, 적절히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각 재료 (화합물) 를 혼합 (교반 혼합)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에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를 첨가하는 방법,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에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를 첨가하는 방법, 양자를 동시 또는 순차 혼련기기 내에 투입하여 기 내에서 혼합하는 방법,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와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와 상기 액체 첨가제를 동시 또는 순차 투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가 펠릿상인 경우, 펠릿 표면에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를 혼합 교반하여 부착시키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가 펠릿상이며, 또한 액상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액상 첨가제를 혼합 교반하여 펠릿 내부에 함침시키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블렌드 공정은, 액상 첨가제 등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구성 성분 이외에는 별도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 (드라이 프로세스로 실시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가 펠릿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펠릿상이란, 예를 들어, 직경 또는 길이가 1 ∼ 10 ㎜ 정도인 입자상으로 한 것을 말하고, 예를 들어, 2 ∼ 7 ㎜ 로 할 수 있고, 3 ∼ 5 ㎜ 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펠릿상이란, 예를 들어, 대략 원주상, 대략 구상, 대략 원반상, 대략 삼각기둥상, 대략 사각기둥상, 대략 다면체상, 타원 구상 등의 형태의 입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블렌드 공정에 있어서, 블렌드 혼합물 (매트릭스 수지 등) 의 온도 제어는, 예를 들어, 재킷이나 냉각기 등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렌드 공정에 사용하는 기기로서, 예를 들어, 1 축 압출기, 2 축 압출기, 밴버리 믹서, 니더, 믹싱 롤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 공정에 이어서, 용융 혼련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 혼련 공정으로서, 적절히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융 혼련 공정으로서, 예를 들어, 가열 혼련, 롤 밀, 프라스트 밀, 용융 압출기, 밴버리 믹서, 니더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용융 혼련 공정을 경유하여 직접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으로서 성형해도 된다.
상기 용융 혼련 공정의 혼합 온도는, 예를 들어, 40 ∼ 150 ℃ 에서 실시할 수 있고, 80 ∼ 140 ℃ 에서 실시할 수 있고, 90 ∼ 120 ℃ 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100 ∼ 110 ℃ 에서 실시할 수 있다. 과산화물에 의한 겔화를 방지하기 위해, 110 ℃ 이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 혼련 공정의 혼합 시간은, 예를 들어, 1 분 ∼ 20 분 동안 실시할 수 있고, 3 분 ∼ 10 분 동안 실시할 수 있고, 3 분 ∼ 7 분 동안 실시할 수 있으며, 3 분 ∼ 5 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
한편,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은, 상기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적절히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 (또는 그 각 재료) 을 가열 혼련, 롤 밀, 프라스트 밀 등을 사용하여 공지된 방법으로 가열 혼합한 조성물을, 통상적인 압출 성형, 캘린더 성형 (캘린더링), 진공 열가압 등에 의해 성형하여 시트상물을 얻는 방법에 의해 적절히 제조할 수 있다. 또, PET 필름 등의 위에 상기 층을 형성한 후, 표면 보호층에 전사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 핫멜트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혼련 용융과 도포를 동시에 실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블렌드 공정 및 상기 용융 혼련 공정을 용융 압출기 등의 혼련 기기 내에서 실시하고, 시트상, 필름상 등의 봉지재층으로서의 성형까지 연속하여 실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을, 표면 보호층 또는 세퍼레이터 등에 그대로 도포·형성해도 되고, 상기 재료를 다른 재료와 혼합 조성물로 하여 도포·형성해도 된다.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을 도포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매트릭스 수지의 융점이 50 ∼ 120 ℃ 이면, 상기 조성물의 혼련 용융 및 도포 온도는, 상기 융점에 30 ∼ 100 ℃ 더한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블렌드 공정 및 상기 용융 혼련 공정을 용융 압출기 등의 혼련 기기 내에서 실시하고, 시트상, 필름상 등의 봉지재층으로서의 성형까지 연속하여 실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방법으로서, 몇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이 하기 공정에 의해 박막 구조체로 제조된다:(i) 폴리머 (매트릭스 수지) 분말이 소정의 비율로 용매 (예를 들어, 테트라클로로에틸렌 (TCE), 시클로펜타논, 디옥산 등) 에 용해된 폴리머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 (ii) 폴리머 혼합물을 함유하는 발광 색소 (형광 화합물) 를, 폴리머 용액을 소정의 중량비로 발광 색소와 혼합하여, 색소 함유 폴리머 용액을 얻는 것에 의해 조제하는 공정, (iii) 색소/폴리머 박막을, 색소 함유 폴리머 용액을 유리 기판의 위에 직접 흘려 넣고, 그 후, 기판을 2 시간 동안 실온으로부터 최고로 100 ℃ 까지 열처리하고, 잔류 용매를 130 ℃ 에서의 하룻밤의 추가적인 진공 가열에 의해 완전하게 제거한 것에 의해 형성하는 공정, 및 (iv) 사용 전에, 색소/폴리머 박막을 물속에서 벗겨, 그 후, 자립형 폴리머 필름을 완전하게 건조시키는 공정;(v) 필름의 두께를, 색소/폴리머 용액의 농도 및 증발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의 두께는 20 ∼ 20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10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 ∼ 80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20 ㎛ 보다 얇아지면, 봉지재 기능이 잘 발현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한편, 2000 ㎛ 보다 두꺼워지면, 태양 전지 모듈의 두께가 커져, 비용적으로도 불이익이다.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은, 통상적으로 태양 전지 셀의 봉지에 사용되지만, 필요에 따라, 인터커넥터재, 전극 등도 적절히 봉지하도록 적층된다.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의 상기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한, 각 층간 등의 적절히 필요에 따라 다른 층을 개재해도 된다.
(태양 전지 모듈)
본 발명의 태양 전지 모듈 (1) 은, 표면 보호층 (10),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 (20) 및 태양 전지 셀 (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서, 도 1, 2 에 간단한 모식도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태양 전지 셀의 배면측에 추가로 봉지재층 (40), 백시트 (50) 를 적절히 구비할 수도 있다. 또, 이들 각 층간에,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의 상기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한, 접착재층, 점착제층 등의 다른 층을 적절히 개재해도 된다. 또, 상기 배면용의 봉지재층으로서, 적절히, 본 발명의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태양 전지 셀로서, 예를 들어, 황화카드뮴/텔루르화카드뮴 태양 전지, 구리인듐갈륨2셀렌화물 태양 전지, 비정질 실리콘 태양 전지, 미세 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 또는 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태양 전지 셀로서, 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을 상기 태양 전지 셀 등에 전사해도 되고, 직접 상기 태양 전지 셀 위에 도포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과 다른 층을 동시에 형성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효과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실시예 등에 대해 설명한다.
(표 중의 화합물)
실시예·비교예에서는, 이하의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스미테이트 KA30:매트릭스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EVA)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융점 74 ℃, 비캇 연화점 39 ℃)
·울트라센 710:매트릭스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EVA) (토소사 제조, 융점 71 ℃, 비캇 연화점 40 ℃)
·스미테이트 MA10:매트릭스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EVA)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융점 57 ℃, 비캇 연화점 33 ℃)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화합물 B1:4,7-비스(4-메톡시페닐)-2,1,3-벤조티아디아졸 (융점 201 ℃)
·화합물 B2:4,7-비스(4-이소부틸옥시페닐)-2-이소부틸-2H-벤조트리아졸 (융점 167 ℃)
·Tinuvin900:2-(2H-벤조티아디아졸-2-일)-4,6-(1-메틸-1-페닐에틸)페놀 (BASF 사 제조, 융점 138 ℃)
[유기 과산화물 (C)]
·Perbutyl E:t-부틸퍼옥시-2-에틸헥실모노카보네이트 (니치유사 제조, 1 시간 반감기 온도 119 ℃)
[실란 커플링제]
·KBM503: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 실리콘사 제조)
[가교 보조제]
·TAIC:가교 보조제,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니혼 화성사 제조)
(수지 시트의 제조)
실시예·비교예에 있어서, 각 화합물을 표 1 의 배합에 기초하여, 각 봉지재층 (봉지재 시트) 을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비교예에 있어서, 소형 분쇄기 (아즈원사 제조) 를 사용하고, 각 소정의 온도 범위가 되도록 냉각기로 계 중의 온도를 제어하면서, 각 재료 (화합물) 를 혼합 교반하여 프리블렌드 (5 분) 를 실시하였다. 그 후, 프리블렌드한 수지 조성물을 라보프라스트밀 4C150 형 (롤러 형상:시그마형, 도요 정기사 제조) 에 투입하고, 80 ℃, 10 rpm 으로 5 분간 혼련하였다. 얻어진 혼련물을 진공 열 가압 장치 VS20-3430 (미카도 테크노스사 제조) 을 사용하여 100 ℃, 20 kN 으로 5 분간 프레스를 실시하고, 두께 400 ㎛ 의 봉지재 시트를 성형하였다.
(프리블렌드 후의 수지의 평가)
프리블렌드 후의 수지 조성물에 대해, 육안으로의 외관 형상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블로킹의 발생이 없었던 경우, 액체 성분이 표면에 남지 않았던 경우:○
·수지끼리의 블로킹이 발생했던 경우, 액체 성분이 수지 표면에 남아 있었던 경우:×
(시트 분산성의 평가)
먼저, 얻어진 봉지재 시트에 대해, 육안으로의 외관 형상의 평가를 실시하여,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가 남아 있던 경우에는 불합격으로 하였다. 한편, 육안으로는 상기 화합물의 잔존을 판별할 수 없는 것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를 계속하였다.
성형한 봉지재 시트를 가로세로 2 ㎝ 로 잘라내어, 유기 화합물 첨가제의 흡광도를 MCPD-9800 (오오츠카 전자사 제조) 으로 측정하고, 흡광도/두께를 n = 5 의 표준 편차를 구하여 분산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표준 편차가 0.1 미만이었던 경우:○
·표준 편차가 0.1 이상이었던 경우:×
하기 표 1, 표 2 에, 각 배합 (중량부 단위) 및 얻어진 봉지재층 수지 시트를 사용했을 때의 각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측정·평가의 결과,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프리블렌드 후의 수지의 평가 및 시트 분산성의 평가는 모두 양호하였다. 한편, 비교예 1 에서는, 분산성이 나빴다. 또, 비교예 2 에서는, 분산성이 나쁘고, 액체 성분이 수지 표면에 남아 버렸다. 또, 비교예 3 ∼ 5 에서는, 프리블렌드시의 온도가 본원 발명보다 높아, 블로킹되어 버렸다.
1 : 태양 전지 모듈
10 : 표면 보호층
20 :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
30 : 태양 전지 셀
40 : 이면용 봉지재층
50 : 백시트

Claims (13)

  1. 에틸렌계 공중합체 (A) 및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를 함유하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비캇 연화점 이상,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의 융점보다 10 ℃ 낮은 온도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및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를 혼합하는 블렌드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가 펠릿상인,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 공정에 있어서, 추가로 유기 과산화물 (C) 을 함유하고, 또한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의 융점이, 상기 유기 과산화물 (C) 의 1 시간 반감기 온도보다 10 ℃ 낮은 온도 이상인,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 공정에 있어서,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 공정에 있어서, 추가로 액상 첨가제를 함유하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 공정에 이어서, 용융 혼련 공정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혼련 공정이 1 축 압출기, 2 축 압출기, 밴버리 믹서, 니더, 또는 믹싱 롤에 의해 이루어지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화합물 첨가제 (B) 가,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노화 방지제, 또는 가교 보조제인,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 (A) 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 셀이, 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 황화카드뮴/텔루르화카드뮴 태양 전지, 구리인듐갈륨2셀렌화물 태양 전지, 비정질 실리콘 태양 전지, 또는 미세 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인, 태양 전지 모듈.
KR1020167000063A 2013-06-14 2014-06-05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 및 태양 전지 모듈 KR201600199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25401 2013-06-14
JP2013125401A JP6178126B2 (ja) 2013-06-14 2013-06-14 太陽電池用封止材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用封止材層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PCT/JP2014/064943 WO2014199892A1 (ja) 2013-06-14 2014-06-05 太陽電池用封止材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用封止材層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921A true KR20160019921A (ko) 2016-02-22

Family

ID=5202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063A KR20160019921A (ko) 2013-06-14 2014-06-05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 및 태양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78126B2 (ko)
KR (1) KR20160019921A (ko)
CN (1) CN105308113B (ko)
WO (1) WO2014199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6816A (zh) * 2016-08-10 2017-01-18 佛山市三水永恒达粘合剂有限公司 一种用于光伏组件封装的粘合剂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6233A (ja) 2004-12-28 2006-07-13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太陽電池封止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4976A (ja) * 2001-07-24 2003-04-09 Mitsubishi Chemicals Corp ベンゾチアジアゾール誘導体、液晶組成物、液晶表示素子、波長変換素子、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電荷輸送材料、および光電変換素子
JP3815315B2 (ja) * 2001-12-05 2006-08-30 東ソー株式会社 微架橋性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とその製造方法
US9530920B2 (en) * 2009-08-06 2016-12-27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Chiba University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WO2011016557A1 (ja) * 2009-08-07 2011-02-10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太陽電池封止材用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太陽電池封止材用樹脂組成物、太陽電池封止材、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1216829A (ja) * 2010-04-02 2011-10-27 Toppan Printing Co Ltd 組成物、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820109B2 (ja) * 2010-11-30 2015-11-24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封止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DE102011003382A1 (de) * 2011-01-31 2012-08-02 United Initiators Gmbh & Co. Kg Peroxidabmischungen für die beschleunigte Vernetzung von Ethylenvinylacetat
JP6013726B2 (ja) * 2011-12-05 2016-10-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一対の太陽電池用封止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6233A (ja) 2004-12-28 2006-07-13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太陽電池封止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99892A1 (ja) 2014-12-18
JP6178126B2 (ja) 2017-08-09
CN105308113B (zh) 2018-03-16
CN105308113A (zh) 2016-02-03
JP2015000902A (ja) 201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3786B (zh) 包括聚烯烃共聚物的电子器件模块
WO2011108600A1 (ja) 太陽電池封止材及びそれを用いて作製され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02217091A (zh) 太阳能电池封装材料以及使用该封装材料制作的太阳能电池组件
JP5866857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封止材組成物、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封止材シート
JP201201520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封止材用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太陽電池封止材
JP2019050381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組成物、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6031421A1 (ja) 発光性エチレン系共重合体、太陽電池用封止材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6021433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095630B2 (ja) 波長変換型封止材組成物、波長変換型封止材層、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5108096A1 (ja) 太陽電池用封止膜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
KR20170053668A (ko)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 그리고 태양 전지 모듈
JP2013115212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封止材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WO2015194594A1 (ja) 波長変換材料及びこれを含む太陽電池用封止膜
JP641341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60019921A (ko) 태양 전지용 봉지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태양 전지용 봉지재층 및 태양 전지 모듈
JP2014232792A (ja) 波長変換型封止材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03365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シートの製造方法
JP628700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シートの製造方法
JP6173789B2 (ja) 太陽電池用封止材組成物、太陽電池用封止材層、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7025334A (ja) 太陽電池用封止材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用封止材層なら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6021432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026683B2 (ja) 太陽電池用封止材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用封止材層なら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5064688A1 (ja) 波長変換型封止材組成物、波長変換型封止材層、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44686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25108A (ja) 波長変換型封止材層、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