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891A - 상이한 이온성 액체의 연속적 합성용 방법 및 산업적 공정 - Google Patents

상이한 이온성 액체의 연속적 합성용 방법 및 산업적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891A
KR20160019891A KR1020157034393A KR20157034393A KR20160019891A KR 20160019891 A KR20160019891 A KR 20160019891A KR 1020157034393 A KR1020157034393 A KR 1020157034393A KR 20157034393 A KR20157034393 A KR 20157034393A KR 20160019891 A KR20160019891 A KR 20160019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ic liquids
industrial process
synthesis
starting material
ionic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5613B1 (ko
Inventor
라이너 포머스하임
Original Assignee
툴리포트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툴리포트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툴리포트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160019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0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19/0013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5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009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in combination with chemical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182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controlling the level of reactants in the reactor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Abstract

현재 산업적으로 상이한 이온성 액체를 생산하는 것은 별도의 플랜트를 구동하거나 기존의 플랜트를 연속적으로 재맞춤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힘든 일은 아니지만, 또한 종종 경제적이지 않기도 하다. 본 발명이 해소하는 문제는 상이한 이온성 액체가 일원화된 생산 순서에서 거의 동시에 생산될 수 있는 방법 및 산업적 공정을 개시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제조하기 간단하고 복수의 생성물로 즉시 전환가능한 화학적 중간체를 이용하거나, 적절한 출발 물질로부터 직접 합성함으로써 동일한 산업적 공정에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법은 일원화된 생산 구동에서 뛰어난 수율 및 등급으로 상이한 이온성 액체를 합성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상이한 이온성 액체의 연속적 합성용 방법 및 산업적 공정{METHOD AND INDUSTRIAL PROCESS FOR CONTINUOUS SYNTHESIS OF DIFFERENT IONIC LIQUIDS}
본 발명은 연속적 방법으로 이온성 액체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산업적 공정에 관한 것이다. 그 전체는 상이한 이온성 액체가 거의 동시에 얻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과제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생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큰 노력이 없이도 다양한 생성물로 전환될 수 있는 화학적 중간체 단계(intermediate stage)가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법은 균일한(uniform) 생산 공정에서 뛰어난 수율 및 품질로 상이한 이온성 액체를 합성할 수 있다.
이온성 액체란 용어는 배타적으로(exclusively) 이온으로 만들어진 액체인 것으로 이해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들은 유기 화합물의 용융된 염 또는 유기 및 무기 염의 공융 혼합물이다.
이온성 액체 그 자체는 다수의 뛰어난 특성을 갖는다; 이들은 비휘발성이고(염과 같이 무시할만한 증기압), 연소하기 어려우며, 열적으로 안정하다(선택된 액체에 의존하며, 300℃ 이상까지). 대부분의 이온성 액체는 비독성이다.
높은 녹는점을 갖고 부식성이 강한 고전적인 용융된 염으로부터의 한계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온성 액체의 녹는점은 100℃ 이하의 온도에서 정의함으로써 고정된다. 많은 유기 양이온은 전형적인 이온성 액체의 구조이며, 보다 정확하게는 이들은 이 경우에 종종 질소 또는 인 중심 및 알킬기에 의해 형성되는 오늄 이온이다.
상기 양이온은 다양한 유기 또는 무기 음이온과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의 모듈성 합성은 적합한 조합의 양이온 및 음이온의 형태로 넓은 범위에서 표적화된 방식으로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이 변할 수 있도록 한다. 1차적으로, 상기 이온성 액체의 안전성 및 다른 기초적인 물리적 특성은 양이온의 선택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음이온의 선택은 화학 및 기능성을 결정한다. 한 단계씩 해당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을 적응할 가능성은 특정 과제의 요구사항을 100%까지 충족하는 신규한 이온성 액체의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이온성 액체는 화학적 및 생체촉매 반응에서 대안적인 용매로서 흥미로운 특성을 나타낸다: 휘발성의 부재는 상기 방법 기술에 있어서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이들의 놀라운 용해도 특성은 화학적 합성에 있어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연다. 상기 이온성 액체 그 자체는 대부분의 경우에 사용 후 용이하게 재활용 및 다시 사용될 수 있고, 이는 화학적 공정의 효능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이온성 액체의 몇 가지 대규모 산업적 적용분야는 이하에 예로서 나열된다:
화학 산업
BASF는 새로운 BASIL(biphasic acid scavenging utilizing ionic liquid) 방법으로 이온성 액체를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산업적 규모로 사용하고 있다. 최종 생성물을 분해시킬 수 있는 해로운 산은 이온성 액체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공정으로부터 제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방법의 수율은 종래 방법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다.
셀룰로오스는 종이뿐만 아니라 섬유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원료이다. 바이오폴리머에 대한 놀라운 용해도 특성으로 인하여, 이온성 액체, 예를 들면, 이미다졸륨 아세테이트는 신규한 방법 및 생성물을 위한 완전히 새로운 가능성을 연다. 다른 독성 용매는 이를 이용함으로써 생략될 수 있다.
전기화학적 공정, 예를 들면, 알루미늄 플랜팅에서, 예를 들면, 이미다졸륨 양이온 및 염소 음이온을 함유하는 이온성 액체는 종래의 물질과 비교하여 전해질로서 현저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온성 액체, 예를 들면, 이미다졸륨 설페이트는 플라스틱에 대한 대전방지제로서 매우 적합하다.
석유 화학
원유 내의 평균 황 함량은 최근 수 십년간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이것은 적은 것이 아닌데, 그 이유는 낮은 품질의 원유의 매장물이 갈수록 많이 이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의 디젤 및 가솔린 엔진은 매우 낮은 황 함량을 갖는 연료를 필요로 한다. 원유는 또한 더 이상 특정 황 함량으로부터 정유공장에서 처리될 수 없다. 따라서, 황 함량이 줄어든 원유를 준비하는 동안에 많은 노력이 들어간다. 이것은 때때로 높은 환경적 부담을 갖는 복잡한 화학적 방법 단계들을 필요로 한다. 이온성 액체, 예를 들면, 메틸 이미다졸륨(MIM) 유도체의 도움으로, 복수의 국내 및 국제 연구 그룹의 연구에 의해 나타낸 것과 같이, 황은 간단한 세척에 의해 원유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전기화학
이온성 특징으로 인해, 이온성 액체는 배터리, 캐패시터 등과 같은 전기화학 저장소에서 전해질로서 큰 잠재력을 갖는다. 이들 중 몇 가지는 수 년 동안 소위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사용되어 왔지만, 상기 의도된 적용분야를 위한 이온성 액체용 신규한 화합물 및 생산 방법은 전세계적으로 항상 강렬하게 추구되어 왔다.
광발전(photovoltaics)
소위 DSSC 광발전 모듈은 새로운 세대의 전지이며, 매우 유망하다. 이들은 식물의 광합성과 유사한 원리에 따라 기능하며, 또한 빈약하거나 확산하는 광의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높은 에너지 수율을 여전히 생성할 수 있다. 상기 DSSC 전지 내부의 전하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매우 특별한 특성을 갖는 특정한 전해질이 필요하다. 이온성 액체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킨다. 따라서, 상기 DSSC 전지의 개발은 이온성 액체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이러한 배경 하에, 이온성 액체에 대한 무수한 합성 가능성 및 더욱 많은 적용분야가 최근 수 년의 문헌에서 개시되어 왔음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이들 중 몇 개가 이하에 예로서 요약되어 있다:
공개된 출원 DE 10 2005 025 531 A1에서, 예를 들면, 낮은 점도 및 높은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상이한 이온성 액체가 개시되며, 1차적으로는 전기화학적 적용분야용으로 의도된다. 상기 화합물을 실험실에서 생산할 수 있는 몇 가지 합성 경로가 또한 개시되어 있다.
특허 출원 DE 103 19 465 A1은 음이온으로서 알킬 설페이트 또는 기능화된 알킬 설페이트를 갖는 실험실 규모의 이온성 액체의 생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합물은 할로겐-부재 용매, 추출 제제 및 열적 담체(thermal carrier)로서 실질적인 산업적 중요성을 갖는다.
할로겐-함유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액체의 실험실 생산 방법은 특허 출원 EP 1182196 A1의 대상 과제이다.
이온성 액체의 양이온으로서의 알킬 암모늄 염 및 그의 생산 방법은 출원 GB 2444614 A1에 개시되어 있다.
음이온으로서 알킬 설페이트를 갖는 이온성 액체 및 그의 실험실 생산 방법은 출원 US 2008 033178 A1의 대상 과제이다.
이온성 액체를 대량으로 생산함에 있어서의 큰 문제는 반응 공정 동안에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출발 물질이 반응하도록 하기 위하여, 열이 먼저 시스템에 공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반응이 시작되면, 매우 발열성으로 진행하므로, 결과물인 시스템의 열 출력의 효율적인 소실(dissipation)이 요구된다.
출원 DE 102008032595 A1은 광범위하게 이러한 문제들에 관한 것이며, 상기 요구되는 활성화 열 및 결과물인 반응 열 모두가 적합한 용매를 이용함으로써 조절되는 산업적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인용문헌들은 모두 이온성 액체의 경우 이온성 조성물 및 합성 가능성이 얼마나 많은지를 보여준다. 전술한 방법들은 실험실 규모에서는 실용적이고, 또한 개별 경우에 있어서는 산업적 생산용으로도 적합하다. 그러나, 이들은 복수의 물질을 균일한 공정에서 산업적 규모로 생산하고자 의도할 때에는 한계에 도달한다.
상이한 이온성 액체를 제공하기 원하는 구동은 상이한 설비들에서 구동하거나 기존의 설비들을 계속해서 재맞춤(refit)해야 한다. 이것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많은 경우에 있어서는 오히려 비용-효과적이지도 않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나아가서, 본 발명은 상이한 이온성 액체가 균일한 생산 순서로 거의 동시에 생산될 수 있는 방법 및 산업적 공정을 개시하는 과제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의 기본적인 생각은, 연속적 방법에서, 간단한 종래의 수단을 이용하여 상이한 최종 생성물, 즉 이온성 액체로 전환될 수 있는 중간체 단계를 합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적합한 중간체 단계는 소위 이미다졸륨-기반의 카르복실레이트일 수 있다. 그의 생산 방법은 문헌에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Green Process Synth (2012):261-261에는 N-메틸이미다졸이 디메틸 카보네이트로 알킬화되는 실험실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만일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163 (2010) 429-431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다른 알킬화 시약으로부터 진행한다면, 예를 들면, 상기 메틸이미다졸의 대응하는 할로겐화물 또는 설페이트를 얻는다.
이어서, 이러한 중간체 단계는 산, 예를 들면, 아세트산과 혼합함으로써, 예를 들면 대응하는 이미다졸 아세테이트로, 염산과의 반응에 의해 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로, 또는 질산과의 반응에 의해 대응하는 질화물로, 즉 이미다졸륨 양이온에 기초하여 상이한 이온성 액체로 전환될 수 있다.
합성 기술에서 동일하거나 호환가능한 중간체 단계는 항상 출발 물질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상이한 이온성 액체는 동일한 산업적 공정 내에서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것과 같은 이온성 액체를 생산하기 위한 가능한 산업적 공정의 예는 이하에 도 1의 개략적인 도해에 기초하여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개시된 것과 같은 이온성 액체를 생산하기 위한 가능한 산업적 공정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예시적인 구현예 1:
도 1로부터의 공정에서, 출발 물질 [R1](예를 들면, 디메틸 카보네이트) 및 [R2](예를 들면, 메틸이미다졸) 및 용매(예를 들면, 메탄올)는 대응하는 용기에 제공되고, 이로부터 펌프[P1, P2 및 P3]를 통해 혼합 챔버[MK]로 운반된다. 그 중에서도, 챔버는 좁은 경계 내로 반응 온도를 유지하는 작업을 한다. 상기 혼합물은 가압(예를 들면, p = 80 bar) 하에 연속 구동 반응기의 헤드에서 펌프[P4]를 통해 혼합 챔버로부터 방출된다. 상기 혼합물은 미리 예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작업은 적합한 장치, 예를 들면, 방울, 흐르는 액체의 형태인 개별 노즐 또는 노즐의 배열에 의해, 또는 분무(spraying)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연속 구동 반응기는 적합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외부에서 또는 내부의 부재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되어 반응 온도를 세팅할 수 있다. 상기 반응기는 좁은 체류 시간(dwell time) 분포를 가능하게 하는 추가적인 피팅을 함유할 수 있다. 필러는 상기 반응기 내에 위치하며, 라시히 링(Raschig ring) 등과 같은 종래의 필러 물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촉매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 예를 들면, 금속 산화물을 함유할 수 있다. 반응기 내의 온도는 대략 200℃이고, 압력은 대략 80 bar이다.
출발 물질은 상기 반응기를 통과하는 동안에 반응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반응하지 않은 출발 물질 또는 이온성 액체는 사용되는 용매에 용해된다. 밸브[V1]를 통해 상기 반응기를 떠난 후, 결과물인 중간체 생성물(예를 들면, 메틸 이미다졸륨 카르복실레이트)은 열교환기[WT2] 내에서 용매와 함께 실온으로 냉각되고, 분리 유닛(separating unit)으로 안내된다. 그 안에서 감압이 일어나고, 상기 반응 동안에 발생한 가스(예를 들면, CO2)가 제거된다.
상기 분리 유닛으로부터, 상기 혼합물은 증류로 공급되고, 여기서 상기 중간체 생성물(중간체 단계)은 용매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용매는 펌프[P6]를 통해 재순환된다. 상기 혼합물은 열 교환기[WT3]를 통해 미리 예열될 수 있다. WT3은 WT2와 커플링하여 열변이 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중간체 단계는 이어서 원하는 최종 생성물을 형성하도록 반응한다. 이것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나, 또는 복수의 반응 용기에서 수행된다. 상기 용기에서, 상기 중간체 단계는 적합한 산과 혼합되며, 이로 인해 CO2 및 원하는 최종 성성물이 상기 중간체 단계로부터 생성된다. 상이한 산을 사용하면 상이한 결과물이 생성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아세트산이 첨가되면 메틸 이미다졸륨 아세테이트가 생성되고, 대응하는 염소는 염산을 이용한 결과이며, 대응하는 질화물은 질산을 이용한 결과인 것 등이다. 상기 산(S1, S2, S3 등)은 계량 펌프[P6, P7, P8]를 통해 해당 반응기로 공급된다. 결과물인 이온성 액체(IL 생성물 1, IL 생성물 2, IL 생성물 3, 등)는 밸브[V4, V5 및 V6]를 통해 후속 공정 또는 정제로 공급된다.
예시적인 구현예 2:
도 1로부터의 공정은 또한 개별적인 특별한 이온성 액체를 직접, 즉 중간체 단계를 통하지 않고 생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실시예 1에서와 상이한 출발 물질이 사용되어야 한다.
출발 물질 [R1](예를 들면, 디에틸 설페이트) 및 [R2](예를 들면, 메틸 이미다졸)는 펌프[P1 및 P2]를 통해 혼합 챔버[MK]로 운반된다. 상기 혼합 챔버는 냉각 또는 가열 장치를 통해 출발 온도에 도달할 수 있다. 적합한 양의 용매(예를 들면, 톨루엔, 에틸 아세테이트 등)가 펌프[P3]를 통해 상기 혼합물에 계속 공급된다. 상기 용매는 좁은 경계 내로 반응 온도를 유지하는 작업을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형성되는 이온성 액체 또는 반응하지 않은 출발 물질은 선택된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구성성분(R1, R2) 및 용매(LM)는 연속 구동 반응기의 헤드에서 펌프[P4]를 통해 방출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작업은 적합한 장치, 예를 들면, 방울, 흐르는 액체의 형태인 개별 노즐 또는 노즐의 배열에 의해, 또는 분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연속 구동 반응기는 적합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외부에서 또는 내부의 부재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되어 반응 온도를 세팅할 수 있다. 상기 반응기는 좁은 체류 시간 분포를 가능하게 하는 추가적인 피팅을 함유할 수 있거나, 촉매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요구사항에 따라, 온도 구배가 반응기 내에 추가적으로 세팅될 수 있다.
출발 물질은 상기 반응기를 통과하는 동안에 반응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반응하지 않은 출발 물질 또는 이온성 액체는 사용되는 용매에 용해된다. 밸브[V1]를 통해 상기 반응기를 떠난 후, 결과물인 액체 상(phase)은 분리 유닛에서 분리된다. 생성물과 함께 제2 상을 형성하는 상기 용매의 우세한(predominant) 부분은, 예를 들면, 가스 피팅을 통해, 그리고 추가적인 펌프의 설치를 통해 상기 용매 용기 내로 재순환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최종 생성물은 [V3]을 통해 이미 증류로 공급되고, 여기서 용매 잔류물이 정제된다. 따라서, 최종 생성물은 이미 증류 유닛의 출구에서 얻어진다. 만일 본 실시예로부터의 출발 물질이 사용된다면, 이것은 메틸 이미다졸륨 디에틸 설페이트이다.

Claims (10)

  1. 종래 수단을 이용하여 상이한 최종 생성물로 전환될 수 있는 화학적 중간체 단계를 통해 합성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생산 순서로 상이한 이온성 액체가 생산될 수 있는 이온성 액체의 합성용 방법 및 산업적 공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 중간체 단계는 출발 물질을 적합하게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 자체가 최종 생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액체의 합성용 방법 및 산업적 공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 중간체 단계는, 예를 들면, 카르복실레이트, 카보네이트 또는 필적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액체의 합성용 방법 및 산업적 공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 중간체 단계는 유기 또는 무기 산을 첨가함으로써 최종 생성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액체의 합성용 방법 및 산업적 공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된 용매는 또한 상기 열 전달을 맡거나, 그의 기화 온도에 의해서 반응 온도를 세팅하는, 즉 온도 조절용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액체의 합성용 방법 및 산업적 공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촉매 효과를 나타내는 피팅 또는 필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액체의 합성용 방법 및 산업적 공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내의 피팅 또는 필러는, 예를 들면, 금속, 유리, 탄소 또는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예를 들면, 화학 산업에서 증류 컬럼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액체의 합성용 방법 및 산업적 공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물질로서 열린-사슬(open-chain) 또는 고리형(cyclic) 화합물이 사용되고, 그 결과 적합한 알킬화 제제와 반응하여 A+B+ 유형의 이온성 액체가 생성되며, 상기 A는, 예를 들면, 아민 또는 이민의 클래스(class) 유래의 물질, 예를 들면, 피리딘, 피페리딘, 이미다졸이고, 상기 B는, 예를 들면, 할로겐 알칸 또는 치환된 할로겐 알칸의 클래스 유래의 물질, 예를 들면, 디에틸 설페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액체의 합성용 방법 및 산업적 공정.
  9. 다음의 주요 구성성분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구동하는 청구항 1에 따른 설비:
    - A 유형의 출발 물질용 저장 용기(R1),
    - B 유형의 출발 물질용 저장 용기(R2),
    - 용매용 저장 용기(LM),
    - 산용 저장 용기(S1, S2 등),
    - 계량 펌프 및/또는 펌프(P1; P2; P3; P4; P5, 등),
    - 혼합 챔버(MK),
    - 적하 또는 스프레이 유닛 및 필러를 갖는 반응기,
    - 밸브(V1, V2 등),
    - 분리 유닛,
    - 증류 유닛.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도 1에 따라 구동하거나, 및/또는 도 1 또는 유사한 방식에 따라 그의 구성요소가 배열 및/또는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KR1020157034393A 2013-05-07 2014-05-06 상이한 이온성 액체의 연속적 합성용 방법 및 산업적 공정 KR102325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007733.8 2013-05-07
DE102013007733.8A DE102013007733A1 (de) 2013-05-07 2013-05-07 Verfahren und technischer Prozess zur kontinuierlichen Synthese von unterschiedlichen lonischen Flüssigkeiten
PCT/EP2014/059150 WO2014180802A1 (de) 2013-05-07 2014-05-06 Verfahren und technischer prozess zur kontinuierlichen synthese von unterschiedlichen ionischen flüssigkei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891A true KR20160019891A (ko) 2016-02-22
KR102325613B1 KR102325613B1 (ko) 2021-11-15

Family

ID=5073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393A KR102325613B1 (ko) 2013-05-07 2014-05-06 상이한 이온성 액체의 연속적 합성용 방법 및 산업적 공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60185732A1 (ko)
EP (1) EP2994455B1 (ko)
JP (1) JP6446436B2 (ko)
KR (1) KR102325613B1 (ko)
CN (1) CN105339354A (ko)
BR (1) BR112015028170A2 (ko)
CA (1) CA2915364C (ko)
DE (1) DE102013007733A1 (ko)
PL (1) PL2994455T3 (ko)
RU (1) RU2668957C2 (ko)
WO (1) WO20141808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4692B2 (en) 2017-12-08 2021-09-21 Baker Hughes Holdings Llc Methods of using ionic liquid based asphaltene inhibitors
EA202091413A1 (ru) 2018-07-11 2020-09-24 Бейкер Хьюз Холдингз Ллк Скважинные ингибиторы асфальтенов на основе ионной жидкости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1484A2 (de) * 2003-08-27 2005-03-10 Proionic Production Of Ionic Substances Gmbh & Co Keg Verfahren zur herstellung ionischer flüssigkeiten, ionischer feststoffe oder gemische derselben
WO2011017547A1 (en) * 2009-08-07 2011-02-10 Dow Agrosciences Llc N1-sulfonyl-5-fluoropyrimidinone derivatives
WO2012123336A1 (de) * 2011-03-15 2012-09-20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onischen flüssigkeiten durch anionenaustausch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82196B1 (de) 2000-08-24 2004-06-30 Solvent Innovation GmbH Halogenidfreie Herstellung ionischer Flüssigkeiten
DE10319465A1 (de) 2003-04-29 2004-11-18 Solvent Innovation Gmbh Neuartige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onischen Flüssigkeiten mit Alkylsulfat und funktionalisierten Alkylsulfat-Anionen
DE102004002420A1 (de) * 2004-01-16 2005-08-11 Basf Ag Destillation von ionischen Flüssigkeiten
GB2444614A (en) 2005-09-30 2008-06-11 Bioniqs Ltd Alkanoyl ammonium salts as ionic liquids
WO2007063959A1 (ja) * 2005-12-02 2007-06-07 Kanto Denka Kogyo Co., Ltd. P-n結合を含むホスホニウムカチオンを有するイオン液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7053630A1 (de) * 2007-11-08 2009-05-14 Basf Se Verfahren und Herstellung ionischer Flüssigkeiten durch Anionenaustausch
DE102008032595B4 (de) 2008-07-11 2021-11-11 Rainer Pommersheim Verfahren und technischer Prozess zur Synthese von ionischen Flüssigkeiten
US9090567B2 (en) * 2011-03-15 2015-07-28 Basf Se Process for preparing ionic liquids by anion exchan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1484A2 (de) * 2003-08-27 2005-03-10 Proionic Production Of Ionic Substances Gmbh & Co Keg Verfahren zur herstellung ionischer flüssigkeiten, ionischer feststoffe oder gemische derselben
US20080251759A1 (en) * 2003-08-27 2008-10-16 Roland Kalb Method For Producing Ionic Liquids, Ionic Solids Or Mixtures Thereof
WO2011017547A1 (en) * 2009-08-07 2011-02-10 Dow Agrosciences Llc N1-sulfonyl-5-fluoropyrimidinone derivatives
WO2012123336A1 (de) * 2011-03-15 2012-09-20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onischen flüssigkeiten durch anionenaustaus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68957C2 (ru) 2018-10-05
US20160185732A1 (en) 2016-06-30
CA2915364A1 (en) 2014-11-13
PL2994455T3 (pl) 2019-06-28
JP2016524600A (ja) 2016-08-18
BR112015028170A2 (pt) 2017-07-25
KR102325613B1 (ko) 2021-11-15
CA2915364C (en) 2021-04-06
RU2015151091A3 (ko) 2018-03-27
RU2015151091A (ru) 2017-06-15
EP2994455A1 (de) 2016-03-16
WO2014180802A1 (de) 2014-11-13
EP2994455B1 (de) 2018-12-05
CN105339354A (zh) 2016-02-17
JP6446436B2 (ja) 2018-12-26
DE102013007733A1 (de) 2014-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703B1 (ko) 무용매(Solvent-free) 알칸 설폰화
US7709635B2 (en) Boronium-ion-based ionic liqui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Holbrey et al. Efficient, halide free synthesis of new, low cost ionic liquids: 1, 3-dialkylimidazolium salts containing methyl-and ethyl-sulfate anions
CN109232628B (zh) 一种一锅法合成二氟草酸硼酸锂的方法
CN108727427A (zh) 一种简洁的草铵膦合成方法
CN102816182A (zh) 一种含鏻的双阳离子离子液体及其制备和应用
CA2750448A1 (en) Novel tricyanoborates
EP2758373A1 (en) Processes for preparing n-ethyl-2-methylpyridinium bromide and n-ethyl-3-methylpyridinium bromide
CN101108827B (zh) 一种制备乙酸型离子液体的方法
KR102325613B1 (ko) 상이한 이온성 액체의 연속적 합성용 방법 및 산업적 공정
AU2014201642B2 (en) Processes for Preparing N-Ethyl-2-Methylpyridinium Bromide and N-Ethyl-3-Methyl-Pyridinium Bromide
CN102757312B (zh) 一种高选择性低耗能苯甲醇制备方法
CN102659088B (zh) 一种叠氮化钠的水相合成方法
CN100532359C (zh) 室温离子液体的合成方法
CN106831583A (zh) N,n‑二烷基取代吡唑离子液体、制备方法及其催化合成碳酸丙烯酯的方法
CN112209856A (zh) 一种硫氰酸胍的制备方法
US20090026412A1 (en) Preparation of a hydrogen source for fuel cells
KR101130793B1 (ko) 신규한 이온성 액체 및 이를 이용한 이온성 액체의 제조방법
Yamamoto et al. AN YLID EXCHANGE REACTION OF SULFILIMINE
CN117209535A (zh) 一种双(氟磺酰)亚胺三烷基膦盐的合成方法及其应用
CN105777597A (zh) 一种硫代乙酰胺的制备方法
CN116003260A (zh) 一种由尿素衍生物制备1-萘胺类化合物的方法及其预测模型
CN114989211A (zh) 一种六氟磷酸配合物及其合成方法和应用
Arkhipova Hexaalkylguanidinium salts as ionic liquids-new applications in titanium and aluminium alcoholates assisted synthesis and as electrolytes for electrodeposition of metals
CN110407753A (zh) 一种由二芳基碘鎓盐与咪唑合成五芳基咪唑鎓盐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