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282A - 이동식 야구 연습장 - Google Patents

이동식 야구 연습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282A
KR20160019282A KR1020140103855A KR20140103855A KR20160019282A KR 20160019282 A KR20160019282 A KR 20160019282A KR 1020140103855 A KR1020140103855 A KR 1020140103855A KR 20140103855 A KR20140103855 A KR 20140103855A KR 20160019282 A KR20160019282 A KR 20160019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ll
platform
pitch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란
김만중
송정훈
강석문
김명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비씨스포츠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비씨스포츠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비씨스포츠그룹
Priority to KR1020140103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9282A/ko
Publication of KR20160019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1Stays or guy-r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8Baseball, rounders or similar g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며, 측부에 상방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도어가 설치되며, 바닥부에 타격 영역이 형성되는 플랫폼 부와; 상기 플랫폼 부의 모서리부로부터 전방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수평 지지 로드와, 상기 다수의 수평 지지 로드의 단부를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다수의 경사 지지 로드를 갖는 지지부와; 상기 다수의 수평 지지 로드 및 상기 다수의 경사 지지 로드 사이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며, 후방측에 피칭홀이 형성되는 그물망 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그물망 부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칭홀을 통해 저장된 다수의 볼을 상기 플랫폼 부를 향해 피칭하는 피칭부와; 상기 타격 영역 후방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랫폼 부의 내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피칭되는 볼과 충돌되는 충돌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야구연습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야구 연습장{MOVABLE BASEBALL ASSEMBLY}
본 발명은 이동식 야구 연습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 가능하고, 이동 장소에서 야구연습공간을 확보하며, 자동피칭에서의 구력정보와, 연습자의 타격에 따른 타격정보를 연습자로 하여금 확인하면서 타격 연습을 하도록 할 수 있는 이동식 야구 연습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야구연습장은 일정한 장소에 다수개의 지지대를 세우고 그물을 쳐서 확보된 공간 내에 볼공급기를 설치하고, 이 볼공급기에서 나오는 볼을 건너편 타격대(4)에서 사용자가 스윙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실내 야구연습장은 특정한 장소 또는 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동이 불가능하고, 또한 실내 야구연습장을 설치할 때에도 장소에 대해 크게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 들어 야구 연습장을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차량에 탑재하여 원하는 장소로 이동 및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순히 이동 및 조립 및 해체의 용이성을 부여하는 기술로서, 실제로 피칭되는 볼의 구력정보 및 연습자로 인해 타격되는 볼이 안타인지 또는 파울인지 또는 홈런인지와 같은 실제 야구경기와 같은 정보를 연습자에게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 및 조립 해체가 용이하면서, 연습자가 실제의 야구 게임을 하는 듯한 체험을 주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345737호(등록일: 2004년 03월 11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탑재 가능하고, 이동 장소에서 야구연습공간을 확보하며, 자동피칭에서의 구력정보와, 연습자의 타격에 따른 타격정보를 연습자로 하여금 확인하면서 타격 연습을 하도록 할 수 있는 이동식 야구연습장을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며, 측부에 상방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도어가 설치되며, 바닥부에 타격 영역이 형성되는 플랫폼 부와; 상기 플랫폼 부의 모서리부로부터 전방을 따라 연장되어 다른 차량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다수의 수평 지지 로드와, 상기 차량과 다른 차량의 하단을 따라 하향 경사를 유지하는 다수의 경사 지지 로드를 갖는 지지부와; 상기 다수의 수평 지지 로드 및 상기 다수의 경사 지지 로드 사이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그물망 부와; 상기 지지부와 선택으로 연결되며, 상기 그물망 부의 후방측과 연결되도록 상기 다른 차량에 설치되어, 저장된 다수의 볼을 상기 플랫폼 부를 향해 피칭하는 피칭부와; 상기 타격 영역 후방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랫폼 부의 내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피칭되는 볼과 충돌되는 충돌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야구연습장을 제공한다.
상기 다수의 수평 지지 로드 및 상기 다수의 경사 지지 로드는 접철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플랫폼 부의 다른 측면에는 보조 도어가 상방으로 회전개폐 되도록 더 설치된다.
상기 플랫폼 부 다른 측면 바닥부에는, 상기 플랫폼 부의 바닥부와, 지면을 연결하는 사다리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돌부는, 상기 플랫폼의 내측벽에 포수의 이미지가 형성되는 충돌판과, 상기 충돌판의 설정된 다수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피칭되는 볼과의 충돌을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 센서와, 상기 다수의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다수의 위치 각각에 대한 감지 신호를 전송 받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감지 센서는 볼 존, 스트라이크 존으로 구분하여 상기 다수의 위치가 설정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위치 각각에서의 감지 신호를 전송 받아, 볼 또는 스트라이크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랫폼의 상면부에는, 상기 피칭되는 볼을 타격하는 경우, 타격되어 이동되는 볼의 궤적을 화상으로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을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화상 취득기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취득한 화상에 포함되는 볼의 궤적이, 기설정된 서로 다른 경로를 이루는 다수의 기준 볼 궤적과 비교하여, 타격되는 볼의 궤적의 경로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차량에는 스크린이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에는 상기 볼이 피칭되는 피칭홀이 형성된다.
상기 플랫폼 부에는, 상기 스크린으로 피칭 동작에 대한 설정된 영상을 출사하여 플레이시키는 영상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피칭부로부터 볼이 피칭되면, 상기 피칭 동작에 대한 설정된 영상을 플레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 가능하고, 이동 장소에서 야구연습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피칭에서의 구력정보와, 연습자의 타격에 따른 타격정보를 연습자로 하여금 확인하면서 타격 연습을 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피칭시, 투수의 피칭 영상을 스크린을 통해 플레이시켜 연습자로 하여금 실제 야구를 체험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야구 연습장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식 야구 연습장을 보여주는 다른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플랫폼 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야구 연습장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이동식 야구 연습장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야구 연습장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식 야구 연습장을 보여주는 다른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이동식 야구 연습장은 크게 차량(1)과, 플랫폼 부(100)와, 지지부(200)와, 그물망 부(300)와, 충돌부(110)와, 피칭부(400)가 설치되는 다른 차량(2)으로 구성된다.
플랫폼 부(100)
상기 플랫폼 부(100)는 차량 몸체(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차량(1)은 5톤 화물차인 것이 좋다. 차량(1)은 주행을 위한 타이어를 갖는다.
상기 플랫폼 부(100)의 양측부에는 한 쌍의 도어(150,160)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도어(150,160)는 상방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도어(150,160)의 개방으로 인해, 플랫폼 부(100)의 내부가 양측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 부(100)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200)
상기 지지부(200)는 다수의 수평 지지 로드(210)와, 다수의 경사 지지 로드(220)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수평 지지 로드(210)는 상기 플랫폼 부(100)의 사각 모서리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 설치된다.
또한, 연장되는 수평 지지 로드(210)의 각 단부는 수평 방향을 따라 다른 수평 지지 로드(210)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수평 지지 로드(210)는 총 6개로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부(100)의 모서리 부로부터 연장되는 4개, 그 끝단을 연결하는 2개로 총 6개의 수평 지지 로드(210)를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경사 지지 로드(220)는 차량(1)과 다른 차량(2)의 하부에 펼쳐진 그물망(300)의 하단을 다른 차량(2) 측으로 그물망(300)이 경사지도록 지지한다.
즉, 피칭부(400)로부터 피칭된 볼(401)은 일측 차량(1)에서 피칭부(400)가 설치된 다른 차량(2)으로 굴러가서, 피칭부(40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피칭부(400)는 굴러오는 볼(401)을 강제 수집하여 다시 피칭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6개의 수평 지지 로드(210)와, 2개의 경사 지지 로드(220)로 인해 6면이 형성된다.
상기 6면은 그물망 부(300)에 의해 상하좌우가 커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물망 부(300)의 테두리는 고리에 의해 수평 지지 로드(210) 및 경사 지지 로드(220)에 걸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차량(2)은 그물망(300)의 후방측에 연결되며, 다른 차량(2)의 차량 몸체(20)에 설치되는 스크린(500)에는 피칭홀(410)이 형성된다.
피칭부는 상기 피칭홀(410)을 통해 볼(401)을 피칭할 수 있다.
후방면에 설치되는 그물망 부(300)의 소정 위치에는 일정 크기의 피칭홀(410)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피칭홀(410)은 다른 커버망(미도시)에 의해 개폐될 수도 있다.
피칭부(400)
상기 피칭부(400)는 다른 차량(2)의 차량 몸체(20)에 설치된다.
상기 피칭부(400)는 일정 높이를 갖고, 다수의 볼(401)을 피칭홀(410)을 통해 플랫폼 부(100)로 발사하는 장치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피칭부(400)는 서로 공간을 이루어 회전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고, 롤러들 사이 공간으로 볼이 투입되면, 롤러들의 회전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구성일 수 있다.
충돌부(110)
한편, 상기 충돌부(110)는 플랫폼 부(100)에 마련된다.
상기 충돌부(110)는 충돌판(111)과, 다수의 감지 센서(112)와, 제어기(113)로 구성된다.
상기 충돌판(111)의 외면에는 포수의 이미지가 형성된다.
또한, 충돌판(111)의 다수 위치에는 상기 다수의 감지 센서(112)가 설치된다.
상기 다수 위치는 볼 존, 스트라이크 존으로 구획되는 영역의 위치이다.
상기 다수의 감지 센서(112)는 피칭되는 볼(401)이 충돌되면, 이를 감지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감지 신호를 제어기(113)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기(113)는 감지 신호를 전송 받고, 전송 받은 감지 신호의 위치를 파악하여, 볼 존인지 또는 스트라이트 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113)는 피칭된 볼(401)이 볼 또는 스트라이크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113)는 판단 결과를 별도의 표시기(130)를 통해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기(130)는 플랫폼 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연습자가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플랫폼 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상기 플랫폼 부(100)의 상면부에는 화상 취득기(120)가 설치된다. 상기 화상 취득기(120)는 적외선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화상 취득기(120)는 피칭부(400)로부터 피칭되는 볼(401)을 연습자가 타격하는 경우, 타격되어 이동되는 볼(401)의 궤적을 화상으로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을 상기 제어기(113)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기(113)는 상기 취득한 화상에 포함되는 볼의 궤적이, 기설정된 서로 다른 경로를 이루는 다수의 기준 볼 궤적과 비교하여, 타격되는 볼의 궤적의 경로를 판단한다.
상기 기준 볼 궤적은 파울, 안타, 홈런과 같은 볼 궤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113)는 타격되는 볼의 궤적이 파울 또는 안타 또는 홈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표시기(130)를 통해 가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야구 연습장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 하면,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차량(2)의 차량 몸체(20)는 그물망 부(300)의 후방측에 연결된다.
상기 다른 차량(2)의 차량 몸체(20)에는 스크린(500)이 설치된다.
또한, 마주 보는 차량(1)에 설치되는 플랫폼 부(100)에는, 상기 스크린(500)으로 피칭 동작에 대한 설정된 영상을 출사하여 플레이시키는 영상부(51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113)는 상기 피칭부(400)로부터 볼(401)이 피칭되면, 상기 피칭 동작에 대한 설정된 영상을 플레이시킨다.
즉, 피칭부(400)로부터 볼(401)이 피칭되면, 제어기(113)는 영상부(510)릍 통해 투수의 피칭 영상을 스크린에서 플레이되도록 출사할 수 있다.
또한, 연습자가 플랫폼 부(100)에서 피칭되는 볼(401)을 타격하고, 타격되는 볼의 궤적이 파울 또는 안타 또는 홈런인 경우, 제어기는 해당 궤적에 해당되는 영상을 영상부(510)를 통해 스크린(500)으로 출사하여 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차량에 탑재 가능하고, 이동 장소에서 야구연습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자동피칭에서의 구력정보와, 연습자의 타격에 따른 타격정보를 연습자로 하여금 확인하면서 타격 연습을 하도록 할 수 있는 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자동 피칭시, 투수의 피칭 영상을 스크린을 통해 플레이시켜 연습자로 하여금 실제 야구를 체험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타자의 타석 정면에는 상기의 스크린(50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타자가 직접 볼 수 있는 별도의 모니터가 설치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이동식 야구 연습장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차량
10 : 차량 몸체
100 : 플랫폼 부
110 : 충돌부
111 : 충돌판
112 : 감지 센서
113 : 제어기
120 : 화상 취득기
130 : 표시기
150, 160 : 도어
200 : 지지부
210 : 수평 지지 로드
220 : 경사 지지 로드
300 : 그물망 부
410 : 피칭홀
400 : 피칭부
401 : 볼
500 : 스크린
510 : 영상부

Claims (5)

  1.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며, 측부에 상방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도어가 설치되며, 바닥부에 타격 영역이 형성되는 플랫폼 부;
    상기 플랫폼 부의 모서리부로부터 전방을 따라 연장되어 다른 차량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다수의 수평 지지 로드와, 상기 차량과 다른 차량의 하단을 따라 하향 경사를 유지하는 다수의 경사 지지 로드를 갖는 지지부;
    상기 다수의 수평 지지 로드 및 상기 다수의 경사 지지 로드 사이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그물망 부;
    상기 지지부와 선택으로 연결되며, 상기 그물망 부의 후방측과 연결되도록 상기 다른 차량에 설치되어, 저장된 다수의 볼을 상기 플랫폼 부를 향해 피칭하는 피칭부;
    상기 타격 영역 후방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랫폼 부의 내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피칭되는 볼과 충돌되는 충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야구연습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평 지지 로드 및 상기 다수의 경사 지지 로드는 접철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랫폼 부의 다른 측면에는 보조 도어가 상방으로 회전개폐 되도록 더 설치되고,
    상기 플랫폼 부 다른 측면 바닥부에는, 상기 플랫폼 부의 바닥부와, 지면을 연결하는 사다리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야구연습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부는,
    상기 플랫폼의 내측벽에 포수의 이미지가 형성되는 충돌판과,
    상기 충돌판의 설정된 다수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피칭되는 볼과의 충돌을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 센서와,
    상기 다수의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다수의 위치 각각에 대한 감지 신호를 전송 받는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감지 센서는 볼 존, 스트라이크 존으로 구분하여 상기 다수의 위치가 설정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위치 각각에서의 감지 신호를 전송 받아, 볼 또는 스트라이크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야구연습장.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의 상면부에는,
    상기 피칭되는 볼을 타격하는 경우, 타격되어 이동되는 볼의 궤적을 화상으로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을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화상 취득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취득한 화상에 포함되는 볼의 궤적이, 기설정된 서로 다른 경로를 이루는 다수의 기준 볼 궤적과 비교하여, 타격되는 볼의 궤적의 경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야구연습장.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차량에는 스크린이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에는 상기 볼이 피칭되는 피칭홀이 형성되고,
    상기 플랫폼 부에는, 상기 스크린으로 피칭 동작에 대한 설정된 영상을 출사하여 플레이시키는 영상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피칭부로부터 볼이 피칭되면, 상기 피칭 동작에 대한 설정된 영상을 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야구연습장.
KR1020140103855A 2014-08-11 2014-08-11 이동식 야구 연습장 KR20160019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855A KR20160019282A (ko) 2014-08-11 2014-08-11 이동식 야구 연습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855A KR20160019282A (ko) 2014-08-11 2014-08-11 이동식 야구 연습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282A true KR20160019282A (ko) 2016-02-19

Family

ID=55448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855A KR20160019282A (ko) 2014-08-11 2014-08-11 이동식 야구 연습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92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401B1 (ko) * 2019-10-10 2020-07-02 주식회사 서창테크 유명 프로야구 투수의 피칭을 구현 가능한 피칭 로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401B1 (ko) * 2019-10-10 2020-07-02 주식회사 서창테크 유명 프로야구 투수의 피칭을 구현 가능한 피칭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4855B2 (ja) ボールゲームの練習装置
KR101239527B1 (ko) Led 광 센서가 구비된 야구 타격 및 피칭 연습시스템
KR101744042B1 (ko) 야구 연습 장치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과, 이를 이용한 야구 연습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3183041B1 (en) Football training apparatus
CN101890218B (zh) 虚拟高尔夫模拟器、设置在其中的传感器及虚拟高尔夫模拟器的传感方法
US20190126120A1 (en) Tennis training device using virtual targets
KR100920949B1 (ko)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클럽 헤드의 진입각, 공간속도 및타격점을 알기 위한 센싱 시스템
KR101461201B1 (ko)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00685A (ko)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73123A (ko) 야구 연습 장치, 이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과, 볼 피칭 제어 방법
KR101790747B1 (ko) 스크린 배드민턴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101784623B1 (ko)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좌완투수 및 우완투수의 구현방법
US9989352B2 (en) Playing surface collision detection system
CN101934134B (zh) 虚拟高尔夫模拟装置、设置在其中的传感器及虚拟高尔夫模拟装置的传感方法
KR101766533B1 (ko) 진동감지를 통한 인/아웃 판정부를 구비하는 테니스 연습장치
KR101433031B1 (ko) 퍼팅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및 방법
ES2925863T3 (es) Dispositivo y método para entrenar un deporte de pelota
US7479075B2 (en) Pitcher's catcher
KR20160019282A (ko) 이동식 야구 연습장
KR20170085460A (ko) 야구 연습 장치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과, 이를 이용한 야구 연습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1087442A (ja) ゴルフアプローチショット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WO20182029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actising the shot accuracy and speed of game equipment
KR102082920B1 (ko) 피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KR101917779B1 (ko) 캐칭 머시인
JP3181031U (ja) ゴルフシミュレ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