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779B1 - 캐칭 머시인 - Google Patents

캐칭 머시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779B1
KR101917779B1 KR1020180085929A KR20180085929A KR101917779B1 KR 101917779 B1 KR101917779 B1 KR 101917779B1 KR 1020180085929 A KR1020180085929 A KR 1020180085929A KR 20180085929 A KR20180085929 A KR 20180085929A KR 101917779 B1 KR101917779 B1 KR 101917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be
unit
frames
ball
base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희
최창혁
이영권
Original Assignee
이영권
최창혁
박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권, 최창혁, 박건희 filed Critical 이영권
Priority to KR1020180085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p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캐칭 머시인이 개시되며, 캐칭 머시인은, 야구공을 포구하기 위한 글로브; 상기 글로브를 고정하며, 상기 글로브를 닫거나 열기 위한 프레임; 및 상기 글로부의 전면 하단부 또는 상단부 또는 측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야구공이 상기 글로브를 향하여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글로브가 닫히거나 열리도록 상기 프레임을 작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야구공이 상기 글로브로 들어가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충격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미리 야구공의 진입을 감지하여 포구를 하여 정확한 포구가 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들이 던진 공을 미트로 글러브로 포구함으로써 야구하는 기분을 업시키고 정확한 포구가 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캐칭 머시인{Catching Machine}
본 발명은 캐칭 머시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날아오는 야구공을 포구하는 캐칭 머시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구와 관련하여 일반인들이 주로 하는 게임으로는 베팅 게임과 피칭 게임이 있다. 상기 피칭 게임은 야구공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 게임과, 스트라이크 존을 구분하여 정확한 위치에 투구하는 정확도 측정 게임으로 구분된다.
상기 속도 측정 게임이나 상기 정확도 측정 게임에서 사용자들이 던진 야구공은 매트나 천에 부딪혀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즉, 상기 피칭 게임에서 사용자들이 던진 상기 야구공을 포구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상태이다.
상기 피칭 게임에서 사용자들이 던진 공을 포구해 주는 캐칭 수단이 있다면 상기 피칭 게임에 대한 흥미를 높일수 있다.
이러한 연유로 종래에 한국특허공개공부 2018-0032826호에 캐칭 머시인 및 이를 갖는 피칭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의 캐칭 머시인은 야구공을 포구하기 위한 미트와, 상기 미트를 고정하며, 상기 미트를 닫거나 열기 위한 프레임 및 상기 미트가 닫히거나 열리도록 상기 프레임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캐칭 머시인은 상기 야구공을 자동으로 포구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선행기술은 센서가 야구공이 미트에 닿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여 포구를 하게 되는데, 이미 야구공이 미트에 맞고 튕겨나가는 경우도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던진 공을 미트로 포구하여야 하는데 미트의 구조상 정확하게 포구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충격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미리 야구공의 진입을 감지하여 포구를 하여 정확한 포구가 되도록 하는 캐칭 머시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사용자들이 던진 공을 미트로 글러브로 포구함으로써 야구하는 기분을 업시키고 정확한 포구가 되도록 하는 캐칭 머시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공을 던진 사용자의 투구에 관하여 누적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높이고 야구실력을 향상시키는 캐칭 머시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캐칭 머시인은,
야구공을 포구하기 위한 글로브;
상기 글로브를 고정하며, 상기 글로브를 닫거나 열기 위한 프레임; 및
상기 글로부의 전면 하단부 또는 상단부 또는 측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야구공이 상기 글로브를 향하여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글로브가 닫히거나 열리도록 상기 프레임을 작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야구공이 상기 글로브로 들어가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글로브는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글로브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글로브, 상기 프레임 및 상기 구동부를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글로브의 전방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야구공을 상기 글로브를 향해 던지기 위한 투수 마운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글로브와 상기 투수 마운드 사이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던진 야구공의 속도 및 진행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볼 또는 스트라이크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투수 마운드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야구공의 속도 및 상기 초기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캐칭 머시인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야구공의 속도 및 상기 말기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트라이크 또는 볼을 포함한 피칭 결과와 타자, 포수 및 심판의 모션과 배경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별로 볼 또는 스트라이크, 볼의 속도를 누적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의 입력부 선택에 따라 누적된 사용자의 피칭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충격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미리 야구공의 진입을 감지하여 포구를 하여 정확한 포구가 되도록 하는 캐칭 머시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들이 던진 공을 미트로 글러브로 포구함으로써 야구하는 기분을 업시키고 정확한 포구가 되도록 하는 캐칭 머시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을 던진 사용자의 투구에 관하여 누적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높이고 야구실력을 향상시키는 캐칭 머시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칭 머시인과 마운드의 연관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칭 머시인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칭 머시인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2 센서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칭 머시인이 글로브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칭 머시인의 글로브를 구동하는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칭 머시인의 각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칭 머시인과 마운드의 연관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칭 머시인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칭 머시인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2 센서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칭 머시인이 글로브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칭 머시인이 글로브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칭 머시인의 글로브를 구동하는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칭 머시인의 각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수치는 바람직한 예시일 뿐이며, 실제 제작과정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동작하는 수치로서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캐칭 머시인(100)은,
플레이트(110), 프레임(120), 글로브(101), 제어부(140), 센서부(150), 디스플레이부(130), 입력부(180), 구동부(160) 및 이동부(17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10)는 대략 원형의 평판 형태를 가지며, 수직으로 세워진다.
플레이트(110)에는 구동부(160)가 고정된다.
구동부(160)는 수평운동을 한다.
구동부(160)의 끝단에는 프레임 지지부(161)가 형성되고, 프레임 지지부(161)에는 내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 형태의 홈이 상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프레임(121, 122)은 상기 레일을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구동부(160)의 수평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을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프레임(121, 122) 각각에는 티자형의 제3, 제4 프레임(123, 124)이 고정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티자형의 제3, 제4 프레임(123, 124)의 양 끝단에는 상기 글로브(101)를 끼우기 위한 끼우개(125, 126, 127, 128)가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다. 즉 끼우개 4개(125, 126, 127, 128)에 글로브(101)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티자형의 제3, 제4(123, 124) 프레임은 외부에 링베이링이 양방향에 형성된 고정부(129)가 각각 형성되어 제3, 제4 프레임(123, 124)의 소정 각도의 회전이 용이하다.
또한, 구동부(160)의 끝단인 프레임 지지부(161)에도 내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 형태의 홈이 상하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홈을 따라 제1, 제2 프레임(121, 122)의 회전 및 상하 이동이 용이하도록 제1, 제2 프레임(121, 122) 양단에 링베이링이 적용된다.
이러한 구조는 필요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구동부(160)의 예로는 에어실린더를 들 수 있다. 구동부(160)가 에어실린더인 경우, 상기 에어 실린더의 로드가 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로드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 글로브(101)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프레임이 작동한다.
제1, 제2 프레임(121, 122)이 프레임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이동이 가능하므로, 프레임 지지부(161)의 수평운동에 따라 제1, 제2 프레임(121, 122)이 프레임 지지부(161)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제2 프레임(121, 122)에 고정 연결된 제3, 제4 프레임(123, 124)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제3, 제4 프레임(123, 124)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끼우개(125, 126, 127, 128)도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끼우개(125, 126, 127, 128)에 끼워진 글로브(101)는 접었다 폈다가 하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즉, 프레임지지부(161)가 수평으로 확장되면, 제1, 제2 프레임(121, 122)이 프레임 지지부(161)를 중심으로 모여들게 된다.
따라서, 제1, 제2 프레임(121, 122)에 고정 연결된 제3, 제4 프레임(123, 124)이 양방향으로 벌어지게 되고, 제3, 제4 프레임(123, 124)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끼우개(125, 126, 127, 128)도 양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글로브(101)는 벌어지게 된다.
반대로 프레임지지부(161)가 수평으로 수축되면, 제1, 제2 프레임(121, 122)이 프레임 지지부(161)를 중심으로 각각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제2 프레임(121, 122)에 고정 연결된 제3, 제4 프레임(123, 124)이 중심방향으로 모아지게 되고, 제3, 제4 프레임(123, 124)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끼우개(125, 126, 127, 128)도 중심방향으로 모아지게 된다. 따라서 글로브(101)는 접히게 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제3, 제4 프레임(123, 124) 각각은 보조 프레임(123-1. 124-1)를 구비하여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제3, 제4 프레임(123, 124) 각각은 일체형의 T자형이 될 수도 있고, 분리형으로 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제2 프레임(121,122)은 베어링 장착으로 개폐구동을 용이하게 하며,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조 프레임(123-1,124-1)은 본 부품의 중심부 탭과 양 끝단 탭의 각도(도면참고)는 최종 설치가 완료되었을 때 적정 높이 400mm(기계가 열렸을 때 최대높이) 를 맞추기 위해 설계되었다.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부(129)는 양 끝단에 베어링을 장착하여 보조 프레임(123-1,124-1)의 회전을 용이하게 함으로 개폐구동을 부드럽게 함과 동시에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도 12를 참조하면, 끼우개(125,126,127,128)는 길이와 휘어진 각도(도면참고)는 글러브 장착 시 볼을 가장 안정적으로 포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도 20을 참조하면, 100-1은, 플레이트(110), 프레임 지지부(161), 프레임(120), 글로브(101)을 지지하는 수직으로 된 중심부이다.
100-2는 하부 박스이다.
100-3은 하부 박스 덮개이다.
그리고, 100-4는 덮개이다.
특히, 중심부(100-1)는 플레이트(110), 프레임 지지부(161), 프레임(120), 글로브(101)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0~20도 까지 수평 회전이 가능케 함으로써, 포구된 볼을 자연스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운동 에너지의 활용).
글로부(101)는 사용자가 던지는 야구공을 포구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20)에 교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글로부(101)는 상기 야구공의 속도를 줄이기 위해 가죽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다. 필요에 따라 글로부(101)의 재질은 라텍스 재질, 고무 재질 등이 될 수도 있다. 글로부(101)는 일반 글로브 보다 큰것이 바람직하며, 끼우개(125, 126, 127, 128)를 꼽을 수 있는 4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글로부(101)가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므로, 글로부(101)가 손상되면 글로부(101)만을 교체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상기 야구공이 글로부(101)로 진입할때의 속도와 방향 등을 감지한다.
센서부(150)는 글로부(101)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50)는 글로부(101)의 전면에 사각형 형태로 구비되어 발신부와 수신부의 쌍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캐칭 머시인(100)은 센서부(150)의 감지 신호에 따라 구동부(160)가 글로부(101)가 닫히도록 프레임(120)을 작동하므로, 사용자가 던진 야구공을 자동으로 포구할 수 있다.
이동부(170)는 상면에 플레이트(110)를 지지한다. 플레이트(110)에 프레임(120), 글로부(101), 구동부(160) 등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동부(170)는 프레임(120), 글로부(101), 구동부(160) 등을 지지한다.
이동부(170)는 플레이트(110)를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수평 방향은 상기 야구공의 진행 방향과 수직하는 수평 방향이다. 플레이트(110)가 상기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프레임(120), 글로부(101), 구동부(160) 등도 이동부(170)에 의해 상기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글로부(10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캐칭 시스템(100)은 투수 마운드(210), 진동 발생부(220), 디스플레이부(240), 음향부(250)를 더 포함한다.
투수 마운드(210)는 캐칭 머시인(100)의 전방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이격된 거리는 약 9 내지 19m인 것이 바람직하나, 공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캐칭 머시인(100)과 투수 마운드(210)는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즉, 캐칭 머시인(100)의 위치가 고정되고 투수 마운드(210)가 캐칭 머시인(100)을 향해 이동하거나, 투수 마운드(210)의 위치가 고정되고 캐칭 머시인(100)이 투수 마운드(210)를 향해 이동하거나, 캐칭 머시인(100)과 투수 마운트(210)가 각각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캐칭 머시인(100)과 투수 마운드(210)의 상대 이동을 통해 사용자의 나이나 신체 조건에 따라 캐칭 머시인(100)과 투수 마운드(21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80)에 의해 사용자의 나이나 신체 조건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스크라이크존을 보정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투수 마운드(210)는 사용자가 상기 야구공을 글로브(101)를 향해 던지기 위한 것이다. 투수 마운드(210)는 사용자가 상기 야구공을 보다 강하게 던질 수 있도록 다른 영역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투수 마운드(210)에는 투구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투구판(21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투구판(212)을 이용하여 정확한 투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진동 발생부(220)는 투수 마운드(210) 내부에 구비되며, 진동을 발생하여 투수 마운드(210)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진동 발생부(220)의 예로는 우퍼 스피커, 진동자 등을 들 수 있다. 실제 투수들이 공을 던질 때 함성이나 응원으로 인해 느끼는 진동을 상기 진동을 통해 사용자가 유사하게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실감나게 투구를 진행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캐칭 머시인(100)과 투수 마운드(210) 사이에 구비된다.
일 예로, 센서부(150)는 캐칭 머시인(100)과 투수 마운드(210) 사이의 바닥면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센서부(150)는 캐칭 머시인(100)과 투수 마운드(210) 사이에 사각 프레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센서부(150)는 상기 야구공이 감지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야구공의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야구공이 감지되는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야구공의 진행 방향을 감지한다.
센서부(150)의 예로는 에어리어센서, 라인센서, 카메라 센서를 들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센서부(15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151, 152)는 에어리어 센서로서 발신부(153, 155)와 수신부(154, 156)로 각각 이루어져,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센서부(150)는 제1 센서부(151) 및 제2 센서부(15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센서부(152)는 투수 마운드(21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센서부(152)는 상기 야구공의 초속 및 상기 초기 진행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151)는 상기 캐칭 머시인(100)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센서부(151)는 상기 야구공의 종속 및 상기 말기 진행 방향을 감지한다.
상기 제1 센서부(151)와 상기 제2 센서부(152)를 이용하여 상기 야구공의 속도와 진행 방향을 감지하므로, 상기 야구공의 속도와 진행 방향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캐칭 머시인(100)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사용자가 던진 공의 스크라이크, 볼 등의 정보 또는 통계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타자, 포수 및 심판의 모션과 배경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화면을 분할하여 사용자가 던진 공의 스크라이크, 볼 등의 정보 또는 통계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타자, 포수 및 심판의 모션과 배경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타자, 포수 및 심판의 모션과 배경은 사용자가 던진 공이 스트라이크, 볼, 삼진, 사구 중의 어느 것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타자, 포수 및 심판의 모션과 배경을 역동적으로 표시함으로써 피칭 게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음향부(250)는 캐칭 머시인(100)에 구비되거나 캐칭 머시인(100)과 인접하게 구비된다.
음향부(250)는 증폭기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부(250)는 상기 야구공이 캐칭 머시인(100)의 글로브(101)에 포구될 때 발생하는 미리 저장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던진 공이 빠르고 무거운 것처럼 느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기분을 좋게 하고 피칭 게임에 대한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칭 머시인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입력부(180)를 조작하여 사용자의 나이나 신체 조건을 입력하고, 제어부(140)는 스크라이크존을 보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방법도 입력할 수 있다. 단순하게 구속이 얼마인 스트라이크를 몇 개 던지는지에 따라 점수를 매길 수도 있고, 싸인에 따라 스트라이크나 볼을 제대로 던지는 지에 따라 점수가 계산될 수도 있다.
또한, 타자를 둔 상태에서 스트라이크나 볼 또는 단타, 장타, 홈런 등을 평가할 수도 있다.
이후, 투수 마운드(210)에서 사용자가 상기 야구공을 글로브(101)를 향해 던진다.
그러면, 센서부(150)는 상기 야구공이 감지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야구공의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야구공이 감지되는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야구공의 진행 방향을 감지한다. 센서부(150)는 제1 센서부(151) 및 제2 센서부(15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센서부(152)는 투수 마운드(21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센서부(152)는 상기 야구공의 초속 및 상기 초기 진행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151)는 상기 캐칭 머시인(100)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센서부(151)는 상기 야구공의 종속 및 상기 말기 진행 방향을 감지한다.
그리고 아러한 센서부(150)의 감지된 정보에 따라 제어부(140)가 구동부(160)를 구동하여 글로브(101)가 야구공을 포구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60)의 프레임지지부(161)가 수평으로 수축되고, 제1, 제2 프레임(121, 122)이 프레임 지지부(161)를 중심으로 각각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1, 제2 프레임(121, 122)에 고정 연결된 제3, 제4 프레임(123, 124)이 중심방향으로 모아지게 되고, 제3, 제4 프레임(123, 124)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끼우개(125, 126, 127, 128)도 중심방향으로 모아지게 된다. 따라서 글로브(101)는 접히게 된다.
한편, 일정 시간이 지난후 제어부(140)는 구동부(160)를 구동하여 글로브를 벌여 야구공을 외부로 배출한다.
즉, 구동부(160)의 프레임지지부(161)가 수평으로 확장되고, 제1, 제2 프레임(121, 122)이 프레임 지지부(161)를 중심으로 모여들게 된다.
그리고, 제1, 제2 프레임(121, 122)에 고정 연결된 제3, 제4 프레임(123, 124)이 양방향으로 벌어지게 되고, 제3, 제4 프레임(123, 124)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끼우개(125, 126, 127, 128)도 양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글로브(101)는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출된 야구공을 별도의 장치를 통해 모아둘 수도 있다.
상기 과정의 반복이 이루어지고, 이후 제어부(140)는 해당 사용자의 기록을 저장부(190)누적 저장한다.
그리고 날마다 사용자의 실력이 향상되는지 계산하여 그 계산결과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해준다.
예를 들어 어제는 100개중 스트라이크를 90개 던졌는데, 오늘은 95개를 던진경우의 통계치와 향상율 등을 표시해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통계치는 한달 동안 또는 1년 동안의 긴 기간도 누적하여 다양한 통계치를 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결과가 감소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 등을 표시하여 피칭 훈련을 게을리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충격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미리 야구공의 진입을 감지하여 포구를 하여 정확한 포구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들이 던진 공을 미트로 글러브로 포구함으로써 야구하는 기분을 업시키고 정확한 포구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을 던진 사용자의 투구에 관하여 누적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높이고 야구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글로브(101)를 고정하며, 상기 글로브(101)를 닫거나 열기 위한 프레임; 및
    상기 글로브(101)의 전면 하단부 또는 상단부 또는 측면부에 설치되며, 야구공이 상기 글로브(101)를 향하여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150);
    상기 글로브(101)가 닫히거나 열리도록 상기 프레임을 작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센서부(150)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야구공이 상기 글로브(101)로 들어가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글로브(101)는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글로브(10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글로브(101), 상기 프레임 및 상기 구동부를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원형의 평판 형태를 가지며, 수직으로 세워지며, 구동부가 고정되는 플레이트(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160)의 끝단에는 프레임 지지부(161)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지지부(161)에는 내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 형태의 홈이 상하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은 제1 내지 제 4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프레임(121, 122)은 상기 레일형태의 홈을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구동부(160)의 수평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형태의 홈을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제1, 제2 프레임(121, 122) 각각에는 티자형의 제3, 제4 프레임(123, 124)이 고정 형성되어 있고,
    상기 티자형의 제3, 제4 프레임(123, 124)의 양 끝단에는 상기 글로브(101)를 끼우기 위한 끼우개(125, 126, 127, 128)가 각각 2개씩 형성되고,
    상기 끼우개(125, 126, 127, 128)에 상기 글로브(101)가 끼워지고,
    상기 티자형의 제3, 제4(123, 124) 프레임은 외부에 링베이링이 양방향에 형성된 고정부(129)가 각각 형성되어 제3, 제4 프레임(123, 124)이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하고,
    상기 레일 형태의 홈을 따라 제1, 제2 프레임(121, 122)의 회전 및 상하 이동이 용이하도록 제1, 제2 프레임(121, 122) 양단에 링베이링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칭 머시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101)의 전방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야구공을 상기 글로브(101)를 향해 던지기 위한 투수 마운드(210)를 더 포함하는 캐칭 머시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50)는 상기 글로브(101)와 상기 투수 마운드(210) 사이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던진 야구공의 속도 및 진행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센서부(150)의 센싱 결과에 따라 볼 또는 스트라이크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칭 머시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50)는,
    상기 투수 마운드(21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야구공의 속도 및 초기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151); 및
    상기 글로브(101)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야구공의 속도 및 말기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제2 센서부(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칭 머시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스트라이크, 볼 및 상기 야구공의 속도를 포함한 피칭 결과 정보와 타자, 포수 및 심판의 모션과 배경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30);
    사용자별로 볼, 스트라이크 및 상기 야구공의 속도를 누적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입력부(180) 선택에 따라 누적된 사용자의 피칭 결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칭 머시인.

KR1020180085929A 2018-07-24 2018-07-24 캐칭 머시인 KR101917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929A KR101917779B1 (ko) 2018-07-24 2018-07-24 캐칭 머시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929A KR101917779B1 (ko) 2018-07-24 2018-07-24 캐칭 머시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779B1 true KR101917779B1 (ko) 2019-01-29

Family

ID=6532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929A KR101917779B1 (ko) 2018-07-24 2018-07-24 캐칭 머시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7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367A (ko) * 2000-11-27 2001-02-05 원동희 투구연습장치와 이를 이용한 투수의 투구분석방법 및오프라인의 투구연습장치의 투구정보를 온라인과 연계하여야구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JP2002263233A (ja) * 2001-03-09 2002-09-17 Hatori Vantec Co Ltd 投球練習機
KR20170014912A (ko) * 2015-07-31 2017-02-08 (주)스크린게임연구소 실내 스크린 야구 투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서비스 방법
KR20180032826A (ko) * 2016-09-23 2018-04-02 이영권 캐칭 유닛 및 이를 갖는 피칭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367A (ko) * 2000-11-27 2001-02-05 원동희 투구연습장치와 이를 이용한 투수의 투구분석방법 및오프라인의 투구연습장치의 투구정보를 온라인과 연계하여야구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JP2002263233A (ja) * 2001-03-09 2002-09-17 Hatori Vantec Co Ltd 投球練習機
KR20170014912A (ko) * 2015-07-31 2017-02-08 (주)스크린게임연구소 실내 스크린 야구 투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서비스 방법
KR20180032826A (ko) * 2016-09-23 2018-04-02 이영권 캐칭 유닛 및 이를 갖는 피칭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838B1 (ko)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US10994187B2 (en) Swing alert system and method
EP1926535B1 (en) Training Device
KR101239527B1 (ko) Led 광 센서가 구비된 야구 타격 및 피칭 연습시스템
US20130157787A1 (en) Baseball Pitching Simulator
TW201211814A (en) Method and system for golf ball fitting analysis
KR101766533B1 (ko) 진동감지를 통한 인/아웃 판정부를 구비하는 테니스 연습장치
KR101917779B1 (ko) 캐칭 머시인
US20070270250A1 (en) Pitcher's catcher
WO2011083546A1 (ja) バッティング装置
ES2925863T3 (es) Dispositivo y método para entrenar un deporte de pelota
JP2021041164A (ja) ゴルフボールの捕獲ユニット及びこれを利用する仮想ゴルフ装置
KR20180032826A (ko) 캐칭 유닛 및 이를 갖는 피칭 시스템
KR102062625B1 (ko) 맞춤형 타격 공간부 형성기능을 갖는 골프 연습용 스윙 플레이트와, 이를 구비한 골프 연습시스템
CN112891879B (zh) 一种体育教学用篮球架智能计数装置
KR100689618B1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US202203053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ports practice
KR101818959B1 (ko) 야구 피칭 스크린을 구비한 공스피드 및 정확도 측정머신
KR102082920B1 (ko) 피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CN2589020Y (zh) 一种室内模拟高尔夫系统
KR20180085843A (ko) 스윙 자세의 교정과 게임이 가능한 스윙 분석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2394619B1 (ko) 실내 타격 게임시스템
KR20160019282A (ko) 이동식 야구 연습장
KR102650665B1 (ko) 스크린 골프장용 부스
CN211158458U (zh) 一种健身组件及具有该健身组件的健身系统和跑步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