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826A - 캐칭 유닛 및 이를 갖는 피칭 시스템 - Google Patents

캐칭 유닛 및 이를 갖는 피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826A
KR20180032826A KR1020160121953A KR20160121953A KR20180032826A KR 20180032826 A KR20180032826 A KR 20180032826A KR 1020160121953 A KR1020160121953 A KR 1020160121953A KR 20160121953 A KR20160121953 A KR 20160121953A KR 20180032826 A KR20180032826 A KR 20180032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at
catching
basebal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권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이영권
이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권, 이지훈 filed Critical 이영권
Priority to KR1020160121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2826A/ko
Publication of KR20180032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p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47Visualisation of executed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3Force of an impact, e.g. blow or p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캐칭 유닛은 야구공을 포구하기 위한 미트와, 상기 미트를 고정하며, 상기 미트를 닫거나 열기 위한 프레임 및 상기 미트가 닫히거나 열리도록 상기 프레임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캐칭 유닛은 상기 야구공을 자동으로 포구할 수 있다.

Description

캐칭 유닛 및 이를 갖는 피칭 시스템{Catching unit and pitching system having the catching unit}
본 발명은 캐칭 유닛 및 이를 갖는 피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날아오는 야구공을 포구하기 위한 캐칭 유닛 및 이를 갖는 피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구와 관련하여 일반인들이 주로 하는 게임으로는 베팅 게임과 피칭 게임이 있다. 상기 피칭 게임은 야구공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 게임과, 스트라이크 존을 구분하여 정확한 위치에 투구하는 정확도 측정 게임으로 구분된다.
상기 속도 측정 게임이나 상기 정확도 측정 게임에서 사용자들이 던진 야구공은 매트나 천에 부딪혀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즉, 상기 피칭 게임에서 사용자들이 던진 상기 야구공을 포구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상태이다. 상기 피칭 게임에서 사용자들이 던진 공을 포구해 주는 캐칭 수단이 있다면 상기 피칭 게임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던진 야구공을 자동으로 포구할 수 있는 캐칭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캐칭 유닛을 갖는 피칭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캐칭 유닛은 야구공을 포구하기 위한 미트와, 상기 미트를 고정하며, 상기 미트를 닫거나 열기 위한 프레임 및 상기 미트가 닫히거나 열리도록 상기 프레임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캐칭 유닛은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트의 내부 또는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야구공이 상기 미트에 닿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센서가 상기 충격을 감지할 때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미트가 닫히도록 상기 프레임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미트는, 상기 야구공의 진행 방향에 수직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야구공과 충돌하여 상기 야구공의 속도를 줄이는 패드부 및 상기 패드부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패드부와 충돌한 야구공을 잡기하기 위한 캐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패드부와 상기 캐치부는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미트는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캐칭 유닛은 상기 미트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미트에 상기 야구공이 포구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캐칭 유닛은 상기 미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미트, 상기 프레임 및 상기 구동부를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칭 시스템은 야구공을 포구하기 위한 미트, 상기 미트를 고정하며 상기 미트를 닫거나 열기 위한 프레임 및 상기 미트가 닫히거나 열리도록 상기 프레임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캐칭 유닛 및 상기 캐칭 유닛의 전방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야구공을 상기 미트를 향해 던지기 위한 투수 마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피칭 시스템은 상기 투수 마운드 내부에 구비되며, 진동을 발생하여 상기 투수 마운드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진동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피칭 시스템은 상기 캐칭 유닛과 상기 투수 마운드 사이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던진 야구공의 속도 및 진행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투수 마운드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야구공의 초속 및 상기 초기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캐칭 유닛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야구공의 종속 및 상기 말기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피칭 시스템은 상기 캐칭 유닛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타자, 포수 및 심판의 모션과 배경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피칭 시스템은 상기 야구공이 상기 캐칭 유닛의 미트에 포구될 때 발생하는 미트 소리를 증폭하거나, 상기 미트 소리에 미리 저장된 미트 소리를 더 하기 위한 음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칭 유닛은 야구공이 미트에 닿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센서로 감지하고, 상기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미트가 오므려지도록 구동부에 의해 프레임이 작동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던진 야구공을 자동으로 포구할 수 있다.
상기 캐칭 유닛에서 상기 미트는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상기 미트가 손상되는 경우, 상기 미트만을 교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캐칭 유닛의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캐칭 유닛은 이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미트, 상기 프레임 및 상기 구동부를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미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미트의 크기가 스트라이크 존의 크기와 동일한 경우, 상기 미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스트라이크 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미트의 크기가 스트라이크 존의 일부 영역의 크기와 동일한 경우, 상기 스트라이크 존에서 상기 미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칭 시스템은 사용자가 투수 마운드에서 캐칭 유닛의 미트를 향해 야구공을 던지면 상기 캐칭 유닛이 상기 야구공을 자동으로 포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던진 공이 자동으로 포구되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야구공을 던지는 재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칭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캐칭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캐칭 유닛의 미트가 닫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미트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칭 유닛 및 이를 갖는 피칭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칭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캐칭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캐칭 유닛의 미트가 닫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캐칭 유닛(10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 프레임(120), 미트(130), 보강판(140), 센서(150), 구동부(160) 및 이동부(17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대략 사각의 평판 형태를 가지며, 수직으로 세워진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전면에는 돌출부(112)가 구비된다. 돌출부(112)에는 프레임(120)이 고정된다. 예를 들면, 돌출부(112)는 네 개가 사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20)은 돌출부(112)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돌출부(112)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면, 프레임(120)은 대략 ‘L’자 모양으로 꺽인 형태를 가지며, 상기 꺽인 부분이 돌출부(112)와 힌지 결합된다.
프레임(120)은 상기 꺽인 부분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며 전방으로 연장하는 제1 프레임(122) 및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으며 하방 또는 상방으로 연장하는 제2 프레임(1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120)은 상방에 두 개가 위치하고, 하방에 두 개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같은 높이에 위치한 한 쌍의 프레임(120)은 보조 프레임(12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보조 프레임(122)은 제1 프레임(122)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프레임(120)이 돌출부(112)를 중심으로 상기 상하 방향으로 선회하므로, 상방에 위치한 프레임(120)의 제1 프레임(122)과 하방에 위치한 프레임(120)의 제1 프레임(122)이 서로 이격되어 열리거나, 서로 인접하여 닫힐 수 있다.
미트(130)는 사용자가 던지는 야구공을 포구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20)에 교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미트(130)는 패드부(132)와 캐치부(1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드부(132)는 상기 야구공의 진행 방향, 예를 들면 수평 방향에 수직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야구공과 충돌하여 상기 야구공의 속도를 줄인다. 패드부(132)는 상기 야구공의 속도를 줄이기 위해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패드부(132)는 라텍스 재질,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캐치부(134)는 패드부(132)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전방을 향해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비된다. 캐치부(134)는 패드부(132)와 충돌한 야구공을 잡는다.
예를 들면, 패드부(132)와 캐치부(134)는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패드부(132)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전방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치된다. 이때, 패드부(132)는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패드부(132)의 후면에 패드부(132)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14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패드부(132)가 자중에 의해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판(140)과 베이스 플레이트(110) 사이에는 상기 야구공이 미트(130)에 포구될 때, 구체적으로, 상기 야구공이 패드부(132)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 부재(142)가 구비된다. 완충 부재(142)의 예로는 코일 스프링을 들 수 있다. 완충 부재(142)로 고무 블록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고정 핀(144)은 완충 부재(142)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관통하고 완충 부재(142)를 지나 보강판(140)에 고정된다. 완충 부재(142)는 고정 핀(144)에 고정되므로, 완충 부재(142)가 보강판(140)과 베이스 플레이트(110) 사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완충 부재(142)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캐치부(134)는 프레임(120)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캐치부(134)는 제1 프레임(122)에 고정된다. 캐치부(134)는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122) 사이를 커버한다. 필요에 따라 캐치부(134)는 상하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122) 사이를 추가로 커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캐치부(134)는 패드부(132)와 충돌한 야구공을 잡아 상기 야구공이 제1 프레임(122) 사이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하방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122) 사이를 커버하는 캐치부(134)에는 포구된 야구공을 배출하기 위한 홀(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패드부(132)와 캐치부(134)가 일체로 구비되는 경우, 패드부(132)는 캐치부(134)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미트(130)가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므로, 미트(130)가 손상되면 미트(130)만을 교체할 수 있다. 특히, 미트(130)가 패드부(132)와 캐치부(134)로 분리되어 구비되는 경우, 패드부(132)와 캐치부(134)에서 손상된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캐칭 유닛(100)의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센서(150)는 상기 야구공이 미트(130)에 닿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한다.
센서(150)는 미트(13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50)는 미트(130)에서 패드부(132)의 후면에 구비된다. 패드부(132)가 보강판(140)에 의해 보강된 경우, 보강판(14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센서(150)는 미트(130)의 내부, 구체적으로 패드부(132)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구동부(160)는 미트(130)가 닫히거나 열리도록 프레임(120)을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60)는 센서(150)로부터 상기 충격을 감지할 때 발생하는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미트(130)가 닫히도록 프레임(120)을 작동시킨다. 또한, 구동부(160)는 센서(150)로부터 상기 충격을 감지할 때 발생하는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미트(130)가 열리도록 프레임(120)을 작동시킨다.
구동부(160)의 예로는 에어실린더를 들 수 있다. 구동부(160)가 에어실린더인 경우, 상기 에이 실린더의 로드(162)가 프레임(120)의 제2 프레임(124)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로드(162)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 미트(130)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프레임(120)이 작동한다.
따라서, 캐칭 유닛(100)은 센서(150)의 감지 신호에 따라 구동부(160)가 미트(130)가 닫히도록 프레임(120)을 작동하므로, 사용자가 던진 야구공을 자동으로 포구할 수 있다.
이동부(170)는 상면에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지지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프레임(120), 미트(130), 구동부(160) 등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동부(170)는 프레임(120), 미트(130), 구동부(160) 등을 지지한다.
이동부(17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수평 방향은 상기 야구공의 진행 방향과 수직하는 수평 방향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상기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프레임(120), 미트(130), 구동부(160) 등도 이동부(170)에 의해 상기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미트(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미트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미트(130)의 크기는 스트라이크 존(S)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미트(130)의 크기가 상기 스트라이크 존(S)의 크기와 동일한 경우, 미트(130)의 위치를 상기 상하 방향 및 상기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여 스트라이크 존(S)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미트(130)의 크기는 스트라이크 존(S)을 등분할한 크기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미트(130)의 크기는 스트라이크 존(S)을 9개로 등분할한 크기와 동일하거나, 스트라이크 존(S)을 4개로 등분할한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미트(130)의 크기가 상기 스트라이크 존(S)을 등분할한 크기와 동일한 경우, 상기 스트라이크 존(S)에서 미트(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미트(130)는 상기 등분할된 스트라이크 존(S)에서 일정한 순서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트(130)는 상기 등분할된 스트라이크 존(S)에서 설정된 번호 순서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미트(130)는 상기 등분할된 스트라이크 존(S)에서 일정한 순서 없이 랜덤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미트(130)는 상기 등분할된 스트라이크 존(S)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등분할된 스트라이크 존(S)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번호를 입력하면 미트(130)가 상기 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등분할된 스트라이크 존(S)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미트(130)가 이동하도록 캐칭 유닛(100)은 이동부(170)를 구동시키기 위한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라이크 존에서 미트(130)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미트(130)를 향해 야구공을 던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제구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피칭 시스템(200)은 캐칭 유닛(110), 투수 마운드(210), 진동 발생부(220), 감지부(230), 디스플레이부(240), 음향부(250)를 포함한다.
캐칭 유닛(100)은 야구공을 포구하기 위한 것으로, 캐칭 유닛(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 캐칭 유닛(100)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투수 마운드(210)는 캐칭 유닛(100)의 전방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이격된 거리는 약 9 내지 19 m 인 것이 바람직하나, 공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캐칭 유닛(100)과 투수 마운드(210)는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즉, 캐칭 유닛(110)의 위치가 고정되고 투수 마운드(210)가 캐칭 유닛(100)을 향해 이동하거나, 투수 마운드(210)의 위치가 고정되고 캐칭 유닛(110)이 투수 마운드(210)를 향해 이동하거나, 캐칭 유닛(100)과 투수 마운트(210)가 각각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캐칭 유닛(100)과 투수 마운드(210)의 상대 이동을 통해 사용자의 나이나 신체 조건에 따라 캐칭 유닛(100)과 투수 마운드(21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투수 마운드(210)는 사용자가 상기 야구공을 미트를 향해 던지기 위한 것이다. 투수 마운드(210)는 사용자가 상기 야구공을 보다 강하게 던질 수 있도록 다른 영역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투수 마운드(210)에는 투구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투구판(21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투구판(212)을 이용하여 정확한 투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진동 발생부(220)는 투수 마운드(210) 내부에 구비되며, 진동을 발생하여 투수 마운드(210)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진동 발생부(220)의 예로는 우퍼 스피커, 진동자 등을 들 수 있다. 실제 투수들이 공을 던질 때 함성이나 응원으로 인해 느끼는 진동을 상기 진동을 통해 사용자가 유사하게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실감나게 투구를 진행할 수 있다.
감지부(230)는 캐칭 유닛(100)과 투수 마운드(210) 사이에 구비된다.
일 예로, 감지부(230)는 캐칭 유닛(100)과 투수 마운드(210) 사이의 바닥면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감지부(230)는 캐칭 유닛(100)과 투수 마운드(210) 사이에 사각 프레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감지부(230)는 상기 야구공이 감지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야구공의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야구공이 감지되는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야구공의 진행 방향을 감지한다.
감지부(230)의 예로는 라인 센서, 카메라 센서를 들 수 있다.
감지부(230)는 제1 감지부(232) 및 제2 감지부(2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감지부(232)는 투수 마운드(21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감지부(232)는 상기 야구공의 초속 및 상기 초기 진행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부(234)는 상기 캐칭 유닛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감지부(234)는 상기 야구공의 종속 및 상기 말기 진행 방향을 감지한다.
상기 제1 감지부(232)와 상기 제2 감지부(234)를 이용하여 상기 야구공의 속도와 진행 방향을 감지하므로, 상기 야구공의 속도와 진행 방향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캐칭 유닛(100)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타자, 포수 및 심판의 모션과 배경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제1 디스플레이부(242) 및 제2 디스플레이부(2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242)는 타자가 타격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타자의 모션을 표시한다.
제2 디스플레이부(244)는 캐칭 유닛(100)의 후방에 배치되며, 포수 및 심판의 모션과 관중석과 같은 배경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부(242)를 제외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244)에 타자의 모션을 추가로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타자, 포수 및 심판의 모션과 배경은 사용자가 던진 공이 스트라이크, 볼, 삼진, 사구 중의 어느 것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디스플레이부(240)는 타자, 포수 및 심판의 모션과 배경을 역동적으로 표시함으로써 피칭 게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음향부(250)는 캐칭 유닛(100)에 구비되거나 캐칭 유닛(100)과 인접하게 구비된다.
음향부(250)는 증폭기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부(250)는 상기 야구공이 캐칭 유닛(100)의 미트에 포구될 때 발생하는 미트 소리를 증폭할 수 있다.
또한, 음향부(250)는 저장기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부(250)는 미트가 야구공을 포구할 때 발생하는 미트 소리를 미리 저장한다. 음향부(250)는 상기 야구공이 캐칭 유닛(100)의 미트에 포구될 때 발생하는 미리 저장된 미트 소리를 더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부(250)는 상기 야구공이 캐칭 유닛(100)의 미트에 포구될 때 발생하는 미트 소리를 크고 선명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던진 공이 빠르고 무거운 것처럼 느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기분을 좋게 하고 피칭 게임에 대한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캐칭 유닛(100)과 투수 마운드(210) 사이에는 캐칭 유닛(100)에서 포구된 야구공을 투수 마운드(210)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의 예로는 컨베이어 벨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피칭 유닛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프레임 130 : 미트
140 : 보강판 150 : 센서
160 : 구동부 170 : 이동부

Claims (13)

  1. 야구공을 포구하기 위한 미트;
    상기 미트를 고정하며, 상기 미트를 닫거나 열기 위한 프레임; 및
    상기 미트가 닫히거나 열리도록 상기 프레임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칭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트의 내부 또는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야구공이 상기 미트에 닿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센서가 상기 충격을 감지할 때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미트가 닫히도록 상기 프레임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칭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트는,
    상기 야구공의 진행 방향에 수직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야구공과 충돌하여 상기 야구공의 속도를 줄이는 패드부; 및
    상기 패드부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패드부와 충돌한 야구공을 잡기하기 위한 캐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칭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와 상기 캐치부는 분리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칭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트는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칭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트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미트에 상기 야구공이 포구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칭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미트, 상기 프레임 및 상기 구동부를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칭 유닛.
  8. 야구공을 포구하기 위한 미트, 상기 미트를 고정하며 상기 미트를 닫거나 열기 위한 프레임 및 상기 미트가 닫히거나 열리도록 상기 프레임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캐칭 유닛; 및
    상기 캐칭 유닛의 전방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야구공을 상기 미트를 향해 던지기 위한 투수 마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칭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마운드 내부에 구비되며, 진동을 발생하여 상기 투수 마운드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진동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칭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칭 유닛과 상기 투수 마운드 사이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던진 야구공의 속도 및 진행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칭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투수 마운드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야구공의 초속 및 상기 초기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캐칭 유닛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야구공의 종속 및 상기 말기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칭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칭 유닛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타자, 포수 및 심판의 모션과 배경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칭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야구공이 상기 캐칭 유닛의 미트에 포구될 때 발생하는 미트 소리를 증폭하거나, 상기 미트 소리에 미리 저장된 미트 소리를 더 하기 위한 음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칭 시스템.
KR1020160121953A 2016-09-23 2016-09-23 캐칭 유닛 및 이를 갖는 피칭 시스템 KR20180032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953A KR20180032826A (ko) 2016-09-23 2016-09-23 캐칭 유닛 및 이를 갖는 피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953A KR20180032826A (ko) 2016-09-23 2016-09-23 캐칭 유닛 및 이를 갖는 피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826A true KR20180032826A (ko) 2018-04-02

Family

ID=61976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953A KR20180032826A (ko) 2016-09-23 2016-09-23 캐칭 유닛 및 이를 갖는 피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28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779B1 (ko) * 2018-07-24 2019-01-29 이영권 캐칭 머시인
KR102593627B1 (ko) * 2023-07-09 2023-10-24 이영권 캐칭 머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779B1 (ko) * 2018-07-24 2019-01-29 이영권 캐칭 머시인
KR102593627B1 (ko) * 2023-07-09 2023-10-24 이영권 캐칭 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7137B2 (en) Handheld computer interface with haptic feedback
US8529382B2 (en) Baseball pitching simulator
KR101461201B1 (ko)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및 방법
US20180028865A1 (en) Height Target Scoring Device
JP2002052246A (ja) ゲーム機
KR100997899B1 (ko) 입체 영상을 이용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20180032826A (ko) 캐칭 유닛 및 이를 갖는 피칭 시스템
KR101766533B1 (ko) 진동감지를 통한 인/아웃 판정부를 구비하는 테니스 연습장치
KR102066789B1 (ko) 실시간 저소음 다방향성 테니스 연습장치
KR101435506B1 (ko) 타격 훈련 코칭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139863A (ko) 타격 연습 장치
KR101917779B1 (ko) 캐칭 머시인
CA2916082C (en) Baseball pitching simulator
US11192014B2 (en) System for expelling and collecting balls and related operating process
KR100397551B1 (ko) 골프 연습 시스템
JP7296483B2 (ja) ゲーム装置
JP7351927B2 (ja) ゲーム装置
JP6010585B2 (ja) ゲーム機
JP6010515B2 (ja) ゲーム機
JP7296484B2 (ja) ゲーム装置
US10576344B1 (en) Golfball rebounder
KR102160733B1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102127628B1 (ko) 구기 스포츠용 스크린 게임장치
AU2017317004B2 (en)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eaching and practicing skills for sports
JP2013005900A (ja) ゴルフ練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