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780A - 에너지 흡수 부재 - Google Patents

에너지 흡수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780A
KR20160018780A KR1020167000589A KR20167000589A KR20160018780A KR 20160018780 A KR20160018780 A KR 20160018780A KR 1020167000589 A KR1020167000589 A KR 1020167000589A KR 20167000589 A KR20167000589 A KR 20167000589A KR 20160018780 A KR20160018780 A KR 20160018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ing member
energy absorbing
polymeric material
additive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745B1 (ko
Inventor
바실리 에이. 토폴카라에브
라이언 제이 매케네니
네일 티. 스콜
피터 에스. 롤트처
마크 엠. 므레지바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60018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28Shock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52Antiballistic fabr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00Personal protection gear
    • F41H1/02Armoured or projectile- or missile-resistant garments; Composite protection fabr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impregnant, bonding, or embedding sub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10B2331/04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0Physical properties porou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7/00Sport; Military

Abstract

다공성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가 제공된다. 중합체 물질은 매트릭스 중합체를 포함하는 연속상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마이크로내포 및 나노내포 첨가제가 이산 도메인의 형태로 내부에 분산된다. 포어 망은 약 800nm 이하의 평균 단면 치수를 가지는 복수의 나노포어를 포함하는 물질에 정의된다.

Description

에너지 흡수 부재{ENERGY ABSORBING MEMBER}
관련 출원들
본 출원은 2013년 6월 12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번호 61/833,996 및 2013년 11월 22일에 출원된 61/907,548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출원들은 본원에 그것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에너지 흡수 부재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유형의 충격 보호 장비와 복장, 예컨대 방탄 (탄도) 조끼, 헬멧, 팔꿈치 또는 정강이 보호대 등에서, 충격 에너지는 단단한 물질을 통해서 그리고 이어서 몸에 전달되어서, 멍이나 충격 외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방탄복은, 예를 들어, 총체적으로 "탄도 팩(ballistic pack)"으로 불리는, 일반적으로 직물 쉘로 싸여진 Kevlar® 및 Spectra®의 여러 층을 포함한다. 총알이 Kevlar® 층으로 들어가면, 섬유에 엉키게 되고 그것의 전진하는 동작이 정지되지만, 충격의 전달 에너지를 감쇠시키거나 흡수하지 않는다. 충격 외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탄도 팩(ballistic pack)과 함께 종종 외상 팩(trauma pack)이 사용된다. 이러한 외상 팩도 일반적으로 Kevlar® 또는 Spectra® 직물로 구성되지만, 탄도 팩에 있는 층들보다 얇은 층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외상 팩은 상당한 무게를 추가시키고 조끼의 유연성을 줄일 수 있다. 이 문제들의 결과로서, 발포체 패드를 또한 충격 흡수재로서 개발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압력 하에서 압축하고 평평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포 재료는 유동하거나 특정 모양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양호한 에너지 흡수재로 작용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보호 장비에서와 같이 다양한 용품에서 에너지 흡수 부재로서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재료에 대한 필요성이 현재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가 개시된다. 상기 중합체 물질은 매트릭스 중합체를 포함하는 연속상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마이크로내포 및 나노내포 첨가제가 연속상 내에 이산 도메인의 형태로 분산되고, 여기서 포어 망은 약 800nm 이하의 평균 단면 치수를 가지는 복수의 나노포어를 포함하는 물질에 정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측면들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통상의 기술자를 위한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포함한 본 발명의 모든 가능한 개시 내용을, 첨부 도면이 참조되는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기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너지 흡수 부재를 채택할 수도 있는 보호 장비에 대한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에너지 흡수 부재를 채택할 수도 있는 보호 장비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채택될 수도 있는 에너지 흡수 부재에 대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채택될 수도 있는 에너지 흡수 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채택될 수도 있는 에너지 흡수 부재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6-7은 실시예 3의 미신축(unstretched) 필름(필름은 기계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절단되었다)의 SEM 현미경사진들이고;
도 8-9는 실시예 3의 신축 필름(필름은 기계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절단되었다)의 SEM 현미경사진들이고;
도 10-11은 실시예 4의 미신축 필름의 SEM 현미경사진들이며, 이때 필름은 도 10에서 기계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되었고 도 11에서 기계 방향에 대해 평행으로 절단되었고;
도 12-13은 실시예 4의 신축 필름(필름은 기계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절단되었다)의 SEM 현미경사진들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조 특징의 반복적인 사용은 발명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예가 후술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각의 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제공된다. 실제로,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있어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을 행할 수 있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에 일부로서 예시하거나 설명하는 특징들을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사용하여 추가적인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변형들 및 변경들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들의 등가물들의 범주 내로 포함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개략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은 다공성 중합체 물질(예, 필름, 섬유성 물질, 성형된 용품, 등)을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 물질은 매트릭스 중합체, 마이크로내포 첨가제, 및 나노내포 첨가제를 포함하는 연속상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첨가제들은 매트릭스 중합체 보다 상이한 탄성계수를 가지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식으로, 마이크로내포 첨가제 및 나노내포 첨가제는 이산 마이크로 크기 및 나노 크기 도메인 각각으로서 연속상 내에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변형(deformation) 및 신장 변형(strain)(예, 연신)을 거칠 때 마이크로 규모 및 나노 규모 도메인이 독특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해서 포어 망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신장 변형은, 물질들의 비친화성 때문에 발생하는 응력 집중의 결과로서, 마이크로 크기의 분리 상 도메인들 근처에서 집중적인 국부 전단 영역들 및/또는 응력 집중(intensity) 영역들(예, 평균 응력들)을 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 전단 및/또는 응력 집중 영역들은 마이크로 크기의 도메인들에 인접한 중합체 매트릭스에서 일부 초기 해리(debonding)를 초래한다. 특히, 그러나, 국부 전단 및/또는 응력 집중 영역들은 또한 마이크로 크기의 영역들과 중첩되는 나노 크기의 분리 상 도메인들 근처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첩하는 전단 및/또는 응력 확대 영역들은 심지어 추가 해리가 중합체 매트릭스에서 발생하게 하고, 이렇게 하여 나노 크기의 도메인들 및/또는 마이크로 크기의 도메인들에 인접하여 실질적인 개수의 나노포어들을 생성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들을 통해, 물질의 주어진 단위 부피 내의 포어에 의해 점유된 평균 부피%는 물질의 cm3 당 약 15% 내지 약 80%, 일부 실시예에서는 cm3 당 약 20% 내지 약 70%,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30% 내지 약 60%과 같이, 비교적 높도록 포어 망이 중합체 물질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포어 중 상당 부분은 또한 “나노-규모” 크기 (“나노포어(nanopore)”), 예컨대 평균 단면 치수가 약 800nm 이하,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5내지 약 250nm,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0 내지 약 100nm를 가진다. 용어 “단면 치수”는 일반적으로 그것의 주축(예컨대 길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고 또한 전형적으로 연신 중에 인가된 응력의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포어의 특징적인 치수(예컨대, 폭 또는 직경)를 말한다. 그러한 나노포어들은 예를 들면 중합체 물질의 총 포어 부피의 약 15부피% 이상,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20부피% 이상,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30부피% 내지 100부피%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40부피% 내지 약 90부피%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산 위상 도메인들(예, 마이크로 크기 및/또는 나노 크기)에 대한 그들의 근접한 위치 때문에, 중합체 물질의 나노포어는 하중 하에서 에너지를 소산시키고 저속 및 고속 충돌 모두에서 충격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론에 제한되고자 하지 않고, 예를 들면, 비교적 낮거나 중간인 충격력을 받으면, 중합체 물질을 통해 상대적으로 느리게 전파하는 압력 파가 생성될 수도 있다고 여겨진다. 상기 파가 진행하면서, 중합체 물질은 가역적으로 압축되거나 변형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포어 구조의 내부 변형을 통해 충격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여 충격 동안 신체 부위에 쿠션역할을 할 수도 있다. 고속 충격 중에, 충격 구역에서의 힘은 훨씬 더 클 수도 있고, 생성된 압력 파는 보다 빠르게 진행될 수도 있다. 압력 파가 훨씬 더 빨리 또는 충격 시점에서 물질의 외부 경계에 도달할 수 있다. 그 결과는 훨씬 더 높은 압력에서 발생하는 내부 압력 파로, 더 높은 압력에서 더 빠른 내적 평형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포어들은 그들이 인접하는 셀들 내로 비워짐으로써 압력을 완화할 수 있는 것보다 빠르게 압축된다. 따라서, 높은 충격 속도에서, 다공성 구조가 포어 부피 내에 압축 공기의 부수적으로 증가하는 압력을 견딜 수 있는 만큼, 중합체 물질은 비파괴 압축될 수 있다. 압력 한계에 도달한 후에, 본 발명의 포어들이 여전히 원래의 형상을 회복할 수 있는 것을 제외하면, 중합체 물질의 추가적인 압축은 종래의 경질 폐쇄 셀 발포체와 유사한 다공성 구조의 파괴 변형을 필요로 한다. 상기 압력 효과의 합은 고속 충격 동안 매우 강성이지만, 여전히 원래의 형상의 상당 부분을 회복할 수 있는 중합체 물질을 만드는 것이다.
생성된 중합체 물질은, 예를 들면, 고도의 충격 강도를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물질은, 예를 들어, 23℃에서 ASTM D6110-10에 따라 측정한, 약 10kJ/m2 이상, 일부 실시예에서 약 20kJ/m2 이상, 일부 실시예에서 약 35kJ/m2 이상, 일부 실시예에서 약 45kJ/m2 내지 약 100kJ/m2 의 노치 샤르피 충격 강도(Charpy impact strength)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합체 물질은 고속 하중을 받을 때 에너지의 상당량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합체 물질에 의해 흡수된 총 에너지는 약 2J 이상, 일부 실시예에서 약 3J 이상, 일부 실시예에서 약 4 내지 약 20J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중합체 물질의 피크 하중에서의 변형은 또한 약 10mm 이상, 일부 실시예에서 약 12.5mm 이상, 일부 실시예에서 약 15 내지 약 50mm, 피크 하중은 약 250 뉴톤(Newton) 이상, 일부 실시예에서 약 350 뉴튼 이상, 일부 실시예에서, 약 400 내지 약 1000 뉴톤일 수도 있다. 흡수된 총 에너지, 피크 하중에서의 변형, 및 피크 하중은 초당 12.5미터의 속도와 23℃의 온도에서 ASTM D3763-10에 따라 실시된 고속 파괴 시험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중합체 물질은 추가적인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독특한 다공성 구조 때문에, 중합체 물질은 수증기에 대해 일반적으로 투과성일 수도 있다. 수증기에 대한 물질의 투과성은, 24시간 당 제곱미터 당 그램(g/m2/24시간) 단위로 측정되는 바와 같이 수증기가 물질을 통해 투과하는 비율인 비교적 높은 수증기 투과율(water vapor transmission rate)(“WVTR”)에 의해 특징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물질은, 예컨대 ASTM E96/96M-12, 절차 B 또는 INDA 시험 절차 IST-70.4 (01)에 따라 측정되는 바와 같이, 약 300g/m2-24시간 이상,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500g/m2-24시간 이상,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000g/m2-24시간 이상,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3,000 내지 약 15,000g/m2-24시간의 WVTR을 나타낼 수도 있다. 증기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것에 더해서, 물질의 비교적 높은 포어 부피는 또한 물질의 밀도를 상당히 낮출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여전히 양호한 에너지 흡수 성질을 달성하는 더욱 가볍고 유연성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성물은 약 1.2g/cm3 이하,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0g/cm3 이하,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0.2g/cm3 내지 약 0.8g/cm3, 그리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0.1g/cm3 내지 0.5g/cm3의 비교적 낮은 밀도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중합체 물질은 일반적으로 유체(예, 액체 물)에 대해 대략 불투과성이어서, 물질이 물 침투로부터 표면을 단열시킬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해서, ATTCC 127-2008에 따라 측정되는 바와 같이, 중합체 물질은 약 50cm 이상,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00cm 이상,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50cm 이상,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200cm 내지 약 1000cm의 비교적 높은 수두 값(hydrohead value)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중합체 물질은 약 0.40(watts per meter-kelvin; “W/m-K”) 이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20W/m-K 이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15W/m-K 이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01 내지 약 0.12W/m-K,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02 내지 약 0.10W/m-K 등의 비교적 낮은 열 전도성을 나타내는 열적 배리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주목할 점은, 물질이 비교적 작은 두께에서 이러한 낮은 열 전도성 값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물질이 더욱 큰 정도의 유연성과 상용성을 보유할 수 있고 또한 그것이 용품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중합체 물질은, 또한, 물질의 두께로 나눈 그 물질의 열 전도성과 같으며 제곱미터-켈빈 당 와트(“W/m2K”) 단위로 제공되는 비교적 낮은 "열 어드미턴스(thermal admittance)"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질은, 약 1000W/m2K 이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0 내지 약 800W/m2K,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20 내지 약 500W/m2K,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40 내지 약 200W/m2K의 열 어드미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중합체 물질의 실제 두께는, 그 물질의 특정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약 5μm 내지 약 100mm,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0μm 내지 약 50mm,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200μm 내지 약 25mm,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50μm 내지 약 5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이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I. 열가소성 조성물
A. 매트릭스 중합체
상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열가소성 조성물은 그 안에 마이크로내포(microinclusion) 첨가제 및 나노내포(nanoinclusion) 첨가제가 분산되어 있는, 연속상을 함유한다. 상기 연속상은, 통상적으로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60중량% 내지 약 99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75중량% 내지 약 98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80중량% 내지 약 95중량%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매트릭스 중합체를 함유한다. 연속상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매트릭스 중합체(들)의 성질은 중요한 것이 아니며, 임의의 적절한 중합체가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스티렌 중합체, 폴리아미드 등이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를 조성물에 사용하여 중합체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폴리에스테르 중 임의의 것을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카프롤락톤,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락트산(PLA) 및 그 공중합체, 폴리글리콜산, 폴리알킬렌 카르보네이트(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카르보네이트),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3-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PHV),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코-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코-3-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 공중합체(PHBV),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코-3-하이드록시헥사노에이트,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코-3-하이드록시옥타노에이트,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코-3-하이드록시데카노에이트,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코-3-하이드록시옥타데카노에이트, 및 숙시네이트계 지방족 중합체(예를 들어,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아디페이트, 폴리에틸렌 숙시네이트 등);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예를 들어,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아디페이트 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이소프탈레이트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 기타 등등이 있다.
일부 경우에, 열가소성 조성물은, 본래 강성이며 이에 따라 비교적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전이 온도(“Tg”)는, 약 0℃ 이상,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5℃ 내지 약 10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30℃ 내지 약 8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50℃ 내지 약 75℃ 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또한, 약 140℃ 내지 약 30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50℃ 내지 약 25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60℃ 내지 약 220℃의 용융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용융 온도는, ASTM D-3417에 따라 시차주사 열량측정("DSC")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유리 전이 온도는, ASTM E1640-09에 따라 동적 기계적 분석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한 가지 구체적인 적절한 강성 폴리에스테르는 폴리락트산으로, 일반적으로 락트산의 임의의 이성질체의 단량체 단위, 예컨대 좌회전성-락트산("L-락트산"), 우회전성-락트산("D-락트산"), 메소-락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다. 단량체 단위는 또한 락트산의 임의의 이성질체, 이를테면 L-락타이드, D-락타이드, 메조-락타이드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의 무수물로부터도 형성될 수 있다. 그런 락트산 및/또는 락타이드의 고리형 이량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공지된 중합법, 예컨대 중축합 또는 고리-개방 중합이 락트산을 중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소량의 사슬-확장제(예컨대 다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또는 산 무수물)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폴리락트산은 동종중합체거나 공중합체, 예컨대 L-락트산으로부터 유도된 단량체 단위 및 D-락트산으로부터 유도된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요구되지는 않지만, L-락트산으로부터 유도된 단량체 단위와 D-락트산으로부터 유도된 단량체 단위 중 하나의 함량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약 85 몰% 이상,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90 몰% 이상,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95 몰% 이상이다. 각각이 L-락트산으로부터 유도된 단량체 단위와 D-락트산으로부터 유도된 단량체 단위 사이에 상이한 비율을 가지는 다중 폴리락트산은 임의의 백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물론, 폴리락트산은 다른 유형의 중합체(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등)와 함께 배합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폴리락트산은 다음과 같은 일반 구조를 갖는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폴리락트산 중합체의 특정한 일례는, BIOMER™ L9000이라는 상품명으로 독일 Krailling에 소재하는 Biomer, Inc.에 의해 시판되고 있다. 다른 적절한 폴리락트산 중합체는, 미국 미네소타주 미네통카에 소재하는 Natureworks LLC에 의해 (NATUREWORKS®) 또는 Mitsui Chemical (LACEA™)에서 시판되고 있다. 또 다른 적절한 폴리락트산은, 미국 특허 제4,797,468호, 제5,470,944호, 제5,770,682호, 제5,821,327호, 제5,880,254호, 제6,326,458호에 기재된 것일 수 있다.
폴리락트산은, 통상적으로, 약 40,000 내지 약 180,000그램/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50,000 내지 약 160,000그램/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80,000 내지 약 120,000그램/몰의 수평균 분자량(“Mn”)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중합체는, 또한, 통상적으로, 약 80,000 내지 약 250,000그램/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00,000 내지 약 200,000그램/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10,000 내지 약 160,000그램/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갖는다. 중량 평균 분자량 대 수평균 분자량의 비(“Mw/Mn”), 즉, "다중분산 지수(polydispersity index)"도 비교적 낮다. 예를 들어, 다중분산 지수는, 통상적으로, 약 1.0 내지 약 3.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1 내지 약 2.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2 내지 약 1.8일 수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과 수 평균 분자량은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폴리락트산은, 1000sec-1의 전단 속도와 190℃의 온도에서 결정되는 바와 같이, 약 50 내지 약 600 Pa·s,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00 내지 약 500Pa·s,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200 약 400Pa·s의 겉보기 점성도를 가질 수 있다. (건조 상태를 기준으로) 폴리락트산의 용융된 유속은, 또한, 2160그램의 하중과 190℃에서 결정되는 바와 같이, 약 0.1 내지 약 40그램/10분,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5 내지 약 20그램/10분,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5 내지 약 15그램/10분 일 수 있다.
순수 폴리에스테르의 일부 유형(예를 들어, 폴리락트산)은, 출발물질 폴리락트산의 건조 중량에 기초하여 약 500 내지 600ppm 이상의 습기 함량을 갖도록 주변 환경으로부터 물을 흡수할 수 있다. 습기 함량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ASTM D 7191-05에 따라, 당업계에 알려져 있듯이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용융 처리 동안 물이 존재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를 가수분해적으로 분해시킬 수 있고 그 분자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때로는 배합 전에 폴리에스테르를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부분의 실시예들에서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내포 및 나노내포 첨가제와 배합하기 이전에 폴리에스테르는 약 300ppm 이하, 일부 실시예에서 약 200ppm 이하, 일부 실시예에서 약 1 내지 약 100ppm의, 수분 함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의 건조는, 예를 들면 약 50℃ 내지 약 100℃,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70℃ 내지 약 80℃에서 실시될 수 있다.
B. 마이크로내포 첨가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마이크로내포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중합체 매트릭스 내에 마이크로 크기의 이산 도메인들의 형태로 분산될 수 있는 임의의 비정질, 정질, 또는 반-정질 물질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연신 이전에, 도메인들은 약 0.05μm 내지 약 30μm,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0.1μm 내지 약 25μm,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0.5μm 내지 약 20μm,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μm 내지 약 10μm의, 평균 단면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용어 “단면 치수(cross-sectional dimension)”는 일반적으로, 주요 축에 대하여 실직적으로 직각이고(예, 길이) 또한 연신 동안 가해진 응력 방향에 대하여 전형적이고 실직적으로 직각인, 도메인의 특징적인 치수(예, 폭 또는 직경)를 가리킨다. 마이크로내포 첨가제로부터 전형적으로 형성되는 동안, 마이크로 크기의 도메인들이 또한 마이크로내포 첨가제 또는 나노내포 첨가제 및/또는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과 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이크로내포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본래 중합체며, 비교적 높은 분자량을 가져서 열가소성 조성물의 안정성과 용융 강도를 개선하는 데 일조한다. 통상적으로, 마이크로내포 중합체는 매트릭스 중합체와 대략 혼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식으로, 첨가제는 매트릭스 중합체의 연속상 내에서 이산 위상 도메인들로서 더욱 양호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이산 도메인들은 외부 힘에서 발생한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고, 그것은 최종 물질의 전체 터프니스 및 강도를 증가시킨다. 도메인은 다양한 상이한 형상, 예컨대 타원형, 구형, 원주형, 판-유사형, 관형 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도메인들은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을 갖는다. 개별적인 도메인의 물리적 치수는, 통상적으로 외부 응력의 인가시 중합체 물질을 통한 균열의 전파를 최소화할 정도로 작지만, 미시적 플라스틱 변형을 개시하고 입자 포함물에서의 및 그 주위에서의 전단 및/또는 응력 집중 구역들을 허용할 정도로 크다.
중합체들은 혼합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마이크로내포 첨가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트릭스 중합체의 용해도 파라미터와 비교적 유사한 용해도 파라미터를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것은, 이산 및 연속상들의 경계들의 물리적 상호작용과 계면 상용성을 개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성물이 파단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점에서, 매트릭스 중합체를 위한 용해도 파라미터 대 첨가제의 용해도 파라미터의 비는, 통상적으로 약 0.5 내지 약 1.5이고,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8 내지 약 1.2이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내포 첨가제는 약 15 내지 약 30MJoules1 /2/m3/2,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8 내지 약 22MJoules1 /2/m3/2의 용해도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는 한편, 폴리락트산은 약 20.5MJoules1 /2/m3/2의 용해도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해도 파라미터"라는 용어는, 응집 에너지 밀도의 제곱근이며 아래 식에 따라 산출되는 "힐데브란트 용해도 파라미터(Hildebrand Solubility Parameter)"를 가리킨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Hv = 기화열
R =이상 기체 상수
T=온도
Vm = 분자 부피
많은 중합체를 위한 힐데브란트 용해도 파라미터도,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되는 Solubility Handbook of Plastics, by Wyeych (2004)에 의해 이용가능하다.
마이크로내포 첨가제는 또한, 소정의 용융 유속(또는 점성도)을 가져서, 이산 도메인들 및 생성되는 포어들이 적절히 유지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첨가제의 용융 유속이 너무 빠르면, 첨가제가 연속상을 통해 제어되지 않고 흐르고 분산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유지하기 어려우며 또한 이르게 파단될 가능성이 있는 박층 판형 도메인 또는 공동 연속상 구조가 발생한다. 역으로, 첨가제의 용융 유속이 너무 느리면, 첨가제가 함께 모여서, 배합 동안 분산되기 어려운 매우 큰 타원 도메인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연속상 전체에 걸쳐 첨가제의 불균일한 분포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은 마이크로내포 첨가제의 용융 유속 대 매트릭스 중합체의 용융 유속의 비가 전형적으로 약 0.2 내지 약 8,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0.5 내지 약 6,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 내지 약 5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내포 첨가제는 2160g의 하중 및 190℃에서 측정되는 바, 약 0.1 내지 약 250그램/10분,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5 내지 약 200그램/10분,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5 내지 약 150그램/10분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특성들에 더하여, 원하는 포어 망을 달성하도록 마이크로내포 첨가제의 기계적 특징들도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 중합체와 마이크로내포 첨가제의 배합물이 외력과 가해지면, 응력 집중(예를 들어, 수직 응력 또는 전단 응력을 포함함), 및 전단 및/또는 플라스틱 항복 구역이, 첨가제와 매트릭스 중합체의 탄성 계수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 집중의 결과로서 이산 위상 도메인들에서 및 이산 위상 도메인들 주위에서 개시될 수 있다. 응력 집중이 클수록 도메인에서의 국부적 플라스틱 흐름이 더욱 강화되는데, 이는 응력이 부여되는 경우 도메인이 상당히 세장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세장된 도메인들은, 예를 들어 조성물이 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경우 조성물이 매트릭스 중합체보다 더욱 유연하고 부드러운 거동을 나타낼 수 있게 한다. 응력 집중을 향상시키도록, 마이크로내포 첨가제는 매트릭스 중합체에 비해 비교적 낮은 영(Young)의 탄성 계수를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 중합체의 탄성 계수 대 첨가제의 탄성 계수의 비는, 통상적으로, 약 1 내지 약 25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2 내지 약 10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2 내지 약 50이다. 마이크로내포 첨가제의 탄성 계수는, 예를 들어, 약 2 내지 약 1000메가파스칼(MPa),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5 내지 약 500MPa,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0 내지 약 200MPa일 수 있다. 대조적으로, 폴리락트산의 탄성 계수는,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약 800MPa 내지 약 3000MPa이다.
상술한 특성들을 갖는 다양한 마이크로내포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적절한 첨가제의 예는, 폴리올레핀 등의 합성 중합체(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등); 스티렌 공중합체(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스테르(예를 들어, 재생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아세테이트 등); 폴리비닐 알코올(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에틸렌 비닐 알코올) 등); 폴리비닐 부티랄; 아크릴 수지(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폴리아미드(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폴리올레핀은, 예를 들어, 에틸렌 중합체(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 프로필렌 동종중합체(예를 들어, 교대배열, 혼성배열, 동일배열 등), 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중합체는, 동종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 중합체다. 프로필렌 중합체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동일배열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 또는 약 10중량% 이하의 다른 단량체, 즉, 적어도 약 90중량%의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종중합체는 약 160℃ 내지 약 170℃의 용융점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폴리올레핀은 C3-C20 α-올레핀 또는 C3-C12α-올레핀 등의 다른 α-올레핀과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적합한 α-올레핀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다음을 포함한다: 1-부텐; 3-메틸-1-부텐; 3,3-다이메틸-1-부텐; 1-펜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가지는 1-펜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가지는 1-헥센;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가지는 1-헵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가지는 1-옥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가지는 1-노넨; 에틸, 메틸 또는 다이메틸-치환된-1-데센; 1-도데센; 및 스티렌. 특히 바람직한 α-올레핀 공단량체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이다. 그런 공중합체의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함량은 약 60 몰% 내지 약 99 몰%,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80 몰% 내지 약 98.5 몰%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87 몰% 내지 약 97.5 몰%일 수 있다. α-올레핀 함량은 마찬가지로 약 1 몰% 내지 약 40 몰%,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5 몰% 내지 약 15 몰%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2.5 몰% 내지 약 13 몰%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올레핀 공중합체는,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 소재하는 ExxonMobil Chemical Company에 의해 EXACT™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적합한 다른 에틸렌 공중합체는 미시간주 미드랜드 소재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ENGAGE™, AFFINITY™, DOWLEX™ (LLDPE) 및 ATTANE™ (ULDPE)이란 명칭 하에 입수가능하다. 다른 적합한 에틸렌 중합체는 미국 특허 제4,937,299호(Ewen ); 제5,218,071호(Tsutsui ); 제5,272,236호(Lai , 등); 및 제5,278,272호(Lai, 등)에 기술되어 있다. 적합한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또한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 ExxonMobil Chemical Co.로부터 명칭 VISTAMAXX™; 벨기에의 Atofina Chemicals of Feluy로부터 FINA™(예컨대 8573);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로부터 입수가능한 TAFMER™; 및 미시간주 미드랜드 소재 Dow Chemical Co.로부터 입수가능한 VERSIFY™ 하에 활용될 수 있다. 적절한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는, 마찬가지로, Exxon Mobil 3155 폴리프로필렌, Exxon Mobil Achieve™ 수지, 및 Total M3661 PP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프로필렌 중합체의 예시들은 미국 특허 제6,500,563호(Datta , 등); 제5,539,056호(Yang, 등); 및 제5,596,052호(Resconi, 등)에 기술되어 있다.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는 기법들 중 어느 것이든지 일반적으로 올레핀 공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레핀 중합체는 유리 라디칼 또는 배위 촉매(예컨대 지글러-나타)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올레핀 중합체는 단일-부위 배위 촉매, 예컨대 메탈로센 촉매로부터 형성된다. 그런 촉매 시스템은 공단량체가 분자 사슬 내에 무작위로 분포되고 상이한 분자량 단편들을 가로질러 균일하게 분포되는 에틸렌 공중합체를 유발한다. 메탈로센-촉매된 폴리올레핀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571,619호(McAlpin 등); 제5,322,728호(Davis 등); 제5,472,775호(Obiieski ); 제5,272,236호(Lai ); 및 제6,090,325호(Wheat, 등)에 기술되어 있다. 메탈로센 촉매의 예시로는 비스(n-부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다이클로라이드, 비스(n-부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다이클로라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디에닐)스칸듐 클로라이드, 비스(인데닐)지르코늄 다이클로라이드, 비스(메틸사이크로펜타디에닐)티타늄 다이클로라이드, 비스(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다이클로라이드, 코발토센, 사이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트라이클로라이드, 페로센, 하프노센 다이클로라이드, 아이소프로필(사이클로펜타디에닐-1-플루오레닐)지르코늄 다이클로라이드, 몰리브도센 다이클로라이드, 니켈로센, 니오보센 다이클로라이드, 루테노센, 티타노센 다이클로라이드, 지르코노센 클로라이드 하이드라이드, 지르코노센 다이클로라이드 등.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중합체는 전형적으로 좁은 분자량 범위를 가진다. 예를 들어 메탈로센-촉매된 중합체는 4 아래의 다중분산성 수(Mw/Mn), 조절된 짧은 사슬 분지화 분포 및 조절된 동일배열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되는 물질에 상관없이, 열가소성 조성물의 마이크로내포 첨가제의 상대 백분율은, 조성물의 기본 특성들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지 않고서 원하는 특성을 달성하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내포 첨가제는, 통상적으로, 연속상(매트릭스 중합체(들))의 중량에 기초하여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1중량% 내지 약 30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2중량% 내지 약 25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5중량% 내지 약 20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전체 열가소성 조성물 내의 마이크로내포 첨가제의 농도는, 마찬가지로, 약 0.1중량% 내지 약 30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5중량% 내지 약 25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중량% 내지 약 20중량%일 수 있다.
C. 나노내포 첨가제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나노내포 첨가제(nanoinclusion additive)”는 일반적으로 나노 크기의 이산 도메인들의 형태로 중합체 매트릭스 내에 분산될 수 있는 임의의 비정질, 정질, 또는 반-정질 물질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연신 이전에, 도메인들은 약 1 내지 약 1000nm,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5 내지 약 800nm,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0 내지 약 500nm,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20 내지 약 200nm의 평균 단면 치수를 가질 수도 있다. 나노 크기 도메인들은 또한 마이크로내포 첨가제 및 나노내포 첨가제 및/또는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의 조합에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나노내포 첨가제는 전형적으로 연속상 (매트릭스 중합체(들)) 중량을 기준으로,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0.05중량% 내지 약 20중량%,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0.1중량% 내지 약 10중량%,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0.5중량% 내지 약 5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체 열가소성 조성물에서 나노내포 첨가제의 농도는 유사하게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0.01중량% 내지 약 15중량%,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0.05중량% 내지 약 10중량%,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0.3중량% 내지 약 6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나노내포 첨가제는, 본래 중합체일 수 있으며, 비교적 큰 분자량을 가져서 열가소성 조성물의 안정성과 용융 강도를 개선하는 데 일조한다. 나노내포 첨가제가 나노 크기 도메인들 내로 분산되는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나노내포 첨가제는, 또한 마이크로내포 첨가제 및 매트릭스 중합체와 일반적으로 상용가능한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이는, 매트릭스 중합체 또는 마이크로내포 첨가제가 폴리에스테르와 같이 극성 부분을 갖는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나노내포 첨가제의 일례는 관능화된 폴리올레핀이다. 극성 성분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관능기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무극성 성분은 올레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나노내포 첨가제의 올레핀 성분은, 일반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선형 또는 브랜치형 α-올레핀 단량체, 올리고머, 또는 올레핀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중합체(공중합체를 포함함)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나노내포 첨가제의 관능기는, 분자에 극성 성분을 제공하며 매트릭스 중합체와 비상용성인 임의의 기, 분자 세그먼트, 및/또는 블록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과 비상용성인 분자 세그먼트 및/또는 블록의 예는 아크릴레이트, 스티레닉,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능기는 이온 성질을 가질 수 있고 대전된 금속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적절한 관능기는, 말레 무수물, 말레산, 푸마르산, 말레이미드, 말레산 하이드라지드, 말레산 무수물과 디아민의 반응 산물, 메틸나딕 무수물, 디클로로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아미드 등이다. 말레산 무수물 개질된 폴리올레핀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데 특히 적절하다. 이러한 개질된 폴리올레핀은, 통상적으로, 말레산 무수물을 중합체 기본골격 물질 상에 그래프트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말레산화 폴리올레핀은,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에 의해 Fusabond®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P 시리즈(화학적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E 시리즈(화학적 개질된 폴리에틸렌), C 시리즈(화학적 개질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A 시리즈(화학적 개질된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테르중합체), 또는 N 시리즈(화학적 개질된 에틸렌-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PDM") 또는 에틸렌-옥텐)이 있다. 대안으로, 말레산화 폴리올레핀도, Chemtura Corp.에 의해 Polybond® 라는 상품명으로 그리고 Eastman Chemical Company에 의해 Eastman G series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나노내포 첨가제도 반응성일 수 있다. 이러한 반응성 나노내포 첨가제의 일례는, 평균적으로 분자당 적어도 두 개의 옥시란(oxirane) 고리를 포함하는 폴리에폭시드이다. 이론에 제한되지 않고, 이러한 폴리에폭시드 분자는 소정의 조건 하에서 매트릭스 중합체(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의 반응을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리 전이 온도를 상당히 감소시키지 않고서 그 용융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반응은, 사슬 연장, 측쇄 가지화, 그래프트, 공중합체 형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슬 연장은,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다양한 반응 경로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질제는, 폴리에스테르의 카르복실 말단기를 통해(에스테르화) 또는 히드록실기를 통해(에테르화) 친핵성 고리-열림 반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옥사졸린 측 반응도 마찬가지로 발생하여 에스테르아미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을 통해, 매트릭스 중합체의 분자량이 증가되어서, 용융 가공 동안 종종 관찰되는 분해에 대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매트릭스 중합체와의 반응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본 발명자들은, 과다한 반응으로 인해 중합체 기본골격들 간의 가교결합이 발생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가교결합이 상당한 정도로 진행될 정도로 허용된다면, 그 결과로 형성되는 중합체 배합물이 매우 취약해져 원하는 강도와 세장 특성을 갖는 물질 내로 처리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자들은, 비교적 낮은 에폭시 관능을 갖는 폴리에폭시드가 특히 효과적이라는 점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에폭시 등가 중량"으로 정량화될 수 있다. 에폭시 등가 중량은, 에폭시기의 하나의 분자를 포함하는 수지의 양을 반영하며, 개질제의 수평균 분자량을 분자의 에폭시기의 수로 나눔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폭시드는, 통상적으로, 2.5 내지 7의 다중분산 지수와 함께, 통상적으로, 약 7,500 내지 약 250,000그램/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5,000 내지 약 150,000그램/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20,000 내지 약 100,000그램/몰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폴리에폭시드는, 50 미만,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5 내지 45,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15 내지 40개의 에폭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에폭시 등가 중량은, 약 15,000그램/몰 미만,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200 내지 약 10,000그램/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500 내지 약 7,000그램/몰일 수 있다.
폴리에폭시드는, 말단 에폭시기, 골격 옥시란 단위, 및/또는 펜던트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가지형 동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예를 들어, 랜덤, 그래프트, 블록 등)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폭시드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단량체는 가변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폴리에폭시드는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관능 (메타)크릴 단량체 성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메타)크릴"이라는 용어는, 아크릴 및 메타크릴 단량체, 뿐만 아니라 이들의 염 또는 에스테르, 예컨대,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절한 에폭시-관능 (메타)크릴 단량체는, 1,2-에폭시기를 포함하는 것, 예를 들어,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적절한 에폭시-관능 단량체는,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에타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이토코네이트를 포함한다.
폴리에폭시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비교적 큰 분자량을 갖고, 이에 따라, 사슬 연장을 야기할 수 있고 또한 원하는 배합물 형태(morphology)를 달성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생성되는 중합체의 용융 유속은, 2160그램의 하중과 190℃온도에서 결정되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약 10 내지 약 200그램/10분,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40 내지 약 150그램/10분,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60 내지 약 120그램/10분일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원하는 분자량을 달성하는 데 일조하도록 폴리에폭시드에 추가 단량체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는, 가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스테르 단량체, (메타)크릴 단량체, 올레핀 단량체, 아미드 단량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폴리에폭시드는, 적어도 하나의 선형 또는 가지형 α-올레핀 단량체를 포함하며, 예컨대,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3-메틸-1-부텐; 3,3-디메틸-1-부텐; 1-펜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갖는 1-펜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갖는 1-헥센;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갖는 1-헵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갖는 1-옥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갖는 1-노넨; 에틸, 메틸 또는 디메틸-치환된 1-데센; 1-도데센; 및 스티렌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α-올레핀 공단량체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이다.
또 다른 적절한 단량체는, 에폭시-관능이 아닌 (메타)크릴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크릴 단량체의 예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아크릴레이트, i-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s-부틸 아크릴레이트, i-부틸 아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n-아밀 아크릴레이트, i-아밀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n-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n-옥틸 아크릴레이트, n-데실 아크릴레이트, 메틸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i-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크릴레이트, n-아밀 메타크릴레이트, n-헥실 메타크릴레이트, i-아밀 메타크릴레이트, s-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시나밀 메타크릴레이트, 크로틸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폴리에폭시드는, 에폭시-관능 (메타)크릴 단량체 성분, α-올레핀 단량체 성분, 및 비-에폭시 관능 (메타)크릴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형성되는 테르중합체다. 예를 들어, 폴리에폭시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 폴리(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x, y, z는 1 이상이다.
에폭시 관능 단량체는, 알려져 있는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극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중합체 기본골격에 그래프트되어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그래프트 기술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179,164호에 개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고압 반응, 지글러-나타 촉매 반응 시스템, 단일 사이트 촉매(예를 들어, 메탈로센) 반응 시스템 등의 공지된 자유 라디칼 중합체화 기술들을 이용하여, 단량체와 함께 공중합체화되어 블록 또는 랜덤공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단량체 성분(들)의 관련 부분은, 에폭시-반응과 용융 유속 간의 균형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고 에폭시 단량체 함량은, 매트릭스 중합체와의 양호한 반응성을 초래할 수 있지만, 그 함량이 너무 높으면, 폴리에폭시드가 중합체 배합물의 용융 강도에 악영향을 끼치는 정도로 용융 유속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실시예들에서, 에폭시-관능 (메타)크릴 단량체(들)는, 공중합체의 약 1중량% 내지 약 25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2중량%내지 약20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4중량% 내지 약 15중량%를 구성한다. α-올레핀 단량체(들)는, 마찬가지로, 공중합체의 약 55중량% 내지 약 95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60중량% 내지 약 90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65중량% 내지 약 85중량%일 수 있다. 다른 단량체 성분들(예를 들어, 비-에폭시 관능 (메타)크릴 단량체)은, 사용시, 공중합체의 약 5중량% 내지 약 35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8중량% 내지 약 30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0중량% 내지 약 25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폴리에폭시드의 한 가지 특정한 예는, LOTADER® Ax8950 또는 Ax8900라는 상품명으로 Arkema에 의해 시판되고 있다. LOTADER® Ax8950은, 예를 들어, 70 내지 100g/10분의 용융 유속을 갖고,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함량 7중량% 내지 11중량%, 메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함량 13중량% 내지 17중량%, 및 에틸렌 단량체 함량 72중량% 내지 80중량%를 갖는다. 다른 적절한 폴리에폭시드는,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테르중합체로, 12g/10분의 용융 속도를 갖는 ELVALOY® PTW라는 상품명으로 Dupont에 의해 시판되고 있다.
폴리에폭시드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단량체의 유형과 상대적 함량을 제어하는 것에 더하여, 원하는 이점을 달성하도록 전체 중량 퍼센트도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질 레벨이 너무 낮으면, 용융 강도와 원하는 기계적 특성의 증가를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또한, 개질 레벨이 너무 높으면, 에폭시 관능기에 의한 물리적 망 형성과 강력한 분자 상호작용(예를 들어, 가교결합)으로 인해 처리가 제한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폴리에폭시드는, 통상적으로, 조성물에 사용되는 매트릭스 중합체의 중량에 기초하여 약 0.05중량% 내지 약 10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1중량% 내지 약 8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5중량% 내지 약 5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중량% 내지 약 3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또한, 폴리에폭시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약 0.05중량% 내지 약 10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05중량% 내지 약 8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1중량% 내지 약 5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5중량% 내지 약 3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반응성 나노내포 첨가제도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옥사졸린-관능화된 중합체, 시아나이드-관능화된 중합체 등이 있다. 이러한 반응성 나노내포 첨가제는, 사용시, 폴리에폭시드에 대하여 상술한 농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옥사졸린 고리를 포함하는 단량체와 그래프트된 폴리올레핀인 옥사졸린-그래프트된 폴리올레핀이 사용될 수 있다. 옥사졸린은, 2-옥사졸린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2-비닐-2-옥사졸린(예를 들어,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2-패티-알킬-2-옥사졸린(예를 들어, 올레산, 리놀레산, 팔미톨레산, 가돌레산, 에루스산, 및/또는 아라키돈산의 에탄올아미드로부터 얻을 수 있음),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옥사졸린은, 예를 들어, 리시놀옥사졸린 말레이네이트, 운데실-2-옥사졸린, 소야-2-옥사졸린, 리시너스-2-옥사졸린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옥사졸린은,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4,4-디메틸-2-옥사졸린,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카본 블랙, 카본 나노튜브, 카본 나노섬유, 나노클레이, 금속 나노입자, 나노실리카, 나노알루미나 등의 나노필러가 사용될 수 있다. 나노클레이는 특히 적절하다. "나노클레이(nanoclay)"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통상적으로 판상체 구조를 갖는 클레이 물질(천연 발생 미네랄, 유기적으로 개질된 미네랄, 또는 합성 나노물질)의 나노입자를 가리킨다. 나노클레이의 예는, 예를 들어, 몬트모릴로나이트(2:1 계층 스멕타이트 클레이 구조), 벤토나이트(주로 몬트모릴로나이트로 형성된 알루미늄 필로실리케이트), 카올리나이트(1:1 판 구조 및 Al2Si2O5(OH)4라는 실험식을 갖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할로이사이트(1:1 관형 구조 및 Al2Si2O5(OH)4라는 실험식을 갖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포함한다. 적절한 나노클레이의 일례는, Southern Clay Products, Inc.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 몬트모릴로나이트 나노클레이인 Cloisite®이다. 합성 나노클레이의 다른 예는, 혼합된-금속 하이드록시드 나노클레이, 계층화된 이중 하이드록시드 나노클레이(예를 들어, 세피오사이트), 라포나이트, 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인도나이트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하는 경우, 나노클레이는, 매트릭스 중합체(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와의 상용성을 개선하는 데 일조하도록 표면 처리제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 처리제는, 유기성 또는 무기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유기 양이온을 클레이와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유기 표면 처리제가 사용된다. 적절한 유기 양이온은, 예를 들어, 양이온을 클레이와 교환할 수 있는 4차 유기 암모늄 화합물, 예컨대, 디메틸 비스[수소화 우지] 암모늄 클로라이드(2M2HT), 메틸 벤질 비스[수소화 우지] 암모늄 클로라이드(MB2HT), 메틸 트리스[수소화 우지 알킬] 클로라이드(M3H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유기 나노클레이의 예는, 예를 들어, 디메틸 벤질 수소화 우지 암모늄 염으로 개질된 몬트모릴로나이트 클레이인 Dellite® 43B(이탈리아 리보르노에 소재하는 Laviosa Chimic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는, Cloisite® 25A 및 Cloisite® 30B(Southern Clay Products) 및 Nanofil 919 (
Figure pct00004
Chemie)를 포함한다. 원하는 경우, 나노필러는 첨가제와 조성물의 나머지 중합체들과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마스터 배치를 형성하도록 담체 수지와 배합될 수 있다. 특히 적절한 담체 수지는, 예를 들어, 위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예를 들어, 폴리락트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올레핀(예를 들어, 에틸렌 중합체, 프로필렌 중합체 등);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다수의 나노내포 첨가제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나노내포 첨가제(예, 폴리에폭시드)는 약 50 내지 약 500nm,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60 내지 약 400nm,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80 내지 약 300nm의 평균 단면 치수를 갖는 도메인들의 형태로 분산될 수 있다. 제2 나노내포 첨가제(예, 나노필러)는 또한 약 1 내지 약 50nm,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2 내지 약 45nm,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5 내지 약 40nm의 평균 단면 치수를 갖는 것과 같이, 제1 나노내포 첨가제보다 더 작은 도메인들의 형태로 분산될 수 있다. 사용 시에, 제1 및/또는 제2 나노내포 첨가제는 전형적으로, 연속상(매트릭스 중합체(들))의 중량을 기준으로,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0.05중량% 내지 약 20중량%,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0.1중량% 내지 약 10중량%,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0.5중량% 내지 약 5중량%을 구성한다. 전체 열가소성 조성물에서 제1 및/또는 제2 나노내포 첨가제의 농도는 비슷하게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0.01중량% 내지 약 15중량%,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0.05중량% 내지 약 10중량%,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0.1중량% 내지 약 8중량%을 구성한다.
D. 기타 구성성분들
서로 다른 다양한 이유 때문에 조성물을 위한 다양한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간기 개질제(interphase modifier)가 열가소성 조성물에 사용되어서, 마이크로내포 첨가제와 매트릭스 중합체 간의 연결과 마찰 정보를 감소시키는 데 일조하고 이에 따라 해리의 균일성과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포어들은 조성물 전체에 걸쳐 더욱 균질한 방식으로 분포될 수 있다. 개질제는 실온(예를 들어, 25℃)에서 액체 또는 반고체 형태이어서, 비교적 낮은 점성도를 보유하여 열가소성 조성물 내에 더욱 쉽게 통합되고 중합체 표면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간기 개질제의 운동 점성도는, 통상적으로, 40℃ 에서 결정되는, 약 0.7 내지 약 200 센티스토크("cs"),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 내지 약 100cs,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5 내지 약 80cs이다. 또한, 간기 개질제는, 통상적으로, 매트릭스 중합체와 첨가제 간의 계면 장력의 변화를 야기하는, 마이크로내포 첨가제를 위한 친화도를 갖도록 소수성을 갖는다. 매트릭스 중합체와 마이크로내포 첨가제 간의 계면에서의 물리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개질제의 저 점성도 소수성이 해리를 용이하게 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소수성"이라는 용어는, 통상적으로, 약 40° 이상, 일부 경우엔 약 60° 이상의 공기 중의 수 접촉각을 갖는 물질을 가리킨다. 대조적으로, "친수성"이라는 용어는, 통상적으로, 약 40° 미만의 공기 중의 수 접촉각을 갖는 물질을 가리킨다. 접촉각을 측정하기 위한 한 가지 적절한 시험은 ASTM D5725-99 (2008)이다.
적절한 소수성 저 점성도 간기 개질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실리콘-폴리에테르 공중합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알킬렌 글리콜(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부틸렌 글리콜 등), 알칸 디올(예를 들어, 1,3-프로판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2,4-트리메틸-1,6 헥산디올,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2,2,4,4-테트라메틸-1,3-시클로부탄디올 등), 아민 옥사이드(예를 들어, 옥틸디메틸아민 옥사이드),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예를 들어, 올레아미드, 에루카미드, 스테아르아미드, 에틸렌 비스(스테아르아미드) 등), 미네랄, 및 식물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적절한 한 가지 액체 또는 반고체는, 예를 들어, BASF Corp.에 의해 Pluriol® WI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다. 다른 적절한 개질제는, 예를 들어, Hallstar에 의해 HALLGREEN® IM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부분적으로 재생가능한 에스테르이다.
간기 개질제는, 사용시, 연속상(매트릭스 중합체(들))의 중량에 기초하여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0.1중량% 내지 약 20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약 0.5중량% 내지 약 15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전체 열가소성 조성물 내의 간기 개질제의 농도는, 마찬가지로, 약 0.05중량% 내지 약 20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1중량% 내지 약 15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5중량% 내지 약 10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양으로 사용 시, 간기 개질제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전체적인 용융 특성을 방해하지 않고 중합체의 계면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해리를 용이하게 하는 특징을 갖는다. 예를 들어, 간기 개질제는, 통상적으로,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중합체에 대하여 가소화 효과를 갖지 않는다. 이와는 상당히 대조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열가소성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가 초기 매트릭스 중합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 대 매트릭스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의 비는, 통상적으로, 약 0.7 내지 약 1.3,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8 내지 약 1.2,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9 내지 약 1.1이다. 열가소성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약 35℃ 내지 약 8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40℃ 내지 약 8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50℃ 내지 약 65℃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융 유속도, 매트릭스 중합체의 용융 유속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상태에 있는) 조성물의 용융 유속은, 2160그램의 하중과 190℃의 온도에서 결정되는, 약 0.1 내지 약 70그램/10분,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5 내지 약 50그램/10분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5 내지 약 25그램/10분일 수 있다.
계면 부착을 개선하고 도메인과 매트릭스 간의 계면 장력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혼합 동안 더욱 작은 도메인들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상용화제도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상용화제의 예는, 예를 들어, 에폭시 또는 말레산 무수물 화학적 부분으로 관능화된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말레산 무수물 상용화제의 일례는, 폴리프로필렌-그래프트된-말레산 무수물이며, 이것은 Orevac™ 18750 및 Orevac™ CA 100라는 상품명으로 Arkema에 의해 시판되고 있다. 상용화제는, 사용시, 연속상 매트릭스의 중량에 기초하여 열가소성 조성물의 0.05중량% 내지 약 10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1중량% 내지 약 8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0.5중량% 내지 약 5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열가소성 조성물에 또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물질로는, 예를 들어, 촉매, 항산화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왁스, 고체 용제, 필러, 핵제(예를 들어, 칼슘 카르보네이트 등), 미립자, 및 열가소성 조성물의 가공성과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첨가되는 기타 물질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가지 유익한 측면은, 발포제(예를 들어, 클로로플루오로카본,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 하이드로카본, 이산화탄소, 초임계 이산화탄소, 질소 등) 및 가소제(예를 들어, 고체 또는 반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다양한 종래의 첨가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양호한 특성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상, 열가소성 조성물에는, 일반적으로, 발포제 및/또는 가소제가 없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포제 및/또는 가소제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1중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5중량% 이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001중량% 내지 약 0.2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응력 백화 특성으로 인해, 더욱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형성되는 조성물은, 이산화 티타늄 등의 종래의 안료를 필요로 하지 않고 불투명한 색(예를 들어, 백색)을 달성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안료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1중량% 이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5중량% 이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001중량% 내지 약 0.2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II. 중합체 물질
상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합체 물질은 일반적으로 매트릭스 중합체, 마이크로내포 첨가제, 나노내포 첨가제, 뿐만 아니라 다른 선택사항 성분들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을 연신해서 형성된다. 초기 열가소성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해, 성분들은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다양한 기술들 중 임의의 기술을 이용하여 함께 배합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성분들은 별도로 또는 조합되어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분들은 먼저 함께 건조 혼합되어 본질적으로 균질한 건조 혼합물을 형성하고, 그것들은 마찬가지로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물질들을 분산적으로 배합하는 용융 처리 장치에 공급될 수 있다. 배치식 및/또는 연속식 용융 처리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믹서/반죽기, Bamnbury 믹서, Farrel 연속식 믹서, 단일-스크류 압출기, 트윈-스크류 압출기, 롤 밀 등이 물질을 혼합하고 용융 처리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용융 처리 장치는 공-회전하는, 트윈-스크류 압출기이다(예컨대 Werner & Pfleiderer Corporation (뉴저지주 람시)으로부터 입수가능한 ZSK-30 압출기 또는 Thermo Electron Corp.(잉글랜드 스톤)으로부터 활용활 수 있는 Thermo PrismTM USALAB 16 압출기). 그런 압출기들은 송급 및 환기 포트를 포함할 수 있고 고강도의 분배적이고 분산적인 혼합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성분들은 트윈-스크류 압출기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송급 포트에 송급되고 용융 혼합되어 실질적으로 균질한 용융된 혼합물이 형성된다. 바람직하다면, 다른 첨가제들이 또한 중합체 용융물에 주입되거나 및/또는 별도로 압출기의 길이를 따라 다른 지점에서 압출기에 송급될 수 있다.
선택된 특정 가공 기술에 상관없이, 최종 용융 배합물 조성물은 상기에서 언급된 것처럼 일반적으로 마이크로내포 첨가제의 마이크로 크기의 도메인들 및 나노내포 첨가제의 나노 크기의 도메인들을 함유한다. 전단/압력과 열의 정도는, 충분한 분산을 보장하지만 오히려 도메인들이 원하는 특성을 달성할 수 없을 정도로 도메인의 크기를 감소시키지 않게끔 높게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합은, 통상적으로, 약 180℃ 내지 약 300℃의 온도,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85℃ 내지 약 250℃의 온도,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90℃ 내지 약 240℃의 온도에서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용융 공정 중에 외관상 전단속도는 약 10 초-1 내지 약 3000 초-1의 범위,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50 초-1 내지 약 2000 초-1,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00 초-1 내지 약 1200 초-1의 범위일 수 있다. 외관상 전단 속도는 4Q/ pR 3 과 같은데, 이때 Q는 중합체 용융물의 부피 유속(“m3/s”)이고, R은 그것을 통해 용융된 중합체가 흘러가는 모세관(예컨대 압출기 다이)의 반경(“m”)이다. 물론 다른 변수, 예컨대 작업처리율과 역비례하는, 용융 공정 중의 거주 시간도 또한 원하는 균질성 정도를 이루기 위해 조절될 수 있다.
원하는 전단 조건(예컨대 속도, 체류 시간, 전단속도, 용융 처리 온도 등)을 이루기 위하여, 압출기 스크류(들)의 속도는 특정 범위로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성물 온도의 증가는 시스템 안으로의 추가의 기계 에너지 유입으로 인한 스크류 속도가 증가하면서 관찰된다. 예를 들어 스크류 속도는 약 50 내지 약 600rpm일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 약 70 내지 약 500rpm,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00 내지 약 300rpm일 수 있다. 이 결과, 생성되는 도메인의 크기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마이크로내포 첨가제를 분산시키기에 충분히 높은 온도가 발생할 수 있다. 용융 전단 속도 및, 이어서 첨가제들이 분산되는 정도는 또한 압출기의 혼합 구역 내에서 하나 이상의 분포성 및/또는 분산성 혼합 요소들을 사용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단일 스크류 압출기에 적합한 분포성 믹서는 예를 들면 Saxon, Dulmage, Cavity Transfer 믹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적합한 분산성 믹서는 Blister 고리, Leroy/Maddock, CRD 믹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것과 같이, 혼합은 중합체 용융물의 접힘과 재배향을 생성하는 배럴의 핀, 예컨대 Buss 반죽기 압출기, Cavity Transfer 믹서 및 Vortex Intermeshing Pin(VIP) 믹서를 사용함으로써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
일단 배합되면, 포어 망 구조는 조성물의 길이방향(예를 들어, 기계 방향), 가로방향(예를 들어, 교차 기계 방향) 및 이들의 조합 등으로의 연신에 의해 도입된다. 원하는 연신을 수행하도록, 열가소성 조성물은, 전구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연신될 수 있고, 그 후에 원하는 물질(예를 들어, 필름, 섬유 등)로 변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구체 형상은, 약 1 내지 약 5000μm,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2 내지 약 4000μm,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5 내지 약 2500μm,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0 내지 약 500μm의 두께를 갖는 필름일 수 있다. 전구체 형상을 형성하는 것의 대안으로, 열가소성 조성물은, 또한, 중합체 물질을 위해 원하는 물질로 형성됨에 따라 제 위치에서 연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열가소성 조성물은 필름 또는 섬유로 형성되고 있을 때 연신될 수 있다.
상관없이, 다양한 연신 기법들, 예컨대 흡인 (예컨대 섬유 연신 장치), 장력 프레임 연신, 2축 연신, 다중-축 연신, 프로필 연신, 진공 연신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조성물은 예컨대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의 Marshall and Willams, Co.에서 시판중인, 기계 방향 배향기("MDO")를 사용하여 연신된다. MDO 유닛은, 통상적으로, 기계 방향으로 계속 연신하고 필름을 얇게 만드는 복수의 연신 롤(예를 들어, 5 내지 8개)을 갖는다. 상기 조성물은, 단일 또는 다수의 이산 연신 동작들에서 연신될 수도 있다. MDO 장치의 롤들 중 일부는 점점 더 높은 속도로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상술한 방식으로 물질을 연신하도록, 일반적으로 MDO의 롤들이 가열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경우, 조성물의 온도가 상술한 범위들 아래에서 유지되는 한 하나 이상의 롤을 약간 가열하여 연신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연신의 정도는 연신되고 있는 물질(예를 들어, 섬유 또는 필름)의 성질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달라진다.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약 1.1 내지 약 3.5,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2 내지 약 3.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3 내지 약 2.5의 연신 비율로 (예를 들어, 기계 방향으로) 연신된다. 연신 비율은, 연신된 물질의 길이를 그 물질의 연신 전의 길이로 나눔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연신 비율은, 원하는 특성들을 달성하는 데 일조하도록 가변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약 5% 내지 약 1500%/분의 변형,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20% 내지 약 1000%/분의 변형,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25% 내지 약 850%/분의 변형이 가능하다. 조성물은 연신 동안 매트릭스 중합체 및/또는 마이크로내포 첨가제의 유리 온도 아래 온도에서 유지된다. 다른 것들 중에서도, 이것은 포어 망이 불안정하게 되는 그런 정도로 중합체 사슬이 변경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면, 조성물은 매트릭스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보다 적어도 약 10℃,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약 20℃, 그리고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약 30℃ 아래 온도에서 연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조성물은 약 0℃ 내지 약 50℃, 일부 실시예에서 약 15℃ 내지 약 40℃, 그리고 일부 실시예에서 약 20℃ 내지 약 30℃의 온도에서 연신될 수도 있다. 비록 조성물이 외부 열을 가하지 않고 연신되는 것이 통상적이지만(예, 가열된 롤), 그러한 열은 가공성을 개선하고, 연신력을 감소시키고, 연신 비율을 증가시키고, 섬유 단일성을 개선하도록 선택사항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방식의 연신은 “나노 크기” 치수(“나노포어”), 예컨대 약 800nm 이하,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5 내지 약 250nm,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0 내지 약 100nm의 평균 단면 치수를 갖는 포어의 형성을 초래할 수 있다. 마이크로포어들이 또한 연신 동안, 약 0.5 내지 약 30μm,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 내지 약 20μm,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2μm 내지 약 15μm의 평균 단면 치수를 갖는 마이크로 크기 도메인들에서 또는 그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포어들 및/또는 나노포어들은 구형, 세장형 것 등과 같은 임의로 규칙적이거나 비규칙적일 수 있다. 특정 경우에, 종횡비(축방향 치수 대 단면 치수의 비율)가 약 1 내지 약 30,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1 내지 약 15,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2 내지 약 5가 되도록 마이크로포어들 및/또는 나노포어들의 축방향 치수는 단면 치수보다 더 클 수 있다. “축방향 치수”는 전형적으로 연신 방향에 있는 주요 축(예, 길이)의 방향의 치수이다.
본 발명자들은 포어들(예, 마이크로포어들, 나노포어들 또는 모두)이 물질 전체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방식으로 분포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포어들은 응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대략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향되는 컬럼들로 분포될 수 있다. 이러한 컬럼들은 물질의 폭에 걸쳐 서로 대략 평행할 수 있다. 이론에 제한되지 않고, 이렇게 균질하게 분포된 포어 망이 존재함으로써, 열적 저항이 높고 기계적 특성(예를 들어, 하중 및 충격 강도 하의 에너지 소산)이 양호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는, 발포제의 사용을 연관되는 포어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포어 분포가 제어되지 못하고 기계적 특성이 불량한 경향이 있는 종래의 기술들과 극명하게 대조된다. 주목할 점은, 상술한 공정에 의한 포어 망의 형성이, 물질의 단면 크기(예를 들어, 폭)의 상당한 변화를 반드시 초래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물질은 실질적으로 네킹(necked)되지 않으며, 이는 물질이 자신의 초기 단면 치수 및 더욱 큰 정도의 강도 특성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포어 망을 형성하는 것에 더하여, 연신은 또한 마이크로 크기의 도메인들의 축방향 치수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켜서 그것들이 일반적으로 선형의 세장형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장형 마이크로 크기의 도메인들은 연신 이전의 도메인들의 축방향 치수보다, 약 10% 이상,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20 내지 약 500%,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50% 내지 약 250% 더 큰 축방향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연신 후의 평균 축방향 치수는, 예를 들면, 약 0.5 내지 약 250μm,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 내지 약 100μm,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2 내지 약 50μm,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5 내지 약 25μm의 범위일 수 있다. 마이크로 크기의 도메인들은 또한 상대적으로 얇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은 단면 치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단면 치수는 약 0.05 내지 약 50μm, 일부 실시예들에선 약 0.2 내지 약 10μm의 두께, 및 일부 실시예들에선 약 0.5 내지 약 5μm일 수 있다. 이것은 약 2 내지 약 150,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3 내지 약 100, 및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4 내지 약 50의 마이크로 크기 도메인들에 대한 종횡비(단면 치수에 대한 축방향 치수의 비율)를 초래할 수 있다.
다공성 및 세장형 도메인 구조의 결과로,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생성되는 중합체 물질이, 저 "푸아송 계수(Poisson coefficient)"로 반영되는, 길이방향으로의 연신될 때 부피에 있어서 균일하게 팽창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푸아송 계수 = - E 가로방향 / E 길이방향
여기서, E 가로방향 은 물질의 가로방향 변형이고, E 길이방향 은 물질의 길이방향 변형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물질의 푸아송 계수는 대략 0 또는 심지어 음의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아송 계수는, 약 0.1 이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08 이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1 내지 약 0.04일 수 있다. 푸아송 계수가 0인 경우, 물질이 길이방향으로 팽창될 때 가로방향으로는 수축이 없다. 푸아송 계수가 음의 값인 경우, 물질의 가로방향 또는 측방향 치수도, 물질이 길이방향으로 연신될 때 팽창된다. 따라서, 음의 푸아송 계수를 갖는 물질은 길이방향으로의 연신시 폭의 증가를 나타낼 수 있고, 이에 따라 교차 방향으로 에너지 흡수가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 물질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응용분야에 따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들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에너지 흡수 부재에 사용하기 위한 필름, 섬유성 물질, 성형된 용품, 프로파일 등, 및 이들의 합성물과 적층체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중합체 물질은, 섬유성 물질 또는 섬유성 물질의 층이나 성분의 형태이고, 이는 개별적인 스테이플 섬유들 또는 필라멘트들(연속 섬유들), 및 이러한 섬유들로부터 형성되는 방사, 직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는, 예를 들어, 함께 트위스팅되는("스펀 방사") 다수의 스테이플 섬유, 트위스팅 없이 함께 레이드된(laid) 필라멘트("제로-트위스트 방사"), 약간 트위스팅되고 함께 레이드된 필라멘트, 트위스팅이 있거나 없는 단일 필라멘트("모노필라멘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는 텍스처링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적절한 직물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직조된 직물, 편직물, 부직포(예를 들어, 스펀본드 웹, 멜트블로운 웹, 본디드 카디드 웹, 습식-레이드 웹, 에어레이드 웹, 코폼 웹, 수력 엉킴 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섬유들은, 일반적으로, 단성분 및 다성분(예를 들어, 시스-코어(sheath-core) 구성, 나란한 구성, 세그먼트화 파이 구성, 바다 속 섬(island-in-the-sea) 구성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원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섬유들은, 강도 및 기타 기계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추가 중합체를 성분(예를 들어, 이성분) 또는 구성요소(예를 들어, 이구성요소(biconstituent))로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조성물은 시스/코어 이성분 섬유의 시스 성분을 형성할 수 있는 한편, 추가 중합체는 코어 성분을 형성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추가 중합체는, 열가소성 중합체일 수 있는데,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부티랄; 아크릴 수지,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알코올; 및 폴리우레탄이 있다.
섬유들은, 사용시, 변형(strain)이 인가되면 파단되기 보다는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섬유들은, 섬유가 상당한 세장을 나타낸 후에도 하중 지지 부재로서 계속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섬유들은, 개선된 "피크 세장 특성", 즉, 피크 하중에서의 섬유의 세장 백분율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섬유들은, 23℃에서 ASTM D638-10에 따라 결정되는 바와 같이, 약 50% 이상,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00% 이상,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200% 내지 약 150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400% 내지 약 800%의 피크 세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세장은, 약 0.1 내지 약 50μm,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1 내지 약 40μm,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2 내지 약 25μm,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5 내지 약 15μm 등의 다양한 평균 직경을 갖는 섬유들에 대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들은, 변형 하에서 연장되는 능력을 갖고 있으면서, 또한, 비교적 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들은, 23℃에서 ASTM D638-10에 따라 결정되는 바와 같이, 약 25 내지 약 500메가파스칼("MPa"),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50 내지 약 300MPa,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60 내지 약 200MPa의 피크 인장 응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들의 상대적 강도를 나타내는 또 다른 파라미터는, 단위 선형 밀도당 힘으로서 표현되는 섬유의 인장 강도를 나타내는 "인성"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섬유들은, 데니어당 약 0.75 내지 약 6.0그램 힘(“gf”),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데니어당 약 1.0 내지 약 4.5gf,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데니어당 약 1.5 내지 약 4.0gf의 인성을 가질 수 있다. 섬유들의 데니어는 원하는 응용 분야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섬유들은, 6 미만,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3 미만,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0.5 내지 약 3의 필라멘트당 데니어(즉, 섬유의 9000미터당 그램 질량과 같은 선형 밀도의 단위) 를 갖도록 형성된다.
원하는 경우, 본 발명의 중합체 물질은, 연신 전 및/또는 연신 후에 하나 이상의 추가 처리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의 예는, 예를 들어, 홈 롤 연신, 엠보싱, 코팅 등을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중합체 물질은, 또한, 원하는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는 데 일조하도록 소둔될 수 있다. 소둔(annealing)은, 통상적으로, 중합체 매트릭스의 유리 전이 온도에서 또는 그 보다 높은 온도에서 발생하며, 예를 들어, 약 40℃ 내지 약 12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50℃ 내지 약 10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약 70℃ 내지 약 90℃일 수 있다. 중합체 물질은 또한, 그것의 특성들을 개선하도록 알려져 있는 다양한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 에너지 빔(예를 들어, 플라즈마, X-선, e-빔 등)을 이용하여 임의의 피부층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고, 표면 극성, 다공성, 표면형태를 변경할 수 있고, 표면층 취약화 등을 행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이러한 표면 처리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연신 전 및/또는 후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중합체 물질은 직물(예, 직조된 직물, 편직물, 또는 부직포) 속에 혼입될 수도 있다. 직물 전체가 중합체 물질의 섬유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직물은 구성성분 및/또는 섬유가 층에 사용되는 적층체에 섬유가 사용되는 복합물일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도, 직물은 때때로 본 발명의 중합체 물질의 섬유와 함께 부가적인 물질(들)을 이용하는 복합물일 수도 있다. 임의의 다양한 물질도 일반적으로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합체 물질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텍스타일 섬유가 특정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적합한 텍스타일 섬유로는 예컨대, 면, 모, 피(bast), 실크, 방향족 폴리아미드 (예, Nomex® 또는 Kevlar®), 지방족 폴리아미드 (예, 나일론), 레이온, 리오셀로부터 형성된 것들과 같은, 대체로 비탄성 텍스타일 직물; 예컨대 엘라스토에스테르(예, Teijin의 REXE™), 라스톨(lastol)(예, Dow XLA™), 스판덱스(DuPont의 Lycra®) 등등으로부터 형성된 것들과 같은 탄성 섬유; 뿐만 아니라 2종 이상의 텍스타일 섬유의 조합이 있다. "스판덱스"는 일반적으로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비교적 연질 부위들과 산재된 분절된 폴리우레탄에서 형성된 탄성 텍스타일 섬유이다. 마찬가지로, "엘라스토에스테르(elastoester)"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혼방으로부터 형성된 탄성 텍스타일 섬유이고 "라스톨(lastol)"은 가교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형성된 탄성 텍스타일 섬유이다. 탄성 텍스타일 섬유는 신축성 같은 특성을 가지는 직물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직물은 상기 중합체 물질의 섬유와 텍스타일 섬유(예, 탄성 섬유)의 조합으로부터 형성되는 방사를 포함하는 직조 또는 편직물 복합물이다. 신축성 복합물 직물은, 예를 들어, 본래 비교적 비탄성일 수도 있는, 탄성 텍스타일 섬유로 형성된 방사 및 본 발명의 섬유로부터 형성된 방사로 형성될 수 있다. 직조된 직물에서, 예를 들면, 씨실 신축성 직물에서의 충전 방사 같은, 탄성 방사는 신축성이 있는 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직물은 본 발명의 섬유 자체 및 텍스타일 섬유(예, 탄성 섬유)의 복합물인 방사로 형성될 수 있다. 신축성 복합물 방사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섬유로부터 형성된 방사에 의해 탄성 섬유를 단일 또는 이중 래핑(wrapping)하고,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스테이플 섬유로 탄성 섬유를 덮고(즉, 코어 방적), 탄성 방사와 본 발명의 섬유로부터 형성된 방사를 교락 및 엉키게 하고(예 공기 분사에 의함), 탄성 섬유 및 본 발명의 섬유로 형성된 방사를 꼬아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텍스타일 방사 및 텍스타일 섬유와 본 발명의 섬유의 혼방으로로부터 형성된 방사의 조합을 사용하는 복합물 섬유가 형성될 수도 있다.
III. 에너지 흡수 부재
본 발명의 중합체 물질이 에너지 흡수 부재로 형성되는 방식은 달라질 수도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에너지 흡수 부재는, 본 발명의 중합체 물질로부터 완전히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에너지 흡수 부재는 에너지 흡수, 단열, 배리어 특성, 또는 커버 등의 다양한 목적을 위해 중합체 물질을 한 층 또는 구성요소 및 물질의 하나 이상의 부가 층 또는 구성요소들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부가 물질(들)은 중합체 발포체, 필름 또는 시트, 부직포, 유리섬유 물질, 셀룰로오스계 물질, 스크림, 호일 등과 같은 다른 종래의 종류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에너지 흡수 부재는 본 발명의 중합체 물질 및 하나 이상의 부가 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구조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층체 구조는 보호 대상인 부위(예, 본체 부)에서 먼 쪽으로 향하는 외부 쉘 층, 및 상기 쉘 층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보호 대상인 부위 쪽으로 향하는 중합체 물질을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쉘 층은 유리, 그래파이트, 파라-아라미드 (예, Kevlar®),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 (예, Spectra®) 등으로부터 형성된 섬유, 금속 시트, 세라믹 시트 등과 같이,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도의 강도를 가진 반면, 상기 쉘 층의 물질은 비교적 뻣뻣하고, 따라서 여러 조각으로 파단되고 부상 위협의 위험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높은 붕괴가능성과 연성을 가진 본 발명의 중합체 물질이 적층 구조에 사용되어서 여러 조각들로 파단되지 않고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면, 외부 쉘 층 (212)에 인접하게 위치된 중합체 물질(220)을 포함하는 적층체 에너지 흡수 부재(200)의 하나의 특정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합체 물질(220)은 비교적 평평하다; 그러나, 임의의 형상 또는 기하학적 구성이 채택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원한다면, 상술한 바와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는, 내부 쉘 층(214)이 또한 중합체 물질(220)에 인접하게 위치되어서, 중합체 물질(220)이 두 개의 쉘 층 사이에 끼워진 코어 층의 역할을 하게 될 수도 있다.
다양한 다른 층 및/또는 물질 또한 적층된 에너지 흡수 부재에 혼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충격 흡수 패드는 중합체 물질과 중합체 물질 사이에 위치되어서 에너지 흡수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다. 충격 흡수 패드는 발포된 물질 등과 같은 종래 물질로 형성되거나, 본 발명의 중합체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서, 예를 들면, 쉘 층들(212, 214) 사이에 위치한 중합체 물질(220)을 포함하는 적층된 에너지 흡수 부재(3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충격 흡수 패드(213)가 또한 쉘 층(212) 및 중합체 물질(220)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제2 충격 흡수 패드(215)가 또한 쉘 층(214) 및 중합체 물질(220) 사이에 위치한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강도 강화 섬유는 상기 중합체 물질(예, 코어 층)을 함유하는 층에 혼입되어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부재의 능력을 더욱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5에서, 예를 들면, 쉘 층들(212, 214) 사이에 위치한 중합체 물질(220)의 코어 층을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400)가 도시되어 있다. 코어 층은 또한 다수의 강도 강화 섬유(230)(예, Kevlar® 섬유)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섬유는, 파단하거나 비산한다면, 그들이 보호 대상인 부분을 침투하거나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5의 실시예의 섬유(230)는 중합체 물질(220) 위에 있어서 쉘 층(220)에 인접하지 않게 된다.
특정 구조에 관계없이, 에너지 흡수 부재는 다양한 종류의 용품에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흡수 부재는 보호 장비의 전체 부분이든지 단순히 그 구성요소(예, 패드)를 형성하든지 간에 보호 장비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보호 장비에 사용되는 경우, 에너지 흡수 부재는 신체 부위(예, 가슴, 다리, 팔, 두부 등)에 인접하게 위치되어서 압력이나 갑작스런 충격에 의한 외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너지 흡수 부재, 예를 들어, 방탄복, 방탄 조끼 또는 재킷, 폭동 제어에 사용되는 의류 또는 다른 복장용구, 수리 활동, 무술, 헬멧, 정강이 보호대, 팔꿈치 보호대, 장갑, 스키 부츠, 스노우보드 부츠, 오토바이 장비, 스케이트(예, 하키 스케이트, 피겨 스케이트, 경주 스케이트, 인라인 스케이트 등)과 연계하여 사용되는 의류나 장비, 체육용 신발, 정형외과 성형물 또는 교정기,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도 있는, 보호 장비의 다양한 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될 수도 있는 보호 장비의 일 실시예가 셔츠(10)의 형태로 도시된다. 셔츠(10)는 단독으로 착용되거나 다른 의류 아래에 또는 위에 착용되도록 설계되고, 일반적으로 몸통의 정면과 배면을 덮는 조끼(14), 슬리브(16), 및 연조직 및 생명유지 기관을 보호하도록 위치된 다수의 패드(1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에너지 흡수 부재는 조끼(14), 패드(18), 및/또는 슬리브(16)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에너지 흡수 부재는 패드(18)를 형성하는데 사용되지만, 경량 메쉬 형 구조가 조끼(14)와 슬리브(16)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자전거 또는 스포츠 헬멧(100) 같은 보호 장비의 다른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체 헬멧이 에너지 흡수 부재(112)로 형성된다. 물론, 헬멧(100)의 다른 부분들이 다른 방식으로 보호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두개골의 관자놀이 부분이 충격 부상에 매우 민감하지만, 이마는 큰 두께로 인해 덜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에너지 흡수 부재는 관자놀이 영역(122)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정면 영역(124)에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는 임의의 특정 응용분야 내의 광범위한 용품에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응용분야를 고려하는 경우, 중합체 물질은 섬유성 용품이나 고형 성형물로서 에너지 흡수 부재에 활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흡수 부재는 차량의 편안함 및/또는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예를 들어, 커버링 및/또는 패딩, 시트 커버링, 시트 커버링, 카펫팅용 뒤판, 시트 벨트를 위한 커버링, 트렁크 플로어 커버링과 라이너 등), 에너지 흡수 부재는 대략적인 온도 및/또는 차음을 제공할 수 있다(예를 들어, 컬럼 패딩, 도어 트림 라이너, 후드 라이너, 차체 부품 등).
중합체 물질을 포함한 고형 성형물은 자동차의 에너지 흡수 부재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체 물질은 차량의 후면, 전면 및 / 또는 측면들의 크럼플 영역(crumple zone) 같은 수동 안전 구성요소 내부; 에어백 또는 스티어링 휠의 구성요소(예, 붕괴형 스티어링 칼럼); 화물 장벽; 또는 보행자 안전 시스템의 구성요소(예, 범퍼, 후드, 창틀 등의 구성요소 등) 같은 자동차의 안전 셀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중합체 물질의 이렇게 광범위한 응용분야는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결코 자동차 산업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중합체 물질은, 제한 없이, 항공 및 우주 응용분야(예를 들어, 항공기, 헬리콥터, 우주 수송, 군 항공우주 디바이스 등), 해양 응용분야(보트, 선박, 레크리에이션 차량), 기차 등을 포함하는 수송 산업 전반에 걸쳐서 에너지 흡수 부재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시험 방법
고속 파괴 테스트:
시험은 23℃ 또는 -25℃ (+2℃)의 온도와, 50% (+10%)의 상대 습도에서 ASTM D3763-10에 따라 고속 파괴를 실시한 후 충격 특성을 측정하도록 수행할 수도 있다. Instron Dynatup 9250HV 고충격 시험기(데이터 수집 시스템 보유)를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시험 속도는 3.3 또는 12.5m/s일 수도 있으며, 시험편 크기는 102mm x 127mm일 수도 있으며, Tup 직경은 12.7mm일 수도 있다. 피크 하중(mm)에서의 평균 변형(deflection), 평균 피크 하중(N), 피크 하중에서의 평균 에너지(J), 및 평균 총 에너지(J)를 결정한다. 총 에너지는 하중이 제로로 복귀하는 지점에서 하중/변형 곡선(load/deflection curve)으로부터 결정한다.
노치 샤르피 충격 강도:
충격 강도는 23℃ 또는 0℃ (+2℃)의 온도와, 50% (+10%)의 상대 습도에서 ASTM D6110-10에 따라 측정할 수도 있다. 샘플은 약 3.1mm의 폭을 가질 수도 있으며, 늘릴 수 있는 최대폭은 101.6mm일 수도 있고, 노치 하부 깊이는 약 10.2mm일 수도 있다. 추는 2.7J의 용량을 가질 수도 있다. 충격 강도는 더 강한 물질을 나타내는 높은 숫자를 가진 노치(제곱미터) 아래 면적으로 kJ로 된 충격 에너지를 나누어서 계산한다.
용융 유속:
용융 유속("MFR")은, 통상적으로 190℃, 210℃, 또는 230℃에서 10분 동안 2160그램의 하중을 받는 압출 유동계 오리피스(0.0825-인치 직경)를 통해 흐르는 중합체의 중량(gram)이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용융 유속은 Tinius Olsen Extrusion Plastometer를 이용한 ASTM Test Method D1239에 따라 측정된다.
열적 특성:
유리 전이 온도(Tg)는, ASTM E1640-09에 따라 동적 기계적 분석(DMA)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TA Instruments의 Q800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장력/장력 기하학적 구조에서, 그리고 가열속도가 3℃/분인 -120℃ 내지 150℃ 범위의 온도 스위프(sweep) 모드에서, 실험을 실행할 수 있다. 변형 진폭 주파수는 시험 동안 일정하게(2Hz) 유지될 수 있다. 3개의 독립적 샘플을 시험하여 평균 유리 전이 온도를 구할 수 있는데, 이는 탄젠트 δ곡선의 피크 값에 의해 정의되며, 여기서 탄젠트 δ는 손실 탄성율 대 저장 탄성율의 비로 정의된다(tan δ= E”/E’).
용융 온도는 시차주사 열량측정(DSC)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시차주사 열략측정계는, 액체 질소 냉각 액세서리 및 UNIVERSAL ANALYSIS 2000 (version 4.6.6) 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갖추질 수 있는 DSC Q100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일 수 있으며, 이러한 액세서리와 프로그램 모두는 미국 델라웨어주 뉴캐슬에 소재하는 T.A. Instruments에 의해 시판되고 있다. 샘플을 직접 다루는 것을 피하도록, 트위저(tweezer) 또는 기타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샘플들은, 알루미늄 팬 내에 두고 분석 저울 상에서 0.01mg의 정밀도로 계량될 수 있다. 뚜껑이 팬 상의 물질 샘플 위로 주름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수지 펠릿들은 칭량통에 직접 둘 수 있다.
시차주사 열량계를 위한 조작 매뉴얼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차주사 열량계는 인듐 금속 표준을 사용하여 교정될 수 있고 베이스라인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물질 샘플은, 시험을 위해 시차주사 열량계의 시험 챔버 내에 둘 수 있고, 비어있는 팬이 참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모든 시험은 시험 챔버 상에서 55-cm3/분 질소 퍼지(산업용)로 실행될 수 있다. 수지 펠릿 샘플에 대하여, 가열 및 냉각 프로그램은, -30℃로의 챔버의 평형으로 시작되어, 10℃/분의 가열 속도로 200℃까지의 제1 가열 기간, 3분 동안 200℃에서의 샘플의 평형, 10℃/분의 냉각 속도로 -30℃까지의 제1 냉각 기간, 3분 동안 -30℃에서의 평형, 10℃/분의 가열 속도로 200℃까지의 제2 가열 기간이 이어지는 2-사이클 시험이다. 섬유 샘플에 대하여, 가열 및 냉각 프로그램은, -25℃의 챔버 평형에서 시작되어, 10℃/분의 가열 속도로 200℃까지의 가열 기간, 3분 동안 200℃에서의 평형, 10℃/분의 냉각 속도로 -30℃까지의 냉각 기간이 이어지는 1-사이클 시험일 수 있다. 모든 시험은, 시험 챔버 상에서 55-cm3/분 질소 퍼지(산업용)로 실행될 수 있다.
변곡 피크, 흡열 피크, 및 발열 피크의 유리 전이 온도(Tg), 및 DSC 플롯 상의 피크들 하에 있는 영역들을 식별하는 정량화하는 UNIVERSAL ANALYSIS 2000 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 유리 전이 온도는 기울기의 명백한 변화가 발생한 플롯라인 상의 영역으로서 식별될 수 있고, 용융 온도는 자동 변속 산출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팽창비, 밀도, 및 퍼센트 포어 부피
팽창비, 밀도, 및 퍼센트 포어 부피를 결정하도록, 연신 전에 견본의 폭(Wi)과 두께(Ti)를 초기에 측정할 수 있다. 견본의 표면 상의 두 개의 마킹 사이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연신 전의 길이(Li)도 결정될 수 있다. 이후, 견본은 공극형성(voiding)을 개시하도록 연신될 수 있다. 이어서, 견본의 폭(Wf), 두께(Tf), 및 길이(Lf)는, Digimatic Caliper(Mitutoyo Corporation)를 이용하여 최근접 0.01mm까지 측정될 수 있다. 연신 전의 부피(Vi)는 Wi x Ti x Li = Vi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연신 후의 부피(Vf)도 Wf x Tf x Lf = Vf에 의해 산출되었다. 팽창비(Φ)는 Φ = Vf/Vi에 의해 산출될 수 있고; 밀도(Ρf)는 Ρf = Ρi/Φ에 의해 산출될 수 있고; 여기서, Ρi는 전구체 물질의 밀도이고, 퍼센트 포어 부피(% Vv)는 %Vv = (1 - 1/ Φ) x 100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습기 함량
습기 함량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모든 면에서 참고로 원용되는 실질적으로 ASTM D 7191-05에 따라 Arizona Instruments Computrac Vapor Pro moisture analyzer (Model No. 3100)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시험 온도(§X2.1.2)는 130℃일 수 있고, 샘플 크기(§X2.1.1)는 2 내지 4그램일 수 있고, 유리병 퍼지 시간(§X2.1.4)은 30초일 수 있다. 또한, 종료 기준(§X2.1.3)은 "예측" 모드로서 정의될 수 있고, 이는 (종점 습기 함량을 수학적으로 산출하는) 내장된 프로그래밍된 기준이 충족될 때 시험이 종료됨을 의미한다.
85.3중량%의 폴리락트산(PLA 6201D, Natureworks®), 9.5중량%의 마이크로내포 첨가제, 1.4중량%의 나노내포 첨가제, 및 3.8중량%의 내부 간기 개질제로 열가소성 조성물을 형성했다. 마이크로내포 첨가제는, 29g/10분 (190℃, 2160 g)의 용융 유속과 0.866 g/cm3의 밀도를 갖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인, 비스타맥스(Vistamaxx)™ 2120(ExxonMobil)이었다. 나노내포 첨가제는 5-6g/10분 (190℃/2160 g)의 용융 유속과, 7 내지 11 중량% 함량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3 내지 17 중량% 함량의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72 내지 80 중량% 함량의 에틸렌을 갖는 폴리(에틸렌-코-메틸 아크릴레이트-코-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Lotader® AX8900, Arkema)였다. 내부 간기 개질제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관능 유체인 BASF의 PLURIOL® WI 285 윤활제였다. 중합체들을, 미국 뉴저지주 램지에 소재하는 Werner and Pfleiderer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을 위해 동 회전 트윈-스크류 압출기(ZSK-30, 직경 30 mm, 길이 1328mm)에 공급하였다. 압출기는, 송급 호퍼로부터 다이로 1 내지 14로 연속되는 14개 구역을 보유하였다. 제1 배럴 구역 #1은 15파운드/시간의 총 처리량으로 중량 측정 피더를 통해 수지를 수용하였다. 주입기 펌프를 통해 PLURIOL® WI285을 배럴 구역 #2에 첨가하였다. 수지를 압출하는 데 사용된 다이는, 4mm만큼 분리된 3개의 다이 개구(직경 6mm)를 가졌다. 형성시, 압출된 수지를 팬 냉각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냉각하여 Conair pelletizer에 의해 펠릿으로 형성하였다. 압출기 스크류 속도는 200회전/분("rpm")이었다. 이어서, 펠릿들을, 212℃로 가열한 단일 스크류 압출기에 대량 공급하였고, 이때 용융된 배합물은 4.5 인치 폭 슬릿 다이를 통해 빠져나가고 0.45 내지 0.48mm 범위 두께의 필름으로 연신되었다. 필름들은, MTS 810 유압 인장 프레임을 사용하여 공동형성과 공극 형성을 개시하도록 기계 방향으로 약 100%로 신축되었다(속도 50mm/m).
일단 형성되면, 물질은 ASTM D3763-10에 따라 고속 파괴 시험을 거쳤으며, 그런 다음 피크 하중에서의 물질의 평균 변형(mm), 평균 피크 하중(N), 피크 하중에서의 평균 에너지(J), 및 평균 총 에너지를 시험하였다. 시험은 3.3m/s와 12.5m/s의 속도 및 23℃와 -25℃의 온도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중간 충격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ro-fax™ SV954, Basell)로 만든 대조군 샘플도 시험하였다. 결과가 표 1-4에 보여지고 있다.
충격 특성 (속도 3.3m/s, 온도 23℃)
실시예 평균 두께 (mm) 평균 피크 하중에서의 변형(mm) 평균 피크 하중(N) 평균 피크 하중에서의 에너지(J) 평균 총 에너지(J)
1 0.461 16.4 452 3.20 3.80
대조군 0.322 12.3 238 1.35 1.47
충격 특성 (속도 12.5m/s, 온도 23℃)
실시예 평균 두께 (mm) 평균 피크 하중에서의 변형(mm) 평균 피크 하중(N) 평균 피크 하중에서의 에너지(J) 평균 총 에너지(J)
1 0.471 16.1 492 3.15 4.63
대조군 0.324 12.8 251 1.37 1.66
충격 특성 (속도 3.3m/s, 온도 -25℃)
실시예 평균 두께 (mm) 평균 피크 하중에서의 변형(mm) 평균 피크 하중(N) 평균 피크 하중에서의 에너지(J) 평균 총 에너지(J)
1 0.457 12.7 492 2.14 2.28
대조군 0.330 12.3 358 1.90 2.15
충격 특성 (속도 12.5m/s, 온도 -25℃)
실시예 평균 두께 (mm) 평균 피크 하중에서의 변형(mm) 평균 피크 하중(N) 평균 피크 하중에서의 에너지(J) 평균 총 에너지(J)
1 0.457 10.6 373 1.23 1.60
대조군 0.320 10.4 306 1.28 1.59
85.3중량%의 폴리락트산(PLA 6201D, Natureworks®), 9.5중량%의 Vistamaxx™ 2120, 1.4중량%의 Lotader® AX8900, 및 3.8중량%의 PLURIOL® WI 285로 열가소성 조성물을 형성했다. 중합체들을, 미국 뉴저지주 램지에 소재하는 Werner and Pfleiderer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을 위해 동 회전 트윈-스크류 압출기(ZSK-30, 직경 30 mm, 길이 1328mm)에 공급하였다. 압출기는, 송급 호퍼로부터 다이로 1 내지 14로 연속되는 14개 구역을 보유하였다. 제1 배럴 구역 #1은 15파운드/시간의 총 처리량으로 중량 측정 피더를 통해 수지를 수용하였다. 주입기 펌프를 통해 PLURIOL® WI285을 배럴 구역 #2에 첨가하였다. 수지를 압출하는 데 사용된 다이는, 4mm만큼 분리된 3개의 다이 개구(직경 6mm)를 가졌다. 형성시, 압출된 수지를 팬 냉각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냉각하여 Conair pelletizer에 의해 펠릿으로 형성하였다. 압출기 스크류 속도는 200회전/분("rpm")이었다. 이어서, 펠릿들을, 주입 성형기(Boy 22D) 내로 공급하였고, ASTM 시험 성형기 내로 주입해서 두께 3 인치, 폭 12.7mm, 길이 127mm인 막대들을 생성하였다. 이어서 막대들은, MTS 810 유압 인장 프레임을 사용하여 공동형성과 공극 형성을 개시하도록 60%로 신장되었다(속도 50mm/m). 이어서 막대들은 ~127mm 길이로 다시 잘라내서 막대의 비공극 부분을 제거하였다.
일단 형성되면, 물질은 ASTM D6110-10에 따라 노치 샤르피 충격 저항 시험을 실시해서, 샤르피 충격 강도를 결정하였다(kJ/m2). 시험은 23℃ 및 0℃의 온도에서 수행하였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Terluran® GP-22, BASF) ("대조군 샘플 1")와 중간 충격 폴리프로필렌-공중합체(Pro-fax™ SV954, Basell) ("대조군 샘플 2")로부터 만든 대조군 샘플도 시험하였다. 결과가 표 5에 보여지고 있다.
충격 강도
실시예 평균 23℃에서의 샤르피 충격 강도
(J/m)
평균 23℃에서의 샤르피 충격 강도(kJ/m2) 평균 0℃에서의 샤르피 충격 강도
(J/m)
평균 0℃에서의 샤르피 충격 강도
(kJ/m2)
1 545 53.70 320 31.40
대조군 1 193 19.00 132 12.90
대조군 2 85 8.37 31 3.02
배합물이 85.3 중량%의 폴리락트산(PLA 6201D, Natureworks®), 9.5 중량%의 Vistamaxx™ 2120, 1.4 중량%의 Lotader® AX8900, 3.8 중량%의 PLURIOL® WI 285의 배합물로 필름을 형성하는 능력. 중합체들을, 미국 뉴저지주 램지에 소재하는 Werner and Pfleiderer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을 위해 동 회전 트윈-스크류 압출기(ZSK-30, 직경 30 mm, 길이 1328mm)에 공급하였다. 압출기는, 송급 호퍼로부터 다이로 1 내지 14로 연속되는 14개 구역을 보유하였다. 제1 배럴 구역 #1은 15파운드/시간의 총 처리량으로 중량 측정 피더를 통해 수지를 수용하였다. 주입기 펌프를 통해 PLURIOL® WI285을 배럴 구역 #2에 첨가하였다. 수지를 압출하는 데 사용된 다이는, 4mm만큼 분리된 3개의 다이 개구(직경 6mm)를 가졌다. 형성시, 압출된 수지를 팬 냉각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냉각하여 Conair pelletizer에 의해 펠릿으로 형성하였다. 압출기 스크류 속도는 200회전/분("rpm")이었다. 이어서, 펠릿들을, 212℃로 가열한 단일 스크류 압출기에 대량 공급하였고, 이때 용융된 배합물은 4.5 인치 폭 슬릿 다이를 통해 빠져나가고 36μm 내지 54μm 범위 두께의 필름으로 연신되었다. 필름들은, 공동형성과 공극 형성을 개시하도록 기계 방향으로 약 100%로 신축되었다.
전자 주사 현미경(SEM)에 의해 신축 전과 후의 필름들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결과가 도 6-9에 보여지고 있다. 도 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 2 내지 약 30μm의 축방향(기계 방향) 크기 및 약 1 내지 약 3μm의 가로방향(교차 기계 방향) 치수를 갖는 도메인들에 마이크로내포 첨가제를 초기에 분산하는 한편, 나노내포 첨가제를 약 100 내지 약 300nm의 축방향 크기를 갖는 구형 또는 회전타원체형 도메인들로서 초기에 분산하였다. 도 8-9는 신축 후의 필름을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포어들은 내포 첨가제들 주위에 형성되었다. 마이크로내포 첨가제 주위에 형성된 마이크로포어들은, 축방향으로 약 2 내지 약 20μm에 걸친 넓은 크기의 분포를 갖는 세장형 또는 슬릿형 형상을 가졌다. 나노내포 첨가제에 연관된 나노포어들은, 일반적으로, 약 50 내지 약 500nm 크기를 가졌다.
실시예 1의 배합된 펠렛들을 제3 내포 첨가제와 건식 배합하였으며, 상기 첨가제는 22 중량%의 스티렌계 공중합체 변성 나노클레이 및 78 중량% 폴리프로필렌 (Exxon Mobil 3155)를 함유하는 할로이사이트(halloisite) 클레이 마스터배치(MacroComp MNH-731-36, MacroM)였다. 혼합비는, 펠릿 90중량% 및 클레이 마스터배치 10중량%이었으며, 이 클레이 마스터배치는 총 2.2%의 클레이 함량을 제공하였다. 이어서, 건조 배합물을 212℃로 가열된 신호 스크류 압출기에 대량 공급하였고, 여기서 용융된 배합물은 4.5인치 폭 슬릿 다이를 통해 배출되어 51 내지 58μm 필름 두께로 연신되었다. 필름들은, 공동형성과 공극 형성을 개시하도록 기계 방향으로 약 100%로 신축되었다.
전자 주사 현미경(SEM)에 의해 신축 전과 후의 필름들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결과가 도 10-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노클레이 입자들 중 일부(더욱 밝은 영역들로서 보일 수 있음)는 매우 작은 도메인들의 형태로 분산되었고 - 즉, 축방향 치수가 약 50 내지 약 300nm이었다. 마스터배치 자체도, 마이크로 규모 크기(약 1 내지 약 5μm의 축방향 치수)의 도메인들을 형성하였다. 또한, 마이크로내포 첨가제(Vistamaxx™)는 세장형 도메인을 형성하고, 나노내포 첨가제(Lotader®, 초미립자 어두운 점으로 보임) 및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는 구상 도메인을 형성했다. 신축된 필름은 도 12-1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공극 구조는 더욱 개방적이며 넓은 범위의 포어 크기를 입증한다. 제1 내포물(Vistamaxx™)에 의해 형성된 매우 세장형인 마이크로포어와 더불어,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내포물들은 약 10μm 이하의 축방향 크기 및 약 2μm의 가로방향 크기를 가진 더욱 개방형 구상 마이크로포어를 형성했다. 구상 나노포어들은 또한 제2 내포 첨가제(Lotader®)와 제3 내포 첨가제(나노클레이 입자들)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을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전술한 바를 이해함에 따라,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대체예, 변형예, 균등예를 쉽게 구상할 수 있다는 점을 알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로서 평가되어야 한다.

Claims (46)

  1.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로, 여기서 상기 중합체 물질은 매트릭스 중합체를 포함하는 연속상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여기서 마이크로내포(microinclusion) 첨가제 및 나노내포(nanoinclusion) 첨가제가 이산 도메인의 형태로 상기 연속상 내에 더욱 분산되어 있고, 여기서 포어 망이 약 800nm 이하의 평균 단면 치수를 갖는 복수의 나노포어들을 포함하는 상기 물질 내에 정의되는, 에너지 흡수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물질은, 23℃에서 ASTM D6110-10에 따라 측정한, 약 10kJ/m2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0kJ/m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5kJ/m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5kJ/m2 내지 약 100kJ/m2 의 노치 샤르피 충격 강도(Charpy impact strength)를 가지는, 에너지 흡수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물질에 의해 흡수된 총 에너지는, 12.5m/s의 속도와 23℃의 온도에서 ASTM D3763-10에 따라 실시된 고속 파괴 시험에 의해 결정된, 약 2J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J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20J인, 에너지 흡수 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물질의 피크 하중에서의 변형은, 12.5m/s의 속도와 23℃의 온도에서 ASTM D3763-10에 따라 실시된 고속 파괴 시험에 의해 결정된, 약 10mm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2.5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50mm인, 에너지 흡수 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물질의 피크 하중은, 12.5m/s의 속도와 23℃의 온도에서 ASTM D3763-10에 따라 실시된 고속 파괴 시험에 의해 결정된, 약 250 뉴톤(Newton)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50 뉴튼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0 내지 약 1000 뉴톤인, 에너지 흡수 부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포어들은 약 10 내지 약 100nm의 평균 단면 치수를 갖는, 에너지 흡수 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물질의 총 포어 부피는 입방 센티미터 당 약 15% 내지 약 80%인, 에너지 흡수 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포어들은 상기 중합체 물질의 상기 총 포어 부피의 약 20부피% 이상을 구성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상은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60중량% 내지 약 99중량%을 구성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약 0℃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에너지 흡수 부재.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내포 첨가제는 중합체인, 에너지 흡수 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내포 첨가제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프로필렌 동종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인, 에너지 흡수 부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중합체에 대한 용해도 파라미터 대 상기 마이크로내포 첨가제의 용해도 파라미터의 비는 약 0.5 내지 약 1.5이고, 상기 매트릭스 중합체의 용융 유속 대 상기 마이크로내포 첨가제의 용융 유속의 비는 약 0.2 내지 약 8이고, 그리고/또는 상기 매트릭스 중합체의 영의 탄성 계수 대 상기 마이크로내포 첨가제의 영의 탄성 계수의 비는 약 1 내지 약 250인, 에너지 흡수 부재.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내포 첨가제는 중합체인, 에너지 흡수 부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내포 첨가제는 관능화 폴리올레핀인, 에너지 흡수 부재.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내포 첨가제는 반응성인, 에너지 흡수 부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내포 첨가제는 폴리에폭시드인, 에너지 흡수 부재.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마이크로내포 첨가제는 상기 연속상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조성물의 약 1중량% 내지 약 30중량%을 구성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내포 첨가제는 상기 연속상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조성물의 약 0.05중량% 내지 약 20중량%을 구성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간기 개질제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간기 개질제는 40℃ 에서 결정되는, 약 0.7 내지 약 200 센티스토크의 운동 점성도를 갖는, 에너지 흡수 부재.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간기 개질제는, 소수성을 갖는, 에너지 흡수 부재.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기 개질제는, 실리콘, 실리콘-폴리에테르 공중합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알킬렌 글리콜, 알칸 디올, 아민 옥사이드,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인, 에너지 흡수 부재.
  27.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기 개질제는, 상기 연속상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조성물의 약 0.1중량% 내지 약 20중량%을 구성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물질은 기체 발포제가 없는, 에너지 흡수 부재.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어 망은 마이크로포어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포어의 종횡비는 약 1 내지 약 30인, 에너지 흡수 부재.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어 망은 상기 조성물 전반에 균질하게 분포되어 있는, 에너지 흡수 부재.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포어는 평행한 컬럼들에 분포되어 있는, 에너지 흡수 부재.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도메인들은 약 0.5 내지 약 250μm의 평균 축방향 치수를 가지는, 에너지 흡수 부재.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약 1.2g/cm3 이하의 밀도를 가지는, 에너지 흡수 부재.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직물 형태인, 에너지 흡수 부재.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복수의 방사(yarn)를 함유하는 직조 직물 또는 편직물이고, 여기서 상기 방사의 적어도 일부분은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전체적으로 상기 중합체 물질로부터 형성되는, 에너지 흡수 부재.
  38.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물질은 상기 부재의 층이나 성분인, 에너지 흡수 부재.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 부재는 상기 중합체 물질에 인접하여 위치된 외부 쉘 층을 함유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물질은 상기 외부 쉘 층과 내부 쉘 층 사이에 위치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
  41.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쉘 층은 강도 강화 섬유, 금속 시트, 세라믹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
  42. 제39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중합체 물질 및 다수의 강도 강화 섬유를 포함하는 층을 갖는, 에너지 흡수 부재.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강화 섬유는 상기 중합체 물질 위에 위치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
  44.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의 에너지 흡수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에너지 흡수 부재는 신체 부위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보호 장비.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 부재는 상기 장비의 단지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보호 장비.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비는 방탄 조끼 또는 재킷, 방탄복, 폭동 제어에 사용되는 의류 또는 다른 복장용구, 수리 활동, 무술, 헬멧, 정강이 보호대, 팔꿈치 보호대, 장갑, 스키 부츠, 스노우보드 부츠, 오토바이 장비, 스케이트, 체육용 신발, 정형외과 성형물 또는 교정기, 또는 이들의 조합인, 보호 장비.
KR1020167000589A 2013-06-12 2014-06-06 에너지 흡수 부재 KR102166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33996P 2013-06-12 2013-06-12
US61/833,996 2013-06-12
US201361907548P 2013-11-22 2013-11-22
US61/907,548 2013-11-22
PCT/IB2014/062029 WO2014199277A1 (en) 2013-06-12 2014-06-06 Energy absorbing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780A true KR20160018780A (ko) 2016-02-17
KR102166745B1 KR102166745B1 (ko) 2020-10-16

Family

ID=5202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589A KR102166745B1 (ko) 2013-06-12 2014-06-06 에너지 흡수 부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60108194A1 (ko)
EP (1) EP3008121B1 (ko)
JP (1) JP2016530345A (ko)
KR (1) KR102166745B1 (ko)
CN (1) CN105283492B (ko)
AU (1) AU2014279704B2 (ko)
BR (1) BR112015030878B1 (ko)
MX (1) MX356916B (ko)
RU (1) RU2630144C2 (ko)
SG (1) SG11201510051WA (ko)
WO (1) WO20141992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5083B2 (en) 2013-06-12 2024-04-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olyolefin material having a low density
RU2631796C2 (ru) 2013-06-12 2017-09-26 Кимберли-Кларк Ворлдвайд, Инк. Полимерный материал с мультимодальным распределением пор по размеру
MX2015016830A (es) 2013-06-12 2016-04-04 Kimberly Clark Co Material polimerico para usar en aislamiento termico.
RU2630792C2 (ru) 2013-06-12 2017-09-13 Кимберли-Кларк Ворлдвайд, Инк. Методика инициации порообразования
JP2016523293A (ja) 2013-06-12 2016-08-08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低密度を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材料
JP2016529939A (ja) 2013-06-12 2016-09-29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孔質ポリオレフィン繊維から形成された不織布ウェブを含む吸収性物品
BR112016002218B1 (pt) 2013-08-09 2021-12-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aterial polimérico anisotrópico
MX364108B (es) 2013-08-09 2019-04-11 Kimberly Clark Co Técnica para controlar selectivamente la porosidad de un material polimérico.
US11434340B2 (en) * 2013-08-09 2022-09-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polymeric material with shape retention properties
CN105408404B (zh) * 2013-08-09 2019-01-15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多峰孔分布的微粒
EP3152348B1 (en) 2014-06-06 2020-08-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ollow porous fibers
EP3152038B1 (en) 2014-06-06 2020-05-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ermoformed article formed from a porous polymeric sheet
US9538813B1 (en) * 2014-08-20 2017-01-10 Akervall Technologies, Inc. Energy absorbing elements for footwear and method of use
WO2016085712A1 (en) 2014-11-26 2016-06-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nnealed porous polyolefin material
WO2016122621A1 (en) 2015-01-30 2016-08-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lm with reduced noise for use in an absorbent article
CN107205854B (zh) 2015-01-30 2019-11-29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噪声减小的吸收制品包装
JP6384507B2 (ja) * 2016-03-31 2018-09-0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エネルギー吸収体
US10716351B2 (en) * 2016-06-28 2020-07-21 Peter G. MEADE Zero impact head gear
US10539398B2 (en) 2017-08-16 2020-01-21 Nildson de Souza Rodrigues Impact suppressor
CN108669670A (zh) * 2018-05-15 2018-10-19 张建俊 服饰
WO2020160535A1 (en) * 2019-02-01 2020-08-06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olymer fibers with shear-thickening liquid cores
US20230058501A1 (en) * 2020-02-06 2023-02-23 Barrday Corp. Ballistic-resistant composite with maleic anhydride-grafted polypropylene
JP2023025808A (ja) * 2021-08-11 2023-02-24 ミュン ゴン キム 射出成形靴底材料、それを含む靴底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US20230232935A1 (en) * 2022-01-21 2023-07-27 Joon Bu Park Negative poisson`s ratio materials for winter sports equipment
US11975669B1 (en) * 2023-01-20 2024-05-07 Joon Bu Park Negative Poisson's ratio materials for impact protection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1675A (ko) * 2006-08-31 2009-07-02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고도 통기성 생분해성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7438A (en) * 1986-12-24 1991-07-02 Burlington Industries, Inc. Operating room clothing with coated fabric
CA2114663A1 (en) * 1993-02-05 1994-08-06 Joshua B. Sweeney Microporous polymer structures
US5549868A (en) * 1995-04-21 1996-08-27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of sterilizing an article
US5975082A (en) * 1997-03-10 1999-11-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ear-away surgical drape
US5968643A (en) * 1997-09-16 1999-10-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icroporous film with improved properties
US5800758A (en) * 1997-09-16 1998-09-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king microporous films with improved properties
TW390805B (en) * 1998-01-26 2000-05-21 Kimberly Clark Co Surgical drape with attachable fluid collection pouch
US6673982B1 (en) * 1998-10-02 2004-01-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enter fill performance
US6492574B1 (en) * 1999-10-01 2002-12-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enter-fill absorbent article with a wicking barrier and central rising member
US6660903B1 (en) * 1999-10-01 2003-12-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enter-fill absorbent article with a central rising member
US6764477B1 (en) * 1999-10-01 2004-07-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enter-fill absorbent article with reusable frame member
US6613955B1 (en) * 1999-10-01 2003-09-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wicking barrier cuffs
US6617490B1 (en) * 1999-10-14 2003-09-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molded cellulosic webs
US6692603B1 (en) * 1999-10-14 2004-02-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molded cellulosic webs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US6824680B2 (en) * 2001-05-07 2004-11-30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Preparation of microporous films from immiscible blends via melt processing and stretching
US7943218B2 (en) * 2006-08-14 2011-05-17 Frito-Lay North America, Inc. Environmentally-friendly multi-layer flexible film having barrier properties
JP5309628B2 (ja) * 2007-03-23 2013-10-09 住友化学株式会社 多孔質フィルム
WO2009158479A1 (en) * 2008-06-27 2009-12-30 Lion Apparel, Inc. Protective garment with thermal liner having varying moisture attraction
US8759446B2 (en) * 2008-06-30 2014-06-24 Fina Technology, Inc. Compatibilized polypropylene and polylactic acid blen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8936740B2 (en) * 2010-08-13 2015-0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odified polylactic acid fibers
JP2010280921A (ja) * 2010-09-24 2010-12-16 Toray Ind Inc 白色ポリ乳酸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1675A (ko) * 2006-08-31 2009-07-02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고도 통기성 생분해성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83492B (zh) 2018-11-16
MX356916B (es) 2018-06-19
AU2014279704A1 (en) 2016-01-21
KR102166745B1 (ko) 2020-10-16
RU2015155873A (ru) 2017-06-28
EP3008121B1 (en) 2018-04-25
JP2016530345A (ja) 2016-09-29
AU2014279704B2 (en) 2017-04-27
MX2015016823A (es) 2016-04-18
US20160108194A1 (en) 2016-04-21
CN105283492A (zh) 2016-01-27
BR112015030878B1 (pt) 2020-12-15
RU2630144C2 (ru) 2017-09-05
EP3008121A4 (en) 2016-12-28
EP3008121A1 (en) 2016-04-20
WO2014199277A1 (en) 2014-12-18
SG11201510051WA (en)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745B1 (ko) 에너지 흡수 부재
KR101767851B1 (ko) 다공성 중합체 물질을 함유하는 의복
KR102224562B1 (ko) 복수모드 포어 크기 분포를 갖는 중합체 물질
KR102281989B1 (ko) 패키징에 사용하기 위한 폴리올레핀 필름
KR102204028B1 (ko) 이방성 중합체 물질
KR102208277B1 (ko) 포어 개시 기술
KR102224569B1 (ko) 중합체 물질의 다공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술
KR20160011697A (ko) 다기능 직물
KR102334602B1 (ko) 형상 보유 특성을 구비한 연성 중합체 물질
KR20160018782A (ko) 단열재에 사용하기 위한 중합체 물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