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220A -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220A
KR20160018220A KR1020140102516A KR20140102516A KR20160018220A KR 20160018220 A KR20160018220 A KR 20160018220A KR 1020140102516 A KR1020140102516 A KR 1020140102516A KR 20140102516 A KR20140102516 A KR 20140102516A KR 20160018220 A KR20160018220 A KR 20160018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ontrol
control unit
servo actuato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965B1 (ko
Inventor
김형의
김형준
김형민
Original Assignee
코리아테스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테스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테스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2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965B1/ko
Priority to JP2014237003A priority patent/JP6031492B2/ja
Priority to US14/719,025 priority patent/US9732772B2/en
Publication of KR20160018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6Locking mechanisms
    • F15B15/262Locking mechanisms using friction, e.g. brake p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02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 F15B1/021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used for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8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only one servomotor
    • F15B11/12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only one servomotor providing distinct intermediate positions; with step-by-step action
    • F15B11/121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only one servomotor providing distinct intermediate positions; with step-by-step action providing distinct intermediate positions
    • F15B11/125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only one servomotor providing distinct intermediate positions; with step-by-step action providing distinct intermediate positions by means of digital actuators, i.e. actuators in which the total stroke is the sum of individual stro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47Pistons; Piston to piston rod assemblies
    • F15B15/1452Piston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2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 F15B15/227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having an auxiliary cushioning piston within the main piston or the cylinder end 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4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restricting the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08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tuator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과 로드를 포함하는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로 공압을 공급하는 챔버 및 상기 동작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일반적인 유압실린더 및 공기압실린더에 비해 동작부의 스트로크 방향으로의 이동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액추에이터 내부에 유압쿠션방식의 쿠션부를 구비함으로써, 동작부의 오동작 시에도 동작부의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유압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Servo Actuator for Crash Test}
본 발명은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시험에서 대상물체에 가속력을 가하는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회사 및 연구소에서는 차량의 안전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안전성 시험을 하게 되며, 특히 차량의 충돌사고에 의해 발생하는 상황을 미리 시뮬레이션을 통해 탑승자가 받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추세이다.
상기 연구의 일환으로 신형 차량이 개발되는 경우에는 안전사고 발생 시,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영향을 시험하기 위한 충돌시험과정이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상기의 충돌시험과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체모형(dummy)을 충돌시험의 대상인 차량에 탑승시킨 후, 다양한 속도로 충돌부재 등에 충돌하게 함으로써, 상기 인체모형이 받는 충격을 센서 등의 계측장치로 계측하거나, 영상으로 촬영하여 분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충돌시험과정은 조건속도에 따른 다수의 실제차량을 시험에 투입해야 하며, 차량에 인체모형을 조건에 맞게 준비해야 하는 등 준비과정이 길어지므로 차량에 대한 금전적 손해뿐만 아니라, 투자되는 시간이 길어져 시간적, 인적 손해까지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에 가속되는 시험용 액추에이터를 설치하고, 압력유체에 의해 생성된 가속력을 액추에이터 내의 피스톤 및 로드를 통하여 시험대상차량 또는 조건에 맞는 시험대상물질에 가함으로써, 차량의 실제 사고 시와 동일한 환경에서 충돌실험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미국등록특허 제8453489호("Method and System for Concluding Crash Tests, 등록일 2013.06.04)에 압력유체에 의한 피스톤과 로드를 작동시켜 대상물체에 충돌을 가하는 충돌테스트 수행 방법 및 시스템이 제시되었다.
상기에 기재된 충돌테스트 및 일반적인 충돌테스트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는 충돌테스트 시, 액추에이터의 오동작으로 발생되는 피스톤과 액추에이터 몸체간의 내부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일반적인 충격흡수장치에는 탄성을 가지는 충격흡수장치를 액추에이터 내부에 구비하는 것인데, 이는 피스톤과 로드가 빠른 속도로 스트로크 방향으로 진행하는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충격을 흡수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이 액추에이터 및 충격흡수장치에 전해져 파손의 우려가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오동작에 의한 충격을 크러쉬 튜브(crush tube) 등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크러쉬 튜브는 1회성 소모품으로 충격에 의해 찌그러진 크러쉬 튜브는 교체해야 하며, 이는 매회 교환 시 추가비용 및 정비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8453489호("Method and System for Concluding Crash Tests, 등록일 2013.06.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돌시험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를 피스톤과 로드를 포함하는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로 높은 압력의 공압(350bar)로 공급하는 챔버 및 상기 동작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일반적인 유압실린더 및 공압실린더에 비해 동작부의 스트로크방향으로의 이동속도를 높일 수 있는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충돌시험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 내부에 유압쿠션방식의 쿠션부를 구비함으로써, 동작부의 오동작 시에도 동작부의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유압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금전적, 시간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동작부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선택되는 위치에 형성하고, 서보밸브(srrvo-valve)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상기 동작부의 제동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패드를 로드에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동작부의 이동을 제동함으로써, 유압으로 제동하는 방법에 비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상기 동작부의 제어를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동작부의 피스톤을 공기역학 베어링(aero dynamic bearing)으로 형성함으로써, 동작부의 스트로크방향으로의 이동에도 직접적인 마찰이 발생하지 않아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내마모성이 증대되는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는 몸체와 수단을 포함하는 스트로크 구동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몸체 내부의 스트로크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어 상기 몸체 일측방향으로 돌출하는 로드를 포함하는 동작부; 상기 몸체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동작부로 공급하는 챔버; 및 상기 몸체 일측에 상기 중공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동작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동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패드; 상기 제어패드 일측에 형성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제어패드를 고정시키는 고정제어부; 상기 제어패드 타측에 형성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제어패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유압을 공급하여 제어하는 제동해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동해제제어부는 상기 고정제어부보다 큰 유압을 상기 동작제어부로 공급하여 상기 제어패드를 상기 로드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 상기 고정제어부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에 의해 상기 제어패드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동해제제어부는 상기 고정제어부의 탄성보다 큰 유압을 상기 동작제어부로 공급하여 상기 제어패드를 상기 로드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는 상기 피스톤의 스트로크 전진방향 끝단에 상기 중공으로 공압을 공급하는 후진공압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는 상기 피스톤의 스트로크방향의 상기 제어부 전면에 상기 피스톤의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쿠션부는 상기 피스톤의 스트로크방향으로의 전진을 막는 쿠션피스톤); 및 상기 쿠션피스톤과 연결되어 형성되며, 유압을 외부로 배출하는 쿠션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피스톤은 에어로 다이나믹 베어링(aero dynamic bea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에어로 다이나믹 베어링은 상기 로드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베어링중공을 포함하는 베어링 몸체; 상기 베어링몸체 외부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에어홈; 상기 베어링몸체 일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에어공; 및 상기 에어공으로 유입되는 공압을 상기 에어홈으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동작부는 상기 로드 일단에 가속도측정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는 충돌시험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를 피스톤과 로드를 포함하는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로 높은 압력의 공압(350bar)을 공급하는 챔버 및 상기 동작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일반적인 유압실린더 및 공기압실린더에 비해 동작부의 스트로크 방향으로의 이동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는 충돌시험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 내부에 유압쿠션방식의 쿠션부를 구비함으로써, 동작부의 오동작 시에도 동작부의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유압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금전적, 시간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는 상기 동작부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선택되는 위치에 구비하고, 서보밸브(servo-valve)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빠른 속도로 이동되는 상기 동작부의 제동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패드를 로드에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동작부의 이동을 제동함으로써, 유압으로 제동하는 방법에 비해 빠른 속도로 이동되는 상기 동작부의 제동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는 상기 동작부의 피스톤을 공기역학 베어링(aero dynamic bearing)으로 형성함으로써, 동작부의 스트로크방향으로의 이동에도 직접적인 마찰이 발생하지 않아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내마모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를 단면도로 나타낸 또 다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의 구동회로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또 다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또 다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를 단면도로 나타낸 또 다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의 구동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또 다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또 다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는 차량의 충돌시험에 이용되는 액추에이터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는 몸체(100)와 수단을 포함하는 스트로크(storke) 구동 액추에이터로서, 크게 동작부(200), 챔버(300),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부(200)는 상기 몸체(100) 내부에 스트로크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110)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피스톤(210)과 상기 피스톤(210)과 연결되어 상기 몸체(100) 일측방향으로 돌출하는 로드(220)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부(200)는 일반적인 액추에이터 또는 실린더 등에 구비되는 피스톤 및 로드와 유사하므로 구조적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챔버(300)는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압축공기공급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10)로부터 공급받은 압축공기를 이용한 공압을 상기 동작부(200)의 피스톤(210) 및 로드(220)가 스트로크방향으로의 운동을 가능하도록 상기 동작부(200)로 공압을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동작부(200)의 이동을 유압(oil pressure)과 고정제어부(420)를 이용하여 제어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 일측에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는 상기 챔버(300)와 동작부(200) 및 제어부(40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동작부(200)와 상기 챔버(30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상기 챔버(300)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의 전달길이가 짧아지므로, 종래의 액추에이터에 비해 높은 공압(350bar)을 이동거리에 따른 손실 없이 상기 동작부(200)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높은 공압을 상기 동작부(200)로 공급함으로써, 종래의 액추에이터에 비해 빠른 속도로 상기 동작부(200)를 스크로크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차량의 충돌시험을 위해서는 빠른 속도로 상기 동작부(200)의 상기 피스톤(210)과 로드(220)가 스크로크방향으로 이동해야 하는데,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상기 동작부(200)와 챔버(300) 및 제어부(400)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실제 차량의 충돌과 유사한 시험조건을 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는 상기 동작부(200)가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동작부(20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는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상기 동작부(2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유압 또는 공압으로만 제동시키는 종래의 액추에이터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제어부(400)는 크게 제어패드(410), 고정제어부(420), 동작제어부(430) 및 제동제어해제부(440)로 구성되며, 유압으로 제어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40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패드(410)는 상기 로드(220)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동작부(200)의 이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차량의 브레이크패드(브레이크디스크)의 제동원리와 유사한 원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패드(410)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드(220)를 접촉하여 제동하거나, 상기 로드(220)를 해방시키는 것이 권장되나, 상기 쐐기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제어패드(410)는 상기 로드 외주면에 3개 내지 5개로 구비되어 접촉하는 것이 권장되나, 상기 제어패드(410)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제어패드(410)는 상기 제어패드(410)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제어부(420)에 의해 상기 로드(220)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제어부(420)는 상기 제어패드(410)로 하여금 상기 로드(220)와 접촉되어 상기 로드(220)를 구속시키기 위해, 상기 제동제어해제부(440)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상기 유압으로 상기 제어패드(410)로 하여금 상기 로드(220)의 운동을 구속시키도록 상기 제어패드(4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동작제어부(430)는 상기 제어패드(410)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제어부(420)와 대향되는 위치인 상기 제어패드(410)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동작제어부(430) 또한 유압에 의해 상기 제어패드(4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때, 상기 제어패드(410)의 동작은 상기 제어패드(410)가 상기 로드(220)와 접촉되어 제동시키거나 상기 로드(220)와 해방되어 상기 로드(220)를 제동하지 않는 동작을 말한다.
상기 제동해제제어부(440)는 상기 고정제어부(420) 및 동작제어부(430)로 유압을 공급하거나 중단함으로써, 상기 제어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동해제제어부(440)는 서보밸브(servo valve) 등으로 이루어져 자동제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권장되나, 상기의 서보밸브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동해제제어부(3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어부(3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동작부(200)가 제동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동작부(200)가 제동되지 않고, 스트로크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패드(410)는 상기 제동해제제어부(44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한 상기 고정제어부(420)와 동작제어부(430)에 의해 양쪽에서 고정되며, 고정된 제어패드(410)는 상기 로드(220)와 접촉되어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동작부(200)의 이동을 제동하게 된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동작부(200)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동해제제어부(440)가 상기 고정제어부(420)보다 많은 유압을 상기 동작제어부(430)로 공급하게 되며, 상기 동작제어부(430)는 유압에 의해 상기 제어패드(410)를 상기 고정제어부(420) 방향으로 밀게 됨으로써, 상기 제어패드(410)로 하여금 상기 로드(220)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상기 로드(220)를 해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동해제제어부(440)는 상기 고정제어부(420)의 유압보다 큰 유압을 상기 동작제어부(430)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어패드(410)를 상기 로드(220)로부터 탈락시켜 상기 로드(220)를 해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로드(220)를 상기 제어패드(410)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해서, 상기 고정제어부(420)에는 상기 제동해제제어부(440)가 유압을 공급하지 않거나 상기 동작제어부(430)로 더 큰 유압을 공급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동작 후, 상기 동작부(200)가 챔버(300)에서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스트로크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상기 동작부(200)가 이동하고자 하는 거리만큼 이동되게 되면, 상기 제동제어해제부(440)가 상기 동작제어부로(230) 공급된 유압을 회수함으로써, 유압의 평형 또는 상기 고정제어부(420)로 공급되는 유압이 많아지게 되며, 이는 상기 동작제어부(430)와 고정제어부(420)의 유압에 의한 힘에 의해 상기 제어패드(410)가 상기 로드(220)와 접촉하여 상기 로드(220)를 제동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는 상기 동작부(200)의 스크로크 전진방향 끝단에 상기 중공(110)으로 공압을 공급하는 후진공압공급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동작부(200)를 제동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동작부(200)는 상기 챔버(300)의 공압에 의해 스트로크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상기 동작부(200)는 일정거리 전진 후 제동되며, 상기 동작부(200)의 스트로크방향으로 후진하게 될 때에는,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동작부(200)를 제동하지 않고, 상기 후진공압공급부(500)로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상기 동작부(200)는 스트로크방향으로 후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후진공압공급부(500)로 공압을 공급하는 후진공압저장부(2)를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동작부(200)의 스트로크방향으로의 후진방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는 상기 제동해제제어부(440)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부(1)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 유압공급부(1)는 상기 제동해제제어부(440)로의 빠른 유압공급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측면 또는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권장되지만, 액추에이터가 설치되는 장소 및 환경에 따라 따로 구비하여 배관으로 연결하여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유압공급부(1)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공압 챔버 일체형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는 상기 챔버(200) 상부 또는 측면에 상기 챔버(200) 내의 공압을 적절수준으로 유지시키는 공압안전부(3)를 구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압안전부(3)는 안전밸브에 의해 상기 챔버(300) 내의 공압을 적절한 수준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장치의 파손의 우려가 있을 과한 압력 또는 상기 동작부(200)의 작동을 할 수 없는 정도의 작은 압력을 예방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액추에이터의 운용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는 상기 피스톤(210)의 스트로크방향의 상기 제어부(400) 전면에 피스톤(210)의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쿠션부(600)는 상기 피스톤(210)의 스트로크방향으로의 전진을 막는 쿠션피스톤(610)과 상기 쿠션피스톤(610)과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피스톤(210)과 상기 쿠션피스톤(610)의 충격 시,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유압을 외부로 배출하는 쿠션밸브(6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쿠션부(600)는 상기 동작부(200)의 스트로크방향으로의 이동 시, 관성력에 의해 상기 동작부(200)의 제동거리가 길어지거나, 오동작에 의해 상기 피스톤(200)이 상기 몸체(100) 일부와 충돌 시,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쿠션부(600)는 상기 피스톤(210)과의 충격 시,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유압을 상기에 기재된 쿠션밸브(62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피스톤(210)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한 유압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는 1회성 정도에 그치는 종래의 쿠션장치와 달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금전적, 시간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상기 쿠션밸브(62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유압은 상기에 기재된 유압공급부(1)로 다시 회수되거나 다른 장치에 의해 회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회수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쿠션피스톤(610)은 피스톤과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신축성이 있는 재질이 권장되며, 충격흡수를 위한 쿠션피스톤(610)의 재질에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제1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제어부(40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제어부(420)가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압이 아닌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제어패드(4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는 상기 제동해제제어부(440)가 상기 고정제어부(420)의 탄성보다 큰 유압을 상기 동작제어부(430)로 공급하여 상기 제어패드(410)를 상기 로드(200)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패드(410)는 스프링 형상의 고정제어부(420)의 탄성력과 타측에 고정되는 동작제어부(430)에 의해 상기 로드(220)와 접촉되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동작부(200)의 이동을 제동하게 된다.
반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동작부(20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동해제제어부(440)가 상기 동작제어부(430)로 유압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동작제어부(430)는 유압에 의해 상기 제어패드(410)를 상기 스프링 형상의 고정제어부(420) 방향으로 밀게됨으로써, 상기 제동패드(410)로 하여금 상기 로드(220)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상기 로드(220)를 해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동해제제어부(440)는 상기 스프링 형상의 고정제어부(420)의 탄성보다 큰 유압을 상기 동작제어부(430)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어패드(410)를 상기 로드(220)로부터 탈락하게 하여 상기 로드(220)를 해방시키게 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상기 고정제어부(420)는 상기에 기재된 스프링형상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제어패드(410)를 고정시킬 정도의 힘과 상기 동작제어부(430)에 유압이 가해져 상기 제어패드(410)를 해방시킬 정도로 탄성을 가지고 있는 재질이라면 상기의 스프링재질 또는 스프링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는 상기 피스톤(2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링은 상기 피스톤(210)의 전면과 후면을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몸체(100) 내부의 중공(110)의 밀폐력을 높여 동작부(200)의 이동을 위해 공급되는 공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제어부(400)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0)의 고정제어부(420)와 동작제어부(430)는 서로 위치가 변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충돌시험 환경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형성가능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형상으로 고정제어부(420)를 형성 시, 상기 스프링 형상의 고정제어부(420)를 상기 몸체(100) 외부방향 가까이 구비함으로써, 스프링 형상의 고정제어부(420)의 교체 또는 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제3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상기 피스톤(210)은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 다이나믹 베어링(aero dynamic bear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로 다이나믹 베어링은 상기 로드(22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베어링중공(212)을 포함하는 베어링몸체(211)와 상기 베어링몸체(211)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에어홈(213)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베어링몸체(211) 일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에어공(214)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공(214)으로 유입되는 공압을 상기 에어홈(213)으로 안내하는 안내관(215)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피스톤(210)을 에어로 다이나믹 베어링으로 형성함으로써, 피스톤(210) 외부면의 에어홈(213)에 공기역학적인 베어링 막이 형성되고, 이는 피스톤(210)과 상기 몸체(100)와의 직접적인 마찰이 없는 방식으로 운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피스톤(210)이 상기 몸체(100)와 직접적인 마찰이 없는 방식으로 스트로크방향으로 이동 가능함으로써, 마찰력이 감소하여 수명이 증가되고, 내마모성에 큰 장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마찰력이 감소되어 상기 동작부(200)의 고속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제 4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는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 동작부(200). 챔버(30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권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챔버(300)는 충돌 시험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크기 및 구조에 따라 상기 챔버(300)를 분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챔버(300)를 상기 몸체(100) 상부 또는 하부 및 비교적 원거리에 설치하여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뮬레이션 하기 위한 시험조건 및 대상에 따라 상기 챔버(300)를 1개 이상으로 설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챔버(300)와 몸체(100)는 유연한 재질의 배관으로 연결되는 것이 권장되지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상기 챔버(300)를 따로 분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를 형성할 경우, 장착 위치의 제약에서 자유로운 장점이 있으며, 하나 이상의 다수로 챔버(30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챔버(300)의 직경을 줄일 수 있어 상기 챔버(300)의 설치 높이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에 기재된 챔버(300)의 형성 위치 및 형성되는 수는 시험조건 및 대상차량의 특징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는 도 2 내지 도 3 및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220) 일단에 가속도계측센서(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속도계측센서(700)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의 동작부(200)의 동작 속도를 계측할 수 있어, 정확한 충돌테스트 뿐만 아니라, 액추에이터의 운용에 있어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동작부(200)의 충돌테스트에 방해만 받지 않는다면, 상기에 기재된 가속도계측센서(700) 외에 충돌테스트에 필요한 센서를 부착할 수 있으므로, 상기 로드(220) 일단에 구비되는 부착물로 상기에 기재된 가속도계측센서(700)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부착물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1000 :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100 : 몸체
110 : 중공
200 : 동작부
210 : 피스톤 211 : 베어링몸체
212 : 베어링중공 213 : 에어홈
214 : 에어공 215 : 안내관
220 : 로드
300 : 챔버
310 : 압축공기공급부
400 : 제어부
410 : 제어패드
420 : 고정제어부
430 : 동작제어부
440 : 제동해제제어부
500 : 후진공압공급부
600 : 쿠션부
610 : 쿠션피스톤
620 : 쿠션밸브
700 : 가속도계측센서
1 : 유압공급부
2 : 후진공압저장부
3 : 공압안전부

Claims (11)

  1. 몸체(100)와 수단을 포함하는 스트로크 구동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몸체(100) 내부의 스트로크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110)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피스톤(210)과, 상기 피스톤(210)과 연결되어 상기 몸체(100) 일측방향으로 돌출하는 로드(220)를 포함하는 동작부(200);
    상기 몸체(100)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동작부(200)로 공압을 공급하는 챔버(300); 및
    상기 몸체(100) 일측에 상기 중공(110)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동작부(20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로드(220)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동작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패드(410);
    상기 제어패드(410) 일측에 형성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제어패드(410)를 고정시키는 고정제어부(420);
    상기 제어패드(410) 타측에 형성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제어패드(4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430); 및
    상기 제어부(400)의 동작을 유압을 공급하여 제어하는 제동해제제어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해제제어부(440)는
    상기 고정제어부(420)보다 큰 유압을 상기 동작제어부(430)로 공급하여 상기 제어패드(410)를 상기 로드(220)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제어부(420)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에 의해 상기 제어패드(41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해제제어부(440)는
    상기 고정제어부(420)의 탄성보다 큰 유압을 상기 동작제어부(430)로 공급하여 상기 제어패드(410)를 상기 로드(220)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는
    상기 피스톤(210)의 스트로크 전진방향 끝단에 상기 중공(110)으로 공압을 공급하는 후진공압공급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1000)는
    상기 피스톤(210)의 스트로크방향의 상기 제어부(400) 전면에 상기 피스톤(210)의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600)는
    상기 피스톤(210)의 스트로크방향으로의 전진을 막는 쿠션피스톤(610); 및
    상기 쿠션피스톤(610)과 연결되어 형성되며, 유압을 외부로 배출하는 쿠션밸브(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10)은
    상기 피스톤(2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10)은
    에어로 다이나믹 베어링(aero dynamic bea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에어로 다이나믹 베어링은
    상기 로드(22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베어링중공(212)을 포함하는 베어링 몸체(211);
    상기 베어링몸체(211) 외부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에어홈(213);
    상기 베어링몸체(211) 일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에어공(214); 및
    상기 에어공(214)으로 유입되는 공압을 상기 에어홈(213)으로 안내하는 안내관(2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200)는
    상기 로드(220) 일단에 가속도측정센서(7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KR1020140102516A 2014-08-08 2014-08-08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KR101665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516A KR101665965B1 (ko) 2014-08-08 2014-08-08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JP2014237003A JP6031492B2 (ja) 2014-08-08 2014-11-21 衝突試験用ハイブリッドサーボアクチュエータ
US14/719,025 US9732772B2 (en) 2014-08-08 2015-05-21 Hybrid servo actuator for crash t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516A KR101665965B1 (ko) 2014-08-08 2014-08-08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220A true KR20160018220A (ko) 2016-02-17
KR101665965B1 KR101665965B1 (ko) 2016-10-14

Family

ID=5526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516A KR101665965B1 (ko) 2014-08-08 2014-08-08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32772B2 (ko)
JP (1) JP6031492B2 (ko)
KR (1) KR1016659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058A (ko) * 2016-12-05 2018-06-14 코리아테스팅 주식회사 제어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KR101875384B1 (ko) * 2017-11-30 2018-07-06 코리아테스팅 주식회사 고성능 하이브리드 서보 엑추에이터
WO2019107604A1 (ko) * 2017-11-30 2019-06-06 코리아테스팅 주식회사 소화구 자동 탑재 타겟 지정형 화재 진압 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1387B (zh) * 2018-11-22 2020-07-07 南京理工大学 一种带冲击试验功能的电动缸伺服系统及控制方法
CN110470551B (zh) * 2019-09-04 2022-06-21 湖北文理学院 一种shpb试验装置及其发射装置和控制方法
CN111811343B (zh) * 2020-07-17 2021-08-24 中国人民武装警察部队工程大学 防暴动能弹发射模拟系统及控制方法
CN113333262A (zh) * 2021-06-23 2021-09-03 昆山浩测仪器有限公司 一种用于高频随机感应式振动系统的气动激振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016Y1 (ko) * 1989-07-27 1991-11-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공압실린더의 피스턴 시일장치
JPH07146214A (ja) * 1993-11-22 1995-06-06 Takachiho Kogyo Kk 油圧ブレーカー本体のテスト装置
JP2005024010A (ja) * 2003-07-02 2005-01-27 Nhk Spring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JP2006208094A (ja) * 2005-01-26 2006-08-10 Mitsubishi Heavy Ind Ltd 衝撃試験装置
US8453489B2 (en) 2007-03-15 2013-06-04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crash test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18495C3 (de) 1972-04-17 1983-03-0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Kontaktfedersatz
US3823600A (en) * 1973-04-09 1974-07-16 Us Air Force Pneumatic linear accelerator
JPS5660804U (ko) * 1979-10-16 1981-05-23
JPS6196203A (ja) * 1984-10-15 1986-05-14 Kayaba Ind Co Ltd 油圧アクチエ−タのクツシヨン制御装置
DE3802500C1 (ko) * 1988-01-28 1989-06-22 Roboflex Ag, Weinfelden, Ch
JPH06196203A (ja) 1992-06-04 1994-07-15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バイポーラ式密閉形蓄電池
JPH10197394A (ja) * 1997-01-10 1998-07-31 Mitsubishi Heavy Ind Ltd 液圧駆動式振動試験機
US6039151A (en) * 1997-04-25 2000-03-21 Inventio Ag Backup apparatus for a hydraulic elevator brake control
US5872321A (en) * 1997-12-08 1999-02-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ide impact injury test apparatus
US5929348A (en) * 1998-01-21 1999-07-27 Autoliv Asp, Inc. Micro sled impact test device
JP2001271801A (ja) * 2000-03-24 2001-10-05 Sumitomo Heavy Ind Ltd 空気圧アクチュエータ用サーボ回路
US6675631B1 (en) * 2000-05-09 2004-01-13 Dsd Dr. Steffan Datentechnik Ges. M.B.H. Method for conducting crash tests using a carriage and corresponding device
ES2247901B1 (es) * 2003-12-31 2007-04-01 Airbus España, S.L. Maquina para aplicar impactos de baja velocidad a estructuras mecanicas.
US7089777B2 (en) * 2004-08-18 2006-08-15 Daimlerchrysler Corporation High speed pneumatic accelerator
DE202005012077U1 (de) * 2005-08-01 2006-01-19 Dsd Dr. Steffan Datentechnik Gmbh Vorrichtung zum Einbringen zusätzlicher Kräfte bei der Durchführung von Crash-Versuchen und dazugehöriger Versuchsaufbau
US8210024B2 (en) * 2009-10-16 2012-07-03 The Boeing Company Damage impactor
KR101371454B1 (ko) * 2011-12-06 2014-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동 장치
CN103308267A (zh) * 2012-03-16 2013-09-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冲击测试装置
DE102012206744B4 (de) * 2012-04-24 2014-10-09 Illinois Tool Works, Inc. Prüfeinrichtung zur Kraftfahrzeug-Crashsimulation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Prüfeinrichtung
KR101538997B1 (ko) * 2013-12-03 2015-07-24 국방과학연구소 3단 유압식 속도발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9726204B2 (en) * 2013-12-09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uid pressure actuator
US9719901B2 (en) * 2014-04-22 2017-08-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ua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Impact tester device
KR101578801B1 (ko) * 2014-08-08 2015-12-18 코리아테스팅 주식회사 침입 시험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016Y1 (ko) * 1989-07-27 1991-11-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공압실린더의 피스턴 시일장치
JPH07146214A (ja) * 1993-11-22 1995-06-06 Takachiho Kogyo Kk 油圧ブレーカー本体のテスト装置
JP2005024010A (ja) * 2003-07-02 2005-01-27 Nhk Spring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JP2006208094A (ja) * 2005-01-26 2006-08-10 Mitsubishi Heavy Ind Ltd 衝撃試験装置
US8453489B2 (en) 2007-03-15 2013-06-04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crash tes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058A (ko) * 2016-12-05 2018-06-14 코리아테스팅 주식회사 제어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KR101875384B1 (ko) * 2017-11-30 2018-07-06 코리아테스팅 주식회사 고성능 하이브리드 서보 엑추에이터
WO2019107604A1 (ko) * 2017-11-30 2019-06-06 코리아테스팅 주식회사 소화구 자동 탑재 타겟 지정형 화재 진압 로봇
WO2019107617A1 (ko) * 2017-11-30 2019-06-06 코리아테스팅 주식회사 고성능 하이브리드 서보 엑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41067A1 (en) 2016-02-11
JP2016038372A (ja) 2016-03-22
KR101665965B1 (ko) 2016-10-14
US9732772B2 (en) 2017-08-15
JP6031492B2 (ja)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965B1 (ko)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CN102192827B (zh) 碰撞试验装置及碰撞试验方法
CN102597733B (zh) 用于测试测试本体的系统
KR20110137715A (ko)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및 그 방법과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용 제어 장치
US20150068275A1 (en) Test device simulating motor vehicle crashes and method for operating a test device
JP2011232118A (ja) 台車試験装置
KR101642461B1 (ko) 공압 챔버 일체형 충돌시험용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CN103335040A (zh) 一种铁道车辆用单元制动缸
KR20150045733A (ko)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자동간극조정수단을 시험하는 장치
US9656525B2 (en) Road finishing machine with pushing device
KR10195708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를 위한 브레이크 장치
KR20070024876A (ko) 브레이크식 충돌재현장치
JP2010023743A (ja) 鉄道車両
KR101575332B1 (ko) 피칭 및 요잉 복합 안전 장치형 다이나믹 요잉 시뮬레이터
KR101919549B1 (ko) 제어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KR20180064061A (ko) 기계적인 트리거 기능을 이용한 응답성능 개선 하이브리드 서보 액추에이터
JP5404897B2 (ja) 鉄道車両
JP5865985B1 (ja) 侵入試験シミューレータ
US3779396A (en) Hydraulic buffers
JPS5934973B2 (ja) 衝撃摩耗試験機のブレ−キ材押付け装置
CN111911566A (zh) 一种水下运动平台的减速制动装置
KR20160142930A (ko) 제동장치
JP5080421B2 (ja) 車両用キャリパブレーキ装置
CN106438781B (zh) 气体制动装置
KR101875384B1 (ko) 고성능 하이브리드 서보 엑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