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894A - 다기능 간판 프레임 - Google Patents

다기능 간판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894A
KR20160017894A KR1020140101446A KR20140101446A KR20160017894A KR 20160017894 A KR20160017894 A KR 20160017894A KR 1020140101446 A KR1020140101446 A KR 1020140101446A KR 20140101446 A KR20140101446 A KR 20140101446A KR 20160017894 A KR20160017894 A KR 20160017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present
plate
sign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3389B1 (ko
Inventor
이경연
Original Assignee
이경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연 filed Critical 이경연
Priority to KR1020140101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3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17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3Frames or housings to hol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7Brackets to grip the sign boa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간판을 받쳐주어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간판용 받침 프레임(또는 간판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간편하게 조립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졌으며 또한 간편하게 조립결합할 수 있음에도 견고성과 안정성이 매우 높은 간판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프레임(100), 좌면프레임(200), 우면프레임(300), 전측면프레임(400), 후측면프레임(500), 하면판넬(700)을 포함하는 다기능 간판 프레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넬고정부(600)가 더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간판 프레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좌면프레임(200)은 좌면판(210), 주축부(220), 일측결합부(230), 견고지지부(240), 하면받침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우면프레임(300)은 우면판(310), 우주축부(320), 타측결합부(330), 우견고지지부(340), 우하면받침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간판 프레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좌면프레임(200)에 나사결합부(27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우면프레임(200)에 우나사결합부(37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간판 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간판 프레임{a multi-functional signboard frame}
본 발명은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간판을 받쳐주어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간판용 받침 프레임(또는 간판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간편하게 조립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졌으며 또한 간편하게 조립결합할 수 있음에도 견고성과 안정성이 매우 높은 간판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외부에 간판을 설치할 때에는 건물 벽면의 손상을 줄여주기 위해 건물 벽면에 받침 프레임을 설치하고, 받침 프레임에 간판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도심의 무질서한 제 각각의 간판들을 통일화시켜 깔끔한 이미지가 되도록 하는 차원에서 각 도시마다 간판들을 허용 범위 내에서 규격화하고 있으며, 이 규격화에 받침 프레임도 포함되도록 하는 도시들이 많다.
간판을 건물 외부에 설치하기 위한 받침 프레임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0941918호 "입체문자간판용 신형 받침 프레임(이하 선행기술)"이 개시되었다.
상기 등록특허 제0941918호는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전방을 덮으며 연결하는 전면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전면프레임을 외벽과 내벽으로 이루어진 중공형이고,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전방에는 각각 끼움부가 돌출형성되고 전면프레임의 상하 양측에는 상기 끼움부가 삽입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10-1192822호 "간판용 받침 프레임(이하 선행기술)"이 개시되었다.
상기 등록특허 10-1192822호는 "외면 전방에 단턱홈과, 상기 단턱홈에 연결되는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어있는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 양측에 각각 상기 단턱홈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출부와, 상기 끼움돌출부 단부에서 내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전방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간판용 받침 프레임"을 제공하였다.
상기 선행기술 등록특허 제0941918호는 피스에 의해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이 전면프레임에 추후적으로 고정결합되는 것을 별론으로 하면,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이 전면프레임과 끼움부와 끼움홈에 의해 단순히 암수결합되어 이들 간의 결합력이 약하고, 피스로 이들을 고정결합시킬 때에 상하부프레임을 전면프레임 측으로 밀어 끼움부가 끼움홈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피스를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조립된 간판용 받침 프레임의 견고성이 떨어지고 내구성이 떨어져서 안정성 및 안전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 및 종래기술의 문제점인 간판용 받침 프레임을 결합하고 조립하는 과정에서의 작업의 번거로움을 해결하는 다기능 간판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된 간판용 받침 프레임이 견고성 및 내구성이 높아서 안정성 및 안전성이 현저히 높은 다기능 간판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면프레임(100), 좌면프레임(200), 우면프레임(300), 전측면프레임(400), 후측면프레임(500), 하면판넬(700)을 포함하는 다기능 간판 프레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넬고정부(600)가 더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간판 프레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좌면프레임(200)은 좌면판(210), 주축부(220), 일측결합부(230), 견고지지부(240), 하면받침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우면프레임(300)은 우면판(310), 우주축부(320), 타측결합부(330), 우견고지지부(340), 우하면받침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간판 프레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좌면프레임(200)에 나사결합부(27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우면프레임(200)에 우나사결합부(37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간판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간판 프레임은 간판용 받침 프레임을 결합하고 조립하는 과정에서의 작업의 번거로움을 해결하는 작용 효과가 현저히 높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간판 프레임은 견고성 및 내구성이 높아서 안정성 및 안전성이 현저히 높은 효과가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판 프레임의 개념 구조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간판 프레임의 분리 구조도.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간판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 구조도.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간판 프레임의 입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프레임의 구조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프레임의 입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면프레임의 구조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좌면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좌면프레임의 입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면프레임의 구조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우면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우면프레임의 입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연결부의 구조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연결부의 입체 구조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우고정연결부의 구조도.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우고정연결부의 입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넬고정부의 입체 구조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판넬고정부의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측면프레임의 구조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측면프레임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후측면프레임의 구조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측면프레임의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간판 프레임의 결합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연결부(우고정연결부)의 결합 작용을 나타내는 간판 프레임의 결합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면프레임(100), 좌면프레임(200), 우면프레임(300), 전측면프레임(400), 후측면프레임(500), 하면판넬(700)을 포함하는 다기능 간판 프레임을 제공한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전면프레임(100)은 전면판(110), 좌결합부(120), 우결합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좌면프레임(200)은 좌면판(210), 주축부(220), 일측결합부(230), 견고지지부(240), 하면받침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면프레임(300)은 우면판(310), 우주축부(320), 타측결합부(330), 우견고지지부(340), 우하면받침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9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은 전면프레임(100), 좌면프레임(200), 우면프레임(300), 전측면프레임(400), 후측면프레임(500), 하면판넬(700)이 서로 조립되고 결합되어 간판 프레임을 형성하는 점이 기술적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한 전면프레임에 좌측에 좌면프레임이 조립 결합되고, 우측에 우면프레임이 조립 결합된 구조의 측면부에 측면프레임이 조립결합되어 간판용 받침 프레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전면프레임(100)은 투명하지 않은 재질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통상의 간판의 내용이 부착되는 면을 제공하는 기능 및 구조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전면프레임(100)은 전면판(110), 좌결합부(120), 우결합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전면판(110)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장방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좌결합부(120)는 상기한 좌면프레임(200)과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b에서 보는 것처럼 좌결합부는 좌방향(좌면프레임과 결합되는 방향)의 개방면(120), ㄱ자 결합부(122), 삽입턱 결합부(12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ㄱ자 결합부(122)는 상기한 삽입턱 결합부(123)와 함께 한 면이 개방된 사각관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ㄱ자 결합부(122)는 하기할 좌면프레임의 일측결합부의 1결합판(231)과 상호 지지 작용하여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삽입턱 결합부(123)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돌출된 부분이 턱처럼 형성되어 있고 하기할 좌면프레임의 일측결합부의 2결합판 및 3결합판에 끼워져서 결합되게 된다.
본 발명의 좌면프레임(200)은 좌면판(210), 주축부(220), 일측결합부(230), 견고지지부(240), 하면받침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좌면판(210)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좌면프레임의 주축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좌면프레임(200)의 주축부(220)는 좌면프레임(200)이 간판의 하나의 구성으로서 기둥의 긴능을 수행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통상 4각형 관의 형상이나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지탱하는 힘을 보유하게 된다.
도 1c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은 상기한 주축부(220)에 결합구(221)가 형성될 수 있어 추후 측면프레임을 나사, 리벳, 피스 등과 용이하게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주축부(220)의 각을 형성하는 한 모서리에 내부 방향으로 결합구(221)가 형성될 수 있어 측면프레임과 좌면프레임을 강하게 결합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한 일측결합부(230)는 전면프레임의 좌결합부와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형상 또는 구조를 의미한다.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일측결합부(230)는 1결합판(231), 2결합판(232), 3결합판(2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1결합판(231)은 일정한 폭을 형성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한 전면프레임(100)의 좌결합부(120)의 ㄱ자 결합부와 상호 지지 작용하여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2결합판 및 3결합판은 일정한 폭을 형성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호 결합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한 전면프레임(100)의 좌결합부(120)의 삽입턱 결합부(123)가 이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좌면프레임의 일측결합부와 전면프레임의 좌결합부가 결합되는 경우 3결합판(233)과 삽입턱결합부(123)가 결합된 부분에서 공간부(124)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3결합판(233)의 결합방향 길이가 삽입턱결합부(123)의 결합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이와 같은 공간부(124)는 3~10mm가 바람직하며, 전면프레임의 광고 기능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좌면프레임(200)에 견고지지부(240)가 형성되어 있는 점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간판 프레임은 이와 같은 좌면프레임에 견고지지부가 형성되지 않아 프레임이 결합된 간판 전체의 견고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견고하게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보조받침을 이용하여 보조하였고 그 작업도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좌면 프레임(200)에 견고지지부(240)가 형성되어 이러한 견고지지부를 상기한 좌면프레임의 일측결합부(230) 및 전면프레임의 좌결합부(120)에 지지 고정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견고지지부(240)는 좌면프레임에서 일정한 폭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꺾임 각을 형성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견고지지부(240)는 부착부(241)와 고정결합부(24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부착부(241)는 좌면프레임의 좌면판에 부착되고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결합부(242)는 하기할 고정연결부(28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5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상기한 고정연결부(280)는 상기한 견고지지부(240)와 좌면프레임의 일측결합부(230) 및 전면프레임의 좌결합부(120)를 연결하고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도구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도 5b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고정연결부(280)는 1연결부(281), 2연결부(28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1연결부(281)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폭을 형성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견고지지부(240)의 부착부(241) 또는 고정결합부(242)와 나사, 리벳, 피스 등과 같은 결합수단으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2연결부(282)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폭을 형성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좌면프레임의 일측결합부(230) 및 전면프레임의 좌결합부(120)에 접촉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나사, 리벳, 피스 등과 같은 결합수단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은 견고지지부(240) 및 고정연결부(280)의 기능으로 전면프레임과 좌면프레임을 단단하게 지지하고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더불어 간판 프레임을 제작하는 과정에서도 견고지지부(240) 및 고정연결부(280)가 형성되어 있어 용이하게 조립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작업의 편이성을 높이는 효과가 창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좌면프레임(200)에 나사결합부(270)가 형성되어 있을 수가 있다.
도 3b에서 보는 것처럼 좌면프레임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부(270)가 형성되어 있어 측면프레임(400)이 조립되어 결합하는 경우 좌면프레임(200)과 측면프레임(400)을 함께 나사, 리벳, 피스 등과 같은 결합수단으로 결합되게 된다.
상기한 나사결합부(270)는 지지부(271) 및 결합구(27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지지부(271)는 일정한 폭을형성한 판형상으로 결합구와 연결되어 결합구를 고정하며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결합구(272)는 나사, 리벳, 피스 등이 결합되는 구멍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결합수단이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좌면프레임(200)에 하면받침부(250)가 구성되어 있어 추후 하면판넬(700)이 안착되어 고정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면받침부(250)는 일정한 폭을 형성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면판넬이 안착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면받침부(250)는 하면판넬(700)이 안착되게 되고 그 위에 하기할 판넬고정부(600)가 덮어서 하면판넬과 하면받침부를 결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좌면프레임(200)에 말단에 하면지지부(260)가 형성되어 있어 하면판넬(700)이 안착되는 경우 지지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면지지부(260)는 좌면판(210)의 연장으로 판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하면판넬(700)을 걸어서 좌면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게 하는 기능 및 하면판넬(700)을 지지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판넬고정부(600)는 상기한 하면판넬(700)을 좌면프레임(200) 및 우면프레임(300)에 안착시키고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도구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도 6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판넬고정부(600)는 단면이 T 자형의 구조 또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판넬고정부(600)는 고정지지부(610) 및 덮개고정부(620)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정지지부와 덮개고정부가 T 자형의 구조로 결합된 구조 및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고정지지부(610)는 일정한 폭을 형성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넬고정부(600)가 하면지지부(260)에 잘 지지되며 고정하게 하는 기능 및 하면판넬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덮개고정부(620)는 일정한 폭을 형성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에서 지지 고정된 하면판넬(700)을 덮어서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추후에 덮개고정부와 하면판넬을 나사, 리벳, 피스 등으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하면판넬(700)은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판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좋다.
따라서 하면판넬은 고분자 물질 수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좋으며 아크릴 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기능으로 본 발명의 간판 프레임의 내부에 LED 등의 전등을 장치하여 하면판넬을 조사하게 하는 조명 간판을 형성하게 하는 긴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우면프레임(300)은 상기한 전면프레임의 우결합부(130)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우면프레임(300)은 우면판(310), 우주축부(320), 타측결합부(330), 우견고지지부(340), 우하면받침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바처럼 본 발명의 전면프레임(100)은 전면판(110), 좌결합부(120), 우결합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전면프레임(100)의 우결합부(130)는 1우결합판(131), 2우결합판(132), 3우결합판(13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1우결합판(131)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한 우면프레임(300)의 타측결합부(330)의 타측 일자 결합부(331)와 상호 지지 작용하여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2우결합판 및 3우결합판은 일정한 폭을 형성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호 결합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한 우면프레임(300)의 타측결합부(330)의 타측 삽입턱결합부(332)가 이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우면프레임의 타측결합부와 전면프레임의 우결합부가 결합되는 경우 3우결합판(133)과 타측 삽입턱결합부(332)가 결합된 부분에서 타측공간부(333)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3우결합판(133)의 결합방향 길이가 타측삽입턱결합부(332)의 결합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이와 같은 타측공간부(333)는 3~10mm가 바람직하며, 전면프레임의 광고 기능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우면프레임(300)의 우주축부(320)는 우면프레임(300)이 간판의 하나의 구성으로서 기둥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통상 4각형 관의 형상이나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지탱하는 힘을 보유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우주축부(320)에 우결합구(321)가 형성될 수 있어 추후 측면프레임을 나사, 리벳, 피스 등과 용이하게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우주축부(320)의 각을 형성하는 한 모서리에 내부 방향으로 우결합구(321)가 형성될 수 있어 측면프레임과 좌면프레임을 강하게 결합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타측결합부(330)는 전면프레임의 우결합부와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타측결합부는 좌방향(우결합부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타측개방면(334), 타측 일자 결합부(331), 타측 삽입턱 결합부(33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타측 일자 결합부(331)는 상기한 타측 삽입턱 결합부(332)와 함께 한 면이 개방된 사각관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타측 일자 결합부(331)는 상기한 전면프레임의 우결합부의 1우결합판(231)과 상호 지지 작용하여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타측 삽입턱 결합부(332)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돌출된 부분이 턱처럼 형성되어 있고 전면프레임의 우결합부의 2우결합판 및 3우결합판에 끼워져서 결합되게 된다.
본 발명의 우견고지지부(340)는 우면푸레임에 돌출되어 형성된 구조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우견고지지부(340)는 좌면프레임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꺾임 각을 형성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우견고지지부(340)는 우부착부(341)와 우고정결합부(24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우부착부(341)는 우면프레임의 우면판에 부착되고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우고정결합부(342)는 하기할 우고정연결부(38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5c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상기한 우고정연결부(380)는 상기한 우견고지지부(340)와 우면프레임의 타측결합부(230) 및 전면프레임의 우결합부(130)를 연결하고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도구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도 5d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우고정연결부(380)는 1우연결부(381), 2우연결부(382)로 구성되어 있다.
앞서 고정연결부에서 설명한 바처럼 상기한 1우연결부(381)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폭을 형성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견고지지부(340)의 우부착부(341) 또는 우고정결합부(342)와 나사, 리벳, 피스 등과 같은 결합수단으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2우연결부(382)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폭을 형성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면프레임의 타측결합부(330) 및 전면프레임의 우결합부(130)에 접촉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나사, 리벳, 피스 등과 같은 결합수단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은 우견고지지부(340) 및 고정연결부(380)의 기능으로 전면프레임과 좌면프레임을 단단하게 지지하고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더불어 간판 프레임을 제작하는 과정에서도 우견고지지부(340) 및 우고정연결부(380)가 형성되어 있어 용이하게 조립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작업의 편이성을 높이는 효과가 창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우면프레임(300)에 우나사결합부(370)가 형성되어 있을 수가 있다.
도 4b에서 보는 것처럼 우면프레임의 상단부에 우나사결합부(370)가 형성되어 있어 전측면프레임(400) 또는 후측면프레임(500)이 조립되어 결합하는 경우 우면프레임(300)과 전측면프레임(400) 또는 후측면프레임(500)을 함께 나사, 리벳, 피스 등과 같은 결합수단으로 결합되게 된다.
상기한 우나사결합부(370)는 우지지부(371) 및 우결합구(37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우지지부(371)는 일정한 폭을 형성한 판형상의 구조로서 결합구와 연결되어 결합구를 고정하며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우결합구(372)는 나사, 리벳, 피스 등이 결합되는 구멍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결합수단이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우면프레임(300)에 우하면받침부(350)가 구성되어 있어 추후 하면판넬(600)이 안착되어 고정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하면받침부(350)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면판넬이 안착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하면받침부(350)는 하면판넬(700)이 안착되게 되고 그 위에 하기할 판넬고정부(600)가 덮어서 하면판넬과 하면받침부를 결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우면프레임(300)에 말단에 우하면지지부(360)가 형성되어 있어 하면판넬(700)이 안착되는 경우 지지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하면지지부(360)는 우면판(310)의 연장으로 판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하면판넬(700)을 걸어서 우면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게 하는 기능 및 하면판넬(700)을 지지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처럼 본 발명의 상기한 판넬고정부(600)는 상기한 하면판넬(700)을 우면프레임(300)에 안착시키고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도구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판넬고정부(600)는 앞에서 설명한 구조와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전측면프레임(400)의 구조와 기능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전측면프레임(400)은 상기한 전면프레임(100), 좌면프레임(200), 우면프레임(300), 하면판넬(700)을 결합된 4각통형의 구조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의 1면(전면)에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측면프레임(400)은 전측면판(410), 후면거치판(420), 고정작용판(4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7 및 도 7b에서 보는 것처럼 전측면프레임(400)의 전측면판(410)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전면프레임(100), 좌면프레임(200), 우면프레임(300), 하면판넬(700)을 결합된 4각통형의 구조에서 빈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의 1면(전면)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후면거치판(420)은 일정한 폭을 형성한 판형상 구조로서 상기한 좌면프레임(200)의 하면받침부(250) 및 상기한 우면프레임(300)의 우하면받침부(350)에 거치되고 안착되어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전측면프레임(400)의 고정작용판(430)의 기능에 있다.
상기한 고정작용판(430)은 일정한 폭을 형성한 판형상 구조로서 상기한 전면프레임(100)의 좌결합부(120) 및 좌면프레임(200)의 주축부(220) 또는 일측결합부(230)에 간단히 거치시키고 나사, 피스 등의 결합수단으로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상기한 전면프레임(100)의 우결합부(130) 및 우면프레임(300)의 우주축부(320)에 간단히 거치하여 나사, 피스 등의 결합수단으로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고정작용판(430)의 기능으로 전측면프레임(400)을 부착하여 고정하는 작업에서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나타난다.
즉, 종래의 전측면프레임을 부착하여 고정하는 작업은 나사, 리벳 또는 피스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과정에서 결합구조가 복잡하여 힘이 많이 들고 어려움이 많은 문제점이 발생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고정작용판(430)의 기능은 전측면프레임(400)을
상기한 전면프레임(100)의 좌결합부(120) 및 좌면프레임(200)의 주축부(220) 또는 일측결합부(230)에 또한 상기한 전면프레임(100)의 우결합부(130) 및 우면프레임(300)의 우주축부(320)에 간단히 거치시키고 부착하여 고정하는 작업에 있어서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현저히 증진시키는 작용을 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후측면프레임(500)의 구조와 기능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후측면프레임(500)은 상기한 전측면프레임(400)과 동일한 기능과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후측면프레임(400)은 상기한 전면프레임(100), 좌면프레임(200), 우면프레임(300), 하면판넬(700)을 결합된 4각통형의 구조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의 1면(전측면프레임이 부착되는 면의 대응면)에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후측면프레임(500)은 후측면판(510), 후후면거치판(520), 후고정작용판(5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8 및 도 8b에서 보는 것처럼 후측면프레임(400)의 후측면판(41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전면프레임(100), 좌면프레임(200), 우면프레임(300), 하면판넬(700)을 결합된 4각통형의 구조에서 빈 공간을 형성하는 하나의 1면(전측면프레임이 부착되는 면의 대응면)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후후면거치판(520)은 일정한 폭을 형성한 판형상 구조로서 상기한 좌면프레임(200)의 하면받침부(250) 및 상기한 우면프레임(300)의 우하면받침부(350)에 거치되고 안착되어 결합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후측면프레임(500)의 후고정작용판(530)의 기능에 있다.
상기한 후고정작용판(530)은 일정한 폭을 형성한 판형상 구조로서 상기한 전면프레임(100)의 좌결합부(120) 및 좌면프레임(200)의 주축부(220) 또는 일측결합부(230)에 간단히 거치시키고 나사, 피스 등의 결합수단으로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상기한 전면프레임(100)의 우결합부(130) 및 우면프레임(300)의 우주축부(320)에 간단히 거치시키고 나사, 피스 등의 결합수단으로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후고정작용판(530)의 기능으로 후측면프레임(500)을 부착하여 고정하는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나타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차럼 종래의 후측면프레임을 부착하여 고정하는 작업은 나사, 리벳 또는 피스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과정에 힘이 많이 들고 어려움이 많은 문제점이 발생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고정작용판(530)의 기능은 후측면프레임(500)을 부착하여 고정하는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현저히 증진시키는 작용을 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조와 기능으로 이루어진 다기능 간판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간판 프레임, 간판의 구조 또는 간판과 관련된 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간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간판 프레임, 간판의 구조 또는 간판과 관련된 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전면프레임(100), 전면판(110), 좌결합부(120), 우결합부(130)
좌면프레임(200), 좌면판(210), 주축부(220), 일측결합부(230),
견고지지부(240), 하면받침부(250),
우면프레임(300), 우면판(310), 우주축부(320), 타측결합부(330),
우견고지지부(340), 우하면받침부(450),
전측면프레임(400), 전측면판(410), 후면거치판(420), 고정작용판(430)
후측면프레임(500), 후측면판(510), 후후면거치판(520), 후고정작용판(530),
하면판넬(700)

Claims (4)

  1. 전면프레임(100), 좌면프레임(200), 우면프레임(300), 전측면프레임(400), 후측면프레임(500), 하면판넬(700)을 포함하는 다기능 간판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판넬고정부(600)가 더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간판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좌면프레임(200)은 좌면판(210), 주축부(220), 일측결합부(230), 견고지지부(240), 하면받침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우면프레임(300)은 우면판(310), 우주축부(320), 타측결합부(330), 우견고지지부(340), 우하면받침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간판 프레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좌면프레임(200)에 나사결합부(27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우면프레임(200)에 우나사결합부(37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간판 프레임.
KR1020140101446A 2014-08-07 2014-08-07 다기능 간판 프레임 KR101703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446A KR101703389B1 (ko) 2014-08-07 2014-08-07 다기능 간판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446A KR101703389B1 (ko) 2014-08-07 2014-08-07 다기능 간판 프레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466A Division KR20170015944A (ko) 2017-01-20 2017-01-20 다기능 간판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894A true KR20160017894A (ko) 2016-02-17
KR101703389B1 KR101703389B1 (ko) 2017-02-06

Family

ID=5545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446A KR101703389B1 (ko) 2014-08-07 2014-08-07 다기능 간판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3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82U (ko) * 1996-10-29 1997-01-24 오일동 간판용 프레임
KR200356917Y1 (ko) * 2004-04-03 2004-07-21 이설규 입체 문자간판 결합구조
KR100941918B1 (ko) * 2009-08-11 2010-02-11 이설규 입체 간판용 신형 받침프레임
KR20120028131A (ko) * 2010-09-14 2012-03-22 주식회사 알탑 간판의 양면 광고 프레임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82U (ko) * 1996-10-29 1997-01-24 오일동 간판용 프레임
KR200356917Y1 (ko) * 2004-04-03 2004-07-21 이설규 입체 문자간판 결합구조
KR100941918B1 (ko) * 2009-08-11 2010-02-11 이설규 입체 간판용 신형 받침프레임
KR20120028131A (ko) * 2010-09-14 2012-03-22 주식회사 알탑 간판의 양면 광고 프레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389B1 (ko) 201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200702179A1 (ru) Стыковая накладка и совокупность частей, включающих в себя такую накладку, для настенного монтажа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рибора
JP2005046221A (ja) 組立式筐体
JP2007202992A (ja) 遊技盤の前面扉
KR20170015944A (ko) 다기능 간판 프레임
JP2008005687A (ja) ボックス固定具及びボックス固定具の取付方法
JP2007023515A (ja) 浴室ユニットおよび浴室ユニットの施工方法
KR101703389B1 (ko) 다기능 간판 프레임
TWM529025U (zh) 支撐連接裝置及其與浪板的組合體
JP5109609B2 (ja) パネルシステムにおけるガラス板連結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パネル体
KR20150092219A (ko) 사인 및 사인 서스펜션 수단
KR101192822B1 (ko) 간판용 받침 프레임
JP4179258B2 (ja) 壁面パネルのコーナー連結構造
TWI242175B (en) Wall-surface mounted illumination signboard device
KR101490464B1 (ko) 조립식 액자
JP2011026902A (ja) 壁パネルの連結構造
JP6722725B2 (ja) コーナーキャップ、見切り構造、及び装飾パネル体
KR20130104040A (ko) 책상
JP3842678B2 (ja) デッキ床の接合用金具及び接合構造
US20030235323A1 (en) Pre-embedded in-wall speaker seat
JP2006322144A (ja) ボード結合金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箱体
JP4787136B2 (ja) 外装材取付金具
JP2005185600A (ja) テーブルのフレーム構造
TW201743025A (zh) 支撐連接裝置及其與浪板的組合體
JP6128834B2 (ja) 建築用パネルにおける額縁構造
JP2003278299A (ja) デッキ床の接合用金具及び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