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397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397A
KR20160017397A KR1020140100705A KR20140100705A KR20160017397A KR 20160017397 A KR20160017397 A KR 20160017397A KR 1020140100705 A KR1020140100705 A KR 1020140100705A KR 20140100705 A KR20140100705 A KR 20140100705A KR 20160017397 A KR20160017397 A KR 20160017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lter
light
edge
edge lens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089B1 (ko
Inventor
최해윤
임재익
최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0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089B1/ko
Priority to US14/639,808 priority patent/US9406724B2/en
Publication of KR20160017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397A/ko
Priority to US15/219,076 priority patent/US10084024B2/en
Priority to US16/116,844 priority patent/US10361253B2/en
Priority to US16/455,412 priority patent/US10608054B2/en
Priority to KR1020220014462A priority patent/KR20220020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089B1/ko
Priority to KR1020240000456A priority patent/KR20240008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형성되는 봉지막, 상기 봉지막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픽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와 상기 각각의 컬러 필터 사이에 형성되는 차광부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층 및 상기 컬러 필터층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컬러 필터와 상기 차광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에지 렌즈부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발광형 표시 장치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별도의 광원이 불필요하므로 저전압으로 구동이 가능하고 경량의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넓은 시야각, 높은 콘트라스트(contrast) 및 빠른 응답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으로 인해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가지 빛을 이용하여 풀-컬러(full-color)를 구현하는데, 사용자의 시야에 관계없이 고품위의 컬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광효율이 우수하면서 측면 시야각도 큰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구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형성되는 봉지막, 상기 봉지막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픽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와 상기 각각의 컬러 필터 사이에 형성되는 차광부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층 및 상기 컬러 필터층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컬러 필터와 상기 차광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에지 렌즈부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부는 출광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에지 렌즈를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봉지막과 상기 컬러 필터층이 합착 되는 부분인 합착부는 공기가 가득 찬 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 에지 렌즈부는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봉지막과 상기 컬러 필터층이 합착되는 부분인 합착부는 저굴절율의 유기물로 충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부는 상기 충진되는 유기물보다 굴절율이 큰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는 상기 차광부의 에지 부분과 이웃한 상기 컬러 필터 일부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는 상기 각각의 서브 픽셀의 형상에 따라 최소 2면 이상의 다각형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의 높이는 1 마이크로미터 이상 5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의 폭은 2 마이크로미터 이상 픽셀의 폭의 2분의 1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의 초기 각도는 90~40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형성되는 봉지막, 상기 봉지막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픽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와 상기 각각의 컬러 필터 사이에 형성되는 차광부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층, 상기 컬러 필터층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컬러 필터와 상기 차광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에지 렌즈부 및 상기 컬러 필터층의 상부에 광 확산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 렌즈부는 상기 각각의 컬러 필터에 위치하며 출광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광 확산 렌즈를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부 및 상기 광 확산 렌즈부는 고굴절 재료의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 렌즈의 높이는 1 마이크로미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의 폭은 2 마이크로미터 이상 픽셀의 폭의 3분의 1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 렌즈부는 상기 각각의 컬러 필터에 위치하며 출광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광 확산 렌즈를 각각의 컬러 필터마다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기판 상에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밀봉하는 봉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서브 픽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와 상기 각각의 컬러 필터 사이에 형성되는 차광부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 필터층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컬러 필터와 상기 차광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에지 렌즈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에지 렌즈부가 하부에 구비된 상기 컬러 필터층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봉지막으로 밀봉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합착하는 단계는 상기 컬러 필터층과 상기 봉지막이 합착되는 부분인 합착부가 공기(air) 상태로 합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합착하는 단계는 상기 컬러 필터층과 상기 봉지막이 합착되는 부분인 합착부가 굴절율이 낮은 유기물로 충진되어 합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합착하는 단계는 ODF 공정 및/또는 Encapsulation 공정에 의해 합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휘도 뿐만 아니라 측면 시야각을 향상시킨 고품위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내용 이외에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도 도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하나의 서브 픽셀 영역에 해당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1에서 하나의 서브 픽셀 영역에 해당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0), 기판(10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200), 봉지막(300), 컬러 필터층(400) 및 에지 렌즈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판(100)은 금속이나 유리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200)는 기판(100) 상에 형성되며,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P1, P2, P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표시소자(200)는 복수의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제1 서브 픽셀 (P1), 녹색의 빛을 방출하는 제2 서브 픽셀(P2), 및 적색의 빛을 방출하는 제3 서브 픽셀(P3)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소자(200)는, 기판(100)상에 형성되어 이물질/수분을 차단하는 버퍼층(201), 버퍼층(201) 상의 박막트랜지스터(210), 박막트랜지스터(210)와 연결된 제1 전극(221), 제1 전극(221)과 대향하는 제2 전극(223), 및 제1,2 전극(221, 223) 사이에 개재되며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22)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210)는 활성층(211), 게이트 전극(212), 소스 전극(212s) 및 드레인 전극(212d)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212)과 활성층(211) 사이에는 이들 간의 절연을 위한 게이트 절연층으로서 제1 절연층(202)이 개재된다. 활성층(211)은 가운데에 형성된 채널 영역 및 채널 영역의 양쪽에 배치되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층(211)은 비정질 실리콘, 결정질 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영역을 중심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은, 게이트 전극(212)을 셀프-얼라인 마스크로 이용하여 고농도의 불순물을 도핑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탑 게이트 타입(top gate type)의 박막트랜지스터(210) 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실시예로 바텀 게이트 타입(bottom gate type)의 박막트랜지스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게이트 전극(212) 상에는 제2 절연층(203)을 사이에 두고 소스/드레인 전극(212s, 212d)이 구비된다. 소스/드레인 전극(212s, 212d)은 활성층(211)의 소스/드레인 영역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소스/드레인 전극(212s, 212d) 상에는 제3 절연층(204)이 형성될 수 있다.
소스/드레인 전극(212s, 212d) 중 어느 하나는 제1 전극(2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전극(221) 상에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22) 및 제2 전극(2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는 하나의 서브 픽셀(P1, P2, P3) 마다 구비되고, 각각의 서브 픽셀(P1, P2, P3)의 중간층(222)에 포함된 유기발광층은 적색, 녹색,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유기물을 포함한다. 적색, 녹색,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유기발광층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층에 따라, 중간층(222)은 정공 수송층, 정공 주입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봉지막(300)은 유기 발광 소자(200) 상에 형성되어 유기 발광 소자(200)를 이물질 또는/및 외기로부터 보호한다. 봉지막(300)은 유기 발광 소자(200) 바로 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기층과 무기층이 교번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박막봉지일 수 있다. 유기층으로는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틸렌와 같은 폴리머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무기층으로는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탄화물 및 이들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층(400)은 봉지막(3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서브픽셀(P1, P2, P3)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410) 및 상기 컬러 필터(410)들 사이사이(또는, 서브 픽셀(P1, P2, P3) 사이사이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차광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410)로 입사한 외광 중 극소량만이 반사되므로 외광시인성을 향상시키고 화상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서브 픽셀들(P1, P2, P3) 사이사이의 영역, 즉 비발광 영역에 형성된 차광부(430)는 외광의 하부 반사로 인한 콘트라스트(Contrast)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가시광 영역의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반사란 유기 발광 소자(200)의 전극이나 배선층 혹은 유기 발광 소자(200)의 아래 기판(100)에 반사되는 것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필터층(400)의 하부에 에지 렌즈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지 렌즈부(50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에지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각각의 에지 렌즈는 컬러 필터(410)와 이웃한 차광부(430) 사이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에지 렌즈는 굴절율이 높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에지 렌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필터층(400)의 하부에서 출광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기판(100)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에지 렌즈는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컬러 필터(410)와 이웃한 차광부(430) 사이사이마다 구비될 수 있다. 즉, 에지 렌즈부(500)는 하나의 서브 픽셀당 6개의 에지 렌즈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에지 렌즈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에지 렌즈부(500)는 컬러 필터층(400)의 하부에 볼록한 렌즈 형태로 형성되면서 각각의 컬러 필터(410)와 각각의 컬러 필터(410)들과 이웃한 차광부(430)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체적으로 유기 발광표시소자의 효율이 향상되고 에지 렌즈부(500)에 의해 시야각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에지 렌즈부(500)의 형상, 재료 및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에지 렌즈부(500)가 상기 컬러 필터(410) 각각과 이웃한 차광부(430) 사이에 위치하여 빛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즉, 유기 발광 소자(200)로부터 나오는 빛이 컬러 필터층(400)의 하부에 구비된 에지 렌즈를 통과하게 되는데 에지 렌즈가 차광부(430)와 컬러 필터(410)에 걸쳐서 위치함에 따라 사용자의 시야각 쪽으로 통과할 수 있다. 센터쪽으로 직진하여 나오는 빛의 경우에는 다소 효율 떨어질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효율 높아질 수 있으며 시야각이 개선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지 렌즈부(500)가 하부에 형성된 컬러 필터층(400)과 유기 발광 소자(200)가 포함된 기판(100)의 사이인 합착부(600)는 굴절율이 낮은 물질로 충진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합착부(600)가 굴절율이 낮은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에지 렌즈부(500)와 합착부(600)의 굴절율이 커지게 되고 외광 반사가 저감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즉, 외부에서 빛이 들어오는 경우에는 하부 픽셀 영역에 외광이 들어가서 반사되어 나와 문제가 되는데 이 때 굴절율의 차이를 이용하여 차광부(430) 쪽으로 빛을 꺾어주면 빛이 차광부(430)에 흡수되어 외광 반사가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봉지막(300)과 컬러 필터층(400) 사이가 공기로 채워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진공 상태로 상부 컬러 필터층(400)과 하부 봉지막(300)이 구비된 기판층을 합착하면 합착부(600)는 공기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공기의 굴절율은 1.0 으로 상기 에지 렌즈부(500)는 공기보다 굴절율이 큰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광이 들어오는 경우 에지 렌즈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렌즈의 굴절율이 주위의 굴절율보다 크기 때문에 빛이 바깥쪽으로 굴절할 수 있다.
컬러 필터층(400)과 봉지막(300)의 사이를 합착하는 합착부(600)는 굴절율이 낮은 유기물로 충진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합착부(600)는 굴절율이 낮은 유기물으로 충진되므로 상기 에지 렌즈는 상대적으로 합착부(600)에 충진되는 유기물보다 굴절율이 높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에지 렌즈의 굴절율이 하부에 위치하는 충진 유기물보다 굴절율이 높으므로 유기 발광 소자(200)에서 방출되는 빛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고굴절율의 에지 렌즈가 컬러 필터(410)와 차광부(430)의 사이에 구비되고 에지 렌즈의 하부에 저굴절율의 유기물 또는 공기를 충진함에 따라 광효율이 향상되며 측면에서 바라보는 경우에도 화면의 전체를 사용자가 볼 수 있어 시야각이 개선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2는 도 1에서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하나의 컬러 필터(410) 와 이웃한 차광부(430) 및 에지 렌즈부(500)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지 렌즈는 차광부(430)의 에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에지 렌즈가 각각의 컬러 필터 영역 내에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에지 렌즈의 일부는 차광부(430)의 위치에 나머지 부분은 컬러 필터(410)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에지 렌즈가 컬러 필터(410)와 컬러 필터에 이웃한 차광부(430)에 걸쳐서 형성됨에 따라 에지 렌즈가 컬러 필터(410) 영역에만 형성되는 경우보다 많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에지 렌즈가 컬러 필터(410) 영역에만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컬러 필터마다 하나씩 형성될 수 있는 반면, 에지 렌즈가 차광부(430)의 에지 부분에 일부 위치하고 동시에 나머지 부분이 컬러 필터(410) 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컬러 필터마다 2개의 에지 렌즈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에지 렌즈부(500)에 최대로 포함될 수 있는 에지 렌즈의 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외광이 들어오는 경우 빛의 굴절이 많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효율이 높아지고 측면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에지 렌즈는 각각의 컬러 필터의 형상에 따라 최소 2면 이상의 다각형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컬러 필터(410)의 형상은 정사각형, 마름모형, 직사각형, N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컬러 필터(410)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기 위해서 컬러 필터(410)과 차광부(430)는 약 2마이크로미터 공백, 공차를 둘 수 있다.
이에 따라 컬러 필터(410)를 침범하지 않는 영역 내에서 에지 렌즈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정사각형, 마름모형, 직사각형, N각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에지 렌즈의 형성시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컬러 필터층(400)의 하부에 에지 렌즈가 형성되므로 컬러 필터층(400)의 형상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최소 2면 이상의 다각형 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컬러 필터층(400)의 형상에 영향을 받아 에지 렌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에지 렌즈의 형상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에지 렌즈의 높이(h)는 1~5 마이크로미터로 형성될 수 있다.
에지 렌즈는 컬러 필터층(4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컬러 필터층(400)과 봉지층(300)은 합착부(600)에 의해 합착되므로 에지 렌즈의 높이(h)는 봉지층(30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정될 수 있다.
이에, 에지 렌즈의 높이(h)를 최소 1마이크로미터부터 최대 5 마이크로미터까지로 형성하는 경우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으나 에지 렌즈의 높이(h)는 물론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에지 렌즈의 폭(W)은 2 마이크로미터 이상 컬러 필터의 폭(x)의 2분의 1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에지 렌즈는 차광부(430)의 에지 부분과 컬러 필터(410)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컬러 필터에 이웃한 두 개의 차광부(430)의 에지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지 렌즈의 폭(W)이 제한 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컬러 필터(410)에 2개의 에지 렌즈가 하부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에지 렌즈의 폭(W)의 합이 컬러 필터(410)의 폭(x)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
따라서, 각각의 에지 렌즈의 폭(W)은 최대 컬러 필터(410)의 폭(x)의 1/2일 수 있다. 특히, 에지 렌즈의 폭(W)이 4마이크로미터 이상 18마이크로미터 이하인 경우에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효율이 최대로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에지 렌즈의 폭(W)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 마이크로미터 이상 컬러 필터의 폭(x)의 1/2 이하이면 어떤 길이의 폭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에지 렌즈의 초기 각도()는 40도 이상 90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에지 렌즈의 초기 각도()는 에지 렌즈의 높이(h)와 폭(W)의 길이에 따라 정해지는 것으로서 한정되지 않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에지 렌즈의 초기 각도(), 에지 렌즈의 높이(h) 및 에지 렌즈의 폭(W)을 형성 가능한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광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컬러 필터층(400)의 상부에 광 확산 렌즈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 렌즈부(700)는 유기 발광 소자(200)에서 발생하여 방출되는 빛을 확산시켜 주는 광 확산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출광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 렌즈부(700)는 광 확산 렌즈를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 확산 렌즈는 각각의 컬러 필터(410)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에지 렌즈부(500)가 독립적으로 컬러 필터(410)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컬러 필터(410)와 이웃한 차광부(430) 영역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는 것과 달리 상기 광 확산 렌즈부(700)는 컬러 필터(410) 영역 내에만 형성될 수 있다.
광 확산 렌즈부(700)는 각각의 컬러 필터(410)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픽셀에서 3개의 광 확산 렌즈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컬러 필터층(400)의 하부에 에지 렌즈부(500)를 포함하는 것과 동시에 컬러 필터층(400)의 상부에 광 확산 렌즈부(700)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광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외광은 에지 렌즈부(500)에 의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에서 굴절 및 반사가 일어나 차광부(430)에 흡수되어 반사가 감소될 수 있고 유기 발광 소자(200)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빛은 광 확산 렌즈부(700)에 의해 확산되어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에지 렌즈부(500)와 광 확산 렌즈부(700)를 함께 구비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광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뿐만 아니라 방출되는 빛이 확산되므로 측면에서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즉, 측면 시인성(WAD)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에지 렌즈부(500)에 포함되는 에지 렌즈 및 상기 광 확산 렌즈부(700)에 포함되는 광 확산 렌즈는 굴절율이 높은 유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지 렌즈는 상기 합착부(600)에 충진되는 유기물보다 굴절율이 높은 유기물 재료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이 내부에서 굴절 및 반사가 효율적으로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확산 렌즈 역시 빛의 굴절에 의해 컬러 필터층(400)의 상부로 빛의 확산이 효율적으로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굴절율이 높은 유기 물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 개의 컬러 필터 가운데 하나의 컬러 필터와 이웃한 차광부 및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렌즈부가 도시되어 있다.
컬러 필터층(4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광 확산 렌즈는 높이(a)가 1 마이크로미터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 확산 렌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굴절되어 확산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므로 최소 1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높이(a)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컬러 필터층(4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에지 렌즈와 달리 광 확산 렌즈의 높이(a)는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광 확산 렌즈의 경우 컬러 필터층(400)의 상부에 구비되는바 에지 렌즈와 같이 봉지막(300)과 같은 구조에 접촉할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형성되는 에지 렌즈의 폭(b)은 2 마이크로미터 이상 컬러 필터의 폭(x)의 3분의 1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필터층(4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에지 렌즈와 컬러 필터층(4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광 확산 렌즈는 너비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에지 렌즈는 차광부(430)의 에지 부분과 컬러 필터(410) 영역의 일부에 걸쳐서 형성되고 광 확산 렌즈는 컬러 필터(410) 영역 내에서 상기 에지 렌즈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컬러 필터층(400) 하부의 에지 렌즈부(500)와 상부의 광 확산 렌즈부(700)가 겹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빛이 굴절되어 통과함에 있어서 경로를 방해 받아 광 효율이 떨어질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컬러 필터(410)에 대해서 너비가 겹치지 않도록 2개의 에지 렌즈가 하부에 형성되고 1개의 광 확산 렌즈가 상부에 형성되는 경우 3개의 렌즈의 폭의 합이 하나의 컬러 필터(410)의 폭(x)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렌즈는 겹치지 않게 형성될 수 있고 3개의 렌즈의 폭의 합이 하나의 컬러 필터의 폭(x)이므로 각각의 렌즈의 폭의 길이는 컬러 필터의 폭(x)의 길이의 3분의 1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에지 렌즈의 폭(b)의 길이는 최대 컬러 필터(410)의 폭(x)의 1/2일 수 있다. 특히, 에지 렌즈의 폭(b)이 4마이크로미터 이상 18마이크로미터 이하인 경우에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효율이 최대로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에지 렌즈의 폭(b)의 길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 마이크로미터 이상 컬러 필터의 폭(x)의 1/3 이하이면 어떤 길이의 폭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한 내용 이외의 렌즈의 형상에 관한 설명의 경우에는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즉, 에지 렌즈의 높이(h) 또는 에지 렌즈의 초기 각도()와 같은 수치에 관한 설명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컬러 필터층(4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광 확산 렌즈부(700)가 각 컬러 필터(410)마다 광 확산 렌즈를 적어도 2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컬러 필터(410)의 상부에는 3개의 광 확산 렌즈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컬러 필터층(400)의 하부에는 에지 렌즈부(500)가 컬러 필터층(400)의 상부에는 광 확산 렌즈부(7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광 확산 렌즈부(700)는 하나의 서브 픽셀에 9개의 광 확산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광 확산 렌즈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서브 픽셀에 9개 이상의 광 확산 렌즈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개의 광 확산 렌즈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광 확산 렌즈의 폭의 길이는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확산 렌즈와 에지 렌즈의 너비가 겹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 확산 렌즈와 에지 렌즈의 너비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렌즈의 폭의 길이가 더욱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같이 복수 개의 광 확산 렌즈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유기 발광 소자(200)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더욱 효율적으로 확산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측면 시인성(WAD) 문제가 더욱 해소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성요소 각각은 이미 상술한 구성요소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기판(100) 상에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2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 상에 유기 발광 소자(200)가 형성되면 유기 발광 소자를 빛과 수분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하여 유기 발광 소자(200)의 상부에 유기 발광 소자(200)를 밀봉하도록 봉지막(300)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봉지막(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층(4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층(400)은 각각의 픽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410)와 각각의 컬러 필터(410) 사이에 형성되는 차광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컬러 필터층(4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컬러 필터(410)와 차광부(430) 사이에 위치하는 에지 렌즈부(5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지 렌즈부(500)가 형성된 상기 컬러 필터층(400)의 하부에 봉지막(300)으로 밀봉된 유기 발광 소자(200)를 놓고 합착하는 합착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상기 합착 단계에서 컬러 필터층(400)과 봉지막(300)이 합착되는 부분인 합착부가 공기로 가득 찬 상태로 합착될 수 있다.
공기의 경우 상기 에지 렌즈부(500)보다 굴절율이 낮으므로 외광이 에지 렌즈를 통과하여 공기로 투과될 때 굴절이 일어날 수 있고 반사에 의해 차광부(430)로 빛이 흡수되어 외광 반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상기 합착 단계에서 컬러 필터층(400)과 봉지막(300)이 합착되는 부분인 합착부가 굴절율이 낮은 유기물로 충진된 상태로 합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지 렌즈부(500)는 굴절율이 높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고 에지 렌즈부(500)의 하부인 합착부(600)는 에지 렌즈보다 굴절율이 낮은 유기물로 충진되는바 외광이 들어온 경우 반사 및 굴절이 일어나 외광 반사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기판
200: 유기 발광 소자
300: 봉지막
400: 컬러 필터층
410: 컬러 필터
430: 차광부
500: 에지 렌즈부
600: 합착부
700: 광 확산 렌즈부

Claims (21)

  1.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형성되는 봉지막;
    상기 봉지막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픽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와 상기 각각의 컬러 필터 사이에 형성되는 차광부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층;및
    상기 컬러 필터층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컬러 필터와 상기 차광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에지 렌즈부;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부는 출광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에지 렌즈를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막과 상기 컬러 필터층이 합착 되는 부분인 합착부는 공기가 가득 찬 상태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부는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막과 상기 컬러 필터층이 합착되는 부분인 합착부는 저굴절율의 유기물로 충진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부는 상기 충진되는 유기물보다 굴절율이 큰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는 상기 블랙 메트릭스의 에지 부분과 이웃한 상기 컬러 필터 일부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는 상기 각각의 서브 픽셀의 형상에 따라 최소 2면 이상의 다각형 면으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의 높이는 1 마이크로미터 이상 5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의 폭은 2 마이크로미터 이상 픽셀의 폭의 2분의 1 이하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의 초기 각도는 90~40도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층의 상부에 광 확산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 렌즈부는 상기 각각의 컬러 필터에 위치하며 출광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광 확산 렌즈를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부 및 상기 광 확산 렌즈부는 고굴절 재료의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 렌즈의 높이는 1 마이크로미터 이상으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렌즈의 폭은 2 마이크로미터 이상 픽셀의 폭의 3분의 1 이하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 렌즈부는 상기 각각의 컬러 필터에 위치하며 출광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광 확산 렌즈를 각각의 컬러 필터마다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8. 기판 상에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밀봉하는 봉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서브 픽셀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와 상기 각각의 컬러 필터 사이에 형성되는 차광부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 필터층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컬러 필터와 상기 차광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에지 렌즈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지 렌즈부가 하부에 구비된 상기 컬러 필터층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봉지막으로 밀봉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하는 단계는 상기 컬러 필터층과 상기 봉지막이 합착되는 부분인 합착부가 공기(air) 상태로 합착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하는 단계는 상기 컬러 필터층과 상기 봉지막이 합착되는 부분인 합착부가 굴절율이 낮은 유기물로 충진되어 합착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하는 단계는 ODF 공정 및/또는 Encapsulation 공정에 의해 합착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40100705A 2014-08-05 2014-08-05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60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705A KR102360089B1 (ko) 2014-08-05 2014-08-05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4/639,808 US9406724B2 (en) 2014-08-05 2015-03-05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with microlens below color filt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5/219,076 US10084024B2 (en) 2014-08-05 2016-07-25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6/116,844 US10361253B2 (en) 2014-08-05 2018-08-29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6/455,412 US10608054B2 (en) 2014-08-05 2019-06-27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220014462A KR20220020867A (ko) 2014-08-05 2022-02-03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240000456A KR20240008384A (ko) 2014-08-05 2024-01-02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705A KR102360089B1 (ko) 2014-08-05 2014-08-05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462A Division KR20220020867A (ko) 2014-08-05 2022-02-03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397A true KR20160017397A (ko) 2016-02-16
KR102360089B1 KR102360089B1 (ko) 2022-02-09

Family

ID=5526801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705A KR102360089B1 (ko) 2014-08-05 2014-08-05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220014462A KR20220020867A (ko) 2014-08-05 2022-02-03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240000456A KR20240008384A (ko) 2014-08-05 2024-01-02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462A KR20220020867A (ko) 2014-08-05 2022-02-03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240000456A KR20240008384A (ko) 2014-08-05 2024-01-02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4) US9406724B2 (ko)
KR (3) KR10236008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088A (ko) * 2016-03-11 2017-09-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근안 표시 장치
US11069759B2 (en) 2018-11-19 2021-07-2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KR20210090528A (ko) * 2020-01-10 2021-07-20 이종근 근안형 디스플레이의 몰입도 증대 장치
US11217777B2 (en) 2019-04-30 2022-01-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217624B2 (en) 2018-10-02 2022-01-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2004652A1 (ja) * 2020-06-29 2022-01-06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表示装置
US11271054B2 (en) 2018-10-16 2022-03-0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527740B2 (en) 2019-07-02 2022-1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stack of insulating refractive layers
US11552273B2 (en) 2019-08-13 2023-01-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refractive layers
US11882725B2 (en) 2020-12-01 2024-01-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3630A (ja) * 2015-02-05 2016-08-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749147B1 (ko) * 2015-10-30 2017-06-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0199572B (zh) * 2017-01-20 2024-01-26 索尼半导体解决方案公司 显示装置、电子设备及制造显示装置的方法
KR102431686B1 (ko) * 2017-12-05 2022-08-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 표시장치
US10971557B2 (en) 2018-08-28 2021-04-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color filter with scattering agent
KR20210069050A (ko) * 2018-10-16 2021-06-10 소니그룹주식회사 표시 장치
JP7444070B2 (ja) 2018-11-30 2024-03-06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9817823B (zh) * 2019-01-09 2022-03-18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US11588137B2 (en) * 2019-06-05 2023-02-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Functional panel, display device, input/output device, and data processing device
KR20210008240A (ko) 2019-07-11 2021-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WO2021009587A1 (ko) 2019-07-12 2021-01-21
KR20210032600A (ko) 2019-09-16 2021-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690363B (zh) * 2019-10-25 2021-07-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器件
CN111091761B (zh) * 2019-12-18 2022-0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车载显示装置及显示基板的制作方法
KR20210116815A (ko) 2020-03-17 2021-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06667A (ko) * 2020-07-08 2022-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1883684B (zh) * 2020-08-07 2022-08-12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TW202226582A (zh) * 2020-08-28 2022-07-01 日商索尼半導體解決方案公司 發光元件及顯示裝置
CN113241354B (zh) * 2021-04-07 2022-07-1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4709323A (zh) * 2022-03-24 2022-07-05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3943A (ja) * 2006-06-14 2007-12-27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10034074A (ja) * 2009-11-09 2010-02-12 Sony Corp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138A (ko) 1993-03-03 1994-10-20 이헌조 액티브 매트릭스 액정표시소자
JP4329141B2 (ja) 1998-10-26 2009-09-09 凸版印刷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マイクロレンズ基板
JP4171877B2 (ja) 2002-06-20 2008-10-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液晶パネル、投射型表示装置及び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の製造方法
KR20040110178A (ko) 2003-06-18 2004-12-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6903378B2 (en) 2003-06-26 2005-06-07 Eastman Kodak Company Stacked OLED display having improved efficiency
KR20050001158A (ko) 2003-06-27 2005-01-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기둥 형상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와 그제조방법
JP2005063838A (ja) * 2003-08-13 2005-03-10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光学デバイス及び有機el表示装置
JP2005174701A (ja) * 2003-12-10 2005-06-30 Toyota Industries Corp 電界発光デバイス
KR100722116B1 (ko) 2005-11-07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양면발광형 유기 발광표시장치
KR20070071293A (ko) 2005-12-29 2007-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791271B2 (en) 2006-02-24 2010-09-07 Global Oled Technology Llc Top-emitting OLED device with light-scattering layer and color-conversion
KR101348605B1 (ko) * 2006-12-21 2014-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 필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
KR100838087B1 (ko) * 2007-06-13 2008-06-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4642823B2 (ja) 2007-09-13 2011-03-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WO2011016086A1 (ja) * 2009-08-05 2013-01-10 株式会社東芝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59621A (ja) 2009-09-14 2011-03-24 Fujifilm Corp 光取り出し部材、並びに有機el素子及び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KR101615397B1 (ko) 2010-03-31 2016-04-25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올레드 표시 패널 장치 및 표시 패널 장치의 제조 방법
JP5720887B2 (ja) * 2011-03-30 2015-05-2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WO2013154150A1 (ja) * 2012-04-13 2015-12-17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用光抽出体及び発光素子
KR101975309B1 (ko) 2012-07-25 2019-09-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34787B1 (ko) 2012-07-25 2019-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TWI540780B (zh) * 2013-03-13 2016-07-01 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有機電致發光元件及使用此元件之照明裝置
JP2015069700A (ja) * 2013-09-26 2015-04-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20170012244A1 (en) * 2014-02-10 2017-01-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illumination device
JP6158248B2 (ja) * 2014-05-27 2017-07-05 ザ・ボード・オブ・トラスティーズ・オブ・ザ・ユニバーシティ・オブ・イリノイ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ナノ構造材料の方法および素子
KR102178863B1 (ko) * 2014-06-27 2020-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27480B1 (ko) * 2014-09-12 2021-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8417A (ko) * 2014-09-25 2017-02-17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기재 및 발광 장치
WO2016084759A1 (ja) * 2014-11-28 2016-06-02 シャープ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3943A (ja) * 2006-06-14 2007-12-27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10034074A (ja) * 2009-11-09 2010-02-12 Sony Corp 表示装置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088A (ko) * 2016-03-11 2017-09-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근안 표시 장치
US11855123B2 (en) 2018-10-02 2023-12-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217624B2 (en) 2018-10-02 2022-01-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271054B2 (en) 2018-10-16 2022-03-0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069759B2 (en) 2018-11-19 2021-07-2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11844242B2 (en) 2018-11-19 2023-12-1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11217777B2 (en) 2019-04-30 2022-01-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696468B2 (en) 2019-04-30 2023-07-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527740B2 (en) 2019-07-02 2022-1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stack of insulating refractive layers
US11818916B2 (en) 2019-07-02 2023-11-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stack of insulating refractive layers
US11552273B2 (en) 2019-08-13 2023-01-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refractive layers
KR20210090528A (ko) * 2020-01-10 2021-07-20 이종근 근안형 디스플레이의 몰입도 증대 장치
WO2022004652A1 (ja) * 2020-06-29 2022-01-06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表示装置
US11882725B2 (en) 2020-12-01 2024-01-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384A (ko) 2024-01-18
US9406724B2 (en) 2016-08-02
US20160043145A1 (en) 2016-02-11
KR20220020867A (ko) 2022-02-21
US20190319074A1 (en) 2019-10-17
US10361253B2 (en) 2019-07-23
US20160336379A1 (en) 2016-11-17
US10608054B2 (en) 2020-03-31
KR102360089B1 (ko) 2022-02-09
US20180374905A1 (en) 2018-12-27
US10084024B2 (en) 201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739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48924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JP6416854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2748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77401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KR10203968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443904B1 (en)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1509007B (zh)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20150123150A1 (en) Display device
EP3462514B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JP2016173460A (ja) 表示装置
KR10260112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975084B1 (ko) 표시 장치
CN109428004A (zh) 电致发光显示装置
CN109728187B (zh) 电致发光显示装置
KR102202797B1 (ko) 휘도 시야각 및 색 시야각을 개선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230143258A (ko) 표시 장치 및 헤드 마운트 표시 장치
KR20210068851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