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087B1 -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087B1
KR100838087B1 KR1020070058005A KR20070058005A KR100838087B1 KR 100838087 B1 KR100838087 B1 KR 100838087B1 KR 1020070058005 A KR1020070058005 A KR 1020070058005A KR 20070058005 A KR20070058005 A KR 20070058005A KR 100838087 B1 KR100838087 B1 KR 100838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substrate
display unit
micro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노민
고성수
송명원
이성택
김혜동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8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087B1/ko
Priority to US12/068,363 priority patent/US794816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3Passive-matrix OLED displays comprising banks or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3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 개의 서브 픽셀을 갖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부에 배치된 밀봉기판과, 상기 밀봉기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향한 면에 형성되고 복수 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렌즈 유닛과, 상기 밀봉기판과 상기 기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하부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종래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왜곡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왜곡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8은 마이크로 렌즈 유닛과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간격에 따른 광추출효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01: 기판 102: 디스플레이부
103, 203, 303: 밀봉기판
104, 204, 304: 마이크로 렌즈 유닛
105, 205, 305: 격벽 106: 블랙 매트릭스
107: 컬러 필터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뢰성이 향상되고, 색왜곡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표시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밀봉기판을 포함한다.
자발광소자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밀봉기판과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반사에 의해 외광 간섭이 발생한다. 이러한 간섭 현상은 상쇄 간섭 및 보강 간섭으로 나눌 수 있는데 상쇄 간섭의 경우 광의 위상이 서로 상쇄되어 어둡게 나타난다. 보강간섭의 경우 광의 위상이 서로 합쳐져서 밝 게 나타나게 된다. 이를 뉴턴링이라고 한다. 이로 인한 휘도 불균일에 의해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 밀봉기판과 디스플레이부 사이를 띄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밀봉기판과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된 경우 중형급 이상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신뢰성 확보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광효율이 향상되고 밀봉기판의 신뢰성이 향상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 개의 서브 픽셀을 갖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부에 배치된 밀봉기판과, 상기 밀봉기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향한 면에 형성되고 복수 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렌즈 유닛과, 상기 밀봉기판과 상기 기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하부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렌즈는 상기 복수 개의 서브 픽셀와 1 대 1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복수 개의 서브 픽셀 각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픽셀을 한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봉기판, 상기 마이크로 렌즈 유닛 및 상기 격벽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봉기판의 상면에 배치된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유닛은 한 개의 상기 렌즈에 대해 동일한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 개의 서브 픽셀이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렌즈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봉기판, 상기 마이크로 렌즈 유닛 및 상기 격벽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원통형 렌즈(Cylinderical lens)로 이루어진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로 이루어진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봉기판의 상면에 배치된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밖에도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개략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판(101), 디스플레이부(102), 밀봉기판(103),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 격벽(105), 블랙 매트릭스(106) 및 컬러 필터(107)를 포함한다.
기판(101) 상에 유기 발광 소자로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02)가 구비되어 있다. 기판(101)으로는 글라스재 기판뿐만 아니라 아크릴과 같은 다양한 플라스틱재 기판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금속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기판(101)상에는 필요에 따라 버퍼층(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밀봉기판(103)은 디스플레이부(102) 상부에 배치되며 기판(101)과 합착된다. 밀봉기판(103) 역시 글라스재 기판뿐만 아니라 아크릴과 같은 다양한 플라스틱재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밀봉기판(103)은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발생한 빛에 대해 높은 투과성을 갖는 전기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알칼리 유리(alkai glass), 무알칼리 가스(gas)등의 투면 유리 (glass)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ene tere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 에테르 술폰(Polyether sulfone), 폴리 불화 비닐(PVF), 폴리 아크릴레이트(Poly acrylate), 산화 지르코늄(zirconia) 등의 투명 세라믹스(ceramics), 또는 석영 등을 들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은 밀봉기판(103)의 디스플레이부(102)를 향한 면 상에 형성된다.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은 복수 개의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렌즈는 디스플레이부(102)에 포함된 복수 개의 서브 픽셀와 1 대 1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1 대 1도 대응된다는 것은, 한 개의 렌즈가 빛을 방출하는 한 개의 서브 픽셀에만 대응되고, 각 렌즈의 중심과 각 서브 픽셀의 중심이 동일 직선상에 있는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이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을 이루는 렌즈들과 서브 픽셀들을 1 대 1로 대응시킴으로써 렌즈들에 의해 서브 픽셀들의 빛이 집광되는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광추출효율이 증가된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을 이루는 렌즈들과 서브 픽셀들을 1 대 1로 대응시킴으로써 각 서브 픽셀들에서 방출되는 빛이 각 서브 픽셀에 대응되는 렌즈에 집광되므로 화상의 직진성이 향상된다.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의 렌즈 각각은 디스플레이부(102)에 대하여 볼록한 형성을 가질 수 있으며, 가장 볼록한 부분의 높이(t)는 15 내지 20㎛일 수 있다.
격벽(105)은 밀봉기판(103)과 기판(101) 사이에 형성되며,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과 디스플레이부(102)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한다. 격벽(10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픽셀(102R, 102G, 102B)을 한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서브 픽셀(102R, 102G, 102B) 각각을 한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은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방출되는 빛을 집광하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광추출효율을 증가시킨다.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에 의한 광추출효율은 디스플레이부(102)와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과의 간격에 따라 달라진다. 격벽(105)은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과 디스플레이부(10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디스플레이부(102)와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 사이의 간격(h)과 광추출효율(G)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102)에 있어서, 서브 픽셀의 크기가 대략 32㎛인 경우의 디스플레이부(102)와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과의 간격(h)에 따른 렌즈 중심에서의 광추출효율(G)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을 이루는 렌즈의 두께(t)는 대략 15㎛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02)와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과의 간격(h)이 증가함에 따라 광추출효율(G)이 증가함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부(102)와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 사이의 간격(h)이 증가할수록 광추출효율(G) 이 계속 증가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부(102)와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 사이의 간격(h)이 대략 36㎛일 때 138%의 최대 광추출효율(G)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격벽(105)은 최대 광추출효율(G)을 얻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02)와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 사이의 간격(h)을 유지시키는 격벽(10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서브 픽셀의 크기가 대략 32㎛이고,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을 이루는 렌즈의 높이가 대략 15㎛인 경우 최대 광추출효율(G)은 디스플레이부(102)와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과의 간격(h)이 대략 36㎛일 때이므로, 격벽(105)의 높이는 대략 51㎛가 바람직하다.
격벽(105)이 복수 개의 서브 픽셀 각각을 한정함으로써 많은 수의 격벽(105)이 밀봉기판(103)과 기판(101) 사이에 형성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서 밀봉기판(103)이 기판(101) 쪽을 향하여 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기판(103)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과 격벽(105)은 밀봉기판(10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밀봉기판(103)의 일면을 에칭하여 복수 개의 렌즈와 격벽(105)을 형성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06)는 격벽(105)의 하부 즉, 기판(101)에 인접한 격벽(105)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06)는 복수 개의 서브 픽셀(102R, 102G, 102B)들을 한정한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106)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 300)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을 흡수하여 명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컬러 필터(107)은 밀봉기판(103)의 상면 즉, 마이크로 렌즈 유닛(104)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청색광을 발생하는 서브 픽셀(102B), 녹색광을 발생하는 서브 픽셀(102G), 적색광을 발생하는 서브 픽셀(102R)은 발광효율이 서로 차이가 있다. 컬러 필터(107)는 각 색의 균일한 발광을 확보하며, 화이트 밸런스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00)와는 격벽(205)의 배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격벽(205)은 청색광을 발생하는 서브 픽셀(102B), 녹색광을 발생하는 서브 픽셀(102G) 및 적색광을 발생하는 서브 픽셀(102R)을 3개씩 한정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격벽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픽셀을 한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
도 3에서는 각 서브 픽셀(102R, 102G, 102B)에 대하여 마이크로 렌즈 유닛(204)가 1 대 1로 대응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색광을 발생하는 서브픽셀(102B), 녹색광을 발생하는 서브 픽셀(102G) 및 적색광을 발생하는 서브 픽셀(102R)로 이루어진 RGB 픽셀 한 개에 대응하여 마이크로 렌즈 유닛이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도 6a 및 도 6b는 3개의 서브픽셀, 즉 RGB 픽셀에 대응하여 한 개의 렌즈가 형성된 본 발명에 관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의 색왜곡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또한,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유 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색왜곡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상기 시뮬레이션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 방출면을 회전시키면서 회전 위치에 따른 색감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30° 내지 150°에서 붉은 색 부분이 왼쪽으로 치우쳐져 있어 다소간의 색왜곡이 발생한다. 그러나,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하 좌우 대칭이 잘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위치에 따라 색왜곡이 발생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서브 픽셀과 렌즈를 1 대 1 대응되도록 함으로써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색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Ⅱ-Ⅱ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도 1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00)와는 마이크로 렌즈 유닛(304)을 구성하는 렌즈의 형태에서 차이가 있다. 즉, 도 4 및 도 5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마이크로 렌즈 유닛(304)은 한 개의 렌즈에 대해 동일한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 개의 서브 픽셀(102B)이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기판(101)상에는 행 방향으로 적색광을 내는 서브 픽셀(102R), 녹색광을 내는 서브 픽셀(102G), 청색광을 내는 서브 픽셀(102G)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열 방향으로는 같은 색의 광을 내는 서브 픽셀이 배열된다. 도 5는 도 4에서 Ⅱ-Ⅱ선을 취한 단면도로서, 열 방향으로 같은 광을 내는 서브 픽셀(102B)이 배열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마이크로 렌즈 유닛(304)의 렌즈는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같은 광을 내는 복수 개의 서브 픽셀(102B)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렌즈 유닛(304)의 렌즈는 원통형 렌즈(cylinderical lens)일 수 있다. 즉, 같은 과을 내는 열 방향의 복수 개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도록 원통형 렌즈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렌즈 유닛(304)의 렌즈는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일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디스플레이부(102)의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기판(101) 상에 복수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220)들이 구비되어 있고, 이 박막 트랜지스터(220)들 상부에는 유기 발광 소자(230)가 구비되어 있다. 유기 발광 소자(230)는 박막 트랜지스터(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서브 픽셀전극(231)과, 기판(101)의 전면(全面)에 걸쳐 배치된 대향전극(235)과, 서브 픽셀전극(231)과 대향전극(235)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33)을 구비한다.
기판(101) 상에는 게이트 전극(221),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223), 반도체층(227), 게이트 절연막(213) 및 층간 절연막(215)을 구비한 박막 트랜지스터(220)가 구비되어 있다. 물론 박막 트랜지스터(220) 역시 도 9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도체층(227)이 유기물로 구비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실리콘으로 구비된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박막 트랜지스터가 이용될 수 있다. 이 박막 트랜지스터(220)와 기판(101)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등으로 형성된 버퍼층(211)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유기 발광 소자(230)는 상호 대향된 서브 픽셀전극(231) 및 대향전극(235)과, 이들 전극 사이에 개재된 유기물로 된 중간층(233)을 구비한다. 이 중간층(233)은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층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층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서브 픽셀전극(231)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대항전극(235)은 캐소드 전극의 기능을 한다. 물론, 이 서브 픽셀전극(231)과 대항전극(235)의 극성은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서브 픽셀전극(231)은 투명전극 또는 반사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투명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될 수 있고, 반사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또는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된 막을 구비할 수 있다.
대항전극(235)도 투명전극 또는 반사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투명전극으로 구비될 때는 Li, Ca, LiF/Ca, LiF/Al, Al, Mg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 서브 픽셀전극(231)과 대항전극(235) 사이의 중간층(233)을 향하도록 증착된 막과,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전극 형성용 물질로 형성된 보조 전극이나 버스 전극 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Li, Ca, LiF/Ca, LiF/Al, Al, Mg 또는 이들의 화합물을 증착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서브 픽셀 정의막(PDL: pixel defining layer, 219)이 서브 픽셀전 극(231)의 가장자리를 덮으며 서브 픽셀전극(231) 외측으로 두께를 갖도록 구비된다. 서브 픽셀 정의막(219)은 발광 영역을 정의해주는 역할 외에, 서브 픽셀전극(231)의 가장자리와 대항전극(235) 사이의 간격을 넓혀 서브 픽셀전극(231)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전계가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서브 픽셀전극(231)과 대항전극(235)의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서브 픽셀전극(231)과 대항전극(235) 사이에는,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다양한 중간층(233)이 구비된다. 이 중간층(233)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저분자 유기물을 사용할 경우 정공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유기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저분자 유기물은 마스크들을 이용한 진공증착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분자 유기물의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홀 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 물질을 사용한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230)는 그 하부의 박막 트랜지스터(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이때 박막 트랜지스터(220)를 덮는 평탄화막(217)이 구비될 경우, 유기 발광 소자(230)는 평탄화막(217) 상에 배치되며, 유기 발광 소자(230)의 서브 픽셀전극(231)은 평탄화막(217)에 구비된 컨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230)는 대향 기판(300)에 의해 밀봉된다. 밀봉기판(103)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글라스 또는 플라스틱재 등의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능동 구동형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격벽가 구비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동 구동형(PM: passive matrix)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더 나아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비롯한 다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밀봉기판과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격벽을 배치하여 마이크로 렌즈 유닛과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높이를 유지함으로써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밀봉기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Claims (13)

  1.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 개의 서브 픽셀을 갖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부에 배치된 밀봉기판;
    상기 밀봉기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향한 면에 형성되고, 복수 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렌즈 유닛;
    상기 밀봉기판과 상기 기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의 하부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렌즈는 상기 복수 개의 서브 픽셀와 1 대 1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복수 개의 서브 픽셀 각각을 한정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픽셀을 한정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기판, 상기 마이크로 렌즈 유닛 및 상기 격벽은 일체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볼록한 형상을 갖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기판의 상면에 배치된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유닛은 한 개의 상기 렌즈에 대해 동일한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 개의 서브 픽셀이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렌즈 사이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기판, 상기 마이크로 렌즈 유닛 및 상기 격벽은 일체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원통형 렌즈(Cylinderical lens)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기판의 상면에 배치된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0058005A 2007-06-13 2007-06-13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38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005A KR100838087B1 (ko) 2007-06-13 2007-06-13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12/068,363 US7948166B2 (en) 2007-06-13 2008-02-05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005A KR100838087B1 (ko) 2007-06-13 2007-06-13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087B1 true KR100838087B1 (ko) 2008-06-16

Family

ID=3977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005A KR100838087B1 (ko) 2007-06-13 2007-06-13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48166B2 (ko)
KR (1) KR1008380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25418A (zh) * 2020-05-21 2020-09-29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
US11139346B2 (en) 2018-05-29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3573A1 (fr) * 2011-04-01 2012-10-05 St Microelectronics Grenoble 2 Boitier semi-conducteur comprenant un dispositif semi-conducteur optique
KR101884737B1 (ko) * 2011-08-09 2018-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4120433A (ja) * 2012-12-19 2014-06-30 Dainippon Printing Co Ltd トップエミッション型有機el表示装置
CN103094312B (zh) * 2013-01-11 2015-08-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面板
KR102360089B1 (ko) 2014-08-05 2022-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658437A (zh) * 2015-03-17 2015-05-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048994B1 (ko) * 2018-01-16 2019-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04652A1 (ja) * 2020-06-29 2022-01-06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表示装置
KR20240088100A (ko) * 2022-12-13 2024-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광학 렌즈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1350A (ja) 2002-06-27 2004-01-29 Eastman Kodak Co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式有機発光ダイオード表示装置
JP2004039500A (ja) 2002-07-04 2004-02-05 Seiko Epson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4227940A (ja) 2003-01-23 2004-08-12 Seiko Epson Corp 表示体、表示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20050078287A (ko) * 2004-01-29 200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el 소자의 제조방법
KR20060081190A (ko) * 2005-01-07 2006-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2918B2 (ja) * 2002-10-24 2008-01-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837369B2 (en) * 2007-01-22 2010-11-23 Seiko Epson Corporation Light-emitting device, image-prin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aling memb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1350A (ja) 2002-06-27 2004-01-29 Eastman Kodak Co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式有機発光ダイオード表示装置
JP2004039500A (ja) 2002-07-04 2004-02-05 Seiko Epson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4227940A (ja) 2003-01-23 2004-08-12 Seiko Epson Corp 表示体、表示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20050078287A (ko) * 2004-01-29 200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el 소자의 제조방법
KR20060081190A (ko) * 2005-01-07 2006-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9346B2 (en) 2018-05-29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US11711959B2 (en) 2018-05-29 2023-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CN111725418A (zh) * 2020-05-21 2020-09-29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
CN111725418B (zh) * 2020-05-21 2022-08-30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48166B2 (en) 2011-05-24
US20080309224A1 (en)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087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1139401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64225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55736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30799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352283B1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8398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8344619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22042059A1 (zh) 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10197119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20153321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864332B1 (ko) 유기발광소자
US2010019377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456704A (zh) 有机发光显示装置
EP3316312B1 (en) Display device having emitting areas
KR10264841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19683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mask scanning deposition technique
KR20080090945A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921076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4174804A1 (ja) 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615230B1 (ko)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94455A (ko)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59097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70374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16962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