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032A - 통로의 바닥부, 측벽 또는 천장의 부분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구조물 - Google Patents

통로의 바닥부, 측벽 또는 천장의 부분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032A
KR20160017032A KR1020167000045A KR20167000045A KR20160017032A KR 20160017032 A KR20160017032 A KR 20160017032A KR 1020167000045 A KR1020167000045 A KR 1020167000045A KR 20167000045 A KR20167000045 A KR 20167000045A KR 20160017032 A KR20160017032 A KR 20160017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elongated
carriage
elongated panel
longitudi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2432B1 (ko
Inventor
그레이엄 스티븐 스미스
Original Assignee
델러 커플러스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러 커플러스 아베 filed Critical 델러 커플러스 아베
Publication of KR20160017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20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 B61D17/22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flexible, e.g. be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5/00Gangways for coupled vehicles, e.g. of concertina type
    • B60D5/003Bellows for interconnecting vehic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5/00Gangways for coupled vehicles, e.g. of concertina type
    • B60D5/006Passages between articulated vehicles, e.g. bridges or rotat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20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loor Finish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객차를 제2 객차와 연결하고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통로에 관한 것이며, 따라서 상기 통로는 제1 및 제2 후프를 갖고, 상기 제1 후프는 그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서 직선 섹션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제1 후프 및 제2 후프에는 연결 요소가 연결되고, 따라서 상기 연결 요소는 세장형 자유 표면을 가지며, 따라서 연결 요소의 세장형 자유 표면은 제1 후프의 직선 섹션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Description

통로의 바닥부, 측벽 또는 천장의 부분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구조물{STRUCTURE SUITABLE TO FORM PART OF A FLOOR, A SIDEWALL OR A CEILING OF A GANGWAY}
본 발명은 제1 객차를 제2 객차와 연결하고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통로(gangway)의 바닥부, 측벽 또는 천장의 부분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객차를 제2 객차와 연결하고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통로의 바닥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객차를 제2 객차와 연결하고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통로의 측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객차를 제2 객차와 연결하고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통로의 천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객차를 제2 객차와 연결하고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통로에 관한 것이다.
다중-객차 차량(multi-car vehicle)은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설계로 알려져 있다. 다중-객차 차량, 예를 들어 선로-구속 열차(노면 전차 및 지하철-열차도 이러한 열차로 간주됨)는 공지되어 있으며, 승객 운송뿐 아니라 화물 운송 용으로 공지되어 있다. 다중-객차 차량의 추가 형태는 자기 선로 열차일 수 있거나 버스(도로 버스뿐 아니라 고정 트랙 상에서 주행하는 버스)일 수 있다. 다중-객차 차량의 객차는 자립형 객차일 수 있으며, 따라서 객차는 예를 들어 3륜차, 4륜차 또는 더 많은 바퀴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 객차와 같은 다른 객차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스스로 설 수 있도록 충분한 위치에 배치되는 충분한 바퀴를 갖는다. 다중-객차 차량의 객차는 비자립형일 수도 있으며, 따라서 객차는 바퀴를 전혀 갖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개수로 제공되거나 객차가 스스로 서있을 수 없지만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객차에 의해 수직으로 지지되는 장소에 배치되는 바퀴만 갖는다.
본 발명은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형태의 다중-객차 차량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객차를 제2 객차와 연결하고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통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다중-객차 차량의 객차는 상당한 인력 및 척력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객차를 연결하는 예를 들어 커플러와 같은 개별 연결 장치에 의해 연결될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통로는 개별적으로 설계되며 주로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에 대한 요구와 더불어 설계된다.
통로는 통상적으로 승객을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에 적합하다. 이와 관련하여 해결되어야 할 하나의 과제는 통로가 취할 모든 작동 모드에서 승객이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해결되어야 할 추가 과제는 승객에게 해로울 수 있는 통로 내의 장애물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통로는 바람직하게 승객이 하나의 객차에서 다른 객차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큰 내부 폭을 가져야 한다.
이들 과제의 적어도 일부는 청구항 1에 따른 구조물, 청구항 8에 따른 통로의 바닥부, 청구항 15에 따른 통로의 측벽, 청구항 19에 따른 통로의 천장 및 청구항 20에 따른 통로에 의해 해결된다. 추가 실시예가 종속항 및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는 통로의 바닥부, 측벽 또는 천장의 부분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모듈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서로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여러 개의 모듈로 구성되는 구조물은 통로의 각각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 상이한 형상을 취하도록 구조물에 일정한 유연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은 세장형 패널이다. 패널의 사용은 통로의 바닥부, 측벽 또는 천장의 부분이 되기에 필요한 강성을 구조물에 부여한다. 이 강성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대체예에서 제1 세장형 패널이 제1 세장형 패널의 후방 단부가 제2 세장형 패널의 전방에 있고 제2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가 제1 세장형 패널의 후면 뒤에 있도록 제2 세장형 패널과 중첩되며 제2 세장형 패널이 제2 세장형 패널의 후방 단부가 세장형 단부-패널의 전방에 있고 세장형 단부-패널의 전방 단부가 제2 세장형 패널의 후면 뒤에 있도록 세장형 단부-패널과 중첩되는 사실로 인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대체예에서, 제1 세장형 패널은 제1 세장형 패널의 후방 단부가 제2 세장형 패널의 후면 뒤에 있고 제2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가 제1 세장형 패널의 전면 앞에 있도록 제2 세장형 패널과 중첩되며 제2 세장형 패널은 제2 세장형 패널의 후방 단부가 세장형 단부-패널의 후면 뒤에 있고 세장형 단부-패널의 전방 단부가 제2 세장형 패널의 전면 앞에 있도록 세장형 단부-패널과 중첩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주로 본 발명의 제1 대체예와 관련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지만, 후술되는 특정 실시예는 제2 대체에의 가능한 실시예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장점은 전술한 방식으로 배치되는 제1 세장형 패널, 제2 세장형 패널 및 단부-패널에 의해 이미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점은 더 많은 세장형 패널이 사용될수록 더 많이 달성된다. 더 많은 패널이 사용되고 더 슬림한 패널이 선택될수록, 구조물은 통로의 이동을 보다 밀착하여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대체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3 세장형 패널은 제3 세장형 패널의 후방 단부가 제1 세장형 패널의 전방에 있고 제1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가 제3 세장형 패널의 후면 뒤에 있도록 제1 세장형 패널과 중첩된다. 본 발명의 제1 대체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4 세장형 패널은 제4 세장형 패널의 후방 단부가 제3 세장형 패널의 전방에 있고 제3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가 제4 세장형 패널의 후면 뒤에 있도록 제3 세장형 패널과 중첩된다. 본 발명의 제1 대체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5 세장형 패널은 제5 세장형 패널의 후방 단부가 제4 세장형 패널의 전방에 있고 제4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가 제5 세장형 패널의 후면 뒤에 있도록 제4 세장형 패널과 중첩된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술한 시리즈는 구조물이 제6 세장형 패널도 구비하도록, 바람직하게 제7 세장형 패널도 구비하도록, 바람직하게 제8 세장형 패널도 구비하도록, 바람직하게 제9 세장형 패널도 구비하도록, 바람직하게 제10 세장형 패널도 구비하도록 이런 식으로 계속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조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시리즈로 배치되는 열다섯 개의 패널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조물은 열다섯 개 미만의 패널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부-패널은 세장형 패널의 줄에서 마지막 패널이다. 세장형 단부-패널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후방 단부가 인접 요소의 전면의 앞에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단부-패널은 세장형 단부-패널의 후방 단부가 인접 요소의 후면 뒤에 배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판이 객차에 부착될 수 있고 통로의 바닥부 상에 놓이는 열차 설계가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발판은 단부-패널 상에 놓인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부-패널은 인접 객차에 직접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부-패널을 제외한 구조물의 모든 패널은 형상 및 구조가 동일하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부-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모든 패널은 형상 및 구조가 동일하다. 이것은 구조물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패널을 동일하게 만들면 통로가 하나의 작동 모드에서 다른 작동 모드로 이동할 때의 패널 움직임에 대한 예상이 용이해진다. 또한, 패널을 동일하게 만들면 구조물이 대칭적인 외관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승객의 눈을 즐겁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세장형 패널, 제2 세장형 패널 및/또는 세장형 단부-패널은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중앙 섹션을 갖는다. 통로는 보통 제1 작동 모드[대부분의 경우에 각각의 차량이 직선으로 주행(차량의 객차들이 직선으로 배치됨)하고 있을 때 통로가 취하는 작동 모드]에서 바닥부, 천장 및 측벽이 대략 장방형 형상이도록 설계된다. 패널을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중앙 섹션을 갖도록 선택하는 것은 구조물이 그 부분을 형성하는 바닥부, 측벽 또는 천장이 통로의 제1 작동 모드에서 대략 장방형 형상을 취하도록 구조물을 설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중앙 섹션은 각 패널의 전방 단부의 부분을 형성하는 제1 세장형 측부를 가지며, 각 패널의 후방 단부의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측부와 평행한 제2 세장형 측부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세장형 패널, 제2 세장형 패널 및/또는 세장형 단부-패널은 각 패널의 각각의 종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측단 섹션을 가지며, 따라서 각각의 종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측단 섹션의 폭은 각각의 종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감소된다. 각각의 종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측단 섹션의 폭이 감소되는 것은 각 패널을 그 단부 쪽으로 갈수록 더 작게 만든다. 이로 인해 패널의 이 단부 및 인접한 패널의 인접한 단부는 각 패널의 측단부가 서로 맞닿거나 패널의 각각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호 근접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구조물이 바닥부의 부분을 형성하거나 통로의 천장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시예에서, 이러한 설계는 각각의 차량이 굴곡부를 돌아가고 있고 전술한 방식으로 설계된 측단 섹션이 곡선의 내부에 배치되는 작동 모드에서 도움이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패널은 산개될 것이며 각각의 측단 섹션의 테이퍼진 설계는 이 운동을 촉진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구조물이 측벽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시예에서, 이러한 설계는 각각의 차량이 언덕-꼭대기를 넘어가거나 골짜기를 통과하는 작동 모드에서 도움이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패널은 산개될 것이며 각각의 측단 섹션의 테이퍼진 설계는 이 운동을 촉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종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측단 섹션의 폭은 각각의 종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동일하게 감소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단 섹션은 패널의 부분을 형성하는 중앙 섹션의 제1 세장형 측부에 의해 형성되는 전방 단부와 합치되는 전방 단부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의 측단 섹션의 폭은 따라서 후방 단부를 전방 단부 쪽으로 근접 이동시킴으로써 감소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종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단부 섹션의 폭은 각각의 종축을 따라서 둘 이상의 다른 방향으로 감소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단 섹션의 후방 단부는 중앙 섹션에 근접한 측단 섹션 부분의 종축에 대해 보다 급격한 각도로 배치된다. 중앙 섹션으로부터 이격된 측단 섹션 부분에 있어서, 측단 섹션의 후방 단부는 종축에 대해 상기 급격한 각도보다 얕은 각도로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세장형 패널은 그 종축을 따라서 제2 세장형 패널에 대해 이동할 수 있거나 및/또는 제2 세장형 패널은 그 종축을 따라서 세장형 단부-패널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예를 들어 상호 연결되는 제1 객차 및 제2 객차가 직선으로 배치되지 않지만 그 종축이 상호 평행하게 오프셋되는(구조물이 통로의 바닥부 또는 천장의 부분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수평으로 오프셋되고, 구조물이 통로의 측벽의 부분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수직으로 오프셋됨) 작동 모드에서 패널 사이의 측방 전단을 허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세장형 패널 및 제2 세장형 패널은 제1 작동 모드에서 제1 종축이 제2 종축에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따라서 제1 세장형 패널은 다른 작동 모드에서 제1 종축이 제2 종축에 경사지도록 제2 세장형 패널에 대해 선회할 수 있으며, 경사 각도는 0°내지 180°이다. 이러한 설계는, 구조물이 통로의 바닥부 또는 천장의 부분을 형성하고 다중-객차 차량이 굴곡부를 돌아서 주행하는 작동 모드에서 유리하다. 패널이 산개하는 이러한 턱관절 운동은 패널의 측단 섹션이 굴곡부의 내측에서 상호 근접 이동할 수 있게 하며 패널의 측단 섹션이 굴곡부의 외측에서 상호 이격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구조물이 통로의 측벽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시예에서, 이러한 턱관절 운동은 차량이 언덕-꼭대기를 넘어가거나 골짜기를 통과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세장형 패널에는 요소가 부착되고, 따라서 이 요소의 일부는 제2 세장형 패널의 후면 뒤에 도달하며 및/또는 제2 세장형 패널에는 요소가 부착되고 이 요소의 일부는 세장형 단부-패널의 후면 뒤에 도달한다. 인접한 패널의 후면 뒤에 도달하는 이런 요소를 제공하는 것은 각 패널의 그 후면이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구조물이 통로의 바닥부 또는 천장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때, 상기 요소는 제1 세장형 패널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제2 세장형 패널의 후면 뒤에 도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인접한 패널의 후면 뒤에 도달하는 이 요소는 각 패널의 종축에 대해 경사져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이러한 요소가 인접한 세장형 패널의 그 각각의 종축 방향으로의 서로에 대한 상대 운동(전단 운동)을 제한하는 제한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세장형 패널은 맞닿음 요소를 가지며, 제1 세장형 패널에 부착되고 제2 세장형 패널의 후면 뒤에 도달하는 요소는 두 개의 패널이 전단 운동 중에 서로에 대한 소정 위치에 도달할 때 제2 세장형 패널의 후면에 부착된 이 맞닿음 요소에 대해 맞닿는다. 반대 방향으로의 전단 운동을 위해서, 추가 맞닿음 요소가 제공될 수 있거나, 각각의 인접한 패널의 각각의 후면 뒤에 도달하는 요소는 두 개의 인접 판의 요소가 서로 맞닿아 종축 방향으로의 추가 상대 운동을 정지시키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세장형 패널의 후면 뒤에 도달하는 제1 세장형 패널에 부착된 요소는 각 패널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실시예는 구조물이 통로의 측벽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배치에서, 측부 패널은 수직으로 연장되어 하나의 측단 섹션(하측 단부 섹션)에 놓이도록 구조물 내에 조립될 수 있다. 이 하측 단부 섹션에 또한 그 반대쪽인 상측 단부 섹션에는, 종축에 평행하게, 바람직하게는 각 패널의 전방 단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요소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인접 패널은 제1 세장형 패널과 그 요소 사이에서 상기 요소가 제2 세장형 패널의 후면 뒤에 도달하도록 슬릿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인접한 세장형 패널의 후면 뒤에 도달하는 요소는 후크 형상일 수 있다. 후크 형상의 사용은 인접한 패널의 일 방향(예를 들면 각 패널의 후면이 향하는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패널의 다른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도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패널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으로 제조되거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거나, 목재로 제조되거나, 예를 들어 목재와 플라스틱의 조합 또는 목재와 금속의 조합 또는 금속과 플라스틱 재료의 조합과 같은 복합 재료로 제조된다. 패널 상호 간의 서로에 대한 이동을 촉진하기 위해서, 특히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부분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인접한 패널의 부분 상에 놓이는 부분에 있어서, 각각의 패널에는 패널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코팅이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마모 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세장형 패널은 미끄럼 방지 목적으로 또는 미관상 목적으로 표면 재료에 의해 부분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정상 작동 모드 도중에 인접 패널에 의해 쓸려나가는 세장형 패널의 부분에는 일체의 표면 코팅이 부착되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패널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 패널 전체는 그 종축 주위로 휘어질 수 있거나 및/또는 종축에 수직한 축 주위로 휘어질 수 있거나 및/또는 패널의 마주보고 위치하는 코너가 상호 근접 이동할 수 있도록 휘어질 수 있다. 패널의 이러한 가요성은 구조물이,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이 그 부분을 형성하는 통로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다중-객차 차량의 객차가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거나 비틀리는 움직임과 같은 움직임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패널은 주로 그 종축을 따라서 연장되며, 종축에 수직한 축을 따라서 어느 정도 연장되지만, 이들 두 축에 수직한 방향(높이 방향)으로는 작은 정도만 연장된다. 패널의 높이 방향으로의 연장은 주로 아마도 패널에 부착되고 인접 패널의 후면 뒤에 도달하기에 적합한 요소에 의해 영향받거나 또는 각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는 맞닿음 요소에 의해 영향받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패널은 다른 추가 요소가 부착되는 시트-타입 기초 보디(basic body)를 갖는다. 이 시트-타입 기초 보디는 평탄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기초 보디의 후방 단부가 인접 패널의 후면 뒤에 도달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전방 단부와 인접하는 기초 보디 부분은 외측으로(후방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패널은 그 종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1.5m 이상, 바람직하게 2m 이상, 바람직하게 2.5m 이상, 바람직하게 3m 이상, 바람직하게 3.5m 이상, 바람직하게 4m 이상의 길이이고, 종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0.1m 이상, 바람직하게 0.15m 이상, 바람직하게 0.2m 이상, 바람직하게 0.25m 이상, 바람직하게 0.3m 이상, 바람직하게 0.35m 이상, 바람직하게 0.4m 이상, 바람직하게 0.45m 이상의 길이이며, 종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0.5m 미만의 길이이고, 이들 두 축에 수직한 방향(높이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2mm 이상, 바람직하게 3mm 이상, 바람직하게 5mm 이상, 바람직하게 10mm 이상, 바람직하게 12mm 이상, 바람직하게 15mm 이상, 바람직하게 20mm 이상, 바람직하게 25mm 이상, 바람직하게 30mm 이상의 길이이다. 대체 실시예에서, 세장형 패널은 이들 두 축에 수직한 방향(높이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10mm 미만, 바람직하게 5mm 미만의 길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초 보디는 하나의 단일 재료로 제조된다. 대체 실시예에서, 기초 보디는 여러 개의 재료로 제조된다. 기초 보디는 다른 재료, 예를 들면 마모 패드로서 적합한 재료의 삽입체를 가질 수 있으며, 기초 보디의 나머지는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다. 삽입체는 세장형 패널의 조립-높이를 감소시키고 평평한 전면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단차 높이(step-height)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단차-높이는 패널의 전방과 중첩되어 단차를 생성하는 인접 패널에 의해 생성되는 단차이다. 훨씬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세장형 패널의 전면 앞에 배치되는 인접한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에 의해 쓸려나갈 세장형 패널의 전면의 표면적은 이 패널의 전면의 잔여부에 대해 하강된다. 이것은 단차-높이를 훨씬 더 감소시킬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초 보디의 표면적의 30% 이상, 바람직하게 40% 이상, 바람직하게 50% 이상, 바람직하게 60% 이상, 바람직하게 70% 이상은 패널의 종축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기초 보디의 질량 중심이 인접 패널의 질량 중심과 직선으로 정렬되는 작동 모드에서 인접 패널과 중첩되며, 상기 직선은 각 패널의 각각의 종축에 수직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방 단부는 기초 보디의 전방 에지에 의해 제공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패널의 후방 단부는 기초 보디의 후방 에지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로의 바닥부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닥부는 승객이 볼 수 있는 통로 바닥부의 바닥부의 표면적이 되기에 적합한 표면적을 가지며,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표면적의 적어도 상당 부분, 바람직하게 51% 이상, 바람직하게 75% 이상이 구조물의 표면에 의해 제공되며, 바람직하게 이 표면적의 전부가 구조물의 표면에 의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작동 모드에서 제1 종축, 제2 종축 및 제3 종축은 본질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는 제1 빔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는 제2 빔에 의해 지지되며 및/또는 종방향 단부-패널의 전방 단부는 단부 빔에 의해 지지된다. 빔 상에서의 패널 지지는 패널의 기초 보디가 빔과, 예를 들면 빔 상에 놓이는 기초 보디의 전방 에지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초 보디가 맞닿음 요소를 거쳐서 빔 상에 놓이도록 기초 보디의 전방 단부와 빔 사이에 맞닿음 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들 맞닿음 요소는 빔이나 패널의 기초 보디의 탄성보다 높은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빔과 패널의 기초 보디 사이의 상대 운동을 허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빔은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빔은 패널의 종축을 따라서 또는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그 각각의 종축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빔은 빔의 종축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작동 모드로부터 빔이 상호 경사져 배치되는 제2 작동 모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는 제2 빔에 의해 지지되고 종방향 단부-패널의 전방 단부는 단부-빔에 의해 지지되며, 따라서 제1 빔과 제2 빔 사이에는 제1 탄성 요소가 배치되고 제2 빔과 제3 빔 사이에는 제2 탄성 요소가 배치되며 따라서 제1 탄성 요소와 제2 탄성 요소는 제1 빔, 제2 빔 및 제3 빔을 제1 빔과 제2 빔 사이의 거리가 제2 빔과 제3 빔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위치로 예비인장한다.
탄성 요소의 제공은 빔 상에 일체의 추가 힘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패널이 미리결정된 위치를 차지하도록 빔을 예비인장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탄성 요소는 빔 사이에 말굽-형상으로 배치되는 굴곡 탄성 밴드로 제조되며, 말굽의 세장형 직선 부분은 각각의 빔에 부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여러 개의 이러한 탄성 요소는 두 개의 빔 사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더 높은 복원력이 빔에 가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는 제1 빔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는 제2 빔에 의해 지지되며, 종방향 단부-패널의 전방 단부는 단부-빔에 의해 지지되고, 따라서 제1 빔, 제2 빔 및 제3 빔 각각은 구멍을 가지며, 추가 빔은 각각의 빔 안의 각각의 구멍을 통과한다.
이 배치는 다수의 빔이 서로에 대해 예정된 위치를 취하도록 보장해준다. 예를 들어, 전단 운동 중에, 제1, 제2 및 제3 빔의 구멍을 통해서 배치된 빔은 유사한 전단 운동을 따라가며, 예를 들어 제2 빔에 대해 이동하는 제1 빔에 의해 완전한 전단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여러 개의 빔, 바람직하게 세 개의 빔이 각각의 제1, 제2 및 제3 빔의 각각의 구멍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이들 빔 중 하나는 패널의 대략 중간에 배치되며, 두 개의 추가 빔은 각각의 빔의 측단 섹션을 향해서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빔은 안내 레일을 가질 수 있으며, 안내 요소가 각각의 패널에 부착되어 안내 레일 내에 휴지된다. 빔은 또한 그 표면 상에 마찰 감소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 마찰 감소면은 제1, 제2 및 제3 빔과 접촉하고 따라서 추가 빔에 대한 제1, 제2 및 제3 빔의 이동을 촉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는 제1 빔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는 제2 빔에 의해 지지되며, 따라서 요소는 예를 들어 제2 빔이 요소와 접촉함에 따라 제2 빔이 제1 빔에 대해 이동할 때 제2 빔이 제1 빔에 제1 거리 보다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빔으로부터 제1 거리 돌출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요소는 빔이 서로에 대해 미리결정된 양(요소가 제1 빔으로부터 돌출하는 양)보다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요소의 제공은 각각의 빔의 특정 섹션들이 상호 근접 이동한 작동 모드에서 패널의 대칭적 배치를 보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빔으로부터 돌출하는 요소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며, 이는 빔이 각각의 빔의 종축이 상호 경사져 배치되는 위치를 차지하는 것을 촉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빔으로부터 돌출하여 배치되는 요소는 빔이 돌출 요소에 대해 맞닿을 때 각각의 빔과 돌출 요소의 접촉을 감소시키기 위해 탄성 코팅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세장형 패널은 제1 종축에 평행하거나 동축적인 축 주위로 선회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및/또는 제2 세장형 패널은 제2 종축에 평행하거나 동축적인 축 주위로 선회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로의 측벽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벽은 승객이 볼 수 있는 통로 바닥부의 측벽의 표면적이 되기에 적합한 표면적을 가지며,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표면적의 적어도 상당 부분, 바람직하게 51% 이상, 바람직하게 75% 이상이 구조물의 표면에 의해 제공되며, 바람직하게 이 표면적의 전부가 구조물의 표면에 의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작동 모드에서 제1 종축, 제2 종축 및 제3 종축은 본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하나의 세장형 패널의 후방 단부를 각각의 인접한 세장형 패널의 전면에 대해 예비인장하거나 및/또는 각각의 인접한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를 각각의 하나의 세장형 패널의 후면에 대해 예비인장하는 탄성 요소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세장형 패널은 제1 종축의 방향으로 제1 세장형 패널의 일 단부를 형성하는 제1 측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측단부는 지지 요소에 의해 지지되고 및/또는 제2 세장형 패널은 제2 종축의 방향으로 제2 세장형 패널의 일 단부를 형성하는 제1 측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측단부는 지지 요소에 의해 지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세장형 패널 및 제2 세장형 패널은 상이한 지지 요소에 의해 지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종축의 방향으로 제1 세장형 패널의 제1 측단부와 대향하는 단부를 형성하는 제2 측단부는 유지 요소에 의해 유지되며 및/또는 제2 종축의 방향으로 제2 세장형 패널의 제1 측단부와 대향하는 단부를 형성하는 제2 측단부는 유지 요소에 의해 유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세장형 패널 및 제2 세장형 패널의 각각의 제2 측단부는 상이한 유지 요소에 의해 유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세장형 패널은 제1 종축에 평행하거나 동축적인 축 주위로 선회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및/또는 제2 세장형 패널은 제2 종축에 평행하거나 동축적인 축 주위로 선회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지지 요소가 제공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패널의 제1 측단부는 지지 요소 상에서 피봇된다. 유지 요소가 제공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패널의 제1 측단부는 유지 요소에 대해 피봇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로의 천장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천장은 승객이 볼 수 있는 통로 바닥부의 천장의 표면적이 되기에 적합한 표면적을 가지며,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표면적의 적어도 상당 부분, 바람직하게 51% 이상, 바람직하게 75% 이상이 구조물의 표면에 의해 제공되며, 바람직하게 이 표면적의 전부가 구조물의 표면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로는 제1 객차를 제2 객차와 연결하고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을 허용하기에 적합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 본 발명에 따른 측벽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로의 바닥부 또는 천장 또는 하나의 측벽 또는 양 측면만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장점이 통로의 가장 요구되는 부분에서 실현될 수 있게 하지만, 통로의 다른 부분은 간단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게 한다. 대체 실시예에서는, 바닥부 및 양 측벽이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되며, 따라서 바닥부 용으로 사용되는 패널은 측벽 용으로 사용되는 패널과 다른 설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바닥부, 양 측벽 및 천장이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되며, 따라서 바닥부 용으로 사용되는 패널은 측벽 용으로 사용되는 패널과 다른 설계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닥부 용으로 사용되는 패널 및 측벽 용으로 사용되는 패널은 다시 천장 용으로 사용되는 패널과 다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로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은 세장형 패널의 전방이 내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며, 통로의 내부는 승객이 하나의 객차에서 다음 객차로 이동하고자 할 때 통과하는 자유 체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패널의 내향 전방은 인접한 패널에 의해 중첩됨으로써 단지 부분적으로 커버되지만, 다른 상황에서는 커버되지 않으며 따라서 승객에게 보여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로는 벨로우즈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벨로우즈는 통로의 외피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바, 예를 들면 승객이 밟도록 의도된 통로 바닥부 부분 아래에서 개방되어 있는 동안 통로의 측벽 및 천장의 외향 부분을 형성하거나, 예를 들면 하나의 객차를 향하는 통로의 전방 및 다른 객차를 향하는 통로의 후방에서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만 통로의 측벽, 바닥부 및 천장의 외향 부분을 형성하고 따라서 통로를 완전히 둘러싼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로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은 벨로우즈 내부에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벨로우즈는 폴리머 재료로 제조되며, 진공 몰딩된 패널로 제조된 후프를 지지하기 위해 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벨로우즈의 하부 패널은 정비 접근을 위해서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벨로우즈는 미관상 그 위에 인쇄 패턴이 제공된 외부 직물 층을 갖는 폴리머 라미네이트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로는 일련의 후프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프는 본질적으로 장방형이고, 바람직하게 사각형인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너는 라운딩, 모떼기 또는 경사 가공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후프는 여러 개의 빔을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프는 승객이 통과하기에 충분히 큰 영역을 둘러싼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후프의 둘레를 따르는 어딘가에서, 후프 상의 대향 지점 사이의 거리, 바람직하게 후프가 장방형 형상인 경우에 후프의 부분을 형성하는 두 개의 평행한 빔 사이의 거리는 1.5m 초과, 바람직하게 1.75m 초과, 바람직하게 2m 초과, 바람직하게 2.5m 초과, 바람직하게 3m 초과이다. 특히 후프의 이러한 설계는 후프가 승객이 통과하기에 충분히 큰 영역을 둘러쌀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로의 후프는, 통로의 하나의 작동 모드에서 후프의 각각의 질량 중심이 직선 상에,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후프가 놓이는 각각의 평면에 수직한 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치된다. 이 작동 모드는 평지에서 직선을 따라서 주행하는 두 대의 객차 사이에 조립될 때 통로가 차지하는 작동 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벨로우즈는 후프에 부착된다. 이로 인해 후프는 벨로우즈를 지지할 수 있다. 대체 실시예에서는, 벨로우즈에 대한 별도의 지지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로의 부분을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에서의 세장형 패널의 개수는 통로의 후프의 개수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로의 부분을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각각의 세장형 패널은 후프의 부분을 구성하는 빔에 지지되거나 지지 방식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이 통로의 바닥부의 부분을 형성하는 실시예에서, 이 구조물의 각각의 세장형 패널은 후프의 부분을 구성하는 빔에 의해 그 전방 단부가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세장형 패널은 바람직하게 그 전방 단부가, 빔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후프의 부분을 구성하는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향된 빔에 의해 지지될 뿐 아니라, 후프의 부분을 구성하는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된 추가 빔에 대해 그 측단 섹션이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각각의 패널은 정해진 방식으로 후프에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패널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향된 빔에 의해 지지되는 패널에 의해 예를 들어 승객의 체중과 같은 수직 힘을 후프에 전달할 수 있다. 동시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된 빔에 대한 연결은 패널의 종축을 따라서 후프에 대한 세장형 패널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거나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된 빔에 대한 연결은, 후프가 인접한 후프에 대해 이동할 경우 후프가 패널을 빔과 함께 취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이 통로의 측벽의 부분을 형성하는 실시예에서, 이 구조물의 각각의 세장형 패널은, 바람직하게 패널의 제1 측단부에서, 후프의 부분을 구성하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된 빔에 연결되는 지지 요소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세장형 패널은 제1 측단부에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된 빔에 연결되는 지지 요소에 의해 지지될 뿐 아니라, 상기 제1 측단부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측단부에서 유지 요소에 의해 유지되며, 따라서 유지 요소는 후프의 부분을 구성하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된 빔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지지 요소가 연결되는 동일한 수직하게 배향된 빔에 연결된다. 지지 요소 및 유지 요소를 통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된 빔에 대한 연결은, 후프가 인접한 후프에 대해 이동할 경우 후프가 패널을 빔과 함께 취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설명은 작동 모드를 참조한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 본 발명에 따른 측벽,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및 본 발명에 따른 통로가 구조물의 다른 부분, 바닥부, 측벽, 천장, 통로 각각에 대해 상이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부분을 갖는 사실을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 본 발명에 따른 측벽,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및 본 발명에 따른 통로는 본 발명의 각각의 구조물의 세장형 패널의 질량 중심 전부가 하나의 직선 상에, 바람직하게 세장형 패널의 종축에 수직한 직선 상에 놓이는 작동 모드인 제1 작동 모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조물이 통로의 바닥부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조물이 통로의 제1 측벽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발명에 따른 제3 구조물이 제1 측벽과 대향하는 통로의 제2 측벽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시예에서, 제1 작동 모드에서는, 제1 구조물의 부분을 형성하는 세장형 패널의 질량 중심 전부가 제1 직선 상에, 바람직하게 세장형 패널의 종축에 수직한 직선 상에 놓이고, 제2 구조물의 부분을 형성하는 세장형 패널의 질량 중심 전부가 제2 직선 상에, 바람직하게 세장형 패널의 종축에 수직한 직선 상에 놓이며, 제3 구조물의 부분을 형성하는 세장형 패널의 질량 중심 전부가 제3 직선 상에, 바람직하게 세장형 패널의 종축에 수직한 직선 상에 놓인다.
바람직하게, 통로의 제1 작동 모드는 통로가 제1 객차와 제2 객차 사이에 조립되고 제1 및 제2 객차가 평면 상에서 직선을 따라 주행 중일 때 통로가 놓이는 모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이 통로의 바닥부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각각의 구조물의 세장형 패널의 질량 중심 전부가 제1 작동 모드에서 일직선 상에 놓이는 통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선은 제1 및 제2 객차의 종축에 대해 그리고 바람직하게 세장형 패널의 종축에 수직한 직선에 대해 평행하고 바람직하게는 그와 동일한 수직 평면에 놓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로는, 바닥부가 대략 링 또는 도넛의 작은 세그먼트의 형상을 취하고, 예를 들어 통로가 굴곡부를 돌아나가는 두 대의 객차 사이에 조립될 때 하나의 측벽이 대략 분할된 원호의 형상이도록 외측으로 구부러지며 대향 측벽이 대략 분할된 원호의 형상이도록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작동 모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은 각각의 세장형 패널의 종축이 평행하지 않지만 산개되는 상태에서 통로의 바닥부의 부분을 구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은 각각의 세장형 패널이 분할된 원호를 대체로 따르도록 대략 하나의 수직 평면 내에 배치되지 않지만 서로에 대해 이동되는 상태에서 통로의 측벽의 부분을 각각 구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로는, 예를 들어 두 대의 객차의 종축이 동축적이지만 제1 객차의 단부가 제2 객차의 인접 단부보다 낮은 상태에서 통로가 직선으로 달리는 두 대의 객차 사이에 조립될 경우에 바닥부가 대체로 장방형, 바람직하게 사각형의 형상을 취하고 측벽이 비-장방형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취하는 작동 모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은 각각의 세장형 패널의 각각의 질량 중심이 세장형 패널의 각각의 종축에 수직한 직선 상에 놓이는 상태에서 통로의 바닥부의 부분을 구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은 각각의 세장형 패널이 그 각각의 종축이 상호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지만 각각의 패널이 각각의 세장형 패널의 각각의 질량 중심이 직선 상에 있지만 상기 직선이 세장형 패널의 각각의 종축에 수직하지 않도록 그 각각의 종축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한 상태에서 통로의 측벽의 부분을 각각 구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로는 예를 들어 두 대의 객차의 종축이 평행하고 동일한 수평 평면에 있지만 동축적이지 않은 상태에서 통로가 직선으로 달리는 두 대의 객차 사이에 조립될 경우에 측벽이 대체로 장방형, 바람직하게 사각형의 형상을 취하고 바닥부가 비-장방형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취하는 작동 모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은 각각의 세장형 패널의 각각의 질량 중심이 세장형 패널의 각각의 종축에 수직한 직선 상에 놓이는 상태에서 통로의 각각의 측벽의 부분을 구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은 각각의 세장형 패널이 그 각각의 종축이 상호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지만 각각의 패널이 각각의 세장형 패널의 각각의 질량 중심이 직선 상에 있지만 상기 직선이 세장형 패널의 각각의 종축에 수직하지 않도록 그 각각의 종축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한 상태에서 통로의 바닥부의 부분을 각각 구성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대체 또는 추가 태양에 따르면, 제1 객차를 제2 객차와 연결하고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통로가 제1 및 제2 후프를 갖고, 상기 제1 후프는 그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서 직선 섹션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제1 후프 및 제2 후프에는 연결 요소가 연결되고, 따라서 상기 연결 요소는 세장형 자유 표면을 가지며, 따라서 연결 요소의 세장형 자유 표면은 제1 후프의 직선 섹션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설계는 통로의 후프가 상호 연결될 수 있게 하지만, 동시에 후프가 양 후프에 고정 연결되는 가요성 재료에 의해 상호 연결될 경우에 있을 수 있고 그 가요성에 의해서만 감당해야 하는 것보다 큰 후프 상호 간의 전단 운동을 허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세장형 자유 표면은 직선 섹션에 대해 직선 운동으로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세장형 자유 표면은 직선 섹션과 대면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로는 복수의 후프를 갖고, 각각의 후프는 직선 섹션을 가지며, 두 개의 인접한 후프 각각의 사이에는 두 개의 인접한 후프의 제1 후프 및 두 개의 인접한 후프의 제2 후프에 연결되는 연결 요소가 제공되고, 각각의 연결 요소는 두 개의 인접한 후프 중 하나의 후프의 직선 섹션과 대면하는 세장형 자유 표면을 가지며, 따라서 연결 요소의 세장형 자유 표면은 직선 섹션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대체 또는 추가 태양에 따르면, 통로가 제1 및 제2 후프를 갖고, 상기 제1 후프는 그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서 직선 섹션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제1 후프 및 제2 후프에는 연결 요소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 요소는 제1 후프의 부분으로 구성된 레일에 체결되고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한 연결 요소의 부분으로 구성된 돌출 요소에 의해서 또는 연결 요소의 부분으로 구성된 레일에 체결되고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한 제1 후프의 부분으로 구성된 돌출 요소에 의해서 제1 후프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대체 또는 추가 태양에 따르면, 통로는 일련의 포선체(convolute)로 구성된 벨로우즈를 갖고, 적어도 대부분의 포선체는 대략 말굽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제1 포선체는 제1 말굽형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을 제2 말굽형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에 부착시킴으로써 인접한 제2 포선체에 연결되고, 따라서 상기 연결은 제1 말굽형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이 제2 말굽형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은 제1 말굽형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에 연결되는 돌출 요소 및 제2 말굽형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에 연결되는 채널에 의해 형성되고, 따라서 돌출 요소는 이 돌출 요소가 채널을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채널 내부에 유지되며, 따라서 제1 말굽형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이 제2 말굽형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벨로우즈는 통로의 내향 천장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통로를 외부에서 둘러싸는 벨로우즈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벨로우즈는 통로의 바닥부 아래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포선체는 고무로 제조되거나 고무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말굽형 고무 포선체의 다른 세장형 섹션은 제3 말굽형 고무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에 고정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제2 말굽형 고무 포선체는 제3 말굽형 고무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에 봉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로는 다중-객차 차량의 제1 객차와 제2 객차 사이에 조립되며, 다중-객차 차량은 선로-구속 열차(노면 전차 및 지하철-열차도 이러한 열차로 간주됨)이거나 자기 선로 열차 또는 버스(도로 버스뿐 아니라 고정 트랙 상에서 주행하는 버스)이다. 다중-객차 차량의 객차는 자립형 객차일 수 있으며, 따라서 객차는 예를 들어 3륜차, 4륜차 또는 더 많은 바퀴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 객차와 같은 다른 객차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스스로 설 수 있도록 충분한 위치에 배치되는 충분한 바퀴를 갖는다. 다중-객차 차량의 객차는 비자립형일 수도 있으며, 따라서 객차는 바퀴를 전혀 갖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개수로 제공되거나 객차가 스스로 서있을 수 없지만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객차에 의해 수직으로 지지되는 장소에 배치되는 바퀴만 갖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그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할 뿐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일부의 저면도이다.
도 2는 제2 작동 모드에 있는 도 1의 구조물의 일부의 저면도이다.
도 3은 제3 작동 모드에 있는 도 1의 구조물의 일부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제4 작동 모드에 있는 도 1의 구조물의 일부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제5 작동 모드에 있는 도 1의 구조물의 일부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통로의 일부의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측벽의 세장형 패널이 보다 양호한 도시를 위해 나머지 부분 상으로 제거된 상태에서의 제2 작동 모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통로의 일부의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바닥부 및 측벽의 세장형 패널이 보다 양호한 도시를 위해 나머지 부분 상으로 제거된 상태에서의 제1 작동 모드와 다른 작동 모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통로의 일부의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통로의 측벽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세장형 패널의 제2 측단 섹션의 사시도이며, 제2 측단 섹션은 유지 요소에 의해 유지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통로의 추가적인 대체 또는 추가 태양의 도시도로서, 통로의 벨로우즈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은 통로의 바닥부의 부분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구조물(1)의 부분을 도시하며, 상기 통로는 제1 객차를 제2 객차와 연결하고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을 허용하기에 적합하다. 구조물(1)은 제1 종축(3)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세장형 패널(2)과, 제2 종축(5)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 세장형 패널(4), 및 제3 종축(7)을 따라서 연장되는 세장형 단부-패널(6)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제1 작동 모드에서, 종축(3, 5, 7)은 평행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하나의 절반부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절단선(8) 뒤에서 연장되는 제2 절반부는 도 1에 도시된 절반부의 거울-이미지이며, 상기 제2 절반부는 절단선(8)을 기준으로 가시적 절반부에 대해 선대칭이다.
제1 세장형 패널(2)은 도 1의 도면에서 볼 수 있는 후면(9) 및 도 1의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후면(9)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전면을 갖는다. 제2 세장형 패널(4)은 도 1의 도면에서 볼 수 있는 후면(10) 및 도 1의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후면(10)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전면을 갖는다. 세장형 단부-패널(6)은 도 1의 도면에서 볼 수 있는 후면(11) 및 도 1의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후면(11)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전면을 갖는다.
제1 세장형 패널(2)은 전방 단부(12) 및 종축(3)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방 단부(12)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후방 단부를 가지며, 후방 단부는 제1 세장형 패널(2)이 제1 세장형 패널(2)의 후방 단부가 제2 세장형 패널(4)의 전면의 앞에 있고 제2 세장형 패널(4)의 전방 단부(13)가 제1 세장형 패널(2)의 후면(9) 뒤에 있도록 제2 세장형 패널(4)과 중첩되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제2 세장형 패널(4)은 전방 단부(13) 및 종축(5)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방 단부(13)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후방 단부를 가지며, 후방 단부는 제2 세장형 패널(4)이 제2 세장형 패널(4)의 후방 단부가 세장형 단부-패널(6)의 전면의 앞에 있고 세장형 단부-패널(6)의 전방 단부(14)가 제2 세장형 패널(4)의 후면(10) 뒤에 있도록 세장형 단부-패널(6)과 중첩되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세장형 단부-패널(6)은 전방 단부(14) 및 종축(7)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방 단부(14)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후방 단부(15)를 갖는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세장형 패널(2), 제2 세장형 패널(4) 및 세장형 단부-패널(6)은 형상 및 구조가 동일하다.
제1 세장형 패널(2), 제2 세장형 패널(4) 및 세장형 단부-패널(6) 각각은 이들에 부착되는 요소(16)를 가지며, 따라서 제1 세장형 패널(2)에 부착되는 요소(16)의 부분이 제2 세장형 패널(4)의 후면(10) 뒤에 도달하고 제2 세장형 패널(4)에 부착되는 요소(16)의 부분이 세장형 단부-패널(6)의 후면 뒤에 도달한다. 인접 패널의 후면 뒤에 도달하는 요소(6)는 각 패널의 종축에 대해 경사져 배치된다. 요소(16)는 제한 장치로서 사용된다. 제2 세장형 패널(4)은 맞닿음 요소(17)를 가지며, 제1 세장형 패널(2)에 부착되고 제2 세장형 패널(4)의 후면 뒤에 도달하는 요소(16)는 두 개의 패널(2, 4)이 전단 운동(도 3) 중에 서로에 대해 소정 위치에 도달할 때 제2 세장형 패널(4)의 후면에 부착된 이 맞닿음 요소(17)에 대해 맞닿는다. 반대 방향으로의 전단 운동(도 2)에 있어서, 각각의 인접 패널의 각 후면 뒤에 도달하는 요소(16)는 두 개의 인접 판(2, 4)의 요소(16)가 서로 맞닿아 종축 방향으로의 추가 상대 이동을 멈추도록 설계된다.
각각의 인접한 세장형 패널의 후면 뒤에 도달하는 요소(16)는 후크 형상의 것이며, 후크의 자유 단부는 인접 패널의 후면 뒤에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제2 세장형 패널(4)의 전방 단부(13)가 제1 세장형 패널(2)에 부착된 후크형 요소(16)의 베이스와 접촉할 때 종축(3, 5, 7)에 수직한 일 방향으로의 인접 패널의 운동을 제한한다.
제1 세장형 패널(2), 제2 세장형 패널(4) 및 세장형 단부-패널(6)은 맞닿음 요소(17)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통로에 조립될 때, 맞닿음 요소(17)는 제1 세장형 패널(2), 제2 세장형 패널(4) 및 세장형 단부-패널(6)을 통로의 후프의 빔(도 8) 상에서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구조물(1)을 도시한다. 이것은 구조물이 본 발명에 따른 통로에 조립되고 통로는 통로에 의해 연결된 제1 객차 및 제2 객차가 이들 객차의 종축이 동축적이고 이들 객차가 평지에 있는 상태에서 직선으로 배치되는 작동 모드에 있을 때 구조물이 취하게 될 작동 모드이다.
도 2는 다른 작동 모드에 있는 구조물(1)을 도시한다. 이 모드에서, 패널(2, 4, 6)은 그 각각의 종축(3, 5, 7)을 따라서 일 방향으로(도 2에서 우측을 향하여) 서로에 대해 이동하였다. 종축(3, 5, 7)은 여전히 상호 평행하다. 이것은 구조물이 본 발명에 따른 통로에 조립되고 통로는 통로에 의해 연결된 제1 객차 및 제2 객차가 그 종축이 평행하고 동일한 수평 평면에 있지만 동축적이지 않은 상태에서 상호 오프셋되는 작동 모드에 있을 때 구조물(1)이 취하게 될 작동 모드이다. 제1 작동 모드에서 도 2에 도시된 작동 모드로의 운동은 전단 운동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은 패널(2, 4, 6)의 종축(3, 5, 7)을 따라서 반대 방향으로의 전단 운동을 도시한다.
화살표 A에 의해서 도 2는 세장형 단부-패널(6)의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중앙 섹션(20)의 연장을 나타낸다.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중앙 섹션(20)은 각 패널의 전방 단부(14)의 부분을 형성하는 제1 세장형 측부(21)를 가지며, 각 패널의 후방 단부(15)의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측부(21)에 평행한 제2 세장형 측부(22)를 갖는다. 화살표 B에 의해서 도 2는 각 패널의 각각의 종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세장형 단부 패널(6)의 측단 섹션의 연장을 나타내며, 따라서 각각의 종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측단 섹션의 폭은 각각의 종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감소한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이것은 각 패널의 측단부가 서로 맞닿지 않거나 또는 패널의 각각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에서 패널의 이 단부와 인접 패널의 인접 단부가 상호 근접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측단 섹션은 패널의 부분을 형성하는 중앙 섹션의 제1 세장형 측부(21)에 의해 형성되는 전방 단부(14)와 일치하는 전방 단부를 갖는다. 측단 섹션의 폭은 따라서 후방 단부를 전방 단부 쪽으로 근접 이동시킴으로써 감소된다. 측단 섹션의 후방 단부는 중앙 섹션에 근접한 측단 섹션 부분의 종축에 대해 가파른 각도로 배치된다. 중앙 섹션으로부터 이격된 측단 섹션 부분에서, 측단 섹션의 후방 단부는 종축에 대해 상기 가파른 각도보다 얕은 각도로 배치된다.
도 4는 다른 작동 모드에 있는 구조물(1)을 도시한다. 이 모드에서, 패널(2, 4, 6)은 서로에 대해 선회 운동을 따라서 이동(발산, 산개)하였다. 종축(3, 5, 7)은 더 이상 상호 평행하지 않다. 이것은 구조물이 본 발명에 따른 통로에 조립되고 통로는 통로에 의해 연결된 제1 객차 및 제2 객차가 굴곡부를 돌아서 주행하고 있는 작동 모드에 있을 때 구조물(1)이 취하게 될 작동 모드이다. 도 4에서, 구조물(1)의 좌측은 굴곡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통로의 측부에 있게 될 것이다. 도 5에서, 구조물(1)의 좌측은 굴곡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통로의 측부에 있게 될 것이다.
도 6은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통로(100)의 일부의 내측으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조물(1)은 통로의 바닥부(101)의 부분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조물(102)은 통로의 측벽(103)의 부분을 형성한다. 통로(100)는 제1 객차(105)에 연결되는 제1 단부 프레임(104)을 갖는다. 통로(100)의 대향 단부에는, 제2 객차(107)에 연결되는 제2 단부 프레임(106)이 배치된다. 도 6은 통로(100)에 의해 연결되는 제1 객차(105) 및 제2 객차(107)가 도 6에 도시하듯이 이들 객차의 종축이 동축적이고 이들 객차가 평지에 있는 상태에서 직선으로 배치될 때 취하게 될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통로(100)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이 제1 세장형 패널(2), 제2 세장형 패널(4) 및 세장형 단부-패널(6)보다 많은 개수의 세장형 패널을 갖는 구조물(1)에 의해 바람직하게 실현됨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하듯이, 구조물(1)은 다섯 개의 더 많은 세장형 패널, 즉 제3 세장형 패널(108), 제4 세장형 패널(109), 제5 세장형 패널(110), 제6 세장형 패널(111) 및 제7 세장형 패널(112)을 갖는다. 추가적인 다섯 개의 세장형 패널(108 내지 112)은 구조 및 조립에 있어서 패널(2, 4, 6)과 동일하며, 도 1의 패널(2, 4,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동일한 중첩 방식으로 배치된다.
도 6은 측벽(103)의 부분을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102)이 패널(2, 4, 6, 108 내지 112)과 비교할 때 구조 및 조립이 다른 세장형 패널(113)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그 중첩과 관련하여, 세장형 패널(113)은 패널(2, 4, 6, 108 내지 112)과 동일한 방식으로 또한 그로 인해 본 발명에 따라서 배치된다(도 9도 참조).
도 6은 측벽(103)의 하부와 상부에 보호 고무 요소(114)가 제공됨을 도시한다. 이들 보호 고무 요소는 세장형 패널(113)의 하단부와 상단부 주위를 각각 파지하는 세장형 요소이다. 보호 고무 요소(114)는 세장형 패널(113)의 하단부 및 상단부 각각과 바닥부(101)의 상면 및 천장(115)의 하면 각각 사이의 갭을 폐쇄한다. 세장형 요소는 또한, 최악의 이동 경우 하에서도 인접 패널에 의해 결코 은폐되지 않는 패널 부분을 가로질러 패널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중앙 고무 덮개를 각각의 세장형 패널에 제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중앙 덮개의 양쪽에는 인접 패널 상의 유사한 특징부와 맞닿게 될 압축성 튜브 섹션 또는 유사 섹션이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승객 발 또는 기타 물체를 위한 갭을 생성하지 않으면서 모든 이동 경우를 수용할 수 있는 오버행 고무 에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발판(116)이 객차(105)에 부착되고 발판(116)이 객차(107)에 부착되는 열차 설계를 도시하며, 이들 발판(116)은 통로의 바닥부 상에 놓인다. 객차(107)에 부착된 발판(116)은 단부-패널(6) 상에 놓인다.
도 6은 세장형 패널의 전방이 내측으로 향하는 것을 도시하며, 통로의 내부는 승객이 하나의 객차에서 다음 객차로 이동하고자 할 때 통과하는 자유 체적이다.
도 7은 제2 작동 모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통로의 일부의 내측으로의 사시도이며, 측벽의 세장형 패널은 나머지 부분에 대한 보다 양호한 도시를 위해 제거되어 있다. 제1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는 제1 빔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는 제2 빔에 의해 지지되며, 종방향 단부-패널의 전방 단부는 단부 빔에 의해 지지되고, 제1, 제2 및 단부 빔은 도 7의 도시에서 패널 아래에 배치된다. 맞닿음 요소(17)는 기초 보디가 맞닿음 요소를 거쳐서 빔 상에 놓이도록 패널의 전방 단부와 빔 사이에 배치된다. 이들 빔은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1 세장형 패널은 제1 종축에 평행한 축 주위로 선회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2 세장형 패널은 제2 종축에 평행한 축 주위로 선회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1 세장형 패널(2)과 제2 세장형 패널(4) 각각은 그 각각의 측단부에서 수직 연장 빔(117)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8은 제1 작동 모드와 다른 작동 모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통로의 일부의 내측으로의 사시도이며, 측벽의 세장형 패널과 바닥부는 나머지 부분에 대한 보다 양호한 도시를 위해 제거되어 있다. 도 8은 통로(100)가 일련의 후프(120)를 갖는 것을 도시한다. 후프는 본질적으로 장방형 형상을 갖는다. 도 8은 장방형 후프의 하부 빔과 하나의 수직 빔을 도시하며, 상부 빔과 제2 수직 빔은 도 8에 도시된 도면에서 볼 수 없다. 후프는 복수의 빔을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바닥부의 세장형 패널이 맞닿음 부재(17)에 의해 그 위에 지지되는 수평 빔은 후프의 하부 수평 빔을 형성한다.
탄성 밴드를 구부려 만들어지는 탄성 요소(125)가 빔 사이에 말굽-형상으로 배치되며, 말굽의 세장형 직선 부분은 각각의 빔에 부착된다. 이러한 말굽형 탄성 요소 중 세 개가 통로의 측부 마다 각각의 빔 사이에 배치된다. 빔(120) 각각은 세 개의 구멍을 갖는다. 추가 빔(121, 122, 123)은 각각의 빔에 있는 각각의 구멍을 통과한다. 빔(122)은 패널의 대략 중간에 배치되고, 추가적인 두 개의 빔(121, 123)은 각각의 빔의 측단 섹션을 향해서 배치된다. 빔(122)은 안내 레일(124)을 가지며, 안내 요소가 각각의 패널에 부착되어 안내 레일 내에 휴지된다.
요소(125)는 예를 들어 인접 빔이 각각의 빔에 제1 거리보다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빔으로부터 제1 거리 돌출하여 배치된다. 요소(125)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다. 요소(125)는 탄성 코팅을 갖는다.
도 9는 통로의 측벽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의 세장형 패널의 제2 측단 섹션의 사시도이며, 제2 측단 섹션은 유지 요소에 의해 유지된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세장형 패널(113)은 전면(119), 및 도 9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전면(119)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후면을 갖는다. 세장형 패널(113)은 전방 단부(130) 및 각 패널(113)의 종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방 단부(130)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후방 단부를 가지며, 후방 단부는 인접한 세장형 패널(113)이 각각의 세장형 패널의 후방 단부가 인접한 세장형 패널(113)의 후면 뒤에 있고 인접한 세장형 패널(113)의 전방 단부(130)가 각각의 세장형 패널(113)의 전면(119) 앞에 있도록 각각의 세장형 패널(113)과 중첩되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세장형 패널(113)에 부착된 요소(131)는 인접한 세장형 패널의 후면 뒤에 도달하고 각 패널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분(132)을 갖는다. 상기 부분(132)은 각 패널의 전방 단부(130)에 평행하게 그리고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인접한 패널(113)은 상기 요소가 인접한 세장형 패널(113)의 후면 뒤에 도달하도록 세장형 패널(113)과 상기 부분(132) 사이에 슬릿형성된다.
세장형 패널(113)은 종축 방향으로 세장형 패널(113)의 일 단부를 형성하는 제1 측단부(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제1 측단부는 지지 요소(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된다. 종축 방향으로 세장형 패널(113)의 제1 측단부와 대향하는 단부를 형성하는 제2 측단부(133)는 유지 요소(134)에 의해 유지된다. 인접한 세장형 패널(113)의 각각의 제2 측부(133)는 다른 유지 요소(134)에 의해 유지된다.
도 10은 통로의 벨로우즈의 단면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통로의 추가적인 대체 또는 추가 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수평적으로 배향된 빔(200)을 도시한다. 이들 빔은 장방형 후프의 하나의 수직 빔과 하부 빔을 도시하는 도 8의 후프의 상부 빔을 형성한다. 화살표 C는 내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통로의 내부는 승객이 하나의 객차에서 다음 객차로 이동하고자 할 때 통과하는 자유 체적임). 도 10은 또한 나사(202)에 의해 수평 빔에 부착되는 통로의 내부 벨로우즈(201)를 도시한다. 내향 벨로우즈(201)는 일련의 포선체(203)로 구성된다. 포선체(203)는 고무-재료로 제조된다. 포선체(203)는 대략 말굽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제1 포선체(203)는 제1 말굽형 포선체(203)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204)을 제2 말굽형 포선체(203)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205)에 부착시킴으로써 인접한 제2 포선체(203)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제1 말굽형 포선체(203)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204)에 연결되는 돌출 요소(206) 및 제2 말굽형 포선체(203)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205)에 연결되는 채널(207)에 의해 형성된다. 돌출 요소(206)는 이 돌출 요소(206)가 채널(207)을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채널(207) 내부에 유지되며, 따라서 제1 말굽형 포선체(203)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204)은 제2 말굽형 포선체(203)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205)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제2 말굽형 포선체(203)의 다른 세장형 섹션(208)은 제3 말굽형 포선체(203)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209)에 고정 연결되는 바, 이는 다른 세장형 섹션(208)과 하나의 세장형 섹션(209)이 함께 봉합되기 때문이다.

Claims (29)

  1. 제1 객차를 제2 객차와 연결하고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통로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제1 및 제2 후프를 갖고, 상기 제1 후프는 그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서 직선 섹션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제1 후프 및 제2 후프에는 연결 요소가 연결되고, 따라서 상기 연결 요소는 세장형 자유 표면을 가지며, 따라서 연결 요소의 세장형 자유 표면은 제1 후프의 직선 섹션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자유 표면은 상기 직선 섹션에 대해 직선 운동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자유 표면은 직선 섹션과 대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복수의 후프를 갖고, 각각의 후프는 직선 섹션을 가지며, 두 개의 인접한 후프 각각의 사이에는 두 개의 인접한 후프의 제1 후프 및 두 개의 인접한 후프의 제2 후프에 연결되는 연결 요소가 제공되고, 각각의 연결 요소는 두 개의 인접한 후프 중 하나의 후프의 직선 섹션과 대면하는 세장형 자유 표면을 가지며, 따라서 연결 요소의 세장형 자유 표면은 직선 섹션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5. 제1 객차를 제2 객차와 연결하고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통로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제1 및 제2 후프를 갖고, 상기 제1 후프는 그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서 직선 섹션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제1 후프 및 제2 후프에는 연결 요소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 요소는 제1 후프의 부분으로 구성된 레일에 체결되고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한 연결 요소의 부분으로 구성된 돌출 요소에 의해서 또는 연결 요소의 부분으로 구성된 레일에 체결되고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한 제1 후프의 부분으로 구성된 돌출 요소에 의해서 제1 후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6. 제1 객차를 제2 객차와 연결하고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통로에 있어서,
    벨로우즈가 일련의 포선체로 구성되고, 적어도 대부분의 포선체는 대략 말굽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제1 포선체는 제1 말굽형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을 제2 말굽형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에 부착시킴으로써 인접한 제2 포선체에 연결되고, 따라서 상기 연결은 제1 말굽형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이 제2 말굽형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은 제1 말굽형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에 연결되는 돌출 요소 및 제2 말굽형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에 연결되는 채널에 의해 형성되고, 따라서 돌출 요소는 이 돌출 요소가 채널을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채널 내부에 유지되며, 따라서 제1 말굽형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이 제2 말굽형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제2 말굽형 포선체의 다른 세장형 섹션은 제3 말굽형 포선체의 하나의 세장형 섹션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9. 통로의 바닥부, 측벽 또는 천장의 부분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구조물이며,
    상기 통로는 제1 객차를 제2 객차와 연결하고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을 허용하기에 적합하며,
    제1 종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세장형 패널, 제2 종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 세장형 패널, 및 제3 종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세장형 단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세장형 패널, 제2 세장형 패널 및 세장형 단부-패널은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각각을 가질 뿐 아니라 전면과 후면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제1 세장형 패널은 제1 세장형 패널의 후방 단부가 제2 세장형 패널의 전면 앞에 있고 제2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가 제1 세장형 패널의 후면 뒤에 있도록 제2 세장형 패널과 중첩되며 상기 제2 세장형 패널은 제2 세장형 패널의 후방 단부가 세장형 단부-패널의 전면 앞에 있고 세장형 단부-패널의 전방 단부가 제2 세장형 패널의 후면 뒤에 있도록 세장형 단부-패널과 중첩되거나, 또는
    따라서 상기 제1 세장형 패널은 제1 세장형 패널의 후방 단부가 제2 세장형 패널의 후면 뒤에 있고 제2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가 제1 세장형 패널의 전면 앞에 있도록 제2 세장형 패널과 중첩되며 상기 제2 세장형 패널은 제2 세장형 패널의 후방 단부가 세장형 단부-패널의 후면 뒤에 있고 세장형 단부-패널의 전방 단부가 제2 세장형 패널의 전면 앞에 있도록 세장형 단부-패널과 중첩되는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장형 패널, 제2 세장형 패널 및/또는 세장형 단부-패널은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중앙 섹션을 가지며, 상기 중앙 섹션의 제1 세장형 측부가 전방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측부에 평행한 중앙 섹션의 제2 세장형 측부가 각 패널의 후방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장형 패널, 제2 세장형 패널 및/또는 세장형 단부-패널은 적어도 대체로 각 패널의 각각의 종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측단 섹션을 가지며, 따라서 각각의 종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측단 섹션의 폭은 각각의 종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장형 패널에는 요소가 부착되고 이 요소의 일부가 제2 세장형 패널의 후면 뒤에 도달하며 및/또는 상기 제2 세장형 패널에는 요소가 부착되고 이 요소의 일부가 세장형 단부-패널의 후면 뒤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세장형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는 요소 및/또는 제2 세장형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는 요소는 각 패널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각 패널의 종축에 대해 경사져 배치되는 세장형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장형 패널은 그 종축을 따라서 제2 세장형 패널에 대해 이동할 수 있거나 및/또는 상기 제2 세장형 패널은 그 종축을 따라서 세장형 단부-패널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장형 패널 및 제2 세장형 패널은 제1 작동 모드에서 제1 종축이 제2 종축에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따라서 제1 세장형 패널은 다른 작동 모드에서 제1 종축이 제2 종축에 경사지도록 제2 세장형 패널에 대해 선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6. 통로의 바닥부이며,
    상기 통로는 제1 객차를 제2 객차와 연결하고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을 허용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바닥부의 부분이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조물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부.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 작동 모드에서 제1 종축, 제2 종축 및 제3 종축은 본질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제1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는 제1 빔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는 제2 빔에 의해 지지되며, 및/또는 종방향 단부-패널의 전방 단부는 단부-빔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
  19. 제18항에 있어서, 제1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는 제1 빔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는 제2 빔에 의해 지지되며, 종방향 단부-패널의 전방 단부는 단부-빔에 의해 지지되고, 따라서 제1 빔과 제2 빔 사이에 제1 탄성 요소가 배치되며 제2 빔과 제3 빔 사이에 제2 탄성 요소가 배치되고, 따라서 상기 제1 탄성 요소와 제2 탄성 요소는 제1 빔, 제2 빔 및 제3 빔을 제1 빔과 제2 빔 사이의 거리가 제2 빔과 제3 빔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위치로 예비인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제1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는 제1 빔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는 제2 빔에 의해 지지되며, 종방향 단부-패널의 전방 단부는 단부-빔에 의해 지지되고, 따라서 제1 빔, 제2 빔 및 제3 빔 각각은 구멍을 가지며, 추가 빔은 각각의 빔의 각각의 구멍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는 제1 빔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세장형 패널의 전방 단부는 제2 빔에 의해 지지되며, 따라서 요소는 제2 빔이 요소와 접촉함에 따라 제2 빔이 제1 빔에 대해 이동할 때 제2 빔이 제1 빔에 제1 거리 보다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빔으로부터 제1 거리 돌출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세장형 패널은 제1 종축에 평행하거나 동축적인 축 주위로 선회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및/또는 제2 세장형 패널은 제2 종축에 평행하거나 동축적인 축 주위로 선회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
  23. 통로의 측벽이며,
    상기 통로는 제1 객차를 제2 객차와 연결하고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을 허용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측벽의 부분이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조물에 의해 형성되는 측벽.
  24. 제23항에 있어서, 제1 작동 모드에서 제1 종축, 제2 종축 및 제3 종축은 본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제1 세장형 패널은 제1 종축의 방향으로 제1 세장형 패널의 일 단부를 형성하는 제1 측단부를 가지며 제1 측단부는 지지 요소에 의해 지지되고 및/또는 제2 세장형 패널은 제2 종축의 방향으로 제2 세장형 패널의 일 단부를 형성하는 제1 측단부를 가지며 제1 측단부는 지지 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세장형 패널은 제1 종축에 평행하거나 동축적인 축 주위로 선회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및/또는 제2 세장형 패널은 제2 종축에 평행하거나 동축적인 축 주위로 선회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27. 통로의 천장이며,
    상기 통로는 제1 객차를 제2 객차와 연결하고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을 허용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천장의 부분이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조물에 의해 형성되는 천장.
  28. 제1 객차를 제2 객차와 연결하고 제1 객차에서 제2 객차로의 승객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통로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닥부,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측벽 및/또는 제27항에 따른 천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2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로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닥부,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측벽 및/또는 제27항에 따른 천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
KR1020167000045A 2013-06-07 2014-06-10 통로의 바닥부, 측벽 또는 천장의 부분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구조물 KR102232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275136.3 2013-06-07
EP13275136.3A EP2810845B1 (en) 2013-06-07 2013-06-07 Structure suitable to form part of a floor, a sidewall or a ceiling of a gangway
PCT/EP2014/001570 WO2014195030A2 (en) 2013-06-07 2014-06-10 Structure suitable to form part of a floor, a sidewall or a ceiling of a gangw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032A true KR20160017032A (ko) 2016-02-15
KR102232432B1 KR102232432B1 (ko) 2021-03-29

Family

ID=4857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045A KR102232432B1 (ko) 2013-06-07 2014-06-10 통로의 바닥부, 측벽 또는 천장의 부분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구조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86848B2 (ko)
EP (2) EP2810845B1 (ko)
KR (1) KR102232432B1 (ko)
CN (2) CN105555634B (ko)
ES (1) ES2671626T3 (ko)
PL (1) PL2810845T3 (ko)
WO (1) WO201419503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98135B1 (en) * 2014-09-19 2017-12-13 Dellner Couplers AB Gangway for connecting a first car with a second car
EP3061632B1 (de) * 2015-02-26 2019-01-30 Hübner GmbH & Co. KG Übergang zwischen zwei gelenkig miteinander verbundenen fahrzeugen
PL3075579T3 (pl) * 2015-04-02 2020-11-16 HÜBNER GmbH & Co. KG Harmonijka, przykładowo osłaniająca przejście między dwoma pojazdami, połączonymi przegubowo
RU2625214C2 (ru) * 2016-09-07 2017-07-12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 Дегтярев Способ подвешивания сильфонов в сцепленном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DE102017102525B4 (de) 2017-02-09 2020-05-07 HÜBNER GmbH & Co. KG Seitenabdeckung für den Übergang zwischen zwei Fahrzeugteilen und Fahrzeugübergang
RU187115U1 (ru) * 2018-11-06 2019-02-1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ХЮБНЕР ООО" Межвагонный переход, включающий ограждение
SE544961C2 (en) * 2020-05-11 2023-02-07 Dellner Couplers Ab Convolute for a bellows for a gangway, bellows for a gangway and multi-car vehicle
EP4108538B1 (en) * 2021-06-21 2024-04-03 Dellner Couplers AB Convolutes for a gangway, bellows and gangwa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8436A1 (en) * 1985-06-19 1987-01-14 Narita Seisakusho Mfg., Ltd. Hood device for coupling cars
US6076470A (en) * 1996-05-03 2000-06-20 Hubner Gummi-Und Kunststoff Gmbh Central frame of a connecting corridor bellows subdivided in two halves
EP2172383A1 (fr) * 2008-10-06 2010-04-07 Faiveley SA Couloir d'intercirculation entre deux véhicules
DE202013100563U1 (de) * 2013-02-07 2013-03-07 Manfred Teufl Brücke zwischen zwei gelenkig miteinander verbundenen Fahrzeugteile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5948A (ja) * 1985-11-26 1987-06-08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車両用連結幌の異常偏倚規制装置
DE59300511D1 (de) * 1993-05-08 1995-09-28 Huebner Gummi & Kunststoff Innenverkleidung eines Übergangs zwischen zwei Fahrzeugen, insbesondere eines Übergangs mit einem Faltenbalg.
CH687379A5 (de) * 1993-09-03 1996-11-29 Sig Schweiz Industrieges Uebergangseinrichtung zwischen zwei gekuppelten Fahrzeugen.
DE29500795U1 (de) * 1995-01-19 1995-03-16 Hübner Gummi- und Kunststoff GmbH, 34123 Kassel Obergangsbrücke
CA2317183C (en) * 2000-08-30 2008-11-18 National Steel Car Limited Vehicle carrying rail road car and bridge plate therefor
KR200245222Y1 (ko) 2001-03-08 2001-09-26 이은숙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
FR2823265A1 (fr) * 2001-04-04 2002-10-11 Faiveley Transport Procede de realisation d'un conduit souple, en particulier d'un couloir d'interciculation pour vehicules
CA2397859A1 (en) * 2002-08-08 2004-02-08 Daniel Vandenberghe Inflatable sealing system for railway cars
DE202006009083U1 (de) * 2006-06-09 2007-10-18 Hübner GmbH Aus mehreren Fahrzeugteilen kuppelbares Gelenkfahrzeug
FR2912364B1 (fr) * 2007-02-09 2014-07-04 Alstom Transport Sa Automotrice de transport de passagers
CN101934693B (zh) * 2010-01-04 2013-01-09 伊卡路斯(苏州)车辆系统有限公司 一种客车铰接棚
CN101844565A (zh) * 2010-06-04 2010-09-29 唐山轨道客车有限责任公司 列车贯通道
EP2500230B1 (de) * 2011-03-18 2013-06-05 Hübner GmbH Brücke eines Übergangs zwischen zwei gelenkig miteinader verbundenen Fahrzeugteilen
CN102826097A (zh) * 2011-06-18 2012-12-19 赵庆国 一种可变承重平面的动态连接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8436A1 (en) * 1985-06-19 1987-01-14 Narita Seisakusho Mfg., Ltd. Hood device for coupling cars
US6076470A (en) * 1996-05-03 2000-06-20 Hubner Gummi-Und Kunststoff Gmbh Central frame of a connecting corridor bellows subdivided in two halves
EP2172383A1 (fr) * 2008-10-06 2010-04-07 Faiveley SA Couloir d'intercirculation entre deux véhicules
DE202013100563U1 (de) * 2013-02-07 2013-03-07 Manfred Teufl Brücke zwischen zwei gelenkig miteinander verbundenen Fahrzeugtei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55634A (zh) 2016-05-04
CN105555634B (zh) 2020-10-30
WO2014195030A2 (en) 2014-12-11
EP3366542A1 (en) 2018-08-29
KR102232432B1 (ko) 2021-03-29
CN110466553B (zh) 2021-01-12
WO2014195030A3 (en) 2015-02-05
EP2810845B1 (en) 2018-04-11
EP3366542C0 (en) 2023-09-13
US20160121910A1 (en) 2016-05-05
PL2810845T3 (pl) 2018-10-31
ES2671626T3 (es) 2018-06-07
EP2810845A1 (en) 2014-12-10
EP3366542B1 (en) 2023-09-13
CN110466553A (zh) 2019-11-19
US10086848B2 (en)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7032A (ko) 통로의 바닥부, 측벽 또는 천장의 부분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구조물
US9533693B2 (en) Gangway floor for a gangway between a first car of a multi-car vehicle and a second car of said vehicle
US10442325B2 (en) Energy and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child car seat
US7814841B2 (en) Rake of rail cars for passenger transport
US8845012B2 (en) Vehicle front hood structure
CN102407860B (zh) 铰接式转向架牵引装置
WO2008132909A1 (ja) 車両用フロア構造
TW201345771A (zh) 鐵道車輛
CA2853950C (en) Crash structure for a railcar
KR101310933B1 (ko)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양재
WO2009115378A3 (de) Universelle anordnung zum aufnehmen einer vorhangschiene für einen trennvorhang
CN102892629A (zh) 盖板的支撑结构
KR20140099553A (ko) 철도 차량의 바닥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철도 차량
ES2286403T3 (es) Vehiculo de mantenimiento.
US10391826B2 (en) Gangway for connecting a first car with a second car
US7267058B2 (en) Articulated truck
TW200524771A (en) Crash-suitable design of a junc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with a passable anti-climbing protective device for railway cars
KR101757805B1 (ko)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EP3636508B1 (en) Railway train and compartment thereof
JP2007022213A (ja) 鉄道車両の渡り板装置
JP6824683B2 (ja) 鉄道車両
ES2393433T3 (es) Pasillo de intercirculación entre dos vehículos
CN218592954U (zh) 一种存放轨道客车贯通道侧护板的装置
CN205801111U (zh) 一种用于过渡车辆的渡板装置
CN110667628A (zh) 车体底架及具有其的有轨电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