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805B1 -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7805B1 KR101757805B1 KR1020150081157A KR20150081157A KR101757805B1 KR 101757805 B1 KR101757805 B1 KR 101757805B1 KR 1020150081157 A KR1020150081157 A KR 1020150081157A KR 20150081157 A KR20150081157 A KR 20150081157A KR 101757805 B1 KR101757805 B1 KR 1017578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plates
- link
- mounting
- pedestria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20—Communication passages between coaches; Adaptation of coach en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접하는 전동차 객차 단부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도어실(doorsill)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에서 마주보는 객차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된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의 일부와 상부에서 오버랩되게 수평 설치된 주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를 각각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상기 인접하는 전동차 객차의 상하 높이차를 흡수하는 연결 링크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링크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에 볼 조인트 결합됨으로써, 객실간 소음을 줄이고 보행자의 안전한 통행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객차간 높이차를 자연스럽게 흡수함은 물론, 와이드 통로화를 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은 객차와 객차 사이에 연결 통로가 구비되고, 이 연결 통로 상에는 탑승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브리지 플레이트(bridge plate)라고도 불리는 연결 발판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차(1)의 앞쪽과 뒤쪽 통로 출입구에는 도어실(doorsill) 플레이트(3)가 각각 설치되고, 그 위에 출입문이 여닫힐 수 있도록 레일(5)이 장착된다.
특히, 상기 도어실 플레이트(3)에는 양쪽 객차 사이에 사람이 다닐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 발판(10)이 힌지(7)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 발판(10)은 도 1에서와 같이 상하로 일부가 겹친 모양으로 위치됨으로써 탑승자나 승무원 등이 객차와 객차 사이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발판(10)의 하측에는 상기 도어실 플레이트(3)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 발판(10)을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9)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발판(10)의 끝단에는 발판이 서로 부드럽게 접촉할 수 있도록 고무 등으로 형성된 완충접촉부재(15)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발판(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엠보싱(embossing)이 연속된 구조로 형성된 논슬립부(12)가 형성된다.
종래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발판(10)이 2개로 구비되되, 상기 연결 발판(10) 2개의 선단부가 상하로 소정거리 만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이는, 상기 객차와 인접하는 객차가 상호 높이차가 발생한 경우, 상기 연결 발판(10)의 상호 오버랩 길이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객차간 높이차를 흡수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에 따르면, 상기 연결 발판(10) 중 하나는 수평으로 구비되나, 나머지 하나는 수평으로 구비된 상기 연결 발판(10)의 하부로 비스듬하게 경사 배치되는 바, 보행자가 자칫 발을 헛디딜 수 있음은 물론 일체감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객차와 객차 사이의 통로가 객차의 폭에 근접되는 와이드 통로가 구축되고 있는 추세인데, 객차간 높이차가 발생한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르면 높이차에 따른 단차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를 통하여 보행하는 보행자의 안전 보행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객차간 높이차 또는 이격거리에 따른 연결 구성의 마찰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인접하는 전동차 객차 단부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도어실(doorsill)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에서 마주보는 객차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된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의 일부와 상부에서 오버랩되게 수평 설치된 주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를 각각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상기 인접하는 전동차 객차의 상하 높이차를 흡수하는 연결 링크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링크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에 볼 조인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링크조립체는,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상하 높이차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인접하는 전동차 객차 사이의 거리에 따라 신축되는 X자 링크부와, 상기 X자 링크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에 대한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 매개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매개 링크부의 선단에는 구 형상의 볼 결합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에는, 상기 연결 매개 링크부의 상기 볼 결합단이 삽입되어 볼 조인트 결합되는 마운팅 블록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 결합단은, 상기 마운팅 블록에 보행자의 통행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 블록은, 적어도 하나(이하, '착탈 블록'이라 함)가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에 고정된 나머지 하나(이하, '고정 블록'이라 함)에 대하여 상기 보행자의 통행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블록은, 상기 고정 블록에 대하여 상기 착탈 블록을 착탈 방향으로 스터드 볼트에 의하여 볼팅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X자 링크부는, X자 형상으로 교차 배치되고, 상기 교차 부위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2개의 회동 중심 링크와, 일단이 상기 2개의 회동 중심 링크의 각 선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 매개 링크부에 교차하여 힌지 결합되는 일측 전달 링크 및 타측 전달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X자 링크부는, 상기 회동 중심 링크의 상기 교차 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보행자의 통행 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X자 링크부는,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의 하면 2개소 이상에 결합되도록 보행자의 통행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열된 2개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X자 링크부에는,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의 하면 2개소 이상에 구비된 마운팅 부쉬에 상기 교차 부위에서 상부로 삽입되어 고정시키는 마운팅 볼트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전동차의 객차간 수평방향 이격거리가 발생할 경우에는 연결 링크조립체의 길이방향 신축을 통하여 이를 흡수함과 아울러, 전동차의 객차간 높이차가 발생할 경우에는 연결 링크조립체의 볼 조인트 결합 부위를 통하여 이를 흡수함으로써 보행자가 안전한 통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상기 연결 링크조립체의 길이방향 신축 및 볼 조인트 결합 부위를 통한 관절 운동을 통하여 마찰 소음을 방지함으로써 객차 내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도 4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철도 차량의 연결 발판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도 4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도 4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전동차 객차 단부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도어실(doorsill) 플레이트(103A,103B)와,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103A,103B)에서 마주보는 객차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된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110A,110B)와, 상기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110A,110B)의 일부와 상부에서 오버랩되게 수평 설치된 주 발판 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103A,103B)는, 상기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110A,110B) 및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20)를 각각의 객차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국적으로는 보행자의 안전 보행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상기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110A,110B)는,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103A,103B)에서 각각 마주보는 객차를 향하여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되, 가능한 한 객차간 높이차가 없는 경우 수평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 인접하는 객차를 구획하는 격벽에 의하여 객차와 객차가 구분되었으나, 최근에는 상기 격벽을 삭제하고, 전체적으로 객차의 통로 개념이 사라진 와이드 통로를 구축하고 있는 추세에서 객차의 구분 개념을 보다 명확하게 제거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110A,110B)의 하부에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103A,103B)를 각각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20)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상기 인접하는 전동차 객차의 이격거리 및 높이차를 흡수하는 연결 링크조립체(130,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링크조립체(130,140)는,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20)를 지지하여 보행자가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20)를 밟고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접하는 전동차 객차의 이격거리 및 높이차를 흡수함으로써 전동차의 주행 중 지면 또는 레일의 상태에 따라 발생된 이격거리 및 높이차에 의하여 급격히 단차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 링크조립체(130,140)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20)와 연결되고, 상기 인접하는 전동차 객차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신축되는 X자 링크부(140)와, 상기 X자 링크부(14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103A,103B)에 대한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 매개 링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X자 링크부(140)는, X자 형상으로 교차 배치되고, 상기 교차 부위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2개의 회동 중심 링크(142)와, 일단이 상기 2개의 회동 중심 링크(142)의 각 선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 매개 링크부(130)에 교차하여 힌지(141)에 의하여 결합되는 일측 전달 링크(143A) 및 타측 전달 링크(14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매개 링크부(130)는, 상기 전동차의 객차 중 일측 객차 및 타측 객차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상기 X자 링크부(140)의 양단을 각각의 상기 객차에 연결한다.
이와 같은 상기 X자 링크부(140)는, 상기 회동 중심 링크(142)의 상기 교차 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보행자의 통행 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됨으로써, 상기 객차간 이격거리를 흡수하게 된다.
즉, 상기 전동차의 일측 객차는 타측 객차와 미도시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이지만, 상기 일측 객차와 타측 객차가 완전하게 공차없이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전동차의 운행 중 상기 일측 객차와 타측 객차는 상기 연결구의 공차만큼 소정의 이격거리가 발생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X자 링크부(140)는, 상기 보행자의 통행 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객차간 이격거리를 해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 링크조립체(130,140)는, 도 3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103A,103B)에 볼 조인트 결합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X자 링크부(140)에 의하여 상기 객차간 수평 이격거리는 해소될 수 있으나, 상기 객차간 높이차가 발생할 경우에는 이를 흡수할 수 없다. 여기서, 상기 객차간 높이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링크조립체(130,140)이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103A,103B)에 볼 조인트 결합된다. 볼 조인트 결합이란, 일종의 관절 결합으로서, 결합점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관절 운동되도록 하는 결합의 종류이다.
특히, 상기 연결 링크조립체(130,140)의 부위 중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103A,103B)에 결합되는 선단 부위에는 볼 조인트 결합이 가능한 구 형상의 볼 결합단(135)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볼 결합단(135)은, 상기 연결 링크조립체(130,140)의 상기 연결 매개 링크부(130)의 선단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103A,103B)에는, 상기 연결 매개 링크부(130)의 상기 볼 결합단(135)이 삽입되어 볼 조인트 결합되는 마운팅 블록(10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볼 결합단(135)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마운팅 블록(105)에 보행자의 통행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 블록(105)은,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103A,103B)에 고정된 나머지 하나에 대하여 상기 보행자의 통행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103A,103B)에 고정된 마운팅 블록(105)을 '고정 블록(105A)'이라 하고, 상기 고정 블록(105A)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마운팅 블록(105)을 '착탈 블록(105B)'이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마운팅 블록(105)은, 상기 고정 블록(105A)에 대하여 상기 착탈 블록(105B)이 하방 또는 수평 방향으로 착탈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착탈 블록(105B)은 수평 방향으로 착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하여 설명한다.
상기 마운팅 블록(105)은, 상기 고정 블록(105A)에 대하여 상기 착탈 블록(105B)을 착탈 방향으로 스터드 볼트(107)에 의하여 볼팅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 결합부재가 스터드 볼트(107)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결합부재가 채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하나의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20)를 지지하는 상기 연결 링크조립체(130,140)은 2개가 상기 보행자의 통행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20)를 균일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X자 링크부(140)에는,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20)의 하면 2개소 이상에 구비된 마운팅 부쉬(125)에 상기 교차 부위에서 상부로 삽입되어 고정시키는 마운팅 볼트(145)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20)의 상면부에는 보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부식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식부는,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20)의 상면부 일부의 표면 거칠기가 높아지도록 에칭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차의 객차간 이격거리의 변화 및 높이차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20)의 스트로크 거리만큼을 제외한 상기 보조 발판 플레이트(110A,110B)의 상면부에는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20)의 부식부와 동일한 형상의 부식부가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부식부는, 보행자의 통행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다수의 띠를 이루도록 나란히 배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작용 모습을 첨부된 도면(특히, 도 5)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전동차의 일측 객차 및 타측 객차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면 상기 연결 링크조립체(130,140) 중 상기 X자 링크부(140)가 신축되면서 수평 방향의 이격거리를 흡수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동차의 일측 객차 및 타측 객차 사이에 소정의 높이차가 발생되면, 상기 연결 링크조립체(130,140) 중 상기 연결 매개 링크부(130)가 그 선단에 구비된 볼 결합단(135)에 의하여 관절 운동함으로써 상기 객차간 높이차를 흡수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연결 링크조립체(130,140)의 길이 신축시 소음의 발생을 줄이면서도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120)와 상기 보조 발판 플레이트(110A,110B) 사이의 마찰 소음을 줄여 객실 소음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0: 통로 바닥 연결 장치 110A,110B: 보조 발팔 플레이트
120: 주 발판 플레이트 130: 연결 매개 링크부
135: 볼 결합단 140: 연결 링크조립체
142: X자 링크부 143A,143B: 전달 링크
120: 주 발판 플레이트 130: 연결 매개 링크부
135: 볼 결합단 140: 연결 링크조립체
142: X자 링크부 143A,143B: 전달 링크
Claims (7)
- 인접하는 전동차 객차 단부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도어실(doorsill)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에서 마주보는 객차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된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보조 발판 플레이트의 일부와 상부에서 오버랩되게 수평 설치된 주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전동차 객차의 상하 높이차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인접하는 전동차 객차 사이의 거리에 따라 신축되는 X자 링크부와, 상기 X자 링크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에 대한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 매개 링크부로 이루어진 연결 링크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링크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에 볼 조인트 결합되되, 상기 연결 매개 링크부의 선단에는 구 형상의 볼 결합단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에는, 상기 연결 매개 링크부의 상기 볼 결합단이 삽입되어 볼 조인트 결합되는 마운팅 블록이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볼 결합단은, 상기 마운팅 블록에 보행자의 통행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 블록은, 적어도 하나(이하, '착탈 블록'이라 함)가 상기 한 쌍의 도어실 플레이트에 고정된 나머지 하나(이하, '고정 블록'이라 함)에 대하여 상기 보행자의 통행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마운팅 블록은, 상기 고정 블록에 대하여 상기 착탈 블록을 착탈 방향으로 스터드 볼트에 의하여 볼팅 결합시키고,
상기 X자 링크부는, X자 형상으로 교차 배치되고, 상기 교차 부위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2개의 회동 중심 링크와; 일단이 상기 2개의 회동 중심 링크의 각 선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 매개 링크부에 교차하여 힌지 결합되는 일측 전달 링크 및 타측 전달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X자 링크부는, 상기 회동 중심 링크의 상기 교차 부위를 중심으로 보행자의 통행 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되며,
상기 X자 링크부는,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의 하면 2개소 이상에 결합되도록 보행자의 통행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열된 2개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X자 링크부에는, 상기 주 발판 플레이트의 하면 2개소 이상에 구비된 마운팅 부쉬에 상기 교차 부위에서 상부로 삽입되어 고정시키는 마운팅 볼트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 발판 플레이트와 주 발판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면부 일부의 표면 거칠기가 높아지도록 에칭 성형되는 부식부가 형성된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1157A KR101757805B1 (ko) | 2015-06-09 | 2015-06-09 |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1157A KR101757805B1 (ko) | 2015-06-09 | 2015-06-09 |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4705A KR20160144705A (ko) | 2016-12-19 |
KR101757805B1 true KR101757805B1 (ko) | 2017-07-26 |
Family
ID=57735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1157A KR101757805B1 (ko) | 2015-06-09 | 2015-06-09 |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780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50874B1 (ja) * | 2018-02-27 | 2019-01-09 | 株式会社成田製作所 | パネルの伸縮装置 |
CN113320557B (zh) * | 2020-02-28 | 2022-11-11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用于轨道车辆的贯通道和具有其的轨道车辆 |
EP4035911B1 (de) * | 2021-01-28 | 2024-06-05 | ULTIMATE Europe Transportation Equipment GmbH | Brücke für einen übergang zwischen zwei gelenkig miteinander verbundenen fahrzeugteilen |
CN113942531B (zh) * | 2021-10-29 | 2022-09-30 | 中车制动系统有限公司 | 贯通道用渡板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13331A (ja) * | 1999-04-30 | 2000-11-14 | Kawasaki Heavy Ind Ltd | 車両用転落防止柵装置 |
JP2007022213A (ja) * | 2005-07-13 | 2007-02-01 | Kinki Sharyo Co Ltd | 鉄道車両の渡り板装置 |
-
2015
- 2015-06-09 KR KR1020150081157A patent/KR1017578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13331A (ja) * | 1999-04-30 | 2000-11-14 | Kawasaki Heavy Ind Ltd | 車両用転落防止柵装置 |
JP2007022213A (ja) * | 2005-07-13 | 2007-02-01 | Kinki Sharyo Co Ltd | 鉄道車両の渡り板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4705A (ko) | 2016-1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7805B1 (ko) | 전동차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 |
US20150000550A1 (en) | Gangway floor for a gangway between a first car of a multi-car vehicle and a second car of said vehicle | |
HU177510B (en) | Gangway structure between two vehicles connected with one another | |
CN110466553B (zh) | 适于形成通道的地板、侧壁或天花板的一部分的结构件 | |
CN101528526B (zh) | 用于机械连接车辆的装置 | |
KR100737493B1 (ko) | 철도차량 | |
US20140305331A1 (en) | Cable transportation system bogie, and cable transportation system comprising such a bogie | |
CN108058804B (zh) | 一种插拔式直升机维护脚蹬 | |
JP2007022213A (ja) | 鉄道車両の渡り板装置 | |
CN204150058U (zh) | 一种可自动调整刚度的低地板车弹性铰接装置 | |
TW200524771A (en) | Crash-suitable design of a junction between railway vehicles with a passable anti-climbing protective device for railway cars | |
CN107974880B (zh) | 轨道接缝连接装置和包括该轨道接缝连接装置的轨道 | |
KR200245222Y1 (ko) | 철도 차량용 통로 연결막 구조체 | |
KR100614109B1 (ko) | 철도 차량 통로 연결막 | |
CN214189621U (zh) | 悬挂式轨道交通系统 | |
US9783209B2 (en) | Overhead light in articulation area of rail vehicles | |
KR101859945B1 (ko) | 산악철도차량용 차체 상부 연결 구조 | |
KR960705710A (ko) | 철도차량의 통로용 내측라이닝(inner lining for gangways between rail vehicles) | |
CN212223473U (zh) | 一种用于钢轨的连接结构 | |
CN113022609B (zh) | 一种用于磁悬浮车辆的底架及磁悬浮车辆 | |
CN211335980U (zh) | 轨道车辆 | |
KR101596026B1 (ko) | 고속 열차용 제동장치 | |
KR101910998B1 (ko) |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 |
US8590461B2 (en) | Devices to shift the stops of rail vehicle bodies with bogies on curves and rail vehicle body with bogies | |
KR200398298Y1 (ko) | 철도 차량 통로 연결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